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3115B1 - 자전거의 체인가이더 - Google Patents

자전거의 체인가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3115B1
KR100813115B1 KR1020070008489A KR20070008489A KR100813115B1 KR 100813115 B1 KR100813115 B1 KR 100813115B1 KR 1020070008489 A KR1020070008489 A KR 1020070008489A KR 20070008489 A KR20070008489 A KR 20070008489A KR 100813115 B1 KR100813115 B1 KR 100813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gear
chain
guider
gear
bi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규
전경진
김상구
한정민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08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31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 B62M9/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1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involving different-sized wheels, e.g. rear sprocket chain wheels selectively engaged by the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12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involving different-sized wheels, e.g. rear sprocket chain wheels selectively engaged by the chain, belt, or the like the chain, belt, or the like being laterally shiftable, e.g. using a rear derailleur
    • B62M9/131Front derailleurs
    • B62M9/136Chain guides;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3/00Guards for chain, chain drive or equivalent drive, e.g. belt drive
    • B62J13/02Guards for chain, chain drive or equivalent drive, e.g. belt drive shielding only the upper run of the chain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 B62M9/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2009/007Guides to prevent chain from slipping off the sprocket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의 체인가이더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과 타측이 자전거의 앞기어 내측에 고정되고,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앞기어와의 간격이 점차 넓어졌다 좁아짐과 동시에 외주연에 형성된 톱니부가 상기 앞기어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된 상기 체인을 상기 앞기어의 톱니부 방향으로 안내함으로써, 상기 앞기어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된 상기 체인을 상기 앞기어의 상기 톱니부로 안내하여 이탈된 상기 체인이 상기 앞기어의 상기 톱니부에 순차적으로 다시 감겨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체인가이더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일측과 타측이 자전거의 앞기어의 내측에 고정된 상기 체인가이더가 상기 앞기어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외력 등에 의해 상기 앞기어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된 상기 체인이 상기 앞기어에 순차적으로 다시 감겨질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주행자가 직접 손으로 이탈된 상기 체인을 상기 앞기어에 다시 감아 수리할 필요가 없고, 이로 인해 주행자의 손에 기름 등의 이물질이 묻을 우려가 없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여성, 어린이, 특히 노약자 등의 주행자도 이탈된 상기 체인을 상기 앞기어에 쉽게 감아 수리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체인가이더를 상기 앞기어의 내측에 손쉽게 탈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자전거 앞기어, 체인, 체인가이더

Description

자전거의 체인가이더{BICYCLE CHAIN GUID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앞기어에서 체인이 이탈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가이더가 이탈된 상기 체인을 상기 앞기어의 톱니부로 안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이탈된 상기 체인이 상기 앞기어에 다시 감겨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앞기어, 13; 회전축,
15, 35; 톱니부, 17; 체인,
30; 체인가이더, 50; 고정부재.
본 발명은 일측과 타측이 자전거의 앞기어의 내측에 고정된 상기 체인가이더 가 상기 앞기어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외력 등에 의해 상기 앞기어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된 상기 체인이 상기 앞기어에 순차적으로 다시 감겨질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주행자가 직접 손으로 이탈된 상기 체인을 상기 앞기어에 다시 감아 수리할 필요가 없고, 이로 인해 주행자의 손에 기름 등의 이물질이 묻을 우려가 없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여성, 어린이, 특히 노약자 등의 주행자도 이탈된 상기 체인을 상기 앞기어에 쉽게 감아 수리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체인가이더를 상기 앞기어의 내측에 손쉽게 탈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자전거의 체인가이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주행자가 두발로 페달을 밟아 기어에 감겨져 있는 체인으로 바퀴를 돌려 전진하게 만든 가볍고 편리한 이륜차로써, 단거리 운송수단으로 이용되거나 레저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주행자가 상기와 같은 자전거를 타고 도로 등을 장시간 주행하게 될 시 외력 등에 의해 종종 상기 기어에서 상기 체인이 외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주행자가 상기 자전거를 타고 더 이상 도로 등을 주행할 수 없게 되는데, 이때 주행자는 상기 기어에서 이탈된 상기 체인을 수리하여 다시 자전거를 타고 도로 등을 주행하게 된다.
