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3546B1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3546B1
KR100813546B1 KR1020060099178A KR20060099178A KR100813546B1 KR 100813546 B1 KR100813546 B1 KR 100813546B1 KR 1020060099178 A KR1020060099178 A KR 1020060099178A KR 20060099178 A KR20060099178 A KR 20060099178A KR 100813546 B1 KR100813546 B1 KR 100813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node
temperature
current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9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윤재
최준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60099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35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3Detection of memory cassette insertion or removal; Continuity checks of supply or ground lines; Detection of supply variations, interruptions or levels ; Switching between alternative suppl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4Power supply or voltage generation circuits, e.g. bias voltage generators, substrate voltage generators, back-up power, power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7Voltage reference generators, voltage or current regulators; Internally lowered supply levels; Compensation for voltage drop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4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with means for avoiding disturbances due to temperature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는, 온도에 따라, 제 1 전압이 인가되는 제 1 전압 입력 단으로부터 제 1 노드에 입력되는 제 1 전류량을 변화시키는 제 1 전류 조절 수단; 온도에 따라, 백-바이어스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백-바이어스 전압 입력 단으로 입력되는 제 2 전류량을 변화시키는 제 2 전류 조절 수단; 상기 제 1 전류량의 변화를 온도에 따라 보상하는 제 3 전류 조절 수단; 및 상기 제 1 노드의 전위에 응답하여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레벨 감지 신호, 백-바이어스 전압,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Temperature-Dependent Voltage Level Detector of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를 이용하여 백-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하는 경우에 온도에 따른 구동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를 이용하여 백-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하는 경우에 온도에 따른 구동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제 1 전류 조절부 20 : 제 2 전류 조절부
30 : 제 3 전류 조절부 40 : 출력부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에 관한 것으로, 라이트 리커버리 시간(Write Recovery Time, 이하 tWR)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에 관한 것이다.
라이트 리커버리 시간(tWR)이란 원하는 셀에 데이터를 저장한 이후 라이트 패스(write path)를 원상 회복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을 말한다. 낮은 온도에서 백-바이어스 전압(Back-Bias Voltage, 이하 VBB로 표기)의 절대값을 작게 해 준다면 셀의 스토리지 노드(storage node)에 원하는 데이터가 오는 시간이 빨라지기 때문에 상기 라이트 리커버리 시간(tWR)이 감소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을 생성하는 백-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는 피드백 되는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에 응답하여 오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백-바이어스 전압 감지 회로; 상기 오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발진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하는 오실레이터; 및 상기 발진 신호에 응답하여 접지 전압(VSS)을 펌핑하여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을 생성하는 펌핑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 감지 회로는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이 백-바이어스 전압 타겟 레벨인지를 감지하여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이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 타겟 레벨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오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활성화 시키며, 온도에 관계없이 일정한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 타겟 레벨에 응답하여 제 1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노멀 전압 감지 회로와 온도에 따라 백-바이어스 전압 타겟 레벨에 응답하여 제 2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를 포함하여 특정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출력 신호를 상기 오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로서 출력되게 하거나 상기 제 1 출력 신호 및 상기 제 2 출력 신호를 논리 연산하여 상기 오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로서 출력되게 한다.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 타겟 레벨은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 감지 회로를 포함하는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가 출력하고자 하는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의 전위를 나타낸다.
