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0997B1 - 폴더식 티슈 케이스 및 그에 수납되는 티슈 - Google Patents

폴더식 티슈 케이스 및 그에 수납되는 티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0997B1
KR100810997B1 KR1020060097377A KR20060097377A KR100810997B1 KR 100810997 B1 KR100810997 B1 KR 100810997B1 KR 1020060097377 A KR1020060097377 A KR 1020060097377A KR 20060097377 A KR20060097377 A KR 20060097377A KR 100810997 B1 KR100810997 B1 KR 100810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tissue
outlet
folding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7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우
Original Assignee
남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상우 filed Critical 남상우
Priority to KR1020060097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0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0Holders; Receptacles for pile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33Details of the housing, e.g. hinges, connection to the w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된 티슈를 한장씩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폴더식 티슈 케이스 및 그에 수납되는 티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층된 상태의 티슈 중 인출구를 통해 외부에 노출된 티슈들이 꽃모양을 형성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함은 물론, 이동 및 보관시 인출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티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폴더식 티슈 케이스 및 그에 수납되는 티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폴더식 티슈 케이스는 일측에 제1인출구가 형성된 제1케이스와 일측에 제2인출구가 형성된 제2케이스가 접힘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폴딩(folding)되도록 결합되고, 제1인출구 및 제2인출구는 각각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가 접히는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인출구 및 제2인출구를 통해 외부에 노출된 티슈들이 꽃모양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 제1인출구와 제2인출구의 중심부에는 상기 제1인출구 및 제2인출구의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의 유도판을 형성하되 상기 유도판에는 각종 조형물이 결합되는 조형물 결합부를 구비하여 더욱더 꽃모양과 유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폴더식 티슈 케이스에 수납되는 티슈는, 양측 단부가 각각 소정길이 절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티슈, 제1케이스, 제2케이스, 제1인출구, 제2인출구, 폴더, 꽃모양

Description

폴더식 티슈 케이스 및 그에 수납되는 티슈{Folder type tissue-case and tissue therei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티슈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식 티슈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식 티슈 케이스의 유도판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식 티슈 케이스의 잠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식 티슈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식 티슈 케이스의 인출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식 티슈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티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a, 40a: 제1케이스 20b, 40b: 제2케이스
20c: 접힘부 21a: 제1인출구
21b: 제2인출구 22, 22': 유도판
23a: 걸림편 23b: 걸림고리
24a: 걸림홈 24b: 걸림판
30: 티슈 31: 절단부
41a, 41b: 격벽
본 발명은 적층된 티슈를 한장씩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폴더식 티슈 케이스 및 그에 수납되는 티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층된 상태의 티슈 중 인출구를 통해 외부에 노출된 티슈들이 꽃모양을 형성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함은 물론, 이동 및 보관시 인출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티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폴더식 티슈 케이스 및 그에 수납되는 티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 및 세안용 등으로 사용되는 티슈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티슈(12)를 각각 반으로 접어 상기 접혀진 티슈(12)의 절반이 다른 티슈(12)의 내부에 겹쳐지는 방식으로 적층되게 하고, 이렇게 적층된 티슈(12) 를 사각형상의 케이스(11)에 수납하여, 필요시 케이스(11)의 상부면에 형성된 인출구를 통해 한장씩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티슈(12)를 인출하면, 사용 편리성을 위해 상기 인출된 티슈(12)와 겹쳐져 있던 하층의 티슈(12)가 인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이때 티슈(12)는 주름진 상태로 어지러이 노출되게 되어 있어, 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 및 보관시 외부로 노출된 티슈(12) 및 케이스(11)의 상면에 먼지 등이 많이 끼게 되어 위생적으로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여행 등의 이유로 이동시 더욱 심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적층된 상태의 티슈 중 인출구를 통해 외부에 노출된 티슈들이 꽃모양을 형성하도록 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폴더식 티슈 케이스 및 그에 수납된 티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동 및 보관시 인출구가 형성된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티슈 케이스를 폴딩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티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휴대하기 편리한 폴더식 티슈 케이스 및 그에 수납되는 티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폴더식 티슈 케이스는, 일측에 제1인출구가 형성된 제1케이스와 일측에 제2인출구가 형성된 제2케이스가 접힘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폴딩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인출구 