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0132B1 - 식당용 자동 주문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식당용 자동 주문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0132B1
KR100810132B1 KR1020060051581A KR20060051581A KR100810132B1 KR 100810132 B1 KR100810132 B1 KR 100810132B1 KR 1020060051581 A KR1020060051581 A KR 1020060051581A KR 20060051581 A KR20060051581 A KR 20060051581A KR 100810132 B1 KR100810132 B1 KR 100810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order
screen display
display unit
cou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1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7379A (ko
Inventor
홍성우
Original Assignee
홍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우 filed Critical 홍성우
Priority to KR1020060051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0132B1/ko
Publication of KR20070117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각 테이블에 설치되고 종업원을 호출할 수 있는 입력키를 가지며, 메뉴판에 열거된 메뉴를 선택하여 고객이 원하는 수량만큼의 메뉴를 주문할 수 있는 주문입력부; 종업원 호출의 여부를 나타내는 종업원 호출여부표시부를 가지며, 메뉴판에서 주문한 메뉴, 그 메뉴의 수량, 그 메뉴의 단가, 그 메뉴의 소계 및 전체주문메뉴의 합계를 디스플레이하는 주문화면표시부; 카운터에 설치되고 각 테이블의 테이블번호를 선택 또는 입력할 수 있는 카운터입력부; 카운터입력부를 통해서 선택 또는 입력된 테이블번호에 해당하는 테이블의 주문화면표시부를 디스플레이하는 카운터화면표시부; 주방에 설치되고 주방의 상황을 입력할 수 있는 주방입력부; 각 테이블에 새로 선택 또는 입력되는 메뉴를 시간 순서대로 메뉴, 그 메뉴의 수량 및 그 메뉴를 주문한 테이블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주방화면표시부; 및 각 입력부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각 화면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당용 자동 주문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식당용 자동 주문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실시간으로 메뉴를 주문받아 고객이 기다리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고객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자동, 주문, 메뉴, 입력부, 화면표시부, 고객, 카운터

Description

식당용 자동 주문 시스템 및 방법{System of automatic ordering for a dining room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당용 자동 주문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주문입력부의 예시도면,
도 3은 주문화면표시부의 예시도면,
도 4는 주방화면표시부의 예시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당용 자동 주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식당용 자동 주문 시스템 110...주문입력부
120...주문화면표시부 130...카운터입력부
140...카운터화면표시부 150...주방화면표시부
160...주방입력부 170...제어부
180...계산서발행부
본 발명은 식당용 자동 주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음식점 등의 장소에서 테이블에 구비된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간 자동으로 음식을 주문하는 식당용 자동 주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문(注文)이란 품종·수량·모양·크기 등을 일러 주고, 그렇게 만들거나 보내어 달라고 부탁하는 일을 말하는 것으로, 일반 음식점에서는 메뉴를 선택하고, 선택한 메뉴를 주문하여 원하고자 하는 음식을 시켜 먹는다.
종래에는 음식점에서 주문을 하거나 기타 서비스를 받고자 할 때, 고객은 상기 음식점에 종사하는 종업원을 육성 또는 손을 흔들어서 호출하고, 상기 종업원은 고객의 주문 내용을 단순히 기억하거나, 주문 내용을 메모 또는 메뉴판에 체크하여 주문 내용을 실행하였다.
하지만, 종래와 같은 음식의 주문 방법은 주문받은 종업원이 기억한 주문 내용을 잊어버리거나, 해당 고객을 착각하여 생기는 문제점 및 육성 내지는 고함의 의한 소란스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객은 실시간으로 음식을 주문하기에는 매번 상기 종업원을 손을 들거나 육성에 의하여 호출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우며, 음식점은 상기와 같은 호출에 대응하기 위하여 많은 종업원을 고용하므로 종업원의 인건비 부담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객이 종업원을 호출할 수 있도록 음식점의 각 테이블 위에 호출 벨 장치를 설치하였다.
하지만, 호출 벨 장치를 설치하여 주문을 받는 방법은 육성 또는 고함에 의한 소란스러운 문제점은 개선되나, 주문받은 종업원이 주문 내용을 잊어버리거나 해당 고객을 착각하여 생기는 문제점이 남아있다.