상기 노멀 전압 감지 회로의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 타겟 레벨이 -0.8V이고, 90도 이상에서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이 -0.8V일 때 상기 셀 트랜지스터의 tWR 특성이 가장 이상적이다고 가정하여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 감지 회로의 예를 설명하면,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 감지 회로는 온도에 관계 없이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 타겟 레벨을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노멀 전압 감지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 1 출력 신호를 상기 오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로서 출력되게 하고, 온도 변화에 응답하여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 타겟 레벨을 변동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의 상기 제 2 출력 신호 및 상기 노멀 전압 감지 회로의 상기 제 1 출력 신호를 오어 연산하여 상기 오실레이터 인에이블 신호로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 1 출력 신호 및 상기 제 2 출력 신호를 오어 연산 하는 이유는 90도 이상에서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 타겟 레벨을 -0.8V로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이하,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는 게이트 단이 접지 전압(VSS)을 인가받고 소스 단이 제 1 전압(VCORE_BB)을 인가받으며 드레인 단이 제 1 노드(Node1)와 연결되는 제 1 트랜지스터(P1); 게이트 단이 상기 제 1 전압(VCORE_BB)을 인가받고 드레인 단이 상기 제 1 노드(Node1)와 연결되며 소스 단이 백-바이어스 전압(VBB)을 인가받는 제 2 트랜지스터(N1); 게이트 단이 상기 제 1 노드(Node1)와 연결되고 소스 단이 상기 제 1 전압(VCORE_BB)을 인가받으며 드레인 단이 제 2 노드(Node2)와 연결되는 제 3 트랜지스터(P2); 및 게이트 단이 상기 제 1 노드(Node1)와 연결되고 드레인 단이 상기 제 2 노드(Node2)와 연결되며 소스 단이 상기 접지 전압(VSS)을 인가받는 제 4 트랜지스터(N2);를 포함한다.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는 상기 제 1 노드(Node1)에서 레벨 감지 신호(Detect)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노드(Node2)에서 구동 신호(OUT_EN)를 출력한다.
상기 제 1 트랜지스터(P1) 및 상기 제 3 트랜지스터(P2)는 피모스(PMOS)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N1) 및 상기 제 4 트랜지스터(N2)는 엔모스(NMOS) 트랜지스터이다.
상기 제 3 트랜지스터(P2) 및 상기 제 4 트랜지스터(N2)가 인버터(inverter)로 구성되어 기 설정된 로직 문턱 전압(logic threshold voltage, 이하 LVth)을 가진다.
상기 제 1 트랜지스터(P1)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N1)는 온도에 따라 문턱 전압이 변동되고, 온도에 따라 각각의 모빌리티(mobility)가 서로 다르게 변동되는 특성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P1)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N1)의 모빌리티(mobility)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노드(Node1)의 전위를 변동시키고, 피드백(feedback) 되는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노드(Node1)의 전위를 상기 기 설정된 로직 문턱 전압(LVth)과 일치시킨다.
특정 온도에서 상기 제 1 노드(Node1)의 전위와 상기 기 설정된 로직 문턱 전압(LVth)이 일치할 때의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을 제 1 전압이라고 가정하여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 전압은 백-바이어스 전압 타겟 레벨이다.
온도가 상기 특정 온도보다 낮아질수록 상기 제 1 트랜지스터(P1)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N1)의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 이하 Vth)은 높아지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P1)의 모빌리티(mobility)는 감소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N1)의 모빌리티는 증가함으로 상기 제 1 노드(Node1)의 전위는 상기 기 설정된 로직 문턱 전압(LVth)보다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노드(Node1)에서 출력되는 상기 레벨 감지 신호(Detect)는 로우 레벨이므로 상기 제 3 트랜지스터(P2) 및 상기 제 4 트랜지스터(N2)를 통해 상기 제 2 노드(Node2)에서 하이 레벨의 상기 구동 신호(OUT_EN)가 출력되고, 상기 구동 신호(OUT_EN)에 응답하여 백-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가 비활성화 된다. 상기 제 2 트랜지스터(N1)로 인가되는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이 상기 제 1 전압보다 높아질수록(절대값이 작을수록) 상기 제 2 트랜지스터(N1)의 게이트-소스 전압(Vgs)이 감소하여 상기 제 2 트랜지스터(N1)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양이 감소하여 상기 제 1 노드(Node1)의 전위는 상기 기 설정된 로직 문턱 전압(LVth)과 일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 타겟 레벨은 상기 제 1 전압보다 높다.
