KR100815401B1 - 콘크리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401B1
KR100815401B1 KR1020070120059A KR20070120059A KR100815401B1 KR 100815401 B1 KR100815401 B1 KR 100815401B1 KR 1020070120059 A KR1020070120059 A KR 1020070120059A KR 20070120059 A KR20070120059 A KR 20070120059A KR 100815401 B1 KR100815401 B1 KR 100815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manhole frame
repair
weight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0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영
지연호
Original Assignee
이윤영
지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영, 지연호 filed Critical 이윤영
Priority to KR1020070120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5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04B16/0675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16/0691Polyamides; Polyar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4Pigments;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72Repairing or restoring existing buildings or building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보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맨홀틀의 설치시 지그를 이용하여 노면에 맞게 높이조절과 수평조절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 신속한 양생이 가능한 보수 마감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보수시간을 단축시킨 맨홀보수공법과 이에 사용되는 지그 및 보수 마감 콘크리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보수할 맨홀틀(10) 주변을 일정범위 제거하고 맨홀틀(10)을 들어낸 후 제거된 부분을 깨끗이 씻어내는 단계와;
새로운 맨홀의 내부에 청구항 4의 압박봉(30)을 위치시킨 후 날개몸체(32)를 돌려 길이를 신장시킴으로써 상기 밀착발(35)이 맨홀틀(10) 내측면에 강하게 압박하여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청구항 4의 지그 본체(31)의 중앙부에 형성된 나사축(23)을 상기 수평바(20a)(20b)의 중앙부에 형성된 축공(28)에 관통삽입시킨 후 그 말단부에 인상구(38)를 조여 상기 맨홀틀(10)을 들어올려 수평바(20a)(20b)의 저면에 강하게 밀착시켜 일체화하는 단계와;
상기 수평바(20a)(20b)를 이용하여 맨홀틀(10)을 들어올려 상기 제거된 맨홀 설치부에서 내려놓고 정확한 맨홀틀(10) 설치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수평바(20a)(20b)를 노면에 재치시키는 단계와;
초속경 시멘트 17∼21중량%와 모래 18∼23중량%와 자갈 38∼42중량%와 물 12∼16중량%와 색소 1∼3중량%와 화이버(40) 1∼3중량%를 혼합하여 된 보수 마감 콘 크리트를 충진시키는 단계와;
충진된 보수 마감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상기 인상구(38)를 풀어 지지바를 맨홀틀(10)로부터 분리시키고 또 압박봉(30)의 날개몸체(32)를 역으로 회전시켜 압박을 풀어 맨홀틀(10)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은, 수평바를 맨홀틀의 상부에 밀착 결합시켜 이를 노면에 재치시킨 상태에서 보수 마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자연적으로 노면과 일치하게 맨홀틀의 높이 및 수평을 동시에 조절하여 맞출 수 있으므로 보수공사기 매우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속경 시멘트가 급속 양생이 가능하므로 신속한 보수공사가 이루어지면서도 초속경 시멘트에 혼합된 섬유사에 의해 크랙이 가는 것이 방지되므로 보수부의 수명이 길게 연장되는 장점이 있다.
맨홀, 보수공법, 지그, 콘크리트

Description

콘크리트 조성물{Composition of concrete}
본 발명은 맨홀보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맨홀틀의 설치시 지그를 이용하여 노면에 맞게 높이조절과 수평조절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 신속한 양생이 가능한 보수 마감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보수시간을 단축시킨 맨홀보수공법과 이에 사용되는 지그 및 보수 마감 콘크리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맨홀보수작업을 실시할 때 맨홀틀 주변 노면을 일정범위 절단하거나 깨내어 제거하고 기존에 설치된 맨홀틀을 분리시킨 후 새로운 맨홀틀을 교체시키고, 내부에 거푸집을 설치한 후 맨홀틀 하부 및 둘레에 포장재를 충진시키거나 보수 마감 콘크리트(초속경 시멘트)를 충진 및 양생시켜 마감한다.