실제로, 주문한 메뉴와 다르게 조리된 음식이 나오는 경우가 음식점에서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또한, 상기 호출한 종업원에게 음식을 주문하여야 하므로, 상기 종업원을 호출한 후 음식을 주문하기 위하여 종업원을 기다려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일반 음식점의 장소에서 테이블에 구비된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간 자동으로 음식을 주문하여 고객이 기다리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식당용 자동 주문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당용 자동 주문 시스템은 각 테이블에 설치되고 종업원을 호출할 수 있는 입력키를 가지며, 메뉴판에 열거된 메뉴를 선택하여 고객이 원하는 수량만큼의 메뉴를 주문할 수 있는 주문입력부; 각 테이블에 설치되고 종업원 호출의 여부를 나타내는 종업원 호출여부표시부 를 가지며, 상기 메뉴판에서 주문한 메뉴, 그 메뉴의 수량, 그 메뉴의 단가, 그 메뉴의 소계 및 전체주문메뉴의 합계를 디스플레이하는 주문화면표시부; 카운터에 설치되고 각 테이블의 주문화면표시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각 테이블의 테이블번호를 선택 또는 입력할 수 있는 카운터입력부; 카운터에 설치되고 상기 카운터입력부를 통해서 선택 또는 입력된 테이블번호에 해당하는 테이블의 주문화면표시부를 디스플레이 하는 카운터화면표시부; 주방에 설치되고 주방의 상황을 입력할 수 있는 주방입력부; 주방에 설치되고 각 테이블에 새로 선택 또는 입력되는 메뉴를 시간 순서대로 메뉴, 그 메뉴의 수량 및 그 메뉴를 주문한 테이블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주방화면표시부; 및 상기 주문입력부, 카운터입력부 및 주방입력부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상기 주문화면표시부, 카운터화면표시부 및 주방화면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주방의 상황은 메뉴판에 열거된 메뉴 중 주문이 불가능한 메뉴, 주문한 메뉴의 대기시간, 주문한 메뉴의 조리상태, 오늘의 추천메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주문화면표시부 및 상기 카운터화면표시부는 상기 주방의 상황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주문입력부는 주문한 메뉴를 취소할 수 있는 메뉴취소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문화면표시부는 테이블에 이미 나온 메뉴와, 주문하고 대기상태인 메뉴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주문상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카운터화면표시부는 각 테이블의 합계를 결제하는 경우, 계산 서를 발행하는 계산서발행부와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운터입력부는 메뉴의 주문이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당용 자동 주문 방법은 각 테이블에 설치된 주문입력부를 통하여 종업원을 호출하고, 메뉴판에 열거된 메뉴를 선택하여 고객이 원하는 수량만큼의 메뉴를 주문하는 주문입력단계; 각 테이블에 설치된 주문화면표시부를 통하여 종업원 호출의 여부를 나타내고, 상기 메뉴판에서 주문한 메뉴, 그 메뉴의 수량, 그 메뉴의 단가, 그 메뉴의 소계 및 전체주문메뉴의 합계를 디스플레이하는 주문화면표시단계; 카운터에 설치된 카운터입력부를 통하여 각 테이블의 주문화면표시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각 테이블의 테이블번호를 선택 또는 입력하는 카운터입력단계; 카운터에 설치된 카운터화면표시부를 통하여 상기 카운터입력부에서 선택 또는 입력된 테이블번호에 해당하는 테이블의 주문화면표시부를 디스플레이하는 카운터화면표시단계; 주방에 설치된 주방입력부를 통하여 주방의 상황을 입력하는 주방입력단계; 주방에 설치된 주방화면표시부를 통하여 각 테이블에 새로 선택 또는 입력되는 메뉴를 시간 순서대로 메뉴, 그 메뉴의 수량 및 그 메뉴를 주문한 테이블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주방화면표시단계; 및 상기 주문입력부, 카운터입력부 및 주방입력부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상기 주문화면표시부, 카운터화면표시부 및 주방화면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당용 자동 주문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주문입력부의 예시도면, 도 3은 주문화면표시부의 예시도면, 도 4는 주방화면표시부의 예시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식당용 자동 주문 시스템(100)은 주문입력부(110), 주문화면표시부(120), 카운터입력부(130), 카운터화면표시부(140), 주방입력부(150), 주방화면표시부(160), 제어부(170) 및 계산서발행부(1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주문입력부(110) 및 상기 주문화면표시부(120)는 일반 음식점에 구비된 각 테이블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카운터입력부(130) 및 상기 카운터화면표시부(140)는 계산 등을 담당하는 카운터 테이블에 설치되며, 상기 주방입력부(150) 및 상기 주방화면표 시부(160)는 요리 등을 담당하는 주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문입력부(110), 주문화면표시부(120), 카운터입력부(130), 카운터화면표시부(140), 