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1310A -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호스트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호스트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1310A
KR20090081310A KR1020080044322A KR20080044322A KR20090081310A KR 20090081310 A KR20090081310 A KR 20090081310A KR 1020080044322 A KR1020080044322 A KR 1020080044322A KR 20080044322 A KR20080044322 A KR 20080044322A KR 20090081310 A KR20090081310 A KR 20090081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obile terminal
voice signal
network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민
이연주
김재석
이성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56499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9008131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4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1310A/ko
Priority to US12/358,045 priority patent/US8565742B2/en
Priority to CN2009100059714A priority patent/CN101494928B/zh
Priority to EP09151156.8A priority patent/EP2083606B1/en
Publication of KR20090081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3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25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mplemented as integrated speech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03Interconnection between telephone networks and data networks
    • H04M7/0006Interconnection between telephone networks and data networks where voice calls cross both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18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wireless networks
    • H04M2207/187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wireless networks combining circuit and packet-switched, e.g. GP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user interface aspects of conference c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04M3/568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audio processing specific to telephonic conferencing, e.g. spatial distribution, mixing of participa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04M7/0033Notification or handling of incoming calls by a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 H04M7/1205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where the types of switching equipement comprises PSTN/ISDN equipment and switching equipment of networks other than PSTN/ISDN, e.g. Internet Protocol networks
    • H04M7/1225Details of core network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 H04M7/1235Details of core network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where one of the core networks is a wireless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휴대단말들과 다자간 통화 서비스 제공 및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이종의 네트워크 간 호스트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휴대단말이 이종의 네트워크에 각각 존재하는 제2 휴대단말과 제3 휴대단말과 통화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제2 및 제3 휴대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휴대단말로부터 음성신호가 수신될 시, 상기 음성신호를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휴대단말과 다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휴대단말로 상기 음성신호를 루프 백 처리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듀얼스탠바이(Dual standby), 호스트, 컨퍼런스 콜(Conference call), 데이터 공유

Description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호스트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OST FUNCTION IN A MULTI-STANDBY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스탠바이(Multi standby) 휴대단말에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 동시 통화 지원 및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호스트(Host)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의 보급 및 사용이 급속히 늘어나면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단말들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는 멀티모드(Multi mode) 휴대단말들이 출시되고 있다.
종래와 같이 한 가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을 사용하는 경우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에서만 통신이 가능하다. 하지만, 상기 멀티모드 휴대단말의 경우는 적어도 둘 이상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해당 서비스 지역에서 각각의 통신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듀얼모드(Dual mode) 휴대단말을 가정하여 살펴보면, 상기 듀얼모드 휴대단말의 경우 상기 CDMA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과 상기 GSM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 모두에서 통신이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상기 듀얼모드 휴대단말은 싱글모드(Single mode) 휴대단말에 비해 그 활용도가 높다.
상기 듀얼모드 휴대단말의 경우 각 네트워크 간 전환은 휴대단말의 부팅(booting)이 완료된 후 아이들 모드(Idle mode)로 진입하여 메뉴 조작 등에 의거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조작이 복잡하고 모드 전환을 위해 많은 시간이 소비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듀얼스탠바이(Dual standby) 휴대단말이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은 듀얼모드 휴대단말과는 달리 상기에서 예시한 CDMA 네트워크 및 GSM 네트워크 두 개의 네트워크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서는 하나의 네트워크 내에서 여러 개의 다른 휴대단말들과 통화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 즉 다자간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부가 스트링(Supplementary string)으로 상기 하나의 네트워크에 등록시킨 후 상기 다자간 통화를 제어함으로써, 컨퍼런스 콜(Conference call) 기능을 처리하였다.
그러나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각 휴대단말들과 각각 통화가 연결되어 있을 시에는, 어느 하나의 특정 네트워크에 다른 네트워크의 휴대단말을 등록을 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이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각각의 휴대단말들과 통화가 연결되어 있더라도, 상기 하나의 네트워크에서와 같은 컨퍼런스 콜 기능을 수행할 수 없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수의 상대방과 각각 개별 통화만이 수행 가능하며, 컨퍼런스 콜(Conference call)과 같이 다수의 상대방과 동시 통화가 불가능하였다.
즉, 종래에서는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휴대단말들 각각과 개별 통화하고 있을 때에는 각각의 상대방 휴대단말들이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조인(Join)하여 컨퍼런스 콜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스탠바이 기능이 구현된 휴대단말에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 동시 통화 시에 컨퍼런스 콜(Conference call)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멀티스탠바이 기능이 구현된 휴대단말에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멀티스탠바이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단말에서 이종의 네트워크를 각각 지원하는 다른 휴대단말들과 연결 시 각 휴대단말들 간의 호스트 역할을 담당하여, 각 휴대단말들의 음성과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이종의 네트워크 간 호스트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휴대단말이 이종의 네트워크에 각각 존재하는 제2 휴대단말과 제3 휴대단말과 통화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제2 및 제3 휴대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휴대단말로부터 음성신호가 수신될 시, 상기 음성신호를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휴대단말과 다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휴대단말로 상기 음성신호를 루프 백 처리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호스트 기능 제어 방법은, 제1 휴대단말은 마이크(MIC)를 통한 입 력 음성신호를, 이종 네트워크에 각각 존재하며, 상기 제1 휴대단말과 각각 통화 연결 중인 제2 휴대단말 및 제3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휴대단말이 상기 제2 휴대단말 및 상기 제3 휴대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휴대단말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신호를 루프 백 처리하여, 상기 음성신호를 전송한 휴대단말과 다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휴대단말로 상기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호스트 기능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휴대단말에서 상기 제2 및 제3 휴대단말과 상기 통화 연결 중에, 상기 제2 및 제3 휴대단말 중 어느 하나의 휴대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하는 데이터를 공유 저장영역에 저장하며, 상기 공유 저장영역의 상기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의 전송 경로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및 제3 휴대단말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마스터 모뎀 및 슬레이브 모뎀 중, 상기 데이터의 수신 경로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모뎀은 상기 데이터를 상기 공유 저장영역에 저장하면, 상기 데이터의 전송 경로에 대응하는 다른 모뎀으로 인터럽트를 발생하여 상기 공유 저장영역의 데이터에 대한 저장 정보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에 있어서, 특정 네트워크와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해당 네트워크의 휴대단말과 음성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하는 적어도 두 개의 통신모듈들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통신모듈들의 음성신호 전송 경로를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통해 음성신호/데이터가 전달되면, 상기 음성신호/데이터가 전송된 네트워크와 다른 네트워크로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설정 방식에 대응하게 변환하여 출력하며,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루프 백하여 재변환하는 보코더와, 상기 보코더로부터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변환하여 스피커(SPK)로 출력하고,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보코더로 출력하는 코덱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의 공유를 위한 저장영역을 포함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에 있어서, 마스터 모뎀의 제어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부와, 슬레이브 모뎀의 제어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부와, 상기 마스터 모뎀 및 슬레이브 모뎀을 연결하는 매개체로,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부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공유하는 공유 메모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스터 모뎀은 상기 제1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데이터를 상기 공유 메모리부에 저장하면, 상기 슬레이브 모뎀으로 인터럽트를 발생하며, 상기 슬레이브 모뎀의 인터럽트에 대응하여 상기 공유 메모리부의 데이터를 상기 제1 메모리부에 기록한다.
