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6628A - 네트워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관리 대상 노드의 에러 발생을 확인하기 위한 시간 주기를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관리 대상 노드의 에러 발생을 확인하기 위한 시간 주기를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6628A
KR20060096628A KR1020050017286A KR20050017286A KR20060096628A KR 20060096628 A KR20060096628 A KR 20060096628A KR 1020050017286 A KR1020050017286 A KR 1020050017286A KR 20050017286 A KR20050017286 A KR 20050017286A KR 20060096628 A KR20060096628 A KR 20060096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response message
period
messag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순
김종민
조석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7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6628A/ko
Publication of KR20060096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6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2Capturing of monitoring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관리 대상 노드의 에러 발생을 확인하기 위한 시간 주기를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노드들이 상호 연결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관리 노드가 관리 대상인 임의의 노드에게 초기 설정된 주기로 응답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관리 대상인 노드로부터 상기 설정된 주기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설정된 주기의 2배로 새로운 주기를 설정하여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관리 대상인 노드로부터 상기 새로운 주기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설정된 주기의 4배로 상기 응답 메시지의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시스템 관리 노드와 관리 대상 노드간의 전체 메시지의 교환 횟수를 감소시켜 전체 시스템의 트래픽을 증가를 감소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시스템 관리 노드(system management node), 관리 노드, 전송제어프로토콜(TCP), 시간 주기, 응답 메시지(IsAlive 메시지), 활성화비트(Heartbeat)

Description

네트워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관리 대상 노드의 에러 발생을 확인하기 위한 시간 주기를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방법{Method for setting adaptive time interval to check node availability in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노드간의 에러 발생을 확인하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노드간의 에러 발생을 확인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응적으로 시간 주기를 설정하여 노드의 에러 발생을 확인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과 종래 기술에 따른 메시지 교환 결과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네트워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관리 대상 노드의 에러 발생을 확인하기 위한 시간 주기를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이동 통신 시스템은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처리 용량이 큰 여러 개의 노드를 구비한다. 이때, 각 노드별로 처리 기능을 세분화하여 이동 통신 시스템 전체의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때, 각각의 노드들은 그 처리 기능에 따라 상위 노드와 하위 노드로 구별된다. 또한, 상기 상위 노드는 하위 노드들이 항상 시스템에 접근(access)하도록 하여 시스템 정보등을 교환하도록 한다. 이때, 다수의 노드들이 접근하는 상위 노드가 활동 정지 즉, 폐쇄 상태(셧다운, shutdown)가 되거나, 또는 타 노드(상위 노드와 다수의 하위 노드들 또는 상위 노드와 상위 노드, 또는 하위 노드와 하위 노드들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없다면 이는 전체 시스템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는 상기 노드들이 서로 상호 연결되어 데이터를 처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은 임의의 노드를 구비하여 상기 타 노드들의 활성화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즉, 이동 통신 시스템은 상기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노드를 통해 타 노드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타 노드들 중에서 소정의 타 노드가 불활성화 상태인 경우, 즉각적인 대처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의 이동 통신 시스템은 임의의 노드들의 에러를 확인하기 위한 기술을 필요로 하는 실정이며 이와 관련하여 특정 메시지를 요청/응답하여 상기 노드들의 에러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임의의 노드의 에러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노드의 에러 발생 확인은 노드 에러 검출부를 구비한 임의의 노드에서 구현가능하다. 여기서는 일 예로, 시스템 관리 노드(system management node)가 상기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단계 100에서 시스템 관리 노드는 데이터의 송수신과 관련하여 상호 연결된 타 노드들중에서 임의의 노드에 대하여 에러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 하고자 노드 에러 검출부를 구동한다. 단계 120에서 노드 에러 검출부는 상기 임의의 노드의 에러 발생을 모니터링하고자 상기 노드에 응답 메시지 전송을 요청한다. 이때, 상기 시스템 관리 노드의 노드 에러 검출부는 2초(s) 시간 주기로 상기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한다. 상기 응답 메시지는 IsAlive'메시지라 칭하며 이는 상기 노드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상태를 나태내는 활성화비트(heartbeat)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단계 140에서 상기 응답 메시지의 요청을 수신한 상기 노드는 고정된 2s 시간 주기로 활성화비트(heartbeat)를 포함하는 IsAlive 메시지 즉, 응답 메시지를 상기 시스템 관리 노드로 전송한다. 즉, 상기 응답 메시지(IsAlive)가 상기 고정된 2s 시간 주기로 상기 시스템 관리 노드로 전송되면 단계 120으로 진행한다. 즉, 상기 시스템 관리 노드와 임의의 노드는 상기 고정된 2s 시간 주기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하여 시스템 관리 노드는 요청 메시지를, 또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노드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2s 시간 주기로 전송한다.
