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3030B1 - 천정 거푸집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천정 거푸집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3030B1
KR100813030B1 KR1020070026354A KR20070026354A KR100813030B1 KR 100813030 B1 KR100813030 B1 KR 100813030B1 KR 1020070026354 A KR1020070026354 A KR 1020070026354A KR 20070026354 A KR20070026354 A KR 20070026354A KR 100813030 B1 KR100813030 B1 KR 100813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gonal bars
angle
ceiling
side plates
rear ram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원
Original Assignee
(주)종합건축사사무소예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합건축사사무소예일 filed Critical (주)종합건축사사무소예일
Priority to KR1020070026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30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 거푸집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시공공정을 통해 천정 거푸집을 수평 상태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천정 거푸집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천정 거푸집의 하부를 지면에 지지하는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는, 중간의 중심축을 통해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구비된 전,후방 경사대와, 상기 전,후방 경사대의 중간에 구비된 중심축의 주위에 구비되어 전,후방 경사대의 경사각을 조정하는 높이 조정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높이 조정수단은, 상기 중심축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고 전,후방 조립홀을 포함하는 양 측판과, 상기 양 측판의 전,후방 조립홀에 관통되어 너트를 통해 체결됨에 따라 양 측판의 사이 간격을 조정하여 전,후방 경사대의 각도를 동시에 조정하는 간격 조정볼트로 구성되며; 상기 전,후방 경사대의 상부에는, 전,후방 경사대의 상부에 양측으로 관통되게 구비된 관통축과, 관통축에 회전 가능 가능하게 조립되어 천정 거푸집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각도변경 브라켓으로 구성된 거푸집 밀착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전,후방 경사대의 하부에는, 전,후방 경사대의 하부에 양측으로 관통되게 구비된 관통축과, 관통축에 회전 가능 가능하게 조립되어 지면에 수평으로 밀착되는 각도변경 브라켓으로 구성된 지면 밀착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천정 거푸집 지지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천정 거푸집. 경사대, 높이 조정수단

Description

천정 거푸집 지지장치{FRAMEWORK SUPPORT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천정 거푸집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천정 거푸집 지지장치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 확대도.
도 4는 도 1의 B부 확대도.
도 5는 도 1의 C부 확대도.
도 6은 종래의 동바리를 나타낸 개략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사대 11 : 중심축
2 : 높이 조정수단 21 : 측판
211 : 조립홀 22 : 간격 조정볼트
23 : 너트 3 : 거푸집 밀착수단
31 : 관통축 32 : 각도변경 브라켓
4 : 지면 밀착수단 41 : 관통축
42 : 각도변경 브라켓
본 발명은 천정 거푸집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시공공정을 통해 천정 거푸집을 수평 상태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천정 거푸집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현장에서 천정 거푸집을 시공할 경우에는 다수의 동바리를 이용하는 방식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에 종래의 동바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면에 세워지는 하부관(100)과, 하부관(100)에 높이 조정부(300)를 통해 높이의 조정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상부관(20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높이 조정부(300)는, 상기 상부관(200)의 외측에 형성된 나선부(301)와 나선부(301)에 높이를 달리하면서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관통홀(302)과, 상기 나선부(301)에 체결되어 상부관(200)의 상단의 높이를 조정하는 회전 손잡이(304)를 포함하는 높이 조정용 너트(303), 및 상기 관통홀(302) 중 너트(303)의 상부에 위치되는 관통홀(302)에 관통 되어 너트(303)의 풀림을 방지하는 고정핀(305)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동바리를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천정 거푸집을 못 등으로 천정에 임시적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임시적으로 고정된 천정 거푸집의 하부에 높이를 조정하면서 다수의 동바리를 시공함으로써 거푸집의 시공을 완료하 는 것이다.
