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3710B1 - 피어 투 피어 통신이 가능한 셀룰러 통신 단말의 송신 전력 레벨 조정 - Google Patents

피어 투 피어 통신이 가능한 셀룰러 통신 단말의 송신 전력 레벨 조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3710B1
KR100813710B1 KR1020067012348A KR20067012348A KR100813710B1 KR 100813710 B1 KR100813710 B1 KR 100813710B1 KR 1020067012348 A KR1020067012348 A KR 1020067012348A KR 20067012348 A KR20067012348 A KR 20067012348A KR 100813710 B1 KR100813710 B1 KR 100813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r
network
power control
control commands
acces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4101A (ko
Inventor
마태 에스. 그롭
라쉬드 에이. 아타
헨리 디. 피스터
크레인 에스. 길호우센
라민 레자이파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94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4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08Closed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0Open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383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power control in peer-to-peer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73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05Control of transmission; Equal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Transceiver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액세스 단말(106)은 네트워크 인프라 구조 액세스 노드(104)와 통신하며, 피어 투 피어 통신(110)을 수행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액세스 노드 및 다른 액세스 단말로부터 수신된 전력 제어 명령들에 응답하여 송신 전력 레벨을 조정하도록 적용된다.

Description

피어 투 피어 통신이 가능한 셀룰러 통신 단말의 송신 전력 레벨 조정{ADJUSTING THE TRANSMIT POWER LEVEL OF A CELLULAR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EER-TO-PEER COMMUNICATIONS}
본 출원은 2003년 11월 21일 출원된 "PEER-TO-PEER COMMUNICATION"이라는 제목의 가출원 No.60/523,989를 우선권으로 청구하는데, 이는 본 출원인에 양도되었고 본 명세서에 참조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 커버리지(in-coverage) 및 외부 커버리지(out-of-coverage) 모드를 지원하는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의 액세스 단말들 사이의 피어 투 피어 통신에 관한 것이다.
피어 투 피어 통신은 공통 특징 또는 특징들 세트를 공유하는 한 그룹의 통신 엔티티를 포함하며, 상위 레벨의 중간 매개물의 도움 없이 서로 통신을 개시하고 통신을 수행한다.
피어 투 피어 통신은 푸시 투 토크(PTT) 및 푸시 투 미디어(PTM)(데이터용 PTT의 확장)와 같은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될 수도 있으며, 비디오와 같은 미디어 송신으로 확장된다.
포인트 투 포인트 성능뿐만 아니라, 액세스 네트워크에 피어 투 피어 성능을 제공하도록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를 수정하는 경우, 네트워크에 의해 경험되는 전체 간섭에 대한 피어 투 피어 통신에서 송신 전력의 분배와 같은 조건을 고려하기 위해 네트워크 전력 제어가 요구된다.
도1은 액세스 단말들이 네트워크의 액세스 단말과의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지원하는 다중 액세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2는 CDMA 셀룰러 시스템으로 구현된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의 예를 나타낸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3은 다중 액세스 시스템의 두 개의 액세스 단말 사이의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위한 물리계층 프로토콜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4는 다중 액세스 시스템의 4개의 액세스 단말 사이의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위한 물리계층 프로토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액세스 단말 레벨에서 신호 전력 제어에 대한 다수의 수신 체인의 사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액세스 단말 레벨에서 전력 제어 메카니즘을 설명한 표이다.
도7은 액세스 단말들 사이의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실행하는 CDMA 송신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다수의 수신기 체인을 갖는 실시예를 나타낸 액세스 단말의 RF 섹션의 블록도이다.
도9는 다수의 수신기 체인을 갖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액세스 단말의 RF 섹션의 블록도이다.
도10은 내부 커버리지 동작 동안 액세스 단말에 대한 전력 제어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11은 외부 커버리지 또는 비허가 대역 동작 동안 액세스 단말에 대한 전력 제어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피어 투 피어 통신은 소정의 공통 특징 또는 특징들 세트를 공유하는 한 그룹의 통신 엔티티들을 포함하며, 상위 레벨의 중간 매개물 없이 서로 통신을 개시하고, 통신을 수행한다.
피어 투 피어 통신은 푸시 투 토크(PTT) 및 푸시 투 미디어(PTM)(데이터용 PTT의 확장)와 같은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될 수도 있으며, 비디오와 같은 미디어 송신으로 확장된다.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위한 요청을 수신하고 서비스하기 위해 구축된 인프라 구조를 갖는 기존의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은 사용자에게 이들 사이의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성능을 제공하도록 수정된다. 네트워크 액세스는 단말과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노드들 사이의 포인트 투 포인트 통신에 의해 모바일 폰, 컴퓨터, 개인 휴대 단말기, 및 다른 유사한 장치와 같은 액세스 단말로 제공된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최대 수의 단말기가 서비스 품질의 소정의 최소 임계 레벨 이상으로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인프라 구조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 및 장치를 이용하여 배치된다. 만일 액세스 단말들 사이의 피어 투 피어 통신의 대응하는 특성의 관리를 위해, 액세스 단말 및 인프라 구조의 광범위한 재설계 및 엔지니어링 없이, 이러한 프로토콜이 적용 또는 변경될 수 있다면, 이는 편리하고 비용 효율적이다.
예를 들어,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모바일 폰 형태의 액세스 단말기들에 네트워크 액세스를 제공하고, 장치들이 통신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하여준다. 시스템 내의 모바일 폰에 의해 송신된 전력은, 송신된 전력 레벨이 시스템 전체의 통신 품질을 유지하도록 제어되기 때문에, 현저한 문제점을 일으킨다. 이와 관련하여, 많은 폰들이 동시에 또는 일제히 시스템에 액세스하고, 모든 활성 폰에 의해 송신된 총 전력은 시스템에 대한 간섭을 초래한다. 더욱이, 폰이 모바일이므로, 시스템 인프라 구조로의 통신 경로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며, 따라서 통신의 품질 레벨을 유지하기 위해 송신 전력 레벨의 조정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액세스 관리는 시스템에서 각각의 활성 모바일 폰의 송신 전력을 제한하고 시스템 커버리지의 영역 내에서 폰이 이동함에 따라 송신 전력 레벨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전력 제어 방법의 원리는 셀룰러 인프라 구조에 근접한 폰이 인프라 구조로부터 더 멀리 있는 폰보다 더 낮은 전력 레벨에서 인프라 구조로 전송하는 것이다. 각각의 모바일 폰은 인프라 구조의 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된 전체 전력을 측정하고, 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된 전력 레벨의 역으로 송신 전력을 설정한다. 폰으로부터 시스템으로의 송신 방향은 통상적으로 역방향 링크이며, 이 기술은 "역방향 링크 개방 루프 전력 제어"로 지칭된다. (순방향 링크는 시스템에서 폰으로의 방향임) 이 기술은 개방 루프인데, 이는 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된 전력의 폰 추정에 기초하여 폰에 의해서만 제어되기 때문이다.
제2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방법은 모바일 폰에 대한 목표 전력 레벨을 설정하기 위해 모바일 폰으로부터 셀룰러 인프라 구조의 기지국들에 의해 수신된 역방향 링크 송신 전력을 이용한다. 모바일 폰에 대한 목표 전력 레벨은 전력 제어 절차의 외부 루프에서 결정된 전력 제어(PC) 세트포인트이다. 이는 모바일 폰의 송신 전력을 채널의 함수로써, 그리고 일부의 경우 데이터 레이트의 함수로써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인프라 구조는 폰이 목표 전력 레벨을 향해 역방향 링크 송신 전력을 조정(상향 또는 하향)하도록 순방향 링크 상에서 폰으로 전력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이 기술은 "역방향 폐루프 전력 제어"라고 지칭되는데, 그 이유는 양 단부에서 참여하는 폰과 시스템 인프라 구조 사이의 루프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목표 전력 레벨은 폐루프 절차의 외부 루프에 의해 설정된 전력 제어 세트포인트이다.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개방 및 폐루프 전력 제어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5,056,109; 5,396,516; 5,933,781; 6,035,209; 6,101,179; 6,609,008; 및 6,621,804에 개시된다. 외부 루프 프로세싱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6,748,234, 6,633,552 및 6,529,482에 개시된다.
포인트 투 포인트 성능뿐만 아니라, 액세스 단말에 피어 투 피어 성능을 제공하도록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를 수정하는 경우, 네트워크 전력 제어의 문제는 네트워크가 겪는 전체 간섭에 대한 피어 투 피어 통신에서 송신 전력의 분배에 의해 난해하게 된다.
일 특징에서,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의 액세스 단말들 사이의 피어 투 피어 통신에는 허가 또는 비허가 대역에서 내부 커버리지 및 외부 커버리지 모드가 제공된다. 내부 커버리지 동작은 네트워크에 대해 허가된 활성 주파수 대역 또는 비허가 대역에서 네트워크의 커버리지의 영역 내의 피어 투 피어 동작을 포함한다. 외부 커버리지 동작은 네트워크에 대해 허가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커버리지 영역 밖에서의 피어 투 피어 동작, 또는 네트워크에 대해 허가된 비사용 주파수 대역 상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피어 투 피어 동작을 포함한다.
다른 특징에서, 단말에 의한 시스템 액세스 및 피어 투 피어 통신 모두를 지원하는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의 액세스 단말에 의해 송신된 전력의 제어는 피어 투 피어 동작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피어 투 피어 통신에 대한 네트워크의 전력 제어 프로토콜을 수정함으로써 제공된다. 이는 피어-통신 액세스 단말이 전체 네트워크 전력 제어 방식에서 연속해서 참여하는 것을 보장하면서 피어-통신 액세스 단말에 대한 전력 제어 성능을 제공하며, 그로 인해, 네트워크가 네트워크의 모든 액세스 단말로 요구되는 통신 품질의 레벨을 계속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액세스 단말 송신 전력 제어의 수정은 또한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의 액세스 단말에 단말 및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의 동작에 대해 최소의 혼란으로 피어 투 피어 통신과 네트워크 액세스 통신 사이에 스위칭 성능을 제공한다.
또다른 특징에서, 액세스 단말들에 의해 전송되는 전력, 즉 포인트 투 포인트 및 피어 투 피어 성능을 구비한 단말들의 전송 전력에 대한 개방루프 및 폐루프 역방향 링크 제어를 사용하는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가 제공되며, 액세스 단말에 적어도 3개 타입의 피어 투 피어 동작, 즉 허가 및 비허가된 대역에서의 외부 커버리지 피어 투 피어 동작 및 내부 커버리지 피어 투 피어 동작이 제공된다.
