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324B1 - Camera module focusing device and focusing method - Google Patents
Camera module focusing device and focusing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15324B1 KR100815324B1 KR1020060069770A KR20060069770A KR100815324B1 KR 100815324 B1 KR100815324 B1 KR 100815324B1 KR 1020060069770 A KR1020060069770 A KR 1020060069770A KR 20060069770 A KR20060069770 A KR 20060069770A KR 100815324 B1 KR100815324 B1 KR 1008153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era module
- focusing
- knob
- chart
- lens hold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532345 Rallus aquatic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30—Collimator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카메라모듈 포커싱장치는 카메라모듈(10)의 포커스를 조정하기 위한 포커싱유닛(150)과, 카메라모듈(10)의 렌즈홀더의 외주면을 단단히 계지하고 렌즈홀더를 돌리기 위한 노브장치(170)를 포함한다. 포커싱유닛(150)은 카메라모듈(10)로 빛을 보내는 백라이트(151)와, 카메라모듈(10)의 포커스 조정의 기준이 되는 조정용 패턴(159,160)들이 형성된 유리챠트(152)를 가지며, 노브장치(170)는 회전드럼(172)과, 회전드럼(172)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노브장착판(173)과, 노브장착판(173)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노브(180)를 갖고 있다. The camera module focu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ocusing unit 150 for adjusting the focus of the camera module 10 and a knob device 170 for firmly lock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holder of the camera module 10 and turning the lens holder. It includes. The focusing unit 150 has a backlight 151 which sends light to the camera module 10, and a glass chart 152 on which adjustment patterns 159 and 160 as a reference for focus adjustment of the camera module 10 are formed. 170 includes a rotating drum 172, a knob mounting plate 173 fixed to the rotating drum 172, and a knob 180 detachably mounted to the knob mounting plate 173.
카메라, 모듈, 포커스, 포커싱, 유리, 챠트, 조명, 백라이트, 노브, 콜리메이트렌즈, 촬상소자, 렌즈홀더 Camera, Module, Focus, Focusing, Glass, Chart, Lighting, Backlight, Knob, Collimated Lens, Imaging Device, Lens Holde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 포커싱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camera module focu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챠트에 개략적인 평면도;FIG.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chart of FIG. 1;
도 3은 도 1의 노브장치의 일부 구성의 개략적인 상세도;FIG. 3 is a schematic detail view of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knob device of FIG. 1; FIG.
도 4는 일반적인 카메라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 및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general camera module; And
도 5는 종래기술의 포커싱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ocusing apparatus of the prior ar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0 : 포커싱장치 110 : 고정기둥100: focusing device 110: fixed pillar
120 : 상하이동기둥 121 : 수레일부120: Shanghai East pillar 121: wheel
122 : 선반부 130 : 위치결정장치122: shelf 130: positioning device
131 : 좌우이동판 132 : 암레일부131: left and right moving plate 132: arm rail portion
133 : 안내레일부 134 : 높이조절나사부133: guide rail portion 134: height adjustment screw portion
150 : 포커싱유닛 151 : 백라이트150: focusing unit 151: backlight
152 : 챠트 153 : 유닛장착장치152: chart 153: unit mounting apparatus
156 : 안내부 170 : 노브장치156: guide 170: knob
171 : 하우징 172 : 회전드럼171 housing 172: rotating drum
173 : 노브장착판 174 : 램프173: knob mounting plate 174: lamp
180 : 노브 185 : 백색조명180: knob 185: white light
190 : 카메라모듈장착장치 191 : 고정블럭190: Camera module mounting device 191: Fixed block
192 : 핀블럭지그 193 : 기준핀192: Pin Block Zig 193: Reference Pin
본 발명은 포커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커스 조정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카메라모듈 포커싱장치 및 포커싱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cu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mera module focusing apparatus and a focusing method that can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focus adjustment.
