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0022B1 - 스크린장치의 전자파적 합성을 시험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린장치의 전자파적 합성을 시험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0022B1
KR100810022B1 KR1020037004679A KR20037004679A KR100810022B1 KR 100810022 B1 KR100810022 B1 KR 100810022B1 KR 1020037004679 A KR1020037004679 A KR 1020037004679A KR 20037004679 A KR20037004679 A KR 20037004679A KR 100810022 B1 KR100810022 B1 KR 100810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image
window
viewing screen
scree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0536A (ko
Inventor
옌스 메들러
페터 마쇼타
Original Assignee
로오데운트쉬바르츠게엠베하운트콤파니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오데운트쉬바르츠게엠베하운트콤파니카게 filed Critical 로오데운트쉬바르츠게엠베하운트콤파니카게
Publication of KR20040010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1Measuring interference from external sources to, or emission from, the device under test, e.g. EMC, EMI, EMP or ESD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험발생기(7)로부터 시험영상을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스크린장치의 전자파적합성을 시험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시험대상(1)에 시험영상신호뿐만 아니라 방해신호를 작용시킨다. 시험창(15)의 영상 정보를 복수의 평행한 분절(18)로 나누고, 시험창(15)의 방해없는 시험영상(13)으로부터 기준변수를 결정한다. 각 분절(18)에 대한 신호의 평균값을 형성하고 기준변수로부터의 차이를 계산한다. 모든 차이에 기초하여 시험창(15)의 모든 분절(18)의 차이의 변동을 계산한다. 각도 증분에 따라 각각 회전되는 복수의 시험창에 대해 차이의 변동 계산을 반복하고, 개별 회전각에 대해 계산된 변동을 상호 비교한다.

Description

스크린장치의 전자파적 합성을 시험하는 장치 및 방법{Method and device for testing the electromagnetic compatability of screen devices}
본 발명은 뷰잉스크린장치(Viewing-screen Device)의 전자파적합성(Electromagnetic Compatability)을 검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또한 그 적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뷰잉스크린장치의 전자파적합성은 통상 테스트오퍼레이터(Test Operator)로 시험한다. 점검을 위해, 방해가 없는 경우에는 평행한 색줄무늬(colour bar)로 구성된 시험영상(Test image)으로 나타나는, 시험대상 장치(Device under test)의 뷰잉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테스트오퍼레이터로 관찰한다. 전자파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시험대상 장치는 시험영상의 신호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된 방해신호(interference signal)를 받는다. 또한, 이러한 결합(Coupling-in)은, 예를 들면, 전력본관(Power Mains)을 통해서 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험영상의 신호선(signal path)에서도 가능하다.
결합된 방해신호에 의해 방해된 시험영상은 테스트오퍼레이터에 의해 검출되어 기록된다. 방해신호는, 시험대상 장치의 시험영상을 위한 신호를 또한 송신하는 테스트오퍼레이터에 의해 생성된다. 시험은 방해신호의 다양한 주파수에 대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상기 시험방법의 단점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테스트오퍼레이터에 의한 주관적 평가 수행에 있다. 특히 방해신호의 다양한 주파수와 레벨에 대해 시험을 복수회 반복하는 결과로, 집중 전력(Power of concentration)의 강하가 가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대규모 시험에서는, 부정확하게 검출된 또는 미검출된 방해전파에 대한 예상치를 제공하도록 소위 오류허용도(false acceptance rate)가 결정되어야한다.
특히, 시험대상인 동일 장치가 일련의 매 시험시마다 상이한 결과를 도출하게 되어, 개별적 평가에는 상당한 변동이 있게 된다. 따라서, 결과에 대한 통계적 확인에 의해서만 유효한 평가가 가능하다. 그러나, 테스트오포레이터를 사용하는 결과, 시험 관련 비용의 상당한 증가를 야기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뷰잉스크린장치의 전자파적합성 점검에 응용되는 시험방법과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 방법에 따르면 객관적 평가가 가능하고 높은 재현성이 확보된다.
