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457Y1 - 마스크 팩을 위한 기능성 시트 - Google Patents

마스크 팩을 위한 기능성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457Y1
KR200408457Y1 KR2020050032140U KR20050032140U KR200408457Y1 KR 200408457 Y1 KR200408457 Y1 KR 200408457Y1 KR 2020050032140 U KR2020050032140 U KR 2020050032140U KR 20050032140 U KR20050032140 U KR 20050032140U KR 200408457 Y1 KR200408457 Y1 KR 2004084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sheet
functional layer
layer
caps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1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길
임근모
Original Assignee
이춘길
임근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길, 임근모 filed Critical 이춘길
Priority to KR20200500321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4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4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4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8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Table
    • D06M11/42Oxides or hydroxides of copper, silver or gol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01Stain or soil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물, 편물 또는 부직포와 같은 섬유집합체 또는 고분자화합물 시트에 기능성 캡슐 또는 마이크로스피어 및 세라믹 파우더를 포함하는 기능성 층을 가진 마스크 팩을 위한 기능성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시트는 기초층을 형성하는 섬유 집합체 또는 고분자 화합물 시트; 섬유집합체에 바인더 화합물과 혼합된 세라믹 파우더 층으로 형성된 제1기능층; 및 섬유집합체에 바인더 화합물과 혼합된 비타민, 아로마 및 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스피어로 형성된 제2기능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능층 및 제2 기능층은 로터리 방식, 롤러 방식 또는 스크린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세라믹 파우더를 포함하는 제1 기능성 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비타민 D, 비타민 E, 아로마 및 은으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능성 캡슐 또는 마이크로스피어를 혼합시켜 로터리 방식, 롤러 방식 또는 스크린 방식과 같은 프린트법에 의하여 하나의 층을 섬유집합체 위에 형성시킬 수 있다.
마스크 시트, 캡슐, 마이크로스피어, 파우더, 고착, 프린트법, 마스크 팩

Description

마스크 팩을 위한 기능성 시트{A Functional Sheet for Masking Pack}
도 1은 섬유집합체에 스크린 방법을 이용하여 기능성 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섬유집합체에 로터리 방법을 이용하여 기능성 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섬유집합체에 롤러 방법을 이용하여 기능성 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a: 프린트용 스퀴즈 2b: 로터리 나이프 2c: 롤러의 홈
3a 프린트용 스크린 3b: 로터리 3c: 프린트용 롤러
본 고안은 직물, 편물 또는 부직포와 같은 섬유집합체 또는 고분자화합물 시트에 기능성 캡슐 또는 마이크로스피어 및 세라믹 파우더를 포함하는 기능성 층을 가진 마스크 팩을 위한 기능성 시트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고분자 화합물 시트 또는 직물, 편물 또는 부직포 시트 상에 기능성 캡슐, 마이크로스피어 또는 파우더가 음이온 발생과 같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바인더로 로터리 방식 또는 롤러 방식 또는 스크린 방식을 사용하여 프린트법에 의해 직물이나 편직물 및 부직포과 같은 섬유집합체 또는 고분자 화합물 기지 물질 시트에 고착된 기능성 시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염색가공 부문에서 발달한 고도의 기술을 사 또는 섬유집합체에 응용한 소위 고기능성 섬유소재가 개발되어 의류용 섬유소재로서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용, 각종산업용 소재로 사용이 되고 있다.
이들 기능성 섬유집합체는 각종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물질을 섬유 또는 섬유집합체 상에 처리하여 제조되나, 이들 기능성 물질이 불안정하거나 섬유에 대한 친화력이 전혀 없어 이들 기능의 내구성이 약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들 기능성 물질을 파우더나 마이크로 캡슐화하여 섬유에 응용 가공하는 것이 제안되었지만, 종래의 패딩 방법으로는 섬유와의 부착성능면, 또는 섬유 내 장기간 성능 발현 능력이 미흡하여 기능성 지속이 유지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이크로캡슐화를 이용하여 마스크 팩을 위한 기능성 시트를 제조하는 것을 제안한다.