여기서, 주행자는 대개 직접 손으로 이탈된 상기 체인을 상기 기어에 다시 감아 수리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주행자가 직접 손으로 이탈된 상기 체인을 상기 기어에 다시 감게 되면 주행자의 손에 기름 등의 이물질이 묻을 우려가 다분할 뿐 만 아니라 여성, 어린이 특히 노약자 등의 주행자는 직접 손으로 외부방향으로 이탈된 상기 체인을 상기 기어에 쉽게 감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일측과 타측이 자전거의 앞기어의 내측에 고정된 상기 체인가이더가 상기 앞기어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외력 등에 의해 상기 앞기어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된 상기 체인이 상기 앞기어에 순차적으로 다시 감겨질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주행자가 직접 손으로 이탈된 상기 체인을 상기 앞기어에 다시 감아 수리할 필요가 없고, 이로 인해 주행자의 손에 기름 등의 이물질이 묻을 우려가 없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여성, 어린이, 특히 노약자 등의 주행자도 이탈된 상기 체인을 상기 앞기어에 쉽게 감아 수리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체인가이더를 상기 앞기어의 내측에 손쉽게 탈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자전거의 체인가이더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과 타측이 자전거의 앞기어 내측에 고정되고,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앞기어와의 간격이 점차 넓어졌다 좁아짐과 동시에 외주연에 형성된 톱니부가 상기 앞기어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된 상기 체인을 상기 앞기어의 톱니부 방향으로 안내함으로써, 상기 앞기어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된 상기 체인을 상기 앞기어의 상기 톱니부로 안내하여 이탈된 상기 체인이 상기 앞기어의 상기 톱니부에 순차적으로 다시 감겨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체인가이더를 제공한다.
아울러, 일측과 타측은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앞기어의 내측에 선택적으로 체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자전거의 체인가이더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자전거의 체인가이더(이하 체인가이더라 칭한다.)는 일측과 타측이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상의 자전거(미도시)에 구비되는 앞기어(10)의 내측에 고정된다.
여기서, 통상의 상기 자전거(미도시)에 구비되는 상기 앞기어(10)는 상기 자전거(미도시)를 구성하는 회전축(13)상에 구비되어 주행자에 의해 일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앞기어(10)의 외주연에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톱니부(15)가 형성되어 있는데, 도 1 및 도 2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톱니부(15)에는 체인이 감겨져 있다.
상기와 같은 앞기어(10)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체인가이더(30)는 외력 등에 의해 상기 앞기어(10)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된 상기 체인이 다시 상기 앞기어(10)에 순차적으로 감겨질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앞기어(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앞기어(10)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인가이더(30)는 일측과 타측이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앞기어(10)의 내측에 고정되되,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앞기어(10)와의 간격(ℓ)이 점차 넓어졌다 좁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인가이더(30)의 외주연에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톱니부(35)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톱니부(35)는 상기 앞기어(10)에 감겨져 있는 상기 체인이 외력 등에 의해 외부방향으로 이탈된 경우 이탈된 상기 체인을 상기 앞기어(10)의 상기 톱니부(15)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체인가이더(30)로 인해 외력 등에 의해 상기 앞기어(10)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된 상기 체인이 다시 상기 앞기어(10)에 순차적으로 감겨질 수 있게 되는데 이에 대한 사항은 설명의 편의상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 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체인가이더(3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력 등에 의해 상기 앞기어(10)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된 상기 체인이 다시 상기 앞기어(10)에 순차적으로 감겨질수 있도록 하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도 3은 앞기어(10)에서 체인(17)이 이탈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체인가이더(30)가 이탈된 상기 체인(17)을 상기 앞기어(10)의 톱니부(15)로 안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이탈된 상기 체인(17)이 상기 앞기어(10)에 다시 감겨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주행자가 상기 자전거(미도시)를 타고 도로 등을 장시간 주행하게 될 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력 등에 의해 종종 상기 앞기어(10)에서 상기 체인(17)이 외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이로 인해 주행자가 상기 자전거(미도시)를 타고 더 이상 도로 등을 주행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상기에서 상술할 상기 체인가이더(30)가 상기 앞기어(10)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이탈된 상기 체인(17)이 다시 상기 앞기어(10)에 순차적으로 감겨질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앞기어(10)에서 상기 체인(17)이 외부방향으로 이탈된 상태에서 주행자가 상기 앞기어(1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앞기어(10)의 내측 에 고정된 상기 체인가이더(30)가 상기 앞기어(10)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된다.