도1에서,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100)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노드(AN)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인프라 구조(102), 및 다수의 액세스 단말(AT)(106)을 포함한다. 액세스 단말(106) 및 인프라 구조는 "108"과 같이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으로 통신한다. 또한, 액세스 단말(106)은 서로 피어 투 피어 통신(110)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이 설명에서, 이동식 또는 고정식일 수 있는 액세스 단말(106)은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100)의 하나 이상의 액세스 노드를 통해 데이터 패킷을 송신 및 수신한다.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100)는 액세스 단말(106) 사이에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네트워크(100)는 엔터프라이즈 인트라넷 및 인터넷과 같이, 액세스 네트워크 외부의 추가 네트워크(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으며, 소정의 액세스 단말(106)과 이러한 외부 네트워크 사이에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액세스 노드와의 활성 트래픽 채널 접속을 설정한 액세스 단말은 활성 액세스 단말로 지칭되고 트래픽 상태에 있는 것으로 언급된다. 하나 이상의 액세스 노드와의 활성 트래픽 채널 접속을 설정하는 과정에 있는 액세스 단말은 접속 셋업 상태에 있다고 언급된다. 액세스 단말은 예를 들어 광섬유 또는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여 무선 채널 또는 유선 채널을 통해 통신하는 소정의 데이터 장치일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은 PC 카드, 콤팩트 플래시, 외부 또는 내부 모뎀, 또는 무선 또는 유선 폰을 포함하는 다수 타입의 장치일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액세스 단말이 액세스 노드로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링크는 역방향 링크로 지칭된다. 액세스 노드가 액세스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링크는 순방향 링크로 지칭된다.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는 예로서 CDMA 시스템과 같이 광대역 확산 스펙트럼 시스템으로 동작하는 다중 액세스 무선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CDMA 시스템의 물리적 및 기능적 구조가 공지되어 있으며, 시스템과의 포인트 투 포인트 통신 및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실행할 수 있는 액세스 단말에 서비스하는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가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이해하기에 적합한 수준으로 설명된다.
도2는 TIA/EIA-95, TIA/EIA-IS-2000, TIA/EIA/IS-856, IMT-2000, 및 WCDMA를 포함하는 임의의 소정의 CDMA 통신 시스템의 표준에 따라 동작가능한 다중 액세스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200)의 통상의 블록도이다.
일반적으로, 도2의 셀룰러 네트워크(200)는 다수의 셀 셀(202A 내지 202G)에 대한 통신을 제공하며, 각각은 다중 액세스 단말(206A-206G) 사이에서 그리고 액세스 단말과 하나 이상의 다른 네트워크(미도시) 사이에서 통신 링크를 제공하는 기지국(204A-204G)과 같은 액세스 노드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액세스 단말 및 서로 통신한다. 기지국은 액세스 단말과 순방향 링크를 통해 다수의 액세스 단말에 대해 고유하게 코딩된 신호들이 합해진 순방향 링크 신호에 의해 통신한다. 순방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각각의 액세스 단말은 고유한 코드 신호를 추출하기 위해 이를 디코딩한다. 각각의 액세스 단말은 역방향 링크 신호로 액세스 노드와 통신한다. CDMA 셀룰러 네트워크의 구조 및 동작의 상세한 설명을 위해 U.S. 특허 6,609,008을 참조하라.
CDMA 시스템에서 액세스 단말에 의한 피어 투 피어 통신은 피어로의 송신을 위해 역방향 링크 동작을 이용하고, 네트워크로부터 시스템 관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순방향 링크 동작(네트워크 동작에서 액세스 노드로부터 통신에 대해 반전됨)을 이용하여, 셀룰러 네트워크를 바이패싱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피어 투 피어 모드에서, 단말은 자신의 피어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피어 단말로 송신하기 위해 배타적으로 역방향 링크 주파수를 이용한다. 액세스 단말이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다른 단말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채널을 이용하여 내부 커버리지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액세스 단말은 네트워크의 용량 또는 성능을 저하시키기 않도록 네트워크 전력 프로토콜에 따라 그 전송을 조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피어 투 피어 모드로 동작할 때 액세스 단말의 송신 전력이 네트워크에 야기하는 간섭은 네트워크를 통해 동작할 경우 발생하는 것보다 크기 않은 레벨로 제한되어야 한다.
모바일 장치의 형태의 액세스 단말이 피어(peer)로부터 역방향 링크 상에서 통신을 수신하는 것을 허용하는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역방향 링크는 셀룰러 동작에서 모바일 장치로부터의 송신으로 정의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이 개별 채널로 튜닝될 수 있는 다수의 수신 체인을 갖는 모바일 장치는 역방향 링크에 대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RF) 채널 상에서 피어로 송신할 수 있고, 동시에 대응하는 순방향 링크 채널들을 수신 및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단말은 자신의 송신 전력을 적절하게 한정하기 위해 개방 루프 전력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장치는 CDMA와 같은 확산 스펙트럼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이동국이다. 이동국은 CDMA 액세스 네트워크의 순방향 링크를 포착 및 추적하기 위해 하나의 수신 체인을 튜닝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동국은 임의의 인입 페이지에 대한 모니터링 및 대기중 핸드오프(idle handoff)를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기국(idle station) 절차를 수행한다. 이동국이 피어 투 피어 동작을 시작하면, 이동국은 다른 피어 투 피어 사용를 수신하기에 적절한 채널자(본 실시예에서는 역방향 링크 채널)로 제2 수신 체인을 튜닝한다. 피어 투 피어 이동국은 송신을 시작하지만, 그 전력은 제한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이동국이 자신의 송신 전력을 제한하기 위해 액세스 네트워크의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프로토콜을 이동국이 따르도록 한다. 물론, 피어 투 피어 동작에서 이동국은 피어 투 피어 상대 또는 파트너에 대해 직접적인 전력 제어 명령 또는 다른 적절한 기술에 의해, 그 송신 전력을 추가로 제한할 수 있다.
다른 목적은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 상의 부하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기지국, 또는 다른 네트워크 인프라 구조 요소를 거치지 않고, 모바일 장치로부터 모바일 장치로의 피어 투 피어 통신을 허용함으로써, 피어 투 피어 통신은 네트워크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킨다. 네트워크 섹터 부하는 또한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된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의 피어 투 피어 사용에 의해 감소된다. 이러한 경우, 피어 투 피어 동작은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가능하지 않는 경우에도 무선 통신이 계속될 수 있게 한다.
내부 커버리지 동작의 경우,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한 초기 설정이 존재한다. 이하의 설명을 위해, 예시적인 CDMA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장치는 액세스 단말(AT)로 지칭되며, 네트워크는 액세스 네트워크(AN)로 지칭될 것이다. 이러한 용어는 TIA/EIA/IS-856 표준에서 명확하게 정의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100)는 다중 액세스 단말(106)에 서비스하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노드(104)를 포함한다. 소정의 시간에, AN(104)은 통신을 위해 이용가능한 피어 투 피어 모드가 있음을 결정하고 피어 투 피어 동작으로 AT(106) 중 하나를 전이(transition)시키기 위한 셋업을 시작한다. 일단 호가 설정되면, AT(106)는 AN(104) 및 피어 투 피어 파트너로부터 폐루프 전력 제어를 위한 전력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
외부 커버리지 및 비허가 대역 동작을 위해, AT(106)는 통신을 개시한다. AT(106)는 AN(104)을 통한 조정없이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적응된다.
목표는 푸쉬 투 미디어 동작 모드의 단말들로부터의 간섭과 동일하거나 낮은 레벨로 피어 투 피어 동작 모드의 동일한 단말들에 기인한 간섭을 유지하는 것이다.
또다른 목적은 푸쉬 투 미디어 동작 모드와 피어 투 피어 동작 모드 사이에서 무결절성 전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허가 및 비허가 대역에서의 외부 커버리지 및 내부 커버리지에 대한 통합된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적으로, 커버리지 시나리오 및 피어 투 피어 동작은 사용자게 보여지지 않고 제공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의 피어 투 피어 동작은 한 그룹 내의 많은 수의 사용자, 예를 들어, 피어 투 피어 모드에서 8명의 사용자, 및 방송 모드에서 매우 많은 수의 사용자를 지원하도록 설계된다. 피어 투 피어 동작은 다양한 모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모드에서, AT(106)들 중 미리 결정된 그룹은 호(call)에 대한 파트너로서 지정된다. 다른 모드는 경찰 또는 소방관에게 제공될 수 있는 공중 안전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도 있다. 또다른 모드에서, 하나의 AT(106)는 예를 들어, 방송 송신과 유사한 비디오 송신을 다수의 수신자들에게 송신한다.
내부 커버리지 동작
내부 커버리지 동작은 현재 허가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AN(104)에 의해 현재 서비스된 영역 내에서 이뤄지는 피어 투 피어 통신과 지칭한다. 이러한 경우, AT는 초기에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설정함에 있어서 AN(104)에 의해 지원되며, 피어 투 피어 통신은 현재 셀룰러 통화를 피어 투 피어 모드로 전환시키고, 또한 피어 투 피어 통화 기간 동안 AT(106)로부터의 전송들을 전력 제어한다. AN(104)은 연결을 수행하고, 이벤트 또는 트리거의 발생시 피어 투 피어 통신의 설정을 수행한다. 가능한 트리거는 다양한 고려에 기초하여 AN(104)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1) AT(106)의 위치; 2) 커버리지 영역 밖으로 이동하는 AT(106); 3)네트워크(100)의 부하; 4) 피어 투 피어 통신 참여자의 근접성; 5) 다수의 AT(106)에 대한 활성 세트(AS) 엔트리의 오버랩; 또는 6) AN(104)의 판단을 포함한다. 이어, AN(104)은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유지한다. 설정 및 시그널링은 CDMA2000 및 TIA/EIA/IS-856 고속 레이트 패킷 데이터(HRPD) 네트워크에 사용된 것과 동일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시나리오에서, AN(104)는 한 그룹의 AT(106)들 피어 투 피어 동작 모드를 시도할 것을 제안한다.
AN(104)의 식별 및 코딩은 예를 들어, 피어 투 피어 동작을 시도할 때 및/또는 피어 투 피어 동작 기간 동안 AN(104)에 의한 동적 의사 랜덤 잡음 PN 롱 코드 할당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피어 투 피어 그룹 형성에 있어서, 각각의 AT(106)는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위해 지정된 AT(106)들의 리스트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피어 투 피어 그룹을 형성할 수 있는 한 그룹의 건설 노동자들일 수 있다. AT(106)는 미리 구성된 그룹 내의 다른 AT(106)들에 대한 탐색을 제한할 수도 있다. 애드 혹(ad-hoc) 피어 투 피어 그룹을 위해 비축된 소정의 공통 롱 코드 마스크가 존재할 수도 있다. AT(106)는 공통 롱 코드 마스크를 사용하고 기존의 피어 투 피어 그룹에 대한 추가를 요청할 수도 있다. 현재 그룹 마스터에게는 새로운 피어 투 피어 클라이언트에 대한 탐색이 요구될 수 있다. AT(106)는 피어 투 피어 그룹을 설정하기 위해 공통 롱 코드 마스크를 이용하여 송신할 수 있다.
피어 투 피어 통신의 연결 설정 및 유지를 위해, 초기 포착 단계가 존재한다. 피어 투 피어 단말 포착을 위해, AT(106)들은 송신을 위한 최상의 채널을 선택한다. AN(104)는 AT(104)에 이용가능한 채널 리스트를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AN(104)은 선호되는 로밍 채널들 리스트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일단 단말이 지리적 영역에 속하는 1x 또는 DO 기지국을 목격하면 그 지리적 영역 내의 피어 투 피어 채널을 인식하게 된다. AT(106)는 지리적 영역에서 이용가능한 피어 투 피어 채널을 결정하기 위해 선호되는 로밍 리스트 내의 키로서 기지국 ID를 이용할 수도 있다. AN(104)는 TIA/EIA/IS-2000, Release A에서 설명된 범용 이웃 리스트 메시지, 또는 TIA/EIA/IS-856에서의 직접 메시지와 같은 미리 결정된 메시지 포맷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AT(106)는 피어 투 피어 포착 동안 전송의 순서를 결정하기 위해 채널 리스트를 갖는다. 주어진 AT(106)에 대한 개별 채널 리스트는 그 AT(106)에 고유하다. 채널 리스트는 AN(104)(예를 들면, 기지국)에 의해 제안될 수도 있다. 채널 송신 시퀀스는 각각의 AT(106)에 고유하며, 피어 투 피어 그룹 내의 모든 다른 AT(106)들에 의해 공지된다. AT(106)들은 또한 공통 롱 코드 마스크들을 이용하여 다른 AT(106)들을 탐색한다.