그런데, 교체되는 맨홀틀은 설치시 그 상단을 노면의 높이에 맞추어야 하는데, 맨홀틀이 안착되는 콘크리트 맨홀이 너무 낮거나, 맨홀의 상면이 파손되거나 또는 높이를 상승시키기 위해 조적한 벽돌이 파손내지 손상되어 표면이 불규칙하게 됨에 따라 맨홀틀을 균형잡아 안착시키기기가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맨홀틀의 하부에 압축스프링을 설치하고, 이를 볼트체결로 압축시키거나 풀어 높이조절을 하는 별도의 높이조절장치를 사용하거나, 맨홀틀 의 하부에 벽돌이나 돌맹이와 같은 것을 괴어 높이조절을 함과 동시에 노면과 맨홀틀의 높이를 일치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방법으로는 노면에 맞춰 맨홀틀의 상단을 일치시키는 높이조절과 동시에 수평을 잡는 작업이 매우 번거럽고 난해한 단점이 있으며, 그로 인하여 작업시간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높이조절장치를 이용하여 맨홀틀의 높이 및 수평을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높이차가 작은 경우에는 사용할 수가 없고 높이차가 클 경우에 적용할 수가 있으며, 또 이러한 높이조절장치는 다수의 스프링, 볼트 및 몸체 등 고가의 부품들이 도로 포장재 또는 콘크리트에 묻히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맨홀 보수시공 후 경화 완료시점 까지 보호 휀스를 설치해 두어야 하기 때문에 휀스 철거까지의 보수공사 시간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수 마감 콘크리트가 경화될 때, 일반 콘크리트보다는 신속히 경화됨에 따른 크랙이 발생되게 되고, 또 발생된 크랙으로 수분이 침투되어 보수부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맨홀틀의 설치시 노면에 맞게 맨홀틀의 높이 및 수평을 동시에 조절하여 맞출 수 있는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급속 양생이 가능토록하여 신속한 보수공사가 이루어지면서도 크랙이 가지 않도록 하여 보수부의 수명이 길게 연장되는 급속 보수 마감 콘크리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맨홀보수공법은,
보수할 맨홀틀 주변을 일정범위 제거하고 맨홀틀을 들어낸 후 제거된 부분을 깨끗이 씻어내는 단계와;
새로운 맨홀틀의 내부에 청구항 4의 압박봉을 위치시킨 후 날개몸체를 돌려 길이를 신장시킴으로써 상기 밀착발이 맨홀틀 내측면에 강하게 압박하여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청구항 4의 지그 본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나사축을 상기 수평바의 중앙부에 형성된 축공에 관통삽입시킨 후 그 말단부에 인상구를 조여 상기 맨홀틀을 들어올려 수평바의 저면에 강하게 밀착시켜 일체화하는 단계와;
상기 수평바를 이용하여 맨홀틀을 들어올려 상기 제거된 맨홀 설치부에서 내려놓고 정확한 맨홀틀 설치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수평바를 노면에 재치시키는 단계와;
초속경 시멘트 17∼21중량%와 모래 18∼23중량%와 자갈 38∼42중량%와 물 12∼16중량%와 색소 1∼3중량%와 화이버 1∼3중량%를 혼합하여 된 보수 마감 콘크리트를 충진시키는 단계와;
충진된 보수 마감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상기 인상구를 풀어 지지바를 맨홀틀로부터 분리시키고 또 압박봉의 날개몸체를 역으로 회전시켜 압박을 풀어 맨홀틀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초속경 시멘트 17∼21중량%와, 모래 18∼23중량%와, 자갈 38∼42중량%와, 물 12∼16중량%와, 색소 1∼3중량%와, 화이버 1∼3중량%를 혼합하여 보수 마감 콘크리트를 형성하여 이를 이루어진다.
또한 맨홀틀을 설치하는 지그는, 맨홀틀의 상부에 밀착되며 양단부가 노면에 재치되어 수평과 설치높이를 동시에 맞추어주는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에 체결되며, 맨홀틀을 상기 수평바의 저면에 밀착되게 매다는 결속수단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바는 십자형상을 이루거나 양단부에 직교되게 연결되는 보강바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속수단은 철선, 즉, 반생이나 와이어이며, 상기 맨홀틀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져 상기 수평바에 결속된다.