카메라모듈은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4의 카메라모듈은 일본공개특허 제2004-357102호의 「소형카메라모듈 및 자동포커스 조정장치」에 제시되어 있는 것으로, 기판(1)에 고체촬상소자(2)가 탑재되고 그 외주를 덮도록 베이스(3)가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3)의 상부에는 통부(3a)의 중심축은 고체촬상소자(2)의 수광부 중심과 맞도록 베이스(3)가 위치 결정되어 있다. 베이스(3)에는 광학필터(4)가 접착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3)의 통부(3a)의 외주에는 나사부(3b)가 중심축에 대하여 동축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체촬상소자(2)에 결상시키기 위한 렌즈(5)는 렌즈홀더(6)의 리브(6b) 안에 편입되고, 렌즈캡(7)에 의해 유지되며, 렌 즈(5)의 광축에 대하여 동축으로 형성되어 있다. 나사부(3b)에 나사부(6a)를 나사결합시키는 것으로 렌즈(5)의 광축과 고체촬상소자(2)의 수광부 중심이 일치하게 위치한다. 렌즈홀더(6)를 나사결합 이동시키면서 포커스 조정을 행하여 적정한 위치에서 접착 고정되어 있다.The camera module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 4, for example. The camera module of FIG. 4 is shown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357102, "Small Camera Module and Automatic Focus Adjusting Device," and the base 1 is mounted on the substrate 1 so as to cover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3) is arranged. In the upper part of the base 3, the base 3 is positioned so that the center axis of the
카메라모듈의 포커스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로 본 특허에서 제시한 개략적인 구성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A schematic configuration shown in this patent as a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focus of the camera module is shown in FIG. 5.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 조정장치는 카메라모듈(40)을 싣고 영상을 부각하기 위한 받침대(41)가 있고, 상부에는 지주(42)에 의해 받침대(41)와 수평을 지키고 유지되어 있는 챠트판(43)이 있다. 받침대(41)의 소정 위치에는 동력전달용기어(44)가 유지되어 있고, 모터부(45)와 연결되어 있다. 적정한 거리를 두고 컨트롤박스(46)와 디스플레이(47)가 배치되어 있다. 컨트롤박스(46)는 전기적인 동작, 화상데이터를 관리 제어하고 있다. 컨트롤박스(46)는 배선(48)에 따라서 받침대(41), 지주(42), 챠트판(43), 모터부(45)와 결합되어 있다. 디스플레이(47)도 배선(49)에 의해 컨트롤박스(46)와 결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focus adjusting apparatus includes a
받침대(41)의 커넥터(41a)를 누르고 카메라모듈(40)의 단자부분을 끼워 넣고, 카메라모듈(40)을 받침대(41)의 접합부(41b)에 위치 결정 고정하고, 카메라모듈(40)의 렌즈홀더(40a)와 기어차(44)를 끼운다. 컨트롤박스(46)의 동작에 따라 챠트판(43)의 화상이 디스플레이(47)에 투영된다. 컨트롤박스(46)는 자동 포커스 조정의 조정 시스템도 구비하고 있고, 모터부(45)도 자동 제어되고 있어 기어차(44)를 동작시키고 적정한 동력이나 적정한 동작 범위량이 렌즈홀더(40a)에 전해진다. 렌즈홀더(40a)의 회전에 의해 렌즈의 위치가 이동하고 포커스 조정이 이루어진다. 포커스 조정은 디스플레이(47)에 미리 기준이 되는 화상데이터를 표시하고, 포커스 조정 중의 화상데이터와 비교하여 합격여부를 판단한 후 기어차(44)의 동작이 종료된다.Press the
상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포커스 조정장치는 렌즈홀더의 회전이 기어차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어차와의 맞물림이 불확실한 경우 포커싱의 신뢰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렌즈홀더를 미세하게 회전할 수 없어 포커싱의 정밀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focusing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ince the rotation of the lens holder is made by the gear car, when the engagement with the gear car is uncertain, the focusing reliability may be deteriorated, and the lens holder may not be rotated finely. There was a fear that the focusing accuracy would be reduced.
