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4592B1 - 배경 화상을 설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표시 방법 및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배경 화상을 설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표시 방법 및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4592B1
KR100814592B1 KR1020067003881A KR20067003881A KR100814592B1 KR 100814592 B1 KR100814592 B1 KR 100814592B1 KR 1020067003881 A KR1020067003881 A KR 1020067003881A KR 20067003881 A KR20067003881 A KR 20067003881A KR 100814592 B1 KR100814592 B1 KR 100814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ing apparatus
ru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3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7455A (ko
Inventor
켄이치 타마키
타케오 아사와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03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4592B1/ko
Publication of KR20060037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배경 화상과 함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상기 표시 수단에 화상을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 사전설정된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화상에 기초하여 배경 화상을 설정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Figure R1020067003881
배경 화상, 정보 처리 장치, 동화상, 대기 화면

Description

배경 화상을 설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표시 방법 및 프로그램{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SETTING BACKGROUND IMAG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예컨대, 사용자가 사용하는 중에는 화면의 배경에 각종 정지 화상 또는 모양(소위 배경 화상)이 표시되고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정보 처리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대기 화면(소위 스크린세이버의 화면)이 표시되고 있었다. 또, 스크린세이버에 있어서는, 단순한 모양 외에, 여러 가지 정보, 예컨대, 메일의 수신 상황, 정보 처리 장치의 상태 등을 표시하는 기능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3 참조).
그러나, 종래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서는, 사용자가 예컨대, 배경의 정지 화상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그 퍼스널 컴퓨터에 사전에 보존된 화상 파일을 참조하여, 배경 화상으로서 설정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또, 사용자가 독자적인 화상을 배경 화상으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그 화상을 저장한 화상 파일을 그 퍼스널 컴퓨터가 참조할 수 있는 상태로 설정(예컨대, 퍼스널 컴퓨터의 사전설정된 폴더에 등록)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스크린세이버의 설정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사전에 등록된 정형 패턴의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이 주류였다. 또한, 스크린세이버의 커스터마이즈로서는, 예컨대 현재의 데스크탑 화면을 스냅샷으로 잡고서, 그 화상을 스크린세이버 화면으로 하는 기능이 제공되고 있었던 정도였다. 그러나, 정보 처리 장치의 배경 화면 등을 간이하게 갱신하여, 사용자에게 신선한 분위기로 사용하게 하는 배려는 없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0-6664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2-55929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2001-337663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과제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독자의 화상을 간이하게 생성하여, 배경 화면으로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의 수단을 채용했다. 즉, 본 발명은 배경 화상과 함께 정보를 표시하는, 그와 같은 표시 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상기 표시 수단이 화상을 표시하도록 하는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 사전설정된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화상에 기초하여 배경 화상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정보 처리 장치에 따르면, 사전설정된 조작, 예컨대, 사용자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에의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에, 표시 장치에 표시된 화상에 기초하여 배경 화상이 설정된다. 그 결과, 사용자 조작에 의해 빈번하게 배경 화상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표시 수단이 동화상을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사전설정된 조작에 따라 상기 동화상에 포함된 특정 시점의 정지 화상을 배경 화상으로 설정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하면, 동화상에 포함된 특정 시점의 화상이 배경 화상으로 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로 표시된 대기 화면에 상기 동화상을 표시시키고,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대기 화면 표시 중에 상기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정지 화상을 배경 화상으로 설정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기 화면에 대하여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에, 그 대기 화면에 표시되는 동화상에 기초하여 배경 화상이 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정지 화상을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상기 유지된 정지 화상으로부터 동화상을 생성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동화상을 구성하고, 사전설정된 시점에서 표시되는 정지 화상을 기억하는 화상 축적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축적 수단에 기억된 정지 화상을 상기 배경 화상으로 설정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화상에 포함된 정지 화상이 화상 축적 수단에 기억되고, 상기 조작이 검출된 시점에서 기억되어 있던 정지 화상이 배경 화상으로 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동화상을 생성하는 순서 정보를 참조하는 수단과,
상기 동화상을 구성하며, 사전설정된 시점에서 표시되는 정지 화상을 생성하는 순서 정보를 기억하는 축적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순서 정보에 따라 상기 정지 화상을 생성하여 배경 화상으로 설정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지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순서 정보가 기억되어, 상기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에 그 순서 정보에 따라 정지 화상이 생성되어, 배경 화상으로 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화상을 표시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하여 그 다른 정보 처리 장치가 표시시키는 화상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의하면,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연계하여 배경 화상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그 밖의 장치, 기계 등이 상기 어느 한 처리를 실행하는 방법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그 밖의 장치, 기계 등에, 이상의 어느 한 기능, 단계 또는 처리를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그와 같은 프로그램을 컴퓨터 그 밖의 장치, 기계 등이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한 것이라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이 정보 처리 장치를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로 구성하는 경우의 외관도이다.
도 3은 화상 데이터베이스(3)에 저장되는 레코드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화상 합성 룰 데이터베이스(8)에 저장되는 레코드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 플로 1이다.
도 6은 이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 플로 2이다.
도 7은 이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 플로 3이다.
도 8은 이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화면예 1이다.
도 9는 이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화면예 2이다.
도 10은 이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화면예 3이다.
도 11은 이 정보 처리 장치의 배경 화상 설정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1이다.
도 12는 이 정보 처리 장치의 배경 화상 설정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2이다.
도 13은 배경 화상 설정 처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1이다.
도 14는 배경 화상 설정 처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2이다.
도 15는 대기 화면에서 표시되는 동화상으로부터, 특정한 화상(또는 그 화상을 합성하는 룰)을 화상 축적부(2)에 보존하는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동화상 스트림에 대하여 합성 화상 축적부(2)에 화상을 축적하는 처리(도 11의 단계 2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대기 화면에서 표시되는 동화상으로부터, 특정한 화상(또는 그 화상을 합성하는 룰)을 화상 축적부(2)에 보존하는 순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3대의 정보 처리 장치가 동기하여 대기 화면(스크린세이버)을 표시 하는 예이다.
도 19는 중앙의 정보 처리 장치의 화면에서 발생한 물결이 파문으로서 전파되어, 좌우의 정보 저리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예이다.
도 20은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설정하는 설정 순서를 도시하는 처리 흐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경 화상 설정 처리의 흐름도 1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경 화상 설정 처리의 흐름도 2이다.
도 23은 변형예에 있어서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설정하는 설정 순서를 도시하는 처리 흐름이다.
도 24는 복수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한 배경 화상의 설정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1이다.
도 25는 복수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한 배경 화상의 설정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2이다.
도 26은 복수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한 배경 화상의 설정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3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를 설명한다.
《기능 개요》
본 정보 처리 장치는, 표시 장치에 표시되어 있는 영상, 예컨대, 사용자 조작 대기의 대기 화면(소위 스크린세이버의 화상)이 사전설정된 시점에서 특정되어(예컨대, 스크린세이버가 출력하는 동화상 중, 1 프레임에 대응하는 화상이 특정되어), 배경 화상으로 설정된다. 특정한 시점은 예컨대,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스크린세이버 표시 중에, 사용자가 그 정보 처리 장치에의 조작을 시작함으로써, 스크린세이버의 표시가 중지된 시점이다.