상기 목적은 각각 청구항 제 1항 또는 12항에 따른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방법과 시험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시험영상의 뷰잉스크린 디스플레이상의 방해신호의 방해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평균신호값(Mean signal value)을 간단한 경우에는 매 분절(segment)마다 생성한다. 방해가 없는 영상에 대해 결정된 기준변수(referece variable)로부터 신호 평균값까지의 편차는 방해효과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있어서 기초가 된다. 신뢰성 높은 방해 검출을 위해, 시험창(test window)을 바람직하게는 고정된 각도의 증분만큼씩 회전시켜 복수의 각도에 대해 평가를 수행하며, 예를 들면 스트립형(strip-type)의 방해에 대해, 특정 각도에 따라 거의 평행하게 배열된 분절을 이용하여 측정을 수행한다. 영상에 방해가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결국 테스트오퍼레이터 및 그 재현성에 더이상 영향받지 않는다. 본 방법에 따라, 개별적 검사 또는 테스트오퍼레이터와 무관하게, 시험대상 장치에 대한 재현성있는 결과가 도출되며, 개별적인 일련의 시험에 대해 유사성(comparability)이 계속 증가한다.
종속 청구항에 언급된 측정에 따라 본 발명의 방법과 시스템의 유리한 발전이 가능하다.
시험영상을, 바람직하게는 회색의 적절한 색상공간으로 변환하여, 처리가 용이한 값을 제공한다. 이러한 처리에서, 전체 영상정보가 회색 영상으로 변환될 뿐만아니라, 시험영상의 섹터(sector)가 추출되어 차후 평가 방법의 기초가 된다.
시험창의 총 회전각이 180°에 이를 때까지, 특정한 각도의 증분만큼씩 시험창을 반복적으로 회전시킨다. 이에따라, 스트립형의 방해 영상의 경우, 어느 일 측정에 있어서는, 모든 각도에 대해 시험창의 분절이 방해 스트립에 거의 평행하도록 배열되어, 결과적으로 평균값에서 현저한 편차가 발생한다.
또한, 그래픽 디스플레이의 편차 변동(variance)을 간단히 비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경우 편차 변동을 회전각의 함수로 나타내면, 방해 현상의 방향성와 시험창의 각도가 일치함에 따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그래픽 디스플레이에서의 최고점(peak)이 형성된다.
시험창의 크기와 위치 선택에 있어서, 시험창이 어떻게 회전하더라도 시험창 내부의 모든 픽셀이 시험영상의 동일한 색줄무늬에 속하도록 시험창의 대각선의 치수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색줄무늬로 구성된, 시험영상의 색줄무늬 경계의 영향을 제거한다.
또한, 시험창의 초기 위치를 180°까지 회전시킨 후, 시험창을 색줄무늬 끝단 방향으로 색줄무늬의 경계에 평행하게 이동시키고, 시험창을 이 새로운 초기위치에서 반복적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스트립 사이가 매우 먼 방해 패턴의 경우, 시험창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도 방해 패턴을 정확하게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색줄무늬를 따라 시험창을 비트별로 이동시킴에 따라, 전체 시험영상을 거의 다룰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타 색줄무늬에 대해 반복한다. 방해 패턴이 타 색줄무늬에서는 그 현저함의 정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한 색줄무늬내에서는 시험대상 장치가 "양호(good)"로 기록되고, 타 색줄무늬에서는 그 방해 현상이 현저할 수도 있다. 상이한 진폭과 주파수를 갖는 방해 신호에 대해 검사가 수행된다.
시험장치는, 컴퓨터 유닛으로 시험발생기(test generator)를 제어하고 또한 영상정보를 처리하여, 각 방법단계의 시간을 최적으로 맞출 수 있다. 특히, 어떠한 평가가 수행되었는가에 기초하여, 영상정보 아이템을 직접적으로 또한 간접적으로도 입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카메라를 컴퓨터 유닛에 연결하거나 영상정보 아이템을 시험대상 장치에서 컴퓨터 유닛으로 직접 전송한다. 예를 들면, 뷰잉스크린장치의 비디오출력소켓이 사용될 수 있다.
CCD 카메라가 사용되는 경우, 확산된 광선 또는 반사 결과 발생할 수 있는 측정 오류를 제거하기위해 시험장치를 암실에 설치한다. CCD 카메라와 뷰잉스크린장치를 카메라 끝단의 튜브에 대해 정반대로 배치하여, 기록 앵글(angle)이 뷰잉스크린 영상에 대해서만 한정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컴퓨터 유닛에, DSP 및/또는 FPGA를 포함하는 부프로세서를 포함시킴으로써, 평가 과정을 위한 계산 시간을 단축하는 장점이 있다.
