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8454B1 - 저온수 활성형 기능성 시트 - Google Patents

저온수 활성형 기능성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8454B1
KR100808454B1 KR1020080001372A KR20080001372A KR100808454B1 KR 100808454 B1 KR100808454 B1 KR 100808454B1 KR 1020080001372 A KR1020080001372 A KR 1020080001372A KR 20080001372 A KR20080001372 A KR 20080001372A KR 100808454 B1 KR100808454 B1 KR 100808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sheet
substrate
active ingredient
impregnated
temperatur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1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주영
정국인
곽상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39722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0845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80001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84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454B1/ko
Priority to EP08778740A priority patent/EP2227588A4/en
Priority to CN2008801239224A priority patent/CN101910503B/zh
Priority to PCT/KR2008/004082 priority patent/WO2009088137A1/en
Priority to JP2010541382A priority patent/JP2011508834A/ja
Priority to US12/348,031 priority patent/US20090181587A1/en
Priority to JP2012207980A priority patent/JP2013028892A/ja
Priority to US13/773,919 priority patent/US2013018419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hydrogen, water or heavy water; with hydrides of metals or complexes thereof; with boranes, diboranes, silanes, disilanes, phosphines, diphosphines, stibines, distibines, arsines, or diarsines or complexes thereof
    • D06M11/05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hydrogen, water or heavy water; with hydrides of metals or complexes thereof; with boranes, diboranes, silanes, disilanes, phosphines, diphosphines, stibines, distibines, arsines, or diarsines or complexes thereof with water, e.g. steam; with heavy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1Softening composi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005Compositions containing perfumes; Compositions containing deodora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30Synthetic polymer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30Synthetic polymer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32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ethyl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propyl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0Physical properties porou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Abstract

본 발명은 제1 기재상에 유효성분(들)이 함침 또는 도포되어 있고 실온, 특히 0℃ 내지 25℃의 저온수(水)에 투입되어 사용되는 기능성 시트로서, 상기 유효성분은 상기 저온수 중 제2 기재상으로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흡착되어 상기 저온수 제거 후에도 제2 기재상에 남아 있는 것이고, 상기 기능성 시트는 광투과율이 2 내지 20%이고, 이로 인해 0℃ 내지 25℃의 저온수에 5분 이내 제1 기재 상에 함침 또는 도포되어 있는 유효성분 중 70%이상이 탈리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기능성 시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저온수 활성형 기능성 시트{FUCNTIONAL SHEET FOR DELIVERING LAUNDRY ACTIVES IN LOW-TEMPERATURE WATER}
본 발명은 저온수에서 탈리될 수 있는 섬유유연제 등의 유효성분을 함침 또는 도포한 기능성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의류 및 기타 섬유류 등의 세탁 시 일반적인 세정제 및 그외 보조제가 사용되고 있다. 세정제는 의류 또는 섬유에 배어있는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며, 세탁수와 함께 제거된다.
세정제와 달리, 세탁 후에도 옷감 등에 남아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보조제가 있는데 이의 예로 세탁에 따른 옷감의 질감 변형을 바로잡아 옷감의 질을 부드럽게 하거나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유연제와, 옷감의 변형이나 세균 및 기타 유충 등의 확산과 번식을 막기 위한 항균제와, 마찰력 작용시 정전기를 일으키는 옷감에 대하여 정전기 발생을 억제시켜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전 방지제 등이 있다. 이러한 보조제는 그 기능 수행을 위해 세탁과정 중 세정제와 그 투여시기가 분리되어 사용되고 있다. 세탁은 보통 세정제의 투입과 동시에 일정한 대기시간의 불림과정을 거쳐 세탁, 헹굼, 탈수의 순서로 진행된다. 예컨대 이러한 보조제는 최종 헹굼 시 또는 탈수 후 건조시 투입되어 사용된다.