각각의 AT(106)는 통신을 수신하기 위해 최상의 채널의 표시를 다른 AT(106)들에 제공할 것이다. 각각의 AT(106)는 피드백에 기초하여 최상의 송신 채널을 선택하는데, 여기서 선호되는 송신 채널은 가장 바람직한 채널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용 가능한 채널상에서 서로 통신하기 원하는 2개의 AT(106)들은 그들 각각의 ID를 연쇄(concatenate) 시킴으로써 해쉬 값을 형성한다. 해쉬 값은 해쉬 함수로 입력되며, 해쉬 함수의 출력은 피어 투 피어 통신에 이용가능한 다수의 주파수 채널들 중 하나이다. 이는 2개의 AT(106)들이 동일한 채널 상에서 피어 투 피어 통신을 개시하게 한다. 해쉬된 채널상에서 피어 투 피어 통신을 개시한 후, AT(106)들은 협상하고, 피어 투 피어 통신에 가용한 다른 채널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피어 그룹의 모든 멤버의 ID들로부터 해쉬 값을 형성함으로써 두 개를 초과하는 AT(106)들로 확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AT(106)는 모든 이용가능한 채널에서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 AN(104)으로 그 측정치를 보고한다. AN(104)는 이어 AT(106)마다 또는 피어 투 피어 그룹에 대해 송신 및 수신에 사용할 최상의 채널을 제안한다. 최상의 채널은 시분할 다중화(TDM) 구조 또는 코드 분할 다중화(CDM) 구조와 같이, 변조 및 송신 시나리오로 특정된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CDM 구조는 다수의 타겟 수신자들로 동시 송신을 제공하는데, 여기서 송신들은 하나의 슬롯 동안 코드 분할 다중화된다. TDM 구조는 다수의 AT(106)들로의 송신을 위해 상이한 시간 슬롯들을 제공한다. 채널 선택은 송신기의 함수로서 변화할 수 있다. 최대 송신 전력은 전력 제어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논의되는 같이, CDMA 네트워크에 의해 제한된다.
피어 투 피어 단말 포착을 위해, (AT(106)에서) 수신된 신호대 간섭 및 잡음 비(SINR) 측정은 신뢰할 만한 추정치를 얻기 위해 적당한 시간 간격을 통해 수차례 실행된다. 이러한 측정 및 추정치는 포착 시간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채널 선택은 큰 채널 세트를 고려할 수도 있는데, 이는 네트워크에의 간섭을 감소시키고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위한 것이다. 그러나 큰 채널 세트는 포착 시간을 증가시킨다. 피어 투 피어 그룹에서 많은 수의 AT(106)들은 포착 시간을 추가로 증가시킨다.
피어 투 피어 동작을 구현하는 시스템은 다양한 트래픽 채널 동작 옵션들을 고려할 수 있다. 제1 옵션은 초기 포착에 기반하는 정적 채널 선택을 위한 것이며, 여기서 초기 포착 동안 최상의 채널들이 선택된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세스는 시간 소모적이다.
제2 옵션은 트래픽 동작 동안 채널 선택을 제공하는데, 여기서 AT(106)들은 최상의 채널 또는 적응형 주파수 호핑을 계속 이용한다. 제3 옵션은 트래픽 상태에 있을 때 적응형 주파수 호핑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랜덤 주파수 호핑을 이용하는데, 여기서 간섭은 시간에 대해 평균화 된다. 임의의 이벤트에서, 상이한 옵션이 각각의 변조/송신 시나리오, 즉 TDM 또는 CDM 구조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원리에 따른 2개의 AT(106)(사용자 #1 및 사용자 #2으로 지정됨)들 사이의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위한 물리계층 프로토콜의 이해를 위해 도3이 참조된다. 피어 투 피어 통신에 참여하는 각각의 피어 AT(106)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 #1, 사용자 #2 등과 같이 그룹 내의 고유 번호가 할당될 수 있다. 각각의 송신 슬롯은 이어 적어도 참여 피어가 있는 만큼의 부분으로 분할된다. 일부 상황에서, 슬롯은 참여자들의 수보다 더 많은 부분들로 분할될 수 있다. 사용자 번호는 사용자가 송신하는 슬롯 부분에 대응한다. 참여자가 2인 경우, 사용자 #1은 송신을 위해 첫 번째 절반 슬롯을 사용하며, 두 번째 절반 슬롯에서 수신하며, 사용자 #2는 송신을 위해 두 번째 절반 슬롯을 사용하며 수신을 위해 첫 번째 절반 슬롯을 사용한다. 보호 시간(GT)은 송신과 수신 사이의 시간을 허용하기 위해 각각의 송신에 대해 제공된다. GT는 스위칭 및 전파 지연을 허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3에 도시된 두 사용자들 사이의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위한 물리계층 프로토콜은 TIA/EIA/IS-856, 및 1xEV-DO와 일치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매체 액세스 제어(MAC) 채널들이 1xEV-DO-Rev시에 정의된 것과 유사한, 역방향 전력 제어(RPC) 및 자동 반복 요청(ARQ)을 위해 사용된다. 최종 송신 구조는 DATA, 이어 MAC, 이어 파일럿(P), 이어 MAC, 이어 GT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1은 슬롯의 제1 부분 동안 송신하고, 사용자 #2는 슬롯의 제2 부분 동안 송신한다.
도3에 도시된 2개의 피어 프로토콜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피어 투 피어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전력 제어 명령이 비트의 형태라고 가정하자. 이와 관련하여, 전력 제어 비트는 소정의 미리 결정된 또는 결정가능한 양만큼의 전력 증가를 명령하기 위해 일 극성(polarity)으로, 그리고 소정의 미리 결정된 또는 결정가능한 양만큼의 전력 감소를 명령하기 위해 반대 극성으로 설정된다. 송신 프레임은 16개의 송신 슬롯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프레임은 4개의 서브 프레임 그룹들로로 서브 분할되고, 각 그룹은 4개의 송신 슬롯으로 구성된다. 전력 제어 사이클은 각 프레임 당 4번 완료되며, 하나의 전력 제어 비트가 각각의 서브 프레임에서 전송된다. 각각의 피어 AT는 슬롯 마다 다른 피어의 수신된 전력 레벨을 측정하고, 서브 프레임 내에서 수신된 전력을 평균하고, 그 레벨을 외부 개루프 전력 세어 세트포인트에 기초하여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며, 소정의 미리 결정된 양만큼 송신 전력 레벨을 상승(또는 감소)시키도록 다른 피어에게 명령하기 위해 다음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송신 슬롯에서 전력 제어 비트를 전송한다. 전력 제어 비트는 지정된 송신 슬롯(들)의 두 개의 MAC 채널들 에서 코딩된다. 각각의 피어 AT는 그룹 내의 지정된 슬롯(들)의 두 개의 MAC 채널 각각으로부터 디코딩된 전력 제어 비트를 평균하며, 평균된 전력 제어 비트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 레벨을 제어한다. 이러한 예는 각 프레임 당 적어도 4개의 송신 전력 수정 동작을 위한 기회를 제공한다.
각각의 AT에 대한 송신 및 수신 경로들은 상이한 CDMA 채널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데이터 레이트가 다중 경로 경감을 위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슬롯의 DATA 부분으로서 지정된 부분 동안,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전송을 지원한다.
도4는 피어 투 피어 통신에서 4개의 피어 AT들이 참여하는 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피어 투 피어 동작은 TDM 구조를 이용하고, 전력 제어의 속도는 두 개의 AT들이 참여하는 경우에 비해 2배 느리다. AT(206)가 피어 투 피어 세션을 통해 다른 AT들과 통신할 수 있는 도2를 참조하라. 이 경우, 각각의 참여자는 전력 제어(PC) 비트를 피어 투 피어 통신에서 다른 참여자에 전송한다. 4개의 참여자 케이스는 그 이상의 참여자로 확대될 수도 있으며, 슬롯은 새로운 또는 부가의 참여자를 수용하기 위해 보다 많은 수의 부분으로 분할된다. 슬롯당 참여자들의 수의 증가는 PC 비트 레이트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감소는 역방향 링크 폐루프 전력 제어에 보다 적게 각각의 AT가 응답하게 하며 성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일 실시예는 부분 대역 송신으로 OFDM을 지원한다.
커버리지내 동작에 있어서, 피어 투 피어 모드에서 동작하는 각각의 AT는 AT의 활성 세트 내의 각각의 기지국 트랜시버 시스템(BTS)과 같은 AN 및 피어 투 피어 파트너(들)의 전체 또는 일부에 의해 전력 제어된다. 일반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 및 다른 피어 AT들은 피어 투 피어 통신에 관여하는 AT의 역방향 링크 폐루프 전력 제어에 참여한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채널 엘리먼트(CE)에는 AT의 활성 세트 내의 모든 BTS가 할당된다. 핑거가 액티브 세트의 BTS 중 하나와 최소한으로 로킹상태(in-lock)로 계속하여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BTS 수신기에서 최소 전력이 요구된다. TIA/EIA/IS-95 및 TIA/EIA/IS-2000과 같은 DS-CDMA에 대한 통상적인 전력 제어와 달리, 피어 투 피어 동작 모드는 두 개의 전력 제어 세트 포인트를 필요로 한다. 간섭 세트포인트 또는 임계치는 BS가 피어 투 피어 단말로부터 기꺼이 수용하는 최대 간섭 전력으로 선택된다. 이러한 세트포인트는 폐쇄 루프 전력 제어 프로토콜의 외부 루프에 의해 결정되는 최대 전력 제어 세트포인트일 수도 있다. 핑거 세트포인트 또는 임계치는 RAKE 핑거 상에서 로킹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최소 수신 전력으로서 선택된다.
