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0551B1 - 단말 장치,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네트워크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네트워크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0551B1
KR100810551B1 KR1020067002873A KR20067002873A KR100810551B1 KR 100810551 B1 KR100810551 B1 KR 100810551B1 KR 1020067002873 A KR1020067002873 A KR 1020067002873A KR 20067002873 A KR20067002873 A KR 20067002873A KR 100810551 B1 KR100810551 B1 KR 100810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terminal device
packets
terminal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2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6811A (ko
Inventor
히로시 야마다
신지 우츠노미야
Original Assignee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106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6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6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comprising mechanisms for improved reliability, e.g. status reports
    • H04L12/1877Measures taken prior to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04LAN interconnection over a backbone network, e.g. Internet, Frame Relay
    • H04L12/462LAN interconnection over a bridge based backb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3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a LAN segment, e.g. ring or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combination with information about buffer occupancy at either end or at transit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사전설정된 시간 내에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수를 검출한다. 패킷의 수가 사전설정된 값을 초과하고 있을 때에 단말 장치를 네트워크로부터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한다. 사전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단말 장치를 네트워크에 재접속한다. 이상에 의해, 본 발명은 단말 장치에서 수신하는 패킷량이 매우 증대했을 때에 그 단말 장치를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하여 수신 패킷에 관련된 처리 이외의 처리를 계속해서 행할 수 있는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단말 장치,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네트워크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판독가능한 기록 매체{TERMINAL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CONTROL METHOD, NETWORK SYSTEM, NETWORK SYSTEM CONTROL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네트워크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송신되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 장치의 제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무실이나 공장 등에 있어서, 컴퓨터가 내장된 복수의 단말을 서로 접속하여 구축한 LAN 등의 네트워크 시스템이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통상 데이터는 패킷에 내장되어 송신된다. 패킷의 헤더에는 발신지(수신지)와 발신원의 어드레스가 내장되고, 각 단말은 자기 앞의 패킷만을 선택적으로 처리하여 그 패킷에 내장되어 있는 커맨드나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작을 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모든 단말에 대하여 동시에 동일한 내용의 데이터(즉, 패킷)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패킷은 일반적으로 브로드캐스트 패킷이라 칭해지며, 발신지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모든 단말의 어드레스가 되도록 설정된다.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이용하는 시스템은 모든 단말에 대하여 개별로 발신지 어드레스를 설정한 패킷을 생성할 필요가 없고, 편리한 기능이다. 그러나, 네트워 크내의 설정 정보의 부정합이나 프로그램 결함 등의 어떠한 이유로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네트워크 내에서 대량으로 발생하여 중대한 네트워크 장해를 일으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일반적으로 브로드캐스트 스톰(broadcast storm)이라 칭해진다.
즉,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대량으로 발생하여 브로드캐스트 스톰이 발생하면, 네트워크에 접속된 각 단말은 단시간 내에 대량의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각 단말에 있어서의 CPU 등의 데이터 처리부는 수신한 대량의 브로드캐스트 패킷의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그 처리 능력의 대부분을 써버리게 되어 그 밖의 처리를 행하는 데 매우 긴 시간이 걸리거나 최악의 경우에는 단말의 동작이 정지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사태가 발생하면, 브로드캐스트 스톰이 해소될 때까지 단말이 동작 불능으로 되어 버린다. 또한, 동작이 정지된 단말은 일단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하고 나서 다시 기동시킬 필요가 있고, 그 작업하는 동안도 단말의 동작이나 처리가 정지되어 버린다. 예컨대, 이러한 브로드캐스트 스톰이 공장내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면, 단말은 공장내의 생산 설비나 제조 장치이기 때문에, 생산라인이 정지되어 버리게 되어 큰 손실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근거리 통신망(LAN)에 접속된 계산기 시스템에 있어서, LAN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수신 패킷을 감시하고, 네트워크 장해를 초래하거나 또는 초래되고 있는 특정 패킷을 검출했을 때에, 그 계산기 시스템을 LAN으로부터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트래픽 감시 장치를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네트워크상의 트래픽량을 검출하고, 검출한 트래픽량이 사전설정된 규정치를 초과한 경우에, 특정 단말을 네트워크 케이블로부터 접속 해제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2 참조).
또한, 수신 데이터를 처리하는 능력에 관련된 기술로서, 수신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에 수신할 여지가 없어졌을 때에, 미디어를 비지 상태로 설정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려는 노드에서의 송신 처리를 기다리게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3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4-334231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7-7515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2-92043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한 기술에 따르면, 단말은 수신한 패킷이 브로드캐스트 스톰의 원인이 되는 브로드캐스트 패킷(특정 패킷)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단말 자신을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한다. 이 때문에, 브로드캐스트 스톰의 원인이 되는 특정 패킷에 관한 정보가 미리 단말에 설정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즉, 브로드캐스트 스톰의 원인이 되는 특정 패킷은 기지의 패킷으로서, 미지의 패킷이 대량으로 네트워크 내에서 발생한 경우에는, 단말은 미지의 패킷을 특정 패킷으로서 인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대량의 미지의 패킷을 수신하여 처리 불능에 빠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아직 갖고 있다.