세탁기에 사용되는 세정제는 보통 분말 형태의 가루로 가공된 포 단위의 세정제가 보편적으로 이용되며, 손세탁에는 고형의 세제도 일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연제, 대전방지제, 항균제 등과 같은 보조제는 각각 액상으로 되어 병이나 용기단위로 포장되어 있다. 특히, 시판 중인 가정용 유연제는 대부분 액상 타입으로, 구매시 및/또는 사용시 무겁고, 헤프고, 투여가 불편하고, 정량 사용이 어렵다.
한편, 일반 세탁기의 헹굼시기에 사용하는 액상 섬유유연제와 달리, 건조기의 고온에서만 성능이 발휘되는 건조기용 시트형(sheet type) 섬유유연제가 판매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물을 건조기에서 건조할 때, 세탁물 내 수분이 열에 의해 고온의 스팀이 되고 이러한 고온 스팀 분위기 하에 세탁물이 팽윤되고 건조기용 시트형(sheet type) 섬유유연제로부터 유효성분이 기화 및 마찰에 의해 시트로부터 이탈되어 섬유로 강제 흡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세탁시 세정제와 달리, 세탁 완료 후에도 의류에 흡착 되어 특정 기능을 발휘하는 유효성분을 함침/도포한 기능성 시트로서, 저온수에서도 시트(sheet)로부터 유효성분이 용이하게 탈리되어 제2 기재상에 쉽게 흡착할 수 있는 기능성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세탁수 또는 헹굼수로 처리할 때 유효성분이 함침 또는 도포된 기능성 시트로 물이 잘 침투되어 상기 유효성분의 수분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게 함으로써, 저온수에서도 시트(sheet) 상의 유효성분이 용이하게 탈리되게 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기재상에 유효성분(들)이 함침 또는 도포되어 있고 0℃ 내지 25℃의 저온수(水)에 투입되어 사용되는 기능성 시트로서, 상기 유효성분은 상기 저온수 중 제2 기재상으로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흡착되어 상기 저온수 제거 후에도 제2 기재상에 남아 수 있는 것이고, 상기 기능성 시트는 광투과율이 2 내지 20%이고, 이로 인해 0℃ 내지 25℃의 저온수에 5분 이내 제1 기재 상에 함침되어 있는 유효성분 중 70%이상이 탈리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기능성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세탁 완료 후에도 의류에 흡착되어 특정 기능을 발휘하는 유연제와 같은 유효성분을 함침 또는 도포한 기능성 시트는 저온수에서도 시트(sheet)상의 유효성분이 용이하게 탈리될 수 있으며, 유통,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하고, 유효성분의 정량사용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제1 기재는 유효성분을 저온수로 전달하기 위한 담체 또는 매개체로서, 사용전 유효성분이 함침 또는 도포될 수 있는 시트(sheet)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2 기재는 저온수 중에서 상기 유효성분을 흡착시키고자 하 는 대상물로서, 의류 또는 섬유 등이 있으며, 통상 세탁의 대상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유연제와 같은 유효성분은 세탁 완료 후에 의류에 흡착되어 특정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 최종 헹굼시 투입되는데, 유연제는 5분 내의 짧은 헹굼 시간 동안 저온수에 분산되어 의류에 흡착되어야 하므로, 통상 액상 상태로 사용된다. 그러나, 액상 상태의 유연제는 구매 시 및/또는 사용시 무겁고, 헤프고, 투여가 불편하고, 정량 사용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유효성분을 다공성 기재 상에 도포 또는 함침하여 제공함으로써 액상 유연제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때 기재상에 유효성분이 도포 또는 함침된 기능성 시트는, 3분 내지 5분 대의 짧은 헹굼 시간에 저온수에 대부분의 유효성분이 기재로부터 탈리되고 제2 기재 상에, 예를 들어 세탁물에 흡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통상의 헹굼 조건, 예컨대 실온, 특히 0℃ 내지 25℃의 저온수에서 5분 이내 제1 기재 상에 함침되어 있는 유효성분 중 70% 내지 100%가 탈리될 수 있는 기능성 시트를 제공하기 위해, 광투과율이 2~20%, 바람직하게는 5~10%가 되도록 기능성 시트의 공극율을 조절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기능성 시트는 단위면적당 유효성분의 함침 또는 도포량이 0.1~20mg/cm2이면서 광투과율이 2~20%인 공극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광투과율은 유효성분이 함침 또는 도포된 기능성 시트 또는 상기 제1기재에서 총면적 대비 빛이 투과되는 면적으로 계산된다. 이때, 광투과율 은 상기 기능성 시트 또는 제1기재가 광 불투과성인 것을 전제로 하여 계산된다.