또한, 상기 슬레이브 모뎀은 상기 제2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데이터를 상기 공유 메모리부에 저장하면, 상기 마스터 모뎀으로 인터럽트를 발생하며, 상기 마스터 모뎀의 인터럽트에 대응하여 상기 공유 메모리부의 데이터를 상기 제2 메모리부에 기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호스트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다른 네트워크를 동시에 지원하는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휴대단말들과 다자간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을 통해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휴대단말들과 연결하여 컨퍼런스 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휴대단말들 간에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이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휴대단말들과 연결 시 각 휴대단말들 간의 호스트 역할을 담당하여,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각 휴대단말들 및 상기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의 음성신호 및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의 부가 서비스를 확장함으로써,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멀티스탠바이(Multi standby) 휴대단말이 동작하는 네트워크(network)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이 동작하는 네트워크가 상기 CDMA 네트워크 및 GSM 네트워크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는 상술한 CDMA 네트워크 및 GSM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패킷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다양한 다른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의 확장된 형태 및 변형된 형태들에 있어서도 다양하게 응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고, 그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하여, 상기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을 CDMA 네트워크와 GSM 네트워크에 동시에 접속 가능한 듀얼스탠바이 지원 휴대단말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상기 CDMA 네트워크와 GSM 네트워크를 비롯하여 적어도 듀얼스탠바이 모드 이상을 지원하는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을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멀티스탠바이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단말에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각각의 휴대단말들과 동시 통화 시, 통화 중인 모든 사용자가 동시에 컨퍼런스 콜(Conference call)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각 휴대단말들과 연결 시 상기 컨퍼런스 콜 기능을 비롯하여 서로 간의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스탠바이 기능이 구비된 휴대단말에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 통화 시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사용자들에 대응하는 각각의 음성을 공유하여 다자간 통화를 제공하고, 아울러 각 휴대단말의 데이터를 공유하여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휴대단말들에게 제 공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이 적용되는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의 구성 예와, 상기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 호스트 기능 제어 방법에 대하여 하기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 음성신호/데이터 송수신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휴대단말(10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GSM/CDMA 네트워크(150)를 동시 지원하는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을 나타내고, 제2 휴대단말(200)은 GSM 네트워크(250)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을 나타내고, 제3 휴대단말(300)은 CDMA 네트워크(350)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을 나타낸다.
이러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상기 제1 휴대단말(100)과 제2 휴대단말(200)이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1 휴대단말(100)과 제3 휴대단말(300)이 연결 중인 경우를 가정한다. 즉,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GSM 네트워크(250)와 통신을 위한 GSM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2 휴대단말(200)과 연결하고, CDM 네트워크(350)와 통신을 위한 CDMA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3 휴대단말(300)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설정된 호스트(Host) 기능 제어 방식 또는 사용자 요청에 의한 제어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네트워크(250, 350)의 각 휴대단말들(200, 300)과 다자간 통화 및 데이터 공유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호스트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호스트 기능 제어 방식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각 휴대단말들 이 연결될 시 자동으로 상기 호스트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어 방식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요청에 의한 제어 방식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각 휴대단말들의 연결을 인지한 사용자가 설정된 키 입력 등의 동작으로 상기 호스트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어 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호스트 기능은 다자간 통화를 제공하거나, 데이터 공유를 제공하거나, 또는 다자간 통화 및 데이터 공유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 기능 활성화 시,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제2 휴대단말(200) 및 제3 휴대단말(300) 각각 간의 연결 경로(connection path)를 오픈(open)하여 제1 휴대단말(100)에서 생성되는 음성신호 및 데이터가 상기 GSM 네트워크(250)의 제2 휴대단말(200)과 상기 CDMA 네트워크(350)의 제3 휴대단말(300) 모두에게 전달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제2 휴대단말(200) 및 제3 휴대단말(300) 간의 연결 경로를 오픈한 상태에서, 제1 휴대단말(100)에서 생성되는 음성신호/데이터를 상기 GSM 네트워크(250)의 제2 휴대단말(200)과 상기 CDMA 네트워크(350)의 제3 휴대단말(300) 중 어느 하나의 휴대단말로만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2 휴대단말(100)은 상기 제1 및 제2 휴대단말(200, 300)의 연결 경로가 어느 하나의 휴대단말로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나의 송신경로는 임시 차단하고 해당 다른 하나의 송신경로만을 임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송신경로를 차단하는 해당 휴대단말의 수신경로는 연결을 유지하거나 차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송신경로가 차단된 해당 휴대단말과의 음성신호/데이터의 수신은 유지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음성신호에 대한 호스트 기능을 살펴보면,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펄스 부호 변조(PCM, Pulse Code Modulation)를 통해 PCM 데이터 변환 및 상기 PCM 데이터의 음성패킷 변환을 수행한다. 이어서,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변환하는 음성패킷을 상기 제2 휴대단말(200) 및 제3 휴대단말(300)로 동시 전달한다(S10). 이때,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GSM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통신모듈과, CDMA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GSM 네트워크(250) 및 CDMA 네트워크(350)의 각 휴대단말(200, 300)로 상기 음성패킷을 동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GSM 네트워크(250)의 제2 휴대단말(200)로부터 음성패킷이 수신(S21)되면 이를 버퍼링(buffering) 후 PCM(Pulse Code Modulation)을 통해 PCM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아울러,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PCM 데이터를 루프 백(loop back) 처리하고, 상기한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 처리 과정에서와 같이, 상기 루프 백하는 PCM 데이터를 음성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CDMA 네트워크(350)의 제3 휴대단말(300)로 전달한다(S23). 즉,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GSM 네트워크(250)의 제2 휴대단말(200)을 통해 수신한 제2 휴대단말(200)의 음성패킷을, 자신의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CDMA 네트워크(350)의 제3 휴대단말(30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CDMA 네트워크(350)의 제3 휴대단말(300)로부터 음성패킷이 수신(S31)되면 이를 버퍼 링(buffering)한 후 PCM(Pulse Code Modulation)을 통해 PCM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아울러,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PCM 데이터를 루프 백(loop back) 처리하고, 상기한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 처리 과정에서와 같이, 상기 루프 백하는 PCM 데이터를 음성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GSM 네트워크(250)의 제2 휴대단말(200)로 전달한다(S33). 