또한, 챠트판이 투명하지 않아 카메라모듈이 촬영하는 챠트판의 영상이 높은 수준의 선명도를 갖기 어려웠고 따라서 정밀도가 높은 포커싱을 기대하기 어려웠다.In addition, since the chart plate was not transparent, the image of the chart board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was difficult to have a high level of sharpness, and therefore, high precision focusing was difficult to expect.
또한, 조정 대상인 카메라모듈과 챠트판 사이의 거리를 줄일 수 있는 수단이 제시되지 않아 실거리를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장치가 커질 수 밖에 없었다.In addition, since the means for reduc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amera module and the chart plate to be adjusted is not proposed, the actual distance must be applied, and thus the device was large.
또한, 카메라모듈이 촬영한 영상과 기준영상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이를 판독하여 합격여부를 결정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작업수준이 달라지기 때문에 동일한 수준의 제품을 얻기 어려웠다.In addition, since the image taken by the camera module and the reference image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it must be read and determined to pass, the work takes a long time and the level of work depends on the skill of the operator. It was difficult.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노브가 카메라모듈의 렌즈홀더의 외주면을 꽉 계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렌즈홀더를 정밀하고 확실하게 회전시켜 포커싱의 정밀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포커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otate the lens holder precisely and reliably by rotating the knob tight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holder of the camera module,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of focusing. It is to provide a focusing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reliabilit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명재질의 유리챠트를 사용함으로써 카메라모듈이 촬영하는 영상의 선명도를 높여 포커싱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포커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cusing apparatus capable of increasing the accuracy of focusing by increasing the sharpness of an image photographed by a camera module by using a glass chart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챠트와 카메라모듈 사이에 콜리메이트렌즈를 배치함으로써 조정 대상인 카메라모듈과 챠트 사이의 거리를 줄일 수 있는 포커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cus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amera module and the chart to be adjusted by disposing a collimated lens between the chart and the camera modu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커싱 작업의 결과를 외부 표시수단인 램프를 사용하여 표시함으로써 작업 시간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동일한 수준의 포커싱을 이룰 수 있는 포커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cusing apparatus capable of achieving the same level of focusing regardless of the operator's skill by reducing the work time by displaying the result of the focusing operation using a lamp as an external display mean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 포커싱 장치를 사용하여 카메라모듈의 포커스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포커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cusing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focus of the camera module using the above focusing devic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의 포커스를 조정하기 위한 포커싱유닛과, 카메라모듈의 렌즈홀더의 외주면을 단단히 계지하고 렌즈홀더를 돌리기 위한 노브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포커싱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cusing unit for adjusting the focus of the camera module, and a knob device for firmly lock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ns holder of the camera module and turning the lens holder It provides a camera module focusing device.
본 발명의 포커싱장치는 포커싱유닛이 카메라모듈로 빛을 보내는 조명과, 카메라모듈의 포커스 조정의 기준이 되는 조정용 패턴들이 형성된 투명재질의 챠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cu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hart of the transparent material is formed by the focusing unit is a light for sending light to the camera module, the adjustment pattern is a reference of the focus adjustment of the camera module.
여기서, 조명은 백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투명재질의 챠트는 유리챠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조정용 패턴들은 카메라모듈의 포커스 조정에 필요한 패턴들과 카메라모듈의 촬상소자의 가로선이나 세로선의 불량을 조정하는 데 필요한 패턴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illumin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klight, the chart of the transparent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lass chart, the adjustment pattern is a pattern necessary for adjusting the focus of the camera module and the defect of the horizontal line or vertical line of the image pickup device of the camera module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patterns required to.
또한, 본 발명의 포커싱장치는 노브장치가 회전드럼과, 회전드럼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노브장착판과, 그리고 노브장착판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cu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knob device includes a rotating drum, a knob mounting plate fixed to the rotating drum, and a knob detachably mounted to the knob mounting plate.