또한 상기 결속수단은 복수개의 몸체로 이루어져 연결되며, 그 연결부가 나사결합되어 나사회전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며 말단부에 맨홀틀의 내벽에 밀착되는 밀착발을 구비한 압박봉과,
상기 압박봉의 중앙부에서 상향 연결구성된 나사축과,
상기 수평바의 중앙부에 축공을 형성하여 상기 나사축을 관통시키고, 관통된 나사축 상단에 체결되어 나사조임력에 의해 압박봉을 수평바로 들어올리는 인상구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평바를 맨홀틀의 상부에 밀착 결합 시켜 이를 노면에 재치시킨 상태에서 보수 마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자연적으로 노면과 일치하게 맨홀틀의 높이 및 수평을 동시에 조절하여 맞출 수 있으므로 보수공사기 매우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속경 시멘트가 급속 양생이 가능하므로 신속한 보수공사가 이루어지면서도 초속경 시멘트에 혼합된 섬유사에 의해 크랙이 가는 것이 방지되므로 보수부의 수명이 길게 연장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이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1b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보수용 지그 사시도이고, 도 2a,2b,2c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보수용 지그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a,3b,3c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보수용 지그의 압박봉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보수공법 완료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보수용 지그 다른 실시예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맨호보수공법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보수 마감 콘크리트(C)와 맨홀틀(10)을 정확하게 설치하기 위한 지그가 구비되어야 한다.
보수 마감 콘크리트는, 초속경 시멘트 17∼21중량%와, 모래 18∼23중량%와, 자갈 38∼42중량%와, 물 12∼16중량%와, 색소 1∼3중량%와, 화이버(40) 1∼3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보수 마감 콘크리트(C)의 가장 큰 특징은, 화이버(40)가 포함된다는 것이다. 화이버(40)는 콘크리트(C)의 각 부분에 분포되어 서로를 결속시켜주는 보강기능을 하기 때문에 크랙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화이버(40)는 길이를 갖는 가는 선형 부재로서 그 재질은 내부식성이고, 인장강도가 높으며, 내열성인 재질이면 어떠한 재질도 가능하다. 현재 보수 마감 콘크리트(C)의 실험에 사용된 화이버는 현제 시판되고 있는 아미콘 화이버(제품이름)를 사용하였다.
혼합방법은 자갈 38∼42중량%와 모래 18∼23중량%와, 색소 1∼3중량%와, 화이버(40) 1∼3중량%를 혼합하고, 이에 물 12∼16중량%와 지연제를 혼합한 후 초속경 시멘트 17∼21중량%를 혼합한다. 지연제는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보수공사가 신속하게 진행될 때에는 혼합할 필요가 있으나 현장 여건상 어느정도 지체될 것을 예상한다면 반드시 지연제를 혼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연제를 혼합하더라도 혼합된 보수 마감 콘크리트(C)는 대략 20분내에 시공 완료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 맨호보수공법에 사용되는 지그는 기본적으로, 맨홀틀(10)의 상부에 밀착되며 양단부가 노면에 재치되어 수평과 설치높이를 동시에 맞추어주는 수평바(20a)(20b)와, 상기 수평바(20a)(20b)에 체결되며, 맨홀틀(10)을 상기 수평바(20a)(20b)의 저면에 밀착되게 매다는 결속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수평바(20a)(20b)는 도 1a와 같이 열십자 형상을 가진 것과, 도 1b와 같이 양단부에 직교되게 연결되는 보조대(21)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I'형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열십자형상의 수평바(20a)는 맨홀틀(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장점이 있는 반면, 맨홀보수작업에 간섭을 줄 우려가 예상된다.
상기 'I'형 수평바(20b)는 열십자형 수평바(20a)에 비하여 간섭받는 부분이 줄어들 것이다.
한편, 수평바(20a)(20b)의 각 말단부에는 높이조절발(22)을 갖는다. 이 높이조절발(22)은 나사축(23) 하단에 발을 구비한 구조로써 상기 수평바(20a)(20b)의 말단에 나사공(24)을 형성하여 이에 나사결합시켜 필요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결속수단은, 맨홀틀(10)의 내부에 장치되어 맨홀틀(10) 내벽을 압박하여 일체화되는 압박봉(30)과, 상기 압박봉(30)을 수평바(20a)(20b)에 연결하여 맨홀틀(10)을 수평바(20a)(20b)에 밀착시켜 일체화하는 조임연결구(33)로 구성된다.