즉,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CDMA 네트워크(350)의 제3 휴대단말(200)을 통해 수신한 제3 휴대단말(300)의 음성패킷을, 자신의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GSM 네트워크(250)의 제2 휴대단말(20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휴대단말(100)의 입력 음성신호를 서로 다른 네트워크(250, 350)의 제2 및 제3 휴대단말(200, 300)로 동시에 전달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2 또는 제3 휴대단말(200, 300)의 음성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해당 음성신호를 자신의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할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네트워크(350, 250)의 제3 또는 제2 휴대단말(300, 200)로 전달함으로써, 각 휴대단말들(200, 300)의 사용자들도 다른 네트워크의 휴대단말 사용자가 제1 휴대단말(100)로 전달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청취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 다자간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데이터에 대한 호스트 기능을 살펴보면,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자신이 가지는 데이터를 상기 제2 휴대단말(200) 및 제3 휴대단말(300)로 동시 전달한다. 이때,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GSM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통신모듈과, CDMA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GSM 네트워크(250) 및 CDMA 네트워크(350)의 각 휴대단말(200, 300)로 상기 데이터를 동시 전송할 수 있다(S10).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는 사진파일, 동영상파일, 음악파일, 문자메시지, 전자메일, 문서파일 등 휴대단말에서 생성 가능한 모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GSM 네트워크(250)의 제2 휴대단말(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S21)하면 제1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제1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데이터를 공유 저장영역으로 업로드하여 상기 데이터를 제2 저장영역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제2 저장영역으로 상기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상기 CDMA 네트워크(350)의 제3 휴대단말(300)로 전달한다(S23). 이때,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GSM 네트워크(250)의 제2 휴대단말(200)을 통해 수신한 상기 제2 휴대단말(200)의 데이터를, 자신의 표시부 또는 스피커 등과 같은 출력부를 통해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CDMA 네트워크(350)의 제3 휴대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CDMA 네트워크(350)의 제3 휴대단말(3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S31)하면 제2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제2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데이터를 공유 저장영역으로 업로드하여 상기 데이터를 제1 저장영역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제1 저장영역으로 상기 데이 터를 다운로드하여 상기 GSM 네트워크(250)의 제2 휴대단말(200)로 전달한다(S33). 이때,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CDMA 네트워크(350)의 제3 휴대단말(300)을 통해 수신한 상기 제3 휴대단말(300)의 데이터를, 자신의 표시부 또는 스피커 등과 같은 출력부를 통해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GSM 네트워크(250)의 제2 휴대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2는 음성신호를 전달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상기 도 3은 데이터를 전달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한 것으로, 상기 도 2 및 도 3의 구조는 본 발명의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에 하나의 구성으로 포함된다.
또한, 상기 도 2 및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듀얼스탠바이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단말이고, 상기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이 동작하는 네트워크 상황이 GSM 네트워크 및 CDMA 네트워크가 존재하는 경우를 대표적인 예로 설명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듀얼스탠바이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각 네트워크와 통신을 위한 슬롯(slot)이 최대 2 슬롯이며, 각 슬롯에는 CDMA 카드, GSM 카드가 각각 장착되거나, 또는 하나의 슬롯(slot)에 CDMA 네트워크 및 GSM 네트워크를 동시 지원하는 듀얼카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기능이 적용되는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은 제1 및 제2 안테나(110, 115), 제1 통신 서비스(예컨대, GSM 통신 서비스)를 위한 제1 통신모듈(120), 제2 통신 서비스(예컨대, CDMA 통신 서비스)를 위한 제2 통신모듈(125), 제어부(130), 보코더(Vocoder)(150), 코덱(CODEC)(160), 제1 및 제2 메모리부(170, 175) 및 공유 메모리부(180) 등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130)는 마스터 모뎀(140) 및 슬레이브 모뎀(145)을 포함한다. 상기 마스터 모뎀(14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의 주 제어를 담당하며 GSM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관장하는 모뎀이고, 상기 슬레이브 모뎀(14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CDMA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관장하는 모뎀인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스터 모뎀(140) 및 슬레이브 모뎀(145)이 반드시 상기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모뎀의 성능에 따라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110)는 제1 통신 서비스(예컨대, GSM 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대역을 처리하고, 상기 제2 안테나(115)는 제2 통신 서비스(예컨대, CDMA 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대역을 처리 가능하다. 상기 도 2 및 도 3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110, 115)와 같이 듀얼 안테나의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각각의 네트워크(예컨대, GSM 네트워크 및 CDMA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각 주파수 대역을 처리 가능한 하나의 안테나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 통신모듈(1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GSM 네트워크와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GSM 네트워크의 휴대단말(제2 휴대단말(200))과 GSM 통신 방식에 따른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 신호 송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모듈(12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CDMA 네트워크와 통신채널을 형성 하여, CDMA 네트워크의 휴대단말(제3 휴대단말(300))과 CDMA 통신 방식에 따른 RF 신호 송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특정 네트워크와의 통신 서비스를 위하여 상기 제1 통신모듈(120), 제2 통신모듈(125)을 제어하는 전용 프로세서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1 및 제2 통신모듈(120, 125), 보코더(150), 코덱(160), 제1 메모리부(170), 제2 메모리부(175) 및 공유 메모리부(180) 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소정의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콜(Call) 수신이 요청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통신 네트워크로의 콜(Call) 연결이 요청되는 경우, 요청되는 해당 통신 서비스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판단하는 통신 서비스에 대응하는 통신모듈(예컨대, 제1 통신모듈(120) 및/또는 제2 통신모듈(130))을 이용하여 해당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30)는 GSM 네트워크 또는 CDMA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서비스가 요청될 시, 상기 통신 서비스에 해당하는 제1 또는 제2 통신모듈(120, 125)을 이용하여 해당 네트워크와의 통신 서비스 접속을 제어한다. 또한 GSM 네트워크 및 CDMA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서비스가 동시 요청될 시, 상기 제1 및 제2 통신모듈(120, 125)을 이용하여 GSM 네트워크 및 CDMA 네트워크와의 통신 서비스 동시 접속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1 및 제2 통신모듈(120, 125)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 접속 후,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요청되면, 요청되지 않은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통 신모듈의 통신 서비스 접속을 제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각 통신 네트워크들의 통신 서비스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통신모듈(120, 125)의 동작을 적응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은 전원이 온(On)됨과 동시에 상기 제1 통신모듈(120)과 제2 통신 모듈(125)을 동시에 활성화 시켜 듀얼스탠바이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은 GSM 네트워크와 CDMA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콜(Call)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은 미리 설정된 선호 네트워크 모드에 따라 제1 통신모듈(120)과 제2 통신모듈(125) 중 어느 하나의 통신모듈을 통해 송수신 콜을 처리함으로써, 해당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은 현재 자신이 위치하는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제1 통신모듈(120)과 제2 통신모듈(125) 중 어느 하나의 통신모듈을 적응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통신모듈(120)과 제2 통신모듈(125)을 동시에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해당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마스터 모뎀(140) 및 슬레이브 모뎀(145)을 포함한다.