여기서, 회전드럼은 외부의 구동장치에서 회전력을 얻어 축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노브는 자성을 이용하여 노브장착판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노브장착판은 노브의 장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위치결정돌기를 가지며, 노브는 위치결정돌기와 대응하는 위치결정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노브는 렌즈홀더의 외주면을 단단히 계지하기 위한 다수의 계지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노브장착판은 지지축에 의해 회전드럼에 설치되고, 지지축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rotating dru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xis rotation is possible by obtaining a rotational force from the external drive device, the knob is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to the knob mounting plate using a magnetic. In addition, the knob mounting plate has a positioning protrusion for determining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knob, the knob has a position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ing protrusion, the knob is a plurality of knobs for firmly lock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ns holder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locking projection. In addition, the knob mounting plate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drum by a support shaf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support shaft.
또한, 본 발명의 포커싱장치는 포커싱유닛이 상하이동, 좌우이동, 전후이동, 축회전, 또는 경사이동이 카메라모듈에 맞게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cu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cusing unit is automatically made in accordance with the camera module, such as moving in the vertical movement, horizontal movement, front and rear movement, shaft rotation, or inclination.
또한, 본 발명의 포커싱장치는 포커싱유닛과 카메라모듈 사이에 위치하게 설치되는 초점을 조정하기 위한 콜리메이트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cu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llimated lens for adjusting the focus installed to be located between the focusing unit and the camera module.
또한, 본 발명의 포커싱장치는 카메라모듈의 화소수에 따른 로딩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카메라모듈을 추가로 조명하기 위한 백색조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cu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hite light for further illuminating the camera module in order to increase the loading spe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ixels of the camera module.
또한, 본 발명의 포커싱장치는 카메라모듈을 장착하기 위한 카메라모듈장착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cu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amera module mounting apparatus for mounting the camera module.
여기서, 카메라모듈장착장치는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블럭과 고정블럭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카메라모듈을 고정하는 핀블럭지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고정블럭은 핀블럭지그의 교체시 기준이 되는 기준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camera module mounting apparatu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ixed block fixed to the base and a detachable mounted on the fixed block and has a pin block jig for fixing the camera module, the fixed block is a reference that is a reference when replacing the pin block jig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pin.
본 발명은 또한 (A) 카메라모듈에 맞는 핀블럭지그를 선택하여 고정블럭에 설치하는 단계와, (B) 카메라모듈에 맞는 챠트를 선택하여 포커싱유닛에 장착하는 단계와, (C) 카메라모듈에 맞는 노브를 선택하여 노브장치에 장착하는 단계와, (D)노브가 카메라모듈의 렌즈홀더의 외주면을 꽉 잡는 단계와, (E) 포커싱유닛을 사용하여 노브로 렌즈홀더를 돌리면서 카메라모듈을 포커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포커싱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the steps of (A) selecting a pin block jig suitable for the camera module and installing it on the fixed block, (B) selecting a chart suitable for the camera module and mounting it on the focusing unit, and (C) the camera module. Selecting the correct knob to attach it to the knob device, (D) Knob to hol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ns holder of the camera module, (E) Focusing the camera module while turning the lens holder with the knob using the focusing unit It provides a camera module focus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본 발명의 포커싱방법은 (A)단계, (B)단계, 및 (C)단계가 수동으로 수행되고, (D)단계와 (E)단계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cu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steps (A), (B), and (C) are manually performed, and steps (D) and (E) are automatically performed.