상기 압박봉(30)은 복수개의 몸체로 이루어져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체(31)와 그 양측에 결합되는 날개몸체(32)로 각각 구성하면서, 본체(31)와 날개몸체(32)의 사이를 나사결합에 의해 연결하는 조임조절부를 구성한 것이다.
상기 조임연결구(33)는 상기 본체 및 양측 날개 단부를 내부로 삽입시켜 내경에 형성된 암나사부(34a)로 상기 본체 및 양측 날개의 둘레에 형성된 수나사부(34b) 체결시키도록 하거나 또는 조임연결구(33) 양측을 수나사부(34b)로 형성하고, 상기 본체 및 날개몸체(32)의 단부의 내경에 암나사부(34a)를 형성하여 상기 본체 및 날개몸체(32)의 암나사부(34a)에 상기 조임연결구(33)의 수나사부(34b)를 나사체결하여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임연결구(33)의 정역 회전에 의해 상기 날개몸체(32)와 본체(21)의 거리가 가변되어 결국 전체적인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조임연결구(33)는 회전이 용이하도록 일측에 사각 또는 육각의 회전부가 형성되어 스패너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날개몸체(32)의 다른 일측 단부에는 맨홀틀(10) 내주면에 밀착되는 밀착발(35)이 형성되며, 상기 밀착발(35)은 맨홀틀(10) 내주면과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밀착면에 요철(36)이 형성되거나 맨홀틀(10) 내측하단부에 걸림되는 걸림턱(37)이 형성되어 있다.
구조를 좀더 단순화시키기 위해 상술한 것과는 달리 본체(31)의 양측에 설치된 날개몸체(32)를 개조하여 일측에 외팔형 날개몸체(32')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인상연결부는 상기 압박봉(30)의 중앙부에서 상향 연결구성된 나사축(25)과, 상기 수평바(20a)(20b)의 중앙부에 축공(28)을 형성하여 상기 나사축(25)을 관통시키고, 관통된 나사축(25) 상단에 체결되어 나사조임력에 의해 압박봉(30)을 수평바(20a)(20b)로 들어올리는 인상구(38)로 구성된다.
상기 인상구(38)는 너트로 구성되거나 또는 너트의 둘레에 회전시 조작의 신속 및 원활성을 위해 손잡이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을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은, 도 1에서와 같이 보수될 맨홀틀(10) 주변을 일정범위 제거하고 맨홀틀(10)을 들어낸 후 제거되어 노출된 지지부(주로 콘크리트맨홀의 상면을 말함)(M)를 깨끗이 씻어낸다.
새로운 맨홀의 내부에 압박봉(30)을 위치시킨 후 스패너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된 조임연결구(33)를 회전시켜 양측의 날개몸체(32)를 외측방향으로 돌출시켜 압박봉(30) 전체 길이를 신장시킨다. 상기 밀착발(35)이 맨홀틀(10) 내측면에 밀착된 후 상기 조임연결구(33)를 강하게 조여 상기 밀착발(35)이 맨홀틀(10) 내측면을 강하게 압박하여 밀착면의 마찰력을 높여줌으로써 큰힘이 가하여지더라도 밀착발(35)이 상하로 슬라이딩 되지 않도록 한다. 물론 상기 밀착발(35)의 밀착면 하단에 걸림턱(37)을 상기 맨홀틀(10)의 내측 하단에 걸어두면 적어도 상부로는 슬라이딩 이동이 절대로 발생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본체(31)의 중앙부에 형성된 나사축(25)을 상기 수평바(20a)(20b)의 중앙부에 형성된 축공(28)에 관통 삽입시킨 후 그 말단부에 인상구(38)를 체결하여 손잡이 또는 스패너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상기 인상구(38)가 나사축(25)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수평바(20a)(20b)에 밀착되면 상기 인상구(38)를 좀더 강하게 조여 상기 맨홀틀(10)을 당겨 수평바(20a)(20b)의 저면에 견고하게 밀착시켜 그 상태를 유지케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수평바(20a)(20b)를 들어올리면 맨홀틀(10)이 함께 들어올려지게 되며, 들어올려진 맨홀틀(10)을 보수를 위한 맨홀틀 설치부에서 내려놓는다. 수평바(20a)(20b)의 양단부가 노면 상부에 놓여지게 되면 결국 노면과 맨홀틀(10)의 높이가 일정해지게 됨은 물론이고, 도 4와 같이 노면과 맨홀틀(10)의 높 이가 자연적으로 노면과 나란해지게 된다. 만일 맨홀틀(10)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수평바(20a)(20b)의 말단부에 설치된 높이조절발을 회전시켜 그 높이를 조절하면 된다.
