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0936B1 - 다중 통신 모드들을 갖는 무선 시스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통신 모드들을 갖는 무선 시스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0936B1
KR100810936B1 KR1020050066936A KR20050066936A KR100810936B1 KR 100810936 B1 KR100810936 B1 KR 100810936B1 KR 1020050066936 A KR1020050066936 A KR 1020050066936A KR 20050066936 A KR20050066936 A KR 20050066936A KR 100810936 B1 KR100810936 B1 KR 100810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identifier
communication
subscriber unit
communic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6714A (ko
Inventor
디팩 피. 아야
다니엘 에이. 보디노
사니지팔리 브이. 프라빈쿠마르
파이살 사이드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46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6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8Trunked mobile radi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공자 장비 및 적어도 2 개의 가입자 무선 유닛들을 포함하며, 이들은 각각 전화 통신 모드와 디스패치 통신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제공자 장비는 가입자 무선 유닛으로부터 통신 요청을 수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으며, 이 요청은 요청된 통신 모드 및 타겟 가입자 무선 유닛을 식별하는 모드-특정 식별자를 포함한다. 제공자 장비는 모드 특정 식별자를 요청된 통신 모드에 비교한다. 모드 특정 식별자가 요청된 통신 모드에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가입자 장비는 각 가입자 유닛을 위한 적어도 2 개의 모드 특정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제공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수신된 모드 특정 식별자를 사용하여 요청된 통신 모드에 일치하는 모드 특정 식별자를 판독하고, 요청된 통신 모드에 일치하는 모드 특정 식별자를 사용하여 요청된 통신 모드에서의 발신 가입자 무선 유닛과 타겟 가입자 무선 유닛 사이의 통신을 설정한다. 수신된 개인 액세스 식별자(private access identifier)에 응답하여 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화 번호 식별자를 상호참조하는 제공자 장비에 대한 대안으로서, 타겟 가입자 유닛 자체로부터 직접적으로 전화 번호 식별자를 질의하도록 음성 채널을 거쳐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전화 모드, 디스패치 모드, 모드-특정 식별자

Description

다중 통신 모드들을 갖는 무선 시스템을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system with multiple communication mod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시스템내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공자 설정 메시지 구조의 다이어그램.
도 4는 중요 기능 블록들을 부각시킨,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내의 제공자 장비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절차의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제공자 장비를 동작하기 위한 절차의 플로우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제공자 장비를 동작시키기 위한 절차의 플로우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제공자 장비를 동작시키기 위한 절차의 플로우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공자 설정 절차의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공자 설정 절차의 블록도.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중 통신 모드들을 지원하는 가입자 유닛들을 가지는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주파수 반송파들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본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이런 시스템들은 셀방식 전화 서비스, 트렁크식 디스패치 서비스들, 페이징 서비스들 등 같은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최근, 단일 무선 통신 시스템에 다수의 서비스들을 제공하려는 경향이 있다. 다른 조합들 중 전화 상호접속 및 디스패치 서비스들 양자 모두 또는 전화 상호접속 및 페이징 서비스들 양자 모두를 제공하는 일부 시스템들이 가입자 유닛들을 지원한다. 이런 시스템의 개발은 본질적으로 진보적이다.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새로운 서비스들은 종종 현존하는 시스템들에 이식된다. 결과적으로, 각 서비스는 식별자들, 개시 시퀀스 등을 포함하는 서로 다른 액세스 방법론들을 갖는 경향이 있다.
현재, 호출자는 가입자 유닛의 전화 및 디스패치 기능들을 사용하기 위해 적어도 2 개의 번호들을 알아야만 한다 : 사용자가 전화 호를 시도할 때, 사용자는 타겟 통화자의 전화 번호를 입력하고, 전화 호 모드를 개시하기 위해 "전송(send)" 버튼을 누른다; 디스패치 모드의 개인 호를 개시할 때, 사용자는 가입자 유닛의 개 인 디스패치 식별자를 입력하고, 디스패치 모드의 호를 개시하기 위해 푸시-투-토크("PTT: Push-to-talk") 버튼이 눌러진다.
현재 가용한 시스템에서, 개인 디스패치 식별자가 전화 번호로서 입력되는 경우, 호는 실패한다. 유사하게, 전화 번호가 개인 디스패치 식별자로서 입력되는 경우, 역시 호는 실패한다.
통신 모드들에 무관하게 가입자 유닛들 사이의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다중 모드 통신 디바이스들을 위해 개선된 호 설정 절차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화 통신 모드와 디스패치 통신 모드 양자 모두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유닛들과의 통신을 위한 단순화된 호 절차를 제공한다. 가입자 유닛에서, 타겟 가입자 유닛을 위한 전화 번호 식별자 또는 개인 디스패치 식별자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고, 그후, 특정 양방향(two-way) 무선 통신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호 요청이 개시된다.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들 각각은 특정 식별자 포맷을 갖는다. 선택된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 및 제공된 식별자는 무선 서비스에 대한 요청시, 무선 통신 시스템내의 통신 서비스들을 관리하는 제공자 장비로 통신된다. 제공자 장비에서, 타겟 가입자 유닛에 대한 무선 서비스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고, 식별자가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에 비교된다. 식별자가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와 일치하는 경우, 원하는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가 타겟 가입자 유닛에서 가능화되고, 발신 가입자 유닛 및 타겟 가입자 사이에서 통신이 형성된다.
