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923B1 - 지게차의 안전 작동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압회로 - Google Patents

지게차의 안전 작동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923B1
KR100806923B1 KR1020070064727A KR20070064727A KR100806923B1 KR 100806923 B1 KR100806923 B1 KR 100806923B1 KR 1020070064727 A KR1020070064727 A KR 1020070064727A KR 20070064727 A KR20070064727 A KR 20070064727A KR 100806923 B1 KR100806923 B1 KR 100806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valve
line
lift
valve
working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4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카한일유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카한일유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카한일유압
Priority to KR1020070064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9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부재상태를 전달받아 작동유체의 공급방향을 제어할 수 있으며, 중량물의 중량하중에 의한 포크의 침하량을 감소시키고, 제2솔레노이드밸브의 고장으로 인한 작동불능 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지게차의 안전 작동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압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펌프의 작동으로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센터바이패스와, 센터바이패스에 이격된 상태로 저장탱크로 작동유체를 회수하는 탱크라인과, 센터바이패스 및 탱크라인을 연결하는 드레인라인을 개폐하는 언로딩 기능이 내장된 릴리프밸브 및 릴리프밸브의 드레인라인에 연결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로 형성된 주입회로부와, 센터바이패스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동방향을 제어하여 리프트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스풀과, 스풀의 드레인라인에 연결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가 형성되며, 제2솔레노이드밸브에 연결되어 작동신호를 전달받으며 스풀 및 탱크라인을 연결하여 리프트실린더에 공급 및 배출을 위한 작동유체의 통로인 유압라인이 탱크라인측으로 개방되게 연결시키는 리프트홀딩밸브로 형성된 리프트회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게차, 포크, 솔레노이드밸브, 니들밸브, 바이패스, 시그널라인, 침하

Description

지게차의 안전 작동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압회로{Solenoid valve control oil-hydraulic circuit of forklift truck}
도 1a 및 1b는 종래의 리프트유압회로의 포크하강 및 상승상태의 유압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유압회로의 운전자가 있는 상태에서 포크상승하는 상태의 유압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유압회로의 운전자가 없는 상태에서 포크하강하는 상태의 유압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센터바이패스 11 : 유압펌프
20 : 탱크라인 21 : 저장탱크
30 : 주입회로부 31 : 드레인라인
32 : 릴리프밸브 33 : 드레인라인
34 : 제1솔레노이드밸브 35 : 제1시그널회로
40 : 스풀 41,42 : 드레인라인
50 : 리프트회로부 51 : 제2솔레노이드밸브
52 : 유압라인 53 : 리프트홀딩밸브
54 : 니들밸브 55 : 제2시그널회로
100 : 제어회로 200 : 의자
201 : 스위치 300 : 리프트실린더
301 : 실린더 302 : 실린더로드
303 : 포크
본 발명은 지게차의 유압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게차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부재상태를 전달받아 작동유체의 공급방향을 제어할 수 있으며, 중량물의 중량하중에 의한 포크의 침하량을 감소시키고, 제2솔레노이드의 고장으로 인한 작동불능 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지게차의 안전 작동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압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중량물을 들어올리고, 내리거나 또는 이것을 제한된 공간내에서 원하는 위치로 운반하는데 이용되는 것으로,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시스템을 갖는다. 이 유압시스템은 작동유를 발생시키는 유압펌프와, 작동유의 운동방향 및 유량을 제어하는 유압제어 밸브, 및 기계적인 일을 하는 유압 엑츄에이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지게차의 전방에는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마스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마스트는 상하로 움직이며 화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작동을 하게 되 며, 이때 장비의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 마스트를 후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하는 틸팅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게차의 리프트유압회로의 전형적인 일예가 도 1a 내지 1c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리프트유압회로(1)는 유압펌프(2a)의 작동으로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센터바이패스(2)와, 센터바이패스(2)에 이격된 상태로 저장탱크(3a)로 작동유체를 회수하는 탱크라인(3)과, 센터바이패스(2) 및 탱크라인(3)을 연결하는 드레인라인(4a)을 개폐하는 릴리프밸브(4b)로 형성된 주입회로부(4)와, 센터바이패스(2)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동방향을 제어하여 리프트실린더(300)를 작동시키는 스풀(5)과, 스풀(5)의 드레인라인(5a)을 통해 탱크라인(3)으로 연결되며 리프트실린더(300)에 공급 및 배출을 위한 작동유체의 통로인 유압라인(6a)으로 형성된 리프트회로부(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리프트유압회로(1)는 유압펌프(2a)를 작동시키게 되면 작동유체가 센터바이패스(2)를 따라 유동된다.