즉 각 동바리를 구성하는 높이 조정부(300)를 구성하는 높이 조정용 너트(303)의 회전과 고정핀(305)의 고정을 통해 상부관(200)의 높이를 조정하여 천정 거푸집을 지지하는 것이다. 즉 상기 너트(303)는 하부관의 상부에 안착되게 됨으로서 상부관(200)의 높이가 조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동바리를 사용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먼저, 판 형상으로 구성되는 단일의 천정 거푸집을 지지할 경우에는 다수(최소 2개이상)의 동바리가 필요한데, 각 동바리를 시공함에 있어서 다수의 동바리의 높이가 각기 틀리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콘크리트의 양생후 천정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불량시공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엇다.
또한 다수의 동바리를 시공함에 있어 각 동바리의 높이를 일일 조정해야 함으로써, 천정 동바리를 시공함에 있어서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천정 거푸집을 지지함에 있어서 천정 거푸집이 경사지게 시공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천정 거푸집 지지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간단한 공정으로 천정 거푸집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정 거푸집의 하부를 지면에 지지하는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는, 중간의 중심축을 통해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구비된 전,후방 경사대와, 상기 전,후방 경사대의 중간에 구비된 중심축의 주위에 구비되어 전,후방 경사대의 경사각을 조정하는 높이 조정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높이 조정수단은, 상기 중심축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고 전,후방 조립홀을 포함하는 양 측판과, 상기 양 측판의 전,후방 조립홀에 관통되어 너트를 통해 체결됨에 따라 양 측판의 사이 간격을 조정하여 전,후방 경사대의 각도를 동시에 조정하는 간격 조정볼트로 구성되며; 상기 전,후방 경사대의 상부에는, 전,후방 경사대의 상부에 양측으로 관통되게 구비된 관통축과, 관통축에 회전 가능 가능하게 조립되어 천정 거푸집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각도변경 브라켓으로 구성된 거푸집 밀착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전,후방 경사대의 하부에는, 전,후방 경사대의 하부에 양측으로 관통되게 구비된 관통축과, 관통축에 회전 가능 가능하게 조립되어 지면에 수평으로 밀착되는 각도변경 브라켓으로 구성된 지면 밀착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천정 거푸집 지지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 측판의 마주보는 상,하부에는, 전,후방 경사대에 밀착되는 원호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천정 거푸집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 명의 천정 거푸집 지지장치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 확대도이다.
이에 본 발명의 천정 거푸집 지지장치는, 천정 거푸집의 하부를 지면에 지지하는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는, 중간의 중심축(11)을 통해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구비된 전,후방 경사대(1)와, 상기 전,후방 경사대(1)의 중간에 구비된 중심축(11)의 주위에 구비되어 전,후방 경사대(1)의 경사각을 조정하는 높이 조정수단(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높이 조정수단(2)은, 상기 중심축(11)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고 전,후방 조립홀(211)을 포함하는 양 측판(21)과, 상기 양 측판(21)의 전,후방 조립홀(211)에 관통되어 너트(23)를 통해 체결됨에 따라 양 측판(21)의 사이 간격을 조정하여 전,후방 경사대(1)의 각도를 동시에 조정하는 간격 조정볼트(22)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양 측판(21)의 상,하부가 전,후방 경사대(1)에 밀착 구비됨으로써, 양 측판(21)의 사이 간격의 조정으로 통해 전,후방 경사대(1)의 각도가 동일학 각도로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양 측판(21)의 마주보는 상,하부에는 원호부(212)가 형성됨에 따라서 양 측판(21)의 상,하부 원호부(212)가 전,후방 경사대(1)와 밀착됨으로써, 양 측판(21)의 사이 간격이 조정되면 전,후방 경사대(1)의 각도가 동시에 조정되는 것이다.
도 4는 도 1의 B부 확대도로서, 상기 전,후방 경사대(1)의 상부에는, 전,후 방 경사대(1)의 각도가 변경될 경우에는 천정 거푸집을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각도의 변경이 자유로운 거푸집 밀착수단(3)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거푸집 밀착수단(3)은, 전,후방 경사대(1)의 상부에 양측으로 관통되게 구비된 관통축(31)과, 관통축(31)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천정 거푸집을 수평으로 지는하는 각도변경 브라켓(3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도 5는 도 1의 C부 확대도로서, 상기 전,후방 경사대(1)의 하부에는, 전,후방 경사대(1)의 각도가 변경될 경우에 지면에 수평상태로 밀착될 수 있도록 각도의 변경이 자유로운 지면 밀착수단(4)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지면 밀착수단(4)은, 전,후방 경사대(1)의 하부에 양측으로 관통되게 구비된 관통축(41)과, 관통축(41)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지면에 수평으로 밀착되는 각도변경 브라켓(32.4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지지장치의 설치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천정 거푸집 지지장치를 시공할 경우에는, 먼저, 천정 거푸집을 천정에 못 등의 요소를 통해 임시적으로 고정한다.