상기 기능성 시트 또는 제1기재는 균일하게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측정 부위에 따라 광투과율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투과율은 전체적인 기능성 시트 또는 제1기재의 평균 광투과율을 구하는 것이 좋다. 예컨대, 1mm 직경의 원을 샘플링하여 그에 대한 광투과율을 계산하고 이를 랜덤하게 20개를 계산하여 평균값을 구한다. 광투과율의 계산에서 부직포의 접합점은 광투과율 면적 측정 부위에서 제외한다. 상기 접합점은 실질적으로 물이 침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광투과율은 물이 접촉될 수 있는 면적에 대응되고, 상기 기능성 시트를 물에 담글 때 물이 들어갈 수 있는 공극률, 즉 수투과율에 대응된다. 유효성분이 함침된 기능성 시트를 물에 담지하여 직접 이의 공극률 또는 수투과율을 계산할 경우 도중에 유효성분이 탈리되어 정확한 공극률 또는 수투과율을 측정할 수 없으므로, 광투과율을 측정하여 물이 들어갈 수 있는 공극률 또는 수투과율을 예측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시트의 광투과율이 2%이상이면, 세탁 또는 헹굼 시에 물을 잘 유인하여 제1 기재상에 코팅되어 있는 유효 성분들이 물과 접촉할 수 있는 비표면적을 크게 해 주어서, 저온수에서도 제1 기재 상의 유효성분이 용이하게 탈리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시트의 광투과율이 2% 미만인 경우는 물이 닿아서 유효성분이 수분산되지 않으며, 20% 초과인 경우는 섬유유연제와 같은 유효성분(들)이 제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충분히 제1기재에 담지되지 못한 다.
본 발명에서 저온수는 물 뿐만 아니라 수용액, 수분산액을 내포한다.
또, 교반하에 0℃ 내지 25℃의 저온수에 5분 이내 제1 기재 상에 함침되어 있는 유효성분 중 70%이상이 탈리되는 기능성 시트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세탁 완료 후에도 의류에 흡착되어 특정 기능을 발휘하는 상기 유효성분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유연제, 방향제, 대전방지제, 안정화제, 착색제, 방부제, 항균제, 전해질, 광학증백제, 표백제 등이 있다.
한편, 상기 기능성 시트의 광투과율이 2 내지 20%가 되기 위해서, 제1기재는 다공성 기재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1 기재 자체의 광투과율은 20 내지 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성 기재에 유효성분을 함침 또는 도포시킨 경우 제조된 기능성 시트의 비표면적도 커져 다공성 기재로부터 유효성분의 탈리 및 저온수 중 분산을 용이하게 하여, 유효성분의 탈리 및 분산 시간을 짧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유효성분이 함침 또는 도포된 기능성 시트도 단위 면적당 최적의 공극율을 갖게 함으로써 기능성 시트 내 저온수의 유입을 더욱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유효성분의 수분산성을 잘 발휘할 수 있다. 또, 유효성분이 함침 또는 도포된 후에도 기공 구조를 유지하도록 제조된 기능성 시트는, 유효성분의 비표면적이 커 유효성분이 저온수에 용이하게 탈리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재의 종류로는 면, 마, 린넨, 실크 등의 천연물질, 레이온, 셀룰로즈 에스테르, 폴리비닐 유도체, 폴리올레핀계, 폴리 아미드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등의 합성물질, 또는 종이일 수 있다. 상기 제1 기재는 직물 또는 부직포일 수 있다. 상기 제1 기재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이론, 레이온, 펄프 및 아크릴로 구성된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된 고분자 섬유를 열접착(thermal bonding), 에어 스루(air through), 스펀 본드(spun bonding) 또는 멜트 블로운(melt-blown) 방식을 통해 제조된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기재의 재질은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인 것이 바람직한데 가격이 저렴하며 제품화 시 형태 안정성이 우수하고 세탁 후 보푸라기가 덜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시트는 저온수에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건조기용 시트형(sheet type) 섬유유연제와 달리, 제1 기재가 고온에서의 내열성을 요구하지 않는다.