스크린세이버가 표시하는 영상으로서는 이하의 여러 가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1) 스크린세이버가 표시하는 영상의 색, 모양 등을 사전설정된 규칙(룰이라고도 함)에 따라 시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영상을 생성한다.
(2) 스크린세이버가 표시하는 영상에 대한 시점, 예컨대, 풍경에 대한 시점, 화면 내의 오브젝트 등을 사전설정된 규칙에 따라 시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영상을 생성한다. 예컨대, 엔진이 점화하거나 로고가 뜨거나 한다.
(3) 사용자가 정보 처리 장치에 과거에 입력한 조작 이력에 대응하여 영상을 변환하는 규칙을 준비해 둔다. 그리고, 실제의 조작 이력에 기초하여, 적용하여야 할 규칙을 구하여, 영상을 생성한다. 여기서, 규칙은 예컨대, 화면 상에서 사용자가 마우스로 클릭한 위치 근방의 색, 휘도 등을 사전설정된 시간 경과로 소정량 변화시키는 등의 지정이다. 또한, 마우스에 의한 클릭 간격에 따라, 영상 중의 모양을 변화시키더라도 좋다. 또, 키보드의 키 입력에 대응시켜 영상의 표시 속도, 변 화의 비율을 제어하더라도 좋다.
(4)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되는 센서의 출력에 대응하는 규칙을 준비해 두고서, 센서의 출력에 규칙을 적용하여 영상을 생성한다. 여기서, 규칙은 예컨대,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된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입력 음량에 따라 화면의 줌을 변경하는 것 등이다. 또한, 대인 센서의 반응에 대응하여 화면의 모양을 변경하더라도 좋다. 또, 방의 조명의 조도에 따라 화면의 색조를 변경하더라도 좋다.
(5) 정보 처리 장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직접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카메라의 영상을 스크린세이버 동작 중에 표시한다.
(6) 정보 처리 장치의 내부 상태, 예컨대, CPU 등의 처리 속도, 실행 효율, 메모리 점유율, 실행 프로세스수 등에 따라 미리 적용하는 규칙을 준비해 두고서, 그 규칙에 따라, 영상을 변화시킨다.
(7)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연계하여, 화상을 생성하더라도 좋다. 연계 순서는 예컨대, 복수 대의 정보 처리 장치가 동기하여 동일한 영상을 표시한다, 복수 대의 정보 처리 장치에 순차 영상의 변화를 전파시켜, 시간 지연을 동반하여 표시시키는 것 등이다.
(8) 이상의 (1)∼(7)을 조합하여 적용하더라도 좋다.
이러한 기능에 의해, 사용자는 간이하게 배경 화면을 갱신할 수 있다. 한편, 본 기능에 의해 생성된 배경 화면의 저장처(예컨대, 파일명 또는 폴더명)로부터 본 기능에 의해 생성된 배경 화면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스크린세이버를 기동할 때에, 배경 화면이 본 기능에 의해 생성된 것인 경우, 본 기능 에 따른 스크린세이버를 기동하고, 배경 화면이 본 기능에 의해 생성된 것이 아닌 경우, 종래의 스크린세이버(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것 또는 정보 처리 장치에 미리 구비된 것)를 기동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를 도 1∼도 17의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시스템 구성>
도 1은 이 정보 처리 장치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정보 처리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컴퓨터 본체(10)와, 컴퓨터 본체(10)에 접속되는 모니터 등의 표시 장치(7)와, 컴퓨터 본체(10)에 입력되는 데이터의 인터페이스인 입력부(4)와,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6)(도 1에는 키보드/마우스 입력이라고 기재)와, 다른 정보 처리 장치 등으로의 데이터의 출력 인터페이스(9)를 갖고 있다.
또, 컴퓨터 본체(10)는, 화상을 저장하는 화상 데이터베이스(3)와, 화상을 합성하는 룰을 저장하는 화상 합성 룰 데이터베이스(8)와, 화상 합성 룰 데이터베이스(8)의 룰을 참조하여 화상 데이터베이스(3)에 저장된 화상 등을 기초로 새롭게 화상을 합성하는 화상 합성부(1)와, 화상 합성부(1)에 의해 합성된 화상을 축적하는 합성 화상 축적부(2)와, 화상 합성부(1)에서 합성된 화상, 합성 화상 축적부(2)에 축적된 화상, 또는 입력 장치(6)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표시 장치에 출력하는 표시 장치 컨트롤부(5)를 갖고 있다.
또, 입력부(4)에는 카메라 또는 LAN을 통한 접속처로부터 영상을 입력하는 영상 인터페이스(4A), 각종 센서 또는 LAN을 통한 접속처로부터 센서 검출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4B) 및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6)가 접속되어 있다. 이하,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한다.
(화상 합성부 1)
화상 합성부(1)는 입력부(4)를 통해, 각종 센서로부터의 데이터, 카메라로부터의 화상, LAN을 경유한 접속처로부터의 화상, 키보드로부터의 데이터, 또는 마우스로부터의 데이터 등을 받아들인다. 그리고, 화상 합성부(1)는 화상 합성 룰 데이터베이스(8)로부터 룰을 독출하여, 그 룰과, 상기 입력부(4)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화상을 합성한다.
그 때, 입력부(4)로부터 입력된 카메라로부터의 화상 외에, 화상 데이터베이스(3)에 저장된 화상에 기초하여 화상을 합성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화상 합성부(1)는 합성된 화상을 표시 장치 컨트롤부(5) 또는 합성 화상 축적부(2)에 송신한다.
(합성 화상 축적부 2)
합성 화상 축적부(2)는 화상 합성부(1)에서 합성한 화상을 보존한다. 한편, 합성 화상 축적부(2)는 화상을 직접 보존하는 대신에, 그 화상을 합성하기 위한 룰을 보존하더라도 좋다. 화상 대신에 룰을 보존한 경우에는, 합성 화상 축적부(2)는 표시 장치 컨트롤부(5)에 출력할 때에, 화상 합성부(1)를 불러내어, 화상을 합성한 뒤에, 그 화상을 표시 장치 컨트롤부(5)에 출력하면 된다.
(화상 데이터베이스 3)
화상 데이터베이스(3)는 화상을 합성하는 데 필요한 화상 데이터를 보존한다. 또는, 화상 데이터베이스(3)는 카메라 등으로 촬영한 화상 데이터(동화상, 정지 화상 어느 것이라도 좋음)를 일시적으로 보존한다.
(입력부 4)
입력부(4)에는 카메라 등으로 촬영한 외부 환경의 화상 데이터, LAN을 통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의 카메라 등으로 촬영한 외부 환경의 화상 데이터, 각종 센서로부터의 검출 데이터, 키보드/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등이 입력된다.
(표시 장치 컨트롤부 5)
표시 장치 컨트롤부(5)는 본 정보 처리 장치가 사용자 조작을 기다리고 있는 대기 상태인지, 사용자가 조작 중인 조작 상태인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가 대기 상태인지, 조작 상태인지에 따라, 표시 장치 컨트롤부(5)는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1) 대기 상태에서는, 표시 장치 컨트롤부(5)는 이하의 처리를 실시한다. 즉, 표시 장치 컨트롤부(5)는 입력부(4)를 통해 입력 장치(6)를 감시하고, 사용자 입력(키보드/마우스 등으로부터의 입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사용자 입력이 있었던 경우는 표시 장치 컨트롤부(5)는 표시 장치(7)의 표시를 사용자 조작 화면으로 전환한다. 그 경우, 표시 장치 컨트롤부(5)는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된 화상을, 표시 장치(7)에 배경 화상으로서 표시한다.