재현가능한 시험조건이 보장되고, 또한 광학적 요소에 기인한 뷰잉스크린 마스크 구조와 모아레(moire) 발생에 따른 영향으로 인해 현저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결과, 기준변수는, 바람직하게는 고정 영상 휘도와 세밀한 영상 선명도를 위해, 방해가 없는 시험영상으로 부터 계산된다.
전자파적합성을 점검하기위한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을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따르면: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초기 위치에 시험창을 갖는 시험영상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시간 단계에 대한 시험창의 방향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동작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7은 영상 선명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의 함수로서, 평균 기준변수의 특성곡선(characteristic curve)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뷰잉스크린장치의 전자파적합성을 점검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험장치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를 나타낸다. 시험대상 장치(1)는 적어도 뷰잉스크린면(4)이 암실(2) 부분으로 향하도록 암실(2)에 설치된다. 뷰잉스크린면(4)을 향한 대물렌즈를 갖는 CCD카메라(5)가 뷰잉스크린면(4)의 반대 방향에 설치된다. 영상 평가에서 오류를 피하기 위해, CCD카메라(5)의 상기 대물렌즈는, 뷰잉스크린면(4)으로부터 직접광선만이 CCD카메라(5)로 향하도록 듀브(6)내에 설치된다. 또한, 암실(2)의 내부벽(3)을 반사를 막기 위해 검게 칠한다.
예를 들면 텔레비젼 또는 컴퓨터 모니터인 시험대상 장치(1)는 연결된 시험시스템(7)으로 신호를 입력한다. 시험시스템(7)은, 시험대상 장치(1)로의 신호연결선(10)을 통해 전송되는 시험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시험시스템(7)은 주파수와 진폭 조정이 가능한 방해신호를 발생한다.
시험시스템(7)은 제어선(9)에 의해 컴퓨터유닛(8)과 연결된다. 제공될 방해신호의 조정된 진폭과 주파수에 관한 정보는 제어선(9)을 통해 컴퓨터유닛(8)으로부터 시험시스템(7)으로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유닛(8)의 일 입력(8a)이 CCD카메라(5)에 연결되어, 컴퓨터유닛(8)은, CCD카메라(5)가 뷰잉스크린면(4)의 기록에서 얻은 영상정보를 처리한다. 컴퓨터 파워를 향상시키기 위해, 플러그인카드(Plug-in card)상의 부프로세서(8b)가 컴퓨터유닛(8)에 설치된다. 또한, CCD카메라(5)에 의해 기록된 결과를 표시할 수 있는 모니터(12)가 CCD카메라(5)의 출력에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험장치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경우, 영상정보는 시험대상 장치(1)의 출력에서 컴퓨터유닛(8)의 입력(8a)으로 직접 전송된다. 이를 위해, 시험대상 장치(1)의 예를 들면, 비디오출력소켓이 사용될 수 있다. 비디오출력으로부터 컴퓨터유닛(8)으로 도달된 신호는, 시험대상 장치(1)에 뿐만 아니라 영상 조합 목적을 위해 이용 가능한 모든 영상 정보 아이템을 포함한다.
시험대상 장치(1)에 연결된 모니터(12)는 영상을 형상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후의 영상 정보 처리에 관해 도 5와 관련하여 상세히 더 설명하며, 이는 양 시스템에 대해 동일하게 진행된다.
도 3은 평가에 사용되는 시험창(15)과 섹터(14) 시험영상(13)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시험영상(13)은 그 연결부의 직선에 색상경계(17)가 형성된 복수의 색줄무늬(16)를 포함한다.
색줄무늬(16) 내부에, 시험창(15)이 위치한 섹터(14)가 시험영상(13)으로 부터 추출된다. 시험창(15)은 직사각형,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의 형태를 갖고, 각 색줄무늬(16)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그 대각선이 최대인 경우 섹터(14)의 폭과 동일하게 한다. 시험창(15)은 바람직하게는 두 대각선의 교점이 색줄무늬(16)의 중심선에 있도록, 색줄무늬(16)내에 위치시킨다.
시험창(15)내에 복수의 분절(segment(18))을 형성한다. 분절(18)은 직사각형인 시험창(15)의 측선과 평행한 방향성을 갖고 그 자체가 또한 직사각형인 면을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평가 방법을 수행하는 동안 시험창(15)에 대해, 시험창(15)의 초기위치 뿐만 아니라 시험창(15)의 두 개의 추가위치가 가정된다.