식별자가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공자 장비는 요청된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를 위해 타겟 가입자에게 할당된 식별자를 상호참조하기 위해 모드 특정 착신 호 번호(destination calling number)를 사용하여 그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타겟 가입자 유닛으로의 원하는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를 가능화하고, 발신 가입자 유닛과 타겟 가입자 사이의 통신이 형성된다. 부가적인 특징으로서, 제공자 장비는 미래의 사용을 위해 발신 가입자 유닛상의 데이터베이스내에 저장하기 위해 발신 가입자 유닛으로 식별자를 역방향 전송할 수 있다.
수신된 개인 액세스 식별자에 응답하여 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화 번호 식별자를 상호참조하는 제공자 장비에 대한 대안으로서, 아이브로드캐스트(iBroadcast) 같은 음성 채널을 거쳐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프로토콜이 타겟 가입자 유닛 자신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전화번호 식별자를 질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유사 참조 번호들이 개별 도면들 전반에 걸쳐 동일 또는 기능적 유사 요소들을 지시하고 있으며,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그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추가로 예시하고,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원리들 및 장점들을 설명하도록 기능한다.
본 명세서는 참신하다고 여겨지는 본 발명의 특성들을 정의하는 청구항들로 완료되고, 본 발명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진행되는 도면들과 관련한 이후 기술을 고려하여 더 이해될 것으로 생각된다.
시스템 및 네트워크 개요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제공자 장비(118)를 포함하며, 이는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116) 및 가입자 유닛들(128, 130)에 결합된다. 제공자 장비(118)는 액세스 제어 게이트웨이(122), 제 1 및 제 2 통신 프로세서(114, 120), 통신 채널(126) 및 기지국들(124)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액세스 제어 게이트웨이(122)는 본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방식으로 가입자 유닛들(128, 130)을 위한 액세스 제어 및 통신 관리를 수행한다. 제 1 통신 프로세서(114)는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116) 및 액세스 제어 게이트웨이(122)와 인터페이스 연결하여 전화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를 요청 또는 전화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를 수신하는 특정 가입자 유닛들(128, 130)로, 그리고, 그로부터의 메시지들을 관리 및 라우팅하기 위한 게이트웨이를 제공한다. 이들 메시지들은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116)를 경유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 외부의 소스로부터 얻어질 수 있거나, 내부적으로 서비스받는 가입자 유닛(128, 130) 또는 기타 장비로부터 소싱될 수 있다. 제 2 통신 프로세서(120)는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116)를 액세스하지 않고 발신 가입자와 타겟 가입자 사이의 직접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기지국들(124)은 액세스 제어 게이트웨이(122)에 결합되며, 특정 지리적 영역들내의 가입자 유닛들을 서비스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지리학적으로 분산된다. 가입자 유닛들(128, 130)은 기지국(124)과 형성된 무선 통신 링크들(132, 134)을 경유하여 액세스 제어 게이트웨이(122)와 인터페이스 연결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이다. 가입자 유닛들(128, 130)은 휴대용 또는 모바일 무선 전화일 수 있으며, 이들은 전화 상호접속, 단문 서비스, 디스패치 또는 순간 회의, 회로 데이터, 패킷 데이터 및 그 조합과 다른 데이터 서비스들 같은 서비스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제공자 장비(118)와 연관하여 동작한다.
가입자 유닛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가입자 유닛(128)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다른 가입자 유닛(130)은 유사하게 구성된다. 통신 디바이스(128)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전화 상호접속과 디스패치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양방향 무선 또는 무선 전화이다. 무선(128)에서, 제어기(210)는 메모리 디바이스(280), 송신기(240) 및 수신기(250)에 결합된다. 송신기(240) 및 수신기(250)는 안테나 스위치(260)를 경유하여 안테나(270)에 결합된다. 전송 작업들을 위해, 제어기(210)는 송신기(240)를 안테나(270)에 연결하도록 안테나 스위치(260)를 구성한다. 유사하게, 수신 작업들을 위해, 제어기(210)는 안테나 스위치(260)를 경유하여 안테나(270)를 수신기(250)에 연결한다. 수신 및 송신 동작들은 메모리(280)내에 저장된 명령들하에 수행된다. 또한, 무선(128)는 디스플레이(220) 및 키패드(230)를 포함하며, 이들은 함께 무선 기능들을 액세스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메모리(280)는 디스패치 모드 개인 액세스 식별자들(286) 및 전화 모드 액세스 식별자들(288)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디스패치(282) 및 전화 상호접속(284) 같은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들을 포함한다. 무선(128)는 다른 가입자 유닛과의 통신을 위해 전화 접속 모드 및 디스패치 모드로부터 특정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무선(128)는 또한 호 설정 요청시, 제공자 장비에 특정 액세스 식별자와 함께 선택된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를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호 설정 메시지
도 3은 식별자를 포함하는 설정 메시지(300)를 갖는 호 요청의 구조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식별자를 입력하고,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의 선택이 이어지며, 서비스를 요청할 때, 가입자 유닛은 도 3의 메시지 포맷에 도시된 적절한 필드들 모두를 채운다. 각 메시지는 프로토콜 판별자(304), 트랜잭션 식별자(306), 메시지 유형(308) 및 피호된 집단 BCD 번호(전화 액세스 식별자)(302) 또는 개인 ID(개인 액세스 식별자)(310)로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선택 정보 요소들(미도시) 및 특정 길이로 메시지를 부연하기 위해 필요한 바에 따라, $00(이진수들은 접두사 "%"에 의해 표시되고, 16진수들은 접두사 "$"에 의해 표시됨)과 같은 패드 바이트(312)도 존재할 수 있다.