주방입력부(150), 주방화면표시부(160)는 상기 제어부(170)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주문입력부(110), 카운터입력부(130), 주방입력부(150)에서 전송되는 신호는 상기 주문화면표시부(120), 카운터화면표시부(140), 주방화면표시부(160)에 디스플레이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부(170)는 식당용 자동 주문 시스템(100)을 전체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먼저, 상기 주문입력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패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양한 메뉴들이 열거되어 있고, 수량을 선택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고객은 상기 주문입력부(110)를 통하여, 열거된 메뉴 중 주문할 메뉴를 선택하고, 원하는 수량만큼의 메뉴를 선택하여 주문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주문입력부(110)는 고객이 실수로 선택한 메뉴 또는 변심에 의하여 선택한 메뉴를 취소할 수 메뉴취소입력부(11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는 스크린 패드로 이루어진 주문입력부(110)로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객이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상기 키패드로 이루어진 주문입력부(110)를 통하여, 열거된 메뉴 중 주문할 메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문입력부(110)는 종업원을 호출할 수 있는 입력키(111)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종업원을 호출할 수 있는 입력키(111)를 통하여, 종업원을 호출하여 젓가락, 물수건, 얼음 요청 등의 기타 서비스 요청을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요청도 상기 주문입력부(110)에 메뉴화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선택된 메뉴와 상기 메뉴의 수량은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주문화면표시부(120)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주문화면표시부(120)는 메뉴판에서 주문한 메뉴, 그 메뉴의 수량, 그 메뉴의 단가, 그 메뉴의 소계 및 전체주문메뉴의 합계가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후술할 주방입력부(150)에서 입력되는 주방의 상황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주문입력부(110)에서 입력 또는 선택된 메뉴 및 수량이 상기 주문화면표시부(120)에 디스플레이되며, 고객이 선택한 메뉴의 단가, 선택한 메뉴의 소계, 그리고, 중간에 주문한 전체주문메뉴의 합계가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고객은 자신이 주문한 메뉴가 올바르게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주문한 메뉴의 합계 등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문화면표시부(120)는 종업원 호출의 여부를 나타내는 종업원 호출여부표시부(12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올바르게 종업원이 호출이 된 경우, 붉은 LCD가 점등이 되도록 하는 구성을 통하여, 고객은 종업원 호출이 올바로 이루어졌는지에 대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주문화면표시부(120)는 테이블에 이미 나온 메뉴와 대기상태인 메뉴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주문상태부(12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주문상태부(1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치찌개 3개를 주문한 경우, 이미 나온 메뉴는 상단에, 대기 메뉴는 하단에 수량을 표시하여 고객이 주문상태를 구분하여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주문상태부(122)는 고객이 여러가지 음식을 한꺼번에 시키는 경우 어떤 메뉴가 아직 나오지 않았는지, 선택된 모든 메뉴가 나왔는지 판별이 쉽지 않으므로, 상기 주문상태부(122)를 통하여 현재 테이블에 나온 메뉴와 대기상태인 메뉴를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주문입력부(110) 및 상기 주문화면표시부(120)는 하나의 단말기에 장착되어 각 테이블상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주문입력부(110)는 고객이 입력하기 쉽도록 테이블상에 설치되고, 상기 주문화면표시부(120)는 고객의 시각으로 확인이 용이하도록, 테이블 앞 또는 옆에 전광판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카운터입력부(130)는 카운터에 설치되고, 각 테이블의 주문화면표시부(1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각 테이블의 테이블번호를 선택 또는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카운터를 관리하는 사람 또는 주인은 상기 카운터입력부(130)를 통하여, 주문한 메뉴 또는 합계 등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테이블의 테이블번호를 선택 또는 입력한다.