한편, 특허 문헌 2에 기재한 기술에 따르면, 네트워크상을 흐르고 있는 데이터량(패킷량)을 감시하여 브로드캐스트 스톰과 같은 이상 사태의 발생을 검지하기 위해서 특정 패킷의 정보를 미리 단말에 설정해 둘 필요는 없다. 따라서, 미지의 패킷이 대량으로 발생한 경우에도, 특정 단말을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할 수 있다. 단, 트래픽량의 감시 및 단말의 접속 해제는 트래픽 감시 장치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트래픽 감시 장치를 각 단말과는 별개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필요가 있다. 또한, 트래픽량이 많아졌을 때에 접속 해제해야 할 단말을 미리 트래픽 감시 장치에 설정해 둘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네트워크 시스템 전체에 있어서의 트래픽량을 제어할 목적으로 특정 단말을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하는 것으로서, 접속 해제되는 단말은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장치(트래픽 감시 장치)에 의해 결정된다. 즉, 단말이 수신하는 패킷량에 기초하여 그 단말이 스스로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차단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 기재한 기술에서는, 처리해야 할 수신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의 빈 용량이 없어졌을 때에 미디어를 비지로 하여 송신을 지연시키는 것으로서, 수신하는 패킷은 전부 처리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즉, 수신하는 패킷의 양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에 단말을 접속 해제하여 처리를 중단하는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브로드캐스트 스톰과 같이 일시적으로 대량의 패킷을 수신하는 상태가 되더라도 대량의 패킷의 수신을 지연시켜 처리할 뿐이며, 불필요한 브로드캐스트 패킷 이외의 처리해야 할 패킷의 처리를 행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는 해결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네트워크의 단말 장치에서 수신하는 패킷량이 매우 증대했을 때에, 그 단말 장치를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하여 수신 패킷에 관련된 처리 이외의 처리를 계속해서 행할 수 있는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동작하도록 구성된 단말 장치로서, 사전설정된 시간 내에 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수를 검출하는 패킷량 검출 수단과, 이 패킷량 검출 수단이 검출한 패킷의 수가 사전설정된 값을 초과하고 있을 때에, 이 단말 장치를 그 네트워크로부터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하는 논리적 접속 해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킷량 검출 수단은 상기 단말 장치가 수신한 패킷 중, 브로드캐스트 패킷만의 수를 검출하고, 상기 논리적 접속 해제 수단은 사전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한 브로드캐스트 패킷의 수가 사전설정된 값을 초과하고 있을 때에 이 단말 장치를 그 네트워크로부터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는 상기 논리적 접속 해제 수단에 의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하고 나서 사전설정된 복귀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단말 장치를 상기 네트워크에 재접속하는 재접속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접속 수단은 재접속 후에 다시 접속 해제된 경우, 상기 복귀 시간의 길이를 전번 접속 해제시의 길이보다 길게 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를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지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가 접속 해제된 것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의 접속 해제와 재접속에 관한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과, 이 이력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킷량 검출 수단은 그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패킷의 수를 검출하지 않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요구되는 처리 내용에 따라 상기 사전설정된 값을 변경시키는 제1 변경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변경 수단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요구되는 상기 처리 내용의 천이에 따라 상기 사전설정된 값을 변경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되는 빈도에 따라 상기 사전설정된 값을 변경시키는 제2 변경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동작하도록 구성된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사전설정된 시간 내에 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수를 검출하고, 검출한 패킷의 수가 사전설정된 값을 초과하고 있을 때에 이 단말 장치를 그 네트워크로부터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이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에 접속된 복수의 단말 장치로 이루어진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이 단말 장치의 각각은 사전설정된 시간 내에 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수를 검출하는 패킷량 검출 수단과, 이 패킷량 검출 수단이 검출한 패킷의 수가 사전설정된 값을 초과하고 있을 때에 이 단말 장치를 그 네트워크로부터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하는 논리적 접속 해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에 접속된 복수의 단말 장치로 이루어진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이 단말 장치의 각각이 사전설정된 시간 내에 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수를 검출하고, 검출한 패킷의 수가 사전설정된 값을 초과하고 있을 때에, 대응하는 단말 장치를 그 네트워크로부터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가 실행하는 접속 해제 및 재접속 처리의 흐름도.
도 4는 수동 복귀 동작의 흐름도.
도 5는 자동 복귀 간격 시간을 서서히 늘리면서 행하는 단말 장치 접속 해제 및 재접속 동작의 흐름도.
도 6은 패킷의 카운트수에 관한 임계값의 변경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단말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6 : 단말 장치
4 : 네트워크
8 : 호스트 컴퓨터
10 : 네트워크 상위층
12 : 패킷 통신부
14 : 장해 관리부
16 : 오퍼레이터 입력/출력부
20 : 장해 감시부
22 : 논리적 접속 해제/접속부
101 : CPU
102 : ROM
103 : RAM
104 : 보조 기억 장치
105 : 네트워크 I/F
106 : 드라이브 장치
107 : 기록 매체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2)는 네트워크(4)(유선 또는 무선별은 묻지 않음)에 접속되며, 네트워크(4)를 통해 다른 단말 장치(6)나 호스트 컴퓨터(8) 사이에서 데이터(패킷)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단말 장치(2)는 컴퓨터 시스템이나 컴퓨터 시스템이 내장된 장치 등으로서, 네트워크(4)로부터 수신한 패킷을 처리하여 패킷에 포함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단말 장치(2)는 단말 장치 본래의 기능 이외에 수신한 패킷의 양을 감시하여 검출한 패킷량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2) 자체를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2)는 단말 장치 본래의 기능이나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상위층(10)과, 네트워크(4)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는 패킷 수신부(12)와, 패킷 수신부(12)가 수취한 패킷을 체크하 여 네트워크(4)에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 장해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장해 관리부(14)와, 단말 장치(2)의 오퍼레이터에게 정보를 출력하거나 오퍼레이터가 정보나 지령을 입력하거나 하기 위한 오퍼레이터 입력/출력부(16)를 갖는다.