초기위치에서 시험창(15)은, 분절(18)이 색줄무늬(16)의 색상경계(17)에 평행하도록 시험영상(15)의 색줄무늬(16)내에 위치한다. 색상경계(17)에 상이한 각도로 확장되는 선형의 방해를 검출하기 위해, 시험창(15)을 상기 대각선의 교점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 과정에서, 각도 증분은 2도(two degrees)의 구간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대각선의 교점의 위치는, 초기에는 이러한 조건에 따른 변경없이 유지된다. 시험창(15)의 꼭지점은, 회전하는 동안 그 외곽이 완전히 색줄무늬(16) 내부에 포함되는 원(19)을 그린다. 영상 정보는 시험창(15)의 모든 각도의 위치에 대해 평가된다. 영상 정보의 평가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시험창(15)이 초기 위치를 중심으로 180°회전할 때까지, 각도 증분에 따라 시험창(15)을 계속 회전시킨다.
초기위치를 중심으로 180°회전시킴으로써, 대개의 경우 적절한 내용의 정보를 얻는다. 이어서, 시험창(15)의 중심점을 새로운 위치로 이동시킨다. 시험창(15)이 다시 180°회전할 때까지, 새 중심점을 중심으로 시험창(15)을 상기한 바와 같이 반복하여 회전시킨다. 시험창(15)은 색상경계(17)에 평행하게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이동시 일정한 길이의 증분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색줄무늬(16)의 전체 길이에 대해 평가가 가능하다.
도 5는 상기 방법의 진행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방법의 초기에, 시험시스템(7)은 시험영상신호를 시험대상 장치(1)로 전송한다(20). 디스플레이되는 시험영상은 바람직하게는 CCIR 권고 471 을 따른다. 시험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이 시험대상 장치(1)에 디스플레이된다. 컴퓨터유닛(8)은 영상정보를 읽어 온다(21). 이를 위해, 시험대상 장치(1)의 출력을 직접 사용하거나, CCD카메라(5)로 시험대상 장치(1)의 뷰잉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기록한다. 두 경우 모두 케이블을 이용하여 컴퓨터유닛(8)의 입력(8a)으로 영상 정보를 전송한다. 640×480 픽셀의 해상도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후의 과정에서 사용된다. 컴퓨터유닛(8)은, DSP를 갖는 FPGA로 설계된 부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계산 능력을 플러그인카드(8b)를 사용해 향상시킨 PC이다. 평가를 위한 계산은 추가된 플러그인카드(8b)상에서 이루어져, PC의 주프로세서의 로딩이 감소한다.
섹터를 형성하여(22), 시험영상의 색줄무늬(16)에 대응하는 영상정보 부분에서 읽어온 영상 정보 아이템을 추출한다. 24-bit RGB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된 섹터에 대해, 시험영상의 디스플레이를 바람직하게는 회색으로 변환하는 색공간변환을 수행하여(23) 8-bit 회색으로 변환한다. 색줄무늬(16)의 폭에 따라, 섹터(14) 내부에 색상경계(17)가 존재하지 않도록 섹터(14)의 폭은 최대 80픽셀로 제한된다. 480 픽셀이 색줄무늬(16)의 전체 수직 길이로 사용된다.
복수의 평행하는 사각형 분절(18)로 구성된 시험창(15)을 현재 회색인 섹터(14)에 위치시킨다(25). 시험창(15)이 섹터(14)의 좁은 면의 중심에 그리고 섹터(14)의 길이방향의 끝단에 위치하도록 한다. 분절(18)은 초기위치에서 처음 가정대로, 섹터(14)의 긴면이 시험창의 긴면에 평행하게 되는 방향성을 갖는다. 차후 평가를 위한 기준변수(26)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기준측정을, 이 초기위치에서 수행한다. 기준측정으로서, 시험창(15)의 초기위치에서 각 경우의 분절 각각에 대 해, 각 분절(18) 내부에 있는 회색 명암(grey value)의 평균값을 구한다. 각 분절(18)에 대한 평균 회색 명암을 추가로 평균하면 기준변수를 간단히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차후 측정시 시험창(15)의 모든위치와 차후 측정의 모든 각도 증분에 대해 기준측정을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시험창(15)의 모든 각도와 모든 위치에 대해, 분절(18) 모두에 걸친 회귀함수(Regression function)를 구한다.
