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7333B1 - 와이퍼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333B1
KR100807333B1 KR1020070084648A KR20070084648A KR100807333B1 KR 100807333 B1 KR100807333 B1 KR 100807333B1 KR 1020070084648 A KR1020070084648 A KR 1020070084648A KR 20070084648 A KR20070084648 A KR 20070084648A KR 100807333 B1 KR100807333 B1 KR 100807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frame
glass surface
wiper strip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4716A (ko
Inventor
김인규
Original Assignee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김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김인규 filed Critical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4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7333B1/ko
Publication of KR20080014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74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 B60S1/3875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 B60S1/3879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placed in side grooves in the squeege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65Connectors having an integral pivot pin for connection with the wiper arm
    • B60S1/3867Connectors having an integral pivot pin for connection with the wiper arm pin formed on the interior of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 B60S1/381Spoilers mounted on the squeegee or on the verteb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51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 B60S1/3856Gripping the bla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와이퍼 장치에 장착되어 유리면을 닦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와이퍼 암에 결합되어 유리면을 닦는 와이퍼 블레이드로서, 유리면에 접촉되며,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레일 홈을 구비하는 와이퍼 스트립과; 상기 와이퍼 스트립이 결합되며, 상기 와이퍼 스트립을 상기 유리면에 밀착하기 위해 탄성력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상기 와이퍼 암에 연결하기 위한 브래킷;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제공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퍼 블레이드의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해지고 조립에 소요되는 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하여 기존의 와이퍼 스트립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와이퍼 스트립의 제작에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와이퍼, 블레이드, 스트립, 프레임, 커넥터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WIPER BLAD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정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또 다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로서, (a)는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아래쪽에서 본 일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이고, (b)는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프레임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a)는 도 3(b)의 I - I 선을 따라 취해진 측단면도이고, (b)는 도 4(a)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와이퍼 스트립 및 브래킷이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 및 우측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 및 우측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 및 우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우측면도이고, (b)는 측단면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 및 우측면도,
도 1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프레임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20, 20A, 30, 40 : 와이퍼 블레이드
11 : 와이퍼 스트립 11a : 레일 홈
13, 33, 43, 44 : 프레임 13a, 13b : 결합돌기
15 : 브래킷 16 : 경사진 브래킷
27, 47 : 스포일러 부재 39 : 연결부재
본 발명은 자동차의 와이퍼 장치에 장착되어 유리면을 닦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면에 직접 접촉되는 와이퍼 스트립과 탄성을 갖는 와이퍼 프레임 사이의 결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하게 되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와이퍼 장치는, 자동차에 내장되어 있는 모터(도시생략)에 의해 좌우로 회전운동하는 와이퍼 암(5)과, 이 와이퍼 암(5)에 장착되어 함께 움직이는 와이퍼 블레이드(110)를 포함한다. 와이퍼 블레이드(110)는, 유리면(도시생략)에 밀착 이동하면서 유리면을 닦아내는 와이퍼 스트립(11)을 구비하고 있다.
와이퍼 블레이드(110)는 와이퍼 암(5)에 결합되어 모터의 구동에 따라 소정각도로 선회한다. 이를 위해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110)는, 와이퍼 암(5)과 결합되는 메인링크(112)와, 이 메인링크(112)에 결합되어 와이퍼 암(5)의 압력을 균일하게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미들링크(113)와, 이 미들링크(113)에 결합되어 와이퍼 스트립(11)을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서브링크(114)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와이퍼 스트립(11)과 인접하는 미들링크(113) 및 서브링크(114)의 말단에는 와이퍼 스트립(11)에 형성된 레일 홈에 끼워짐으로써 와이퍼 스트립(11)을 결합시키기 위한 클립(11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10)는, 와이퍼 스트립(11)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조립과정이 복잡하고, 그에 따라 조립공정에 소요되는 노력과 시간이 증가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와이퍼 장치의 작동시 각각의 링크구조가 서로 상대운동하며 움직이므로 작동중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슬릿(124)이 형성된 프레임(123)과, 이 슬릿(124)에 끼워지는 레일부(122)가 형성 된 와이퍼 스트립(122)과, 프레임(123)을 와이퍼 암(도시생략)에 연결하기 위한 브래킷(125)으로 이루어지는 와이퍼 블레이드(120)가 개발되었다.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120)는, 프레임(123)에 형성된 슬릿(124)에 와이퍼 스트립(121)의 레일부(122)을 끼워넣고, 와이퍼 암(도시생략)과 연결되는 브래킷(125)을 프레임(123)과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조립공정이 완료되므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110)가 복수개의 링크(112, 113, 114)들을 서로 연결하여 조립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립공정이 단순하고 부품점수가 감소되었다.