및 제2인출구는, 각각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가 접히는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인출구와 제2인출구가 접하여 이루어지는 단면 형상은 원형, 타원형, 및 스타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인출구와 제2인출구의 중심부에는 상기 제1인출구 및 제2인출구의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의 유도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도판에는 각종 조형물이 결합되는 조형물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는 하나의 일체형 케이스부재를 접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인출구와 제2인출구의 중심부에는 상기 조립체와 분리 구성되되 일측에 조형물 결합부가 형성된 유도판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유도판은 종이재질, 플라스틱재질, 금속재질, 및 나무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에는 걸림편과 걸림고리로 이루어져 암수 한 쌍을 이루는 잠금장치가 각각 장치되어 있거나, 또는 걸림홈과 걸림판으로 이루 어져 암수 한 쌍을 이루는 잠금장치가 각각 장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이등분하기 위한 격벽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티슈는, 티슈 케이스 내에 수납되어 인출 사용되는 티슈에 있어서, 양측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각각 소정길이 절단된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더식 티슈 케이스 및 티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식 티슈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더식 티슈 케이스(20)는 상면 일측부에 티슈(30)를 인출할 수 있는 제1인출구(21a)가 형성되어 있는 제1케이스(20a)와, 역시 상면 일측부에 티슈(30)를 인출할 수 있는 제2인출구(21b)가 형성되어 있는 제2케이스(20b)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케이스(20a, 20b)에는 각각 다수의 층으로 적층된 티슈(30)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제1인출구(21a)와 제2인출구(21b)는 제1케이스(20a)와 제2케이스(20b)가 서로 접하는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어, 즉, 제1케이스(20a)와 제2케이스(20b)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케이스(20a)의 상면과 제2케이스(20b) 상면을 모두 포함하는 면의 중앙부에 제1인출구(21a)와 제2인출구(21b)가 서로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제1인출구(21a) 및 제2인출구(21b)를 통해 각각 외부로 노출된 티슈(30)가 주름진 상태로 서로 마주 보게되어 당해 티슈(30)가 꽃모양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제1인출구(21a)와 제2인출구(21b)의 중앙부에는 유도편(22)이 형성되어 있어, 당해 제1인출구(21a)와 제2인출구(21b)를 서로 분리시키고, 티슈(30)의 인출을 유도하며, 티슈(30)에 의해 형성된 꽃모양의 완성도를 더욱더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은 유도편(22)은 다음의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20a, 20b)는 접힘부(20c)를 중심축으로 하여 폴딩(folding)이 가능하도록, 제1케이스(20a)의 일측 모서리와 제2케이스(20b)의 일측 모서리만이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부분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제1인출구와 제2인출구(21a, 21b)가 각각 형성된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20a, 20b)의 상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폴딩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티슈(30)에 의한 꽃모양 형성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20a, 20b)의 상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폴딩시에는 제1인출구 및 제2인출구(21a, 21b)가 외부환경과 차단되어 티슈(30)에 먼지 등이 끼일 염려가 없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폴더식 티슈 케이스의 유도판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식 티슈 케이스의 유도판를 설명하게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먼저, 도 3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더식 티슈 케이스(20)는 제1 및 제2인출구(21a, 21b)의 중심부에 유도판(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유도판(22)의 상측에는 조형물 결합부(22c)가 형성되어 있어 꽃의 수술 등과 같은 각종 조형물을 꽂아 꽃모양의 완성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상기 제1 및 제2인출구(21a, 21b)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티슈(30)가 꽃잎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유도판(22)에 꽃의 수술 형상을 갖는 조형물을 결합시켜 좀더 꽃모양에 가깝게 한다. 또한, 유도판(22)은 제1 및 제2인출구(21a, 21b)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당해 제1 및 제2인출구(21a, 21b)를 서로 분리시킴은 물론, 티슈(30)의 인출을 유도할 수도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유도판(22)은, 다음의 도 6을 통해 좀더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이 또는 얇은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일체형 케이스 부재의 양측단에 각각 유도편(22a, 22b)를 형성키고, 상기 일체형 케이스 부재를 접어 중심부의 제1 및 제2인출구(21, 21b)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시킴에 따라 제1및 제2케이스(20a, 20b)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도 3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도판(22')을 별도로 형성시킨 후, 제1인출구와 제2인출구(21a, 21b)의 중심부에 장치할 수도 있는데, 유도판(22')를 별도로 장치하게 되면 제1 및 제2케이스(20a, 20b)와는 다른 재질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느낌의 연출이 가능하게 된다. 