이때, 릴리프밸브(4b)는 드레인라인(4a)를 차단하여 센터바이패스(2)의 작동유체가 리프트회로부(6)로 이동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스풀(5)을 작동시키게 되면 센터바이패스(2)를 유동하는 작동유체가 유압라인(6a)를 통해 리프트실린더(300)의 실린더(301)로 유입되어 실린더로드(302)를 밀게되어 포크(303)가 상승하게 된다.
반면, 포크(303)을 하강시킬 경우에는 스풀(5)을 반대로 작동시켜 실린 더(301)에 충진되었던 작동유체가 유압라인(6a), 스풀(5)을 순차적으로 유동한 후 드레인라인(5a)로 이동되어 탱크라인(3)을 따라 저장탱크(3a)로 회수되게 된다.
아울러, 지게차는 운전대기상태를 유지하고 유압펌프(2a)가 작동될 경우에는 센터바이패스(2)를 통해 이동된 뒤 저장탱크(3a)로 회수되어 지게차의 작동을 위한 레바를 작동시키면 센터바이패스(2)를 통해 이동되던 작동유체는 스풀(5)을 통하여 실린더(301)로 공급되어 포크(303)의 움직임을 유발하게 되어 원하지 않는 작동을 할수 있게 된다.
또한, 포크(303)가 중량물을 들어올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포크(303) 및 중량물의 자체하중에 의해 실린더(301)에 충진되었던 작동유체가 자연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작동유체의 자연배출현상으로 인해 실린더로드(302)가 밀려 포크(303)의 침하현상이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중량물의 하중이 무거울 경우에는 포크(303)의 침하량이 증가됨은 물론 가속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솔레노이드 밸브에 입력되는 신호로 지게차의 운전자 부재상태를 구분할 수 있으며, 입력된 신호에 따라서 펌프에서 공급되는 유압유의 공급 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 언로딩 기능이 내장된 릴리프 밸브를 내장하여 리프트/틸트 스풀의 레버 작동시 엑츄에이터로 유압유의 공급을 결정할 수 있는 지게차의 안전 작동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압회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량물 작업시 발생될 수 있는 리프트 포크의 침하량을 줄이기 위한 리프트 홀딩 밸브를 내장하는 것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솔레노이드 밸브에 입력되는 신호로 지게차 운전자의 부재상태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신호에 따라 리프트 포크의 하강을 결정할 수 있는 리프트 홀딩 밸브 장치 내장하는 것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솔레노이드 밸브 및 전기장치의 고장으로 인한 리프트 엑츄에이터의 작동 불능 상태를 막기 위한 비상용 니들 밸브를 내장하여 지게차 운전자의 부재상태에 따라 컨트롤 밸브에 내장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하여 스풀 작동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는 장치로 작업장치의 안전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게차의 안전 작동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압회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게차의 포크의 리프트제어를 위한 유압회로에 있어서,
유압펌프의 작동으로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센터바이패스와,
센터바이패스에 이격된 상태로 저장탱크로 작동유체를 회수하는 탱크라인과,
센터바이패스 및 탱크라인을 연결하는 드레인라인을 개폐하며 언로딩 기능을 하는 릴리프밸브 및 릴리프밸브의 드레인라인에 연결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로 형성된 주입회로부와,
센터바이패스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동방향을 제어하여 리프트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스풀과,
스풀의 드레인라인에 연결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가 형성되며, 제2솔레노이드밸브에 연결되어 작동신호를 전달받으며 스풀 및 탱크라인을 연결하여 리프트실린더에 공급 및 배출을 위한 작동유체의 통로인 유압라인이 탱크라인측으로 개방되게 연결시키는 리프트홀딩밸브로 형성된 리프트회로부로 이루어져, 밸브블록내에 내장형으로 설치가능하고, 릴리프밸브에 의해 작동유체를 탱크라인으로 언로딩 가능하며, 제2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포크의 침하량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는 의자의 하강 및 상승에 의해 온/오프되는 스위치의 신호를 받는 각각의 제1시그널회로에 연결되어, 스위치의 온 상태에서 탱크라인측의 방향으로 드레인라인을 폐쇄하고, 오프 상태에서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는 의자의 하강 및 상승에 의해 온/오프되는 스위치의 신호를 받는 각각의 제2시그널회로에 연결되어, 스위치의 온 상태에서 스풀측의 방향으로 드레인라인을 개방하고, 오프 상태에서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불능시에는 양끝단을 바이패스 시키 도록 연결되는 동시에 유압라인에 연결되어 리프트실린더내의 작동유체를 강제배출 하여 포크를 하강시킬 수 있는 니들밸브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안전 작동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압회로를 제공한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유압회로의 운전자가 있는 상태에서 포크상승하는 상태의 유압회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유압회로의 운전자가 없는 상태에서 포크하강하는 상태의 유압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게차의 안전 작동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압회로는 유압펌프(11)의 작동으로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센터바이패스(10)가 밸브블록(12)의 내부에 형성된다.