반대로 온도가 상기 특정 온도보다 높아질수록 상기 제 1 트랜지스터(P1)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N1)의 문턱 전압(Vth)은 낮아지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P1)의 모빌리티(mobility)는 증가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N1)의 모빌리티는 감소함으로 상기 제 1 노드(Node1)의 전위는 상기 기 설정된 로직 문턱 전압(LVth)보다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노드(Node1)에서 출력되는 상기 레벨 감지 신호(Detect)는 하이 레벨이므로 상기 제 3 트랜지스터(P2) 및 상기 제 4 트랜지스터(N2)를 통해 상기 제 2 노드(Node2)에서 로우 레벨의 상기 구동 신호(OUT_EN)가 출력되어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는 활성화 된다.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에 의해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이 상기 제 1 전압보다 낮아질수록(절대값이 커질수록) 상기 제 2 트랜지스터(N2)의 게이트-소스 전압(Vgs)이 증가하여 상기 제 2 트랜지스터(N2)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양이 증가되고 상기 제 1 노드(Node1)의 전위는 상기 기 설정된 로직 문턱 전압(LVth)과 일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 타겟 레벨은 상기 제 1 전압보다 낮다.
도 2는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를 이용하여 백-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하는 경우에 온도에 따른 구동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는 온도가 낮을수록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이 높고(절대값이 작고), 온도가 높을수록 백-바이어스 전압(VBB)이 낮다(절대값이 커진다).
온도가 -10도에서 90도까지 변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는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 타겟 레벨을 -0.35V에서 -0.8V까지 설정할 수 있다. 만약 -10도에서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 타겟 레벨을 -0.15V로 쉬프트하면, 90도에서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 타겟 레벨도 쉬프트 되어 쉬프트 되기 전보다 높은(절대값이 낮은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 타겟 레벨을 가지게 된다. 이때, 90도에서 tWR 특성은 향상되지만, 셀 트랜지스터의 오프 리키지 전류(off leakage current)가 증가하게 되어 리프레시 특성이 악화되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출력 동작을 불안하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온도에 따른 레벨 감지 신호의 특성을 개선시켜, 낮은 온도에서 종래보다 높은 백-바이어스 전압을 설정함으로써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라이트 리커버리 시간(tWR)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는, 온도에 따라, 제 1 전압이 인가되는 제 1 전압 입력 단으로부터 제 1 노드에 입력되는 제 1 전류량을 변화시키는 제 1 전류 조절 수단; 온도에 따라, 백-바이어스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백-바이어스 전압 입력 단으로 입력되는 제 2 전류량을 변화시키는 제 2 전류 조절 수단; 상기 제 1 전류량의 변화를 온도에 따라 보상하는 제 3 전류 조절 수단; 및 상기 제 1 노드의 전위에 응답하여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3 전류 조절 수단은 상기 제 1 전류 조절 수단에 의한 상기 제 1 전류량의 변화량보다 더 많이 상기 제 1 전류량을 변화 시키고, 상기 제 1 전류 조절 수단과 상기 제 3 전류 조절 수단은 상기 제 1 전류량을 동시에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전류 조절 수단은 상기 제 1 전류량이 증가 및 감소하는 경우 상기 제 1 전류량과 상반되게 변하는 상기 제 2 전류량을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에 응답하여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는 온도에 따라, 제 1 전압(VCORE_BB)이 인가되는 제 1 전압 입력 단(S1)으로부터 제 1 노드(Node_A)에 입력되는 제 1 전류량을 변화시키는 제 1 전류 조절부(10); 온도에 따라, 백-바이어스 전압(VBB)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노드(Node_A)로부터 백-바이어스 전압 입력 단(S2)으로 출력되는 제 2 전류량을 변화시키는 제 2 전류 조절부(20); 상기 제 1 전류 조절부(10)와 상기 제 1 노드(Node_A)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전류량의 변화를 온도에 따라 보상하는 제 3 전류 조절부(30); 및 상기 제 1 노드의 전위(Node_A)에 응답하여 구동 신호(OUT_EN)를 출력하는 출력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제 3 전류 조절부(30)는 상기 제 1 전류 조절부(10)에 의한 상기 제 1 전류량의 변화량보다 더 많이 상기 제 1 전류량을 변화 시키고, 상기 제 1 전류 조절부(10)와 상기 제 3 전류 조절부(30)는 상기 제 1 전류량을 동시에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제 2 전류 조절부(20)는 상기 제 1 전류량이 증가 및 감소하는 경우 상기 제 1 전류량과 상반되게 변하는 상기 제 2 전류량을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에 응답하여 조절한다.