방해가 없는 시험영상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고정된 영상 휘도 및 세밀하게 설정된 영상 해상도에 대해, 기준변수를 계산한다. 영상 휘도는 비디오신호의 지나친 변조가 확실히 방지되도록, 상기 목적을 위해 조정된다. 뷰잉스크린 마스크 구조 또는 광학적 요소에 기인한 모아레 형성으로 인해, 계산될 편차에 현저한 영향이 없도록 영상 해상도를 선택한다. 적절한 장치변수 (IS)를 이용함으로써, 조정 목적에 따라 영상 해상도는 다양화 된다. 영상 해상도 변수의 변동시, 기준변수가 변동하며, 따라서, 예를 들면 기준변수에 대한 도 7의 특성곡선을 얻는다. 현재 영상 해상도는 변수값을 이용해 조정하며, 여기서 기준변수 (RV)의 특성곡선은 전체적인 최대값 (MAX) 이후에 최소값 (MIN)을 갖는다.
기준변수가 결정되면, 시험시스템(7)은 생성된 방해신호를 시험대상 장치(1)에 또한 제공한다(27). 방해 발생시 변경된 영상정보에 대해, 기준측정과 유사하게 분절(14)에 대한 색공간변환을, 예를 들면 회색명암 변환을 다시 수행한다.
매 분절당 평균값을 생성함으로써(29), 시험창(15)의 모든 분절(18)에 대해 정확히 하나의 값, 예를 들면 회색 명암을 결정한다. 개개의 분절(18)에 대해 이렇 게 결정된 평균값의 기준변수로부터의 편차를 계산한다(30). 모든 방해 패턴을 다루기 위해, 선두에 부호가 없는 변수를, 예를 들면, 기준변수의 평균값에서의 차의 제곱을 사용한다. 판단의 결정요인으로서, 모든 위치와 방향의 전 시험창(15)에 대해 정확히 하나의 값을 얻을 수 있도록 모든 방해가 발생하게 하기 위해, 편차의 변동을 결정한다(31).
편차 변동을 계산한 후에, 시험창(15)이 그 초기위치를 중심으로 이미 180°회전했는지를 판단한다. 180°까지 회전하지 않은 경우, 소정의 각도 증분, 예를 들면 2도 만큼 회전시키고(33), 매 분절당 평균값을 생성하고(29), 편차 계산(30)을 편차 변동 계산(31)과 함께 반복한다. 시험창(15)의 모든 새로운 각도에 대하여, 따라서 분절(18)의 모든 새로운 배열에 대하여, 정확히 하나의 편차 변동에 대한 값을 얻는다. 분절의 배열이 시험창(15)의 방향성에 따라 방해와 평행하다면, 변경된 값(회색명암)에서 편차 변동이 현저하게 증가한다. 이경우, 제곱 편차를 생성하고 적절히 표준화하여, 선형의 방해 패턴을 명확히 지적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시험창(15)의 회전을 다시 설명하고, 방해 패턴의 발생에 대한 영향을 설명한다. 평행한 방해 스트립(38)을 갖고 색줄무늬(16)와 각도 α를 이루는 방해 패턴을 색줄무늬(16)에 형성한다. 도 6의 하위 도면 a, b 및 d 에서 방해 스트립(38)은 복수의 분절(18)을 관통하여 늘어서고, 따라서 개개의 분절(18)에서 신호의 평균값에 대한 영향은 상당히 적은 바, 이는 각 분절(18)의 대부분의 영역에서 방해가 존재하지 않으며 이는 평균값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작용하기 때문인 반면, 도 6의 하위 도면 c에서는 방해 스트립(38)이 분절에 평행하게 늘어서는 방식으로 시험창(15)이 방향성을 갖는다. 따라서, 방해 패턴에 의한 영향이 없는 분절(8a)과, 그 영역내에서 방해 스트립(38)이 상당히 높은 비율를 갖고 따라서 분절(8a)와는 상당히 다른 평균값을 갖는 분절(8b)이 발생한다. 분절(18)이 방해 스트립(38)에 평행하게 배열된 시험창(15)에서는 편차의 변동이 현저히 증가한다.
편차 변동 계산(31) 후에 시험창의 회전이 180°에 도달하면, 편차 변동이 그래픽 디스플레이로 출력된다(34). 편차 변동은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도시된다. 선형의 방해 패턴이 제공되면, 분절(18)이 방해 스트립의 방향과 동일하도록 방향성을 갖는 시험창에서의 회전각에 대해, 도시된 편차 변동에서의 최고점이 발생한다.
