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602B1 - 부품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602B1
KR100806602B1 KR1020070030096A KR20070030096A KR100806602B1 KR 100806602 B1 KR100806602 B1 KR 100806602B1 KR 1020070030096 A KR1020070030096 A KR 1020070030096A KR 20070030096 A KR20070030096 A KR 20070030096A KR 100806602 B1 KR100806602 B1 KR 100806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auxiliary
shaft
sensing
pol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0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우
Original Assignee
김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우 filed Critical 김건우
Priority to KR1020070030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1/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 B24B31/12Accessories; Protective equipment or safety devices; Installations for exhaustion of dust or for sound absorption specially adapted for machines covered by group B24B3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1/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 B24B31/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rotary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축의 도중에 회전연마통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설치하고, 부품탑재용 틀이 고정되는 보조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뒤틀리게 설치되면서 회전연마통 내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한쌍의 감지봉을 복수개소에 형성하되 각각의 감지봉에는 +,-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여 보조회전축에 장착된 부품이 틀로부터 이탈되어 감지봉에 접촉되었을때 감지봉의 출력전압이 가변되도록 하며,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정보에 따라 공기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감지봉에서 이상전압이 감지되면 구동모터를 정지시켜 연마동작이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므로서, 연마통 내의 온도를 부품의 연마가 잘 일어나는 온도로 증가시켜 연마시간을 현저히 단축 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연마품질이 월등히 향상되고, 안경부품이 장착되는 보조회전축을 뒤틀리게 결합함에 따라 안경부품의 연마속도가 더욱 증대되면서 연마품질이 향상되며, 연마대상이 되는 부품이 틀로부터 이탈되었을때 이를 신속히 감지하여 연마동작이 정지되도록 함에 따라 이탈된 부품에 의해 연마통 내의 모든 부품이 뒤엉키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연마통 내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고, 길이가 가변되는 축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보조회전축의 설치가 용이해지도록 한 부품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70030096
부품, 연마장치, 회전연마통, 회전축, 제어장치부, 온도센서, 감지수단, 축결합수단, 동력전달수단,

Description

부품 연마장치{Grinding device for parts}
도 1은 본 발명의 부품 연마장치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가열공기공급부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회전연마통의 측면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가열공기 공급부 및 회전통 지지축의 연결 및 지지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종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축결합수단을 보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축결합수단을 보인 분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동력전달수단을 보인 도면.
도 8 은 본 발명의 외형을 보인 도면.
도 9 는 본 발명의 회전연마통을 펼쳐놓았을때 보조회전축의 결합상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회전연마통, 2: 회전축,
3: 토출구멍, 4: 차단판,
5: 흡입구멍, 6: 필터,
7: 송풍기, 8: 공기가열부,
9: 회전조인트, 10: 지지대,
11: 베어링하우징, 14: 배출구,
15: 메인풀리, 17: 구동모터,
20: 보조회전축, 23: 유니버셜 조인트,
30: 제어장치부, 31: 온도센서,
40: 감지수단, 41,42: 감지봉,
60: 축결합수단, 70: 동력전달수단,
본 발명은 부품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마통 내의 온도를 부품의 연마가 잘 일어나는 온도로 증가시켜 연마시간을 현저히 단축 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연마품질이 월등히 향상되고, 부품이 장착되는 보조회전축을 뒤틀리게 결합함에 따라 부품의 연마속도가 더욱 증대되면서 연마품질이 향상되며, 연마대상이 되는 부품이 틀로부터 이탈되었을때 이를 신속히 감지하여 연마동작이 정지되도록 함에 따라 이탈된 부품에 의해 연마통 내의 모든 부품이 뒤엉키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연마통 내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고, 길이가 가변되는 축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보조회전축의 설치가 용이해지도록 한 부품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품 연마장치라 함은 안경부품(안경테포함)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전자부 품(예를들면 핸드폰 부품)의 표면을 매끄럽게 연마해주는 장치를 말한다.