또한, 포커싱유닛은 카메라모듈에 맞게 상하이동, 좌우이동, 전후이동, 축회 전, 또는 경사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cus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of the shank, left and right, forward and backward, before and after the rotation, or inclined movement in accordance with the camera modul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 포커싱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camera module focu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 포커싱장치(100)는 고정기둥(110), 상하이동기둥(120), 위치결정장치(130), 포커싱유닛(150), 노브장치(170), 카메라모듈장착장치(190)를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amera module focu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고정기둥(110)은 카메라모듈장착장치(190)를 제외한 다른 부품들을 전체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설치부(111)와 기둥설치부(112)를 갖고 있다. 베이스설치부(111)는 베이스(101)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기둥설치부(112)에는 상하이동기둥(120)이 설치된다.The fixing
상하이동기둥(120)은 고정기둥(110)과 카메라모듈장착장치(190)를 제외한 다른 부품들을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수레일부(121)와 선반부(122)를 갖고 있다. 수레일부(121)는 상하이동기둥(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위치결정장치(130)의 좌우이동을 안내하고, 선반부(122)에는 노브장치(170)가 고정되게 설치된다.The
위치결정장치(130)는 포커싱유닛(15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좌우이동판(131), 암레일부(132), 안내레일부(133)를 갖고 있다. 암레일부(132)는 좌우이동판(131)의 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수레일부(12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안내레일부(133)는 포커싱유닛(15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고 좌우이동 판(131)의 하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안내레일부(133)는 좌우이동판(131)에 축결합되어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우이동판(131)의 위쪽에는 좌우이동판(13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나사부(134)가 설치된다.The
포커싱유닛(150)은 조명수단인 백라이트(151), 포커싱 비교수단인 챠트(152), 그리고 이들이 장착되는 유닛장착장치(153)를 갖고 있다. 유닛장착장치(153)는 백라이트(151)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154)과 챠트(152)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155)을 상하로 분리시켜 별도로 구비하고 있으며, 백라이트(151)와 챠트(152)를 수납공간(154,155)으로부터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유닛장착장치(153)는 상면에 안내부(156)가 설치된다. 이 안내부(156)는 안내레일부(133)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닛장착장치(153)의 전후 이동을 돕는다. 안내부(156)는 안내레일부(133)의 앞뒤에 설치된 앞뒤멈춤턱(157,158)에 의해 전후 이동의 범위가 결정된다.The focusing
챠트(152)는 백라이트(151)에서 나오는 빛의 조도를 높이고 카메라모듈의 촬상소자가 촬영하는 챠트(152)의 영상을 선명하게 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유리 등의 투명한 재료로 제작한다. 챠트(152)는 제작이 편리하도록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모양으로 제작하였으나 원형, 타원형 등 설계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챠트(152)에는, 도 2에 상세하게 도시한 것처럼, 포커스를 조정하는 데 필요한 조정패턴(159)들과 카메라모듈(10)에 구비된 촬상소자(미도시)의 가로선이나 세로선의 불량을 조정하는 데 필요한 조정패턴(160)들이 인쇄 등의 방식으로 표시되 어 있다.The
또한, 챠트(152)는 포커싱 조정되는 카메라모듈(10)의 사양에 따라 적합한 새로운 챠트로 교체될 수 있고, 소정의 각도로 경사각이 조정되도록 설치된다.In addition, the
노브장치(170)는 노브(180)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71), 회전드럼(172), 노브장착판(173)을 갖고 있다. 하우징(171)은 상하이동기둥(120)의 선반부(122)의 하면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앞쪽에는 작업자가 포커싱 결과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다수의 램프(174)가 설치된다. 다수의 램프(174)는 가령, 빨강색, 파랑색, 노랑색 등의 램프들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포커싱 결과가 합격일 경우에는 파랑색 램프가, 불합격일 경우에는 빨강색 램프가, 그리고 불확실한 경우에는 노랑색 램프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켜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 회전드럼(172)은 하우징(171)의 내벽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노브장착판(173)은 회전드럼(172)에 다수의 지지축(175)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어 회전드럼(172)과 같이 회전하게 된다. 회전드럼(172)은 하우징(171)의 외측에 설치된 모터 등의 구동장치(176)와 벨트(177) 등의 연결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구동장치(176)로부터 회전력을 얻게 된다. 하우징(171)에는 선반부(122)와 회전드럼(17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콜리메이트렌즈(178)가 설치되며, 이 콜리메이트렌즈(178)로 인해 백라이트(151)에서 오는 빛이 맺히는 위치가 조정되어 카메라모듈(10)과 챠트(152) 사이의 거리를 실거리가 아닌 근거리로 적용할 수 있다.The