어떻게 AT의 전력 제어가 물리계층에서 시그널링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도5를 참조하라. 도5에서, 간섭 세트 포인트 및 핑거 세트 포인트에 기인한 전력 제어(PC) 비트는 각각 포인트 투 포인트 폐루프 전력 제어 레이트의 1/2에서, 적어도 하나의 AN에 의한 순방향 링크(FL)에서 인터레이스된 AT로 송신된다. 간섭 세트포인트는 임계치이며, 그 이상에서 강제적인 다운 비트가 짝수 슬롯 동안 AN으로부터 송신되며; 논리적 하이는 AN에서 수신된 전력이 간섭 세트포인트보다 큰 경우 사용되며; 의무적 다운 비트의 논리 로우는 무관(don't care) 조건을 나타낸다. 핑거 록업 비트는 홀수 슬롯 동안 송신되며 AN에서 수신된 전력이 핑거 록 세트포인트보다 적은 경우 논리 로우이며; 핑거 록업 비트의 논리 하이는 무관 조건을 나타낸다. 세트 포인트 계산의 예는 미국 특허 6,609,008에 개시된다. 도5는 AT에서 제1 수신 체인 상의 AN으로부터 그리고 다른 수신 체인 상의 피어 AT로부터 전력 제어 비트에 대한 스케쥴링을 도시한다. "I" 명령은 간섭 세트포인트에 기초하고 AN으로부터 송신된 의무적 다운 명령을 의미한다. "F" 명령은 핑거 세트포인트에 기초한 전력 제어 명령을 의미하는데, 여기서 AN은 자신의 모든 핑거 또는 적어도 하나의 핑거 상에서 신호를 수신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결정한다. 피어 AT로부터의 PC 비트(PTP)는 모든 송신 슬롯 동안 역방향 링크(RL) 상에서 포인트 투 포인트 폐루프 전력 제어 레이트로 AT에 전송된다. 피어 투 피어 전력 제어 비트는 피어 AT에서 수신된 전력이 송신 세트포인트 이상이면 논리 하이값을 가지며, 피어 AT에서 수신된 전력이 송신 세트포인트 이하이면 논리 로우값을 갖는다. 물론, 이러한 비트 규칙은 반전될 수도 있으며, 다른 신호 규약을 이용하여 다른 규약이 사용될 수도 있다.
각각의 세트포인트에 대해, 새로운 비트가 가용하지 않는 송신 슬롯 동안 어느 한 비트가 요구될 때, 앞선 슬롯 동안 수신된 비트가 사용된다. 특히, I 비트는 슬롯(n) 동안 송신되며, 슬롯(n+1) 동안 송신되지 않는다. 슬롯(n) 동안, AT는 그 슬롯 동안 송신된 I 비트에 응답하여 전력 제어 결정을 한다. 슬롯(n+1) 동안, AT는 슬롯(n) 동안 송신된 I 비트 및 슬롯(n+1) 동안 송신된 F 비트에 응답하여 전력 제어 결정을 한다. 유사하게, 슬롯(n+2) 동안, AT는 (n+2) 슬롯 동안 송신된 I 비트 및 슬롯(n+1) 동안 송신된 F 비트에 응답하여 전력 제어 결정을 한다.
AN은 AT에 측정된 (열 잡음에 대한 칩당 에너지의) Ecp/Nt 비의 델타 값 및 트래픽 세트포인트를 제공한다. AT가 AN에 의해 디코딩될 데이터를 송신한 때, AT는 시그널링/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파일럿 송신 전력을 상승시켜야 한다.
도5에서, 각각의 송신 슬롯의 PC 비트 표현은 하나 이상의 비트들에 대한 값들을 포함하고, 그 각각은 각각의 소스로부터 전송되고, 모든 유사 비트(예를 들어, 모든 I 비트 또는 모든 F 비트)들은 코드 분할 멀티플렉싱된다. 따라서, AT의 활성 세트 내의 각각의 BTS는 각각의 코드를 이용하여 I 및 F 비트를 전송하고, AT는 짝수의 송신 슬롯에서 하나 이상의 I 비트를 수신 및 디코딩하고, 홀수의 송신 슬롯에서 하나 이상의 F 비트를 수신 및 디코딩한다. 각각의 피어 AT는 각각의 코드하에서 PC 비트를 전송하며, 하나 이상의 PTP 비트가 임의의 송신 슬롯에서 수신 및 디코딩된다. 따라서, 피어 투 피어 모드에서 동작하는 AT에 대한 폐루프 전력 제어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행된다. 우선, 일 타입의 모든 전력 제어 메시지들이 이하의 법칙에 따라 서로 결합된다.
- 유효 의무적 다운 PC 명령이 활성 세트 내의 모든 BTS로부터의 모든 의무적 다운 PC 비트들에 대해 OR로 정의되며, 따라서 AT는 임의의 BTS가 의무적 다운을 전송한 때 송신 전력을 감소시켜야 한다;
- 유효 핑거 록 업 PC 명령은 활성 세트 내의 모든 BTS로부터 모든 핑거 록 업 PC 비트들에 대해 AND로 정의되며, 따라서 AT는 모든 BS가 핑거 록 업을 전송하는 경우에만 전력을 증가시킨다;
- 유효 PTP 업 PC 명령은 참여하는 피어(들)로부터의 모든 업 PC 비트들에 대해 OR로 정의되며, 따라서 AT는 적어도 하나의 피어가 업을 표시하면 전력을 상승시킨다.
이러한 논리 동작의 결과는 "유효 PC 명령"이다. 이러한 유효 명령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리지내 피어 투 피어 동작 동안 AT에 의해 결합된다. 전력 제어 명령의 비트 값은 논리 값을 비트 값으로 맵핑함으로써 정의되는데; 여기서, "참"의 논리 값은 "1"의 값으로 맵핑되고, "거짓"의 논리 값은 "0"의 값으로 맵핑되다. 예를 들어, 의무적 다운 명령은 다운 명령을 지시하기 위해 1(참)의 비트 값을 사용하는 반면, 핑거 록 업 명령은 다운 명령을 지시하기 위해 0(거짓)의 비트 값을 사용한다. 물론, PTP 업 명령은 또한 업 명령을 지시하기 위해 0(거짓)의 비트 값을 사용한다. 유효 명령은 표6의 테이블의 우측열에 도시된 결과를 생성하도록 결합된다. 각 행에서, "다운" 결과는 AT가 자신의 송신 전력 레벨을 미리 결정된 또는 결정가능한 양, 예를 들면 1dB 만큼을 감소시키게 한다. "업" 결과는 AT가 미리 결정된, 또는 결정가능한 양, 예를 들면 1dB 만큼을 증가시키게 한다. 비록 비작용(N/A)으로 라벨링된 두 경우가 결코 발생하지 않아도, AT는 이러한 두 경우에 비작용으로 정의된다.
일 실시예는 피어 투 피어 모드를 사용하는 AT들 사이의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해 무결절 동작을 제공한다. 제1 옵션에서, 피어 투 피어 파트너(들)을 탐색하도록 하는 AN으로부터의 명령시, AT는 게이팅된 모드에서 동작을 시작한다. 송신 듀티 사이클은 TDM 구조를 사용할 경우 피어 투 피어 파트너(들)의 수의 함수이다. CDM 구조를 사용할 경우, 송신기가 AN의 역할에 할당된다. 피어 투 피어 단말들은 게이팅된 ON 슬롯 동안 송신되는 파일럿 채널을 사용하여 파트너를 포착하도록 시도한다.
제2 옵션에서, AT는 TIA/EIA/IS-95B에 사용된 것과 같이 다른 주파수 탐색 절차를 사용한다. 파일럿 검출에 뒤이어, 전력 제어 비트가 피어 투 피어 AT들에 의해 파트너(들)로 전송되며, 시그널링 지시가 피어 투 피어 파트너(들)의 포착의 통지로서 AN에 전송된다.
피어 투 피어 장치는 BS 및 피어 투 피어 파트너로부터 전력 제어 비트를 구별하여야 한다. 일 실시예는 이러한 식별을 위해 명백한 MACID 공간을 실현한다. 다른 실시예는 피어 투 피어 동작 모드를 표시하는 AN으로부터의 시그널링 표시 이후에만 전력 제어 비트를 사용한다.
코드 분할 다중화( CDM ) 구조
CDM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 일 AT는 피어 투 피어 파트너들인 다른 AT로 송신한다. 송신 AT는 AN 직무를 실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송신 AT는 모든 피어 투 피어 파트너들로부터 전력 제어를 수신한다. 피어 투 피어 파트너들은 송신 AT로부터 단지 수신만 한다. 도7은 송신 방식을 도시한다. 사용자 #1은 AN으로서 동작하는 송신 AT이다. 사용자 #1은 송신 슬롯의 3/4 동안 송신하고, 송신 슬롯의 1/4 동안 수신한다. 피어 투 피어 파트너들은 송신 슬롯의 1/4 동안 파일럿 및 전력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피어 투 피어 파트너로부터의 송신은 코드 분할 다중화된다.
그룹 설정에 앞서, 수신 AT들은 파일럿 및 전력 제어 명령을 송신 AT로 송신한다. 일 예에서, 피어 투 피어 그룹은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해 주파수 호핑을 사용한다.
송신 AT가 사용자 #1로부터 다른 파트너, 사용자 #k, 로 변경되면, 피어 투 피어 그룹은 재설정 절차를 실행한다.
시분할 다중화(TDM) 구조
TDM 구조는 도4에 도시되며, 여기서 각각의 참여자는 송신 슬롯의 지정된 부분 동안 송신한다. 참여자가 송신하는 경우, 송신은 페이로드(즉, 데이터) MAC 계층 시그널링 정보 및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며, 보호 시간(GT)을 허용한다. MAC 계층 시그널링은 전력 제어 명령들을 포함한다.
TDM 구조는 피어 투 피어 그룹 내의 모든 AT들이 피어 투 피어 그룹의 다른 AT들을 전력 제어하게 한다. TDM 구조의 전력 제어는 ARQ 방식을 사용하여 강화될 수도 있다.
외부 커버리지 비허가 대역 동작
외부 커버리지 영역 또는 비허가 대역에서의 동작은 AN 없이 실행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룹내의 AT들은 자체적으로 피어 투 피어 통신을 개시 및 유지한다. 외부 커버리지 및 비허가 대역 동작에 대한 최소 변화들을 통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개시(start-up)는 공통 PN 롱 코드 마스크에 기초한다.
AN이 이러한 통신 모드에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전력 제어는 피어 투 피어 파트너들로부터의 업 명령들에 대한 OR에 기초한 결정으로 감소된다. 다시 말해, 주어진 AT는 파트너들 중 임의의 하나가 업 전력 명령을 전송하는 경우, 송신 전력을 증가시킬 것이다.
개략적인 타이밍 포착이 수행되며, GPS에 의해 지원된다. 정교한 타이밍 포착을 위해, AT는 피어 투 피어 파트너(들)로부터 파일럿(들)을 사용한다.
일단 피어 투 피어 그룹이 식별되면(그룹 AT들이 양호한 타이밍을 갖는 것으로 가정함), 송신 슬롯 내의 위치가 그룹 내의 모든 다른 AT들에 의해 공지된다. AT들은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고, 어떤 채널이 전송에 사용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AT와의 연결이 설정될 때까지 AT들은 탐색을 계속하며, 여기서 그룹 내의 모든 AT들에 대한 탐색은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 동안 실행된다.
다중 수신 체인
논의된 실시예의 구현은 액세스 단말 RF 송신 및 수신 회로를 위한 현재 설계에 대한 하드웨어 변경을 필요로 한다. 재설계를 위한 일 방법은 다중 수신 체인들을 유지하기 위해 새로운 수신 체인을 구현하는 것이다. 이는 필요한 성능을 제공하지만 추가 비용 및 하드웨어의 복잡성을 유발한다.