본 출원인은 실용 2006-19902호(출원일: 2006. 7. 24)로서 안경부품 연마장치를 선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선출원된 종래기술은 회전연마통 내부의 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정밀하게 제어하기가 매우 어려웠고, 보조회전축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중심축 까지의 거리가 서로 달라지도록 보조회전축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중심축에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보조회전축에 장착된 부품을 연마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연마재를 회전연마통 내부에 내장시켜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고,
또한 보조회전축에 고정된 틀에 장착되어 있는 연마대상이 되는 부품이 틀로부터 이탈될경우 이를 감지하는 수단이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틀로 부터 이탈된 부품에 의해 회전연마통 내의 모든 부품이 엉키면서 파손될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에는 회전연마통 내부 구조물이 파손되어 연마기능을 상실하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보조회전축을 손쉽게 착탈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부품이 장착된 틀을 보조회전축에 결합하기가 어려워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전축의 도중에 회전연마통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설치하고, 부품탑재용 틀이 고정되는 보조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뒤틀리게 설치되면서 회전연마통 내부를 횡방향으로 가 로지르도록 한쌍의 감지봉을 복수개소에 형성하되 각각의 감지봉에는 +,-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여 보조회전축에 장착된 부품이 틀로부터 이탈되어 감지봉에 접촉되었을때 감지봉의 출력전압이 가변되도록 하며,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정보에 따라 공기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감지봉에서 이상전압이 감지되면 구동모터를 정지시켜 연마동작이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므로서, 연마통 내의 온도를 부품의 연마가 잘 일어나는 온도로 증가시켜 연마시간을 현저히 단축 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연마품질이 월등히 향상되고, 안경부품이 장착되는 보조회전축을 뒤틀리게 결합함에 따라 안경부품의 연마속도가 더욱 증대되면서 연마품질이 향상되며, 연마대상이 되는 부품이 틀로부터 이탈되었을때 이를 신속히 감지하여 연마동작이 정지되도록 함에 따라 이탈된 부품에 의해 연마통 내의 모든 부품이 뒤엉키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연마통 내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고, 길이가 가변되는 축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보조회전축의 설치가 용이해지도록 한 부품 연마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의 단면도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회전연마통(1)은 회전축(2)과 완전히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축(2)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이 회전축(2)에 고정된 회전연마통(1)도 회전축(2)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2)은 중공축으로 구성되며, 회전연마통(1) 내부를 관통하고, 회전축(2)의 중심부분 내측은 차단판(4)으로 막혀서 좌,우측이 분리되며, 이는 일측의 회전축(2)에 형성된 토출 구멍(3)을 통해서 가열공기가 회전연마통(1) 내부로 송풍되도록 하고, 타측의 회전축(2)에 형성된 흡입구멍(5)을 통해서 냉각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역할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흡입구멍(5)의 외측에는 가열된 공기와 혼합된 연마재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마재 입자를 걸를 수 있는 필터(filter)(6)가 흡입구멍(5) 외주연부에 설치되어야 한다.
연마통(1) 내부로 공급된 공기는(화살표) 이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필요에 따라서 차단판(4) 반대측의 흡입공(5)을 통하여 중공회전축(2)의 배출구(14)로 유동한다.
물론 공기의 흡입배출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배출구측에는 배출팬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회전연마통(1)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공급하는 송풍기(7)와 이 송풍기(7)에 연결된 공기가열부(8)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열공기 공급부가 회전축(2)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가열공기 공급부는 회전조인트(9)(rotary joint)에 의해 회전축(2)과 결합된다. 즉, 상기 회전축(2)이 회전됨에도 불구하고 회전조인트(9)에 의해 결합된 가열공기 공급부는 설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은 지지대(10)에 고정설치되는 베어링 하우징(1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베어링 하우징(1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축(2)의 단부에 회전조인트(9)가 결합되고, 이 회전조인트(9)에 가열공기 공급부가 연결 설치된다.