상기 카운터입력부(130) 역시 터치스크린 패드 또는 키 패드로 이루어진 것 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운터화면표시부(140)는 카운터에 설치되며, 상기 카운터입력부(130)를 통해서 선택 또는 입력된 테이블번호에 해당하는 테이블의 주문화면표시부(120)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후술할 주방입력부(150)에서 입력되는 주방의 상황이 디스플레이된다.
즉, 음식점의 카운터를 관리하는 사람 또는 주인은 상기 카운터화면표시부(140)를 통하여 확인하고자 하는 테이블에서 주문한 메뉴, 그 메뉴의 수량, 그 메뉴의 단가, 그 메뉴의 소계 및 전체주문메뉴의 합계 등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주문화면표시부(120)가 디스플레이되어, 상기 선택한 테이블의 주문내역, 합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운터화면표시부(140)는 각 테이블의 합계를 결제하는 경우, 계산서를 발행하는 계산서발행부(180)와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객이 음식을 다 먹은 후 카운터로 이동하여 상기 주문한 음식에 대해 결제를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카운터를 관리하는 사람 또는 주인은 상기 고객이 있던 테이블의 테이블번호를 상기 카운터입력부(130)를 통하여 선택 또는 입력하여, 상기 카운터화면표시부(140)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테이블의 전체주문메뉴의 합계를 보고, 고객은 주문한 음식의 금액을 지불하고, 상기 계산서발행부(180)에서 발행되는 계산서를 받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합계에 대한 신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카운터입력부(130)는 메뉴의 주문이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카운터입력부(130)에서 고객이 아닌 카운터를 관리하는 사람 또는 주인이 메뉴의 주문이 가능하게 된다면, 고객이 시키지도 않은 메뉴 등이 주문될 염려가 있으며, 고객이 주문한 음식에 대해 결제를 할 때에도, 금액에 대한 신뢰성이 낮아질 수 있으므로, 상기 카운터입력부(130)에서는 메뉴의 주문이 불가능한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주방입력부(150)는 주방에 설치되고, 주방의 상황을 입력한다.
상기 주방에 있는 사람인 요리사 등은 상기 주방입력부(150)를 통하여, 메뉴판에 열거된 메뉴 중 주문이 불가능한 메뉴, 주문한 메뉴의 대기시간, 주문한 메뉴의 조리상태, 오늘의 추천메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입력한다.
상기 주방의 상황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내용은 각 테이블에 설치된 주문화면표시부(120) 및 상기 카운터 화면표시부(140)에 디스플레이되어, 테이블에 있는 고객 및 카운터에 있는 카운터를 관리하는 사람 또는 주인 등은 주문이 불가능한 메뉴, 주문한 메뉴의 대기시간, 주문한 메뉴의 조리상태, 오늘의 추천메뉴 등을 볼 수 있다.
상기 주방입력부(150)에서 전송되는 신호 또한 상기 제어부(170)에서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상기 주문화면표시부(120) 및 상기 카운터화면표시부(140)에 출력되도록 변환하여 상기 주문화면표시부(120) 및 상기 카운터화면표시부(140)로 전송한다.
상기 주방화면표시부(160)는 주방에 설치되며, 각 테이블에서 새로 선택 또 는 입력되는 메뉴를 시간 순서대로 메뉴, 그 메뉴의 수량 및 그 메뉴를 주문한 테이블번호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방화면표시부(160)는 각 테이블에서 새로 선택 또는 입력되는 메뉴가 시간 순서대로 디스플레이되며, 주방에서 알아야 할 주문한 메뉴와 함께, 그 메뉴의 수량 및 그 메뉴를 주문한 테이블 번호가 동시에 디스플레이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주문입력부(110), 상기 카운터입력부(130) 및 상기 주방입력부(150)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주문화면표시부(120), 상기 카운터화면표시부(140) 및 주방화면표시부(160)에 디스플레이된다.