그러나, 고무재질로 만들어지는 와이퍼 스트립(121)에 레일부(122)를 추가로 형성해야 하므로 금형을 새롭게 제작해야 하고 재료가 많이 소요되어 비용증가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조립시 프레임(123)에 형성된 슬릿(124)에 와이퍼 스트립(121)의 레일부(122)을 끼워넣는 작업 도중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와이퍼 스트립(121)이 손상되는 등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을 가지는 프레임에 기존 와이퍼 스트립을 결합하여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해지고 조립에 소요되는 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기존의 와이퍼 스트립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와이퍼 스트립의 제작에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차량의 와이퍼 암에 결합되어 유리면을 닦는 와이퍼 블레이드로서, 유리면에 접촉되며,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레일 홈을 구비하는 와이퍼 스트립과; 상기 와이퍼 스트립이 결합되며, 상기 와이퍼 스트립을 상기 유리면에 밀착하기 위해 탄성력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상기 와이퍼 암에 연결하기 위한 브래킷;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프레임은, 자동차의 운행중 발생하는 바람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가 유리면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하고 와이퍼 스트립을 유리면에 더욱 밀착시키는 스포일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서로 상이한 높이의 마주하는 한 쌍의 측벽부를 가지는 브래킷에 의해 유리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장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프레임이 경사지더라도 상기 와이퍼 스트립은 유리면에 수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경사방향과는 반대로 동일한 각도만큼 경사진 복수개의 연결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와이퍼 스트립을 상기 프레임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구멍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 부분은 상기 결합구멍에 압축되어 삽입됨으로써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하단 부분은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레일 홈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차량의 와이퍼 암에 결합되어 유리면을 닦는 와이퍼 블레이드로서, 유리면에 접촉되며,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레 일 홈을 구비하는 와이퍼 스트립과; 자동차의 운행중 발생하는 바람에 의해 상기 와이퍼 스트립이 유리면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와이퍼 스트립을 유리면에 더욱 밀착시켜 스포일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리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장착되는 프레임과; 서로 상이한 높이의 마주하는 한 쌍의 측벽부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을 상기 와이퍼 암에 연결하기 위한 브래킷과; 상단 부분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하단 부분은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레일 홈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과는 반대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만큼 경사진 복수개의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로서, (a)에는 위쪽에서 본 사시도, (b)에는 아래쪽에서 본 일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a)에는 정면도, (b)에는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프레임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a)에는 도 3(b)의 I - I 선을 따라 취해진 측단면도, (b)에는 도 4(a)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와이퍼 스트립 및 브래킷이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는, 유리면에 접촉되어 선회운동하면서 유리면을 닦아내는 와이퍼 스트립(11)과, 상기 와이퍼 스트립(11)이 결합되는 프레임(13)과, 와이퍼 암(도시생략)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3)의 중앙에 설치되는 브래킷(15)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와이퍼 스트립(11)으로서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와이퍼 스트립(11)과 동일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 3(b)의 일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퍼 스트립(11)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좌우 한 쌍의 레일 홈(11a)을 구비하고 있다.
다만, 종래의 와이퍼 스트립(11)의 레일 홈 내에는, 고무재질로 만들어진 와이퍼 스트립(11)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동시에 복수의 링크(113, 114)와의 결합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다란 보강용 철심(도시생략)이 삽입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13)이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110)에 있어서의 복수의 링크(112, 113, 114; 도 1 참조)와 보강용 철심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보강용 철심은 본 발명에서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3)은, 결합된 와이퍼 스트립(11)이 자동차의 유리면에 밀착된 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도록 만들어지는 동시에, 측면에서 볼 때 와이퍼 스트립(11)이 결합되는 쪽으로 완만하게 만곡된 원호형상을 이룬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3)은, 결합되는 와이퍼 스 트립(11)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결합되는 와이퍼 스트립(11)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얇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3)의 중앙에는 상기 브래킷(15)이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폭이 약간 좁아진 장착부(13c)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브래킷(15)은 프레임(13)과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3)에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11)이 결합될 수 있도록 프레임(13)의 배면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결합돌기(13a, 13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결합돌기(13a, 13b)는 프레스에 의해 타발가공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즉 한 쌍의 결합돌기(13a, 13b)가 한 조를 이루어 복수 조의 결합돌기 쌍이 프레임(13) 상에 길이방향으로 배열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조를 이루는 한 쌍의 결합돌기(13a, 13b)는 단면이 대략 L자 혹은 역 L자 형상을 가지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된다. 절곡된 결합돌기(13a, 13b)가 와이퍼 스트립(11)의 레일 홈(11a) 내에 끼워짐으로써 와이퍼 스트립(11)은 프레임(13)에 결합된다.