다른 방법은 다이버시티 수신기를 제공하는 RF 스위치들을 도입한다. RF 스위치들은 하드웨어 변경 비용을 감소시키지만, 감도(sensitivity)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도8은 RF 스위치(들)을 구현함으로서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다중 수신 체인을 갖는 AT의 하드웨어 RF 부분의 일 실시예이다. 도8에서, I/Q 기저 대역 신호(I/Q BB)는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VCO)(804)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역방향 링크 위상 동기 루프(RL PLL)(802)를 포함하는 송신 체인을 통해 액세스 단말로부터 역방향 링크 상에서 송신된다. VCO(804)는 RL 주파수 신호를 제공하고, RL 주파수 및 I/Q BB 신호가 믹서(806)에서 혼합된다. 믹서(806)에 의해 생성된 업 컨버팅된 신호는 사전 증폭기(807)에 의해 사전 증폭되며, 역방향 링크 필터(808)에 의해 필터링되고, 전력 증폭기(809)에 의해 증폭되며, 듀플렉서(811)를 통해 제1 안테나(812)로 제공된다. 순방향 링크 신호는 표준 액세스 단말 RF 섹션에서 다이버시티 목적을 위해 제공된 두 개의 수신 체인들 상에서 수신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수신 체인에서 제1 수신 신호는 안테나(812)로부터 듀플렉서(811)를 통해 순방향 링크(FL) 필터(814)로 제공된다. 필터(814)의 출력은 저잡음 증폭기(LAN)(816)에 의해 증폭되고, FL 위상 동기 루프(FL PLL)(818), VCO(820) 및 2분주 회로(divided-by-two circuit)(821)에 의해 생성된 FL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믹서(821)에서 다운 컨버젼된다. 제1 복원된 FL 기저 대역 신호는 신호 라인(822) 상에서 믹서(821)에 의해 출력된다. 제2 (다이버시티) 수신 체인은 제2 수신 신호를 순방향 링크(FL) 필터(826)로 제공하는 안테나(824)를 포함한다. 필터의 출력은 LNA(828)에 의해 증폭되고, FL 위상 동기 루프(FL PLL)(818), VCO(820) 및 2분주 회로(821)에 의해 생성된 FL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믹서(830)에서 다운 컨버젼된다. 제2 복원된 FL 기저 대역 신호는 신호 라인(832) 상에서 믹서(830)에 의해 출력된다.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위한 제3 수신 체인은 RF 스위치(840 및 842), 오실레이터 스위치(844), 역방향 링크(RL) 필터(846), 및 버퍼(848)에 의해 제공된다. RF 스위치(840)는 안테나(824)의 출력에 접속되며, 수신된 신호를 FL 필터(826) 또는 RL 필터(846)로 스위칭한다. RF 스위치(842)는 FL 필터(826)의 출력 또는 RL 필터(846)의 출력과 연결되며, 이들 출력 중 하나를 LNA(828)의 입력으로 스위칭한다. RL VCO(804)는 또한 버퍼(848)로 출력을 제공한다. 오실레이터 스위치(844)는 FL 주파수 신호 및 RL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며, 이들 신호 중 하나를 믹서(830)에 제공한다. 액세스 노드와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 인프라 구조로부터 순방향 링크 통신을 수신하기 위해, RF 스위치(840) 및 (842)는 FL 필터(826)에 연결되며, 오실레이터 스위치(844)는 FL 주파수 신호를 믹서(830)에 접속하며, 그 결과 변조된 FL I/Q 기저 대역 신호는 액세스 네트워크 인프라 구조로부터 비롯된다. 이러한 회로 조건은 액세스 단말과 액세스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며, 예를 들어 간섭 및 핑거 록 전력 제어 명령을 액세스 단말로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피어 액세스 단말로부터의 역방향 링크 통신을 위해, RF 스위치(840 및 842)는 RL 필터(846)에 접속되고 오실레이터 스위치(844)는 RL 주파수 신호를 믹서(830)에 연결시키며, 그 결과 하나 이상의 피어 액세스 단말로부터의 복조된 RL I/Q 기저 대역 신호가 생성된다. 이러한 회로 조건은 액세스 단말과 그 피어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며,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에 PTP 전력 제어 명령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바이패스 다이버시티가 AT의 하드웨어 RF 부분에서 수신 경로 LNA에 의해 도입된다. 이는 최소 비용으로 구현되지만 추가적인 안테나를 필요로 한다. 도9는 이러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9에서 다중 수신 체인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RF 스위치(940)로 구현된다. 제2 및 제3 수신 체인에서의 차이가 있지만, AT의 RF 부분은 도8과 유사하다. 제2 (다이버시티) 수신 체인은 수신 신호를 순방향 링크(FL) 필터(926)로 제공하는 안테나(924)를 포함한다. 필터(926)의 출력은 LNA(928)에 의해 증폭되며 복조된 FL I/Q 기저 대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도8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FL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믹서(930)에서 다운 컨버젼된다.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위한 제3 수신 체인은 역방향 링크(RL) 필터(936)로 수신된 신호를 제공하는 안테나(934)를 포함한다. 필터의 출력은 LNA(938)에 의해 증폭되며 복조된 RL I/Q 기저 대역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도8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RL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믹서(930)에서 다운 컨버젼된다. RF 스위치(940)는 LNA(928 및 938)의 출력에 연결된 입력 및 믹서(930)의 일 입력에 연결된 출력을 갖는다. 오실레이터 스위치(944)는 FL 및 RL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및 믹서(930)의 제2 입력에 연결된 출력을 갖는다. 액세스 노드와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 인프라 구조로부터 순방향 링크 통신을 수신하기 위해, RF 스위치(940)는 LNA(928)에 접속되며, 오실레이터 스위치(944)는 FL 주파수 신호를 믹서(930)에 연결시키며, 그 결과 복조된 FL I/Q 기저 대역 신호는 액세스 네트워크 인프라 구조로부터 비롯한다. 이러한 회로 조건은 액세스 단말과 액세스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며, 예를 들어 간섭 및 핑거 록 전력 제어 명령을 액세스 단말로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피어 액세스 단말로부터 역방향 링크 통신을 수신하기 위해, RF 스위치(940)는 LNA(938)에 연결되며 오실레이터 스위치(944)는 RL 주파수 신호를 믹서(930)에 연결시키며, 그 결과 하나 이상의 피어 액세스 단말로부터 복조된 RL I/Q 기저 대역 신호가 생성된다. 이러한 회로 조건은 액세스 단말과 그 피어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며 예를 들어, PTP 전력 제어 명령을 액세스 단말로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도10은 피어 투 피어 모드에서 내부 커버리지 AT에 대한 전력 제어 방법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1000)이다. 전력 제어 방법(1000)의 동작은 AT가 단계(1010)에서 피어 투 피어 동작을 시작하면서 개시된다. 여기서, AT는 단계(1020)에서 자신의 제1 FL 수신 체인을 사용하며, 자신의 RL 수신 체인을 인에이블한다. 초기에, 단계(1040)에서, AT는 다중 액세스 시스템 및 하나 이상의 피어 액세스 단말로부터 수신된 총 전력에 기초하여 개루프 전력 제어를 실시한다. 총 전력에 기초하여, AT는 시스템으로부터의 응답을 유도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평균 전력 레벨로 RF 송신 전력 레벨을 설정하고 프로브를 송신한다. 상기 시도가 실패하면, AT는 소정의 미리 결정된 양만큼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고 다시 프로브를 송신한다.
AT가 시스템 응답을 수신하면, 방법(1000)은 단계(1060)에서 폐루프 PC로 전환되며, AT가 통신을 수행하는 액세스 단말(피어 단말)들은 AT의 RF 송신 전력 레벨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전력 레벨에 대한 각각의 세트포인트들을 계산한다. 시스템 제어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노드에 의해 실행된다. 피어 단말은 개별적으로 AT의 전력을 제어한다. 폐루프 전력 제어의 일 실시예에서, AT는 CDMA 셀룰러 시스템에서 동작하며, 그 송신 전력은 활성 세트 내의 모든 기지국 트랜시버 및 AT가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피어 단말에 의해 제어된다. 이 경우, 각각의 기지국 트랜시버는 AT에 대한 간섭 및 핑거록 세트포인트를 계산하며, 각각의 피어 단말은 AT에 대한 피어 투 피어 세트포인트를 계산한다.
AT의 송신 전력은 단계(1080)에서 시작하여 폐루프 제어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기지국 트랜시버는 AT로부터 수신된 전력의 레벨을 그 AT에 대해 계산된 간섭 세트포인트 값과 비교한다. 레벨이 간섭 세트 포인트값을 초과하면, 의무적 다운 명령(I)이 단계(1082)에서 설정된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1084)에서, AT로부터 수신된 전력 레벨은 AT에 대해 계산된 핑거 록 세트포인트와 비교된다. 만일 레벨이 세트포인트 값보다 작으면, 업 명령(F)이 단계(1086)에서 설정된다. I 및 F 명령은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에 참여하는 모든 액세스 노드로부터 AT로 송신된다. 예를 들어, I 및 F 명령은 도5와 관련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교번적인(alternate) 송신 슬롯에서 인터레이스된 순방향 링크 상에서 AT로 송신된다. 동시에, 단계(1088)에서, 하나 이상의 피어 단말은 AT에 의해 송신된 전력의 레벨을 개별적으로 계산된 세트포인트와 비교하며, 송신 전력을 감소(1090) 또는 송신 전력을 증가(1092)시키기 위해 AT로 명령을 송신한다. 예를 들어, 피어 단말 PTP 명령은 AT 및 그 파트너 피어 단말들에 대한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위해 지정된 역방향 링크 상에서 매 송신 슬롯 마다 AT로 송신된다.
단계(1093)에서, AT는 유효한 명령들을 이끌어 내기 위해 각각의 제어 명령을 결합하고, 그리고 나서 결과적인 송신 전력 레벨 조정 동작을 생성하기 위해 유효 명령들을 결합하는 전력 조정 메커니즘에 따라 그 송신 전력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각 전송 슬롯에서 수신된 I 또는 F 및 PTP 전력 제어 명령에 응답한다. 이와 관련하여, AT는 각각 미리 결정된 또는 결정가능한 양만큼 송신 전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는 조치를 취하지 않고 송신 전력 레벨을 변경없이 유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전력 레벨에 대한 조정을 결정하기 위해 도6의 전력 제어 메커니즘이 AT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세트포인트는 다이나믹한 전송을 수용하기 위해 연속하여 재계산되어야 한다. 폐루프 전력 제어 방법은 단계(1094)에서 인터벌의 결정을 포함하며, 뒤이어 세트포인트의 재계산이 단계(1096)에서 발생할 수 있다. 세트포인트 재계산은 예를 들어 프레임의 콘텐츠를 디코딩(또한 "패킷 디코딩")하는 것에 응답하는 것과 같이 일정한 간격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 점에 관해서, 전체 16개의 슬롯 프레임의 수신시, 수신자는 프레임을 디코딩하려고 시도한다. 만일 전체 프레임이 수신되지 않으면, 방법은 세트포인트를 재계산하지 않고 단계(1080)로 복귀한다. 그렇지 않았다면, 세트포인트는 재계산된다. 만일 프레임이 틀리게 디코딩되면, 전력 제어 세트포인트는 소정의 미리 결정된(또는 결정가능한) 양만큼 증가된다. 그렇지 않으면, 세트포인트는 소정의 더 작은 양만큼 감소된다. 세트포인트 값은 예를 들어, AT로부터 수신된 EcP/Nt(예를 들어, 신호대 잡음비)와 비교된다.