한편, 상기 회전연마통(1)의 내부에는 연마대상이 되는 안경부품(안경테) 또는 핸드폰 부품이 장착되어지는 틀이 고정 결합되는 다수의 보조회전축(20)이 회전연마통(1)의 내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복수개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보조회전축(20)은 그 중심이 회전축(2)의 중심을 중심점으로 하는 원호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되, 보조회전축(20)의 양측 끝단이 원호상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보조회전축(20)이 삐뚤어지게 형성되고, 회전연마통(1)의 양측 벽면에는 삐뚤어지게 설치되는 보조회전축(20)을 잡아주기 위한 축결합수단(60)이 설치된다.
상기 보조회전축(20)의 결합상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보조회전축(20)의 양측 끝단이 회전연마통(1)의 측벽면에 설치되는 축결합수단(60)에 결합되는데, 회전연마통(1)의 일측에 설치되는 축결합수단(60)(실선도시부분)이 회전축(2)의 중심을 중심점으로 하는 원호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었다면 회전연마통(1)의 타측에 설치되는 축결합수단(60)(점선도시부분)은 동일한 원호상에 위치하면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므로서, 상기 축결합수단(60)에 끼워지는 보조회전축(20)이 비스듬히 삐뚤어지게 설치되는 것이다.
도 9 는 상기 회전연마통(1)을 펼쳐놓은 것을 가정하여 도시한 평면도로서, 회전연마통(1)의 측벽면에 설치되는 양측의 축결합수단(60)이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축결합수단(60)에 끼워져 설치되는 보조회전축(20)은 일정각도 비스듬하게 삐뚤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보조회전축(20)과 회전축(2)과의 거리는 모두 동일하다.
상기 설명과같이 보조회전축(20)을 일정각도 삐뚤어지게 설치하게되면 그 보조회전축(20)에 장착되는 틀에 끼워진 다수의 부품이 연마통(1) 내의 연마재와 접촉되는 면적 및 횟수가 많아지게되어 안경부품의 연마효율을 한 층 더 향상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며, 연마재 사용량을 현저히 줄여줄 수 있게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축(2)의 도중에 회전연마통(1)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31)를 설치하고, 회전연마통(1) 내부에 틀로부터 이탈된 부품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40)을 형성한다.
상기 감지수단(40)의 제 1 실시예로서, 상기 다수의 보조회전축(20) 사이에 위치하고, 보조회전축(20)과 동일한 방향으로 삐뚤어지면서 회전연마통(1) 내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한 한쌍의 감지봉(41)(42)을 복수개소에 형성하되 각각의 감지봉(41)(42)에는 +,-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여 보조회전축(20)에 장착된 부품이 틀로부터 이탈되어 감지봉(41)(42)에 접촉되었을때 감지봉(41,42)의 출력전압이 가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연마통(1)의 일측에 감지링(44)을 형성하고, 상기 감지봉(41)과 감지링(44)을 각각 연결선(43)으로 연결하여 전기적으로 도통되도록 하며, 상기 감지링(44) 표면에 밀착되어 구름작동하면서 감지링(44)에 흐르는 전압을 후설하는 제어장치부(30)로 공급하는 연결롤러(45)를 지지대(10)에 지지시켜 설 치하여 감지봉(41,42)의 출력전압이 감지링(44)과 연결롤러(45)를 통해 제어장치부(30)로 공급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40)의 제 2 실시예로서,
상기 다수의 보조회전축(20) 사이에 위치하고, 보조회전축(20)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면서 회전연마통(1) 내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한 한쌍의 감지봉(41)(42)을 복수개소에 형성하되 각각의 감지봉(41)(42)에는 +,-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여 보조회전축(20)에 장착된 부품이 틀로부터 이탈되어 감지봉(41)(42)에 접촉되었을때 감지봉(41,42)의 출력전압이 가변되도록 하며,
상기 회전축(2)의 외주면상에 제 1 내지 제 3 단자링(51~53)을 형성하되, 상기 제 1 단자링(51)을 연결선(43)으로서 감지봉(41)에 연결하고, 제 2 단자링(52)과 제 3 단자링(53)을 회전축(2)의 내부 공간을 통해 온도센서(31)와 연결하며, 상기 각각의 단자링(51~53)에 제어장치부(30)와 연결된 상태의 제 1 내지 제 3 브러쉬(54~56)를 접촉시켜 구성한다.