더불어, 밸브블록(12)의 내부에는 센터바이패스(10)에 이격된 상태로 저장탱크(21)로 작동유체를 회수하는 탱크라인(20)이 형성된다.
여기서, 탱크라인(20)은 리프트스풀(40), 틸트스풀(도면번호 미도시)의 작동 후 유동되는 유체가 저장탱크(21)로 회수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유압펌프(11)의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주입회로부(30)가 구성된다.
이러한, 주입회로부(30)는 밸브블록(12)의 부분중 유압펌프(11)에 연결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센터바이패스(10) 및 탱크라인(20)을 연결하는 드레인라인(31)이 형성된다.
한편, 드레인라인(31)을 개폐하며 언로딩 기능을 하는 릴리프밸브(32) 및 릴 리프밸브(32)의 드레인라인(33)에 연결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34)로 구성된다.
이때, 제1솔레노이드밸브(34)는 의자(200)의 하강 및 상승에 의해 온/오프되는 스위치(201)의 신호를 받는 각각의 제1시그널회로(35)에 연결된다.
아울러, 제1솔레노이드밸브(34)는 스위치(201)의 온 상태에서 드레인라인(33)을 폐쇄하고, 오프 상태에서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센터바이패스(10)를 따라 유동되는 작동유체의 흐름방향을 변화시키는 스풀(40)이 구성된다.
즉, 스풀(40)은 센터바이패스(10)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동방향을 제어하여 리프트실린더(30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더불어, 스풀(40)을 포함하여 리프트회로부(50)가 구성된다.
이러한, 스풀(40)에 형성된 드레인라인(41)에 연결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51)가 구성된다.
이때, 제2솔레노이드밸브(51)는 의자(200)의 하강 및 상승에 의해 온/오프되는 스위치(201)의 신호를 받는 각각의 제2시그널회로(55)에 연결된다.
그리고, 스위치(201)의 온 상태에서 드레인라인(41)을 개방하고, 오프 상태에서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솔레노이드밸브(51)에 연결되어 작동신호를 전달받으며 스풀(40) 및 탱크라인(20)을 연결하여 리프트실린더(300)에 공급 및 배출을 위한 작동유체의 통로인 유압라인(52)이 탱크라인(20)측으로 개방되게 연결시키는 리프트홀딩밸브(53)가 형성된다.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51)의 작동 불능시에는 양끝단을 바이패스 시키도록 연결되는 동시에 유압라인(52)에 연결되어 리프트실린더(300)내의 작동유체를 강제배출 하는 니들밸브(54)가 더 포함되어 제어회로(100)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게차의 운전자가 의자(200)에 착석했을 때의 작동을 살펴보면, 제어회로(100)는 지게차가 운전상태를 유지하며 유압펌프(11)가 작동되어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상태로 유지한다.
이때, 지게차의 의자(200)에 운전자가 앉게 되어 의자(200)가 하강하게 되면 스위치(201)가 접점되어 연결상태를 유지하며 제1,2시그널회로(35,55)에 연결된 제1솔레노이드밸브(34)는 폐쇄상태로 되고, 제2솔레노이드밸브(51)는 드레인라인(41)을 연결하는 개방상태가 된다.