이 상태에서 정확한 맨홀틀(10)의 위치를 조절한 후 초속경 시멘트를 골재와 적당한 비율로 반죽하여 골재와 함께 제거된 지지부(M) 상부에 채워넣는다. 이때 기설치된 맨홀틀(10)의 높이와 교체될 맨홀틀(10)의 높이가 다르거나 또는 제거된 기 맨홀틀(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M)가 부실하여 이를 제거함에 따라 맨홀틀(10)의 하부에 공차가 발생될 경우에는 내부에 거푸집을 설치한 후 혼합된 보수 마감 콘크리트(C)를 충진시킨다.
보수 마감 콘크리트(C)가 양생 완료되면 상기 인상구(38)를 풀어 수평바(20a)(20b)를 맨홀틀(10)로부터 분리시키고 이이서 압박봉(30)의 일측 또는 양측 조임연결구(33)를 역으로 회전시켜 압박을 풀어 맨홀틀(10)로부터 분리시키면 시공이 완료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맨홀 보수용 지그의 구조도이고, 도 7a,7b,7c는 도 6의 맨홀보수용 지그에 맨홀틀이 결합되는 순서도이고, 도 8은 도 6의 맨홀보수용 지그에 맨홀틀을 결합하는 다른 실시예도이며, 도 9는 도 6의 맨홀보수용 지그를 이용한 맨홀보수 공정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수단은 다양한 방법을 활용 할 수 있으나,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철선(S), 즉, 반생이나 와이어 등을 사용할 수 있 다.
상기 철선(S)은 상기 맨홀틀(10)의 플랜지(12)에 형성된 구멍(14)에 끼워져 상기 수평바(20a)(20b)에 결속되는데, 도 8과 같이 단순한 철선(S)구조를 갖거나 또는 도 7a,7b,7c에서와 같이 일측단에 상기 구멍(14)에 걸림되는 걸림부(S1)가 형성된 구조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을 이용한 맨홀 보수 공법은 기존 설치된 맨홀틀(10) 주변을 일정범위 제거하고 맨홀틀(10)을 들어낸 후 제거된 부분을 깨끗이 씻어낸다.
새로운 맨홀틀(10)의 상부에 상기 수평바(20a)(20b)를 재치시킨 후 상기 체결부재, 즉, 철선(S)을 맨홀틀(10) 플랜지(12)부에 형성된 구멍(14)으로 꿰어 걸림부(S1)가 상기 구멍(14)에 걸린 상태에서 철선(S)을 수평바(20a)(20b)에 묶어 결합시킨다. 결합시 상기 맨홀틀(10)과 수평바(20a)(20b)가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단순히 상기 철선(S)의 일단을 플랜지(12)부의 구멍(14)에 꿰고, 이를 플랜지 외측으로 감아 맨홀틀(1)을 상기 수평바(20a)(20b)에 묶어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수평바(20a)(20b)를 이용하여 맨홀틀(10)을 들어올려 상기 지지부(M)에 내려놓는다. 수평바(20a)(20b)의 양단부가 노면 상부에 놓여지게 되면 결국 노면과 맨홀틀(10)의 높이가 일정해지게 됨은 물론이고 노면과 맨홀틀(10)의 높이가 나란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정확한 맨홀틀(10)의 위치를 조절한 후 초속경 시멘트를 골재와 반죽하여 보수부, 즉, 맨홀 지지부(M)에 채워넣는다. 이때 기존의 맨홀틀(10)의 높이와 교체될 맨홀틀(10)의 높이가 다르거나 또는 제거된 기존 맨홀틀(10)의 하부를 지지하던 지지부(M)가 부실하여 이를 제거함에 따라 맨홀틀(10)의 하부에 공간이 발생될 경우에는 내부에 거푸집을 설치한 후 보수 마감 콘크리트(C)를 충진시킨다.