상기 설명된 감지수단(40)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를 동시에 사용하여도 무방하고, 또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감지수단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설명과 같이 온도센서(31) 및 감지봉(41,42)의 출력전압은 감지수단(40)에 의해 제어장치부(30)로 공급되고, 상기 제어장치부(30)는 상기 온도센서(31)에서 감지된 온도정보에 따라 공기가열부(8)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감지봉(41,42)에서 이상전압이 감지되면 구동모터(17)를 정지시켜 연마동작이 정지하도 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보조회전축(20)은 축결합수단(60)에 의해 회전연마통(1) 내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축결합수단(60)은
상기 회전연마통(1)의 양측 벽면 내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하우징(61)의 내부에 그 내주면상에 걸림턱(63)이 돌출 형성된 실린더(62)를 삽입하고, 상기 실린더(62) 내부에 결합봉(64)을 삽입하되, 상기 걸림턱(63)에 지지되도록 리턴스프링(66)을 내장시켜 결합봉(64)이 리턴스프링(66)에 의해 탄지되도록 하고, 상기 결합봉(64)의 일측에는 보조회전축(20)의 끝단이 끼워지기 위한 결합홈(65)을 형성하면서 타측에는 마감캡(67)을 볼트(68)로서 고정하여 결합봉(64)이 실린더(62)로 부터 빠지지 않도록 구성한다.
이에따라, 상기 보조회전축(20)을 회전연마통(1) 내부에 장착할때에는 보조회전축(20)의 일측 끝단을 회전연마통(1)의 양측 벽면에 각각 결합된 축결합수단(60) 중 일측의 축결합수단(60)의 결합홈(65)에 끼워준 후 타측의 축결합수단(60)의 결합봉(64)을 강하게 실린더(62) 내측으로 밀어넣으면서 보조회전축(20)의 타측 끝단부를 실린더(62) 내부로 삽입된 결합봉(64)의 결합홈(65)에 끼워주고, 이후 밀어넣었던 결합봉(64)이 다시 리턴스프링(66)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므로서 간편하게 보조회전축(20)을 설치할 수 있게된다.
한편, 상기 회전연마통(1)을 회전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회전축(2)의 일 측에 구동모터(17)로 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으로 구동하여 회전축(2)을 회전시키는 메인풀리(15)가 형성되고, 그 안쪽으로는 상기 회전축(2)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각각의 보조회전축(20)을 독립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전달수단(70)이 형성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70)은 회전연마통(1)의 일측에 직경이 회전연마통(1) 보다 다소 작은 회전판(71)이 회전연마통(1)에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판(71)의 일측면에는 각각의 보조회전축(20)에 대응하도록 다수의 위성스프로켓(73)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2)에는 축베어링(80)이 결합되며, 이 축베어링(80)의 외측에 상기 위성스프로켓(73)들과 타임벨트(75) 또는 체인으로 연결되기 위한 중심스프로켓(73)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축베어링(80)에 또다른 보조스프로켓(81)을 형성한 후 상기 보조스프로켓(81)을 지지대(10)에 고정 설치된 보조모터(82)에 체인으로 연결하여 보조모터(82)가 회전하지 않을 때에는 중심스프로켓(73)과 보조스프로켓(81)이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이에따라, 회전축(20)의 회전에 의해 회전연마통(1)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판(71)이 회전연마통(1)과 함께 회전하게되고, 상기 중심스프로켓(73)은 회전하지 않게되므로 각각의 위성스프로켓(73) 만이 타임벨트(75)에 걸리면서 자전하면서 보조회전축(20)을 회전시키게되는 것이다.