또한, 유통시 부피를 줄이는 관점에서 기능성 시트를 쉽게 폴딩(folding)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제1 기재는 유연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기재를 형성하는 고분자 섬유의 섬도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denier,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denier이다. 상기 섬도의 범위에서 각 섬유 사이의 자유 공간에 모세관 작용에 의해 유효성분 및/또는 저온수가 용이하게 함침될 수 있기 때문이다.
평량은 1m2 당 질량(g)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제1 기재의 평량은 10 내지 10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이다. 10 미만인 경우 유효성분 함침량 또는 도포량이 너무 작고, 100을 초과하면 물이 침투할 수 있는 공간이 현격하게 줄어들어 제품화하기 어렵다.
상기 유효성분은 시트상 제형화를 위해 60℃ 이상에서 액상이며, 실온, 특히 25℃에서 고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과정에서는 원활한 함침 또는 도포를 위해서 고온, 특히 60℃ 이상에서는 액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관 조건에서는 유효성분이 흐르지 않고, 형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고상이어야 한다. 상온에서 액상 형태의 유효성분을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기재에 함침 또는 도포시킨 경우 미끄럽게 되어 제형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온수 활성형 기능성 시트는 제1 기재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유효성분의 함침 함량을 100 내지 500중량부로 조절할 수 있으며, 200 내지 400 중량부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효 성분이 유연제일 경우 저온수로 헹굼시 제1 기재로부터 유연제의 탈리가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1, 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양이온 계면활성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유연제를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00840408-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08000840408-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08000840408-pat00003
상기 식에서,
R1, R2, R5, R6 및 R7은 각각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C7~C21 알킬기, C7~C21 알케닐기 또는 C7~C21 알키닐기이고,
R3 및 R4는 각각 C1~C4 알킬기이며,
A는 C1~C4 알킬기, (CH2)nOH 또는 (CH2)mOCOR8이고,
B는 (CH2)nOH 또는 (CH2)mOCOR9이며,
여기서 n 및 m은 각각 1 내지 4의 정수이고,
R8 및 R9는 각각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C7~C21 알킬기, C7~C21 알케닐기 또는 C7~C21 알키닐기이며,
X는 할로겐 또는 C1~C4 알킬 설페이트, 바람직하게는 F, Cl, I, Br, CH3SO4 또는 CH3CH2SO4이다.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학식 1]
Q/T ≥ 0.6
여기서, T는 HPLC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또는 GC (gas chromatography)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R1, R2, R5, R6, R7, A 및 B 내의 C7~C21 알킬기, C7~C21 알케닐기 및 C7~C21 알키닐기에 대한 피크의 총면적이며,
Q는 HPLC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또는 GC (gas chromatography)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R1, R2, R5, R6, R7, A 및 B 내의 포화탄화수소, 즉 C7~C21 알킬기에 대한 피크의 총면적이다.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에서 HPLC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또는 GC (gas chromatography)로 분석한 C7~C21 알킬 치환기의 비율이 0.6 이상이면, 저온수에서 용이하게 탈리-분산될 수 있다. 상기 알킬 치환기의 비율은 0.6 내지 0.9 인 것이 바람직하고, 0.7 내지 0.9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알킬 치환기의 비율이 0.6 미만인 경우에는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시트에 견고하게 도포 및 담지되지 못하여 시트에서 쉽게 탈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하기 수학식 2를 추가로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학식 2]