마이크로캡슐화란 수 내지 수십 마이크로미터의 매우 작은 고분자 물질로 된 캡슐 내에 기능성 화학물질을 넣어주는 것을 말하며, 캡슐의 벽에 의하여 기능성 화학물질이 보호될 뿐만 아니라, 기능성 화학물질이 외부로 방출되는 시기, 장소, 속도 등은 벽을 이루는 고분자 물질의 재질 및 두께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자유로이 조절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고안에 의하여 제안된 기능성 시트는 종래의 패딩 방법에 의해 기능성 물질을 부착할 때 발생하는 기능을 효율적으로 발휘하지 못하거나 발휘를 하더라도 세탁 2, 3회 정도에서 대부분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고안의 목적은 마이크로캡슐화에 의하여 기능성 캡슐 및 기능성 파우더를 포함하는 기능성 층을 가진 부착된 마스크 팩을 위한 섬유 집합체 또는 고분자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시트는 상세하게는 섬유 또는 고분자 집합체 시트 상에 기능성 캡슐을 세탁 30회에서 70회 이상 견딜 수 있는 수준이 되게 하여 고착된 상태에서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바인더로 로터리 방식, 롤러 방식 또는 스크린 방식을 이용해 프린트법에 의해 직물이나 편직물 및 부직포 등의 섬유집합체나 고분자 시트에 고착하는 방법을 통하여 제조가 된다.
본 고안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 팩을 위한 기능성 시트는 기초 층을 형성하는 섬유 집합체 또는 고분자 화합물 시트; 섬유집합체에 바인더 화합물과 혼합된 세라믹 파우더 층으로 형성된 제1 기능 층; 및 섬유집합체에 바인더 화합물과 혼합된 비타민, 아로마 및 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스피어로 형성된 제2 기능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능층 및 제2 기능층은 로터리 방식, 롤러 방식 또는 스크린 방식으로 형성이 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기능층 및 제2 기능층은 연속해서 형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기능층 및 제2 기능층은 하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세라믹 파우더의 입자 크기는 0.1 내지 20 마이크로미터가 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바인더 화합물은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염화폴리에틸렌,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틸렌/부타디엔 모노머, 특수아크릴고무,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아크릴계모노머, 염화비닐모노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이 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기능성 층은 X1Y3Al6 B3Si6(OH)4 (X = Na 또는 Ca, Y = Mg, Li, Al 또는 Fe2 +), (Na, Ca)2 (Al2Si3O10)8H2O, (Ce, La, Th, Nd, Y)PO4 Cu3(Ge, Fe)S4 및 Cu3(Ge, Fe)S4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시트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는 기능성 시트는 섬유집합체 또는 고분자 시트 상에 기능성 캡슐 또는 마이크로스피어 및 파우더를 포함하는 바인더를 로터리 방식 또는 롤러 방식 또는 스크린 방식을 이용해 프린트법에 의해 직물이나 편직물 및 부직포 등의 섬유집합체 또는 고분자 시트에 고착하는 방법으로 형성이 된다.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층의 형성을 위한 바인더 물질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올 화합물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소시아네트 화합물로는 톨루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폴리올 화합물은 폴리에텔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기능성 층을 형성하기 위한 바인더 물질은 추가로 염화폴리에틸렌,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틸렌/부타디엔 모노머, 특수아크릴고무,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아크릴계모노머, 염화비닐모노머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부가 중합하여 형성된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바인더 물질은 용도에 따라 촉매 또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기능성 캡슐 또는 마이크로스피어는 예를 들면 비타민 D와 비타민 E ,아로마 및 은을 구성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능성 캡슐 또는 마이크로스피어가 될 수 있고, 그리고 마이크로스피어의 지름은 0.1 내지 20마이크로미터가 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층을 형성하기 위한 세라믹 파우더는 구조식 I, 구조식 II, 구조식 III 및 구조식 IV로 표현되는 화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포함하고 그리고 파우더의 지름은 0.1 내지 20 마이크로미터가 될 수 있다.
구조식 I:
X1Y3Al6 B3Si6(OH)4 (X = Na 또는 Ca, Y = Mg, Li, Al 또는 Fe2 +)
(Al과 OH는 치환 가능).
구조식 II:
(Na, Ca)2 (Al2Si3O10)8H2O
(화합물의 유도체 포함).