비트 순서화 및 번호매김
각 옥텟내의 비트는 1 내지 8로 번호매김된다. 도 3의 최우측 컬럼은 옥텟 번호를 나타낸다. 보다 높게 번호매김된 비트는 보다 상위에 있다. 필드가 하나 이상의 옥텟에 걸쳐져 있는 경우, 이때, 필드의 최상위 비트는 최저로 번호매김된 옥텟의 최고로 번호매김된 비트이며, 최하위 비트는 최고로 번호매김된 옥텟의 최저로 번호매김된 비트이다.
프로토콜 판별자
프로토콜 판별자(304)는 다양한 메시지 프로토콜 엔티티들에 의해 사용되는 메시지 집합들 사이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표 1은 프로토콜 판별자 값들에 대응하는 다양한 엔티티들의 목록을 보여준다.
PD 메시지 엔티티
$3 통화 제어
$5 이동성 관리
$6 리소스 관리
$7 리소스 관리
$9 SMS 지원
$B 보충 서비스
트랜잭션 식별자
트랜잭션 식별자(306)는 단일 메시지 서비스내의 동시 활동들 사이를 구별하기 위해 일부 프로토콜 엔티티들에 의해 사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잭션 식별자(306)는 트랜잭션 식별자 플래그(314) 및 트랜잭션 식별자 값(316)으로 이루어진다. 트랜잭션 식별자 값들은 인터페이스의 트랜잭션을 개시하는 쪽에 의해 선택 및 할당된다. 트랜잭션 의 시작시, 자유 트랜잭션 식별자 값이 트랜잭션에 선택 및 할당된다; 그후, 이는 트랜잭션의 수명 동안 고정되어 남아있는다. 트랜잭션이 종료할 때, 연관된 트랜잭션 식별자 값은 자유로와지고, 다른 트랜잭션에 할당될 수 있다.
트랜잭션 식별자 플래그(314)는 인터페이스의 양쪽이 다른 트랜잭션들을 위해 동일 트랜잭션 식별자 값(316)을 선택하는 일이 발생하는 경우를 초래하는 다의성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트랜잭션 식별자 플래그(314)는 인터페이스의 어느 쪽이 트랜잭션 식별자 값(316)을 선택하였는지를 식별한다.
메시지 유형
프로토콜 판별자(304)와 함께, 메시지 유형(308)은 특정 메시지의 기능을 식별한다. 메시지 유형(308)은 발신 가입자 유닛에 의해 요청되는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가 전화인지 디스패치인지를 제공자 장비에 표시한다.
제공자 장비
도 4는 제공자 장비(118)의 현저한 양태들을 부각시키는 블록도이며, 제 1 통신 프로세서(114) 및 제 2 통신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제 1 통신 프로세서(114)는 디스패치 데이터베이스(402) 및 전화 데이터베이스(404)를 구비한다. 유사하게, 제 2 통신 프로세서(120)는 디스패치 데이터베이스(406) 및 전화 데이터베이스(408)를 구비한다. 각 프로세서(114, 120)는 또한, 제공자 장비(118)를 위한 관리 및 제어 기능들을 이행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기지국(124)이 가입자 유닛으로부터 서비스를 위한 요청을 수신하고 나면, 요청은 액세스 제어 게이트웨이(122)로 전송되고, 이는 요청을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에 의존하여, 제 1 통신 프로세서(114) 또는 제 2 통신 프로세서(120) 중 어느 하나로 라우팅한다. 요청된 양방향 무선 모드가 전화 모드인 경우, 호는 제 1 통신 프로세서(114)로 라우팅된다. 요청된 양방향 무선 모드가 디스패치 모드인 경우, 호는 제 2 통신 프로세서(120)로 라우팅된다. 각 프로세서들(114, 120)은 디스패치 데이터베이스(402)를 구비하며, 이는 가입자 유닛들(128, 130)의 집합을 위한 디스패치 운용 정보를 포함한다. 이 정보는 개인 액세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각 가입자 유닛을 위한 레코드를 포함한다. 각 프로세서(114, 120)는 또한 전화 데이터베이스(404)를 구비하며, 이는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가입자 유닛들의 집단을 위한 전화 운용 정보를 포함한다. 전화 데이터베이스(404)는 전화 액세스 식별자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화 액세스 식별자(288)는 그 가입자 유닛을 위한 고유 번호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지역 코드들 같은 어떤 필수 지리 기반 코드를 포함하는 전화 번호의 포맷을 가진다.