패킷 수신부(12)는 장해 감시부(20)와, 논리적 접속 해제/접속부(22)를 갖는다. 장해 감시부(20)는 장해 관리부(14)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전설정된 시간 내에 네트워크(4)로부터 수신하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의 양을 검출한다. 예컨대, 장해 감시부(20)는 패킷량을 검출하는 감시 간격 정보(예컨대, 1초간)가 내장된 정보를 장해 관리부(14)로부터 수취하고, 그 감시 간격(예컨대, 1초간) 사이에 수취하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의 수를 카운트한다. 그리고, 카운트한 수가 임계값(소정량)을 초과한 경우에, 네트워크(4)에 브로드캐스트 스톰과 같은 장해가 발생하고 있다, 또는 장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을 장해 관리부(14)에 통지한다. 동시에 장해 감시부(20)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의 카운트수가 임계값(소정량)을 초과했을 때에, 논리적 접속 해제/접속부(22)에 접속 해제 지령을 발생한다. 또한, 수신한 패킷이 브로드캐스트 패킷인지의 여부는 예컨대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수신지의 어드레스를 체크함으로써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논리적 접속 해제/접속부(22)는 장해 감시부(20)로부터 접속 해제 지령을 수취하면, 단말 장치(2)를 네트워크(4)로부터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한다. 또한, 논리적 접속 해제/접속부(22)는 단말 장치(2)를 네트워크(4)로부터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한 후, 장해 관리부(14)로부터 접속 지령을 수취하면, 단말 장치(2)를 네트워크(4)에 다시 접속한다. 여기서,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한다고 하는 의미는 단말 장치 (2)를 물리적으로 네트워크 케이블로부터 접속 해제하는 것이 아니라, 소프트웨어에 의한 제어에 의해 단말 장치(2)가 네트워크(4)로부터 패킷을 수취하지 않게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논리적인 디스에이블 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강제적인 리셋에 의해 그 이후의 입력을 일체 접수하지 않도록(CPU에 인터럽트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되어 있는 동안은 장해 감시부(20)에 의한 브로드캐스트 패킷 등의 패킷 검출 및 카운트는 행해지지 않는다.
한편, 장해 관리부(14)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의 카운트수가 임계값을 초과한 것이 통지되면, 네트워크 장해가 발생한 것을 오퍼레이터 입력/출력부(16)를 통해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한다. 즉, 오퍼레이터 입력/출력부(16)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고 있고, 네트워크 장해가 발생한 것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한다. 오퍼레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봄으로써 네트워크 장해가 발생하여 단말 장치(2)가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 때, 네트워크 장해의 발생과 같이 단말 장치(2)가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여도 좋다.
또한, 장해 관리부(14)는 네트워크 장해의 발생을 나타내는 정보를 로그(log)로서 기록시켜 둔다. 오퍼레이터는 네트워크 장해의 발생 일시나 단말 장치(2)의 접속 해제 횟수나 시간에 대해서 나중에 로그의 기록을 조사함으로써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장해 감시부(20)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의 카운트수가 임계값(소정량)을 초과했을 때에, 장해 관리부(14)에 통지하는 동시에 오퍼레이터 입력/출력부(16)에 직접 통지할 수도 있다. 이 통지에 의해 오퍼레이터 입력/출력부(16)는 네트워크 장해가 발생한 것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한다.
여기서, 단말 장치(2)가 네트워크(4)로부터 접속 해제된 후, 단말 장치(2)를 다시 네트워크(4)에 접속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브로드캐스트 스톰은 통상 어떤 짧은 시간으로 종식되어 네트워크 이상은 자연히 해소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브로드캐스트 스톰이 종식된 때를 가늠하여 단말 장치(2)를 재차 네트워크(4)에 접속한다.
네트워크(4)에의 재접속은 사전설정된 시간 후에 자동적으로 행하는(자동 복귀) 것으로 하여도 좋고 오퍼레이터가 수동으로 재접속하는(수동 복귀) 것으로 하여도 좋다.
자동적으로 재접속을 행하기 위해서는 오퍼레이터는 오퍼레이터 입력/출력부(16)를 통해 미리 장해 관리부(14)에 자동 복귀를 설정해 둔다. 이에 따라, 논리적 접속 해제/접속부(22)는 단말 장치(2)를 네트워크(4)로부터 접속 해제하고 나서 사전설정된 자동 복귀 간격이 경과한 후에, 단말 장치(2)를 네트워크(4)에 재차 접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 복귀 간격이란 예컨대 8초이다. 자동 복귀 후에 최초로 검출된 브로드캐스트 패킷수가 여전히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는,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4)로부터 재차 접속 해제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는, 자동 복귀 간격을 전번 복귀 시간보다 길게 하여도 좋다. 예컨대, 첫 회의 자동 복귀 간격을 8초로 하고, 다음 접속 해제에서의 자동 복귀 간격을 16초로 하며, 그 이후를 32초, 64초와 같이 길게 하고, 64초로 설정된 후에는 64초인 채로 한다.
이상과 같이 자동 복귀 간격을 서서히 길게 하는 것은 자동 복귀 후의 첫 회의 카운트수가 여전히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는, 즉 네트워크 장해가 해소되지 않는 경우로서, 자동 복귀 후에 카운트수가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는, 자동 복귀 간격은 첫 회의 8초로 복귀된다.
수동 복귀를 행하기 위해서는 오퍼레이터는 오퍼레이터 입력/출력부(16)의 입력 조작 장치를 이용하여 접속 요구를 입력한다. 접속 요구는 장해 관리부(14)로 보내지고, 장해 관리부(14)는 접속 요구에 기초하여 접속 지령을 논리적 접속 해제/접속부(22)로 보낸다. 이에 따라, 논리적 접속 해제/접속부(22)는 단말 장치(2)를 네트워크(4)에 재차 접속한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서는, 단말 장치(2)가 수신하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수를 카운트하여, 그 값이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 네트워크 장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지만, 단말 장치(2)가 수신하는 모든 패킷수를 카운트하여, 그 값이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 네트워크 장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하여도 좋다. 그 경우, 단말 장치(2)가 통상 수취하는 패킷의 수를 고려하여 임계값을 설정하면 좋다.