구조식 III:
(Ce, La, Th, Nd, Y)PO4 Cu3(Ge, Fe)S4
(화합물의 유도체 포함).
구조식 IV:
Cu3(Ge, Fe)S4
(화합물의 유도체 포함).
본 고안은 섬유집합체 및 고분자 시트에 기능성 캡슐 또는 마이크로스피어 및 파우더를 포함하는 바인더 물질을 이용하여 로터리 방식, 롤러 방식 또는 스크린 방식인 프린트법에 의해 직물이나 편직물 및 부직포 등의 섬유집합체 또는 고분자 시트에 형성된 기능성 층을 포함하는 기능성 시트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프린트법에 의한 고착방법인 로터리 방식, 롤러 방식 또는 스크린 방식을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시트는 섬유 집합체(11) 및 기능성 층(13)을 포함한다. 기능성 층(13)은 기능성 캡슐 또는 마이크로스피어 및 파우더(131)를 포함하는 바인더(133)의 혼합액을 50에서 300목, 바람직하게는 130목의 스크린으로 처리하여 형성이 된다. 기능성 층(13)은 스크린(3a)에 의해 다양한 무늬의 상태로 섬유집합체(11) 위에서 처리가 된 후, 프린트용 스퀴즈(2a)로 표면이 평평하게 만들어진다. 이후 상온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150℃에서 3초 내지 10분, 바람직하게는 30초 동안 처리하여 고착이 된다.
본 고안에서 다른 고착방법으로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캡슐 또는 마이크로스피어 및 파우더(131)를 포함하는 바인더(133)의 혼합액을 로터리 방식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로터리 방식에 따르면 기능성 층(13)은 로터리(3b)의 관통된 홈에 의해 다양한 무늬의 상태로 섬유집합체 또는 고분자 화합물 시트(11)위에 처리된 후 로터리 나이프(2b)에 의하여 표면이 평평하게 만들어진다. 이후 상온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40~150℃에서 3초 내지 10분, 바람직하게는 30초 동안 처리되어 고착이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고착방법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능성 층(13)은 캡슐 또는 마이크로스피어 및 파우더(131)를 포함하는 바인더(133)의 혼합액을 롤러 방식으로 처리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이 된다. 기능성 층(13)은 롤러(3c) 표면의 홈에 의해 다양한 무늬의 상태로 섬유집합체(11) 위에서 처리가 된 후, 상온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40~150℃에서 3초 내지 10분간, 바람직하게는 30초 동안 처리가 된다.
본 고안에서는 기능성 캡슐 또는 마이크로스피어(131)는 비타민 D, 비타민 E, 아로마 및 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함유하고, 그리고 세라믹 파우더(131)는 원적외선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방출하는 아래의 구조식 I, 구조식 II, 구조식 III 및 구조식IV으로 구성된 그룹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한다. 이러한 마이크로스피어는 입자의 직경이 0.1 내지 20 마이크로미터로 형성이 될 수 있다.
구조식 I:
X1Y3Al6 B3Si6(OH)4 (X = Na 또는 Ca, Y = Mg, Li, Al 또는 Fe2 +)
(Al과 OH는 치환 가능).
구조식 II:
(Na, Ca)2 (Al2Si3O10)8H2O
(화합물의 유도체 포함).
구조식 III:
(Ce, La, Th, Nd, Y)PO4 Cu3(Ge, Fe)S4
(화합물의 유도체 포함).
구조식 IV:
Cu3(Ge, Fe)S4
(화합물의 유도체 포함).
이와 같은 마이크로스피어 또는 세라믹 파우더(131)는 섬유 집합체 또는 고분자 시트(11)에 연속해서 고착이 되는 것이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고착이 된다.