노브장착판(173)은 자성을 띠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도 3에 상세하게 도시한 것처럼, 중앙에 하나의 노브장착홈(173a)이 형성되고 그 주변에 일정 간격을 두 고 다수의 지지축설치공(173b)이 형성된다. 노브장착홈(173a)의 중앙에는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공(173c)이 형성되고 개방공(173c)의 주변에 노브(180)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돌기(173d)가 형성된다. 지지축설치공(173b)은 위쪽 직경이 아래쪽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노브장착판(173)이 지지축(175)의 확장된 단부에 장착되지만,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가령 노브(180)가 카메라모듈(10)의 렌즈홀더(미도시)를 잡기 위해 하강하다가 렌즈홀더와 부딪히는 경우 노브장착판(173)이 지지축(175)에 대해 위쪽으로 살짝 이동하면서 부딪힐 때 발생하는 충격을 없애주어 카메라모듈(10)의 손상을 막아 준다.The
노브(180)는 노브장착홈(173a)에 맞게 설치되며 노브장착판(173)의 자성에 의해 별도의 장착수단없이 장착되도록 철류로 제작된다. 노브(180)의 중앙에는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공(181)이 형성되고 그 주변에 위치결정돌기(173d)가 삽입되는 위치결정공(182)이 형성된다. 또한, 노브(180)의 하단에는 테두리를 따라 카메라모듈의 원통형 렌즈홀더(미도시)를 단단히 계지하기 위한 다수의 계지돌기(183)가 형성된다.The
또한, 노브장치(170)에는 카메라모듈(10)을 조명하는 백색조명(185)이 설치되어 있어 카메라모듈(10)의 화소수에 따른 로딩속도를 개선시킨다. 다시 말해서, 동일한 조도하에서는 화소수가 높은 카메라모듈(10)이 화소수가 낮은 카메라모듈(10) 보다 로딩속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는 데, 이때 백색조명(185)을 사용하여 조도를 높여줌으로써 화소수가 높은 카메라모듈(10)의 로딩속도를 충분하게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카메라모듈장착장치(190)는 포커스 조정 대상인 카메라모듈(10)을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블럭(191)과 핀블럭지그(192)를 갖고 있다. 고정블럭(191)은 노브장치(170)와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베이스(101)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핀블럭지그(192)이 장착 기준이 되는 기준핀(193)이 설치된다. 핀블럭지그(192)는 고정블럭(191) 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양한 사양의 카메라모듈(10)에 맞는 핀블럭지그(192)가 고정블럭(191)에 교체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블럭(191)에 설치된 기준핀(193)이 매 핀블럭지그(192)의 설치 기준이 되어준다.The camera module mounting apparatus 190 is for mounting the
다음, 상술한 구성을 갖는 포커싱장치를 사용하여 카메라모듈을 포커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Next, a process of focusing the camera module using the focusing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조정 대상인 카메라모듈(10) 사양에 맞는 핀블럭지그(192)를 선택하여 고정블럭(191)에 설치한다.First, the operator manually selects the
다음,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카메라모듈(10)에 맞는 챠트(152)를 선택하여 포커싱유닛(150)의 유닛장착장치(153)에 장착한다.Next, the operator manually selects a
다음,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카메라모듈(10)의 렌즈홀더에 맞는 노브(180)를 노브장착판(173)에 장착한다.Next, the operator manually mounts the
이후, 작업자가 포커싱장치(100)에 전원을 켜 작동시키면 상하이동기둥(120)이 노브(180)가 카메라모듈(10)의 렌즈홀더를 계지할 때까지 자동으로 하강하게 되고, 노브(180)에 설치된 계지돌기(183)가 렌즈홀더의 외주면을 꽉 계지하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operator turns on and operates the focusing apparatus 100, the
이 상태에서 백라이트(151)에서 나온 빛이 챠트(152)와 콜리메이트렌즈(178)를 거쳐 카메라모듈(10)로 들어가게 되고, 카메라모듈(10)에 내장된 촬상소자(미도 시)가 촬영한 챠트(152)에 형성된 조정패턴(159,160)의 영상과 기준영상을 비교하면서 포커스를 조정하게 된다. 이때, 촬영된 영상과 기준영상의 비교를 통해 제어부(미도시)가 제어하는 구동장치(176)의 구동을 제어하게 되고, 노브(180)는 구동장치(176)로부터 얻은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드럼(172)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노브(180)의 회전에 의해 카메라모듈(10)의 렌즈홀더가 회전하면서 위아래로 올라가거나 내려가면서 포커스를 조정하게 된다. 또한, 포커스 조정이 수행될 결과는 노브장치(170)의 외부에 설치된 램프(174)에 의해 알려진다.In this state, the light emitted from the