이상과 같이, 장해 관리부(14)는 행동 정보 및 관리 내용 정보를 관리하고 있고, 이들 정보를 장해 감시부(20), 논리적 접속 해제/접속부(22) 및 오퍼레이터 입력/출력부(16)에 적절하게 출력한다. 그리고, 이들 정보에 기초하여 장해 감시부(20), 논리적 접속 해제/접속부(22) 및 오퍼레이터 입력/출력부(16)는 이하에 설명하는 단말 장치 접속 해제 및 재접속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행동 정보는 이하의 사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1) 브로드캐스트량을 감시하는지의 여부
2) 네트워크 장해가 발생했을 때의 복귀 방법(자동 복귀 또는 수동 복귀)
3) 자동 복귀 간격 시간(예컨대, 8초, 16초, 32초, 64초, 이후 64초)
4) 감시 간격(예컨대, 1초)
5) 패킷의 카운트수에 관한 임계값(예컨대, 10,000 패킷)
또한, 관리 내용 정보는 이하의 사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1) 행동 정보
2) 장해 발생 상황
3) 현상 발생 요인
4) 단말 장치의 접속 상태(접속 해제중/접속중)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2)는 CPU(101), ROM(102), RAM(103), 보조 기억 장치(10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I/F)(105), 드라이브 장치(10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CPU(101)는 단말 장치(2)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ROM(102)이나 보조 기억 장치(14)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장치의 제어, 통신의 제어, 데이터의 취득 및 편집 등의 처리를 행한다.
ROM(102)은 주로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이다. RAM(103)은 CPU(101)의 워크 메모리나 일시적인 데이터의 기억에 이용하는 기억 수단이다. 보조 기억 장치(14)는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 단이다.
네트워크 I/F(105)는 단말 장치(2)를 네트워크(4)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드라이브 장치(106)는 본 발명의 특징이 되는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CD-ROM 등의 기록 매체(107)를 읽어내기 위한 장치이다. 즉, 기록 매체(107)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드라이브 장치(106)에 의해 판독되고, 보조 기억 장치(104)에 저장됨으로써, 그 프로그램이 단말 장치(2)에 설치된다. 설치된 그 프로그램 등이 CPU(101)에 의해 처리됨으로써, 도 1에 있어서 설명한 각 기능, 즉, 장해 관리부(14), 오퍼레이터 입력/출력부(16), 장해 감시부(20) 및 논리적 접속 해제/접속부(22) 등이 실현된다. 단, 그 프로그램은 단말 장치(2)의 공장 출하시 등에 있어서 ROM(102) 또는 보조 기억 장치(104)에 미리 기록시켜 두어도 좋으며, 그 경우는 드라이브 장치(106)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또한, 도 2에는 조작부나 표시부를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키보드나 마우스, 기타 각종 입력 장치 등에 의한 조작부나 액정이나 브라운관(CRT) 등에 의한 표시부를 설치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접수나 동작 결과의 표시를 행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단말 장치(2)에 있어서, 패킷 수신부(12), 장해 관리부(14) 및 오퍼레이터 입력/출력부(16)에 의해 행해지는 동작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해 단말 장치(2)가 실행하는 단말 장치 접속 해제 및 재접속 처리의 기본적인 흐름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은 단말 장 치(2)가 실행하는 단말 장치 접속 해제 및 재접속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단말 장치 접속 해제 및 재접속 처리가 시작되면, 우선, 단계 S2에 있어서, 장해 감시부(20)는 단말 장치(2)가 수신하는 패킷량을 감시한다. 즉, 장해 감시부(20)는 사전설정된 감시 간격(예컨대, 1초간)으로 수신하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의 수를 카운트한다. 그리고, 단계 S4에 있어서, 카운트치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카운트수가 임계값을 초과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판정한다. 카운트수가 임계값 이하였을 경우는 단계 S2로 되돌아가서 재차 패킷수의 카운트를 행한다.
단계 S4에 있어서 카운트수가 임계값을 초과하였다고 판정하면, 단계 S6으로 진행한다. 단계 S6에서는, 논리적 접속 해제/접속부(22)가 단말 장치(2)를 네트워크로부터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한다. 즉, 카운트수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는 네트워크 이상(브로드캐스트 스톰)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단말 장치(2)와 네트워크 사이의 접속을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한다. 이에 따라, 대량으로 발생한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단말 장치(2)가 수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패킷의 카운트수에 대한 임계값은 임의로 설정 가능하지만, 임계값을 예컨대 10,000 패킷으로 설정하면, 1초 사이에 수신하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10,000 패킷이 초과한 경우에, 브로드캐스트 스톰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의 수를 카운트하여 임계값과 비교하고 있지만,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포함하는 모든 수신 패킷의 수를 카운트하여 임계값과 비교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통상의 상태에서 흐르는 패킷의 평균적인 수 또 는 최대의 수를 고려하여 임계값을 높게 설정하면 좋다. 단, 일시적으로 대량의 정규 패킷을 수신했을 때에도 카운트수가 임계값을 초과해 버릴 우려가 있어, 브로드캐스트 스톰이 발생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단말 장치(2)를 접속 해제하여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 점, 브로드캐스트 패킷만을 카운트하는 쪽이 정밀도 좋게 브로드캐스트 스톰의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6에 있어서 단말 장치(2)를 네트워크(4)로부터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한 후, 단계 S8에 있어서, 미리 설정한 자동 복귀 간격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한다. 자동 복귀 간격 시간은 미리 장해 관리부(14)에 설정되어 있어도 좋거나 또는 오퍼레이터 입력/출력부(16)를 통해 오퍼레이터가 입력하여도 좋다. 자동 복귀 간격 시간은 통상의 브로드캐스트 스톰이 종식되기까지의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8초간으로 설정된다.