상기 구조식 I, 구조식 II, 구조식 III 및 구조식 IV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 파우더를 바인더 화합물과 함께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방법에 따라 섬유집합체에 먼저 고착을 시킨다. 그리고 비타민 D, 비타민 E, 아로마 마이크로캡슐 및 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기능성 캡슐 또는 마이크로스피어를 바인더 화합물과 함께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방법에 따라 섬유집합체 또는 고분자 시트에 고착시킨다. 이러한 세라믹 파우더 및 기능성 캡슐의 고착 순서는 역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세라믹 파우더와 기능성 캡슐을 별도의 공정 과정에 따라 고착하는 것은 기능성 캡슐과 세라믹파우더를 혼합하여 바인더 물질과 함께 고착하는 경우 기능성캡슐이 파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능성 캡슐의 파괴의 이유는 세라믹 파우더에 의해 기능성 캡슐이 손상되기 때문이다.
아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비교 예를 기술한다.
아래의 실시 예 및 비교 예에서 원적외선 방출성은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분석이 된 것이며 향균성은 케에스 케 0693(KS K 0693)법에 의해 균감소율이 측정되었다.
실시 예 1
1. 세라믹 파우더를 포함하는 1차 기능성 층의 형성
고형분 50중량%를 갖는 폴리우레탄수지 에멀젼 90중량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물에 경질탄산칼슘 15중량부, 올레인산석검 15중량부, 디메틸실록산 에멀젼 1.0중량부, 착색제 10중량부, 원적외선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방출하는 (Na)2(Al2Si3O10)?8H2O의 세라믹 파우더 3.0 중량부, 및 에틸렌 이민계 가교제 2.0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러한 혼합물의 온도가 25 ℃ 범위로 조절되도록 고안된 교반기로 1,500 내지 2,000rpm의 범위에서 20분간 균질 교반한 후, 120메쉬의 망사천으로 필터링을 실시하여 예비혼합수지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예비혼합수지 조성물을 130목의 스크린에 의해 다양한 무늬의 상태로 부직포 나 직물, 편물 또는 고분자 시트에 처리한 후 도포직물을 100℃에서 5분간 예비로 건조시켜 1차 기능성 층을 형성하였다.
2. 마이크로스피어를 포함하는 2차 기능성 층의 형성
상기 실시 예 1에서 제조한 세라믹 파우더가 도포된 직물에 비타민 D, 비타민 E, 아로마 및 은으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능성 캡슐 또는 마이크로스피어 3.0 중량부를 아래와 같이 시트에 연속해서 도포하여 2차 기능성 층을 형성하였다.
고형분 50중량%를 갖는 폴리우레탄수지 에멀젼 100중량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물에 경질탄산칼슘 15중량부, 올레인산석검 15중량부, 디메틸실록산 에멀젼 1.0중량부, 착색제 10중량부, 항균소취 성분이 내입된 비타민 D, 비타민 E, 아로마 및 은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기능성 캡슐 3.0 중량부, 및 에틸렌렌 이민계 가교제 2.0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러한 혼합물의 온도가 25 내지 27℃ 범위로 조절되도록 고안된 교반기로 1,500 내지 2,000rpm의 범위에서 20분간 균질 교반한 후, 120메쉬의 망사천으로 필터링을 실시하여 예비혼합수지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상기 예비혼합수지 조성물을 130목의 스크린에 의해 다양한 무늬의 상태로 시트에 처리하여 2차 기능성 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도포시트를 100℃에서 5분간 예비 건조를 시키고 그리고 건조된 도포시트를 2단계 구조의 건조기에 도입시켜 건조기 전부의 풍량을 최소로 하고 중부 및 후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풍량을 크게 하며, 최종적으로 140℃에서 5분간 열처리를 행한 다음 냉각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도포직물을 수득하였다.