다음, 천정에 임시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천정 거푸집의 하부에 전,후방 지지대()을 위치시키고, 전,후방 경사대(1)의 중간에 구비되어 있는 높이 조정수단(2)을 조정하여 전,후방 경사대(1)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천정 거푸집의 하부를 수평상태로 지지하는 것이다.
즉 전,후방 경사대(1)의 중간에 구비되어 있는 높이 조정수단(2)을 조정할 경우에는, 양 측판(21)의 전,후방에 관통되어 있는 간격 조정볼트(22)를 고정하는 너트(23)의 회전을 통해 양 측판(21)의 사이 간격을 줄임으로써, 전,후방 경사대(1)의 각도을 변경시켜 전,후방 경사대(1)의 높이를 높이는 과정을 통해 천정 거푸집을 수평 상태로 지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전,후방 경사대(1)의 각도를 변경시켜 전,후방 경사대(1)의 높이를 높이는 과정에서는, 각 전,후방 경사대(1)의 상,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각도변경 브라켓(32.42)이 수평으로 변경됨으로써 천정 거푸집을 좀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거푸집을 시공함으로써, 중간에 구비된 높이 조정수단(2)의 조정을 통해 전,후방 경사대(1)의 각도를 동시에 조정하여 전,후방 경사대(1)를 동일 각도로 변경시킴으로써, 천정 거푸집이 경사지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천정의 시공불량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정밀한 천정시공이 가능한 천정 거푸집 지지장치을 제공함은 물론, 단순히 간격 조정볼트(22)의 체결을 통해 전,후방 경사대(1)의 높이를 조정하여 천정 거푸집을 시공함으로써 시공 효율을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전,후방에 지지대의 각도를 동시에 조정하여 천정 거푸집을 시공함으로써, 지지장치의 시공 갯수를 최소로 줄임에 따라서 천정 거푸집의 시공성을 좀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점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천정 거푸집을 지지함에 있어서 천정 거푸집이 경사지게 시공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천정의 콘크리트 양생한 후 천정이 경사지는 등의 시공 불량을 사전에 방지하여 하자보수등이 발생하지 않아 결국 공기의 단축 및 공사비를 절감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한 공정으로 천정 거푸집을 수평으로 신속하게 지지함으로써, 천정 거푸집의 시공 효율 및 공기단축을 기대할 수 있어 전체적인 공정에 있어 그 효율을 일층 향상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천정 거푸집의 하부를 지면에 지지하는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는, 중간의 중심축(11)을 통해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구비된 전,후방 경사대(1)와, 상기 전,후방 경사대(1)의 중간에 구비된 중심축(11)의 주위에 구비되어 전,후방 경사대의 경사각을 조정하는 높이 조정수단(2)으로 구성되고;
    상기 높이 조정수단(2)은, 상기 중심축(11)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고 전,후방 조립홀(211)을 포함하는 양 측판(21)과, 상기 양 측판(21)의 전,후방 조립홀(211)에 관통되어 너트(23)를 통해 체결됨에 따라 양 측판(21)의 사이 간격을 조정하여 전,후방 경사대(1)의 각도를 동시에 조정하는 간격 조정볼트(22)로 구성되며;
    상기 전,후방 경사대(1)의 상부에는, 전,후방 경사대(1)의 상부에 양측으로 관통되게 구비된 관통축(31)과, 관통축(31,41)에 회전 가능 가능하게 조립되어 천 정 거푸집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각도변경 브라켓(32)으로 구성된 거푸집 밀착수단(3)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전,후방 경사대(1)의 하부에는, 전,후방 경사대(1)의 하부에 양측으로 관통되게 구비된 관통축(41)과, 관통축(31,41)에 회전 가능 가능하게 조립되어 지면에 수평으로 밀착되는 각도변경 브라켓(42)으로 구성된 지면 밀착수단(4)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거푸집 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판(21)의 마주보는 상,하부에는,
    전,후방 경사대(1)에 밀착되는 원호부(212)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거푸집 지지장치.