즉, 상기 제어부(170)는 각 입력부(110,130,15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받은 신호를 각 화면표시부(120,140,160)에 출력되도록 변환하여 선택된 각 화면표시부(120,140,16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 외에도,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식당용 자동 주문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프랜차이징이나 체인점 등에 적용할 경우, 본사 및 체인점이 서로 인터넷으로 연결되고, 체인점에서는 주별, 월별, 분기별, 또는 정해진 기간별로 매출량을 보고하는 매출량 보고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체인점에 연결된 본사에서는 각 체인점에서 전송하는 내용을 수신받는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음식점이 프랜차이징 또는 체인점일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본사에서 체인점을 관리하는 관리서버(미도시)에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주문표시부(120), 카운터화면표시부(140), 주방화면표시부(160) 및 계산서발행부(180)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이 상기 관리서버(미도시)에 전송되도록 하여 상기 본사에서는 각 프랜차이즈의 음식점에서 인기있는 메뉴, 보충할 재료 등을 인지 할 수 있고, 주별, 월별, 분기별, 또는 정해진 기간별로 매출량을 보고하는 매출량 보고부(미도시)를 전송하도록 하여, 각 체인점의 매출 등을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간으로 메뉴를 주문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고객은 주문하기 위하여 기다리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주문한 메뉴 등이 카운터로 자동 입력되어, 별도의 전표발행이나 계산 등을 위한 수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인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식당용 자동 주문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식당용 자동 주문 방법의 구현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당용 자동 주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각 테이블에 설치된 주문입력부(110)를 통하여 종업원을 호출하거나, 메뉴판에 열거된 메뉴를 선택하여 고객이 원하는 수량만큼의 메뉴를 주문한다(S510).
상기 메뉴판에는 다양한 메뉴들이 열거되어 있으며, 열거된 메뉴 중 주문하 고자 하는 메뉴를 선택하고 원하는 수량을 선택하여, 메뉴를 주문한다.
또한, 종업원을 호출할 수 있는 입력키(111)를 통하여, 종업원을 호출하여 젓가락, 물수건, 얼음 요청 등의 기타 서비스 요청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각 테이블에 설치된 주문화면표시부(120)를 통하여 종업원 호출의 여부를 나타내고, 주문한 메뉴, 그 메뉴의 수량, 그 메뉴의 단가, 그 메뉴의 소계 및 전체주문메뉴의 합계를 디스플레이한다(S520).
고객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주문한 메뉴, 그 메뉴의 수량, 그 메뉴의 단가, 그 메뉴의 소계 및 전체주문메뉴의 합계를 보고 자신이 주문한 메뉴가 올바르게 입력 또는 선택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주문한 메뉴의 합계를 인지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카운터에 설치된 카운터입력부(130)를 통하여 각 테이블의 주문화면표시부(1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각 테이블의 테이블번호를 선택 또는 입력한다(S530).
각 카운터를 관리하는 사람 또는 주인은 테이블의 주문한 메뉴 및 메뉴의 합계 등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확인하고자 하는 테이블의 테이블번호를 상기 카운터입력부(130)를 통하여 선택 또는 입력한다.
다음으로, 카운터에 설치된 카운터화면표시부(140)를 통하여 상기 카운터입력부(130)에서 선택 또는 입력된 테이블번호에 해당하는 테이블의 주문화면표시부(120)를 디스플레이한다(S540).
즉, 음식점의 카운터를 관리하는 사람 또는 주인은 상기 카운터화면표시부(140)를 통하여 확인하고자 하는 테이블에서 주문한 메뉴, 그 메뉴의 수량, 그 메뉴의 단가, 그 메뉴의 소계 및 전체주문메뉴의 합계가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주문면표시부(120)가 디스플레이되어, 상기 선택한 테이블의 주문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주방에 설치된 주방입력부(150)를 통하여 주방의 상황을 입력한다(S550).