상기 제 1 노드(Node_A)에서 레벨 감지 신호(Detect_N)가 출력된다.
상기 제 1 전류 조절부(10)는 게이트 단이 접지 전압(VSS)을 입력받고 소스 단이 제 1 전압(VCORE_BB)을 인가받는 제 1 트랜지스터(P31)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전류 조절부(20)는 게이트 단이 상기 제 1 전압(VCORE_BB)을 입력받고 드레인 단이 상기 제 1 노드(Node_A)에 연결되고 소스 단이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을 인가받는 제 2 트래지스터(N31)를 포함한다.
상기 제 3 전류 조절부(30)는 이미터 단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P31)의 드레인 단과 연결되고 베이스 단 및 컬렉터 단이 상기 제 1 노드(Node_A)에 공통 연결되는 제 3 트랜지스터(Q1)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부(40)는 게이트 단이 상기 제 1 노드(Node_A)와 연결되고 소스 단이 상기 제 1 전압(VCORE_BB)을 인가받고 드레인 단이 상기 제 2 노드(Node_B)에 연결되는 제 4 트랜지스터(P32); 및 게이트 단이 상기 제 1 노드(Node_A)와 연결되고 드레인 단이 상기 제 2 노드(Node_B)에 연결되고 소스 단이 상기 접지 전압(VSS)을 인가받는 제 5 트랜지스터(N32);를 포함하며, 인버터(inverter)를 구비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트랜지스터(P31) 및 상기 제 4 트랜지스터(P32)는 피모스(PMOS)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N31) 및 상기 제 5 트랜지스터(N32)는 엔모스(NMOS) 트랜지스터이다.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1)는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PNP 트랜지스터이다.
상기 제 1 전압(VCORE_BB)은 외부 전압(external voltage)으로부터 전압 분배되어 생성된 내부 전압(internal voltage)으로서, 일반적으로 코어 전압(VCORE)을 적절히 전압 분배하여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의 레벨을 감지하기 위해 생성되는 전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온도가 변동하는 경우, 상기 제 1 전류 조절부(10)는 상기 제 1 전압 입력 단(S1)으로부터 상기 제 1 노드(Node_A)로 입력되는 상기 제 1 전류량을 감소 또는 증가 시키고, 상기 제 2 전류 조절부(20)는 상기 제 1 노드(Node_A)로부터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 입력 단(S2)으로 출력되는 제 2 전류량을 상기 제 1 전류량이 변화하는 방향과 반대로 변화시킨다. 상기 온도 변화에 응답하여 상기 제 3 전류 조절부(30)는 상기 제 1 전류 조절부(10)가 상기 제 1 전류량을 증가 또는 감소 시킬 때 상기 제 1 전류 조절부(10)보다 상기 제 1 전류량을 더 많이 증가시키거나 더 많이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제 1 노드(Node_A)의 전위가 상기 출력부(40)의 기 설정된 타겟 레벨보다 낮아지거나 높아지는 폭을 종래보다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전류 조절부(20)로 인가되어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타겟 레벨을 일치시키는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을 종래보다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겟 레벨은 상기 출력부(40)로 입력되는 상기 레벨 감지 신호(Detect_N)가 로우 레벨인지 하이 레벨인지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4 트랜지스터(P32) 및 상기 제 5 트랜지스터(N32)로 구성된 인버터의 기 설정된 로직 문턱 전압(LVth)이다.