상기 마스터 모뎀(140)은 상기 제1 휴대단말(100)에 관련된 주 제어를 담당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통신모듈(120) 및 제2 통신모듈(125)을 통한 신호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모뎀(140)은 상기 제1 및 제2 통신모듈(120, 125)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체크하여, 상기 마스터 모뎀(140) 자신이 해당 신호를 처 리하거나, 상기 슬레이브 모뎀(145)으로 제어권을 이관하여 상기 슬레이브 모뎀(145)을 통해 해당 신호를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모뎀(14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GSM 네트워크(250)의 제2 휴대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데이터를 상기 제1 통신모듈(120)을 통해 수신하면, 상기 음성신호/데이터를 제2 통신모듈(125)을 통해 CDMA 네트워크(350)의 제3 휴대단말(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마스터 모뎀(140)은 상기 제2 휴대단말(200)의 음성신호/데이터를 표시부 및 스피커(SPK) 등과 같은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마스터 모뎀(140)은 마이크(MIC)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S10)를 음성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통신모듈(120)을 통해 상기 제2 휴대단말(200)로 전송하는 일련의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마스터 모뎀(140)은 공유 메모리부(180)에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통신모듈(120)을 통해 상기 제2 휴대단말(200)로 전송하는 일련의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슬레이브 모뎀(145)은 상기 마스터 모뎀(1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의 기능을 제어한다. 상기 슬레이브 모뎀(14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CDMA 네트워크(350)의 제3 휴대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모듈(125)을 통해 수신하면, 상기 음성신호/데이터를 제1 통신모듈(120)을 통해 GSM 네트워크(250)의 제2 휴대단말(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슬레이브 모뎀(145)은 상기 제3 휴대단말(300)의 음성신호/데이터를 표시부 및 스피커(SPK) 등과 같은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슬레이브 모뎀(145)은 마이크(MIC)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음성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통신모듈(125)을 통해 상기 제3 휴대단말(300)로 전송하는 일련의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슬레이브 모뎀(145)은 공유 메모리부(180)에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통신모듈(125)을 통해 상기 제3 휴대단말(300)로 전송하는 일련의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마스터 모뎀(140) 및 슬레이브 모뎀(145)의 구체적인 동작 및 이를 이용한 본 발명의 호스트 기능 제어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마스터 모뎀(140)은 상기 제1 통신모듈(120)을 통한 음성패킷(S21)을 감지하면, 상기 음성패킷을 상기 보코더(150)로 전달한다(S21). 또한 상기 마스터 모뎀(140)은 상기 제2 통신모듈(125)을 통한 음성패킷(S31)을 감지하면, 이를 상기 슬레이브 모뎀(145)으로 알리고, 제어권을 상기 슬레이브 모뎀(145)으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슬레이브 모뎀(145)은 상기 제2 통신모듈(125)을 통해 수신하는 상기 음성패킷을 상기 보코더(150)로 전달한다(S31).
또한 상기 마스터 모뎀(140)은 음성패킷의 전송을 감지하면, 상기 음성패킷의 전달 경로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상기 보코더(150)로부터 전달되는 음성패킷을 상기 제1 통신모듈(120)을 통해 GSM 네트워크(25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S10, S33). 상기 슬레이브 모뎀(145)은 상기 보코더(150)로부터 전달되는 음성패킷을 상 기 제2 통신모듈(125)을 통해 CDMA 네트워크(35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S10, S23).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보코더(150)에서 변환된 PCM 데이터의 루프 백(S22, S32 또는 S22', S32')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30)는 GSM 네트워크 및 CDMA 네트워크와 동시 통화 연결 중이고 호스트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로부터 전달된 음성패킷을 서로 다른 네트워크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음성패킷이 변환된 PCM 데이터의 루프 백(S22, S32 또는 S22', S32')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PCM 데이터는 휴대단말의 설계에 따라 상기 보코더(150)의 출력 단에서 루프 백(S22, S32)될 수도 있으며, 상기 코덱(160)의 입력 단에서 루프 백(S22', S32')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보코더(150)는 상기 제어부(130)에서 전달되는 음성패킷(S21, S31)을 복호하여 PCM 데이터로(S21, S31)서 출력한다. 상기 보코더(150)로부터 출력되는 PCM 데이터(S21, S31)는 상기 코덱(160)으로 입력된다. 또한 상기 보코더(150)는 상기 코덱(160)에서 전달되는 PCM 데이터(S10, S33, S23)를 부호화하여 음성패킷(S10, S33, S23)으로서 출력한다. 상기 보코더(15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패킷은 상기 제어부(130)로 입력된다. 즉, 상기 보코더(150)는 입력되는 음성신호(음성패킷, PCM 데이터)의 부호화 및 복호를 실행한다. 특히, 상기 보코더(150)는 설정 방식에 따라 입력되는 음성패킷을 루프 백하여 상기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코덱(160)은 상기 보코더(150)로부터 출력되는 PCM 데이터를아날로그의 음성신호(S21, S31)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아날로그의 음성신호는 스피커(SPK)에 공급되어 가청음으로 변환 출력된다. 또한 상기 코덱(160)은 상기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의 음성신호(S10)를 PCM 데이터(S10)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코덱(160)으로부터 출력되는 PCM 데이터(S10)는 상기 보코더(150)로 입력된다. 특히, 상기 코덱(160)은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보코더(150)에서 입력되는 PCM 데이터(S21, S31)를 루프 백(S22', S32')하여 상기 보코더(150)로 전달(S33, S23)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30)의 마스터 모뎀(140) 및 슬레이브 모뎀(145)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및 제3 휴대단말(200, 300)과 통신 중에 데이터 전송 이벤트가 발생하면, 다음과 같은 호스트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전송 이벤트는 설정된 데이터 전송 방식이 통신 중인 다른 휴대단말로부터의 데이터 수신 시 상기 데이터의 자동 전송으로 설정된 경우, 또는 상기 제1 휴대단말(100)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에 대한 전송이 요청되는 경우 등의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전송 이벤트는 상기와 같이 제2 및 제3 휴대단말(200, 300)과 통신 중에 발생할 수도 있으며, 통신 전에 데이터만을 전송하기 위한 연결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마스터 모뎀(140)은 상기 호스트 기능 수행 중에 제1 통신모듈(120)을 통해 상기 제1 휴대단말(200)의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에 대해 미리 설정된 방식에 대응하게 복조를 수행하고, 복조하는 상기 제2 휴대단말(200)의 데이터(이하 '제1데이터'라 칭함)를 상기 제1 메모리부(17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스터 모뎀(140)은 상기한 데이터 전송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제1데이터의 전송을 감지하면, 상기 제1데이터를 상기 공유 메모리부(180)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마스터 모뎀(140)은 상기 슬레이브 모뎀(145)에 인터럽트(interrupt)를 발생시켜, 상기 슬레이브 모뎀(145)이 상기 제1데이터를 인지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슬레이브 모뎀(145)은 상기 공유 메모리부(180)에서 상기 제1데이터를 상기 제2 메모리부(175)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 모뎀(145)은 상기 제1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에 대응하게 변조한 후 데이터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통신모듈(125)을 통해 상기 제3 휴대단말(30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상기 마스터 모뎀(140)은 상기 호스트 기능 수행 중에 제2 통신모듈(125)을 통해 상기 제3 휴대단말(300)의 데이터 수신을 감지하면, 자신의 제어권을 상기 슬레이브 모뎀(145)으로 전달한다. 