상기 보조모터(82)의 기능은 미도시된 작동스위치 조작에 의해 온동작하여 상기 보조스프로켓(81)을 회전시키는 것이며, 상기 보조스프로켓(81)이 회전하게되면 같은 축베어링(80)에 형성되어 있는 중심스프로켓(73)이 회전하게 되므로 타 임벨트(75)로 연결되어 있는 각각의 위성스프로켓(73)을 회전시킬 수 있게된다.
이러한 작동은 회전연마통(1) 내부에 보조회전축(20)을 끼우거나 떼어낼때 결합봉(64)의 결합홈(65)을 착탈이 용이한 위치로 조정하고자 할때 용이하게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회전축(20)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보조회전축(20)을 잡아주고 있는 일측의 축결합수단(60)과 위성스프로켓(73)의 사이에 유니버셜 조인트(23)를 개재하여 상기 위성스프로켓(73)의 회전력이 보조회전축(20)에 정상적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연마통(1) 내부에는 보조회전축(20)에 장착된 부품(안경테, 핸드폰부품 등)을 연마하기 위한 작은 알갱이 형태의 연마재가 내장된다.
한편, 상기 회전연마통(1)에는 덮개(1a)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데, 상기 덮개(1a)는 회전연마통(1) 내부에 부품을 장착할때 탈거되고, 덮개(1a)에는 연마재가 빠지지 않는 미세한 그물망이 쳐져있는 환기구(1b)가 형성되어 있어서 회전연마통(1) 내의 온도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회전연마통(1)의 덮개(1a)를 탈거시킨 상태에서 다수의 부품이 장착된 틀이 고정결합되어 있는 보조회전축(20)을 회전연마통(1)의 양측벽면에 형성되어 있는 축결합수단(60)에 고정시킨다.
상기 축결합수단(60)에 보조회전축(20)을 결합시킬때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조회전축(20)의 일측 단부를 회전연마통(1)의 양측 벽면에 각각 결합된 축결합수단(60) 중 일측의 축결합수단(60)의 결합홈(65)에 끼워준 후 타측의 축결합수단(60)의 결합봉(64)을 강하게 실린더(62) 내측으로 밀어넣으면서 보조회전축(20)의 타측 단부를 실린더(62) 내부로 삽입된 결합봉(64)의 결합홈(65)에 끼워주고, 이후 밀어넣었던 결합봉(64)이 다시 리턴스프링(66)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므로서 간편하게 보조회전축(20)을 설치한다.
보조회전축(20)의 설치가 완료되면 다시 덮개(1a)를 회전연마통(1)에 장착한 후 미도시된 스위치를 온동작시켜 연마장치를 작동시킨다.
스위치의 온동작에 의해 제어장치부(30)가 송풍기(7)와 공기가열부(8)를 작동시켜 회전연마통(1) 내부로 가열된 공기가 투입되도록 하며, 가열공기 투입에 의한 온도상태를 온도센서(31)가 감지한다.
상기 온도센서(31)의 감지정보는 감지수단(40)을 이루는 제 2 및 제 3 단자링(52,53)과 제 2 및 제3 브러쉬(55,56)에 의해 제어장치부(30)로 공급되며, 상기 제어장치부(30)는 온도센서(31)에 의해 감지된 온도정보를 이용하여 회전연마통(1) 내부가 설정온도(연마재에 의해 부품의 연마가 최적의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온도, 예를들면 40℃)로 상승할때까지 기다리며, 회전연마통(1) 내부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구동모터(17)를 작동시킨다.