도면에는 프레임(13)에 5쌍의 결합돌기(13a, 13b)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결합돌기 쌍의 형성개수 및 형성위치에 의해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13a, 13b)는 프레스에 의해 프레임(13)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별개로 제작된 후 프레임(13)의 저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결합돌기(13a, 13b)가 프레임(13)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번갈아 배열되는 대신에 서로 마주하도록 배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13)에 복수개의 결합수단으로서의 결합돌기(13a, 13b)를 형성하고 이 결합돌기(13a, 13b)에 와이퍼 스트립(11)을 결합하는 것에 의해, 종래와 같이 조립작업이 번잡한 복수개의 링크 등의 부재를 사용(도 1 참조)하거나, 프레임과의 결합을 위해 고무재질의 와이퍼 스트립 상에 추가적인 레일부 등의 형상을 형성(도 2 참조)할 필요 없이, 간단한 구조의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조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 암(도시생략)에 연결될 수 있도록 프레임(13)의 중앙에 설치되는 상기 브래킷(15)은, 마주하는 한 쌍의 측벽부(15a, 15b)와, 한 쌍의 상기 측벽부(15a, 15b)의 하단 사이를 연결하는 바닥부(15c)와, 상기 바닥부(15c)로부터 아래쪽으로 절곡 연장되어 프레임(13)과 결합되는 결합부(15d)와, 한 쌍의 상기 측벽부(15a, 15b)의 상부 사이를 연결하여 와이퍼 암(도시생략)과 결합되는 결합봉(15e)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래킷(15)의 마주하는 한 쌍의 측벽부(15a, 15b)는 서로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진다.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 및 우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A)는, 브래킷으로서 경사진 브래킷(16)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 있어서만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와 상이하므로, 이어지는 설명은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이루어진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A)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와 마찬가지로, 유리면에 접촉되어 선회운동하면서 유리면을 닦아내는 와이퍼 스트립(11)과, 상기 와이퍼 스트립(11)이 결합되는 프레임(13)과, 와이퍼 암(도시생략)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3)의 중앙에 설치되는 브래킷(16)을 포함하고 있으며, 프레임(13)에 결합수단으로서의 복수개의 결합돌기(13a, 13b)가 형성되어 이 결합돌기(13a, 13b)에 와이퍼 스트립(11)을 결합시키고 있다.
다만, 상술한 제1 실시예의 브래킷(15)은 마주하는 한 쌍의 측벽부(15a, 15b)가 서로 동일한 형상, 즉 동일한 높이를 가져 바닥부(15c)가 한 쌍의 측벽부(15a, 15b)와 각각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에 비해, 본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브래킷(16)은 마주하는 한 쌍의 측벽부(16a, 16b)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다.
다시 말해, 본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있어서, 와이퍼 암(도시생략)에 연결될 수 있도록 프레임(13)의 중앙에 설치되는 상기 브래킷(16)은, 마주하는 한 쌍의 측벽부(16a, 16b)와, 한 쌍의 상기 측벽부(16a, 16b)의 하단 사이를 연결하는 바닥부(16c)와, 상기 바닥부(16c)로부터 아래쪽으로 절곡 연장되어 프레임(13)과 결합되는 결합부(15d)와, 한 쌍의 상기 측벽부(16a, 16b)의 상부 사이를 연결하여 와이퍼 암(도시생략)과 결합되는 결합봉(15e)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 있어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나, 본 제1 실시예의 변형예 따르면, 상기 브래킷(16)의 마주하는 한 쌍의 측벽부(16a, 16b)는 각각의 높이가 서로 달라, 바닥부(16c)가 한 쌍의 측벽부(16a, 16b)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 및 우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20)는, 프레임(13) 상에 얇은 판으로 만들어진 스포일러 부재(27)가 부착되고 있다는 점에 있어서만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와 상이하므로, 이어지는 설명은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이루어진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20)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와 마찬가지로, 유리면에 접촉되어 선회운동하면서 유리면을 닦아내는 와이퍼 스트립(11)과, 상기 와이퍼 스트립(11)이 결합되는 프레임(23)과, 와이퍼 암(도시생략)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3)의 중앙에 설치되는 브래킷(15)을 포함하고 있으며, 프레임(13)에 결합수단으로서의 복수개의 결합돌기(13a, 13b)가 형성되어 이 결합돌기(13a, 13b)에 와이퍼 스트립(11)을 결합시키고 있다.