단계 S8에 있어서 자동 복귀 간격 시간이 경과하면, 단계 S10에 있어서, 논리적 접속 해제/접속부는 접속 해제된 단말 장치(2)를 네트워크(4)에 접속한다. 이에 따라,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4)로부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자동 복귀 간격 시간이 경과하여 브로드캐스트 스톰이 종식되고 있으면, 단말 장치(2)는 네트워크(4)를 통해 다른 단말(6)이나 호스트 컴퓨터(8)와 통신하면서 통상의 동작을 행하는 상태로 복귀한다.
이상의 처리에서는, 자동 복귀 간격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단말 장치(2)를 네트워크(4)에 자동적으로 재접속(자동 복귀)하고 있지만, 자동 복귀를 행하지 않고, 오퍼레이터가 수동으로 재접속(수동 복귀)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전술한 동 작에 있어서, 단계 S6에 있어서 접속 해제 처리를 행한 후, 그대로 대기하여 수동 복귀에 의해 재접속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복귀를 행하는 경우라도, 자동 복귀 간격 시간의 경과를 대기하지 않고서 수동 복귀에 의해 재접속 처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논리적 접속 해제/접속부(22)로의 접속 해제 지령 및 접속 지령은 장해 관리부(14)로부터 직접 송신되어도 좋거나 또는 장해 감시부(20)를 통해 송신되어도 좋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자동 복귀의 도중에 수동 복귀를 행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우선, 오퍼레이터는 자동 복귀를 대기하지 않고서 즉시 재접속 처리를 행하고자 하는 경우, 오퍼레이터 입력/출력부(16)를 통해 수동 복귀 요구를 입력한다. 수동 복귀 요구를 수취한 장해 관리부(14)는 단계 S20에 있어서, 장해 발생에 의해 단말 장치(2)를 접속 해제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접속 해제중이 아니었을 경우는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20에 있어서, 단말 장치(2)를 네트워크(4)로부터 접속 해제한 상태라고 판정되면, 단계 S22에 있어서 자동 복귀 동작을 취소하는 처리를 행한다. 즉, 도 3에 있어서의 단계 S8 이후의 처리를 취소한다. 그리고, 단계 S24에 있어서, 장해 관리부(14)는 접속 지령을 논리적 접속 해제/접속부(22)로 보내고, 논리적 접속 해제/접속부(22)는 단말 장치(2)를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도 3에 도시된 단말 장치 접속 해제 및 재접속 동작에 있어서, 자동 복귀 간격 시간을 서서히 늘리는 동작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 는 자동 복귀 간격 시간을 서서히 늘리면서 행하는 단말 장치 접속 해제 및 재접속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5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단계와 동등한 단계에는 동일한 단계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단말 장치 접속 해제 및 재접속 동작이 시작되면, 우선, 단계 S30에 있어서, 자동 복귀 간격 시간이 초기값으로 설정된다. 예컨대, 초기값은 전술한 바와 같이 8초로 한다. 다음에, 도 3에 도시된 단계 S2 내지 S10까지의 처리가 행해진다. 즉, 수신 패킷량이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 단말 장치(2)가 네트워크(4)로부터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되고, 그 후 초기값인 8초로 설정된 자동 복귀 간격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단말 장치(2)는 네트워크(4)에 재접속된다.
단계 S10에 있어서 단말 장치(2)가 네트워크(4)에 재접속된 후, 단계 S32에 있어서, 장해 감시부(20)는 단말 장치(2)가 수신하는 패킷량을 감시한다. 즉, 장해 감시부(20)는 사전설정된 감시 간격(예컨대, 1초간)으로 수신하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의 수를 카운트한다. 그리고, 단계 S34에 있어서, 카운트치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카운트수가 임계값을 초과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판정한다.
카운트수가 임계값 이하였을 경우는 단계 S30으로 되돌아가고, 자동 복귀 간격 시간을 초기값(8초)으로 설정하며, 그 후 단계 S2 이후의 처리를 행한다. 즉, 자동 복귀했을 때에 브로드캐스트 스톰과 같은 네트워크 이상이 해소되었을 경우, 자동 복귀 간격 시간은 초기값(이 예에서는 8초간)으로 유지된다.
한편, 단계 S34에 있어서 카운트수가 임계값을 초과했다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S36으로 진행하여 자동 복귀 간격 시간을 늘린다. 이 예에서는 자동 복귀 간 격 시간은 초기값의 8초에서 16초로 늘려진다. 그 후, 처리는 단계 S6으로 되돌아가서 논리적 접속 해제/접속부(22)가 단말 장치(2)를 네트워크로부터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한다. 즉, 재접속 후의 첫 회의 판정으로 수신 패킷수가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다고 판정되는 것은 네트워크 이상(브로드캐스트 스톰)이 아직 종식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네트워크 장해가 지연되는 것을 고려하여 자동 복귀 간격 시간을 길게 하고 나서(이 예에서는 2배로 함), 재차 수신 패킷을 임계값과 비교하여 네트워크 장해의 유무를 판정한다. 이후, 네트워크 장해가 연속하고 있는 동안에는 자동 복귀 간격 시간을 서서히 길게 한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초기값인 8초로부터, 16초, 32초, 64초로 서서히 길게 하고, 64초로 설정하고 나서는 그대로 64초로 유지한다. 자동 복귀 시간을 너무 길게 하면, 네트워크 장해가 해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단말 장치(2)가 네트워크(4)로부터 접속 해제된 채로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다음에, 패킷의 카운트수의 임계값의 변경 기능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패킷의 카운트수에 관한 임계값의 변경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단말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중, 도 1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18), 임계값 변경부(141) 및 기억부(201) 등이 더 표시되어 있다.