상기 슬레이브 모뎀(145)은 상기 수신하는 데이터에 대해 미리 설정된 방식에 대응하게 복조를 수행하고, 복조하는 상기 제3 휴대단말(300)의 데이터(이하 '제2데이터'라 칭함)를 상기 제2 메모리부(175)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레이브 모뎀(145)은 상기한 데이터 전송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제2데이터의 전송을 감지하면, 상기 제2데이터를 상기 공유 메모리부(180)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 모뎀(145)은 상기 마스터 모뎀(140)에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상기 마스터 모뎀(140)이 상기 제2데이터를 인지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마스터 모뎀(140)은 상기 공유 메모리부(180)에서 상기 제2데이터를 상기 제1 메모리부(170)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마스터 모뎀(140)은 상기 제2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에 대응하게 변조한 후 데이터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통신모듈(120)을 통해 상기 제2 휴대단말(200)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마스터 모뎀(140)은 설정 방식 및 사용자 요청 등에 의해 상기 수신 데이터(제1 및 제2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표시부 및 스피커 등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부(170, 175)는 각종 데이터와 음성신호(음성패킷, PCM 데이터 등)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부(170, 175)는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의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도 저장된 데이터를 손실되지 않고 보존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입출력이 자유로운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70, 175) 중 어느 하나는 호스트 기능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호스트 기능에 따른 설정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상기 공유 메모리부(180)는 상기 마스터 모뎀(140)과 상기 슬레이브 모뎀(145)을 연결해주는 매개체(Memory)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마스터 모뎀(140)에서 상기 슬레이브 모뎀(145) 쪽으로 제1데이터를 기록하면, 상기 마스터 모뎀(140)에서 상기 슬레이브 모뎀(145)에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상기 슬레이브 모뎀(145)이 상기 제1데이터를 인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슬레이브 모뎀(145)에서 상기 마스터 모뎀(140) 쪽으로 제2데이터를 기록하면, 상기 슬레이브 모뎀(145)에서 상기 마스터 모뎀(140)에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상기 마스터 모뎀(140)이 상기 제2데이터를 인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공유 메모리부(180)는 DPRAM(Dual Port RAM)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메모리부(170)와 제2 메모리부(175) 및 공유 메모리부(180)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메모리부의 구성은 하나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메모리부(170) 및 제2 메모리부(175)에 대응하는 저장영역과 상기 공유 메모리부(180)에 대응하는 공유 저장영역을 구분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도 2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30)와 보코더(150) 및 코덱(160)의 구성을 별도로 나타내었으나, 상기 제어부(130)에 상기 마스터 모뎀(140), 슬레이브 모뎀(145), 보코더(150) 및 코덱(160)을 하나의 구성으로 원칩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듀얼스탠바이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단말 내에 두 개의 카드(GSM 카드, CDMA 카드)가 장착되어, GSM 네트워크와 CDMA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 통화 연결되어 있을 때,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음성신호/데이터의 전달 경로를 적응적으로 조절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휴대단말과 상기 음성신호/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휴대단말(100)에서 전송하는 패킷(음성패킷, 데이터패킷)의 경우, GSM 네트워크(250) 및 CDMA 네트워크(350)와 통신하는 제1 및 제2 통신모듈(120, 125)을 통해 GSM 네트워크(250)의 제2 휴대단말(200)과 CDMA 네트워크(350)의 제3 휴대단말(300)에 모두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이 상기 제2 휴대단말(200) 및 상기 제3 휴 대단말(300)과 동시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각 휴대단말(200, 300)에 대응하는 각각의 패킷(음성패킷, 데이터패킷)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차단을 위한 토글 기능을 더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토글 기능을 위한 입력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GSM 네트워크(250)의 제2 휴대단말(200)에서 수신하는 음성신호의 경우,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음성신호를 보코더(150) 단에서 루프 백하거나, 또는 코덱(160) 단에서 루프 백하고, 상기 루프 백하는 음성신호를 CDMA 네트워크(350)와 통신하는 제2 통신모듈(300)로 전달한다. 이에 의거하여, 상기 제2 통신모듈(125)은 상기 GSM 네트워크(250)의 상기 제2 휴대단말(200)의 음성신호를 CDMA 네트워크(350)의 제3 휴대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DMA 네트워크(350)의 상기 제3 휴대단말(300)에서 수신하는 음성신호의 경우 역시도 전술한 GSM 네트워크(250)의 제2 휴대단말(200)에서 수신하는 음성 데이터의 처리와 같이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른 네트워크의 음성신호의 루프 백을 통해, 제1 휴대단말(100)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 처리에서와 같이 처리함으로써, 다자간 통화 서비스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제2 및 제3 휴대단말(200, 300)은 제1 휴대단말(100)을 통해 모두 통화 연결되어 컨퍼런스 콜(Conference call)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이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로서 GSM 네트워크와 CDMA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GSM/CDMA 듀얼스 탠바이 휴대단말을 실시 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이 상기 GSM/CDMA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듀얼스탠바이 휴대단말은 현재 상용화 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네트워크 및 앞으로 개발 및 전개될 통신 네트워크들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기능 제어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휴대단말들 간 음성신호 송수신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제1 휴대단말(100)은 GSM 네트워크(250)의 제2 휴대단말(200)과 CDMA 네트워크(350)의 제3 휴대단말(300) 각각과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401단계, 403단계). 