(2) 사용자 조작 상태에서는, 표시 장치 컨트롤부(5)는 이하의 처리를 실시한다. 즉, 표시 장치 컨트롤부(5)는 입력부(4)를 통해 입력 장치(4)를 감시하여, 사용자 입력이 없는 기간을 측정한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이 없는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어느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표시 장치 컨트롤부(5)는 표시 장치(7)의 표시를 대기 화면(화상 합성부(1)에서 합성된 화상, 카메라로부터의 화상 등이 표시됨)으로 전환한다.
(화상 합성 룰 데이터베이스 8)
화상 합성 룰 데이터베이스(8)는 화상을 합성하는 데 필요한 룰을 보존한다.
도 2는 이 정보 처리 장치를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로 구성하는 경우의 외관도이다. 도 2와 같이, 이 정보 처리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컴퓨터 본체(10)에, 카메라(11)(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단말 등), 키보드(6A), 마우스(6B) 및 모니터 등의 표시 장치(7)를 접속하여 구성된다. 컴퓨터 본체(10)에는 각종 인터페이스 카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은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데이터 구조>
도 3은 화상 데이터베이스(3)에 저장되는 레코드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표의 한개 행이 하나의 레코드에 해당한다. 도 3과 같이 화상 데이터베이스(3)의 레코드는 화상 ID, 화상 카테고리 ID, 동일 카테고리 내 표시순 및 화상 데이터의 각 필드를 갖고 있다. 이들 필드의 데이터에 의해, 하나의 레코드에 대해서 하나의 화상 데이터가 관리된다.
화상 ID는 이 화상 데이터베이스(3)에 있어서 각 화상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정보, 예컨대 통과 번호이다. 화상 카테고리 ID는 그 레코드에 의해서 관리되는 화상 데이터의 카테고리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화상 카테고리는 화상 데이터를, 예컨대, 다음과 같이 분류하는 정보이다.
(1) 색이 변화되는 경우에 이용하는 화상;
(2) 모양이 변화되는 경우에 이용하는 화상;
(3) 영상이 흐르는(풍경의 시간 변화, 시점의 시간 변화 등) 경우에 이용하는 화상;
(4) 화면 내의 오브젝트가 전환되는(엔진이 점화되거나, 로고가 뜨는 등) 경우에 이용하는 화상;
동일 카테고리 내 표시순은 하나의 화상 카테고리에 속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그 표시순을 정의하는 정보이다. 예컨대, 영상이 흐르는 경우에 이용하는 화상 카테고리에 속하는 화상 데이터를 동일 카테고리 내 표시순으로 표시함으로써, 표시 장치(7)에는 영상이 흐르도록 표시되게 된다.
화상 데이터의 필드에는,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파일의 존재 장소 및 파일명을 저장한다. 데이터 파일의 존재 장소는 예컨대, 그 파일이 저장되는 컴퓨터의 네트워크 상의 호스트명, 폴더명(디렉토리명) 등이다. 한편, 데이터 파일의 존재 장소가 그 정보 처리 주장치 자체인 경우에는 호스트명을 생략하면 된다. 또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파일의 존재 장소 및 파일명 대신에, 화상 데 이터 그 자체를 상기 화상 데이터의 필드에 저장하더라도 좋다.
도 4는 화상 합성 룰 데이터베이스(8)에 저장되는 레코드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상 합성 룰 데이터베이스(8)의 각 레코드는 각 화상 카테고리에 대하여, 사전설정된 적용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에 적용하여야 할 합성 룰을 정의한다. 합성 룰은 예컨대 「색이 변화되는 경우에 이용하는 화상군에 대하여, 바로 근처의 마우스 포인터 위치의 이력에 대응하여 화면의 색조를 바꾼다」고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룰의 예는 「색이 변화되는 경우에 이용하는 화상군에 대하여, 바로 근처의 키 입력의 이력에 대응하여 화면의 전환 속도를 변화시킨다」 등이다.
도 4에 도시한 표의 한개 행이 하나의 레코드에 해당한다. 도 4와 같이 화상 합성 룰 데이터베이스(8)의 레코드는 룰 ID, 화상 카테고리 ID, 룰 카테고리 ID, 합성 룰 및 적용 조건의 각 필드를 갖고 있다.
룰 ID는 화상 합성 룰 데이터베이스(8)에 있어서, 각 룰을 독특하게 식별하는 정보, 예컨대, 통과 번호이다. 화상 카테고리 ID는 그 레코드의 합성 룰을 적용하여야 할 화상 카테고리의 ID를 지정한다. 룰 카테고리 ID는 합성 룰의 카테고리를 나타낸다. 그리고, 합성 룰은 구체적인 합성 룰을 지정하는 정보이다.
예컨대, 화상 카테고리의 ID가 「색이 변화되는 경우에 이용하는 화상군」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 룰 카테고리 ID의 A1이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에 대응하여 화면의 색조가 변한다」고 하는 룰 카테고리를 나타낸다. 그리고, 합성 룰의 룰 1은 예컨대, 그 색조의 변경량을 지정한다. 따라서, 동일한 화상 카테고리에 동일한 룰 카테고리를 지니고, 다른 합성 룰을 지정하는 복수의 룰을 정의할 수 있다.
적용 조건은 그 합성 룰이 적용되는 조건을 지정한다. 예컨대, 마우스 입력에 대하여 적용되는 룰, 키보드 입력에 대하여 적용되는 룰, 마이크로폰 입력에 대하여 적용되는 룰, 대인 센서로부터의 입력에 대하여 적용되는 룰 등이다.
<데이터 플로>
도 5로부터 도 7에, 본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 플로를 도시한다. 도 5는 소정 시간마다 화상 합성부(1)가 스크린세이버의 화상을 생성하는 경우의 데이터 플로이다.
이 처리에서는 미리, 스크린세이버의 변화의 종류 및 스크린세이버가 전환되는 시간이 설정된다. 화상 합성부(1)는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화상 데이터베이스(3)로부터, 스크린세이버의 변화의 종류에 대응하여 순서가 매겨진 화상군 중에서 화상을 추출한다(화살표 100). 그리고, 화상 합성부(1)는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대응 화상 또는 화상의 ID를 보존한다.
도 6은 사용자의 키보드 조작 또는 마우스 조작의 이력에 따라, 화상 합성부(1)가 스크린세이버의 화상을 생성하는 경우의 데이터 플로이다.
이 처리에서는 화상 합성부(1)는, 대기 화면으로 천이하기 직전의 키보드(6A) 또는 마우스(6B) 입력으로부터의 입력을 받아들인다(화살표 101). 화상 합성부(1)는 키보드(6A) 또는 마우스(6B)로부터의 입력에 대응하는 화상 합성 룰을 화상 합성 룰 데이터베이스(8)로부터 추출한다(화살표 102). 이어서, 화상 합성부(1)는 화상 합성 룰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베이스(3)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화살표 103), 합성한다. 그리고, 화상 합성부(1)는 합성 화상 축적부(2)에, 합성한 화상 또는 그 화상을 합성했을 때의 룰을 보존한다.