이때,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앞기어(10)와의 간격이 점차 넓어졌다 좁아지는 상기 체인가이더(30)의 외주연에 형성된 상기 톱니부(35) 중의 어느 하나(도 4의 a)에 상기 앞기어(10)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된 상기 체인(17)이 감겨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체인가이더(30)가 계속 상기 앞기어(10)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되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앞기어(10)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된 상기 체인(17)이 상기 체인가이더(30)의 상기 톱니부(35)에 순차적으로 감겨지게 됨과 더불어 상기 체인가이더(30)의 상기 톱니부(35)에 감겨진 이탈된 상기 체인(17) 또한 상기 앞기어(10)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앞기어(10)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상기 체인가이더(30)의 상기 톱니부(35)에 감겨지지 않은 이탈된 상기 체인(17)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앞기어(10)의 상기 톱니부(15)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되는데, 여기서 상기 체인가이더(30)와 상기 앞기어(10)와의 간격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졌다 좁아지기 때문에 상기 체인가이더(30)의 상기 톱니부(35)에 감겨지지 않은 이탈된 상기 체인(17)이 상기 앞기어(10)의 상기 톱니부(15)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앞기어(10)의 상기 톱니부(15)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된 이탈된 상기 체인(17)은 회전운동하는 상기 앞기어(10)의 상기 톱니부(15)에 다시 순 차적으로 감겨지게 되는데 이로써, 외력 등에 의해 상기 앞기어(10)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된 상기 체인(17)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시 상기 앞기어(10)의 상기 톱니부(15)에 감겨질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앞기어(10)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체인가이더(30)가 상기 앞기어(10)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외력 등에 의해 상기 앞기어(10)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된 상기 체인(17)을 상기 앞기어(10)의 상기 톱니부(15)로 안내하여 이탈된 상기 체인(17)이 상기 앞기어(10)의 상기 톱니부(15)에 순차적으로 다시 감겨질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행자가 직접 손으로 이탈된 상기 체인(17)을 상기 앞기어(10)에 다시 감아 수리할 필요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이로 인해 주행자의 손에 기름 등의 이물질이 묻을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여성, 어린이, 특히 노약자 등의 주행자도 외부방향으로 이탈된 상기 체인(17)을 상기 앞기어(10)에 쉽게 감아 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일측과 타측이 상기 앞기어(10)의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앞기어(10)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상기 체인가이더(3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볼트 등의 고정부재(50)에 의해 상기 앞기어(10)의 내측에 선택적으로 체결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체인가이더(30)의 일측과 타측이 볼트 등의 고정부재(50)에 의해 상기 앞기어(10)의 내측에 선택적으로 체결고정되는 것이다.
이로써, 주행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체인가이더(30)를 상기 앞기어(10)의 내측에 손쉽게 탈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50)로 반드시 상기 볼트를 사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체인가이더(30)를 상기 앞기어(10)의 내측에 선택적으로 체결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50)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측과 타측이 자전거의 앞기어 내측에 고정된 상기 체인가이더가 상기 앞기어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외력 등에 의해 상기 앞기어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된 상기 체인을 상기 앞기어의 상기 톱니부로 안내하여 이탈된 상기 체인이 상기 앞기어의 상기 톱니부에 순차적으로 다시 감겨질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처럼 주행자가 직접 손으로 이탈된 상기 체인을 상기 앞기어에 다시 감아 수리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주행자의 손에 기름 등의 이물질이 묻을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여성, 어린이, 특히 노약자 등의 주행자도 외부방향으로 이탈된 상기 체인을 상기 앞기어에 쉽게 감아 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체인가이더의 일측과 타측이 볼트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앞기어의 내측에 선택적으로 체결고정되기 때문에 주행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체인가이더를 상기 앞기어의 내측에 손쉽게 탈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 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2)

  1. 일측과 타측이 자전거의 앞기어 내측에 고정되고,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앞기어와의 간격이 점차 넓어졌다 좁아짐과 동시에 외주연에 형성된 톱니부가 상기 앞기어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된 상기 체인을 상기 앞기어의 톱니부 방향으로 안내함으로써, 상기 앞기어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된 상기 체인을 상기 앞기어의 상기 톱니부로 안내하여 이탈된 상기 체인이 상기 앞기어의 상기 톱니부에 순차적으로 다시 감겨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체인가이더.