반면에, 상기 시스템 관리 노드는 상기 노드로부터 2s 시간 주기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단계 160으로 진행한다. 단계 160에서 상기 시스템 관리 노드는 상위 노드 일 예로, 구성 노드(configuration node)로 상기 노드에 에러가 발생함을 보고한다. 즉, 시스템 관리 노드는 상기 노드의 에러 발생을 상위 노드에 통보함으로 상기 노드의 폐쇄 및 타 노드의 기능 재할당을 지원한다.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관리 대상 노드는 고정된 시간 주기로 활성화비트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관리 노드로 전송한다. 즉, 관리 대상인 상기 임의의 노드는 상기 2s 주기로 상기 heartbeat를 포함하는 IsAlive 메시지를 상기 시스템 관리 노드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시스템 관리 노드는 2s주기로 전송된 IsAlive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노드의 에러 발생을 확인한다.
즉, 종래에는 상기 에러 발생을 확인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 및 응답 메시지의 송수신 시간 주기가 고정되었다. 이는 네트워크 환경이 안정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고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전송되어야 했다. 따라서, 이는 시스템 운용 도중이나 프로세스가 활성화 되는 경우, 시간 주기의 수정이 불가능하며, 상기 임의의 노드의 에러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의 송수신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체 시스템의 불필요한 트래픽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전체의 불필요한 트래픽의 증가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네트워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관리 대상 노드의 에러 발생을 확인하기 위한 시간 주기를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관리 노드가 관리 대상 노드의 활성화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관리 노드가 관리 대상 노 드의 에러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의 수신 주기를 가변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수의 노드들이 상호 연결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관리 노드가 관리 대상인 노드의 에러를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스템 관리 노드가 관리 대상인 임의의 노드에게 초기 설정된 주기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관리 대상인 노드로부터 상기 설정된 주기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설정된 주기의 2배로 새로운 주기를 설정하여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관리 대상인 노드로부터 상기 새로운 주기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설정된 주기의 4배로 상기 응답 메시지의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송제어프로토콜을 통해 상호 연결된 다수의 노드들을 구비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임의의 노드의 에러를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스템 관리 노드가 초기 전송 주기로 상기 노드의 활성화비트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노드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초기 전송 주기에 대응하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노드의 상태에 따라 상기 응답 메시지의 전송 주기를 상기 초기 전송 주기의 정수배로 가변 설정하여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노드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후술되는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용량이 증가에 따라 세부적으로 기능화된 노드들간의 연결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노드들간의 송수신되는 데이터 즉, 트래픽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한다.
현재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처리 기능에 따라 관리 노드와 관리 대상 노드들로 구별된다. 이때, 관리하는 정보에 따라 다수의 관리 노드들이 구비가능하며, 임의의 관리 노드는 시스템의 안정화 및 신뢰성을 보장하고자 부수적으로 이중화 또는 삼중화로 하위 노드들을 구비하고 있다. 즉, 상위 노드 및 하위 노드는 최상위 노드에 의해 제어가능하며, 가변 설정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임의의 노드의 활성화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관리 노드가 관리 대상 노드로 응답 메시지를 수신 주기를 가변적으로 설정하고, 연결 상태를 바로 감지하여 타 노드를 대처하여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임의의 노드 에러를 확인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00에서 시스템 관리 노드는 관리 노드로, 시스 템 전체의 데이터의 송수신과 관련하여 상호 연결된 타 노드들중에서 임의의 노드의 에러 발생을 확인한다. 즉, 임의의 노드의 에러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 하고자 노드 에러 검출부를 구비하고 있는 노드이다.