P/T ≥ 0.9
상기 식에서,
P는 HPLC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또는 GC (gas chromatography)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R1, R2, R5, R6, R7, A 및 B 내의 C12~C18 알킬기, C12~C18 알케닐기 및 C12~C18 알키닐기에 대한 피크의 총면적이고,
T는 상기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하다.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에서 HPLC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또는 GC (gas chromatography)로 분석한 장쇄 치환기(C12~C18 알킬기, C12~C18 알케닐기 및 C12~C18 알키닐기)의 비율이 0.9이상이면, 반데르발스 힘(Van der Waals' force)에 의하여 제1기재상에 도포-담지되기 쉽고, 기능성 시트가 물에 투입되기 전에는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효성분이 상기 기능성 시트로부터 쉽게 탈리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하기 수학식 3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학식 3]
0.6 ≤ (Q1/T1)*X + (Q2/T2)*Y + (Q3/T3)*Z ≤ 0.9
상기 식에서,
T1 은 HPLC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R1 및 R2의 C7~C21 알킬기, C7~C21 알케닐기 및 C7~C21 알키닐기에 대한 피크의 총면적이고,
Q1 은 HPLC 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R1 및 R2의 포화탄화수소 즉, C7~C21 알킬기에 대한 피크의 총면적이며,
T2 는 GC (gas chromatography)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R5 및 R6의 C7~C21 알킬기, C7~C21 알케닐기 및 C7~C21 알키닐기에 대한 피크의 총면적이고,
Q2 는 GC 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R5 및 R6의 포화탄화수소 즉, C7~C21 알킬기에 대한 피크의 총면적이며,
T3 은 GC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R7, A 및 B 내의 C7~C21 알킬기, C7~C21 알케닐기 및 C7~C21 알키닐기에 대한 피크의 총면적이고,
Q3 은 GC 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R7, A 및 B 내의 포화탄화수소 즉, C7~C21 알킬기에 대한 피크의 총면적이며,
X 는 전체 양이온 계면활성제 사용량에 대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비이고,
Y 는 전체 양이온 계면활성제 사용량에 대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비이며,
Z 는 전체 양이온 계면활성제 사용량에 대한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비이다.
또한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하기 수학식 4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학식 4]
(P1/T1)*X + (P2/T2)*Y + (P3/T3)*Z ≥ 0.9
상기 식에서,
P1은 HPLC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R1 및 R2의 C12~C18 알킬기, C12~C18 알케닐기 및 C12~C18 알키닐기에 대한 피크의 총면적이고,
P2는 GC (gas chromatography)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R5 및 R6의 C12~C18 알킬기, C12~C18 알케닐기 및 C12~C18 알키닐기에 대한 피크의 총면적이며,
P3는 GC (gas chromatography)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R7, A 및 B 내의 C12~C18 알킬기, C12~C18 알케닐기 및 C12~C18 알키닐기에 대한 피크의 총면적이고,
T1, T2, T3, X, Y, 및 Z는 각각 상기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하다.
상기 유연제의 일례로 천연 유연 성분인 유채추출물 함유 양이온 Dimethyl dialkyl ammonium chloride, EQ(ester quat.) 및 이미다졸린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능성 시트에는 분산제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고분산력의 유화제를 사용하면 저온수에서도 유효성분이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의 함량은 제1 기재상에 함침시키고자 하는 전체 유효성분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10 중량부 이상인 경우에는 시트 제조 후 미끈거리는 현상이 심해져 사용에 불편이 있다.