도11은 피어 투 피어 모드에서 외부 커버리지 또는 외부 대역의 AT에 대한 전력 제어 방법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1100)이다. 전력 제어 방법(1100)의 동작은 외부 대역 또는 외부 커버리지 상태의 AT를 이용하여 단계(1110)에서 시작한다. 각각의 참여 AT는 피어 단말로부터 통신을 수신하기 위해 RL 수신 체인을 이용한다. 단계(1120)에서, AT는 지정된 역방향 링크 상에서 전송을 시작하며 피어 투 피어 통신에 참여하는 피어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총 전력에 기초하여 개루프 전력 제어를 실행한다. 송신 AT로부터 수신된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참여하는 피어 단말들은 단계(1130)에서 PTP 세트포인트를 계산하며, 방법은 단계(1132)에서 폐루프 전력 제어로 전환된다. 단계(1132)에서, 하나 이상의 피어 단말은 AT에 의해 송신된 전력의 레벨을 개별적으로 계산된 세트포인트와 비교하며, 송신 전력을 감소(1133) 또는 송신 전력(1134)을 증가시키기 위해 AT로 명령을 송신한다. 예를 들어, 피어 단말 PTP 명령들은 AT 및 그 파트너 피어 단말들에 대한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위해 지정된 역방향 링크 상에서 매 송신 슬롯에서 AT로 송신된다. 단계(1135)에서, AT는 유효 명령들을 이끌어 내기 위한 PTP 전력 제어 명령들을 결합하ㄱ고, 결과적인 송신 전력 조정을 행함으로써 이러한 유효 명령들에 응답하는 전력 조정 메커니즘에 따라 그 송신 전력 레벨을 조정함으로서 각 전송 슬롯에서 수신된 PTP 전력 제어 명령들에 응답한다. 이 점에 관해서, AT는 각각의 미리 결정된 또는 결정가능한 양만큼 송신 전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으며, 어떠한 작용도 하지 않고 송신 전력 레벨을 변경없이 유지할 수도 있다.
세트포인트는 다이나믹한 송신을 수용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재계산되어야 한다. 폐루프 전력 제어 방법은 단계(1136)에서 인터벌의 결정을 포함하며, 뒤이어 단계(1138)에서 세트포인트의 재계산이 발생한다. 세트포인트 재계산은 예를 들어, 패킷 디코딩에 의한 결과에 응답하는 것과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발생한다.
당업자는 정보 및 신호들이 다양한 타입의 상이한 기술들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음을 잘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상에 제시된 데이터, 지령, 명령, 정보, 신호, 비트, 심벌, 및 칩은 전압, 전류, 전자기파, 자기장 또는 입자, 광 필드 또는 입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당업자는 상술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블록, 모듈, 회로,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음을 잘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호 호환성을 명확히 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소자들, 블록, 모둘, 회로,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기술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해 부가된 설계 제한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는 이러한 기능들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이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이 법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 DSP; 주문형 집적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어블 논리 장치;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이러한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것들의 조합을 통해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일 수 있지만; 대안적 실시예에서, 이러한 프로세서는 기존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이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이 계산 장치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의 단계들 및 알고리즘은 하드웨어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플래쉬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ROM); 전기적 프로그램어블 ROM(EPROM); 전기적 삭제가능한 프로그램어블 ROM(EEP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휴대용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ROM(CD-ROM); 또는 공지된 저장 매체의 임의의 형태로서 존재한다. 예시적인 저장매체는 프로세서와 결합되어, 프로세서는 저장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여 저장매체에 정보를 기록한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 및 저장매체는 ASIC 에 위치한다. ASIC 는 사용자 단말에 위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서 이산 컴포넌트로서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당업자가 본원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술되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을 당업자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여기서 정의된 원리들은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 예를 들면 인스턴트 메세징 서비스 또는 다른 임의의 무선 데이터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제시된 사상을 따르는 다른 실시예들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예시적인" 및 "실시예"와 같은 용어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단지 예시적으로 제시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예시적인" 및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들에 비해 선호되는 또는 바람직한 것으로 해석될 필요는 없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48)

  1.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단말을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의 역방향 링크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단말로부터 피어 투 피어 송신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단말로부터 전력 제어 명령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제어 명령들에 응답하여 송신 전력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을 동작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상기 전력 제어 명령들은 상기 네트워크에 대해 유발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는 명령, 및 네트워크 핑거 록(finger lock)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단말을 동작시키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은 다수의 수신 체인들을 포함하며, 전력 제어 명령들을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의 순방향 링크에 대해 튜닝된 수신 체인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전력 제어 명령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역방향 링크에 대해 튜닝된 수신 체인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단말로부터의 전력 제어 명령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단말을 동작시키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상기 전력 제어 명령들은 상기 네트워크에 대해 유발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는 명령, 및 네트워크 핑거 록(finger lock)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단말을 동작시키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전력 제어 명령들을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역방향 링크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단말로부터의 전력 제어 명령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단말을 동작시키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전력 제어 명령들을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네트워크 순방향 링크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전력 제어 명령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단말을 동작시키는 방법.
  7.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모바일 폰을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 상에서 적어도 제2 모바일 폰으로부터 피어 투 피어 송신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 및 상기 제2 모바일 폰으로부터 전력 제어 명령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제어 명령들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모바일 폰의 송신 전력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모바일 폰을 동작시키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으로부터의 상기 전력 제어 명령들은 상기 시스템에 대해 유발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는 명령, 및 시스템 핑거 록(finger lock)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모바일 폰을 동작시키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바일 폰은 다수의 수신 체인들을 포함하며, 전력 제어 명령들을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시스템의 순방향 링크에 대해 튜닝된 수신 체인 상에서 상기 시스템으로부터의 전력 제어 명령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역방향 링크에 대해 튜닝된 수신 체인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모바일 폰으로부터의 전력 제어 명령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모바일 폰을 동작시키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으로부터의 상기 전력 제어 명령들은 상기 시스템에 대해 유발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는 명령, 및 시스템 핑거 록(finger lock)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모바일 폰을 동작시키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전력 제어 명령들을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역방향 링크 상에서 적어도 상기 제2 모바일 폰으로부터의 전력 제어 명령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모바일 폰을 동작시키는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전력 제어 명령들을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시스템 순방향 링크 상에서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전력 제어 명령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모바일 폰을 동작시키는 방법
  13.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위한 제1 액세스 단말을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액세스 단말과의 피어 투 피어 통신 중인 적어도 제2 액세스 단말 및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전력에 응답하여 개루프 절차에 의해 상기 제1 액세스 단말의 송신 전력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의 역방향 링크 상에서 적어도 상기 제2 액세스 단말로부터의 피어 투 피어 송신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및 적어도 상기 제2 액세스 단말로부터의 전력 제어 명령들에 응답하여 폐루프에 의해 상기 제1 액세스 단말의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위한 제1 액세스 단말을 동작시키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세스 단말은 다수의 수신 체인들을 포함하며,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의 순방향 링크에 대해 튜닝된 수신 체인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전력 제어 명령들을 포함하는 통신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역방향 링크에 대해 튜닝된 수신 체인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단말로부터의 전력 제어 명령들을 포함하는 통신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액세스 단말을 동작시키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상기 전력 제어 명령들은 상기 네트워크에 대해 유발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는 명령, 및 네트워크 핑거 록(finger lock)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액세스 단말을 동작시키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상기 전력 제어 명령들은 상기 네트워크에 대해 유발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는 명령, 및 네트워크 핑거 록(finger lock)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송신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액세스 단말을 동작시키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링크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단말로부터의 전력 제어 명령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액세스 단말을 동작시키는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순방향 링크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전력 제어 명령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액세스 단말을 동작시키는 방법.
  19.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네트워크와 액세스 단말 사이에서 포인트 투 포인트 통신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단말이 피어 투 피어 송신을 수신하게 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전력 제어 명령들을 상기 액세스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단말과 피어 투 피어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액세스 단말로부터의 전력 제어 명령들을 상기 액세스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상기 전력 제어 명령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액세스 단말로부터의 상기 전력 제어 명령들에 응답하여 상기 액세스 단말의 송신 전력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를 동작시키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전력 제어 명령들을 상기 액세스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의 순방향 링크 상에서 상기 전력 제어 명령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를 동작시키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액세스 단말이 피어 투 피어 송신을 수신하게 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액세스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의 역방향 링크 상에서 피어 투 피어 송신을 수신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를 동작시키는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액세스 단말로부터의 전력 제어 명령들을 상기 액세스 단말로 송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의 역방향 링크 상에서 상기 전력 제어 명령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를 동작시키는 방법.
  23. 삭제
  24. 삭제
  25. 다중 액세스 시스템에서 피어 투 피어 통신들을 위한 액세스 단말로서,
    상기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 상에서 통신들을 송신하는 송신 체인;
    상기 시스템의 순방향 링크 상에서 통신들을 수신하는 제1 수신 체인; 및
    상기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 상에서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수신하는 제2 수신 체인을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신 체인은 순방향 링크 다이버시티 수신 섹션, 역방향 링크 수신 섹션, 복조 섹션, 및 상기 순방향 링크 다이버시티 수신 섹션 또는 상기 역방향 링크 수신 섹션 중 하나를 상기 복조 섹션에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단말.
  27. 제26항에 있어서,
    제1 안테나;
    상기 송신 체인 및 상기 제1 수신 체인을 상기 제1 안테나에 연결시키는 듀플렉서;
    제2 안테나; 및
    상기 순방향 링크 다이버시티 수신 섹션 또는 상기 역방향 링크 수신 섹션 중 하나를 상기 복조 섹션에 연결시키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치와 협력하여 상기 순방향 링크 다이버시티 수신 섹션 또는 상기 역방향 링크 수신 섹션 중 하나를 상기 제2 안테나에 연결시키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단말.
  28. 제26항에 있어서,
    제1 안테나;
    상기 송신 체인 및 상기 제1 수신 체인을 상기 제1 안테나에 연결시키는 듀플렉서;
    상기 순방향 링크 다이버시티 수신 섹션에 연결된 제2 안테나;
    상기 역방향 링크 수신 섹션에 연결된 제3 안테나; 및
    상기 순방향 링크 다이버시티 수신 섹션 또는 상기 역방향 링크 수신 섹션 중 하나를 상기 복조 섹션에 연결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단말.