주방에 있는 요리사 등은 상기 주방입력부(150)를 통하여 메뉴판에 열거된 메뉴 중 주문이 불가능한 메뉴, 주문한 메뉴의 대기시간, 주문한 메뉴의 조리상태, 오늘의 추천메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입력한다.
여기서, 상기 S550단계는 S510단계 이전에 동작될 수도 있으며,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으로, 주방에 설치된 주방화면표시부(160)를 통하여 각 테이블에서 새로 선택 또는 입력되는 메뉴를 시간 순서대로 메뉴, 그 메뉴의 수량 및 그 메뉴를 주문한 테이블번호를 디스플레이한다(S560).
상기 주방화면표시부(160)를 통하여 각 테이블에서 새로 선택 또는 입력되는 메뉴가 시간 순서대로 디스플레이되며, 주방에서 알아야 할 주문한 메뉴와 함께, 그 메뉴의 수량 및 그 메뉴를 주문한 테이블 번호가 동시에 디스플레이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주문입력부(110), 카운터입력부(130) 및 주방입력부(15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상기 주문화면표시부(120), 카운터화면표시부(140) 및 주방화면표시부(160)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한다(S570).
여기서, 상기 S570단계는 각 입력부(110,130,15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170)에서 수신하고, 수신받은 신호를 선택되는 각 화면표시부(120,140,160)에 출력되도록 변환하여 선택된 각 화면표시부(120,140,16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S510 단계와 S520 단계, 상기 S530 단계와 S540 단계 및 상기 S550 단계와 S520, S540단계, 상기 S510단계와 S560 단계 사이에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식당용 자동 주문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일반음식점에서 고객은 실시간으로 메뉴를 주문하므로, 주문하기 위하여 기다리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주문한 메뉴가 카운터로 자동 입력되어 계산이 되므로, 별도의 전표발행이나 계산 등을 위한 수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인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주문한 메뉴가 주방으로도 자동 입력되므로, 주방에서는 만들어야할 메뉴에 대하여 기다릴 필요 없이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신속하게 만들 수 있다.
더욱이, 고객이 기다리는 동안 자신이 주문한 메뉴의 대기 시간, 오늘의 추천메뉴 등을 알 수 있으므로, 고객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카운터에서는 각 테이블의 모든 주문 내역을 시각적으로 확인이 용이하므로 일관성 있는 관리를 할 수 있다.
나아가, 카운터에서는 메뉴의 주문이 불가능하게 구성이 되어 있으므로, 고객이 주문한 메뉴에 대한 합계를 믿을 수 있으므로, 신뢰성 있는 자동 주문 시스템이 제공된다.
다시 말해, 고객 테이블에서만 주문이 가능하므로, 일부 주류를 판매하는 음식점에서 주문하지 않은 메뉴(주류)를 고객이 먹은 것처럼 가장하여 고객에게 비용을 청구하는 몰지각한 경우를 예방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식당용 자동 주문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프랜차이징이나 체인점 등에 적용할 경우, 상기 프랜차이징이나 체인점의 음식점에 유무선으로 연결된 본사에서 각 프랜차이징 또는 체인점의 음식점에서 인기있는 메뉴, 보충할 재료, 정해진 기간별 매출 등을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Claims (14)

  1. 삭제
  2. 각 테이블에 설치되고 종업원을 호출할 수 있는 입력키를 가지며, 메뉴판에 열거된 메뉴를 선택하여 고객이 원하는 수량만큼의 메뉴를 주문할 수 있는 주문입력부;
    각 테이블에 설치되고 종업원 호출의 여부를 나타내는 종업원 호출여부표시부를 가지며, 상기 메뉴판에서 주문한 메뉴, 그 메뉴의 수량, 그 메뉴의 단가, 그 메뉴의 소계 및 전체주문메뉴의 합계를 디스플레이하는 주문화면표시부;
    카운터에 설치되고 각 테이블의 주문화면표시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각 테이블의 테이블번호를 선택 또는 입력할 수 있는 카운터입력부;
    카운터에 설치되고 상기 카운터입력부를 통해서 선택 또는 입력된 테이블번호에 해당하는 테이블의 주문화면표시부를 디스플레이하는 카운터화면표시부;
    주방에 설치되고 주방의 상황을 입력할 수 있는 주방입력부;
    주방에 설치되고 각 테이블에서 새로 선택 또는 입력되는 메뉴를 시간 순서대로 메뉴, 그 메뉴의 수량 및 그 메뉴를 주문한 테이블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주방화면표시부; 및
    상기 주문입력부, 카운터입력부 및 주방입력부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상기 주문화면표시부, 카운터화면표시부 및 주방화면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방의 상황은,