여기서, 백라이트(151)와 챠트(152)로 구성된 포커싱유닛(150)은 좌우로 이동되거나, 전후로 이동되거나, 또는 축 회전하거나 하면서 챠트(152)의 교체에 따른 카메라모듈(10)과의 위치 오차를 자동으로 조정하게 된다. 때에 따라서는 챠트(152)의 경사조정도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모듈(10)의 화소수가 커지는 경우 로딩속도가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백색조명(185)이 자동으로 켜지게 된다.Here, the focusing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의 포커싱장치와 포커싱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The focusing apparatus and focu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change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카메라모듈용 포커싱장치에 따르면, 투명한 재질의 챠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카메라모듈이 챠트에 형성된 다양한 조정패턴들에 대한 선명한 영상을 확보할 수 있어 포커즈 조정 작업의 신뢰도가 높아진다.According to the focusing device for the camera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hart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camera module can secure a clear image of various adjustment patterns formed on the chart,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focus adjustment operation.
또한, 챠트와 카메라모듈 사이에 콜리메이트렌즈가 설치되기 때문에 챠트와 카메라모듈 사이의 거리를 근거리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llimated lens is installed between the chart and the camera module, the distance between the chart and the camera module can be made short.
또한, 노브에 다수의 계지돌기가 설치되고 이 계지돌기가 카메라모듈의 렌즈홀더를 확실하게 계지하기 때문에 렌즈홀더 회전시 미끄러지거나 헛도는 등의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are installed in the knob, and the locking projections securely lock the lens holder of the camera module, there is no error such as slipping or failing when the lens holder is rotated.
또한, 포커싱 작업 결과가 노브장치에 설치된 다수의 램프에 의해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작업 결과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ocusing operation result can be confirmed by a plurality of lamps installed in the knob device, the operator can easily know the operation result.
또한, 노브가 자성을 이용하여 노브장착판에 탈부착되기 때문에 카메라모듈에 맞는 노브를 교체하기가 매우 쉽다.In addition, it is very easy to replace the knob for the camera module because the knob is detached to the knob mounting plate using magnetic.
또한, 카메라모듈에 맞는 핀블럭지그가 기준핀에 의해 안내되어 고정블럭에 설치되기 때문에 카메라모듈의 사양에 맞는 핀블럭지그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in block jig suitable for the camera module is guided by the reference pin and installed in the fixed block, the pin block jig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camera module can be easily replaced.
또한, 카메라모듈에 맞는 챠트가 새롭게 교체되는 경우 포커싱유닛이 좌우, 전후, 또는 회전 운동을 통해 카메라모듈과의 위치관계가 자동으로 맞춰진다.In addition, when a chart suitable for the camera module is newly replaced, the focusing unit automatically adjusts the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the camera module through left, right, front, or rotational movements.
또한, 카메라모듈 근처에 백색조명이 추가로 설치되기 때문에 화소수가 높은 카메라모듈이 조정 대상이 되더라고 로딩속도가 저하되지 않는다.In addition, since white light is additionally installed near the camera module, even if the camera module having a high pixel count becomes an adjustment target, the loading speed does not decrease.
또한, 노브장착판이 지지축에 대해 상하로 움직임이 가능하기 때문에 노브가 카메라모듈을 계지할 때 생기는 충격이 제거되어 카메라모듈의 손상이 없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knob mounting plate can be mov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haft, the shock generated when the knob latches the camera module is eliminated,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camera module.