상기 방법의 차후 단계에서, 섹터(14)내에서 시험창(15)이 원위치의 반대 끝단에 도달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시험창이 아직 반대 끝단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시험창(15)을 고정된 길이 증분만큼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킨다(36). 영상 정보는, 단계(29)와 차후의 단계에 따라 다시 평가된다. 섹터(14)의 반대 끝단에 도달하면, 색줄무늬(16)에 대한 평가는 종료된다. 이어서, 또는 동시에 새로운 섹터를 시험창의 타 색줄무늬(16)내에 형성한다.
개개의 방해 주파수에 대한 평가를 위한 상기 방법의 단계를 설명한다. 전자파적합성을 시험하기 위해, 시험대상 장치에 예를 들면, EN 55020에 따른 방해신호를 제공한다. 방해신호와 다양한 주파수 정도를 결합하는 개개의 방식에 따라 평가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전송방법, 예를 들면 MPEG에서 방해를 검출하는 데 또 한 적절하다. 이경우, 매크로블럭(Macroblock)(예를 들면, 8×8 픽셀) 및/또는 모션 아티팩트(motion artefact)의 탈락에 의해 방해의 특징이 나타나므로, 선형 방해는 탈락된 매크로블럭의 경계에서 발생하며,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험창(15)의 크기와 색공간 변환은 적절하게 조정되어야 한다. 영상을 미리 필터링하여야 할 수도 있다.

Claims (17)

  1. 방해신호를 포함하는 시험영상신호를 시험대상 장치(1)에 추가로 제공할 수 있는 시험발생기(7)로부터 시험영상을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뷰잉스크린장치의 전자파적합성을 시험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험창(15)의 영상 정보를 복수의 평행한 분절(18)로 분할하는 단계;
    -시험창(15)에서 방해가 없는 시험영상(13)으로부터 기준변수를 결정하는 단계;
    -모든 분절(18)의 신호 평균값을 생성하는 단계;
    -기준변수와 모든 개개의 분절(18)의 평균값의 편차를 계산하는 단계;
    -시험창(15)의 모든 분절(18)에 대한 편차의 변동을 계산하는 단계;
    -각도 증분에 따라 회전한 복수의 각 시험창(15)에 대한 편차 변동 계산을 반복하는 단계; 및
    -시험창(15)의 개개의 회전각에 대해 계산된 편차의 변동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잉스크린장치의 전자파적합성을 시험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영상(13)의 영상 정보는 회색명암 영상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잉스크린장치의 전자파적합성을 시험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섹터(14) 내부에 상기 시험창(15)이 위치한, 시험영상(13)의 상기 섹터(14)에 대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잉스크린장치의 전자파적합성을 시험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섹터(14)의 상기 영상정보는 회색명암 영상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잉스크린장치의 전자파적합성을 시험하는 방법.
  5.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동은, 상기 기준변수에서 상기 편차의 제곱의 평균값으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잉스크린장치의 전자파적합성을 시험하는 방법.
  6.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증분에 따른 상기 시험창(15)의 회전 단계와 그 이후의 상기 편차의 변동을 계산하는 단계는, 시험창(15)의 초기위치에 대한 총 회전각이 180°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잉스크린장치의 전자파적합성을 시험하는 방법.
  7.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수는, 비교를 위해 시험창(15)의 각 회전각에 대해 그래픽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잉스크린장치의 전자파적합성을 시험하는 방법.
  8.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변수는, 방해가 없는 시험영상(13)의 경우, 상기 시험창(15)의 상기 모든 분절(18)의 신호의 상기 평균값으로부터 얻은 회귀함수 또는 상기 평균값을 생성함으로써,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잉스크린장치의 전자파적합성을 시험하는 방법.
  9.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영상(13)은, 복수의 색줄무늬(16)를 갖고, 상기 시험창(15)의 크기는, 인접하는 색줄무늬(16)의 픽셀들이 어느 회전각에 대해서도 시험창(15) 내부에 위치하지 않는 방식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잉스크린장치의 전자파적합성을 시험하는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180°회전에 도달한 후, 상기 초기 위치는, 색줄무늬 경계(colour bar boundary(17))에 평행하게 길이 증분에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잉스크린장치의 전자파적합성을 시험하는 방법.