애플리케이션(18)은 소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서, 예컨대, 호스트 컴퓨터(8) 등으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요구되는 처리를 실행한다. 임계값 변경부(141)는 장해 관리부(14)에 있어서 행위 정보의 일부로서 관리되어 있다, 패킷의 카운트수에 관한 임계값을 변경하기(재기록하기) 위한 기능이다. 기억부(20)는 예컨대 네트워크를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한 횟수나 지금까지의 최대 패킷량 등의 네트워크(4)의 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기억하는 기능이다.
도 6에 도시된 단말 장치(2)는 호스트 컴퓨터(8)로부터 요구된 처리의 내용이나 네트워크(4)의 상태에 따라 동적으로, 또한, 자동적으로 임계값을 변경시킬 수 있다. 즉, 호스트 컴퓨터(8) 등으로부터의 네트워크를 통한 처리 요구는 패킷 수신부(12) 및 네트워크 상위층(10)을 통해 그 처리 요구에 따라 호출되는 애플리케이션(18)에 전달되지만, 애플리케이션(18)은 스스로가 실행하는 처리의 내용이나 특성 등에 따른 임계값을 임계값 변경부(141)에 통지함으로써, 임계값 변경부(141)에 임계값을 변경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애플리케이션(18)의 통신 처리에 대한 의존도에 의해 임계값을 변경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즉, 애플리케이션(18)이 통신 처리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경우는 네트워크가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되어 버림으로써, 그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이러한 애플리케이션(18)은 임계값을 높이도록 임계값 변경부(141)에 요구하면 좋다. 임계값이 높여짐으로써, 패킷의 수신량에 대한 허용도가 높아지고, 네트 워크가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되는 빈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애플리케이션(18)이 긴급도가 높은 처리를 실행하는 것인 경우도 마찬가지로 임계값을 높임으로써, 애플리케이션(18)의 처리가 중단되는 빈도를 낮출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18)이 통신 처리에 대한 의존도가 낮고, 부하가 높은 처리를 실행하는 것인 경우에는 임계값을 낮추면 좋다. 수신 패킷량이 증가한 경우 에, 조기에 네트워크가 접속 해제되게 되고, CPU(101)의 처리 능력이 패킷 처리에 소비되는 것을 조기에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임계값은 애플리케이션(18)의 종류에 따라 일의가 아니라 동일한 애플리케이션(18)에 있어서도 애플리케이션(18)의 처리 내용의 천이에 따라 변화시켜도 좋다.
또한,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른 임계값의 변경에 대해서는 장해 감시부(20)가 제어를 행한다. 즉, 장해 감시부(20)는 지금까지 네트워크를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한 횟수(이하, 단순히 「접속 해제 횟수」라 함)나 지금까지의 최대 패킷량 등, 기억부(201)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의 상태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기초하여 임계값 변경부(14)에 대하여 임계값의 변경을 요구한다. 예컨대, 접속 해제 횟수가 많은 경우는 임계값의 설정이 지나치게 낮은 것이 요인의 하나로서 생각된다. 따라서, 이 경우, 임계값을 높임으로써 접속 해제 횟수를 낮출 수 있고, 경도()의 패킷 스톰에 의해 단말 장치(2)에 있어서의 처리가 중단되는 빈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임계값의 변경은 사용자에게 수동으로 행하게 하여도 좋다. 예컨대, 호스트 컴퓨터(8)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임계값을 변경하는 경우는, 임계값을 변경시키기 위한 애플리케이션(18)을 단말 장치(2)에 실장해 둔다. 호스트 컴퓨터(8)에 있어서 설정된 임계값은 그 애플리케이션(18)에 전달되고, 그 애플리케이션(18)은 설정된 임계값을 임계값 변경부(141)에 통지함으로써, 임계값 변경부(141)에 임계값을 변경시킨다. 또한, 단말 장치(2)에 있어서, 직접(국부적으로) 변경하는 경우는, 오퍼레이터 입력/출력(16)을 통해 입력된 임계값이 임계값 변경부(141)에 통 지되어 임계값의 변경이 실행된다.
사용자가 임의로 임계값을 변경할 수 있게 됨으로써, 예컨대, 각 단말 장치(2)의 처리 능력이나 각 단말 장치(2)에 실행시키는 처리 내용에 따른 임계값의 설정이 용이해진다.