상기 구동모터(17)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2)이 회전하면서 회전연마통(1)이 회전하게되고, 이와동시에 상기 회전축(2)에 설치되어 있는 중심스프로켓(73)이 회전하게되고, 상기 중심스프로켓(73)에 타임벨트(75)로 연결되어 있는 각각의 위성 스프로켓(74)이 회전하므로서, 회전연마통(1) 내의 보조회전축(20)이 회전하게된다.
이에따라, 회전연마통(1) 내부에 내장된 연마재가 보조회전축(20)에 장착된 상태로 회전하는 부품과 접촉하면서 연마하게되고,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조회전축(20)이 일정각도 삐뚤어지게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연마재와 부품의 접촉면적이 많아져 연마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며, 더욱이 초기부터 회전연마통(1) 내부의 온도를 연마 최적의 온도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연마를 실시함에 따라 연마효율을 종래에 비해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과 같이 연마가 이루어지는 도중 회전연마통(1) 내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게 되면 제어장치부(30)는 공기가열부(8)를 일시적으로 정지시켜 회전연마통(1) 내부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은 보조회전축(20)에 장착되어 있는 부품이 틀로부터 이탈되었을때 이를 감지하여 연마작업을 중지한다.
즉, 부품이 틀로부터 탈거되어 떨어지게되면, 부품이 감지봉(41,42)에 접촉하게되고, 이때, 상기 감지봉(41,42)에서는 부품의 접촉에 의하여 이상전압(펄스형태의 전압)이 발생되고, 그 전압은 연결선(43)을 통해 감지링(44) 및 연결롤러(45)로 공급되어 제어장치부(30)로 공급되거나 또는 연결선(43)을 통해 제 1 단자링(51) 및 제 1 브러쉬(54)를 통해 제어장치부(30)로 공급된다.
상기 설명과 같이 감지봉(41,42)에 의해 감지된 부품의 탈거상태가 감지수단(40)에 의해 제어장치부(30)에 공급되면, 제어장치부(30)는 탈거된 부품에 의해 보조회전축(20)에 장착되어 있는 다른 부품이 엉켜저 손상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그 즉시 구동모터(17)를 정지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부(30)는 일정시간 마다 상기 구동모터(17)를 정역회전시켜 부품 연마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10시간 동안 연마작업하도록 셋팅하게 되면, 제어장치부(30)는 일정시간(예를들면 30분 단위, 1시간 단위) 마다 구동모터(17)를 정역회전시켜 연마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회전축의 도중에 회전연마통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설치하고, 부품탑재용 틀이 고정되는 보조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뒤틀리게 설치되면서 회전연마통 내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한쌍의 감지봉을 복수개소에 형성하되 각각의 감지봉에는 +,-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여 보조회전축에 장착된 부품이 틀로부터 이탈되어 감지봉에 접촉되었을때 감지봉의 출력전압이 가변되도록 하며,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정보에 따라 공기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감지봉에서 이상전압이 감지되면 구동모터를 정지시켜 연마동작이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므로서, 연마통 내의 온도를 부품의 연마가 잘 일어나는 온도로 증가시켜 연마시간을 현저히 단축 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연마품질이 월등히 향상되고, 안경부품이 장착되는 보조 회전축을 뒤틀리게 결합함에 따라 안경부품의 연마속도가 더욱 증대되면서 연마품질이 향상되며, 연마대상이 되는 부품이 틀로부터 이탈되었을때 이를 신속히 감지하여 연마동작이 정지되도록 함에 따라 이탈된 부품에 의해 연마통 내의 모든 부품이 뒤엉키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연마통 내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고, 길이가 가변되는 축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보조회전축의 설치가 용이해지도록 한 부품 연마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5)

  1. 부품을 연마할 수 있는 회전연마통(1)의 회전축(2)에 토출구멍(3), 흡입구멍(5) 및 배출구(14)를 형성하고, 회전축(2)의 일단부에 가열공기를 연마통(1) 내부로 송풍공급하기 위한 공기가열부(8)가 연결된 송풍기(7)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연마통(1)의 내부에는 연마대상이 되는 부품이 장착되어지는 틀이 고정 결합되기 위한 다수의 보조회전축(20)이 회전연마통(1)의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복수개 설치된 부품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회전축(20)은 그 중심이 회전축(2)의 중심을 중심점으로 하는 원호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되, 보조회전축(20)의 양측 끝단이 원호상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보조회전축(20)이 삐뚤어지게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회전축(2)의 도중에 회전연마통(1)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31)를 설치하고,