즉, 종이재질은 물론, 플라스틱재질, 금속재질, 및 나무재질 등 다양한 재질을 사용하여 다양한 느낌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은 유도판(22, 22')들은 다양한 색으로 도색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형광체를 도포하여 어두운 밤에도 용이하게 티슈(3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폴더식 티슈 케이스의 잠금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식 티슈 케이스의 잠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더식 티슈 케이스(20)는 제1 및 제2케이스(20a, 20b)에 서로 암수를 이루는 잠금장치(23a, 23b, 24a, 24b)를 각각 장치하여, 폴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케이스(20a)의 일측면에 걸림편(23a)을 장치하고 제2케이스(20b)의 일측면에는 리벳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 걸림고리(23b)를 장치하여, 폴딩후 상기 걸림고리(23b)를 걸림편(20a)에 걸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케이스(20a)의 일측면에 걸림홈(24a)을 형성시키고, 제2케이스(20a, 20b)의 일측면에 걸림판(24b)을 장치하여, 폴딩후 상기 걸림판(24b)이 걸림홈(24a)에 삽입 고정되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동 및 보관시 제1인출구 및 제2인출구(21a, 21b)가 외부환경에 노 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폴더식 티슈 케이스를 이루는 조립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식 티슈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식 티슈 케이스의 인출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더식 티슈 케이스(20)는 하나의 일체형 케이스부재를 접어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및 제2케이스(20a, 20b)와, 제1 및 제2인출구(21a, 21b) 및, 유도판(22) 등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일체형 케이스부재는 각각 상면, 측면, 및 저면으로 이루어진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20a, 20b)가 접힘부(20c)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되, 접힘부(20c)의 중심에는 제1 및 제2인출구(21a, 21b)을 위한 관통홀을 형성되어 있고, 양측의 최외각 측면에는 유도판(22)를 이루는 유도편(22a, 22b)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일체형 케이스부재를 접어 본 발명에 따른 폴더식 티슈 케이스(20)를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종이 또는 얇은 플라스틱 등의 원재를 하나의 일체형 케이스부재 형상으로 절단하고, 접힘선(일점쇄선)을 따라 접은 후, 각 접촉 부분을 본딩하는 간단한 공정에 의해서 본 발명과 같은 폴더식 티슈 케이스(20)를 조립할 수 있 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인출구 및 제2인출구(21a, 21b)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관통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의 관통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나아가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형의 관통공으로 이루어지되 바람직하게는 관통공의 내주연에는 티슈(30)를 인출시 티슈(30)에 손상을 가하지 않도록 부드러운 재질의 커버를 씌울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식 티슈 케이스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단, 이하에서는 가급적 중복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식 티슈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식 티슈 케이스(40)는 제1 및 제2케이스(40a, 40b)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제1 및 제2케이스(40a, 40b)의 내부에는 당해 제1 및 제2케이스(40a, 40b)를 그 길이방향으로 이등분할 수 있도록 각각 격벽(41a, 41b)이 장치되어 있다.
따라서, 4개소에서 티슈(30)의 인출이 가능하여 꽃잎이 4개인 꽃모양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단, 상기 격벽(41a, 41b)들은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유도편(도 5의 22a, 22b)이 인출구의 상측으로 돌출되면서 조립될 수 있는 공간을 형 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티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티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티슈(30)는 상기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폴더식 티슈 케이스(20, 40)의 내부에 수납되어 사용되어지는 것으로, 사각형의 티슈(30) 양측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길이로 절단된 절단부(31)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티슈(30)의 양측에 절단부(31)를 형성시키면 상술한 바와 같은 제1인출구 및 제2인출구(21a, 21b)를 통해 외부로 노출시 티슈(31)의 단부가 절단부(31)를 중심으로하여 양측으로 갈라지게 되므로 더욱더 정교한 꽃모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폴더식 티슈 케이스 및 그에 수납되는 티슈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상에서는 하나의 일체형 케이스부재를 접어 폴더식 티슈 케이스가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서로 분리 조립된 티슈 케이스들의 접힘부를 힌지 결합시키거나 접착테이프에 의해 결합시켜 폴딩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폴더식 티슈 케이스 및 그에 수납되는 티슈에 의하면, 각 케이스에 형성된 인출구를 서로 접합시키고 상기 인출구의 중심에 유도판를 구비함에 따라 적층된 상태의 티슈 중 인출구를 통해 외부에 노출된 티슈들이 꽃모양을 형성하도록 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 및 보관시 인출구가 형성된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티슈 케이스를 폴딩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티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휴대 편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Claims (11)

  1. 일측에 제1인출구가 형성된 제1케이스와 일측에 제2인출구가 형성된 제2케이스가 접힘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폴딩(folding)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제1인출구 및 제2인출구는 각각 상기 접힘부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인출구와 제2인출구의 중심부에는 상기 제1인출구 및 제2인출구의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의 유도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식 티슈 케이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출구와 제2인출구가 접하여 이루어지는 단면 형상은 원형, 타원형, 및 스타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식 티슈 케이스.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판에는 각종 조형물이 결합되는 조형물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식 티슈 케이스.