보수 마감 콘크리트(C)가 양생 완료되면 상기 철선(S)을 절단하여 수평바(20a)(20b)를 맨홀틀(10)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런데, 철선(S)이 맨홀틀(10)의 외부로 연결되게 되면 철선(S)을 절단하더라도 그 절단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철선(S)을 연결시 플랜지(12)부의 구멍(14)에 철선(S)을 꿴 후 그 단부를 플랜지(12) 하부를 통해 맨홀틀(10)의 내측으로 인출하여 수평바(20a)(20b)에 결속시키는 방법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9 참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철선(S)을 결속하면 철선(S)의 제거시 그 절단부가 맨홀틀(10)의 내측 하단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철선(S)이 노출되지 않아 깔끔한 마무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맨홀 보수용 지그의 구조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의 구조가 중앙 상부에 나사축(25)을 가진 본체(41)의 양측에 날개몸체(40)가 힌지(43)에 의해 상하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양측 각 날개몸체(40)의 말단부에는 밀착발(35)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밀착발의 외측면에는 맨홀틀(10)의 내측 하단부에 걸림되는 걸림턱(47)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본체(41)에 날개몸체(40)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43)는 상측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날개몸체(40)와 본체(41)의 접면부가 직각을 이루기 때문에 상방향으로는 절첩이 이루어지지만 하부로는 절첩되지 않는다. 즉, 양측 날개몸체가 180°이상으로는 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날개몸체(42)의 길이를 맨홀틀(10)의 사이즈에 맞게 조절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단지 날개몸체(42)의 길이를 충분히 주고 맨홀틀(10)에 결합시 양 날개몸체(42)를 접어 그 말단부의 밀착발(35)에 형성된 걸림턱(47)을 맨홀틀(10)의 하단부에 위치시킨 후 힌지(43)를 펴게 되면 양 날개몸체(42)가 펴지다가 지지발(35)의 외측면에 맨홀틀(10)내측면에 닿게 되면 더이상 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날개몸체(42)를 완전히 폈을 때의 길이 보다 작은 내경 사이즈를 가지고 있는 맨홀틀(10)은 얼마든지 길이조절 없이 사용할 수가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본체(41) 상부의 나사축(25)을 수평바(20a)(20b)의 축공(28)에 삽입한 후 나사축(25)의 상단에 인상구(38)를 체결하여 조이게 되면 상기 양측 날개몸체(42)가 맨홀틀(10)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특징에 의해 지그를 맨홀틀(10)에 결합시키는 작업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수평바(20a)(20b)를 들어올려 맨홀틀(10)을 보수될 지지부(M)에 안착시킨 후 상기 전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보수 마감 콘크리트(C)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맨홀을 보수하면 된다.
도 1a,1b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보수용 지그 사시도.
도 2a,2b,2c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보수용 지그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a,3b,3c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보수용 지그의 압박봉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보수공법 완료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보수용 지그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맨홀 보수용 지그의 구조도.
도 7a,7b,7c는 도 6의 맨홀보수용 지그에 맨홀틀이 결합되는 순서도.
도 8은 도 6의 맨홀보수용 지그에 맨홀틀을 결합하는 다른 실시예도.
도 9는 도 6의 맨홀보수용 지그를 이용한 맨홀보수 공정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맨홀 보수용 지그의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맨홀틀 12 - 플랜지 14 - 구멍
20a,20b - 수평바 22 - 높이조절발 23 - 나사축
24 - 나사공 30 - 압박봉 31 - 본체
32 - 날개몸체 33,33' - 조임연결구 34a,34b - 암,수나사부
35 - 밀착발 36 - 요철 37 - 걸림턱
38 - 축공 39 - 인상구 40 - 화이버
S - 철선

Claims (1)

  1. 자갈 38∼42중량%와 모래 18∼23중량%와, 색소 1∼3중량%와, 화이버(40) 1∼3중량%를 혼합하고, 이에 물 12∼16중량%를 혼합한 후 초속경 시멘트 17∼21중량%를 혼합하여 된 콘크리트 조성물.