바람직한 유화제의 예로 HLB 2 내지 18가 있으며, 이 유화제는 시트 제조의 용이성 및 제조된 시트에 함침된 유효성분이 세탁시에 세탁수로 모두 탈리, 분산되 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HLB 8 내지 12의 유화제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HLB는 친수성-친유성 평형(Hydrophilic-Lipophile Balace)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시트는 유효성분을 제1기재상에 도포 또는 함침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도포 또는 함침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딥(Dip) 코팅, 다이(Die) 코팅, 롤(roll) 코팅, 콤마(comma) 코팅, 닥터 블레이드, 분무(spray), 그라비야 인쇄방식 또는 이들의 혼합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비교예 1 내지 4, 실시예 1 내지 4
섬유유연제로 Ester Quat(EQ, 화학식2) 20중량부, 제형분산제로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 20중량부, 유화분산제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 Tween-81 (HLB 10) 2 중량부, 보조유연제로 Stearamido propyldimethylamine 10중량부, 방향제로 10중량부를 사용하여 함침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1기재로 30 gsm인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부직포를 사용하였다.
압착 코팅 및 냉각 단계를 거쳐 기능성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압착 코팅 시 함침용 조성물의 온도는 60℃로 액상이었고, 냉각 온도는 25℃이었다.
비교예 1 내지 4, 실시예 1 내지 4의 기능성 시트는 압착 코팅시 사용하는 제1롤러와 제2롤러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제1기재 상의 도포량을 조절하여 하기 표 1과 같이 광투과율을 조절하였다.
<광투과율 측정방법>
제1기재로 15gsm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부직포, 30gsm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부직포, 30gsm PET 스펀본드 부직포 및 비교예 1 내지 4, 실시예 1 내지 4의 기능성 시트의 광투과율은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상기 제1기재 및 각 기능성 시트를 Image Analyzer(일본 HIROX사, Hi-scope KH-2400, 200 배로 측정, 접합점 간의 거리: 1~2mm )로 분석하여, 직경이 1mm인 원의 측정단위에서 총면적 대비 빛이 투과되는 면적으로 광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광투과율은 측정단위 면적 20 개를 무작위로 샘플링하여 평균을 낸 값이다. 이때 광투과율 계산에서 부직포 자체에 있는 접합점은 계산에서 제외하였다.
도 3의 상단에는 15gsm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부직포, 30gsm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부직포, 30gsm PET 스펀본드 부직포의 광투과율을 도시하였고, 하단에는 이들 각각에 상기 함침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광투과율을 도시하였다. 또 비교예 1 내지 4, 실시예 1 내지 4의 기능성 시트의 광투과율은 하기 표 1및 도 4에 나타내었다.
<탈리율 측정방법>
비교예 1 내지 4,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각 기능성 시트에 대하여 유효성분이 저온수에서 얼마나 잘 용해되어 저온수내로 분산되는지를 측정하였다. 비이커에 20℃의 저온수 3 ℓ를 넣고 상기 기능성 시트를 각각 넣어 1분간 교반을 한 후 처음 기능성 시트의 무게와 처리후 건조된 기능성 시트의 무게의 차를 측정함으로써, 유효성분의 탈리율을 측정하였으며, 상기 탈리율 측정을 3회 이상 반복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및 도 5에 나타나 있다.
<유연효과 측정 방법>
시판 100%의 면타올을 일반 세탁세제를 표준 사용량 사용하고 세탁기로 5회 반복 세탁한 후 탈수하였다. 이어서 탈수된 면타올을, 비교예 1 내지 4,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각 기능성 시트 1매와 함께 헹굼물(욕비 1:30, 25℃)에 투입하여 1분간 유연 처리한 후, 탈수하여 20℃, 65% RH조건에서 24시간 conditioning시켰다. 이어서, 숙련된 panelist의 관능 평가 시험에 의하여 촉감정도를 유연 점수로써 최저 1점에서 5점까지 부여하게 하고 이것을 3회 이상 반복하여 그 평균값으로써 유연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및 도 5에 나타나 있다.