KR1020070026354A 2007-03-17 2007-03-17 천정 거푸집 지지장치 KR100813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354A KR100813030B1 (ko) 2007-03-17 2007-03-17 천정 거푸집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354A KR100813030B1 (ko) 2007-03-17 2007-03-17 천정 거푸집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3030B1 true KR100813030B1 (ko) 2008-03-19

Family

ID=39410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354A KR100813030B1 (ko) 2007-03-17 2007-03-17 천정 거푸집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30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27843A (zh) * 2017-07-28 2017-10-03 北京城建七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后浇带模板支撑体系和施工方法
CN107829881A (zh) * 2017-11-03 2018-03-23 王丽 一种用于新能源的便于安装的风力发电机
CN108118892A (zh) * 2017-12-31 2018-06-05 重庆工商职业学院 可反复使用的模板支座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2951A (ko) * 1994-01-20 1995-12-22 미쯔오 사사끼 가동 슬래브 거푸집 유닛
KR20050046691A (ko) * 2005-04-26 2005-05-18 성수복 건축용 조립식 보 거푸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2951A (ko) * 1994-01-20 1995-12-22 미쯔오 사사끼 가동 슬래브 거푸집 유닛
KR20050046691A (ko) * 2005-04-26 2005-05-18 성수복 건축용 조립식 보 거푸집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27843A (zh) * 2017-07-28 2017-10-03 北京城建七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后浇带模板支撑体系和施工方法
CN107829881A (zh) * 2017-11-03 2018-03-23 王丽 一种用于新能源的便于安装的风力发电机
CN108118892A (zh) * 2017-12-31 2018-06-05 重庆工商职业学院 可反复使用的模板支座
CN108118892B (zh) * 2017-12-31 2020-03-10 重庆工商职业学院 可反复使用的模板支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8476B1 (en) Pool leveling system
US9447990B2 (en) Solar array support structure with a telescopic wind brace
KR100813030B1 (ko) 천정 거푸집 지지장치
JP2009302123A (ja) 太陽電池架台装置
GB2487657A (en) Adjustable ground anchor
KR20130021550A (ko) 옥외용 회전식 광고대의 안전 구동장치
KR100683621B1 (ko) 각도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상부구조물 인상용 브라켓
CN110130633A (zh) 一种可伸缩盘扣式钢管支撑体系及施工方法
KR100912700B1 (ko) 도로 명판 행거의 수평유지 및 수평조정장치
KR102094970B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휀스
KR101515371B1 (ko) 데크로드용 데크판 받침골조 고정장치
KR20090110533A (ko) 각도 조절형 태양광판 지지장치
JP6483200B2 (ja) クサビ式足場用屋根構造
JP2014077319A (ja) 太陽光パネル架台および太陽光パネル架台の施工方法
JP4537884B2 (ja) アンカーボルト支持装置におけるベース構造
JP2017028889A (ja) ソーラーパネル用架台及びその施工方法
JP5855925B2 (ja) 支持瓦
KR100813031B1 (ko) 다수의 천정 거푸집 지지용 지지장치
KR100663161B1 (ko) 높이조절용 울타리
KR200414119Y1 (ko) 휀스용 포스트의 설치구조
KR20140119572A (ko) 울타리
KR200415619Y1 (ko) 거푸집 설치용 수평 조절장치
KR101467842B1 (ko) 데크로드용 데크판 받침골조 고정장치
KR200443720Y1 (ko) 태양광판 지지장치
CN110259147A (zh) 狭窄空间相向悬挑平台的平台梁辅助安装装置及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