    상기 다수의 보조회전축(2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보조회전축(20)과 동일한 방향으로 삐뚤어지게 회전연마통(1) 내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한쌍의 감지봉(41)(42)을 형성하되 각각의 감지봉(41)(42)에는 +,-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여 보조회전축(20)에 장착된 부품이 틀로부터 이탈되어 감지봉(41)(42)에 접촉되었을때 감지봉(41,42)의 출력전압이 가변되도록 하며,
    상기 회전연마통(1)의 일측에 온도센서(31) 및 감지봉(41,42)의 출력전압을 감지하여 제어장치부(30)로 공급하는 감지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온도센서(31)에서 감지된 온도정보에 따라 공기가열부(8)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감지봉(41,42)에서 이상전압이 감지되면 구동모터(17)를 정지시켜 연마동작이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부(3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연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40)은
    상기 회전연마통(1)의 일측에 감지링(44)을 형성하고, 상기 감지봉(41)과 감지링(44)을 각각 연결선(43)으로 연결하며, 지지대(10)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감지링(44) 표면에 밀착되어 구름작동하는 연결롤러(45)를 형성하여 감지봉의 출력전압이 감지링(44)과 연결롤러(45)를 통해 제어장치부(30)로 공급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연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40)은
    상기 회전축(2)의 외주면상에 제 1 내지 제 3 단자링(51~53)을 형성하되, 상기 제 1 단자링(51)을 연결선(43)으로서 감지봉(41)에 연결하고, 제 2 단자링(52)과 제 3 단자링(53)을 회전축(2)의 내부 공간을 통해 온도센서(31)와 연결하며, 상기 각각의 단자링(51~53)에 제어장치부(30)와 연결된 상태의 제 1 내지 제 3 브러쉬(54~56)를 접촉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연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회전축(20)은 회전연마통(1)의 양측에 형성된 축결합수단(60)에 의해 설치되되,
    상기 축결합수단(60)은
    상기 회전연마통(1)의 양측 벽면 내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하우징(61)의 내부에 그 내주면상에 걸림턱(63)이 돌출 형성된 실린더(62)를 삽입하고, 상기 실린더(62) 내부에 결합봉(64)을 삽입하되, 상기 걸림턱(63)에 지지되도록 리턴스프링(66)을 내장시켜 결합봉(64)이 리턴스프링(66)에 의해 탄지되도록 하고, 상기 결합봉(64)의 일측에는 보조회전축(20)의 끝단이 끼워지기 위한 결합홈(65)을 형성하면서 타측에는 마감캡(67)을 볼트(68)로서 고정하여 결합봉(64)이 실린더(62)로 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연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마통(1)을 회전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회전축(2)의 일측에 구동모터(17)로 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으로 구동하여 회전축(2)을 회전시키는 메인풀리(15)가 형성되고, 그 안쪽으로는 상기 회전축(2)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각각의 보조회전축(20)을 독립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전달수단(70)이 형성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70)은 회전연마통(1)의 일측에 직경이 회전연마통(1) 보 다 다소 작은 회전판(71)이 회전연마통(1)에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판(71)의 일측면에는 각각의 보조회전축(20)에 대응하도록 다수의 위성스프로켓(73)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2)에는 축베어링(80)이 결합되며, 이 축베어링(80)의 외측에 상기 위성스프로켓(73)들과 타임벨트(75) 또는 체인으로 연결되기 위한 중심스프로켓(73)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축베어링(80)에 또다른 보조스프로켓(81)을 형성한 후 상기 보조스프로켓(81)을 지지대(10)에 고정 설치된 보조모터(82)에 체인으로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연마장치.