평가 결과 매우우수 우수 보통 불량
유연효과 점수 4.5 이상 3.5 ∼ 4.5 2.5 ∼ 3.5 2.5 미만
[표 1]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광투과율 1.24 2.11 5.35 7.1 10.18 23.56 28.33 34.66
탈리율 50 78 90 98 98.5 99 99 99
유연효과 2.24 3.56 4.3 4.6 4.5 3.4 2.9 1.5
기능성 시트의 광투과율은 물이 접촉될 수 있는 면적을 의미하는 것으로 비교예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능성 시트의 광투과율이 2% 미만인 경우 물이 닿아서 유효성분이 수분산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으며, 비교예 2 내지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광투과율이 20% 초과인 경우 유효성분의 탈리율이 99%이상이나 오히려 유연효과가 낮은 것으로부터 섬유유연제가 부직포에 충분히 함침되어 있지 못한 것 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기능성 시트의 성능 발현 메커니즘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 건조기용 시트형(sheet type) 섬유유연제의 성능 발현 메커니즘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제1기재 및 기능성 시트의 광투과율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비교예 1 내지 4,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기능성 시트의 수투과율, 탈리율 및 유연효과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Claims (12)

  1. 제1 기재상에 유효성분(들)이 도포 또는 함침되어 있고 0℃ 내지 25℃의 저온수(水)에 투입되어 사용되는 기능성 시트로서,
    상기 유효성분은 상기 저온수 중 제2 기재상으로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흡착되어 상기 저온수 제거 후에도 제2 기재상에 남아 있는 것이고,
    상기 기능성 시트는 광투과율이 2 내지 20%이고, 이로 인해 0℃ 내지 25℃의 저온수에 5분 이내 제1 기재 상에 도포 또는 함침되어 있는 유효성분 중 70%이상이 탈리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기능성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제1 기재는 다공성 기재인 것이 특징인 기능성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이 도포 또는 함침된 후에도 기공 구조를 유지하는 것이 특징인 기능성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 자체의 광투과율이 20 내지 50%인 것이 특징인 기능성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유연제, 방향제, 대전방지제, 안정화제, 착색제, 방부제, 항균제, 전해질, 광학증백제, 표백제로 구성된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된 것이 특징인 기능성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기능성 시트는 단위면적당 유효성분의 도포량이 0.1~20mg/cm2이면서 광투과율이 2~20%인 공극율을 가지는 것이 특징인 기능성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성분은 유화제 또는 분산제를 병용하는 것이 특징인 기능성 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60℃ 이상에서 액상이며, 25℃에서 고상인 것이 특징인 기능성 시트.
  9. 제1항에 있어서, 제1 기재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인 것이 특징인 기능성 시트.
  10. 제1항에 있어서, 제1기재는 부직포 또는 직물인 것이 특징인 기능성 시트.
  11. 제1 기재상에 유효성분(들)이 도포 또는 함침되어 있고 0℃ 내지 25℃의 저온수(水)에 투입되어 사용되는 기능성 시트로서,
    상기 유효성분은 상기 저온수 중 제2 기재상으로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흡 착되어 상기 저온수 제거 후에도 제2 기재상에 남아 있는 것이고,
    제1 기재는 다공성 기재이고 유효성분이 도포 또는 함침된 후에도 기능성 시트는 기공 구조를 유지하는 것이 특징인 기능성 시트.
  12. 제1 기재상에 유효성분(들)이 도포 또는 함침되어 있고 0℃ 내지 25℃의 저온수(水)에 투입되어 사용되는 기능성 시트로서,
    상기 유효성분은 상기 저온수 중 제2 기재상으로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흡착되어 상기 저온수 제거 후에도 제2 기재상에 남아 있는 것이고,
    상기 유효성분은 60℃ 이상에서 액상이며, 25℃에서 고상인 것이 특징인 기능성 시트.