이어서,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요청 이벤트에 따라 호스트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405단계). 상기 요청 이벤트는 호스트 기능 활성화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 이벤트,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각 휴대단말들(200, 300)과 통화가 연결될 시 호스트 기능의 자동 활성화를 제어하는 설정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음성 발신 또는 음성 수신에 따른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데, 먼저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이 음성을 발신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다음으로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이 상기 제2 휴대단말(200) 및 제3 휴대단말(300)로부터 음성을 수신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음성 수신이 먼저 이루어지거나, 또는 음성 발신 및 수신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마이크(MIC)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입력되면(407단계), 전술한 바와 같은 입력 음성신호 처리 과정을 통해 음성패킷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하는 음성패킷의 전달 경로를 설정한다(409단계). 즉,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이 상기 GSM 네트워크(250)의 상기 제2 휴대단말(200)과 상기 CDMA 네트워크(350)의 상기 제3 휴대단말(300) 각각과 통화 연결 중임에 따라,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GSM 통신 서비스를 위한 상기 제1 통신모듈(120) 및 CDMA 통신 서비스를 위한 상기 제2 통신모듈(125)로 상기 음성패킷의 경로를 설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제1 통신모듈(120) 및 제2 통신모듈(125)을 통해 상기 음성패킷을 상기 제2 휴대단말(200) 및 제3 휴대단말(300) 각각으로 전송한다(411단계, 413단계).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음성패킷을 상기 제2 휴대단말(200) 및 제3 휴대단말(300) 중 어느 하나의 휴대단말로만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이 상기 GSM 네트워크(250)의 상기 제2 휴대단말(200) 및/또는 상기 CDMA 네트워크(350)의 상기 제3 휴대단말(300)로부터 음성패킷을 수신하는 경우의 처리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제2 휴대단말(200 및/또는 상기 제3 휴대단말(300)로부터 음성패킷을 수신한다(415단계, 417단계). 다음으로,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수신하는 제1 및/또는 제2 휴대단말(200, 300)의 음성패킷을, 전술한 바와 같은 수신 음성패킷 처리 과정을 통해 PCM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하는 PCM 데이터를 제1 휴대단말(100) 자신의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아울러,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PCM 데이터를 루프 백 한다(419단계).
다음으로,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루프 백 하는 PCM 데이터를 전술한 바와 같은 입력 음성신호 처리 과정을 통해 음성패킷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하는 음성패킷의 전달 경로를 설정한다(421단계). 즉,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GSM 네트워크(250)의 상기 제2 휴대단말(200)의 음성패킷은 상기 CDMA 네트워크(350)의 상기 제3 휴대단말(300)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2 통신모듈(125)로 전달 경로를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CDMA 네트워크(350)의 상기 제3 휴대단말(300)의 음성패킷은 상기 GSM 네트워크(250)의 제2 휴대단말(200)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1 통신모듈(120)로 전달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제1 휴대단말(100)은 상기 설정하는 전달 경로에 따라 상기 제2 휴대단말(200)로 상기 제3 휴대단말(300)의 음성패킷을 전송하고(423단계), 상기 제3 휴대단말(300)로 상기 제2 휴대단말(200)의 음성패킷을 전송한다(425단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자간 통신을 위한 휴대단말의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제1 휴대단말은 제1 네트워크의 제2 휴대단말 과 제2 네트워크의 제3 휴대단말 각각과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501단계). 상기 제1 휴대단말은 본 발명의 멀티스탠바이 지원 휴대단말을 나타내며, 상기 제1 네트워크는 GSM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CDMA 네트워크인 경우를 가정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는 서로 상이한 네트워크인 경우를 가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휴대단말은 호스트 기능 수행 여부를 판별한다(503단계). 상기 호스트 기능은 상기와 같이 사용자 요청에 의해 수행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각 휴대단말들과 다자간 통화 연결 시 휴대단말에서 이를 인지하여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호스트 기능 수행 여부 판별은 상기 제1 휴대단말이 사용자의 호스트 기능 수행 요청 여부 및 호스트 기능 자동 수행 설정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일 수 있다.
상기 호스트 기능이 수행되지 않으면, 상기 제1 휴대단말은 상기 제2 휴대단말 및 제3 휴대단말 각각과 개별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505단계). 즉, 상기 제1 휴대단말은 상기 제2 휴대단말 및 상기 제3 휴대단말 중 어느 하나의 휴대단말과 음성패킷 송수신을 수행하며, 이때 현재 통화 연결은 되어 있으나, 상기 제1 휴대단말과 음성패킷 송수신을 수행하지 않는 해당 휴대단말은 상기 제1 휴대단말의 통화 전환 시까지 대기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 기능이 수행되면, 상기 제1 휴대단말은 음성패킷의 송수신 경로를 제어하는 경로제어모드를 활성화하고(507단계), 이어서, 상기 제1 휴대단말의 마이크(MIC)를 통한 음성신호 입력 또는 각 네트워크를 통한 음성패킷 수신이 있는 지 판별할 수 있다(509단계, 521단계). 상기 경로제어모드 활성화 과정은 반드시 필요한 과정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제1 휴대단말의 마이크(MIC)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및 제3 통신모듈로의 음성패킷 전달 경로를 오픈(open)한다(511단계). 이어서, 상기 제1 휴대단말은 상기 제1 및 제2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음성패킷을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의 상기 제2 및 제3 휴대단말로 전송한다(513단계). 이때, 상기 제1 휴대단말은 사용자 요청 등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통신모듈의 음성패킷 전달 경로 중 어느 하나를 차단하여 상기 음성패킷을 상기 제2 및 제3 휴대단말 중 어느 하나의 휴대단말로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휴대단말이 제2 및/또는 제3 휴대단말로부터 음성패킷을 수신하면, 수신하는 상기 음성패킷의 수신 경로를 판단한다(523단계). 즉, 수신하는 상기 음성패킷이 제1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제1 네트워크의 제2 휴대단말의 음성패킷인지, 또는 제2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제2 네트워크의 제3 휴대단말의 음성패킷인지를 판단한다. 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휴대단말은 루프 백되는 음성패킷의 전달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1 휴대단말은 상기 수신하는 음성패킷을 PCM 데이터로 복원하고, 이를 상기 제1 휴대단말 자신의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525단계). 아울러, 상기 제1 휴대단말은 상기 복원하는 PCM 데이터를 루프 백(527단계)을 통해 음성패킷으로 변환한 후, 상기 음성패킷의 전달 경로를 오픈한다(529단계).
즉, 상기 제1 휴대단말은 상기 루프 백을 통해 변환하는 음성패킷을 전송할 통신모듈의 경로를 설정한다. 이어서, 상기 제1 휴대단말은 상기 설정하는 해당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음성패킷을 해당 네트워크의 해당 휴대단말로 전송한다(531단계). 이때, 상기 음성패킷을 수신하는 네트워크와 상기 음성패킷을 루프 백하여 전송하는 네트워크는 서로 상이한 네트워크이다.