  2. 제 1항에 있어서,
    일측과 타측은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앞기어의 내측에 선택적으로 체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자전거의 체인가이더.
KR1020070008489A 2007-01-26 2007-01-26 자전거의 체인가이더 KR100813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489A KR100813115B1 (ko) 2007-01-26 2007-01-26 자전거의 체인가이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489A KR100813115B1 (ko) 2007-01-26 2007-01-26 자전거의 체인가이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3115B1 true KR100813115B1 (ko) 2008-03-17

Family

ID=39410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489A KR100813115B1 (ko) 2007-01-26 2007-01-26 자전거의 체인가이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31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78601A (zh) * 2021-11-15 2022-01-28 昆山德钜源运动科技有限公司 一种自行车自动上链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2989A (ja) 1985-02-20 1986-08-27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管と管継手とのろう付け方法
KR19980067674U (ko) * 1997-05-28 1998-12-05 임태규 자전거 구동장치
JPH1120764A (ja) 1997-06-30 1999-01-26 Tadayoshi Kajiyama 自転車
JP2002308177A (ja) 2001-04-02 2002-10-23 Uni Sunstar Bv チェーン挟まり防止装置、自転車及び動力アシスト自転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2989A (ja) 1985-02-20 1986-08-27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管と管継手とのろう付け方法
KR19980067674U (ko) * 1997-05-28 1998-12-05 임태규 자전거 구동장치
JPH1120764A (ja) 1997-06-30 1999-01-26 Tadayoshi Kajiyama 自転車
JP2002308177A (ja) 2001-04-02 2002-10-23 Uni Sunstar Bv チェーン挟まり防止装置、自転車及び動力アシスト自転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78601A (zh) * 2021-11-15 2022-01-28 昆山德钜源运动科技有限公司 一种自行车自动上链机构
CN113978601B (zh) * 2021-11-15 2023-09-26 昆山德钜源运动科技有限公司 一种自行车自动上链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83051B1 (en) An electric bicycle having a gearing system
US8276731B2 (en) Normally closed soundless bicycle hub
EP1739000A1 (en) Control device for a bicycle derailleur
TW200538353A (en) Bicycle drive unit
JPH06506417A (ja) 複輪駆動型の自転車
JPH05508367A (ja) 二輪車
US8475327B2 (en) Accelerating system for improving the running speed of a bicycle
KR100813115B1 (ko) 자전거의 체인가이더
JP3746025B2 (ja) 自転車用リアディレーラ
US3648519A (en) Multiple free wheel for a bicycle
US10823269B2 (en) Bicycle rotor
JP6179703B2 (ja) 電動用ハブ装置および電動自転車
KR101195422B1 (ko) 주행속도 향상을 위한 자전거용 가속장치
US3398973A (en) Driving chain tensioning device in a bicycle equipped with coaster brake and exposedspeed change mechanism
WO2007027028A2 (en) A bicycle overdriving apparatus having a crank shaft
JP5230808B2 (ja) 自転車のハンドルフレーム回動装置
US11305839B2 (en) Transmission device for bicycle
JP4220438B2 (ja) 幼児用乗物の保護者用操向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た幼児用乗物
TW202308895A (zh) 後鏈輪
JP2009119990A (ja) チェーンレスの自転車
KR100313562B1 (ko) 요동하는자전거
KR20210129619A (ko) 동력 발생 장치
KR20110094786A (ko) 자전거 스프라켓
JPH05139356A (ja) 異径車輪自転車
KR20220011203A (ko) 동력 발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