제시된 실시 예1 및 2의 경우 설명의 편의 및 이해의 명확성을 위하여 제1 기능성 층 및 제2 기능성 층이 분리된 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제조비용 또는 기능성 시트 자체의 두께를 고려하여 제1 기능성 층 및 제2 기능성 층은 일체로 제조되어 하나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라믹 파우더를 포함하는 제1 기능성 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비타민 D, 비타민 E, 아로마 및 은으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능성 캡슐 또는 마이크로스피어를 혼합시켜 로터리 방식, 롤러 방식 또는 스크린 방식과 같은 프린트법에 의하여 하나의 층을 섬유집합체 위에 형성시킬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기능성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제1 기능성 층에 포함되는 화합물을 혼합시켜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진 기능성 층을 포함하는 기능성 시트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고안에 따른 시트의 내세탁성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 예 2
비타민 D와 비타민 E 그리고 아로마 및 은을 함유하는 기능성 캡슐 또는 마이크로스피어를 직물에 바인더와 함께 도포하여 예비 건조 한 후 Na2 (Al2Si3O10)8H2O의 세라믹 파우더를 직물에 도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능성 도포 시트를 수득하였다. 그리고 내세탁성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 예 3
위의 실시 예 1 및 2에 따라 음이온 기능성 시트를 제조한 후, 바이오화이트닝콜라겐에센스(쟈스민)를 시트에 처리하여 마스크 팩을 제조하였다. 이때의 성분들은 부틸렌 글리콜( Buth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 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알로에 베라 겔 추출물(Aloe Barbadensis Leaf Extract),베타인(Betain),SD 알코올 40(SD Alcohol 40), 마난(Mannan), 아르부틴(Arbutin), 나토 검(Natto Gum)(Phytocollagen), 모루스 알바 근 추출물(Morus Alba Root Extract), POE(60) 수화 캐스터 오일(POE(60) Hydrogenated Caster Oil), 감초산(Dipotassium Glycyrrhizate), 알라토인(Allantoin), 메틸 파라벤(Methyl Paraben), 녹초 추출물(Algae Extract), 깅고 빌로바 추출물(Ginkgo Biloba Extract), 카보머(Carbomer), 판테놀(Panthenol),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디소튬 EDTA(Disodium EDTA), 크산탄 검(Xathan Gum),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락틴 산(Lactin Acid), 자스모늄 오피시네일 오일(Jasmonum Officinails Oil), 세라이드 3(Ceramide 3), 메틸클로이소티아졸리논(Methylchloroisothiazolinone) 및 메틸이소티아졸리논(Methylisothiazolinone),중성 물( Deionized Water)로 하였다.
비교 예 1
패딩(padding)법으로 (Na, Ca)2 (Al2Si3O10)?8H2O의 세라믹 파우더와 비타민 D와 비타민 E 그리고 아로마 및 은을 함유하는 마이크로 캡슐 또는 마이크로스피어를 시트에 도포하였다. 내세탁성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시험항목(내세탁성) 실시 예 1 실시 예 2 비교 예 1
5회 세탁 후 항균성 90.9 % 89.9 % 75.7 %
원적외선 방사성 80.6 % 80.8 % 73.6 %
20회 세탁 후 항균성 85.7 % 84.7 % 50.2 %
원적외선 방사성 75.6 % 74.2 % 42.1 %
표 1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실시 예 1 및 실시 예 2의 도포시트는 종래의 패딩법으로 도포된 직물보다 내세탁성이 우수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가능하다는 것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에 의하여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가 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여 생산된 도포 시트는 내세탁성 등이 극히 우수하여 이지-케어용 스포츠웨어, 평상복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음이온 방출 마스크 팩용 마스크 시트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6)

  1. 마스크 팩을 위한 기능성 시트에 있어서,
    기초층을 형성하는 섬유 집합체 또는 고분자 화합물 시트;
    섬유집합체에 바인더 화합물과 혼합된 세라믹 파우더 층으로 형성된 제1기능층; 및
    섬유집합체에 바인더 화합물과 혼합된 비타민, 아로마 및 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스피어로 형성된 제2기능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능층 및 제2 기능층은 로터리 방식, 롤러 방식 또는 스크린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을 위한 기능성 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기능층 및 제2 기능층은 연속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시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기능층 및 제2 기능층은 하나의 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시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세라믹 파우더 및 마이크로 스피어의 입자 크기는 직경이 0.1 내지 20 마이크로미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시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바인더 화합물은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염화폴리에틸렌,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틸렌/부타디엔 모노머, 특수아크릴고무,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아크릴계모노머, 염화비닐모노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시트.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기능성 시트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KR2020050032140U 2005-11-14 2005-11-14 마스크 팩을 위한 기능성 시트 KR2004084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140U KR200408457Y1 (ko) 2005-11-14 2005-11-14 마스크 팩을 위한 기능성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140U KR200408457Y1 (ko) 2005-11-14 2005-11-14 마스크 팩을 위한 기능성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457Y1 true KR200408457Y1 (ko) 2006-02-09