부연 설명하자면, 제1솔레노이드밸브(34)는 릴리프밸브(32)를 기준으로 탱크라인(20)방향으로 작동유체가 유동되지 못하도록 폐쇄하는 것이다.
이때, 릴리프밸브(32)는 드레인라인(31)을 통해 센터바이패스(10)의 작동유체가 탱크라인(20)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폐쇄된다.
이러한, 릴리프밸브(32)가 일차적으로 드레인라인(31)을 폐쇄시켜 센터바이패스(10)를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가 탱크라인(20)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동에 필요한 유압력의 손실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제1솔레노이드밸브(34)가 드레인라인(33)을 이차적으로 차단하여 릴리프밸브(32)의 이상이나 고장으로 인해 드레인라인(31)을 폐쇄하지 못한 상태를 유 지하더라도 작동유체가 탱크라인(20)으로 배출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작동에 필요한 유압력의 손실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 제2솔레노이드밸브(51)는 드레인라인(41)을 개방시켜 스풀(40)로 작동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솔레노이드밸브(51)에 연결된 리프트홀딩밸브(53)는 리프트실린더(300)의 실린더(301)에 존재하던 작동유체가 유압라인(52)를 통해 스풀(40)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폐쇄하는 동시에 리프트홀딩밸브(53)에 의해 경로가 차단된 작동유체는 우회하여 제2솔레노이드밸브(51)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풀(40)을 작동시키게 되면 작동유체가 유압라인(52)를 따라 흐르면서 리프트홀딩밸브(53)를 거쳐 리프트실린더(300)의 실린더(301)로 유입되어 실린더로드(302)를 상승시키게 되어 포크(303)가 실린더로드(302)를 따라 상부로 이동되어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포크(303)를 하강시킬 경우 스풀(40)을 작동시켜 유압라인(52)을 드레인라인(42)과 연결시키며, 포크(303)의 자중에 의해 리프트실린더(300)의 실린더(301)에 존재하는 작동동유체가 유압라인(52)를 통해 유입된 후 탱크라인(20)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게차가 운전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유압펌프(11)가 작동되어 작동유체를 공급받는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운전자가 의자(200)에 부재상태일 때의 작동을 살펴보면, 운전자가 의자(200)에서 일어나게 되면 스위치(201)는 단락되면서 운전자의 부재상태를 제1,2시그널회로(35,55)를 통해 제1,2솔레노이드밸브(34,51)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릴리프밸브(32)는 드레인라인(31)을 개방하고, 제1솔레노이드밸브(34)는 드레인라인(33)을 개방시키는 상태로 전환되어 센터바이패스(10)을 따라 흐르는 작동유체가 드레인라인(31)으로 유입된 후 릴리프밸브(32)를 통해 탱크라인(20)으로 유입되어 저장탱크(21)로 회수되는 것이다.
더불어, 드레인라인(31)으로 유입된 작동유체 중 릴리프밸브(32)로 유입되지 못하는 일부 작동유체는 드레인라인(33)으로 유입되어 제1솔레노이드밸브(34)를 통해 탱크라인(20)으로 회수된다.
이로써, 운전자가 부재중일 경우에는 센터바이패스(10)로 유입되는 작동유체를 탱크라인(20)으로 배출시켜 의자(200)에 운전자가 없는 상태에서 지게차의 작동을 위한 레바 등을 작동시키더라도 작동에 필요한 작동유稚셈◎유압력이 부족하게 되어 작동이 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지게차의 운전자가 아닌 비운전자의 실수나 호기심으로 인한 레바의 작동시 지게차의 포크(303)의 승강작동 및 틸트작동, 엑츄에이터의 작동이 이루어 지지 않게 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그리고, 제2솔레노이드밸브(51)는 드레인라인(41)을 폐쇄시켜 스풀(40)로 작동유체가 유입될 수 없는 상태로 되는 것이다.