이 처리의 예는 예컨대, 「최후의 사용자 조작이 마우스 클릭인 경우, 화상 데이터베이스(3)의 화상(1) 위의 화상(3)을 사용자가 마우스 클릭한 위치에서 합성한다」 등이다. 여기서, 「마우스 클릭한 위치에서 합성」이란, 표시 장치(7)의 화면 내에서 사용자가 마우스 클릭 위치에 대응하는 화상 1 상의 위치에, 화상 3의 원점을 합쳐서 합성하는 등의 처리를 말한다.
도 7은 영상 인터페이스(4A)로부터의 화상 데이터 또는 데이터 인터페이스(4B)로부터의 각종 센서(또는 LAN을 통한 접속처)의 데이터와, 화상 합성 룰 데이터베이스(8)의 룰에 의해 스크린세이버의 화상을 생성하는 경우의 데이터 플로이다.
이 처리에서는 예컨대, 화상 합성부(1)는 정보 처리 장치의 내부 상태(처리 속도, CPU 실행 효율, 메모리 점유율 등)를 나타내는 정보를 OS(Operating System) 등의 시스템 프로그램으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예컨대, 화상 합성부(1)는 대인 센서의 출력 등을 데이터 인터페이스(4B)로부터 받아들인다(화살표 104). 또한, 예컨대, 화상 합성부(1)는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을 영상 인터페이스(4A)로부터 받아들이더라도 좋다. 또한, 이들 데이터를 LAN을 통해 접속처의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받아들이더라도 좋다.
다음에, 화상 합성부(1)는 받아들인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으로부터의 데이터, 각종 센서로부터의 데이터, 화상 입력, LAN으로부터의 데이터 등)에 대응하는 화상 합성 룰을 화상 합성 룰 데이터베이스(8)로부터 추출한다(화살표 105). 화상 합성부(1)는 화상 합성 룰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베이스(3)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추출하여(화살표 106), 합성한다. 화상 합성부(1)는 합성 화상 축적부(2)에, 합성한 화상 또는 그 화상을 합성했을 때의 룰을 보존한다.
한편, 이하와 같은 처리에 의해, 카메라의 영상으로부터 사람의 움직임을 검출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화상 합성부(1)가 카메라 등으로부터의 입력 화상을 받아들여, 화상 데이터베이스(3)에 저장한다. 다음에, 화상 합성부(1)는 카메라 등으로부터의 입력 화상과, 화상 데이터베이스(3)에 저장되어 있는 카메라 등으로부터의 직전의 입력 화상을 비교한다. 이 비교에 있어서, 변화량이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 사람이 검출되었다고 하여 그 경우의 룰을 적용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상과 같은 순서로 합성된 화상은 화상 합성 축적부(2)에 보존되는 동시에, 스크린세이버의 대기 화면으로서 시간 경과에 따라 출력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정보 처리 장치의 사용을 시작했을 때에, 그 시점의 대기 화면(화상 합성 축적부(2)에 보존되어 있던 화상)이 취득되어, 데스크탑 화면의 배경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화면예>
도 8∼도 10에, 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화면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정보 처리 장치의 데스크탑 화면의 배경 화상이 마우스의 클릭한 위치에 의해서 변화되는 예이다. 이 예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는, 마우스의 클릭 위치의 이력을 기억해 두고서, 그 클릭 위치의 이력에 따라 시시각각 농담을 변화시키는 대기 화면(동화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정보 처리 장치의 사용을 시작한 시점에 있어서의 화면이 배경 화상으로서 설정된다.
도 9 및 도 10은 방의 조도의 변화에 따라 대기 화면을 변화시키는 예이다. 도 9 및 도 10은 일례로서 2장의 화면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정보 처리 장치는 예컨대, 화상 데이터베이스(3)에 순차 변화해 나가는 복수 장의 화상을 유지한다. 그리고, 본 정보 처리 장치는 예컨대, 방의 조도의 변화에 따라, 그와 같은 화상을 순차 표시하여, 대기 화면을 구성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정보 처리 장치의 사용을 시작한 시점에서의 화면이 배경 화상으로서 설정된다.
<배경 화상 설정 처리 플로>
도 11 및 도 12는 본 정보 처리 장치의 배경 화상 설정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정보 처리 장치는 우선, 화상 합성부(1)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베이스(3)의 데이터와, 입력부(4)로부터의 각종 입력 데이터를 기초로 화상을 합성한다(단계 1, 이하 S1과 같이 생략함).
이어서, 본 정보 처리 장치는 단계 1에서 합성한 화상 또는 그 화상의 합성 순서를 나타내는 룰을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한다(S2).
이어서, 본 정보 처리 장치는 표시 장치 컨트롤부(5)에 있어서 단계 1에서 합성한 화상을, 모니터 등 표시 장치(7)에 스크린세이버(대기 화면)로서 표시한다(S3).
이어서, 본 정보 처리 장치는 키보드 조작 또는 마우스 조작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4). 키보드 조작 및 마우스 조작의 쌍방의 어느 것도 없는 경우,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를 S1로 되돌린다. 한편, 키보드 조작 또는 마우스 조작 중 어느 것을 검출한 경우, 정보 처리 장치는 합성 화상 축적부(2)에 화상이 보존되어 있는지의 여부(룰이 보존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S5).
합성 화상 축적부(2)에, 화상이 보존되어 있지 않은 경우(룰이 보존되어 있는 경우), 본 정보 처리 장치는 합성 화상 축적부(2)에 있어서,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된 룰을 사용하여 화상을 합성한다. 또한, 본 정보 처리 장치는 합성한 화상을, 표시 장치 컨트롤부(5)에 있어서 모니터 등 표시 장치(7)에, 배경 화상(벽지)으로서 표시한다(S6). 그 후, 정보 처리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한 통상 처리를 시작한다(S8).
한편, 합성 화상 축적부(2)에, 화상이 보존되어 있는 경우, 본 정보 처리 장치는 표시 장치 컨트롤부(5)에 있어서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된 화상을 모니터 등 표시 장치(7)에 배경 화상(벽지)으로서 표시한다(S7). 그 후, 정보 처리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한 통상 처리를 시작한다(S8).
이어서, 정보 처리 장치는 소정 시간, 키보드 및 마우스 조작의 어느 것도 없었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S9). 소정 시간, 키보드 조작 및 마우스 조작의 쌍방의 어느 것도 없는 경우, 이어서, 정보 처리 장치는 배경 화상(벽지)이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된 화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0).
배경 화상(벽지)이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된 화상인 경우,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를 S1로 되돌린다. 한편, 배경 화상(벽지)이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된 화상이 아닌 경우, 정보 처리 장치는 디폴트의 대기 화면(스크린세이버)을 사용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다(S11).