특정 온도에서 상기 제 1 노드(Node_A)의 전위와 상기 타겟 레벨이 일치하는 경우의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을 제 1 전압으로 정의하고, 상기 특정 온도 보다 온도가 낮은 경우에 상기 제 1 노드(Node_A)의 전위와 상기 타겟 레벨을 일치시키는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을 제 2 전압으로 정의하고, 상기 특정 온도 보다 온도가 높은 경우에 상기 제 1 노드(Node_A)의 전위와 상기 타겟 레벨을 일치시키는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을 제 3 전압으로 정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레벨 감지 회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 전압, 상기 제 2 전압 및 상기 제 3 전압은 백-바이어스 전압 타겟 레벨이며,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 타겟 레벨은 상기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를 포함하는 백-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가 출력하고자 하는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의 전위를 나타낸다.
온도가 상기 특정 온도보다 낮아지는 경우, 상기 제 1 트랜지스터(P31)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N31)의 문턱 전압은 상승하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P31)의 모빌리티(mobility)는 감소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N31)의 모빌리티는 증가하여, 상기 제 1 트랜지스터(P31)가 상기 제 1 전류량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N31)가 상기 제 2 전류량을 증가시키게 되어 상기 제 1 노드(Node_A)의 전위가 상기 타겟 레벨보다 낮아진다.
이때, 상기 레벨 감지 신호(Detect_N)가 로우 레벨이므로 상기 출력부(40)는 하이 레벨의 상기 구동 신호(OUT_EN)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 신호(OUT_EN)가 하이 레벨인 경우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가 비활성화 된다고 가정하면, 상기 구동 신호(OUT_EN)가 하이 레벨이므로 온도가 낮아지는 경우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은 상기 제 1 전압보다 상승하게 되고,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을 소스 단에 인가받는 제 2 트랜지스터(N31)의 게이트-소스 전압(Vgs)이 감소하여 상기 제 2 트랜지스터(N31)를 통해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 입력 단(S2)으로 출력되는 상기 제 2 전류량이 감소한다. 즉, 상기 타겟 레벨보다 낮아진 상기 제 1 노드(Node_A)의 전위가 상기 타겟 레벨로 복귀하게 되고, 상기 제 1 노드(Node_A)의 전위와 상기 타겟 레벨이 일치할 때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은 제 2 전압이 되므로, 상기 제 2 전압은 상기 제 1 전압보다 높다. 이와 같은 동작을 하는 경우에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1)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P31)를 통해 감소되는 상기 제 1 전류량을 더욱 감소시킴으로, 상기 제 1 노드(Node_A)의 전위는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1)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보다 더 낮아지고, 상기 제 1 노드(Node_A)의 전위와 상기 타겟 레벨을 일치시키는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은 상기 제 2 전압보다 상승하게 된다.
즉, 온도가 낮은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감지 회로는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1)를 구비하지 않는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보다 더 높은(절대값이 낮은)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을 설정할 수 있다.
반면에 온도가 상기 특정 온도보다 높아지는 경우, 상기 제 1 트랜지스터(P31)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N31)의 문턱 전압(threshold)은 하강하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P31)의 모빌리티(mobility)는 증가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N31)의 모빌리티는 감소하여, 상기 제 1 트랜지스터(P31)가 상기 제 1 전류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N31)가 상기 제 2 전류량을 감소 시켜 결국 상기 제 1 전압 입력 단(S1)으로부터 상기 제 1 노드(Node_A)에 입력되는 상기 제 1 전류량보다 상기 제 1 노드(Node_A)로부터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 입력 단(S2)으로 출력되는 상기 제 2 전류량이 적기 때문에 상기 제 1 노드(Node_A)의 전위가 상기 타겟 레벨보다 높아진다.