    메뉴판에 열거된 메뉴 중 주문이 불가능한 메뉴, 주문한 메뉴의 대기시간, 주문한 메뉴의 조리상태, 오늘의 추천메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주문화면표시부 및 상기 카운터화면표시부는 상기 주방의 상황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당용 자동 주문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입력부는,
    주문한 메뉴를 취소할 수 있는 메뉴취소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당용 자동 주문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화면표시부는,
    테이블에 이미 나온 메뉴와, 주문하고 대기상태인 메뉴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주문상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당용 자동 주문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화면표시부는,
    각 테이블의 합계를 결제하는 경우, 계산서를 발행하는 계산서발행부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당용 자동 주문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입력부는,
    메뉴의 주문이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당용 자동 주문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유무선으로 연결된 본사에 주별, 월별, 분기별, 또는 정해진 기간별로 매출량을 보고하는 매출량 보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당용 자동 주문 시스템.
  8. 삭제
  9. 각 테이블에 설치된 주문입력부를 통하여 종업원을 호출하거나, 메뉴판에 열거된 메뉴를 선택하여 고객이 원하는 수량만큼의 메뉴를 주문하는 주문입력단계;
    각 테이블에 설치된 주문화면표시부를 통하여 종업원 호출의 여부를 나타내고, 상기 메뉴판에서 주문한 메뉴, 그 메뉴의 수량, 그 메뉴의 단가, 그 메뉴의 소계 및 전체주문메뉴의 합계를 디스플레이하는 주문화면표시단계;
    카운터에 설치된 카운터입력부를 통하여 각 테이블의 주문화면표시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각 테이블의 테이블번호를 선택 또는 입력하는 카운터입력단계;
    카운터에 설치된 카운터화면표시부를 통하여 상기 카운터입력부에서 선택 또는 입력된 테이블번호에 해당하는 테이블의 주문화면표시부를 디스플레이하는 카운터화면표시단계;
    주방에 설치된 주방입력부를 통하여 주방의 상황을 입력하는 주방입력단계;
    주방에 설치된 주방화면표시부를 통하여 각 테이블에서 새로 선택 또는 입력되는 메뉴를 시간 순서대로 메뉴, 그 메뉴의 수량 및 그 메뉴를 주문한 테이블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주방화면표시단계; 및
    상기 주문입력부, 카운터입력부 및 주방입력부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상기 주문화면표시부, 카운터화면표시부 및 주방화면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 포함하고,
    상기 주방의 상황은,
    메뉴판에 열거된 메뉴 중 주문이 불가능한 메뉴, 주문한 메뉴의 대기시간, 주문한 메뉴의 조리상태, 오늘의 추천메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주문화면표시부 및 상기 카운터화면표시부는 상기 주방의 상황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당용 자동 주문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입력단계는,
    주문한 메뉴를 취소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당용 자동 주문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화면표시단계는,
    테이블에 이미 나온 메뉴와, 주문하고 대기상태인 메뉴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당용 자동 주문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60051581A 2006-06-08 2006-06-08 식당용 자동 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100810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581A KR100810132B1 (ko) 2006-06-08 2006-06-08 식당용 자동 주문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581A KR100810132B1 (ko) 2006-06-08 2006-06-08 식당용 자동 주문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379A KR20070117379A (ko) 2007-12-12
KR100810132B1 true KR100810132B1 (ko) 2008-03-06

Family