디폴트의 대기 화면을 사용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는 경우, 본 정보 처리 장치는 그 설정에 따라, 종래의 대기 화면을 사용한다(S12). 한편, 디폴트의 대기 화면을 사용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를 S9로 되돌린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대기 화면은 표시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정보 처리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의 조작 이력, 각종 센서로부터의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화상 합성부(1)에 있어서 합성된 화상이 대기 화면으로서 표시 장치(7)에 표시된다. 그리고, 그와 같은 대기 화면 표시 중에 키보드(6A), 마우스(6B) 등에 의한 사용자의 조작이 검출된 시점에서 대기 화면에 표시 중인 화상(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된 화상)이 그대로, 데스크탑의 배경 화면으로 설정된다. 이 처리에서는, 대기 화면의 출력에 대하여 사용자 조작이 검출될 때마다 배경 화면이 갱신된다.
<배경 화상 설정 처리의 변형>
도 13 및 도 14에, 배경 화상 설정 처리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11 및 도 12의 처리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는 소정 시간, 키보드 조작 및 마우스 조작의 쌍방의 어느 것도 없는 경우, 정보 처리 장치는 배경 화상(벽지)이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된 화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했다. 한편, 도 13 및 도 14의 처리예에서는, 대기 화면에 대한 키보드 조작 또는 마우스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에, 배경 화상(벽지)은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된 화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도 13 및 도 14에 있어서의 그 밖의 순서는 도 11 및 도 12의 경우와 마찬가지다. 그래서, 동일한 처리 단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즉, 표 13의 단계 4에 있어서, 대기 화면 표시 중에 키보드 조작 또는 마우스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 정보 처리 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통상 조작 상태에서의 배경 화상(벽지)은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된 화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4A).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통상 조작 상태에서의 배경 화상(벽지)이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된 화상인 경우, 정보 처리 장치는 단계 5에서부터 단계 9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들 처리는 도 12의 경우와 마찬가지다.
한편, 사용자에 의한 통상 조작 상태에서의 배경 화상(벽지)이,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된 화상이 아닌 경우, 정보 처리 장치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디폴트 배경 화상(종래의 퍼스널 컴퓨터 등의 벽지)을 표시한다. 그 후, 정보 처리 장치는 단계 8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화상(룰) 축적 처리의 예>
도 15에, 대기 화면으로 나타내어지는 동화상으로부터, 특정한 화상(또는 그 화상을 합성하는 룰)을 화상 축적부(2)에 보존하는 순서를 도시한다. 도 15에서 동화상 스트림이란, 대기 화면에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동화상 데이터를 말한다.
이 동화상 스트림을 구성하는 프레임 데이터(예컨대, MPEG의 프레임)에는 특정한 프레임 데이터에 대하여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다. 도 15에서는 동화상 시작후 0초 시점의 프레임 데이터에 대한 시작 포인트, 약 10초 경과 시점의 프레임 데이터에 대한 플래그 1, 약 20초 경과 시점의 프레임 데이터에 대한 플래그 2, 약 35초 경과 시점의 프레임 데이터에 대한 종료 포인트 등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15의 예에서는 각 플래그에 대하여, 미리 정지 화상이 관련지어져 있다(예컨대, 플래그 1에 관련지어진 화상, 플래그 2에 관련지어진 화상, 종료 포인트에 관련지어진 화상 등).
도 16에, 도 15의 동화상 스트림에 대하여 합성 화상 축적부(2)에 화상을 축적하는 처리(도 11의 단계 2의 상세)를 도시한다. 한편, 도 16의 처리에서는 동화상 프레임에 대하여 플래그 1, 2 및 종료 포인트가 설정되는 경우의 처리가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플래그의 수가, 이 3 포인트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플래그가 1, 2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일반적으로 N개 설정하여도 좋음).
이 처리에서는, 화상 합성부(1)는 우선, 동화상의 스트림 상에 있어서의 현재의 재생 포인트가 종료 포인트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1). 현재의 재생 포인트가 종료 포인트인 경우에는 화상 합성부(1)는 현재의 재생 위치를 동화상 스트림의 시작 포인트로 되돌려, 처리를 스타트로 복귀시킨다.
한편, 현재의 재생 포인트가 종료 포인트가 아닌 경우에는, 화상 합성부(1)는 동화상의 스트림 상에 있어서의 현재의 재생 포인트가 플래그 2를 지났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2). 현재의 재생 포인트가 플래그 2를 지난 경우에는, 화상 합성부(1)는 합성 화상 축적부(2)에, 종료 포인트에 관련지어진 화상 데이터를 보존한다(S23). 그리고, 화상 합성부(1)는 처리를 스타트로 되돌린다. 다만, 화상 데이터를 직접 보존하는 대신에, 그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룰(예컨대, 플래그 2의 재생 포인트를 경과한 것에 대한 룰)을 보존하더라도 좋다.
또한, 현재의 재생 포인트가 플래그 2를 지나지 않은 경우에는, 화상 합성부 (1)는 동화상의 스트림 상에 있어서의 현재의 재생 포인트가 플래그 1을 지났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4). 현재의 재생 포인트가 플래그 1을 지난 경우에는, 화상 합성부(1)는 합성 화상 축적부(2)에, 플래그 2에 관련지어진 화상 데이터를 보존한다. 그리고, 화상 합성부(1)는 처리를 스타트로 되돌린다. 다만, 화상 데이터를 직접 보존하는 대신에, 그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룰(예컨대, 플래그 1의 재생 포인트를 경과한 것에 대한 룰)을 보존하더라도 좋다.
또한, 현재의 재생 포인트가 플래그 1을 지나지 않은 경우에는, 화상 합성부(1)는 합성 화상 축적부(2)에, 플래그 1에 관련지어진 화상 데이터를 보존한다. 그리고, 화상 합성부(1)는 처리를 스타트로 되돌린다. 다만, 화상 데이터를 보존하는 대신에, 그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룰(예컨대, 시작 포인트에서부터 플래그 1까지의 재생 포인트에 대한 룰)을 보존하더라도 좋다.
도 15의 처리에서는, 미리 동화상 스트림의 프레임 데이터에 플래그를 설정해 두고서, 동화상 재생 중에, 각 플래그를 경과했는지의 여부에 의해,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하는 화상을 결정하는 처리를 나타냈다. 그러나, 이러한 플래그 대신에, 경과 시간에 의해서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하는 화상을 지정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대기 화면이 카메라 등으로부터 리얼타임으로 받아들이는 데이터 또는 컴퓨터 그래픽에 의해 리얼타임으로 생성하는 동화상의 경우에는, 예컨대 재생 시작에서부터 10초 시점, 20초 시점, 25초 시점 등과 같이, 경과 시간을 지정하는 정보를 파라메터로서 유지해 두면 좋다. 그리고, 재생 시작에서부터 10초까지는, 10초 시점의 화상을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하고, 10초부터 20초까지의 사이는 20초 시점의 화상을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하고, 20초부터 25초까지의 사이는 25초 시점의 화상을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하는 등의 처리를 실행하면 된다.
도 17에, 대기 화면에서 표시되는 동화상으로부터, 특정한 화상(또는 그 화상을 합성하는 룰)을 화상 축적부(2)에 보존하는 순서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 처리에서는, 원래의 화상인 화상 엘리멘트 B에 대하여, 예컨대, 색을 단계적으로 변화시킨 화상 엘리멘트 A를 축차 생성하여, 대기 화면에 표시한다. 이러한 화상 생성을 함에 있어서, 예컨대, 화면 내의 전체 화소에 대한 RGB의 R의 평균치가 소정치(예컨대, 60)에 달한 경우에, 플래그 1을 경과했다고 하고, R의 평균치가 제2 소정치(예컨대 100)에 달한 경우에, 플래그 2를 경과했다고 하는 등, 화상의 평가치에 의해,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하는 화상을 결정하여도 좋다.