Claims (2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9770A KR100815324B1 (en) | 2006-07-25 | 2006-07-25 | Camera module focusing device and focusing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9770A KR100815324B1 (en) | 2006-07-25 | 2006-07-25 | Camera module focusing device and focusing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9944A KR20080009944A (en) | 2008-01-30 |
KR100815324B1 true KR100815324B1 (en) | 2008-03-19 |
Family
ID=39222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69770A KR100815324B1 (en) | 2006-07-25 | 2006-07-25 | Camera module focusing device and focusing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1532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7680A (en) * | 2016-01-04 | 2016-01-20 | 황영수 | Apparatus for Determining Position of Lens in Camera modul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78849A (en) * | 1999-08-03 | 1999-11-05 | 강인수 | Apparatus for driving a focus of lens |
KR200416116Y1 (en) | 2006-02-28 | 2006-05-11 | 주식회사 지엔오 | Apparatus for focusing of a camera module |
KR20070089292A (en) * | 2006-02-28 | 2007-08-31 | 주식회사 지엔오 | Focusing device and focusing method of camera module |
-
2006
- 2006-07-25 KR KR1020060069770A patent/KR10081532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78849A (en) * | 1999-08-03 | 1999-11-05 | 강인수 | Apparatus for driving a focus of lens |
KR200416116Y1 (en) | 2006-02-28 | 2006-05-11 | 주식회사 지엔오 | Apparatus for focusing of a camera module |
KR20070089292A (en) * | 2006-02-28 | 2007-08-31 | 주식회사 지엔오 | Focusing device and focusing method of camera modul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7680A (en) * | 2016-01-04 | 2016-01-20 | 황영수 | Apparatus for Determining Position of Lens in Camera module |
KR102085261B1 (en) * | 2016-01-04 | 2020-03-05 | 황영수 | Apparatus for Determining Position of Lens in Camera modu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9944A (en) | 2008-0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036932B (en) | OLED panel testing system and testing method | |
CN101852370B (en) | Illumination device for visual inspection and visual inspection apparatus | |
USRE34615E (en) | Video probe aligning of object to be acted upon | |
KR20130028362A (en) | Apparatus for camera module continous test and focus adjustment having position detecting function | |
KR20180126106A (en) | Position alignment device for camera module inspection apparatus | |
CN108152005B (en) | Automatic get and put measuring device | |
CN101067711A (en) | Liquid crystal projecting device | |
KR101373829B1 (en) | High quality camera module assembly apparatus for efficiently testing and compensating the focus and axis of high angle lens for vehicle camera and assembly method using the same | |
KR100870152B1 (en) | Automatic change device of probe unit for LC inspection equipment | |
KR100815324B1 (en) | Camera module focusing device and focusing method | |
CN101755229B (en) | Apparatus for adjusting the degree of freedom using sensor in assembling optical device | |
KR20080009943A (en) | Camera module foreign material inspection device and inspection method | |
CN113438396A (en) | Shooting focusing device and method for cultural relic digital photogrammetry | |
KR101180345B1 (en) | Apparatus for adjusting lens focus of camera module | |
KR100744604B1 (en) | Camera module focusing device and focusing method | |
JP2006030256A (en) | Focusing adjustment method and focusing adjustment device for imaging apparatus | |
JP5397889B2 (en) | Cup mounting device | |
JP4459847B2 (en) | Component mounting head and component mounting method | |
CN212207807U (en) | Focusing equipment and focusing module thereof | |
KR20160007680A (en) | Apparatus for Determining Position of Lens in Camera module | |
JP2005024996A (en) | Device and method for lens alignment | |
KR101974541B1 (en) | Inspection apparatus for lens | |
JP3854805B2 (en) | Lamp unit for liquid crystal projector | |
KR100533065B1 (en) | Apparatus for adjusting lcd for projection television | |
KR101470878B1 (en) | Inspection equipment and method for return spring of auto clutc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9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3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