즉, 제2솔레노이드밸브(51)에 연결된 리프트홀딩밸브(53)는 리프트실린더(300)의 실린더(301)에 존재하던 작동유체가 유압라인(52)를 통해 스풀(40)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폐쇄하는 동시에 리프트홀딩밸브(53)에 의해 경로가 차단된 작동 유체는 우회하여 제2솔레노이드밸브(51)로 유입된 후 스풀(40)을 지나 드레인라인(42)로 유동되어 탱크라인(20)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지게차가 중량물을 포크(303)를 이용하여 들어올린 상태로 지게차의 운전자가 부재상태를 이루면 리프트실린더(300)의 실린더(301) 내부에 충만되어진 작동유체가 중량물 및 포크(303)의 무게에 의해 유압라인(52)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부연 설명하자면, 중량물 및 포크(303)의 무게에 의해 유압라인(52)을 통해 자연배출 되는 작동유체가 리프트홀딩밸브(53)에 의해 스풀(40)로 유입되어 배출되는 것을 일차적으로 차단한다.
더불어, 리프트홀딩밸브(53)에 의해 경로가 차단된 작동유체가 방향전환되어 제2솔레노이드밸브(51)로 유입되더라도 드레인라인(41)을 폐쇄하는 상태로 유지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51)에 의해 이차적으로 차단된다.
이로써, 중량물 및 포크(303)의 무게에 의해 작동유체의 배출을 차단하여 상승상태의 중량물 포크(303)의 자연침하에 의한 침하량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작동유체의 배출을 차단하여 중량물 」◎포크(303)가 하강되어 발생될 수 있는 낙하사고 및 낙하에 의한 파손사고, 그리고 지게차 장비의 파손현상 등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작업장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포크(303)가 상승된 상태이며 운전자의 부재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제2솔레노이드밸브(51)가 이상이나 고장으로 인하여 리프트홀딩밸브(53)가 작동되 지 않을 경우에는 니들밸브(54)를 개방시켜 리프트실린더(300)의 실린더(301)에 존재하는 작동유체를 드레인라인(42)을 통해 강제배출시켜 포크(303)를 서서히 안정된 상태로 하강시켜 수리 및 유지보수를 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포크(303)가 상승된 상태로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수리를 위해 포크(303)의 하부로 기술자가 들어가 수리작업시 포크(303)의 낙하의 위험성을 제거하여 안전하게 수리 및 유지보수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기존의 지게차의 밸브블록(12)의 내부에 제어회로(100)를 설치하는 내장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밸브블록(12)의 구조변경이나 체적이 변화가 발생되지 않아 제작비용 및 교체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리프트 포크의 중량물 작업 중 무분별한 하강 작동을 막기위하여 리프트 홀딩밸브와 솔레노이드 밸브를 내장하여 운전자의 부재시 컨트롤 밸브의 스풀을 작동하더라도 엑츄에이터는 작동을 하지 않도록 하여 작업장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릴리프 밸브와 솔레노이드 밸브를 연동하여 운전자의 부재시 펌프에 서 공급되는 유압유를 탱크로 유출시킬 수 있는 언로딩 기능을 구현하여 컨트롤 밸브의 스풀이 작동하여도 작업장치의 엑츄에이터는 작동하지 않으므로 지게차의 이상이나 고장으로 인한 정지 및 운전자의 부재상태에서 안전 작동하도록 컨트롤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지게차의 포크의 리프트제어를 위한 유압회로에 있어서,
    유압펌프(11)의 작동으로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센터바이패스(10)와,
    센터바이패스(10)에 이격된 상태로 저장탱크(21)로 작동유체를 회수하는 탱크라인(20)과,
    센터바이패스(10) 및 탱크라인(20)을 연결하는 드레인라인(31)을 개폐하며 언로딩 기능을 하는 릴리프밸브(32) 및 릴리프밸브(32)의 드레인라인(33)에 연결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34)로 형성된 주입회로부(30)와,
    센터바이패스(10)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동방향을 제어하여 리프트실린더(300)를 작동시키는 스풀(40)과,
    스풀(40)의 드레인라인(41)에 연결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51)가 형성되며, 제2솔레노이드밸브(51)에 연결되어 작동신호를 전달받으며 스풀(40) 및 탱크라인(20)을 연결하여 리프트실린더(300)에 공급 및 배출을 위한 작동유체의 통로인 유압라인(52)이 탱크라인(20)측으로 개방되게 연결시키는 리프트홀딩밸브(53)로 형성된 리프트회로부(50)로 이루어져, 밸브블록(12)내에 내장형으로 설치가능하고, 릴리프밸브(32)에 의해 작동유체를 탱크라인(20)으로 언로딩 가능하며, 제2솔레노이드밸브(51)에 의해 포크(303)의 침하량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안전 작동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압회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34)는 의자(200)의 하강 및 상승에 의해 온/오프되는 스위치(201)의 신호를 받는 제1시그널회로(35)에 연결되어, 스위치(201)의 