  11.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단계는, 복수의 색줄무늬(16)에 대해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잉스크린장치의 전자파적합성을 시험하는 방법.
  12. 시험대상 장치(1)에 연결되어 시험영상 및 방해신호를 전송하는 시험발생기(7), 및 상기 시험발생기(7)와 연결되고, 영상정보 아이템을 읽어들이는 입력(8a)을 갖는 컴퓨터유닛(8)을 포함하는 뷰잉스크린장치의 전자파적합성을 점검하는 시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유닛(8)은,
    -시험창(15)의 영상 정보를 복수의 평행한 분절(18)로 분할하고;
    -상기 시험창(15)에서 방해가 없는 시험영상(13)으로부터 기준변수를 결정하고;
    -모든 분절(18)의 신호 평균값을 생성하고;
    -기준변수로부터의 모든 개개의 분절(18)의 평균값의 편차를 계산하고;
    -시험창(15)의 모든 분절(18)에 대한 편차의 변동을 계산하고;
    -각도 증분에 따라 회전한 복수의 각 시험창(15)에 대한 편차 변동 계산을 반복하고; 그리고
    -시험창(15)의 개개의 회전각에 대해 계산된 편차의 변동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잉스크린장치의 전자파적합성을 점검하는 시험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유닛(8)의 입력(8a)은, 상기 영상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해 카메라(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잉스크린장치의 전자파적합성을 점검하는 시험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대상 장치(1)는 반사도가 낮은 암실(2)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5)에는 암실(2)의 시야각을 줄이기위해 튜브(6)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잉스크린장치의 전자파적합성을 점검하는 시험장치.
  15. 제 13항 또는 1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5)에는 상기 카메라(5)에 기록된 영상을 모티터링하기 위해 모니터(12)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잉스크린장치의 전자파적합성을 점검하는 시험장치.
  16. 제 13항 또는 14항에 있어서,
    방해가 없는 시험영상의 영상 오류, 특히 모아레 패턴의 상기 기준변수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동작단계에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영상 해상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잉스크린장치의 전자파적합성을 점검하는 시험장치.
  17. 제 13항 또는 14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유닛(8)은 부프로세서로 FPGA 및/또는 DSP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잉스크린장치의 전자파적합성을 점검하는 시험장치.
KR1020037004679A 2001-03-15 2002-02-25 스크린장치의 전자파적 합성을 시험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8100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12528A DE10112528A1 (de) 2001-03-15 2001-03-15 Verfahren und Prüfvorrichtung zur Prüfung der elektromagnetischen Verträglichkeit von Bildschirmgeräten
DE10112528.3 2001-03-15
PCT/EP2002/001968 WO2002076108A1 (de) 2001-03-15 2002-02-25 Verfahren und prüfvorrichtung zur prüfung der elektromagnetischen verträglichkeit von bildschirmgerä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536A KR20040010536A (ko) 2004-01-31
KR100810022B1 true KR100810022B1 (ko) 2008-03-07

Family

ID=7677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679A KR100810022B1 (ko) 2001-03-15 2002-02-25 스크린장치의 전자파적 합성을 시험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368974B1 (ko)
JP (1) JP4047174B2 (ko)
KR (1) KR100810022B1 (ko)
CN (1) CN1209933C (ko)
DE (2) DE10112528A1 (ko)
ES (1) ES2230491T3 (ko)
WO (1) WO20020761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57206B1 (fr) * 2003-07-03 2005-10-28 Logiways France Procede et systeme de test de l'aptitude d'un appareil a produire sans defaut un signal video et/ou audio, et support d'enregistrement contenant des instructions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WO2014175823A1 (en) 2013-04-24 2014-10-30 Rohde & Schwarz Asia Pte. Ltd. Measurement system and measurement method for measuring video processing quality
SG2013031042A (en) 2013-04-24 2014-11-27 Rohde & Schwarz Asia Pte Ltd Measurement system and measurement method for measuring video processing quality
CN104360209A (zh) * 2014-12-04 2015-02-18 成都思邦力克科技有限公司 电磁兼容性监控系统
CN105527529A (zh) * 2016-01-08 2016-04-27 深圳控石智能系统有限公司 一种多媒体检测机具及其使用方法
CN106680635B (zh) * 2017-01-03 2019-08-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摸屏测试系统和触摸屏测试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47627A2 (en) * 1986-05-29 1987-12-02 Hitachi, Ltd. Misconvergence amount measuring apparatus
EP0716312A2 (en) * 1994-12-06 1996-06-12 Sun Microsystems, Inc.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ance of flat panel displays and interface hardware