가입자 유닛에서의 절차들
도 5는 다른 가입자 유닛과의 통신 또는 무선 서비스를 위한 요청을 개시할 때, 통신 디바이스(128, 130)에서 사용되는 절차(500)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단계 510에서 타겟 가입자 유닛을 위한 모드 특정 액세스 식별자를 획득한다. 액세스 식별자는 이 식별자가 가용한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와 일치하는 포맷으로 타겟 가입자 유닛을 식별하기 때문에, 모드 특정이라 명명된다. 전화 모드를 위해, 액세스 식별자는 지역 코드들, 국가 코드들 등 같은 어떤 필수 지리적 착신자들을 갖는 전화 번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패치 모드를 위하여, 액세스 식별자는 타겟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요청을 라우팅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해석될 수 있는 어떤 포맷일 수 있다. 사용자는 단계 520에서, 통신 디바이스(128, 130)를 조작하여 다른 가입자와의 통신을 위해 지원되는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들로부터 특정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를 선택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그후 단계 530에서,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와 액세스 식별자를 비교한다. 액세스 식별자가 요청된 모드 이외의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를 위한 것인 경우, 단계 540에서, 디바이스는 모드 일치 식별자에 대해 내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다. 비교기의 사용에 의한 방식 등으로 모드 일치 식별자가 찾아지는 경우, 단계 550에서, 입력된 식별자가 일치 식별자로 교체되고, 무선 통신 채널상에서 선택된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와 함께 제공자 장비로 전송된다. 일치하는 식별자가 찾아지지 않는 경우, 단계 550에서, 무선 통신 채널상에서 선택된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와 함께 비일치 식별자가 제공자 장비로 전송된다.
비 피어-투-피어 실시예를 위한 절차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 가입자 유닛과의 통신을 위한 요청들을 처리하기 위해 제공자 장비에서 사용되는 절차들(600)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제공자 장비는 단계 610에서, 타겟 유닛을 위한 바람직한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와 액세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무선 서비스를 위한 요청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요청은 가입자 유닛에서 소싱될 때 무선 통신 채널을 경유하여 수신되다. 그러나, 요청은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 외측에서 요청이 발신되었을 때, 유선 통신 링크를 경유하여 전송될 수 있다. 제공자 장비는 단계 620에서 요청된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에 액세스 식별자를 비교한다. 식별자가 모드에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단계 630에서 제공자 장비는 키로서 모드 특정 착신 호 번호를 사용하여 가입자 유닛 정보에 대해 그 데이터베이스들을 액세스한다. 단계 630에서 비교기에 의한 방식 등으로 요청된 모드에 일치하는 식별자가 발견되고 나면, 또는, 수신된 모드 특정 착신 호 번호가 데이터베이스 검색에 대한 필요성 없이 요청된 모드와 일치하는 경우, 단계 640 및 650에서, 제공자 장비는 바람직한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가 타겟 가입자 유닛에서 가용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타겟 가입자 유닛에서 특정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가 가용하지 않을 때, 무선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거부한다. 단계 640에서, 특정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가 타겟 가입자 유닛에서 가용할 때, 제공자 장비는 단계 660에서, 타겟 가입자 유닛을 액세스하고, 가입자 유닛에서의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를 개시한다. 통상적으로, 제공자 장비는 단계 670에서, 타겟 가입자 유닛에서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를 가능하게 하고, 그 가입자 유닛과의 통신을 형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단계를 갖는 도 6에 도시된 것들과 유사한 절차들(700)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제공자 유닛이 단계 620에서, 식별자가 요청된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에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한 이후, 또는, 가입자 장비가 단계 630에서 요청된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에 일치하는 저장된 식별자를 액세스한 이후, 단계 710에서, 요청된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에 일치하는 식별자가 요청 가입자 유닛에 의한 추후 사용 및 저장을 위해 요청 가입자 유닛에게 역방향 전송된다. 부가적이 특징으로서, 제공자 장비가 단계 640에서, 타겟 가입자 유닛에서의 서비스를 요청할 때, 발신 유닛을 식별하는 식별자가 타겟 가입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이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술된 호 절차들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양 도면들에서, 전화 모드 액세스 식별자가 발신 가입자 유닛으로 입력되고, 푸시-투-토크 버튼이 눌러져서 통신 요청을 디스패치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로 제공자 유닛에게 전송한다. 도 9는 도 7의 플로우차트에 대응하며, 여기서, 어떠한 착신 가입자 유닛 개인 통신 식별자도 발신 가입자 유닛에게 전송되거나 저장되지 않는다.