Family

ID=41758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140U KR200408457Y1 (ko) 2005-11-14 2005-11-14 마스크 팩을 위한 기능성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457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182B1 (ko) 2005-12-16 2007-04-24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폴리우레탄 마스크 팩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808454B1 (ko) 2008-01-04 2008-03-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저온수 활성형 기능성 시트
KR100808456B1 (ko) 2008-01-04 2008-03-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저온수 활성형 기능성 시트
KR101500499B1 (ko) * 2012-12-30 2015-03-10 신슈 다이가쿠 시트 형태 팩 기재, 시트 형태 팩 및 시트 형태 팩 기재의 제조방법
KR101567471B1 (ko) 2012-12-30 2015-11-10 신슈 다이가쿠 시트 형태의 팩 기재 및 시트 형태의 팩
KR101827843B1 (ko) * 2015-12-02 2018-02-12 (주)엘에스화장품 하이브리드 마스크 시트의 제조방법
KR20180028041A (ko) * 2016-09-07 2018-03-15 이병수 자가 용융 성분이 소재내에 함침되는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182B1 (ko) 2005-12-16 2007-04-24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폴리우레탄 마스크 팩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808454B1 (ko) 2008-01-04 2008-03-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저온수 활성형 기능성 시트
KR100808456B1 (ko) 2008-01-04 2008-03-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저온수 활성형 기능성 시트
KR101500499B1 (ko) * 2012-12-30 2015-03-10 신슈 다이가쿠 시트 형태 팩 기재, 시트 형태 팩 및 시트 형태 팩 기재의 제조방법
KR101567471B1 (ko) 2012-12-30 2015-11-10 신슈 다이가쿠 시트 형태의 팩 기재 및 시트 형태의 팩
KR101827843B1 (ko) * 2015-12-02 2018-02-12 (주)엘에스화장품 하이브리드 마스크 시트의 제조방법
KR20180028041A (ko) * 2016-09-07 2018-03-15 이병수 자가 용융 성분이 소재내에 함침되는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18141B1 (ko) * 2016-09-07 2019-09-04 이병수 자가 용융 성분이 소재내에 함침되는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8457Y1 (ko) 마스크 팩을 위한 기능성 시트
US6607994B2 (en) Nanoparticle-based permanent treatments for textiles
Valdés et al. Recent trends in microencapsulation for smart and active innovative textile products
Bonaldi Functional finishes for high-performance apparel
KR102169195B1 (ko) 탄소함유 수성잉크로 인쇄한 그래핀이 포함된 섬유
CN1488016A (zh) 环绕纺织品纤维的蛋白质外皮的生产方法和由其生产的纺织品
CN104841343B (zh) 一种芳香微胶囊及其载银多层微胶囊乳液的制备方法
CN1632214A (zh) 一种纺织品纳米功能整理剂的制备方法
CN105295076A (zh) 一种凉感水凝胶及其制备方法、凉感面料及其制备方法
Bojana et al. Microencapsulation technology and applications in added-value functional textiles
Peng et al. Biopolymers-based microencapsulation technology for sustainable textiles development: A short review
KR101266009B1 (ko) 통기성,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이중직 직물타입 인조피혁의 제조방법
Ghosh et al. Encapsulation of PCM for thermo-regulating fabric application
KR20170008272A (ko) 탈취 직물
EP3408336A1 (de) Textilien mit flammschutzfunktion
CN101634106A (zh) 提花类香型装饰织物及其生产方法
Abdel-Aziz et al. Microencapsulation and its application in textile wet processing: A review
KR100450530B1 (ko)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
Massella et al. Manufacture techniques of chitosan-based microcapsules to enhance functional properties of textiles
KR100513769B1 (ko) 프린트법을 이용한 내세탁성이 우수한 도포직물의 제조방법
WO2017120200A1 (en) Cotton performance products and methods of their manufacture
KR100780320B1 (ko) 기능성 광물질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
KR20220071990A (ko) 복합기능성섬유 및 그 제조장치 및 방법
JP2011162906A (ja) 処理剤付きポリウレタン弾性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718011A1 (en) Wool filter for dustproof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