이때, 상기 레벨 감지 신호(Detect_N)가 하이 레벨이므로 상기 출력부(40)는 상기 제 2 노드(Node_B)에서 로우 레벨의 상기 구동 신호(OUT_EN)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 신호(OUT_EN)가 로우 레벨인 경우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 발생 회로가 활성화 된다고 가정하면,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은 상기 제 1 전압보다 하강하게 되고,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을 소스 단에 인가받는 상기 제 2 트랜지스터(N31)의 게이트-소스(Vgs) 전압이 증가하여 상기 제 2 트랜지스터(N31)를 통해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 입력 단(S2)으로 출력되는 상기 제 2 전류량이 증가한다. 즉, 상기 타겟 레벨보다 높아진 상기 제 1 노드(Node_A)의 전위가 상기 타겟 레벨로 복귀하게 되고, 상기 제 1 노드(Node_A)의 전위와 상기 타겟 레벨이 일치할 때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은 상기 제 3 전압이 되므로 상기 제 3 전압은 상기 제 1 전압보다 낮다. 이와 같은 동작을 하는 경우에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1)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P31)를 통해 증가되는 상기 제 1 전류량을 더욱 증가시키므로, 상기 제 1 노드(Node_A)의 전위는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1)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보다 더 낮아지고, 상기 제 1 노드(Node_A)의 전위와 상기 타겟 레벨을 일치시키는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은 상기 제 3 전압보다 더 하강하게 된다.
즉, 온도가 높은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감지 회로는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1)를 구비하지 않는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 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보다 더 낮은(절대값이 높은)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을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를 이용하여 백-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하는 경우에 온도에 따른 구동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는 온도가 낮을수록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이 높고(절대값이 작고), 온도가 높을수록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이 낮다(절대값이 커진다).
-10도에서 90도까지 온도가 변할 경우,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는 A와 같이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 타겟 레벨을 -0.35V에서 -0.8V까지 설정할 수 있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는 B와 같이 -0.15V에서 -0.8V까지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 타겟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는 온도가 낮아지는 경우에 종래보다 높은(절대값이 낮은)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 타겟 레벨을 설정할 수 있음으로,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VBB)에 응답하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라이트 리커버리 시간(tWR)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는 낮은 온도에서 라이트 리커버리 시간을 줄일 수 있어 반도체 메모리의 동작 속도를 개선 시킬 수 있는 효과를 수반한다.

Claims (10)

  1. 온도에 따라, 제 1 전압이 인가되는 제 1 전압 입력 단으로부터 제 1 노드에 입력되는 제 1 전류량을 변화시키는 제 1 전류 조절 수단;
    온도에 따라, 백-바이어스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백-바이어스 전압 입력 단으로 입력되는 제 2 전류량을 변화시키는 제 2 전류 조절 수단;
    상기 제 1 전류량의 변화를 온도에 따라 보상하는 제 3 전류 조절 수단; 및
    상기 제 1 노드의 전위에 응답하여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전류 조절 수단은,
    상기 제 1 전류 조절 수단에 의한 상기 제 1 전류량의 변화량보다 더 많이 상기 제 1 전류량을 변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류 조절 수단과 상기 제 3 전류 조절 수단은 상기 제 1 전류량을 동시에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류 조절 수단은 상기 제 1 전류량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경우 상기 제 1 전류량과 상반되게 변하는 상기 제 2 전류량을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에 응답하여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류 조절 수단은,
    게이트 단이 접지 전압을 입력받고 소스 단이 상기 제 1 전압을 인가받는 제 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류 조절 수단은,
    게이트 단이 상기 제 1 전압을 입력받고 드레인 단이 상기 제 1 노드에 연결되고 소스 단이 상기 백-바이어스 전압을 인가받는 제 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전류 조절 수단은,
    이미터 단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과 연결되고 베이스 단 및 컬렉터 단이 상기 제 1 노드에 공통 연결되는 제 3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트랜지스터는,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출력되는 레벨 감지 신호를 반전 구동하여 상기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인버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게이트 단이 상기 제 1 노드와 연결되고 소스 단이 상기 제 1 전압을 인가받고 드레인 단이 제 2 노드에 연결되는 제 1 트랜지스터; 및