피어 투 피어 실시예를 위한 절차들
아이브로드캐스트 같은 음성 채널을 거쳐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프로토콜은 인터넷을 경유하여 사용자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웹 기반 서비스이다. 모바일 사용자들은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116)를 경유하여 인터넷을 액세스하고, 음성 채널을 거쳐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채널을 거쳐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타겟 유닛과 발신 유닛 사이의 피어-투-피어 통신을 위한 절차들(800)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단계 802에서, 타겟 가입자를 위한 개인 액세스 식별자를 입력한다. 대안적으로, 전화는 가입자들의 그룹을 위한 액세스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전화번호부(phonebook)")를 구비할 수 있고, 사용자는 목록으로부터 가입자의 이름을 단순히 선택하는 것에 의해 타겟 가입자의 액세스 식별자를 입력할 수 있다. 그후, 사용자는 단계 804에서, 전화를 전화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로 배치한다. 전화는 단계 806에서 전화 액세스 식별자에 대해 그 지역 전화번호부에 질의한다. 전화 액세스 식별자가 발견되는 경우, 유닛은 단계 808에서 전화 액세스 식별자를 전송하고, 제공자 장비로부터 전화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에서의 서비스를 요청한다. 전화 액세스 식별자가 지역 전화번호부에서 발견되지 않는 경우, 유닛은 단계 810에서 음성 채널을 거쳐 통신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요청한다. 음성 채널을 거친 데이터의 통신이 형성되고 나면, 발신자는 단계 812에서, 타겟 가입자에게 그 네트워크 식별자를 요청하는 질의를 수행, 즉, 그 할당된 전화 액세스 식별자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타겟 가입자 유닛에게 요청을 전송한다. 가입자 유닛은 모든 요청자들에게, 어떠한 요청자들에게도, 또는 특정 사전지정된 그룹에 속하는 요청자들에게 유닛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공유된 액세스 허용 수준들에 대한 설정을 가질 수 있다. 타겟 가입자 유닛은 단계 814에서, 그 액세스 식별자가 발신 가입자 유닛과 공유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다. 정보가 공유될 수 있는 경우, 단계 816에서, 전화 액세스 식별자는 음성 채널을 거쳐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경유하여 발신 가입자 유닛에게 역방향 전송된다. 단계 816에서 전송되는 전화 액세스 식별자와 함께 부가적인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예로서, 비즈니스 카드에서 발견되는 것과 유사한 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그룹인 브이카드(VCard)가 전송될 수 있다. 이런 정보의 예들은 이름,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직장, 직함 등을 포함한다.
전화 액세스 식별자가 발신 가입자 유닛과 공유될 수 없는 경우, 단계 818에서, 예로서, "번호 비공유(number not shared)" 같은 메시지 통신이 음성 채널을 거쳐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경유하여 발신 가입자 유닛에게 전송된다. 전화 액세스 식별자가 공유되는 경우, 발신 유닛은 단계 808에서, 제공자 장비로부터 전화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를 경유하여 타겟 가입자 유닛과의 접속을 요청한다.
도 10은 도 9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된 절차에 대응하며, 여기서, 개인 ID가 발신 가입자 유닛에게 전송되고 저장된다. 도 10은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선택적 특성을 도시한다. 제공자 장비(118)가 착신 가입자 유닛과의 요청된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를 개시할 때, 발신 가입자 유닛의 개인 액세스 식별자 및 전화 액세스 식별자가 착신 가입자 유닛에게 전송되고, 착신 가입자 유닛은 인입 번호로서 어느 한 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통신 모드들
다수의 양방향 무선 통시 모드들이 상술되었다. 이미 언급된 모드들 및 상술된 바와 같은 통신들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 다른 모드들의 간단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GSM(Global System for Mobile) : 모바일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은 동일 무선 주파수상에서 8개 동시 호들을 가능하게 하는 협대역 TDMA(후술됨)을 사용한다. GSM은 선도적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들 중 하나이다.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 시간 분할 다중 접속은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TDM)을 사용하여 디지털 무선 서비스를 전달하기 위한 기술이다. TDMA는 무선 주파수를 시간 슬롯들로 분할하고, 그후, 슬롯들을 다수의 호들에 할당함으로써 동작한다. 이 시스템은 단일 주파수로 다수의 등시성 데이터 채널들을 지원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 분할 다중 접속은 확산-스팩트럼 기술들을 사용하는 디지털 셀룰러 기술이다. TDMA를 사용하는 GSM 시스템과는 달리, CDMA는 각 사용자에게 특정 주파수를 할당하지 않는다. 대신, 매 채널이 완전한 가용 스팩트럼을 사용한다. 개별 대화들은 의사-랜덤 디지털 시퀀스로 인코딩된다.