단계 210에서 상기 노드 에러 검출부는 네트워크 이동 통신 시스템을 지원함에 따라 상기 노드들을 상호 연결 상태 즉, 전송제어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이하 'TCP'라 칭한다) 연결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를 파악하여 상기 노드의 에러 발생을 확인한다. 단계 220에서 노드 에러 검출부는 관리 대상인 임의의 노드로부터 TCP 연결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노드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고 간주한다. 반면에, 임의의 시점에서 TCP 연결이 단절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계 230으로 진행하여 상위 노드 일 예로, 구성 노드(configuration node)로 상기 노드에 에러가 발생함을 보고한다. 상기 TCP 연결이 단절됨은 시스템 운용자의 제어에 따라 팝업 창 또는 소정의 단절 메시지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단계 250에서 노드 에러 검출부는 상기 임의의 노드의 에러 발생을 모니터링하고자 상기 노드에 응답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시스템 관리 노드의 노드 에러 검출부는 상기 응답 메시지의 전송 주기를 적응적으로 설정 가능하다. 즉, 관리 대상인 임의의 노드의 응답 메시지의 시간 주기를 가변하여 설정한 요청 메시지를 상기 관리 대상인 노드로 전송한다. 이는 상기 시간 주기는 상기 관리 대상인 노드의 활성화 상태 신뢰도에 따라 가변가능하다. 즉, 상기 노드 에러 검출부는 관리 대상인 임의의 노드의 상태가 안정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는 상기 관리 노드와 관리 대상 노드간의 트래픽의 양을 줄이기 위하여 노드 에러를 체크하기 위한 상기 시간 주기를 길게 설정한다. 반면에, 상기 관리 대상 노드의 상태가 불안정하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상기 시간 주기를 짧게 설정하여 보다 빨리 관리 대상 노드의 상태를 파악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가변 설정한 시간 주기와, 관리 노드인 상기 시스템 관리 노드의 어드레스 정보(소스 어드레스), 포트 정보(소스 포트)와, 그리고 상기 관리 대상인 노드의 어드레스 정보(목적지 어드레스), 포트 정보(목적지 포트)의 정보등을 포함한다.
단계 260에서 상기 시스템 관리 노드는 상기 설정된 시간 주기에 대응하여 상기 노드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가변 설정된 주기에 따라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계 250으로 진행한다. 반면에, 상기 단계 250에서 가변 설정된 시간 주기에 대응하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단계 230으로 진행한다. 단계 230에서 상기 시스템 관리 노드는 상위 노드 일 예로, 구성 노드(configuration node)로 상기 노드에 에러가 발생함을 보고한다.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노드 에러 검출부가 상기 관리 대상 노드의 에러를 보다 빠르게 확인하고자 상기 TCP 연결 상태 여부와 상호 송수신 되는 요청/응답 메시지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요청/응답 메시지의 시간 주기를 상기 관리 대상 노드의 상태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하여 전체 시스템의 효율을 높인다. 즉, 전체 시스템내의 트래픽양을 제어하여 시스템의 효율을 보장한다.
상기 단계 250의 응답 메시지의 수신 주기 즉, 응답 메시지의 시간 주기는 하기의 도 3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임의의 노드의 에러를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의 전송 주기를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00에서 시스템 관리 노드는 상기 노드의 응답 메시지 전송 주기를 2s로 설정한다. 즉, 상기 관리 대상인 노드로부터 2s 시간 주기로 응답 메시지가 전송하도록 요청한다. 일 예로, 상기 관리 대상인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응답 메시지는 'IsAlive'메시지라 칭한다.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관리 대상 노드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상태를 나타내는 활성화비트(heartbeat)를 포함한다.
단계 302에서 상기 시스템 관리 노드는 상기 설정된 2s 시간 주기에 대응하여 상기 노드로부터 IsAlive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 만약에 상기 설정된 2s 시간 주기로 IsAlive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계 304로 진행한다. 반면에, IsAlive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으면 단계 314로 진행한다.
단계 314에서 상기 시스템 관리 노드는 상기 설정된 2s 시간 주기에 대응하여 상기 노드로부터 IsAlive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다시 한 번 확인한다. 이때, 상기 단계 314에서도 상기 2s 시간 주기에 대응하여 IsAlive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단계 318 즉, 도2의 단계 230으로 진행하여 상위 노드인 시스템 전체 구성 노드(configuration node)로 상기 노드의 에러를 보고한다.
반면에, 단계 304에서 상기 시스템 관리 노드는 상기 관리 대상인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응답 메시지의 전송 주기를 2s에서 4s로 변경하여 설정한다. 즉, 상기 시스템 관리 노드는 상기 응답 메시지의 전송 주기를 4s로 설정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관리 대상인 노드로 전송한다. 단계 306에서 상기 시스템 관리 노드는 상기 변경 설정된 4s 시간 주기에 대응하여 상기 노드로부터 IsAlive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 만약에 IsAlive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계 308로 진행한다. 반면에, 상기 4s 시간 주기에 대응하여 상기 노드로부터 IsAlive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단계 300으로 진행한다.