또한, 예컨대, 화상 엘리멘트 A와 화상 엘리멘트 B로 단계적으로 변화되는 가중을 부가하여 합성한 화상을 대기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그와 같은 경우에, 예컨대, 화상 엘리멘트 A에 대한 가중이 제1의 소정치가 되었을 때에, 플래그 1을 경과했다고 하고, 화상 엘리멘트 A에 대한 가중이 제2의 소정치가 되었을 때에, 플래그 2를 경과했다고 하는 등, 화상의 평가치에 의해,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하는 화상을 결정하여도 좋다.
<대기 화면의 변형>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화상 합성부(1)에 있어서 합성한 화상을 대기 화면으로서 스크린세이버로 표시했다. 그러나, 이 대신에, 카메라 등을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한 화상을 스크린세이버로 표시하더라도 좋다. 그 경우, 도 15에 도시한 순서 에서는, 동화상의 출력 시작에서부터의 경과 시간을 플래그로서 이용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정보 처리 장치는, 카메라로부터의 영상, 각종 센서로부터의 데이터, LAN을 경유한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화상 또는 화상 합성부(1)에서 합성된 화상 등, 여러 가지 화상을 상기 대기 화면으로서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배경 화상의 설정 기능과의 조합에 의하여, 배경 화상을 간이하고 또 빈번하게 갱신할 수 있다.
<그 밖의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크린세이버에 의한 대기 화면 표시 중에 사용자 조작을 검출하면,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된 화상 또는 그 화상을 합성하는 룰을 참조하여, 데스크탑의 배경 화상을 표시했다. 그러나, 합성 화상 축적부(2) 대신에 예컨대, 사용자 조작을 검출한 직후에 비디오 RAM 등의 화상 메모리를 참조하여, 데스크탑의 배경 화상으로 설정하더라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크린세이버의 대기 화면에 표시되는 동화상에 기초하여 데스크탑의 배경 화상을 설정하는 처리를 나타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는 스크린세이버의 대기 화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카메라로부터의 동화상, 텔레비전 방송의 동화상 등을 표시하는 윈도우 또는 동화상을 제공하는 웹사이트를 표시하는 브라우저를 모니터 등 표시 장치(7)에 출력해 두고서, 사용자에 의한 특정한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에 그 시점에서 상기 윈도우 또는 브라우저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배경 화상으로 설정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한 특정한 조작이란, 예컨대, 소정 키의 누름, 표시 장치(7)의 데스크탑 상의 사전 설정된 아이콘 또는 메뉴 등 오브젝트의 클릭(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한 누름, 선택, 지시) 등이다.
《제2 실시형태》
도 18에서부터 도 23에 의해,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의 대기 화면으로서, 여러 가지 동화상을 표시해 두고서, 사용자가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조작을 시작한 시점에서 표시되어 있던 화상 또는 그 화상과 사전설정된 관계에 있는 화상(도 15∼도 17 참조)을 통상 조작에 있어서의 데스크탑의 배경 화면(소위 벽지)으로서 설정하는 처리를 설명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네트워크로 접속된 복수 대의 정보 처리 장치가 연계하여 그와 같은 동화상을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다른 구성 및 작용은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다. 그래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도 1∼도 17의 도면을 참조한다.
<화면예>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 대의 정보 처리 장치가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어, 연계하여 대기 화면을 표시한다. 도 18 및 도 19에, 본 실시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화면예를 도시한다. 도 18 및 도 19의 직사각형 영역은 모두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계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8은 3대의 정보 처리 장치가 동기하여 대기 화면(스크린세이버)을 표시 하는 예이다. 도 19는 중앙의 정보 처리 장치의 화면에서 발생한 물결이 파문으로서 전파되어, 좌우의 정보 처리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예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장치는 이상과 같은 대기 화면 표시 중에, 사용자에 의한 키보드 또는 마우스의 조작을 검출하면, 그 시점의 화면을 데스크탑 화면의 배경 화상(벽지)으로 설정한다.
<처리 플로>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가,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연계하여, 대기 화면의 출력을 제어한다. 이 경우, 어느 한 정보 처리 장치가 서버로서 기능하고, 다른 정보 처리 장치는 클라이언트로서 기능하면 된다.
그리고, 서버로서의 역할을 하는 경우는, 입력부(4)로부터 다른 퍼스널 컴퓨터의 입력 정보를 입수하고, 각 퍼스널 컴퓨터마다 화상을 합성하여, 출력 인터페이스(9)를 통해 합성 화상 또는 합성 룰을 다른 퍼스널 컴퓨터에 공급한다.
한편, 클라이언트로서 역할을 하는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는 서버가 되는 퍼스널 컴퓨터에, 화상을 합성하기 위해서, 자신의 입력부(4)로부터 받아들인 각종 센서/카메라/LAN으로부터의 정보를 출력 인터페이스(9)로부터 송신한다. 또, 입력부(4)를 통해 서버가 되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합성 화상 또는 합성 룰을 입수한다.
도 20은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설정하는 설정 순서를 도시하는 처리 플로이다. 이 순서에서는, 사용자는 우선, 서버가 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서버로서 설정한다(S31). 예컨대, 사전설정된 데이터 파일에 "SEVER"의 문자열을 설정하도록 하 면 된다. 이 설정에 의해,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연계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그 정보 처리 장치를 서버로 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사용자는 클라이언트가 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선택하여, 클라이언트로서 설정한다(S32). 예컨대, 사전설정된 데이터 파일에 "CLIENT"의 문자열을 설정하도록 하면 된다. 이 설정에 의해,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연계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그 정보 처리 장치를 클라이언트로 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면 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서버가 되는 정보 처리 장치와 클라이언트가 되는 정보 처리 장치의 통신 수단을 설정한다(S33). 예컨대, LAN의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면 된다. 이 설정에 따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연계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LAN을 통해 통신하도록 하면 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서버가 되는 정보 처리 장치에 클라이언트가 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인식시킨다(S34). 이러한 클라이언트 인식을 위해, 예컨대, 서버가 되는 정보 처리 장치는 LAN 상에 브로드캐스트를 송신하여, 클라이언트로부터의 회신을 기다리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사용자가 손 입력으로, 서버가 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사전설정된 데이터 파일에, 클라이언트의 호스트명을 열기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상의 순서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장치(클라이언트 및 서버)의 설정을 종료한다.
도 21 및 도 22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경 화상(벽지) 설정 처리의 흐 름도를 도시한다.
이 처리에서는 우선, 클라이언트가, 입력부(4)의 정보를, 화상 합성부(1)에서 처리한 후, 출력 인터페이스(9)를 통하여, 서버가 되는 정보 처리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한다(S40).
이어서, 클라이언트는 입력부(4)를 통하여, 서버가 되는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스크린세이버나 벽지, 룰을 얻는다(S41). 그리고, 클라이언트는 단계 2에서 입수한 화상 또는 룰을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한다(S42).
이어서, 클라이언트는 표시 장치 컨트롤부(5)에 있어서 단계 41에서 합성한 화상을 모니터 등 표시 장치(7)에 스크린세이버로서 표시한다(S43).