WCDMA(Wideband CDMA) : 광대역 CDMA는 CDMA 보다 높은 데이터 속도들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고속 3세대 모바일 무선 기술이다. WCDMA는 음성, 비디오, 데이터 및 이미지 전송을 위해 2Mbps 까지의 속도들에 도달할 수 있다.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은 집단내의 서로 다른 시간 슬롯을 각 스트림에 할당함으로써 데이터 스트림들을 조합하는 멀티플렉싱의 유형이다. TDM은 단이 전송 채널을 거쳐 고정된 시퀀스의 시간 슬롯들을 반복 전송한다.
IPng(Internet Protocol next generation) :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은 IP 버전 4를 대체하기 위해, IETF 표준들에서 검토된 인터넷 프로토콜(IP)의 버전이다. 이 프로토콜은 IPv6라 공식적으로 지칭되며, 여기서 v6은 버전 6을 나타낸다.
IP(Internet Protocol) : 인터넷 프로토콜은 데이터그램들이라고도 지칭되는 패킷들의 포맷 및 어드레싱 체계를 지정한다. 대부분의 네트워크들은 착신처와 소스 사이의 가상 접속을 형성하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이라 지칭되는 보다 높은 수준의 프로토콜과 IP를 조합한다.
WLAN(Wireless Local-Area Network) : 무선 지역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해 유선들이 아닌 무선 파들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유형이다.
SMS(Short Message Service) : 단문 서비스는 모바일 전화, 팩스기 및/또는 IP 주소로의, 그리고, 그로부터의 짧은 문자 메시지들의 전송이다. 메시지들은 160 영숫자 문자들 보다 길지 않아야 하며, 어떠한 이미지들이나 그래픽들도 포함하지 않아야 한다. 메시지가 전송되고 나면, 이는 단문 서비스 센터(SMSC)에 의해 수신되며, 이는 그후 이를 적절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보낸다. 이를 위해, SMSC는 로밍 고객을 발견하기 위해, 홈 위치 등록기(HLR)에 SMS 요청을 전송한다. HLR이 요청을 수신하고 나면, 이는 가입자의 상태 : 1) 비활성 또는 활성, 및 2) 가입자가 로밍하는 위치로 SMSC에 응답한다.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는 그래픽들, 비디오 클립들, 음악 파일들 및 단문 메시지들을 WA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들을 거쳐 전송하는 스토어-엔드-포워드 방법이다. MMS는 또한 이메일 어드레싱을 지원하며, 그래서, 디바이스는 이메일 어드레스로 직접적으로 이메일들을 전송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MMS의 용도는 모바일 전화들 사이의 통신을 위한 것이다.
그러나, MMS는 이메일과는 다르다. MMS는 멀티미디어 메시징의 개념에 기초한다. 메시지의 프리젠테이션은 프리젠테이션 파일로 코딩되며, 그래서, 이미지들, 음악들 및 문자가 하나의 단일 메시지로서 사전결정된 순서로 디스플레이된다. MMS는 이메일에서처럼 첨부물들을 지원하지 않는다. MMS 외형은 최종 사용자들에게 SMS와 유사하다.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은 PSTN의 전통적인 회로 전송들에 의한 것이 아닌 IP를 사용하여 패킷들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사람들이 전화 호들을 위한 전송 매체로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카테고리이다. 전화 호들을 전송하는 이 방법은 인터넷 액세스를 위해 사용자가 지불하는 것을 초과하는 과과금들을 피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갖는다.
결론
본 발명은 문헌의 종래 기술 보다 현저한 장점들을 제공한다. 특정 가입자 유닛으로의 통신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실제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에 무관하게, 무선 통신 시스템내의 가입자 유닛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모드 특정 액세스 식별자를 사용하여 가능해진다. 따라서, 특정 가입자 유닛과의 통신을 원할 때,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에 무관하게 단일 액세스 식별자가 사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효율적이고 덜 제약적인 방식으로 통신 서비스들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기술의 숙련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 및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들, 변형들, 변용들, 치환들 및 등가체들을 안출할 수 있다.