    게이트 단이 상기 제 1 노드와 연결되고 드레인 단이 상기 제 2 노드에 연결되고 소스 단이 접지 전압을 인가받는 제 2 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
KR1020060099178A 2006-10-12 2006-10-12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 KR100813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178A KR100813546B1 (ko) 2006-10-12 2006-10-12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178A KR100813546B1 (ko) 2006-10-12 2006-10-12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3546B1 true KR100813546B1 (ko) 2008-03-17

Family

ID=39410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9178A KR100813546B1 (ko) 2006-10-12 2006-10-12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35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885B1 (ko) * 2008-08-01 2009-10-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내부전압 발생회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750A (ko) * 1997-08-29 1999-03-15 김영환 기판 바이어스전압 감지장치
KR100216033B1 (ko) 1994-07-18 1999-08-16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저소비전력으로 안정되게 낮은 전원전압하에서 동작하는 반도체기억장치
KR20010107692A (ko) * 2000-05-24 2001-12-07 가네꼬 히사시 기판전위 감지회로 및 기판전위 발생회로
KR20020007974A (ko) * 2000-07-18 2002-01-29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내부 전압 발생 회로
KR20060016641A (ko) * 2004-08-18 2006-02-2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고전압 감지회로 및 이를 이용한 고전압 펌핑장치
KR20060066215A (ko) * 2004-12-13 2006-06-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기판 바이어스 전압 검출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6033B1 (ko) 1994-07-18 1999-08-16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저소비전력으로 안정되게 낮은 전원전압하에서 동작하는 반도체기억장치
KR19990019750A (ko) * 1997-08-29 1999-03-15 김영환 기판 바이어스전압 감지장치
KR20010107692A (ko) * 2000-05-24 2001-12-07 가네꼬 히사시 기판전위 감지회로 및 기판전위 발생회로
KR20020007974A (ko) * 2000-07-18 2002-01-29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내부 전압 발생 회로
KR20060016641A (ko) * 2004-08-18 2006-02-2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고전압 감지회로 및 이를 이용한 고전압 펌핑장치
KR20060066215A (ko) * 2004-12-13 2006-06-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기판 바이어스 전압 검출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885B1 (ko) * 2008-08-01 2009-10-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내부전압 발생회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4419B1 (ko) 파워 업 신호 생성장치
US7579821B2 (en) Voltage generator
US7646652B2 (en) Internal voltage generator for us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070024068A (ko) 레벨 검출회로 및 방법과,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기판바이어스 전압 발생회로 및 방법
KR100713083B1 (ko) 내부전원 생성장치
KR20080001288A (ko) 내부전압 발생 장치
KR100904423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US11722132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semiconductor system including the same
JP4303930B2 (ja) 電圧発生装置
KR100812299B1 (ko) 전압 강하 회로
KR20040105976A (ko) 내부 전압 발생기
US20140028276A1 (en) Internal voltage generator having immunity to ground bouncing
KR100813546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온도 의존형 전압 감지 회로
KR20100129991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기판 바이어스 전압 레벨 감지 장치
KR100650371B1 (ko) 전압 발생 장치
KR100748459B1 (ko) 반도체 메모리의 벌크 전압 레벨 감지 장치
US8629697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7768842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voltage generating circuit for avoiding leakage currents of parasitic diodes
KR100295064B1 (ko) 반도체메모리장치의데이타입력버퍼
KR100784909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
KR100239725B1 (ko) 차지펌프의 펌핑전압 검출회로
US9299413B1 (en) Semiconductor systems
KR20200015975A (ko) 내부전압생성회로
KR20010061375A (ko) 파워-업 회로
US7772719B2 (en) Threshold voltage control circuit and internal voltage generation circuit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