한편, 상기 제1 휴대단말은 전술한 절차를 수행하는 중에 통화 종료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541단계). 이때 통화 종료가 발생할 시 상기 제2 및 제3 휴대단말 모두와 통화 종료되었는지 판별하고(543단계), 상기 제2 및 제3 휴대단말 모두와 통화 종료로 판단하면 상기 제1 휴대단말은 상기 제1 및 제2 통신모듈을 비활성화하고 해당 통화를 모두 종료한다(445단계).
반면, 상기 제2 또는 제3 휴대단말 중 어느 하나의 휴대단말과 통화 종료로 판별하면, 상기 제1 휴대단말은 해당 휴대단말과의 통화를 종료하고 상기 호스트 기능을 비활성화 할 수 있다(547단계). 이어서, 상기 제1 휴대단말은 현재 통화 중인 어느 하나의 휴대단말과 음성패킷 송수신 경로를 설정한다(549단계). 즉, 개별통화 방식에 의한 음성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를 위한 휴대단말의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6에서는 전술한 도 5의 호스트 기능 활성화에 따라 상기 제2 및 제3 휴대단말 각각과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수행하는 것을 예로 하여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휴대단말이 상기 제2 휴대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 3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경우를 대표적인 예로 설명한다.
하지만, 상기 도 6의 동작이 반드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 및 제3 휴대단말과 통화가 연결된 상태가 아닌 경우에도, 데이터 전송을 위한 동작으로도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휴대단말은 상기 제3 휴대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2 휴대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 휴대단말 자신의 데이터를 상기 제2 및 제3 휴대단말로 동시에 전송하거나, 어느 하나의 휴대단말로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마스터 모뎀은 제1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2 휴대단말의 데이터를 수신하면(601단계), 상기 데이터를 제1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603단계). 이때, 상기 마스터 모뎀은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제2 휴대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에 대한 수신 정보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605단계). 따라서 상기 수신 정보 출력에 대한 설정이 비활성화 상태이면, 상기 제1 휴대단말은 상기 수신 정보 출력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마스터 모뎀은 상기 수신하는 상기 제2 휴대단말의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607단계)이 있는지 또는 상기 수신하는 상기 데이터에 대한 확인 요청(621단계)이 있는지 등을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은, 통신 중인 상기 제2 휴대단말로부터의 데이터 수신 시 상기 데이터의 루프 백 기능이 자동 설정된 경우, 또는 상기 데이터 수신 시 사용자 요청에 의한 경우 등에 의해 상기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이 있으면, 상기 마스터 모뎀은 상기 수 신 데이터를 공유 저장영역에 저장하고(609단계), 슬레이브 모뎀에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상기 슬레이브 모뎀이 상기 데이터를 인지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슬레이브 모뎀은 상기 인터럽트에 대응하여 상기 공유 저장영역의 상기 데이터를 제2 저장영역에 저장한다(611단계). 이어서, 상기 슬레이브 모뎀은 제2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데이터를 제3 휴대단말로 전송한다(613단계).
한편, 상기 621단계에서와 같이 상기 수신 데이터에 대한 확인 요청이 있으면, 상기 마스터 모뎀은 상기 수신하여 상기 제1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상기 데이터를 표시부 및 스피커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623단계).
또한 상기 마스터 모뎀은 상기 데이터 수신 후 전술한 과정(607단계, 621단계) 이외에 상황이 발생하면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설정된 방식에 따라 상기 제2 휴대단말의 수신 데이터에 대하여 호스트 기능을 통해 바로 상기 제3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 상기 수신 데이터를 제1 저장영역에 저장한 후 상기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신호 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동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 음성신호/데이터 송수신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휴대단말들 간 음성신호 송수신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자간 통신을 위한 휴대단말의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를 위한 휴대단말의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

Claims (14)

  1.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이종의 네트워크 간 호스트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휴대단말이 이종의 네트워크에 각각 존재하는 제2 휴대단말과 제3 휴대단말과 통화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제2 및 제3 휴대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휴대단말로부터 음성신호가 수신될 시, 상기 음성신호를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휴대단말과 다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휴대단말로 상기 음성신호를 루프 백 처리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호스트 기능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가 수신될 시, 상기 음성신호를 음성패킷 변환 후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로 복원하는 과정과,
    상기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SPK)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PCM 데이터를 루프 백하여 음성패킷으로 재변환 후 설정되는 경로의 해당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단말에서 호스트 기능 제공 방 법.
  3.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MIC)를 통해 음성신호가 전달될 시 상기 제2 및 제3 휴대단말과 통신하는 각 통신모듈의 음성신호 전달 경로를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각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제2 및 제3 휴대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단말에서 호스트 기능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휴대단말은 상기 제2 및 제3 휴대단말 중 어느 하나의 휴대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하는 데이터를 공유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공유 저장영역의 상기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의 전송 경로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및 제3 휴대단말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호스트 기능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데이터의 수신 경로에 대응하는 모뎀에서 상기 데이터를 상기 공유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의 전송 경로에 대응하는 다른 모뎀으로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호스트 기능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모뎀이 상기 인터럽트에 대응하여 상기 공유 저장영역의 상기 데이터를 로드하여 상기 전송 경로에 대응하는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호스트 기능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휴대단말에서 발생하는 음성신호 및 데이터는 상기 제2 및 제3 휴대단말로 동시에 전송하거나, 어느 하나의 휴대단말로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호스트 기능 제공 방법.