Claims (10)

  1. 복수의 가용 무선 통신 모드들에 걸쳐 복수의 가입자 유닛들 사이의 무선 접속들을 형성하기 위한 양방향(two-way)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제 1 무선 가입자 유닛으로부터 제 1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 및 적어도 제 2 무선 가입자 유닛의 모드-특정 착신 호 번호(destination calling number)를 가지는 호 요청을 수신하는 송수신기;
    적어도 부가적인 모드-특정 착신 호 번호를 발견하기 위해 상기 모드-특정 착신 호 번호에 의해 검색가능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 1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와 상기 수신된 모드-특정 착신 호 번호를 비교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비교기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부가적인 모드-특정 착신 호 번호를 사용하여 상기 호 요청을 상기 제 1 양방향 통신 모드를 거쳐 상기 제 2 무선 가입자 유닛에게 전송하는 양방향 무선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특정 착신 호 번호들 각각은 전화 번호 및 개인 디스패치 식별자(private dispatch identifier) 중 하나인, 양방향 무선 통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는 디스패치 모드이고, 상기 모드-특정 착신 호 번호는 상기 제 2 무선 가입자 유닛의 전화 번호인, 양방향 무선 통신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양방향 무선 통신 모드는 전화 모드이고, 상기 모드-특정 착신 호 번호는 상기 제 2 무선 가입자 유닛의 개인 디스패치 식별자인, 양방향 무선 통신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 의해 전송된 상기 호 요청에 상기 제 1 무선 가입자 유닛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양방향 무선 통신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인 모드-특정 착신 호 번호를 상기 제 1 무선 가입자 유닛에게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양방향 무선 통신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양방향 통신 모드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간 분할 다중 접속(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광대역 CDMA(WCDMA:Wideband CDMA), 모바일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SM),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보이스 오버 IP(VoIP:Voice Over IP), 아이브로드캐스트(iBroadcast), CDMA 푸시 투 토크(PTT:Push To Talk), 인터넷 프로토콜(IP),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IPng:Internet Protocol Next Generation), 무선 지역 네트워크(WLAN), 모토토크(MotoTalk), 상호접속, 단문 서비스(SMS), 순간 메시징(Instant Messaging), 화상 회의, 이메일 및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로 구성되는 통신 모드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양방향 무선 통신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 2 무선 가입자 유닛에서 상기 제 1 통신 모드를 지원하도록 서비스를 개시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가입자 유닛들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양방향 무선 통신 시스템.
  9.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내의 양방향 무선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 1 통신 모드를 거쳐 적어도 제 2 양방향 무선 디바이스에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한 질의를 전송하기 위한 송수신기로서, 상기 네트워크 식별자는 제 2 통신 모드와 연관되고, 상기 제 1 통신 모드는 피어-투-피어 통신 모드인, 상기 송수신기;
    상기 제 2 양방향 무선 디바이스와 접속이 형성되었는지를 결정하고, 접속이 이루어진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양방향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모드와 연관된 상기 네트워크 식별자를 수신하는 비교기; 및
    제 2 통신 모드에 걸쳐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제 2 양방향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네트워크 식별자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양방향 무선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한 상기 질의는 이름, 주소 및 회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식별자와 함께 수신된 이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저장하는, 양방향 무선 디바이스.
KR1020050066936A 2004-07-23 2005-07-22 다중 통신 모드들을 갖는 무선 시스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8109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97,702 2004-07-23
US10/897,702 US20060019698A1 (en) 2004-07-23 2004-07-23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system with multiple communication mod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714A KR20060046714A (ko) 2006-05-17
KR100810936B1 true KR100810936B1 (ko) 2008-03-10

Family

ID=35657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936A KR100810936B1 (ko) 2004-07-23 2005-07-22 다중 통신 모드들을 갖는 무선 시스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19698A1 (ko)
JP (1) JP2006042348A (ko)
KR (1) KR100810936B1 (ko)
CN (1) CN100355296C (ko)
BR (1) BRPI050409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2255B2 (en) 2004-04-05 2010-03-02 Oomble, Inc. Mobile instant messaging conferencing method and system
US20060019698A1 (en) * 2004-07-23 2006-01-2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system with multiple communication modes
US7574227B1 (en) * 2004-09-22 2009-08-11 Nextel Commun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atch calling using personal telephone numbers
KR100735328B1 (ko) * 2005-02-04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Ptt 시스템에서 사용자 정보 자동 갱신 방법 및 그시스템
US9525996B2 (en) * 2005-06-21 2016-12-20 Nokia Technologies Oy System, terminal, network entit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ystem selection in a multi-mode communication system
US20070110029A1 (en) * 2005-11-12 2007-05-17 Motorola, Inc. Method for linking communication channels of disparate access technologies in a selective call unit
US8688103B2 (en) * 2005-11-18 2014-04-01 Qualcomm Incorporated Identifying and accessing a network device via wireless communication
EP2039138B1 (en) * 2006-07-07 2019-05-22 Genband US LLC Identifying network entities in a peer-to-peer network
US8363560B2 (en) * 2006-11-01 2013-01-29 Inceptia Llc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proxy component
US8340632B2 (en) * 2006-12-07 2012-12-25 Inceptia Llc Prepaid cellular phone no-charge transaction system
WO2009089908A1 (en) * 2008-01-16 2009-07-23 Siemens Ag Österreich Method for improving the transmission capabilities of a trunked radio system
KR20090081310A (ko) * 2008-01-23 2009-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호스트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
CN102869120B (zh) 2008-06-13 2016-01-27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通讯方法及通讯系统以及相关装置
US8228826B2 (en) * 2009-11-30 2012-07-24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call setup in an asynchronous frequency hopping digital two-way communication system
US9842498B2 (en) * 2011-07-05 2017-12-12 Qualcomm Incorporated Road-traffic-based group, identifier, and resource selection in vehicular peer-to-peer networks
BR112014007374A2 (pt) * 2011-09-27 2017-06-13 Skyriver Communications Inc comunicação por micro-ondas de ponto a multiponto
US8917861B2 (en) 2012-06-05 2014-12-23 Symbol Technologies, Inc. Automated voice connection to a best-determined target
US9137267B2 (en) 2013-03-14 2015-09-15 Vonage Network Llc Secure transmission of media during a communication session
KR101796343B1 (ko) 2014-08-08 2017-11-10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취부구조를 갖는 밸브
US9832630B2 (en) * 2015-11-23 2017-11-28 Intel IP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performing wireless peer-to-peer discover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1370A (en) 1996-10-28 1999-03-09 Pottala; James V.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an automatically configured multimode talk switch and method of operation
WO1999023843A1 (en) 1997-11-04 1999-05-14 Ericsson Inc. Method for auto answering a call based on caller id
US6002948A (en) 1997-03-03 1999-12-1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system with mode based subscriber communications
WO2001037453A1 (en) 1999-11-19 2001-05-2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spatch service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KR20060046714A (ko) * 2004-07-23 2006-05-17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다중 통신 모드들을 갖는 라디오 시스템을 위한 방법 및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9506893B1 (pt) * 1994-02-24 2010-08-10 sistema de comunicações sem fio pessoal de modo múltiplo.