또한, 단계 308에서 상기 시스템 관리 노드는 상기 관리 대상인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응답 메시지의 전송 주기를 4s에서 8s로 변경하여 설정한다. 즉, 상기 시스템 관리 노드는 상기 응답 메시지의 전송 주기를 8s로 설정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관리 대상인 노드로 전송한다. 단계 310에서 상기 시스템 관리 노드는 상기 변경 설정된 8s 시간 주기에 대응하여 상기 노드로부터 IsAlive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 만약에 IsAlive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계 312로 진행한다. 단계 312에서 상기 시스템 관리 노드는 상기 노드가 안정적임을 확인하고 상기 8s 시간 주기로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요청한다. 반면에, 상기 8s 시간 주기에 대응하여 상기 노드로부터 IsAlive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단계 304로 진행한다.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 관리 노드는 관리 대상인 임의의 노드의 응답 메시지의 전송 주기를 가변적으로 설정하여 다수의 관리 대상 노드들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메시지의 부하를 감소시킨다. 즉, 상기 관리 대상인 노드의 상태에 따라 응답 메시지의 전송 주기를 가변하여 설정함으로, 전체 시스템의 트래픽을 감소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도 4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에 따라 노드 에러 체크시의 메시지 교환 횟수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노드 수는 시스템 관리 노드가 현재 에러 체크를 수행하는 노드의 개수를 의미한다. 상기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러 체크는 시스템 관리 노드가 상기 관리 대상인 노드에게 응답 메시지의 전송 주기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관리 대상인 노드로부터 상기 설정된 전송 주기에 대응하여 응답 메시지 즉, IsAlive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여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설정된 주기에 대응하여 활성화 비트(heartbeat)를 포함하는 IsAlive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관리 대상 노드가 에러가 발생한다고 간주한다.
첫 번째 경우를 예를 들어, 시스템 관리 대상이 관리 하는 노드의 수가 1인 경우, 현재의 메시지 교환수는 60s를 기준으로 60이다. 즉, 2s 주기로 응답 메시지 수신을 요청함에 따라 요청 메시지와 응답 메시지가 총 30회씩 2s 주기로 전송됨으로 전체 메시지의 수는 60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메시지의 수는 60s를 기준으로 최대 20이다. 즉, 2s 주기로 요청/응답 메시지 전송을 만족하는 경우, 4s 주기로 요청/응답 메시지가 전송된다. 그 후, 상기 4s 주기로 요청/응답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8s 주기로 요청/응답 메시지가 전송된다. 이때, 상기 8s 주기로 요청/응답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시스템 관리 노드는 상기 전송 주기를 8s로 설정하여 응답 메시지를 요청한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 관리 노드와 관리 대상 노드간의 전체 메시지의 수 는 최대가 20이다.
이때, 상기 시스템 관리 노드를 신뢰성 측면에서 보장하고자 이중화하는 경우, 상기 교환 메시지의 수는 교환 메시지의 수* 2(시스템 관리 노드의 개수)가 된다.