다만, 상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20)는, 자동차의 운행중 발생하는 바람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20)가 유리면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3) 상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스포일러 부재(27)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스포일러 부재(27)는, 얇은 금속판 혹은 플라스틱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포일러 부재(27)는, 상기 프레임(13) 상에 접촉되어 부착되는 부착부(27a)와, 상기 부착부(27a)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공기의 흐름이 빨라질수록 프레임(13), 나아가서는 와이퍼 스트립(11)을 유리면 쪽으로 가압하도록 작용하는 날개부(27b)로 이루어진다.
와이퍼 블레이드(20)가 유리면을 따라서 움직일 때 프레임(13)의 형태가 연속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프레임(13)의 형태가 변화함에 따라 스포일러 부재(27)의 형태도 변화할 수 있도록, 프레임(13)과 스포일러 부재의 부착부(27a) 사이의 결합은 상기 부착부(27a)의 가운데 한 지점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13)과 스포일러 부재의 부착부(27a) 사이의 결합은, 리벳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프레임(13)의 결합위치에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이 관통구멍 내로 부착부(27a)의 일부를 삽입 관통시켜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 및 우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20A)는, 브래킷으로서 경사진 브래킷(16)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 있어서만 상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20)와 상이하므로, 이어지는 설명은 제2 실시예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이루어진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의 변형 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20A)는, 상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20)와 마찬가지로, 유리면에 접촉되어 선회운동하면서 유리면을 닦아내는 와이퍼 스트립(11)과, 상기 와이퍼 스트립(11)이 결합되는 프레임(13)과, 와이퍼 암(도시생략)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3)의 중앙에 설치되는 브래킷(16)을 포함하고 있으며, 프레임(13)에 결합수단으로서의 복수개의 결합돌기(13a, 13b)가 형성되어 이 결합돌기(13a, 13b)에 와이퍼 스트립(11)을 결합시키고 있다.
또한, 본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20A)는, 자동차의 운행중 발생하는 바람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20A)가 유리면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3) 상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스포일러 부재(27)를 더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 있어서도 제2 실시예의 와이퍼 블레이드(20)와 동일하다.
다만, 상술한 제2 실시예의 브래킷(15)은 마주하는 한 쌍의 측벽부(15a, 15b)가 서로 동일한 형상, 즉 동일한 높이를 가져 바닥부(15c)가 한 쌍의 측벽부(15a, 15b)와 각각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에 비해, 본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브래킷(16)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서와 같이, 마주하는 한 쌍의 측벽부(16a, 16b)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다.
다시 말해, 본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있어서, 와이퍼 암(도시생략)에 연결될 수 있도록 프레임(13)의 중앙에 설치되는 상기 브래킷(16)은, 마주하는 한 쌍의 측벽부(16a, 16b)와, 한 쌍의 상기 측벽부(16a, 16b)의 하단 사이를 연결하는 바닥부(16c)와, 상기 바닥부(16c)로부터 아래쪽으로 절곡 연장되어 프레임(13)과 결합 되는 결합부(15d)와, 한 쌍의 상기 측벽부(16a, 16b)의 상부 사이를 연결하여 와이퍼 암(도시생략)과 결합되는 결합봉(15e)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 있어서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나, 본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브래킷(16)의 마주하는 한 쌍의 측벽부(16a, 16b)는 각각의 높이가 서로 달라, 바닥부(16c)가 한 쌍의 측벽부(16a, 16b)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에는 우측면도, (b)에는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30)는, 상술한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별개로 제작되는 스포일러 부재(27)를 사용하는 대신에, 자동차의 운행중 발생하는 바람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30)가 유리면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하고 와이퍼 스트립(11)을 유리면에 더욱 밀착시키는 스포일러 역할을 프레임(33)이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3 실시예의 와이퍼 블레이드(30)는, 브래킷으로서 경사진 브래킷(16)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나 와이퍼 스트립(11)으로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와이퍼 스트립(11)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A)와 동일하지만, 프레임(33)과 와이퍼 스트립(11) 사이의 결합구조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A)와 상이하므로, 이어지는 설명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30)는 바람에 의해 와이퍼 스트립(11)을 유리면에 더욱 밀착시키기 위해 경사진 브래킷(16)을 통하여 프레임(33)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33)이 경사지게 배치될 경우, 와이퍼 스트립(11)이 유리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접촉된다. 본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3)이 경사지더라도 와이퍼 스트립(11)이 유리면에 수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연결부재(39)를 개재하여 와이퍼 스트립(11)을 프레임(33)에 결합한다.