US5600312A (en) * 1995-01-24 1997-02-04 Motorola, Inc. Messaging system and method having roaming capability and controlled group messaging
FI102869B1 (fi) * 1996-02-26 1999-02-26 Nokia Mobile Phones Ltd Laite, menetelmä ja järjestelmä eri sovelluksiin liittyvien tietojen lähettämiseksi ja vastaanottamiseksi
US5959546A (en) * 1997-05-15 1999-09-2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oaming address validation for selective call devices
US6292671B1 (en) * 1999-08-03 2001-09-18 Sprint Spectrum L.P. Dispatch mode i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s
US6445921B1 (en) * 1999-12-20 2002-09-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all re-establishment for a dual mode telephone
US20020132635A1 (en) * 2001-03-16 2002-09-19 Girard Joann K. Method of automatically selecting a communication mode in a mobile station having at least two communication mod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1370A (en) 1996-10-28 1999-03-09 Pottala; James V.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an automatically configured multimode talk switch and method of operation
US6002948A (en) 1997-03-03 1999-12-1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system with mode based subscriber communications
WO1999023843A1 (en) 1997-11-04 1999-05-14 Ericsson Inc. Method for auto answering a call based on caller id
WO2001037453A1 (en) 1999-11-19 2001-05-2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spatch service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KR20060046714A (ko) * 2004-07-23 2006-05-17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다중 통신 모드들을 갖는 라디오 시스템을 위한 방법 및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714A (ko) 2006-05-17
CN1725873A (zh) 2006-01-25
US20060019698A1 (en) 2006-01-26
JP2006042348A (ja) 2006-02-09
BRPI0504091A (pt) 2006-03-07
CN100355296C (zh) 200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0936B1 (ko) 다중 통신 모드들을 갖는 무선 시스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8340710B2 (en) Domain ID mapping for wireless device identifiers
TWI418156B (zh) 具網際協定工能性之行動單元
US8837464B2 (en) Packet data service with circuit-switched call notification
US6731945B2 (en) Private wireless WAP system
JP2000512816A (ja) 動的に割り当てられるアドレスを無線通信局の宛て先と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US20070105531A1 (en) Dynamic Processing of Virtual Identities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US84009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common location-related information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US200701244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event-triggered, location-related information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KR20080092408A (ko)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무선 유닛 상태 알림 시스템
KR20060052447A (ko) 이동 통신망과 무선 랜간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와그 시스템
JP2006508582A (ja) Wlanにおいてアドレスをサーチし、対応ノードの所在を突き止めるための移動端末および方法
US600294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system with mode based subscriber communications
US7403516B2 (en) Enabling packet switched calls to a wireless telephone user
JP5520285B2 (ja) デュアルモードで移動体端末から通信を確立するための方法
KR20070102697A (ko) 대체 경로를 위해 적용되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방법및 서버
KR20020070561A (ko) 모바일 패킷망에서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 제공방법
KR20090094315A (ko) 어드레스 북 레코드의 폰­대­폰 전송
KR100884113B1 (ko) 국제로밍 시스템 및 방법
US7813737B1 (en) Integrated digital enhanced network migrated subscriber mapping
KR20020096568A (ko)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
JP2002152793A (ja) 携帯電話通信システム及び携帯電話通信方法
JPH09238383A (ja) セルラー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交換電話ネットワークから送出される呼出しのローカルルーティングに対するプロトコル
KR100839158B1 (ko) 비동기망 상의 시각대/시각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과mcc/mnc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72335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추가번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