US5572444A (en) 1992-08-19 1996-11-05 Mtl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performance evaluation of electronic display devices
EP0924939A1 (en) * 1997-12-16 1999-06-23 CSELT Centro Studi e Laboratori Telecomunicazioni S.p.A.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oducing reference impairments into video 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38110A (en) * 1979-07-27 1982-12-21 Joseph G.B. Montminy Automatic mrt system
JP2814648B2 (ja) * 1990-02-14 1998-10-27 ソニー株式会社 映像装置の表示特性測定方法と装置
US5448502A (en) * 1991-06-20 1995-09-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evices for judging image on the basis of gray world assumption, discriminating color chart, deducing light source and regulating color
US5157308A (en) * 1991-08-06 1992-10-20 Sun Microsystem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ssion from a cathode ray tube video display system
DE4224858C2 (de) * 1992-07-28 2000-03-30 Langer Guenter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Prüflingsstörschwelle und Bewertung von EMV-Maßnahmen am Prüfling
DE4326116C1 (de) * 1993-08-04 1995-01-12 Paul Prof Dr Ing Weis Prüffeld für Elektromagnetische Verträglichkeit
DE19521408C1 (de) * 1995-06-13 1996-12-12 Inst Rundfunktechnik Gmbh Verfahren zum objektiven Bewerten der Bildqualität zwei- oder dreidimensionaler Bilder
DE19533966A1 (de) * 1995-09-13 1997-03-20 John Leslie Croni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Messen der Wiedergabequalität von Bildschirmgeräten und Drucker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47627A2 (en) * 1986-05-29 1987-12-02 Hitachi, Ltd. Misconvergence amount measuring apparatus
US5572444A (en) 1992-08-19 1996-11-05 Mtl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performance evaluation of electronic display devices
EP0716312A2 (en) * 1994-12-06 1996-06-12 Sun Microsystems, Inc.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ance of flat panel displays and interface hardware
EP0924939A1 (en) * 1997-12-16 1999-06-23 CSELT Centro Studi e Laboratori Telecomunicazioni S.p.A.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oducing reference impairments into video sig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65198A (zh) 2003-12-31
DE10112528A1 (de) 2002-09-19
ES2230491T3 (es) 2005-05-01
EP1368974A1 (de) 2003-12-10
KR20040010536A (ko) 2004-01-31
JP4047174B2 (ja) 2008-02-13
JP2004529547A (ja) 2004-09-24
DE50201293D1 (de) 2004-11-18
CN1209933C (zh) 2005-07-06
EP1368974B1 (de) 2004-10-13
WO2002076108A1 (de) 200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6323B2 (en) Three-dimensional video scanner
EP2290629B1 (en) System and method of target based smoke detection
US53512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performance evaluation of electronic display devices
AU6060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the formation of a web of material via generating a formation index
CN107517374B (zh) 一种线阵相机视场的确定方法及装置
CN103581660B (zh) 基于线对的全场清晰度测试方法和系统
KR100810022B1 (ko) 스크린장치의 전자파적 합성을 시험하는 장치 및 방법
CN102741649B (zh) 用于借助于偏折术进行表面检查的方法和装置
US5267038A (en) Synthetic aperture video photometer system
TW201418671A (zh) 水位量測方法
EP42737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fire spot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8303400A (zh) 一种校准大气透射仪的方法及大气透射仪
CN210571299U (zh) 用于测量小视场投影模组光学参数的系统
JP7080059B2 (ja) 放送用モニタのムラ検出装置及び当該装置を用いたムラ補正システム
JP4287603B2 (ja) 光学機器の調整および検査システム
JPH059995B2 (ko)
KR100260733B1 (ko) 음극선관의 포커스검사방법 및 장치
JP3606158B2 (ja) 画質評価装置
JPH04329097A (ja) 表示装置における解像度測定方法
JPS586426B2 (ja) テレビジョン画面自動計測装置
RU2439597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мерения характеристик приемников излучения
JPH01248283A (ja) 高炉内における装入原料流動部の検出方法
JP3091053B2 (ja) 蒸気漏れ検出装置
Chang Measuring Stereo Camera Alignment Using Depth Map Smoothness
Verwimp et al. Rotating machinery speed extraction through smartphone video acquisition from a radial viewp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