이어서, 클라이언트는 키보드 조작 또는 마우스 조작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44). 키보드 조작 및 마우스 조작의 어느 것도 검출할 수 없는 경우, 클라이언트는 제어를 S40으로 되돌린다.
한편, 키보드 조작 또는 마우스 조작을 검출할 수 있었던 경우, 클라이언트는 클라이언트의 합성 화상 축적부(2)에 화상이 보존되어 있는지의 여부(룰이 보존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S45).
합성 화상 축적부(2)에, 화상이 보존되어 있지 않은 경우(룰이 보존되어 있는 경우), 클라이언트는 합성 화상 축적부(2)에 있어서,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된 룰을 사용하여 화상을 합성한다. 또한, 클라이언트는 합성한 화상을, 표시 장치 컨트롤부(5)에 있어서 모니터 등 표시 장치(7)에, 배경 화상(벽지)으로서 표시한다(S46). 그 후, 클라이언트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한 통상 처리를 시작한다 (S48).
한편 합성 화상 축적부(2)에, 화상이 보존되어 있는 경우, 클라이언트는 표시 장치 컨트롤부(5)에 있어서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된 화상을, 모니터 등 표시 장치(7)에, 배경 화상(벽지)으로서 표시한다(S47). 그 후, 클라이언트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한 통상 처리를 시작한다(S48).
이어서, 클라이언트는 소정 시간, 키보드 및 마우스 조작의 어느 것도 없었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S49). 소정 시간, 키보드 조작 및 마우스 조작의 쌍방의 어느 것도 없는 경우, 클라이언트는 배경 화상(벽지)은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된 화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50).
배경 화상(벽지)이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된 화상인 경우, 클라이언트는 제어를 S40으로 되돌린다. 한편, 배경 화상(벽지)이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된 화상이 아닌 경우, 클라이언트는 디폴트의 대기 화면(스크린세이버)을 사용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51).
디폴트의 대기 화면(스크린세이버)을 사용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는 경우, 클라이언트는 그 설정에 따라, 종래의 대기 화면(스크린세이버)을 사용한다. 한편, 디폴트의 대기 화면(스크린세이버)을 사용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 클라이언트는 제어를 S49로 되돌린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대기 화면은 표시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정보 처리 장치가 복수 연계하여 대기 화면을 출력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 가지로 대기 화면에 대하여 키보드(6A) 또는 마우스(6B)에 의한 조작이 검출된 시점에서 그 시점의 대기 화면의 화상(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된 화상)이 데스크탑의 배경 화상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와 마찬가지로, 간이하고 또 빈번하게 데스크탑의 배경 화면을 갱신하는 동시에,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 관련성을 유지한 배경 화면을 설정할 수 있다.
<변형예>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어느 한 정보 처리 장치가 서버로서 기능하고, 다른 정보 처리 장치는 클라이언트로서 기능하여,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대기 화면을 연계하여 표시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 있어서, 서버를 설치하지 않고서 이들 정보 처리 장치를 연계시키도록 하더라도 좋다.
도 23은 그와 같은 정보 처리 장치의 설정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처리에서는 사용자는, 대상이 되는 정보 처리 장치에, 그 정보 처리 장치와 인접한 정보 처리 장치를 인식시킨다(S61). 인접한 정보 처리 장치란, 각 정보 처리 장치가 데이터를 직접 전송할 수 있는 전송처이다.
이어서, 사용자는 각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인접한 정보 처리 장치와의 통신 수단을 선택한다(S62). 예컨대, LAN의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면 된다.
이상의 순서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장치(클라이언트 및 서버)의 설정을 종료한다.
도 24∼도 26은 복수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한 배경 화상의 설정 처리를 도시 하는 흐름도이다. 이 처리에서는 각 정보 처리 장치는, 입력부(4)를 통하여 인접한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및 자장치의 정보를 입수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는 화상 합성부(1)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베이스(3)의 데이터와 입력부(4)로부터의 각 종 입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화상을 합성한다(S70).
이어서, 정보 처리 장치는 인접한 정보 처리 장치에, 대기 화면(스크린세이버)이나 벽지, 룰을 송신한다(S71).
이어서, 본 정보 처리 장치는 단계 71에서 합성한 화상 또는 그 화상의 합성 순서를 나타내는 룰을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한다(S72).
이어서, 본 정보 처리 장치는 표시 장치 컨트롤부(5)에 있어서 단계 71에서 합성한 화상을, 모니터 등 표시 장치(7)에, 스크린세이버(대기 화면)로서 표시한다(S73).
이어서, 본 정보 처리 장치는 키보드 조작 또는 마우스 조작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74). 키보드 조작 및 마우스 조작의 어느 것도 없는 경우,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를 S70으로 되돌린다. 한편, 키보드 조작 또는 마우스 조작 중 어느 것을 검출한 경우, 정보 처리 장치는 합성 화상 축적부(2)에, 화상이 보존되어 있는지의 여부(룰이 보존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S75).
합성 화상 축적부(2)에, 화상이 보존되어 있지 않은 경우(룰이 보존되어 있는 경우), 본 정보 처리 장치는 합성 화상 축적부(2)에 있어서,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된 룰을 사용하여 화상을 합성한다. 또한, 본 정보 처리 장치는 합성한 화상을, 표시 장치 컨트롤부(5)에 있어서 모니터 등 표시 장치(7)에, 배경 화상(벽 지)으로서 표시한다(S76). 그 후, 정보 처리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한 통상 처리를 시작한다(S78).
한편, 합성 화상 축적부(2)에, 화상이 보존되어 있는 경우, 본 정보 처리 장치는 표시 장치 컨트롤부(5)에 있어서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된 화상을, 모니터 등 표시 장치(7)에, 배경 화상(벽지)으로서 표시한다(S77). 그 후, 정보 처리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한 통상 처리를 시작한다(S78).
이어서, 정보 처리 장치는 인접한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및 자장치의 정보를 입력부(4)의 정보를 통하여 입수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는 화상 합성부(1)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베이스(3)의 데이터와 입력부(4)로부터의 각종 입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화상을 합성한다(S79).
이어서, 정보 처리 장치는 인접한 정보 처리 장치에, 스크린세이버나 벽지, 룰을 송신한다(S80).
이어서, 정보 처리 장치는 소정 시간, 키보드 및 마우스 조작의 어느 것도 없었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S81). 소정 시간, 키보드 조작 및 마우스 조작의 쌍방의 어느 것도 없는 경우, 정보 처리 장치는 배경 화상(벽지)은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된 화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82).
배경 화상(벽지)이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된 화상인 경우,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를 S70으로 되돌린다. 한편, 배경 화상(벽지)이 합성 화상 축적부(2)에 보존된 화상이 아닌 경우, 정보 처리 장치는 디폴트의 대기 화면(스크린세이버)을 사용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83).
디폴트의 대기 화면(스크린세이버)을 사용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는 경우, 본 정보 처리 장치는 그 설정에 따라, 종래의 대기 화면(스크린세이버)을 사용한다(S84). 한편, 디폴트의 대기 화면(스크린세이버)을 사용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를 S79로 되돌린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대기 화면은 표시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변형예의 시스템에 따르면, 개개의 정보 처리 장치는 서버의 개재 없이 자율적으로 연계하여, 사용자 조작이 없는 상태로 대기 화면을 출력한다. 그리고,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으로부터의 사용자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에, 그 시점의 화면이 데스크탑의 배경 화면으로서 설정된다.