또한, 상기 관리 대상 노드로부터 2s 주기로 4회 동안 요청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으면 상기 노드는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된다.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 관리 노드는 관리 대상의 노드의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가변적으로 응답 메시지 전송 주기를 설정한다. 따라서, 전체 시스템의 교환되는 메시지의 수가 현저하게 줄어드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다수의 노드들이 연결되는 네트워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관리 노드가 관리 대상인 임의의 노드의 TCP 연결 상태를 부가적으로 확인하여 보다 신속하게 에러를 체크한다. 또한, 상기 관리 대상 노드의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에러 체크와 관련된 활성화 비트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의 주기를 가변적으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관리 대상 노드의 네트워크 상태를 불안정적 상태와 안정적 상태로 구별하여 응답 메시지의 전송 주기를 다르게 설정하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시스템 관리 노드와 관리 대상 노드간의 전체 메시지의 교환 횟수를 감소시켜 전체 시스템의 트래픽을 증가를 감소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7)

  1. 다수의 노드들이 상호 연결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관리 노드가 관리 대상인 노드의 에러를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스템 관리 노드가 관리 대상인 임의의 노드에게 초기 설정된 주기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관리 대상인 노드로부터 상기 설정된 주기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설정된 주기의 2배로 새로운 주기를 설정하여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관리 대상인 노드로부터 상기 새로운 주기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설정된 주기의 4배로 상기 응답 메시지의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관리 노드는 상기 관리 대상인 노드로부터 상기 설정된 주기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설정된 주기로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재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재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설정된 주기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관리 대상 노드에 에러가 발생함을 상위 노드로 보고하는 과정을 더 포함 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관리 대상 노드의 활성화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heartbeat)를 포함하는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전송제어프로토콜을 통해 상호 연결된 다수의 노드들을 구비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임의의 노드의 에러를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스템 관리 노드가 초기 전송 주기로 상기 노드의 활성화비트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노드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초기 전송 주기에 대응하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노드의 상태에 따라 상기 응답 메시지의 전송 주기를 상기 초기 전송 주기의 정수배로 가변 설정하여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노드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관리 노드가 상기 초기 전송 주기의 정수배로 가변 설정된 전송 주기에 대응하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가변 설정된 주기의 1/2 주기로 응답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노드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관리 노드가 상기 노드로부터 4회 동안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노드에 에러가 발생함을 확인하고 상위 노드로 상기 노드의 에러 발생을 보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관리 노드는 상기 노드로부터 상기 전송제어프로토콜 연결이 단절됨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노드에 에러가 발생함을 확인하고 상위 노드로 상기 노드의 에러 발생을 보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50017286A 2005-03-02 2005-03-02 네트워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관리 대상 노드의 에러 발생을 확인하기 위한 시간 주기를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방법 KR200600966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286A KR20060096628A (ko) 2005-03-02 2005-03-02 네트워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관리 대상 노드의 에러 발생을 확인하기 위한 시간 주기를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286A KR20060096628A (ko) 2005-03-02 2005-03-02 네트워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관리 대상 노드의 에러 발생을 확인하기 위한 시간 주기를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628A true KR20060096628A (ko) 2006-09-13

Family

ID=37624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286A KR20060096628A (ko) 2005-03-02 2005-03-02 네트워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관리 대상 노드의 에러 발생을 확인하기 위한 시간 주기를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66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260B1 (ko) * 2005-10-20 2012-03-14 주식회사 케이티 분산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메시지 사용방법
CN108092853A (zh) * 2017-12-27 2018-05-29 珠海市君天电子科技有限公司 监控服务器链路状态的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260B1 (ko) * 2005-10-20 2012-03-14 주식회사 케이티 분산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메시지 사용방법
CN108092853A (zh) * 2017-12-27 2018-05-29 珠海市君天电子科技有限公司 监控服务器链路状态的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8092853B (zh) * 2017-12-27 2021-09-21 珠海市君天电子科技有限公司 监控服务器链路状态的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5411B1 (en) Altering networking switch priority responsive to compute node fitness
US9262287B2 (en) Computer information system and dynamic disaster recovery method therefor
US10911295B2 (en) Server apparatus, cluster system, cluster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H10200552A (ja) イーサネット通信を用いた冗長方法
US7424640B2 (en) Hybrid agent-oriented object model to provide software fault tolerance between distributed processor nodes
US6389550B1 (en) High availability protocol computing and method
CN103514173A (zh) 数据处理的方法和节点设备
US20070270984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dundancy Control of Electrical Devices
JP2008172592A (ja) クラスタ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およびその異常検出方法
EP1679826B1 (en) Terminal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control method, network system, network system control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EP2787699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KR20060096628A (ko) 네트워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관리 대상 노드의 에러 발생을 확인하기 위한 시간 주기를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방법
CN108235800A (zh) 一种网络故障探测方法及控制中心设备
CN116886576A (zh) 一种多控存储集群通信超时控制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2018056633A (ja) クラスタシステム、サーバ、サーバの動作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677673B1 (en) Low latency flow control in data centers
US20080133732A1 (en)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Connected Apparatus, and Agent for Apparatus Operation Management
CN103841085A (zh) 基于万维网的实时通信的实现方法及装置
KR20200101117A (ko) 노드장애를 감지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노드장애 감지방법
KR102052481B1 (ko) 무선중계기 제어 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JP2005110096A (ja) 通信装置および方法
CN109450794A (zh) 一种基于sdn网络的通信方法及设备
CN114500157B (zh) 基于can网关的冗余实现系统、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095361B (zh) 设备汇聚维护方法、装置及网络系统
CN115426250B (zh) 一种用于靶场指控的双机热备切换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