KR1020070120059A 2007-11-23 2007-11-23 콘크리트 조성물 KR100815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059A KR100815401B1 (ko) 2007-11-23 2007-11-23 콘크리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059A KR100815401B1 (ko) 2007-11-23 2007-11-23 콘크리트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110A Division KR100885659B1 (ko) 2007-02-06 2007-02-06 맨홀 보수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5401B1 true KR100815401B1 (ko) 2008-03-20

Family

ID=39411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059A KR100815401B1 (ko) 2007-11-23 2007-11-23 콘크리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54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003B1 (ko) 2011-04-20 2011-09-22 태평림건설 주식회사 맨홀의 보수장치
KR101077127B1 (ko) 2011-07-29 2011-10-26 태평림건설 주식회사 맨홀하우징 설치를 위한 맨홀하우징지지장치
KR101591802B1 (ko) * 2015-03-31 2016-02-04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개량형 맨홀구조를 이용한 도로의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674B1 (ko) * 2005-05-30 2006-08-25 김천수 고강도 콘크리트블록용 조성물
KR20070001355A (ko) * 2005-06-29 2007-01-04 한국토지공사 스칼렛 파우다를 사용한 기능성 콘크리트 인터로킹 블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674B1 (ko) * 2005-05-30 2006-08-25 김천수 고강도 콘크리트블록용 조성물
KR20070001355A (ko) * 2005-06-29 2007-01-04 한국토지공사 스칼렛 파우다를 사용한 기능성 콘크리트 인터로킹 블록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003B1 (ko) 2011-04-20 2011-09-22 태평림건설 주식회사 맨홀의 보수장치
KR101077127B1 (ko) 2011-07-29 2011-10-26 태평림건설 주식회사 맨홀하우징 설치를 위한 맨홀하우징지지장치
KR101591802B1 (ko) * 2015-03-31 2016-02-04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개량형 맨홀구조를 이용한 도로의 시공방법
WO2016159512A1 (ko) * 2015-03-31 2016-10-06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개량형 맨홀구조를 이용한 도로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5659B1 (ko) 맨홀 보수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지그
CN107030874B (zh) 用于边坡加固的预制格构梁及其制作方法和施工方法
CA2880553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fting and leveling a concrete panel
KR10154498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포장공법
KR100869969B1 (ko) 맨홀인상보수공법
KR100965933B1 (ko) 맨홀철개 높이조절장치 및 맨홀 보수공법
CN105064548A (zh) 免拆除构造柱模壳的墙体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815401B1 (ko) 콘크리트 조성물
KR101067003B1 (ko) 맨홀의 보수장치
CN113605771B (zh) 一种预应力装配式框架结构体系
JP2008127897A (ja) 型枠保持具及びこの型枠保持具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並びにこの構築方法により構築されるコンクリート構造物
CN113482007B (zh) 一种腰梁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US20040079859A1 (en) Concrete panel with gripping ribs and method of use
KR20100114436A (ko) 맨홀철개 높이조절장치 및 맨홀 보수공법
EP2851468A1 (en) Mounting assembly for a rail
CN209099538U (zh) 一种抗裂性强的建筑防水结构
US7010891B1 (en) Haunch assembly for supporting a concrete slab and method of making the haunch assembly
KR101083626B1 (ko) 표면매립 긴장공법의 구조물 충전방법
CN209114658U (zh) 一种用于楼梯间的预制混凝土隔墙板结构
CN102191844B (zh) 一种地板安装方法及配件和工具
KR101544985B1 (ko) 소켓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포장공법
CN110821174A (zh) 调模预埋件及铝合金模板斜撑装置
CN113529955B (zh) 拉锁式墙体部品的安装方法
KR101119233B1 (ko) 맨홀 인상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보수공법
CN212866852U (zh) 墙体模板底部封堵装置及模板支撑体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