이를 위해서 제3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30)에 포함된 프레임(33)은, 상기 연결부재(39)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구멍(33c)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결합구멍(33c)은 프레임(33)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39)는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연결부재(39)의 상단 부분은 상기 결합구멍(33c)에 압축되어 삽입됨으로써 결합되고, 연결부재(39)의 하단 부분은 와이퍼 스트립(11)의 레일 홈(11a)에 끼워져 결합된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부재(39)의 상단 부분과 하단 부분은 서로 일정한 각도만큼 경사지도록 이루어지며, 이 각도는 경사진 브래킷(16)의 바닥부(16a)가 경사 진 각도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브래킷(16)에 의해서 프레임(33)이 경사지게 결합되어 있어도, 반대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만큼 경사진 연결부재(39)에 의해 와이퍼 스트립(11)은 경사 브래킷(16)의 측벽부(16a, 16b)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나아가서 와이퍼 스트립(11)은 유리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30)의 프레임(33)은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 개시된 프레임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도 좋고, 앞뒤의 폭이 대칭으로 이루지거나 앞 또는 뒤의 폭을 더욱 넓게 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4 및 도 15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 및 우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6의 (a) 및 (b)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프레임의 여러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제4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40)는, 상술한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자동차의 운행중 발생하는 바람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40)가 유리면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하고 와이퍼 스트립(11)을 유리면에 더욱 밀착시킬 수 있는 스포일러 역할을 수행하도록 별개로 제작되는 스포일러 부재(47)를 사용하는 한편, 프레임(43, 44)을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4 실시예의 와이퍼 블레이드(40)는, 브래킷으로서 경사지지 않은 브래킷(15)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나 와이퍼 스트립(11)으로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와이퍼 스트립(11)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20)와 동일하지만, 프레임(43, 44)의 소재가 달라짐에 따라 프레임(43, 44)과 와이퍼 스트립(11) 사이의 결합구조나 프레임(43, 44)과 스포일러 부재(47) 사이의 결합구조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20)와 상이하므로, 이어지는 설명은 제2 실시예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이루어진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4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40)에 사용되는 프레임(43, 44)은, 상부에는 스포일러 부재(47)가 결합될 수 있는 제1 결합 홈(43a, 44a)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와이퍼 스트립(11)이 결합될 수 있는 제2 결합 홈(43b, 44b)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결합시 상기 스포일러 부재(47)와 상기 프레임(43, 44)은, 상기 스포일러 부재(47)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인접하여 결합된다.
본 제4 실시예의 프레임(43, 44)과 스포일러 부재(47)는 모두 연질재료로 만들어져, 와이퍼 블레이드(40)가 유리면 상에서 회전할 때, 유리면의 곡면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프레임(43, 44)과 스포일러 부재(47)의 형상이 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프레임(43, 44) 내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프레임의 탄성력을 보강하기 위한 철심(43c, 44d)이 하나 이상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의 (a)에는 프레임(43) 내에 하나의 철심(43c)이 삽입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 고, 도 16의 (b)에는 프레임(44) 내에 2개의 철심(44d)이 삽입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을 가지는 프레임에 기존 와이퍼 스트립을 결합하여 만들어지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제공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퍼 블레이드의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해지고 조립에 소요되는 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하여 기존의 와이퍼 스트립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와이퍼 스트립의 제작에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Claims (3)