  29. 삭제
  30. 삭제
  31.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단말을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의 순방향 링크 상에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의 네트워크 관리 송신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의 역방향 링크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단말로부터 피어 투 피어 송신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역방향 링크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단말로 피어 투 피어 송신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네트워크 관리 송신을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전력 제어 명령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피어 투 피어 송신을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단말로부터의 전력 제어 명령들 및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전력 제어 명령들에 응답하여 상기 액세스 단말의 송신 전력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단말을 동작시키는 방법.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KR1020067012348A 2003-11-21 2004-11-19 피어 투 피어 통신이 가능한 셀룰러 통신 단말의 송신 전력 레벨 조정 KR1008137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2398903P 2003-11-21 2003-11-21
US60/523,989 2003-11-21
US10/954,846 US7539507B2 (en) 2003-11-21 2004-09-29 Peer-to-peer communications
US10/954,846 2004-09-2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2967A Division KR100810655B1 (ko) 2003-11-21 2004-11-19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위한 액세스 단말을 동작시키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101A KR20060094101A (ko) 2006-08-28
KR100813710B1 true KR100813710B1 (ko) 2008-03-13

Family

ID=345950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2967A KR100810655B1 (ko) 2003-11-21 2004-11-19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위한 액세스 단말을 동작시키는 방법
KR1020067012348A KR100813710B1 (ko) 2003-11-21 2004-11-19 피어 투 피어 통신이 가능한 셀룰러 통신 단말의 송신 전력 레벨 조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2967A KR100810655B1 (ko) 2003-11-21 2004-11-19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위한 액세스 단말을 동작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2) US7539507B2 (ko)
EP (3) EP2288222B1 (ko)
JP (2) JP4584933B2 (ko)
KR (2) KR100810655B1 (ko)
CN (2) CN1906899B (ko)
AT (1) ATE453252T1 (ko)
AU (2) AU2004310686C1 (ko)
BR (1) BRPI0416780B1 (ko)
CA (3) CA2546755C (ko)
DE (1) DE602004024823D1 (ko)
ES (2) ES2399032T3 (ko)
HK (2) HK1147004A1 (ko)
IL (2) IL175691A (ko)
MX (1) MXPA06005707A (ko)
PL (1) PL1690386T3 (ko)
RU (1) RU2351086C2 (ko)
TW (1) TWI356617B (ko)
UA (1) UA84308C2 (ko)
WO (1) WO200505325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108B1 (ko) * 2003-06-12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저장매체
US7539507B2 (en) 2003-11-21 2009-05-26 Qualcomm Incorporated Peer-to-peer communications
US7362737B2 (en) * 2004-04-08 2008-04-22 Tropos Networks, Inc. Minimization of channel filters within wireless access nodes
US7647022B2 (en) * 2004-09-29 2010-01-12 Alcatel-Lucent Us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ximity communication
US7643833B2 (en) * 2004-09-29 2010-01-05 Alcatel-Lucent Us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ximity communication
US7440728B2 (en) * 2004-12-03 2008-10-21 Microsoft Corporation Use of separate control channel to mitigate interference problems in wireless networking
US7463592B2 (en) * 2004-12-03 2008-12-09 Microsoft Corporation Protocol for exchanging control data to mitigate interference problems in wireless networking
US7630687B2 (en) 2004-12-03 2009-12-08 Microsoft Corporation Extensible framework for mitigating interference problems in wireless networking
WO2006064411A2 (en) * 2004-12-17 2006-06-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p2p communication
US8576846B2 (en) * 2005-10-05 2013-11-05 Qualcomm Incorporated Peer-to-peer communication in ad hoc wireless network
US7664465B2 (en) 2005-11-04 2010-02-16 Microsoft Corporation Robust coexistence service for mitigating wireless network interference
EP1946578B1 (en) * 2005-11-11 2013-07-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peer-to-peer communication interference
JP4684888B2 (ja) 2005-12-28 2011-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電力制御方法
US8498237B2 (en) 2006-01-11 2013-07-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device capability and/or setup information
US8929281B2 (en) * 2006-09-15 2015-01-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peer to peer device
US8369800B2 (en) * 2006-09-15 2013-02-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power control and/or interference management in a mixe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452317B2 (en) * 2006-09-15 2013-05-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power control and/or interference management in a mixe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supporting WAN signaling and peer to peer signaling
US8634869B2 (en) * 2006-09-15 2014-01-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supporting both wide area network signaling and peer to peer signaling
CN101523961B (zh) * 2006-09-15 2012-08-08 高通股份有限公司 与对等设备控制相关的方法和装置
US8249605B2 (en) * 2006-09-28 2012-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the topology of a bluetooth scatternet for social networking
US8588054B2 (en) * 2006-10-26 2013-11-19 Qualcomm Incorporated Silence interval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7787426B2 (en) * 2006-11-10 2010-08-31 Powerwave Cognition, Inc. Adaptive control channel initialization operations for autonomous dynamic spectrum access systems
US8718555B2 (en) * 2006-11-10 2014-05-06 Powerwave Cognit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selected bearer channels
KR101329155B1 (ko) * 2006-11-13 2013-11-1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망 정보 획득 장치
US8824431B2 (en) * 2006-11-13 2014-09-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acquiring network information
FI20065811A0 (fi) * 2006-12-15 2006-12-15 Nokia Corp Mesh-verkko
US20080160985A1 (en) * 2007-01-03 2008-07-03 Variyath Girish S Location based dialing over wireless media
US8159949B2 (en) * 2007-05-03 2012-04-17 Abroadcasting Company Linked-list hybrid peer-to-peer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throughput speed and preventing data starvation
KR101359686B1 (ko) * 2007-06-26 2014-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피투피 통신을 위한 대역 선택장치 및 방법
KR101498968B1 (ko) * 2007-07-05 2015-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시스템에서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위한 자원 결정 방법및 장치
US8385317B2 (en) 2007-07-06 2013-02-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supporting multiple timing synchronizations corresponding to different communications peers
US8730841B2 (en) * 2007-07-06 2014-05-20 Qualcomm Incorporated Peer to peer communications methods and apparatus providing for use of both WAN uplink and downlink bands
US8599823B2 (en) * 2007-07-06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s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synchronization with respect to a peer to peer timing structure
US8601156B2 (en) * 2007-07-06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peer discovery and/or paging in peer to peer wireless communications
US8385316B2 (en) * 2007-07-06 2013-02-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peer to peer communications timing structure
US8526410B2 (en) 2007-07-06 2013-09-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interference management when sharing downlink bandwidth between wide area network usage and peer to peer signaling
US8861418B2 (en) * 2007-07-10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group communications with data re-transmission support
US8694662B2 (en) * 2007-07-10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transmission requests to members of a group and/or making group related transmission decisions
US20090016363A1 (en) * 2007-07-10 2009-01-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d/or using a communications band for peer to peer signaling
US8495232B2 (en) * 2007-07-10 2013-07-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broadcast communications in a peer to peer network
US7899073B2 (en) * 2007-07-10 2011-03-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for signals and selecting and/or using a communications band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s
US7961698B2 (en) * 2007-07-10 2011-06-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ference to broadcast signaling in a peer to peer network
US8705438B2 (en) * 2007-07-10 2014-04-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d/or using a communications band for peer to peer signaling
US20090017838A1 (en) * 2007-07-10 2009-01-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communications ban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US8189491B2 (en) * 2007-07-10 2012-05-2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and maintaining non-orthogonal connection identifications (CIDs) for wireless peer-to-peer networks
KR101362060B1 (ko) * 2007-09-20 2014-02-12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인지 무선 단말 장치 및 인지 무선 통신 방법
DE602007008102D1 (de) * 2007-09-28 2010-09-09 Ntt Docomo Inc Dezentralisierte C/I-Leistungssteuerung für TDD
US8041375B2 (en) * 2007-10-31 2011-10-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peer to peer communications devices and/or systems relating to rate scheduling, traffic scheduling, rate control, and/or power control
US8072917B2 (en) * 2007-10-31 2011-12-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supporting adaptive decentralized traffic schedul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s
KR101459147B1 (ko) * 2008-02-04 2014-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파워 제어 명령 전송 방법
US20090258641A1 (en) * 2008-04-13 2009-10-15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Multi-interface parsable mobile devices (pmd) for energy conservation and services enhancement
US8630246B2 (en) 2008-05-19 2014-01-14 Koninklijke Philips N.V. Techniques for improving the spatial reuse of wireless networks
US20090290714A1 (en) * 2008-05-20 2009-11-26 Microsoft Corporation Protocol for Verifying Integrity of Remote Data
US9072060B2 (en) * 2008-06-03 2015-06-3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ower control to mitigate interference
US9083521B2 (en) * 2008-06-05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an in-band modem for data communications over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8725502B2 (en) * 2008-06-05 2014-05-1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an in-band modem for data communications over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8958441B2 (en) * 2008-06-05 2015-02-1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an in-band modem for data communications over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8825480B2 (en) * 2008-06-05 2014-09-02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of obtaining non-speech data embedded in vocoder packet
US8503517B2 (en) * 2008-06-05 2013-08-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an in-band modem for data communications over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8964788B2 (en) * 2008-06-05 2015-02-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an in-band modem for data communications over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8792579B2 (en) * 2008-07-09 2014-07-29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Continuous open loop control to closed loop control transition
WO2010023630A2 (en) * 2008-08-26 2010-03-04 Amimon Ltd. A method circuit and system for mitigating interference between wireless data and wireless video transceivers operating in proximity with one another
US8730863B2 (en) * 2008-09-09 2014-05-20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Network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00088520A1 (en) * 2008-10-02 2010-04-08 Microsoft Corporation Protocol for determining availability of peers in a peer-to-peer storage system
US8526461B2 (en) * 2008-11-10 2013-09-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supporting adaptive decentralized traffic scheduling including a dynamic transmitter yielding threshold
US8582492B2 (en) * 2008-11-10 2013-11-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supporting adaptive decentralized traffic scheduling including a dynamic receiver yielding threshold
AU2009332271B2 (en) * 2008-12-24 2013-12-1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ransmission equipment and method for sending control messages
US9055105B2 (en) * 2009-05-29 2015-06-0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engaging in a service or activity using an ad-hoc mesh network
US8743864B2 (en) * 2009-06-16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higher-layer protocol messaging in an in-band modem
US8855100B2 (en) * 2009-06-16 2014-10-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higher-layer protocol messaging in an in-band modem
US8472892B2 (en) * 2009-07-21 2013-06-25 Via Telecom, Inc. Reverse link mobile transmit diversity
US8458353B2 (en) * 2009-08-13 2013-06-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link aggregation in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
US20110223953A1 (en) * 2010-03-15 2011-09-15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direct communication in a wireless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11119079A1 (en) 2010-03-24 2011-09-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t power
US8588803B2 (en) * 2010-06-18 2013-11-1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scheduling for network controlled D2D communications
US8812676B2 (en) 2010-09-03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to select and to reselect a resource for peer discovery in peer-to-peer networks