  6. 제 1항, 제3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는 하나의 일체형 케이스부재를 접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식 티슈 케이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출구와 제2인출구의 중심부에는 상기 조립체와 분리 구성되되 일측에 조형물 결합부가 형성된 유도판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식 티슈 케이스.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판은 종이재질, 플라스틱재질, 금속재질, 및 나무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식 티슈 케이스.
  9. 제 1항, 제 3항, 제5항, 제 7항 또는 제 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에는 걸림편과 걸림고리로 이루어져 암수 한 쌍을 이루는 잠금장치가 각각 장치되어 있거나, 또는 걸림홈과 걸림판으로 이루어져 암수 한 쌍을 이루는 잠금장치가 각각 장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식 티슈 케이스.
  10. 제 1항, 제 3항, 제5항, 제 7항 또는 제 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이등분하기 위한 격벽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식 티슈 케이스.
  11. 티슈 케이스 내에 수납되어 인출 사용되는 티슈에 있어서, 양측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각각 소정길이 절단된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KR1020060097377A 2006-10-02 2006-10-02 폴더식 티슈 케이스 및 그에 수납되는 티슈 KR100810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377A KR100810997B1 (ko) 2006-10-02 2006-10-02 폴더식 티슈 케이스 및 그에 수납되는 티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377A KR100810997B1 (ko) 2006-10-02 2006-10-02 폴더식 티슈 케이스 및 그에 수납되는 티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0997B1 true KR100810997B1 (ko) 2008-03-11

Family

ID=39397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7377A KR100810997B1 (ko) 2006-10-02 2006-10-02 폴더식 티슈 케이스 및 그에 수납되는 티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099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3177U (ja) 1984-08-21 1986-03-20 恵三 宮島 テイツシユペ−パ−箱の包装用袋
KR19990005271U (ko) * 1997-07-14 1999-02-05 권혁관 인출구를 모서리에 형성한 휴대용 화장지 포장상자
JP2004315084A (ja) 2002-10-21 2004-11-11 Oji Paper Co Ltd 衛生用紙入りカートン
KR20050103426A (ko) * 2004-04-26 2005-10-31 홍성모 티슈 가이드 장치
KR200425308Y1 (ko) 2006-05-29 2006-09-13 채용수 휴지통이 동시에 구성되는 티슈 상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3177U (ja) 1984-08-21 1986-03-20 恵三 宮島 テイツシユペ−パ−箱の包装用袋
KR19990005271U (ko) * 1997-07-14 1999-02-05 권혁관 인출구를 모서리에 형성한 휴대용 화장지 포장상자
JP2004315084A (ja) 2002-10-21 2004-11-11 Oji Paper Co Ltd 衛生用紙入りカートン
KR20050103426A (ko) * 2004-04-26 2005-10-31 홍성모 티슈 가이드 장치
KR200425308Y1 (ko) 2006-05-29 2006-09-13 채용수 휴지통이 동시에 구성되는 티슈 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681478U (zh) 儿童防护包装
US11001406B2 (en) Foldable box having adhesive wing portions
ES2700113T3 (es) Caja de embalaje
KR20080063319A (ko) 용기 및 그 제조를 위한 블랭크
KR101255664B1 (ko) 펼침가능 박스
JP2017511775A (ja) シガレットパック
KR100810997B1 (ko) 폴더식 티슈 케이스 및 그에 수납되는 티슈
JP3224553U (ja) 両側嵌合式紙製ランチボックス
US2365863A (en) Carton
JP2017051572A (ja) ティッシュボックスケース
CN104837731A (zh) 瓦楞式容器盒和坯件
KR100918584B1 (ko) 서랍형 씨디 케이스
JP3211269U (ja) 蓋付き箱体
CN209065205U (zh) 光缆包装结构
JP3216618U (ja) 蓋付き箱体
JP5648317B2 (ja) 鏡餅セットおよび鏡餅用台
JP6475212B2 (ja) 貼箱
JP6395109B2 (ja) 組合せカートン
JP6588582B2 (ja) 蓋付き箱
JPS6112329Y2 (ko)
JP2023150927A (ja) 物品収容材
KR20230000776U (ko) 개방이 용이한 케이크 상자
JPS5922062Y2 (ja) テツシユボツクス
JP3138229U (ja) 焼き菓子用型ケース
JPS621513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