한편, 제1 실시형태의 도 15∼도 1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사용자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에, 그 시점에서 표시되고 있는 대기 화면의 화상과 관련지어진 화상을 배경 화상으로서 설정하더라도 좋다.
《컴퓨터 등이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
컴퓨터 그 밖의 장치, 기계 등(이하 컴퓨터 등)에 상기 어느 한 기능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컴퓨터 등이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 등에, 이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을 읽어들이게 하여 실행시킴으로써, 그 기능을 제공시킬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 등이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란,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의 정보를 전기적, 자기적, 광학적, 기계적 또는 화학적 작용에 의해서 축적하여, 컴퓨터로부터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를 말한다. 이러한 기록 매체 중, 컴퓨터 등 으로부터 착탈 가능한 것으로서는, 예컨대 플렉시블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 CD-R/W, DVD, DAT, 8 mm 테이프,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 등에 고정된 기록 매체로서 하드디스크나 ROM(read-only memory) 등이 있다.
《반송파로 구현화된 데이터 통신》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 등의 하드디스크나 메모리에 저장하여, 통신 매체를 통하여 다른 컴퓨터에 배포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그램은 반송파에 의해서 구현된 데이터 통신 신호로서, 통신 매체로 전송된다. 그리고, 그 배포를 받은 컴퓨터 등에 상기 기능을 제공시킬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매체로서는 유선 통신 매체, 예컨대, 동축 케이블 및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을 포함하는 금속 케이블류, 광통신 케이블 등 또는 무선 통신 매체 예컨대, 위성 통신, 지상파 무선 통신 등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한, 반송파는 데이터 통신 신호를 변조하기 위한 전자파 또는 빛이다. 단, 반송파는 직류 신호라도 좋다. 이 경우, 데이터 통신 신호는 반송파가 없는 베이스밴드 파형으로 된다. 따라서, 반송파로 구현화된 데이터 통신 신호는 변조된 브로드밴드 신호와 변조되지 않은 베이스밴드 신호(전압 0의 직류 신호를 반송파로 한 경우에 상당)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Claims (25)

  1. 배경 화상과 함께 정보를 표시하고, 그러한 표시를 행하는 표시 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상기 표시 수단이 화상을 표시하도록 하는 표시 제어 수단과,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취입하기 위한 입력 수단과,
    화상을 저장하는 화상 저장 수단과,
    화상을 합성하는 룰을 저장하는 화상 합성 룰 저장 수단과,
    상기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취입하면 상기 화상 합성 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룰을 참조하여, 상기 화상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에 기초하여 새롭게 화상을 합성하는 화상 합성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합성 수단에 의해 합성된 화상을 배경 화상으로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표시 수단이 동화상을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화상 합성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데이터가 취입되면, 상기 동화상에 포함된 특정 시점의 정지 화상을 배경 화상으로 설정하는 것인, 정보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의 사용자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표시된 대기 화면에 상기 동화상을 표시시키고,
    상기 화상 합성 수단은 상기 대기 화면 표시 중에 상기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데이터가 취입되었을 때에 상기 정지 화상을 배경 화상으로 설정하는 것인, 정보 처리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정지 화상을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상기 유지된 정지 화상으로부터 동화상을 생성하는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을 구성하며 사전설정된 시점에서 표시되는 정지 화상을 기억하는 화상 축적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화상 축적 수단에 기억된 정지 화상을 상기 배경 화상으로 설정하는 것인, 정보 처리 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을 생성하는 순서 정보를 참조하는 수단과,
    상기 동화상을 구성하며 사전설정된 시점에서 표시되는 정지 화상을 생성하는 순서 정보를 기억하는 축적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순서 정보에 따라 상기 정지 화상을 생성하여 배경 화상으로 설정하는 것인, 정보 처리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인, 정보 처리 장치.
  8. 삭제
  9. 컴퓨터가 배경 화상과 함께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 방법으로서,
    화상을 저장하는 화상 저장 단계와,
    화상을 합성하는 룰을 저장하는 화상 합성 룰 저장 단계와,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취입하면 상기 룰을 참조하여 상기 저장되어 있는 화상에 기초하여 새롭게 화상을 합성하는 단계와,
    상기 합성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와,
    상기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취입하는 데이터 취입 단계와,
    상기 합성된 화상에 기초하여 배경화상을 설정하는 설정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표시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컴퓨터가 배경 화상과 함께 정보를 표시하도록 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화상을 저장하는 화상 저장 단계와,
    화상을 합성하는 룰을 저장하는 화상 합성 룰 저장 단계와,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취입하면 상기 룰을 참고하여 상기 저장되어 있는 화상에 기초하여 새롭게 화상을 합성하는 단계와,
    상기 합성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와,
    상기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취입하는 데이터 취입 단계와,
    상기 합성된 화상에 기초하여 배경 화상을 설정하는 설정 단계
    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67003881A 2006-02-24 2003-09-10 배경 화상을 설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표시 방법 및프로그램 KR100814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3881A KR100814592B1 (ko) 2006-02-24 2003-09-10 배경 화상을 설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표시 방법 및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3881A KR100814592B1 (ko) 2006-02-24 2003-09-10 배경 화상을 설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표시 방법 및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455A KR20060037455A (ko) 2006-05-03
KR100814592B1 true KR100814592B1 (ko) 2008-03-17

Family

ID=37145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3881A KR100814592B1 (ko) 2006-02-24 2003-09-10 배경 화상을 설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표시 방법 및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459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2006A (ja) * 2000-05-17 2001-11-30 Toshiba Corp 背景画像取り込み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2006A (ja) * 2000-05-17 2001-11-30 Toshiba Corp 背景画像取り込み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455A (ko)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7631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setting background image,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program
JP646022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9653081B2 (en) Digital media frame
US6191807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 file transfer operation
CA2374959C (en) Card type network interface, network conference terminal device and network conference system
US7469064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7317458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program, image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the image display program
CN113064684B (zh) 一种虚拟现实设备及vr场景截屏方法
EP4171046A1 (en) Video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program product
JP5414165B2 (ja) 画質調整装置、画質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395669B2 (en) Image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remote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rogram, and storage medium
KR100814592B1 (ko) 배경 화상을 설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표시 방법 및프로그램
KR20090069001A (ko) 웹캠 기반 영상의 재형성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적용되는 장치
JP3680886B2 (ja) 遠隔操作装置
US7908319B2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JP3774521B2 (ja) カメラ制御システム、カメラサーバ、カメラ操作装置、及びカメラ操作情報の表示制御方法
CN112165631A (zh) 媒体资源处理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4374013B2 (ja) 中継装置、並びに中継方法
JPH05165932A (ja) 画像編集方法及びシステム
US20050135344A1 (en) Moving picture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N117294896A (zh) 一种视频窗口调整方法及显示设备
JPH1188869A (ja) 映像通信システム及び情報表示装置
WO2001022297A1 (en) Digital media frame
JP2001331246A (ja) 画像関連データ表示装置
JPH10173977A (ja) 画像データ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