US8831668B2 (en) * 2010-11-08 2014-09-09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for TV white space devices
US8744487B2 (en) * 2011-01-19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mobile device location in a communications system
CN115696536A (zh) 2011-06-13 2023-02-03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控制移动站的发射功率的方法
US8520650B2 (en) 2011-07-06 2013-08-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OFDM peer discovery
US20130028411A1 (en) * 2011-07-25 2013-01-3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imple Group Security for Machine-to-Machine Networking (SGSM2M)
US9055588B2 (en) 2011-09-06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d/or selecting channels
US9137655B2 (en) * 2011-10-07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eer to peer communications
US9717057B2 (en) * 2011-11-04 2017-07-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plink congestion control
JP5468595B2 (ja) * 2011-11-22 2014-04-09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共有通信による無線ネットワークへのアクセス方法および無線端末装置
US9614606B2 (en) * 2011-12-28 2017-04-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aware receive diversity control
US9185690B2 (en) * 2012-02-29 2015-11-10 Sharp Kabushiki Kaisha Allocating and determining resources for a device-to-device link
US9320065B2 (en) * 2012-03-06 2016-04-19 Koninklijke Philips N.V. Wireless docking automatic configuration and optimization system
EP2640153B1 (en) * 2012-03-12 2016-04-13 HT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irect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30250771A1 (en) * 2012-03-20 2013-09-26 Nokia Siemens Networks Oy Device to device enhanced voice group call
US10136426B2 (en) 2014-12-05 2018-11-20 Dominant Technologies, LLC Wireless conferencing system using narrow-band channels
US9143309B2 (en) 2012-04-13 2015-09-22 Dominant Technologies, LLC Hopping master in wireless conference
US10568155B2 (en) 2012-04-13 2020-02-18 Dominant Technologies, LLC Communication and data handling in a mesh network using duplex radios
US9548854B2 (en) 2012-04-13 2017-01-17 Dominant Technologies, LLC Combined in-ear speaker and microphone for radio communication
RU2614527C2 (ru) * 2012-05-15 2017-03-28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 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Управление помехами для связи "от устройства к устройству" с помощью сети
JP2014022770A (ja) * 2012-07-12 2014-02-03 Fujikura Ltd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9918318B2 (en) * 2012-07-27 2018-03-13 Kyocer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US9591679B2 (en) 2012-09-17 2017-03-07 Blackberry Limited Initiation of inter-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826381B2 (en) 2012-09-18 2017-11-21 Blackberry Limited Device handshake/discovery for inter-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014113B2 (en) * 2012-09-21 2015-04-21 Blackberry Limited User equipment architecture for inter-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982895B2 (en) 2012-09-21 2015-03-17 Blackberry Limited Inter-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0154467B2 (en) 2012-09-26 2018-12-11 Blackberry Limited Transmit power adjustment for inter-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137836B2 (en) 2012-10-15 2015-09-15 Blackberry Limited Inter-device communication authorization and data sniff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148842B2 (en) * 2012-10-24 2015-09-29 Intel Corporation Methods, wireless communication stations, and system for device-to-device discovery and advertisement
JP5687677B2 (ja) * 2012-10-31 2015-03-1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コンテンツ送信端末、サービス提供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192767A1 (en) * 2012-12-14 2014-07-10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Small Traffic Transmissions
GB2509912B (en) * 2013-01-16 2018-08-15 Sony Corp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US9030984B2 (en) 2013-01-17 2015-05-12 Intel Corporation Transmission power control schemes for D2D communications
KR101692661B1 (ko) * 2013-03-05 201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롯 기반의 d2d 통신 방법 및 장치
CN104125647B (zh) * 2013-04-28 2018-05-11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干扰协调方法及基站
BR112016011039A8 (pt) * 2013-11-19 2020-04-22 Ericsson Telefon Ab L M método para suportar comunicação de dispositivo para dispositivo, estação base de uma rede de rádio, e, meio de armazenamento em memória
WO2016090370A1 (en) 2014-12-05 2016-06-09 Dominant Technologies, LLC Communication and data handling in a mesh network using duplex radios
US10541856B2 (en) 2016-10-31 2020-01-21 Apple Inc. NAN schedule migration
JP2018093412A (ja) * 2016-12-06 2018-06-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演算装置、送信プログラム、送信方法
US20180184383A1 (en) * 2016-12-28 2018-06-2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ynamic transmission power control on wireless stations for maximizing wireless channel utilization
US10802154B2 (en) * 2017-02-16 2020-10-13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Apparatus for translation of GPS signals to facilitate asset tracking
WO2018171418A1 (zh) * 2017-03-24 2018-09-27 华为技术有限公司 功率控制方法、终端和网络设备
US10448342B1 (en) * 2018-10-19 2019-10-15 Motorola Mobility Llc Aggregate transmit power limiting on uncoordinated multiple transmitter device
US10812216B2 (en) 2018-11-05 2020-10-20 XCOM Labs, Inc.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scheduling
US10659112B1 (en) 2018-11-05 2020-05-19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assis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configuration
US10432272B1 (en) 2018-11-05 2019-10-01 XCOM Labs, Inc. Variabl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user equipment
US10756860B2 (en) 2018-11-05 2020-08-25 XCOM Labs, Inc. Distribu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configuration
US11063645B2 (en) 2018-12-18 2021-07-13 XCOM Labs, Inc. Methods of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group of devices
US10756795B2 (en) 2018-12-18 2020-08-25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with cellular link and peer-to-peer link
US11330649B2 (en) 2019-01-25 2022-05-10 XCOM Labs, Inc. Methods and systems of multi-link peer-to-peer communications
US10756767B1 (en) 2019-02-05 2020-08-25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cellular signal with another user equip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6572B1 (en) * 1999-02-04 2002-04-02 Senora Trading Company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symmetric communication protocol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7458A (en) 1989-11-01 1992-05-26 Hitachi, Ltd. Secret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US5056109A (en) 1989-11-07 1991-10-08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cdma cellular mobile telephone system
US5396516A (en) 1993-02-22 1995-03-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the dynamic modification of control paremeters in a transmitter power control system
US5471469A (en) * 1994-02-08 1995-11-28 Metricon, Inc. Method of resolving media contention in radio communication links
US5544223A (en) 1995-01-31 1996-08-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aging a concentrated subscriber system for wireless local loop
TW347616B (en) 1995-03-31 1998-12-11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ast power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disclosed.
KR19990076867A (ko) 1995-12-28 1999-10-25 밀러 럿셀 비 휴대형 무선전화기에 안테나 다이버시티를 제공하는 장치 및방법
EP0908027A2 (en) * 1996-06-28 1999-04-14 Harris Corporatio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duality and also a system for communicating digital information
US6069885A (en) 1996-12-30 2000-05-30 At&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igh speed services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5933781A (en) 1997-01-31 1999-08-03 Qualcomm Incorporated Pilot based, reversed channel power control
SE514266C2 (sv) 1997-02-20 2001-01-29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 och system för att begränsa rörligheten i ett system med kärntjänste- och åtkomstleverantör
US5995500A (en) 1997-07-18 1999-11-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stations
US6101179A (en) 1997-09-19 2000-08-08 Qualcomm Incorporated Accurate open loop power control in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6181940B1 (en) 1998-02-10 2001-01-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location area scheme negotiation in communications systems
CN1257368A (zh) * 1998-07-24 2000-06-21 休斯电子公司 通信系统中的扩展接口单元
US6560443B1 (en) * 1999-05-28 2003-05-06 Nokia Corporation Antenna sharing switching circuitry for multi-transceiver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US6529482B1 (en) 1999-06-30 2003-03-04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signal-to-interference threshold in a closed loop power control communications system
US6697375B1 (en) * 1999-08-04 2004-02-24 Atheros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andwidth and frequency management in the U-NII band
US6633552B1 (en) 1999-08-06 2003-10-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closed loop power control set point in a wireless packet data communication system
US6621804B1 (en) 1999-10-07 2003-09-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favored supplemental channel transmission slots using transmission power measurements of a fundamental channel
US6941132B2 (en) * 2000-03-20 2005-09-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ransport of radio network-originated control information
CA2344732A1 (en) 2000-06-02 2001-12-02 Myskyweb.Com Inc. System to facilitate navigation of internet from a wireless device
US6609008B1 (en) 2000-11-09 2003-08-19 Qualcomm Inco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ignal power level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748234B1 (en) 2000-11-21 2004-06-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967944B2 (en) * 2001-03-30 2005-11-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creasing link capacity via concurrent transmissions in centralized wireless LANs
US6961545B2 (en) * 2001-04-09 2005-11-01 Atheros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tenna diversity
US6978151B2 (en) * 2001-05-10 2005-12-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Updating path loss estimation for power control and link adaptation in IEEE 802.11h WLAN
US7181171B2 (en) 2001-07-20 2007-02-20 Kyocera Wireless Corp.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xiliary rece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289933B2 (en) * 2001-10-18 2012-10-16 Alcatel Lucent Hybrid transmission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20040047319A1 (en) * 2002-09-06 2004-03-11 Johannes Elg Contention-based medium access control for ad hoc wireless piconets
US20060267841A1 (en) * 2003-01-02 2006-11-30 Lee Chong U Position determination with peer-to-peer communication
US7539507B2 (en) 2003-11-21 2009-05-26 Qualcomm Incorporated Peer-to-peer communications
US7493133B2 (en) * 2004-02-05 2009-02-17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in ad-hoc wireless networks
US8670428B2 (en) * 2004-03-18 2014-03-11 Qualcomm Incorporated Signal acquisition in peer-to-peer communications
KR100664566B1 (ko) * 2005-01-17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와 무선랜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안테나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6572B1 (en) * 1999-02-04 2002-04-02 Senora Trading Company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symmetric communication protoc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51656C (en) 2014-09-09
WO2005053253A2 (en) 2005-06-09
UA84308C2 (en) 2008-10-10
AU2008203490B2 (en) 2010-03-04
BRPI0416780A (pt) 2007-03-06
CA2546755A1 (en) 2005-06-09
EP2288222A1 (en) 2011-02-23
JP4584933B2 (ja) 2010-11-24
IL175691A (en) 2011-04-28
ATE453252T1 (de) 2010-01-15
CN1906899A (zh) 2007-01-31
CA2546755C (en) 2011-04-19
US7539507B2 (en) 2009-05-26
CN1906899B (zh) 2012-08-29
ES2342072T3 (es) 2010-07-01
JP4763828B2 (ja) 2011-08-31
JP2010114908A (ja) 2010-05-20
PL1690386T3 (pl) 2010-06-30
WO2005053253A3 (en) 2005-09-09
KR20070068482A (ko) 2007-06-29
HK1147004A1 (en) 2011-07-22
IL211224A0 (en) 2011-04-28
CN101790227A (zh) 2010-07-28
KR100810655B1 (ko) 2008-03-06
TWI356617B (en) 2012-01-11
HK1103186A1 (en) 2007-12-14
TW200541276A (en) 2005-12-16
CA2651885C (en) 2010-09-14
JP2007512779A (ja) 2007-05-17
CA2651885A1 (en) 2005-06-09
DE602004024823D1 (de) 2010-02-04
BRPI0416780B1 (pt) 2020-11-03
AU2008203490A1 (en) 2008-08-28
CN101790227B (zh) 2014-07-30
AU2004310686B2 (en) 2008-10-02
KR20060094101A (ko) 2006-08-28
RU2351086C2 (ru) 2009-03-27
IL175691A0 (en) 2008-02-09
AU2004310686A1 (en) 2005-06-09
EP1690386B1 (en) 2009-12-23
US20100050001A1 (en) 2010-02-25
ES2399032T3 (es) 2013-03-25
US8060129B2 (en) 2011-11-15
EP1788761A1 (en) 2007-05-23
CA2651656A1 (en) 2005-06-09
MXPA06005707A (es) 2006-08-23
US20050111383A1 (en) 2005-05-26
EP1690386A2 (en) 2006-08-16
AU2004310686C1 (en) 2009-04-02
RU2006121969A (ru) 2007-12-27
EP2288222B1 (en)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710B1 (ko) 피어 투 피어 통신이 가능한 셀룰러 통신 단말의 송신 전력 레벨 조정
US6381230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 base station communications
JP4841635B2 (ja) Hrpdシステムに対する多様な改善
US20060153110A1 (en) Simplex reverse link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20020014804A (ko) Cdma 통신 시스템에서의 소프트 핸드오프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