KR1020070030096A 2007-03-28 2007-03-28 부품 연마장치 KR100806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096A KR100806602B1 (ko) 2007-03-28 2007-03-28 부품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096A KR100806602B1 (ko) 2007-03-28 2007-03-28 부품 연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6602B1 true KR100806602B1 (ko) 2008-03-03

Family

ID=39397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0096A KR100806602B1 (ko) 2007-03-28 2007-03-28 부품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6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628A (ko) * 2014-02-27 2015-09-04 주식회사 소닉스 초음파 이용 고경도소재 형상 컷팅 장치
CN115026710A (zh) * 2022-07-07 2022-09-09 罗锐 一种金属加工用去毛刺装置
CN116494112A (zh) * 2023-06-30 2023-07-28 山西宁扬能源有限公司 一种水泵叶轮加工工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567Y1 (ko) * 1985-05-20 1989-03-11 최삼식 금속 안경테의 바렐 연마기
KR200186753Y1 (ko) 2000-01-25 2000-06-15 김건우 안경테 연마장치용 연마통
KR200302556Y1 (ko) 2002-11-14 2003-02-11 김건우 가열수단을 갖는 부품 연마장치
KR200433489Y1 (ko) 2006-07-24 2006-12-13 김건우 안경부품 연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567Y1 (ko) * 1985-05-20 1989-03-11 최삼식 금속 안경테의 바렐 연마기
KR200186753Y1 (ko) 2000-01-25 2000-06-15 김건우 안경테 연마장치용 연마통
KR200302556Y1 (ko) 2002-11-14 2003-02-11 김건우 가열수단을 갖는 부품 연마장치
KR200433489Y1 (ko) 2006-07-24 2006-12-13 김건우 안경부품 연마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628A (ko) * 2014-02-27 2015-09-04 주식회사 소닉스 초음파 이용 고경도소재 형상 컷팅 장치
CN115026710A (zh) * 2022-07-07 2022-09-09 罗锐 一种金属加工用去毛刺装置
CN115026710B (zh) * 2022-07-07 2024-05-24 东莞市湘雨燕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加工用去毛刺装置
CN116494112A (zh) * 2023-06-30 2023-07-28 山西宁扬能源有限公司 一种水泵叶轮加工工装
CN116494112B (zh) * 2023-06-30 2023-08-29 山西宁扬能源有限公司 一种水泵叶轮加工工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8274B2 (en) Surface cleaning machine
KR100806602B1 (ko) 부품 연마장치
CN104582554A (zh) 便携式鼓风机
RU2711159C1 (ru) Насадка пылесоса
KR200439658Y1 (ko) 탈거부품 감지기능을 갖는 부품 연마장치
TW201705894A (zh) 具有可旋轉支承之清潔滾筒的清潔裝置
JP2011083863A (ja) 自走式床ワックス剥離装置
FR3049451A1 (ko)
JP6121656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KR200433489Y1 (ko) 안경부품 연마장치
TWI253671B (en) Cleaning apparatus for flat display panel
KR101496008B1 (ko)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및 이 흡입구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
JP2017131526A (ja) 自律走行式掃除機
KR101450972B1 (ko) 자동 청소기
JPH07322981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H1133510A (ja) アップライト型掃除機
KR20160107964A (ko) 곡선형 파이프의 내부 연마기
JP2001204657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並びに電気掃除機
JP6051174B2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およびこの吸口体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200161653Y1 (ko) 업라이트청소기용 회전브러시
JP2000342495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並びに電気掃除機
JP3556825B2 (ja) サンダ
CN214132991U (zh) 一种led遮光条生产用清理装置
JP7104592B2 (ja) 電気掃除機
KR200227582Y1 (ko) 자동연마기의 브러시부착용 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