  8.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에 있어서,
    특정 네트워크와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해당 네트워크의 휴대단말과 음성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하는 적어도 두 개의 통신모듈들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통신모듈들의 음성신호 전송 경로를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통해 음성신호/데이터가 전달되면, 상기 음성신호/데이터가 전송된 네트워크와 다른 네트워크로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설정 방식에 대응하게 변환하여 출력하며,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루프 백하여 재변환하는 보코더와,
    상기 보코더로부터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변환하여 스피커(SPK)로 출력하고,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보코더로 출력하는 코덱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의 공유를 위한 저장영역을 포함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하는 데이터를 자신이 관장하는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의 공유를 위해 상기 데이터를 공유 저장영역에 저장한 후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마스터 모뎀 및 슬레이브 모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모뎀은 상기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의 주 제어를 처리하며, 상기 음성신호/데이터의 수신 경로에 대응하여 상기 슬레이브 모뎀으로 제어권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마스터 모뎀의 제어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부와,
    상기 슬레이브 모뎀의 제어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부와,
    상기 마스터 모뎀 및 상기 슬레이브 모뎀을 연결하는 매개체로,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부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공유하는 공유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모뎀은 상기 제1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데이터를 상기 공유 메모리부에 저장하면 상기 슬레이브 모뎀으로 인터럽트를 발생하며, 상기 슬레이브 모뎀의 인터럽트에 대응하여 상기 공유 메모리부의 데이터를 상기 제1 메모리부에 기 록하며,
    상기 슬레이브 모뎀은 상기 제2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데이터를 상기 공유 메모리부에 저장하면 상기 마스터 모뎀으로 인터럽트를 발생하며, 상기 마스터 모뎀의 인터럽트에 대응하여 상기 공유 메모리부의 데이터를 상기 제2 메모리부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휴대단말에서 발생하는 음성신호 및 데이터를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제2 및 제3 휴대단말로 동시에 전송하거나, 어느 하나의 휴대단말로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경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코더의 출력 단 또는 상기 코덱의 입력 단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루프 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
KR1020080044322A 2008-01-23 2008-05-14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호스트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 KR2009008131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322A KR20090081310A (ko) 2008-01-23 2008-05-14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호스트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
US12/358,045 US8565742B2 (en) 2008-01-23 2009-01-22 Multi-standby mobile terminal and host function providing method for the same
CN2009100059714A CN101494928B (zh) 2008-01-23 2009-01-22 多待移动终端及其主机功能提供方法
EP09151156.8A EP2083606B1 (en) 2008-01-23 2009-01-22 Multi-standby mobile terminal and host function providing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7169 2008-01-23
KR1020080007169 2008-01-23
KR1020080044322A KR20090081310A (ko) 2008-01-23 2008-05-14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호스트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310A true KR20090081310A (ko) 2009-07-28

Family

ID=40564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322A KR20090081310A (ko) 2008-01-23 2008-05-14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호스트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65742B2 (ko)
EP (1) EP2083606B1 (ko)
KR (1) KR20090081310A (ko)
CN (1) CN1014949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5082B2 (ja) 2009-07-31 2014-08-06 ソニー株式会社 送信電力決定方法、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531767B2 (ja) 2009-07-31 2014-06-25 ソニー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方法、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429036B2 (ja) 2009-08-06 2014-02-26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53812B2 (ja) * 2009-08-12 2013-11-27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580157B1 (ko) * 2009-08-24 201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모드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N101945244A (zh) * 2010-09-03 2011-01-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会议电视的远端环回控制方法、系统和内置mcu会议终端
CN102568480A (zh) * 2010-12-27 2012-07-1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双模手机语音传输系统
CN102833701B (zh) * 2011-06-15 2017-05-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模终端的短信发送方法及多模终端
KR20130019159A (ko) * 2011-08-16 2013-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다자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3368622B (zh) * 2012-03-27 2017-02-22 联芯科技有限公司 多模双待终端及其天线资源分配方法
KR102003850B1 (ko) * 2012-06-04 2019-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그 단말
CN102917326B (zh) * 2012-10-15 2016-03-30 华为终端有限公司 双卡双通终端的通信方法、装置及双卡双通终端
CN105491683B (zh) * 2015-09-25 2019-04-1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用户设备、无线通信方法、终端及网络节点
CN105657691B (zh) * 2016-01-27 2020-02-0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双芯片系统的数据共享方法
CN105611010B (zh) * 2016-03-25 2018-08-24 银隆新能源股份有限公司 移动通信终端
US10979530B2 (en) * 2017-03-03 2021-04-13 LGS Innovations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batch radio resource command and control
KR102521830B1 (ko) * 2018-09-19 2023-04-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바일 데이터 공유를 위한 제어방법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차량
CN110365849A (zh) * 2019-07-29 2019-10-22 深圳市沃特沃德股份有限公司 一种多方通话的方法、装置、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4688B2 (en) * 1993-10-01 2003-07-15 Collaboration Properties, Inc. Dedicated echo canceler for a workstation
KR100241901B1 (ko) * 1997-08-28 2000-02-01 윤종용 핸드셋과 핸즈프리킷 공용 음성인식기의 등록 엔트리 관리방법
DE29809864U1 (de) 1998-06-03 1998-08-20 Fritsche Enrico Verbindungsvorrichtung für den Kommunikationsverkehr
JP3756344B2 (ja) 1999-05-11 2006-03-15 京セラ株式会社 マルチモード携帯電話装置
KR100365800B1 (ko) 2000-06-09 200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아날로그모드에서 음성기능이 가능한 이중모드 무선이동 통신기기
US20060019698A1 (en) * 2004-07-23 2006-01-2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system with multiple communication modes
JP4438671B2 (ja) * 2005-03-31 2010-03-24 日本電気株式会社 マルチモーダル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提供システム並びにその制御プログラム
US20070110029A1 (en) 2005-11-12 2007-05-17 Motorola, Inc. Method for linking communication channels of disparate access technologies in a selective call unit
CN1992958A (zh) * 2005-12-28 2007-07-04 上海原动力通信科技有限公司 不同接入系统共存时多模终端的网络附着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83606A2 (en) 2009-07-29
EP2083606A3 (en) 2012-04-18
US8565742B2 (en) 2013-10-22
CN101494928A (zh) 2009-07-29
EP2083606B1 (en) 2014-01-01
US20090186608A1 (en) 2009-07-23
CN101494928B (zh)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1310A (ko) 멀티스탠바이 휴대단말에서 호스트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
KR101126443B1 (ko) 최적화된 푸시-투-토크 콜 설정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877486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ilt-in microphone of portable terminal
EP2294872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connection of a wireless interface
US7707250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connection device
JP3088246B2 (ja) 無線通信装置
US11501779B2 (en) Bluetooth speaker base,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reof
US8977202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unit to determine whether a profile is operating
US20110117875A1 (en) Emergency mode operating method and mobile device adapted thereto
CN101854705B (zh) 音频切换方法、音频切换设备、音频编解码器及终端设备
KR101160364B1 (ko) 푸시-투-토크 공지 메시지의 플러딩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0702596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Content for a Mobile Phone Over an Alternative Wireless Network
JP2003318807A (ja) 移動通信端末
JP3839582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待ち受け処理方式
JPH11205219A (ja) パケット通信カード
KR100677704B1 (ko) 푸쉬-투-토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방법
CN113395576A (zh) 一种场景切换方法、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0238323B1 (ko) 스마트폰의 음성 자동응답 방법
JP4189966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用通信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H11298952A (ja) Tdma方式の携帯通信端末
JPH0856385A (ja) 他のシステムと情報を交換するため無線接続を設定するシステム
RU2569338C2 (ru)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трехстороннего вызова
JP2022104741A (ja) 無線機、無線通信制御方法および無線通信制御プログラム
JPH09233547A (ja) 移動通信着信方式
JP2003218769A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無線制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