KR1020080001372A 2008-01-04 2008-01-04 저온수 활성형 기능성 시트 KR100808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372A KR100808454B1 (ko) 2008-01-04 2008-01-04 저온수 활성형 기능성 시트
EP08778740A EP2227588A4 (en) 2008-01-04 2008-07-11 FUNCTIONAL FILM FOR DISPENSING WASH ACTIVE SUBSTANCES IN LOW-TEMPERATED WATER
CN2008801239224A CN101910503B (zh) 2008-01-04 2008-07-11 用于在低温水中释放洗衣活性剂的功能片
PCT/KR2008/004082 WO2009088137A1 (en) 2008-01-04 2008-07-11 Functional sheet for delivering laundry actives in low-temperature water
JP2010541382A JP2011508834A (ja) 2008-01-04 2008-07-11 低温水で活性化する機能性シート
US12/348,031 US20090181587A1 (en) 2008-01-04 2009-01-02 Functional sheet for delivering laundry actives in low-temperature water
JP2012207980A JP2013028892A (ja) 2008-01-04 2012-09-21 低温水で活性化する機能性シート
US13/773,919 US20130184197A1 (en) 2008-01-04 2013-02-22 Functional sheet for delivering laundry actives in low-temperature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372A KR100808454B1 (ko) 2008-01-04 2008-01-04 저온수 활성형 기능성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8454B1 true KR100808454B1 (ko) 2008-03-03

Family

ID=39397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372A KR100808454B1 (ko) 2008-01-04 2008-01-04 저온수 활성형 기능성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84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5903A1 (ko) * 2011-09-08 2013-03-14 Han Jong Hee 물세탁 가능한 실크 원단 제조 방법 및 그 원단을 이용한 넥타이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457Y1 (ko) 2005-11-14 2006-02-09 이춘길 마스크 팩을 위한 기능성 시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457Y1 (ko) 2005-11-14 2006-02-09 이춘길 마스크 팩을 위한 기능성 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5903A1 (ko) * 2011-09-08 2013-03-14 Han Jong Hee 물세탁 가능한 실크 원단 제조 방법 및 그 원단을 이용한 넥타이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86025A (en) Textile softening agents impregnated into absorbent materials
JP2013028892A (ja) 低温水で活性化する機能性シート
US3632396A (en) Dryer-added fabric-softening compositions
DE60022528T2 (de) Verwendung von wäscheweichmacherzusammensetzungen
EP2264242A1 (en) Nonwoven fabric products with enhanced transfer properties
FI92410B (fi) Kankaiden käsittelyssä käytettävä tuote ja menetelmä kankaiden käsittelemiseksi
US7989413B2 (en) Dryer sheet
EP1749126B1 (en) Absorbent textile product
KR100808454B1 (ko) 저온수 활성형 기능성 시트
JP4954798B2 (ja) 繊維製品処理剤組成物
JP2017520521A (ja) 水溶性ポリマーおよび水溶性抗菌剤を含む液体抗菌剤
US20060094624A1 (en) Hard and soft surface cleaning agents
TW201422866A (zh) 包含疏水性纖維素人造纖維的不織布
JPS605708B2 (ja) ポリグリセロールエステル類を含有する繊維製品処理用組成物
KR101225400B1 (ko) 저온 활성이 가능한 시트형 섬유 유연제 조성물
DE60023329T2 (de) Verwendung von Wäscheweichmacherzusammensetzungen
CN103415237B (zh) 负载有清洁组合物的干燥的、可洗涤的且可重复使用的表面清洁衬底
KR20090044084A (ko) 시트형 섬유유연제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50020475A1 (en) Fabric softener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clothes dryer
KR100808456B1 (ko) 저온수 활성형 기능성 시트
US7018976B2 (en) Fabric treatment article and method
JP2020109165A (ja) 繊維製品用拭き取り洗浄シート
NO132053B (ko)
JP4401760B2 (ja) 繊維製品処理剤
JP3181439B2 (ja) 繊維製品処理用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212

Effective date: 20111013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20530

Effective date: 20120803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1118

Effective date: 20121019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1122

Effective date: 2013032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21019

Effective date: 2013050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408

Effective date: 20130515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