온 상태에서 탱크라인(20)측의 방향으로 드레인라인(33)을 폐쇄하고, 오프 상태에서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안전 작동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압회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51)는 의자(200)의 하강 및 상승에 의해 온/오프되는 스위치(201)의 신호를 받는 제2시그널회로(55)에 연결되어, 스위치(201)의 온 상태에서 스풀(40)측의 방향으로 드레인라인(41)을 개방하고, 오프 상태에서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안전 작동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압회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51)의 작동불능시에는 양끝단을 바이패스 시키도록 연결되는 동시에 유압라인(52)에 연결되어 리프트실린더(300)내의 작동유체를 강제배출 하여 포크(303)를 하강시킬 수 있는 니들밸브(54)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안전 작동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압회로.
KR1020070064727A 2007-06-28 2007-06-28 지게차의 안전 작동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압회로 KR100806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727A KR100806923B1 (ko) 2007-06-28 2007-06-28 지게차의 안전 작동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727A KR100806923B1 (ko) 2007-06-28 2007-06-28 지게차의 안전 작동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압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6923B1 true KR100806923B1 (ko) 2008-02-22

Family

ID=39383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4727A KR100806923B1 (ko) 2007-06-28 2007-06-28 지게차의 안전 작동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9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199B1 (ko) * 2013-11-20 2014-12-31 대성나찌유압공업(주) 유압실린더 제어밸브
WO2018038548A1 (ko) * 2016-08-24 2018-03-01 주식회사 두산 지게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984A (ko) * 2001-09-24 2003-03-31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지게차의 마스트 자연침하 방지 유압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984A (ko) * 2001-09-24 2003-03-31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지게차의 마스트 자연침하 방지 유압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199B1 (ko) * 2013-11-20 2014-12-31 대성나찌유압공업(주) 유압실린더 제어밸브
WO2018038548A1 (ko) * 2016-08-24 2018-03-01 주식회사 두산 지게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2686B2 (en) Quick coupler
JP4890147B2 (ja) 油圧アクチュエータ回路の負荷保持装置
US4977635A (en) Control circuit for vertically storing dock leveler
KR100806923B1 (ko) 지게차의 안전 작동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유압회로
CN117382520B (zh) 一种货箱举升控制系统及工程机械
CN109642415A (zh) 工程机械
US11466434B2 (en) Hydraulic system
JP2013014914A (ja) 可動式キャブの非常降下装置
JP2006206205A (ja) リフティングマグネットを備えた作業機械の油圧制御回路
RU2638340C2 (ru) Способ наладки и эксплуатации погрузочной платформ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этого способа
KR100850301B1 (ko) 지게차의 유압시스템용 메인컨트롤밸브
US11753801B2 (en) Hydraulic drive system
JP5501776B2 (ja) 塵芥投入箱およびこれを備えた塵芥収集車
JP2007276943A (ja) 同時操作制限機構、及びフォークリフト
CN108779791B (zh) 液压系统
CN210066879U (zh) 轮式装载机的止动模式控制装置
CN101408210A (zh) 具有液压缸隔离阀的液压系统
JP4201152B2 (ja) 車両の油圧回路
JP5629449B2 (ja) 荷役装置
KR100813559B1 (ko) 지게차의 유압장치
JPWO2020202438A1 (ja) 電気式産業車両における油圧回路
KR101785474B1 (ko) 윙보디의 개폐 제어장치
JP6520092B2 (ja) クレーンの操作装置
JP7107151B2 (ja) 産業車両の油圧駆動装置
KR100777591B1 (ko) 지게차의 운전자 감응 하역장치 유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