이상과 같이, 브로드캐스트 스톰과 같은 네트워크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 단말 장치는 자신을 자동적으로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하여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처리를 계속할 수 있다. 또한, 사전설정된 시간 후에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에 자동적으로 재접속되기 때문에, 네트워크 장해가 해소된 후에 네트워크에 자동적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2)가 실행하는 전술한 단말 장치 접속 해제 및 재접속 처리는 단말 장치(2)가 스스로 행하는 것으로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에 의존하지 않고서, 단말 장치측의 제어로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할 수 있는 것으로 하였다. 단,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 장치(2)와는 별개로 패킷 수신부 및 장해 관리부를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 접속 해제 및 재접속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는 PC(Personal Computer) 등에 의해 구성되는 일반적인 컴퓨터 시스템뿐만 아니라 공장내 네트워크에 적용하여도 좋다. 예컨대, 네트워크(4)는 공장내 LAN(local area network)로 하고, 단말 장치(2, 4)를 공장내의 제조 장치로 했을 경우, 이들 제조 장치(2, 4)를 호스트 컴퓨터(8)로 제어하는 시스템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공장내의 제조 설비를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호스트 컴 퓨터로 제어 및 관리하고 있을 때에 브로드캐스트 스톰이 발생한 경우, 종래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제조 장치의 처리 능력이 저하하여 제조가 중단되어 버리지만, 제조 장치를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2)와 같이 구성해 두면, 제조 장치는 자동적으로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되어 제조 장치 자체의 동작(제조 공정)을 계속해서 진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단시간에 자동 복귀함으로써, 브로드캐스트 스톰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서 제조 공정을 계속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의 중단 등에 의한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 장해의 원인이 되는 대량의 브로드캐스트 패킷의 수를 검출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수신한 브로드캐스트 패킷의 수를 검출하는 동시에 수신한 에러 패킷의 수를 검출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즉, 에러 패킷은 네트워크에 접속된 장치의 하드웨어 고장 등의 이유에 의해 갑자기 발생하는 패킷으로서, 브로드캐스트 패킷과 같이 대량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에러 패킷은 숏 패킷, 롱 패킷, CRC 패킷 등을 포함한다. 숏 패킷은 이미 정해진 사이즈보다 작은 패킷으로서, 패킷 사이즈를 기정 사이즈와 비교함으로써 식별 및 검출할 수 있다. 롱 패킷은 이미 정해진 사이즈보다 큰 패킷으로서, 패킷 사이즈를 기정 사이즈와 비교함으로써 식별 및 검출할 수 있다. CRC 에러 패킷은 CRC 방식에 의해 오류가 검출된 패킷으로서, CRC 에러를 검출함으로써 식별 및 검출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대량으로 발생한 경우에, 단말 장치를 네트워크로부터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전술한 에러 패킷이 대량으로 발생한 경우에, 단말 장치를 네트워크로부터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패킷의 수를 에러 패킷의 수와 치환하여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 경우, 에러 패킷의 수가 사전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했을 때에 네트워크 장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단말 장치를 네트워크로부터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하게 된다. 또는, 브로드캐스트 패킷과 에러 패킷의 양방의 수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를 네트워크로부터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브로드캐스트 패킷수+에러 패킷수가 사전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 네트워크 장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하여 단말 장치를 네트워크로부터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로드캐스트 스톰이 발생했을 때와 같이 네트워크의 단말 장치에서 수신하는 패킷량이 일정 시간 내에서 사전설정된 값을 초과했을 때에, 그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된다. 이 때문에, 단말 장치의 처리부에 관한 부담이 매우 증대하는 것이 방지되고, 단말 장치는 불필요한 패킷에 관련된 처리 이외의 처리를 계속해서 행할 수 있다.

Claims (19)

  1.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동작하도록 구성된 단말 장치로서,
    사전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수를 검출하는 패킷량 검출 수단과;
    상기 패킷량 검출 수단이 검출한 패킷의 수가 사전설정된 값을 초과하고 있을 때에 상기 단말 장치를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하는 논리적 접속 해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량 검출 수단은 상기 단말 장치가 수신한 패킷 중 브로드캐스트 패킷(broadcast packet)만의 수를 검출하고,
    상기 논리적 접속 해제 수단은, 사전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한 브로드캐스트 패킷의 수가 사전설정된 값을 초과하고 있을 때에 상기 단말 장치를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적 접속 해제 수단에 의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되고 나서 사전설정된 복귀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단말 장치를 상기 네트워크에 재접속하는 재접속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접속 수단은 재접속 후에 다시 접속 해제된 경우, 상기 복귀 시간의 길이를 전회의 접속 해제시의 길이보다 길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를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지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접속 해제된 것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접속 해제와 재접속에 관한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과;
    상기 이력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량 검출 수단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패킷의 수를 검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요구되는 처리 내용에 따라 상기 사전설정된 값을 변경시키는 제1 변경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경 수단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요구되는 상기 처리 내용의 천이에 따라 상기 사전설정된 값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상기 사전설정된 값을 변경시키는 제2 변경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2.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동작하도록 구성된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사전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수를 검출하고,
    검출한 패킷의 수가 사전설정된 값을 초과하고 있을 때에 상기 단말 장치를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되고 나서 사전설정된 복귀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단말 장치를 상기 네트워크에 재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기재한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15. 네트워크에 접속된 복수의 단말 장치로 이루어진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 장치의 각각은,
    사전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수를 검출하는 패킷량 검출 수단과;
    상기 패킷량 검출 수단이 검출한 패킷의 수가 사전설정된 값을 초과하고 있을 때에 상기 단말 장치를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하는 논리적 접속 해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적 접속 해제 수단에 의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되고 나서 사전설정된 복귀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단말 장치를 상기 네트워크에 재접속하는 재접속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7. 네트워크에 접속된 복수의 단말 장치로 이루어진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 장치의 각각이 사전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수를 검출하고,
    검출한 패킷의 수가 사전설정된 값을 초과하고 있을 때에, 대응하는 단말 장치를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논리적으로 접속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되고 나서 사전설정된 복귀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단말 장치를 상기 네트워크에 재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기재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67002873A 2003-10-30 2004-10-28 단말 장치,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네트워크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08105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70719 2003-10-30