ID=39142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581A KR100810132B1 (ko) 2006-06-08 2006-06-08 식당용 자동 주문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01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08645A (zh) * 2014-11-19 2016-05-25 康景皖 使用检测压力的脚垫和触摸屏的餐厅点餐装置及方法
KR20190062962A (ko) 2017-11-29 2019-06-07 봉승구 주문 결제 기능을 가지는 식사도구 살균 보관장치
KR20200070546A (ko) 2018-12-10 2020-06-18 주식회사 창림 웹서버 기능을 갖춘 무선공유기 기반의 주문시스템
KR20200111444A (ko) 2019-03-19 2020-09-29 주식회사 와우인포텍 로컬 무선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720A (ko) * 2008-07-16 2010-01-26 호 진 안 호출 시스템
KR20130024558A (ko) * 2011-08-31 2013-03-08 채수길 주방 주문서의 키워드를 검색하여 주방 업무를 자동화하는 주방 주문처리 자동화 시스템
KR200485822Y1 (ko) * 2015-12-22 2018-02-28 (주)아이센스에프앤씨 컴퓨터 본체 수납형 책상
KR20160142272A (ko) 2016-12-01 2016-12-12 (주)뉴젠텍 테이블 전자 메뉴 구조의 주문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주문 처리 방법
KR20220012541A (ko) 2020-07-23 2022-02-04 정종현 웹기반 스마트 무인 오더 방법,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CN112000264B (zh) * 2020-08-07 2022-06-07 北京三快在线科技有限公司 菜品信息展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001A (ko) * 2000-11-23 2002-05-30 조희강 음식 주문 및 식자재 비투비 공급 시스템
KR20020071073A (ko) * 2001-03-02 2002-09-12 권혁필 (메뉴)주문용 단말기를 통한 자동 주문처리 및 운영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001A (ko) * 2000-11-23 2002-05-30 조희강 음식 주문 및 식자재 비투비 공급 시스템
KR20020071073A (ko) * 2001-03-02 2002-09-12 권혁필 (메뉴)주문용 단말기를 통한 자동 주문처리 및 운영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08645A (zh) * 2014-11-19 2016-05-25 康景皖 使用检测压力的脚垫和触摸屏的餐厅点餐装置及方法
KR20190062962A (ko) 2017-11-29 2019-06-07 봉승구 주문 결제 기능을 가지는 식사도구 살균 보관장치
KR20200070546A (ko) 2018-12-10 2020-06-18 주식회사 창림 웹서버 기능을 갖춘 무선공유기 기반의 주문시스템
KR20200111444A (ko) 2019-03-19 2020-09-29 주식회사 와우인포텍 로컬 무선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379A (ko) 200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0132B1 (ko) 식당용 자동 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102068286B1 (ko) 푸드 코트의 무인키오스크 결제 시스템
EP1677248A1 (en) Restaurant management using network with customer-operated computing devices
KR101588023B1 (ko) 식당용 자동 주문 시스템
JP2003044563A (ja) 飲食店における情報管理システム
KR20210070728A (ko) 메뉴 클라우드 플랫폼 시스템
JP4836089B2 (ja) オーダデータ処理装置
JP2003006748A (ja) 注文管理システム
JP2002259530A (ja) 注文管理システム
JP2020107255A (ja) 飲食店におけるセルフオーダーシステム
JP2014164609A (ja) 注文受付装置、サーバ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3913697B2 (ja) レストランの調理・配膳確認システムおよび調理・配膳確認プログラム
WO2001035716A2 (en) Interactive menu system for restaurants
JP5393920B1 (ja) 空席管理装置、および空席管理システム
JP4298267B2 (ja) 電子オーダリングシステム
KR100981029B1 (ko) 무선주문리모콘을 이용한 실시간 메뉴 자동 주문처리 시스템
JP2005107624A (ja) 飲食店向け注文管理システム
JP6986416B2 (ja) 空席情報管理装置、空席情報提供装置、空席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3115082A (ja) オーダーエントリーシステム
KR20080030007A (ko) 무선 단말을 이용한 메뉴 주문 방법 및 시스템
JP5473167B2 (ja) オーダ装置及びそのオーダプログラム
JP7440809B1 (ja) 注文管理システム及び注文管理方法
JP4975451B2 (ja) ハンディターミナル
JP5894973B2 (ja) オーダ装置及びそのオーダプログラム
JP2003109124A (ja) 表示装置及び注文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