  1. 차량의 와이퍼 암에 결합되어 유리면을 닦는 와이퍼 블레이드(30)로서, 유리면에 접촉되며,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레일 홈(11a)을 구비하는 와이퍼 스트립(11)과; 상기 와이퍼 스트립(11)이 결합되며, 상기 와이퍼 스트립(11)을 상기 유리면에 밀착하기 위해 탄성력을 갖는 프레임(33)과; 상기 프레임(33)을 상기 와이퍼 암에 연결하기 위한 브래킷(16); 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33)은, 자동차의 운행중 발생하는 바람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30)가 유리면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하고 와이퍼 스트립(11)을 유리면에 더욱 밀착시키는 스포일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서로 상이한 높이의 마주하는 한 쌍의 측벽부(16a, 16b)를 가지는 브래킷(16)에 의해 유리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33)이 경사지더라도 상기 와이퍼 스트립(11)은 유리면에 수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33)의 경사방향과는 반대로 동일한 각도만큼 경사진 복수개의 연결부재(39)를 개재하여 상기 와이퍼 스트립(11)을 상기 프레임(33)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3)은, 상기 연결부재(39)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구멍(33c)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39)의 상단 부분은 상기 결합구멍(33c)에 압축되어 삽입됨으로써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39)의 하단 부분은 상기 와이퍼 스트립(11)의 레일 홈(11a)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3. 차량의 와이퍼 암에 결합되어 유리면을 닦는 와이퍼 블레이드(30)로서,
    유리면에 접촉되며,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레일 홈(11a)을 구비하는 와이퍼 스트립(11)과;
    자동차의 운행중 발생하는 바람에 의해 상기 와이퍼 스트립(11)이 유리면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와이퍼 스트립(11)을 유리면에 더욱 밀착시켜 스포일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리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장착되는 프레임(33)과;
    서로 상이한 높이의 마주하는 한 쌍의 측벽부(16a, 16b)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33)을 상기 와이퍼 암에 연결하기 위한 브래킷(16)과;
    상단 부분은 상기 프레임(33)에 결합되고 하단 부분은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레일 홈(11a)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33)과는 반대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만큼 경사진 복수개의 연결부재(39);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KR1020070084648A 2007-08-22 2007-08-22 와이퍼 블레이드 KR100807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648A KR100807333B1 (ko) 2007-08-22 2007-08-22 와이퍼 블레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648A KR100807333B1 (ko) 2007-08-22 2007-08-22 와이퍼 블레이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607A Division KR100813645B1 (ko) 2006-08-10 2006-08-10 와이퍼 블레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716A KR20080014716A (ko) 2008-02-14
KR100807333B1 true KR100807333B1 (ko) 2008-02-28

Family

ID=39341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648A KR100807333B1 (ko) 2007-08-22 2007-08-22 와이퍼 블레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73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985B1 (ko) * 2008-11-03 2011-02-14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와이퍼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2160A (ja) * 1994-03-04 1995-09-19 Toyota Motor Corp ワイパーブレード
JP3221999B2 (ja) * 1993-12-24 2001-10-22 アスモ株式会社 ウインター用ワイパブレード
JP2005319964A (ja) * 2004-05-11 2005-11-17 Mitsuba Corp ワイパブレード
JP2006103563A (ja) * 2004-10-07 2006-04-20 Ichikoh Ind Ltd ワイパーブレー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1999B2 (ja) * 1993-12-24 2001-10-22 アスモ株式会社 ウインター用ワイパブレード
JPH07242160A (ja) * 1994-03-04 1995-09-19 Toyota Motor Corp ワイパーブレード
JP2005319964A (ja) * 2004-05-11 2005-11-17 Mitsuba Corp ワイパブレード
JP2006103563A (ja) * 2004-10-07 2006-04-20 Ichikoh Ind Ltd ワイパーブレ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716A (ko) 200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3623B1 (ko) 와이퍼 블레이드
JP4674201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
CA2569176C (en) Wiper blade
US9421948B2 (en) Wiper blade
US8220105B2 (en) Windscreen wiper blade comprising a support frame, an inner spine and a linking element
EP2287052B1 (en) Method of assembling metal clamp and body springs of wiper blade for vehicle
US20140196241A1 (en) Flat wiper blade assembly
KR20100002098A (ko) 유리창용 와이퍼장치
CN102083660B (zh) 风挡刮雨器装置
US8276239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CN101618710A (zh) 雨刷片
KR100807334B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100807333B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100813645B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100676957B1 (ko) 플랫형 와이퍼 블레이드
KR101328544B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100599010B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102037805B1 (ko) 자동차용 와이퍼
JP2005319963A (ja) ワイパブレード
CN107000694B (zh) 玻璃板刮水装置
KR200445232Y1 (ko) 스포일러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
CN105459962A (zh) 刮水板及其转接器
KR200332500Y1 (ko) 와이퍼 블레이드의 스프링 레일 감합장치
KR200322396Y1 (ko) 개선된 버터브라를 갖는 자동차용 윈도우 와이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