JPJP-P-2003-00370719 2003-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811A KR20060106811A (ko) 2006-10-12
KR100810551B1 true KR100810551B1 (ko) 2008-03-18

Family

ID=34543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2873A KR100810551B1 (ko) 2003-10-30 2004-10-28 단말 장치,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네트워크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30811B2 (ko)
EP (1) EP1679826B1 (ko)
JP (1) JP4313800B2 (ko)
KR (1) KR100810551B1 (ko)
CN (1) CN1842997A (ko)
WO (1) WO20050438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7543B2 (ja) * 2007-07-20 2012-07-18 日本電気通信システム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01442450B (zh) * 2008-12-24 2011-04-20 成都市华为赛门铁克科技有限公司 一种检测共享接入终端数量的方法、系统及装置
CN101860459B (zh) * 2009-04-07 2012-08-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网络装置及其连线状态侦测方法
US9054996B2 (en) * 2009-12-24 2015-06-09 Juniper Networks, Inc. Dynamic prioritized fair share scheduling scheme in over-subscribed port scenario
CN103188771B (zh) * 2011-12-27 2016-03-3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长链接的断开、恢复的方法和装置
JP5696333B2 (ja) * 2012-03-28 2015-04-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ノード装置およびデータ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02752774B (zh) * 2012-07-06 2015-08-2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非实时业务流量监控时间设定方法及系统
TWI502930B (zh) * 2013-11-29 2015-10-01 Acer Inc 通訊方法及其行動電子裝置
US9774566B2 (en) * 2013-11-29 2017-09-26 Acer Incorporated Communication method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10334085B2 (en) * 2015-01-29 2019-06-25 Splunk Inc. Facilitating custom content extraction from network packets
KR102443628B1 (ko) * 2017-12-22 2022-09-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7466809B1 (ja) 2023-06-21 2024-04-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トリーム監視方式、中継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ストリーム監視プログラム、および監視端末
CN117478561B (zh) * 2023-11-08 2024-05-14 上海勃傲自动化系统有限公司 以太网工业总线时延分析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517A (ko) * 2001-09-28 2003-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처리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제공하는 장치및 방법
KR20030042318A (ko) * 2001-11-22 2003-05-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패킷 필터링을 이용한 아이에스피 보더 라우터의 공격자차단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65998B1 (fr) * 1988-05-05 1993-10-29 Etat Francais Delegue Armement Procedes et transducteurs electro-acoustiques pour emettre des ondes acoustiques a basse frequence dans un liquide.
JPH0292043A (ja) 1988-09-28 1990-03-30 Nec Corp データ受信方式
JP2752265B2 (ja) 1991-05-10 1998-05-18 株式会社東芝 Lanからの切離し機能を持つ計算機システム
JP2508590B2 (ja) 1993-05-25 1996-06-19 日本電気株式会社 ネットワ―ク制御方式
JPH07336373A (ja) 1994-06-08 1995-12-22 Nec Corp トラフィック制御ブリッジ
US5636345A (en) 1995-03-30 1997-06-03 Bay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preventing broadcast storms on an emulated local area network
US6539000B1 (en) * 1998-07-21 2003-03-25 Kabushiki Kaisha Toshiba Multicast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6810263B1 (en) * 1999-12-22 2004-10-26 Denso Corporation Packet data reconnection timing contro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US7383574B2 (en) * 2000-11-22 2008-06-03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system for limiting the impact of undesirable behavior of computers on a shared data network
US7346057B2 (en) * 2002-07-31 2008-03-18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layer binding inspection to prevent spoofing
US7603475B2 (en) * 2003-03-31 2009-10-13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for flow control in a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517A (ko) * 2001-09-28 2003-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처리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제공하는 장치및 방법
KR20030042318A (ko) * 2001-11-22 2003-05-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패킷 필터링을 이용한 아이에스피 보더 라우터의 공격자차단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42997A (zh) 2006-10-04
EP1679826A1 (en) 2006-07-12
KR20060106811A (ko) 2006-10-12
US20080298263A1 (en) 2008-12-04
EP1679826A4 (en) 2007-06-20
US7830811B2 (en) 2010-11-09
JPWO2005043827A1 (ja) 2007-05-10
JP4313800B2 (ja) 2009-08-12
EP1679826B1 (en) 2011-11-23
WO2005043827A1 (ja) 2005-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0551B1 (ko) 단말 장치,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네트워크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US7631200B2 (en) Host apparatus,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system
US7673172B2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error handling in a dual adaptor system where one adaptor is a master
US84673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network conflict
US20060174013A1 (en) Data transfer method, data transfer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system
WO2002015480A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gathering information from different types of devices connected in a network when a device fails
US20060277429A1 (en) Handling restart attempts for high availability managed resources
JP2009217475A (ja) ストレージシステム,ストレージ装置,ストレージ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CN117407200A (zh) 一种硬盘的管理方法、系统、装置及主机
US11431782B2 (e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for transmitting file based on BMC, and medium
JP2007047909A (ja) Usbデバイス及びそのスタンバイ状態回避方法
JPH0126217B2 (ko)
KR101262278B1 (ko) 이중화 시스템 및 제어방법
CN114401204A (zh) 链接池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H04345248A (ja) イベント報告装置
JP2007026038A (ja) パス監視システム,パス監視方法,およびパス監視プログラム
US7278066B2 (en) Automatic fieldbus device load-mode identification
JP2000222233A (ja) デュプレックスシステムおよび現用系・待機系切り換え方法
KR20060096628A (ko) 네트워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관리 대상 노드의 에러 발생을 확인하기 위한 시간 주기를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방법
JPH08329023A (ja) 並列電子計算機システム
CN116170284A (zh) 一种客户端的故障优化方法、系统、设备及介质
JP2000013469A (ja) 通信機器の復旧装置及び復旧方法
JP2007310776A (ja) 通信装置、周辺装置及び通信方法
KR20220131104A (ko)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시스템
CN116701036A (zh) 一种bmc系统自动检测修复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