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222B1 - 스판덱스 와인더 개별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판덱스 와인더 개별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222B1
KR100806222B1 KR1020070120089A KR20070120089A KR100806222B1 KR 100806222 B1 KR100806222 B1 KR 100806222B1 KR 1020070120089 A KR1020070120089 A KR 1020070120089A KR 20070120089 A KR20070120089 A KR 20070120089A KR 100806222 B1 KR100806222 B1 KR 100806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individual
winder
spandex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0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윤
Original Assignee
(주)진성제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성제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진성제어시스템
Priority to KR1020070120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2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5/00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 Threading of roving into drafting machine
    • D01H5/18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without fallers or like pinned bars
    • D01H5/32Regulating or varying draf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31/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 mo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3/00Other 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details or accessories
    • D01H13/14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 motions ; Monitoring the entanglement of slivers in draf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3/00Other 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details or accessories
    • D01H13/32Counting, measuring, recording or regist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타킹이나 수영복 등을 위한 탄성섬유로 사용되는 스판덱스의 와인더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보빈이 장착된 복수의 와인더들이 집합되어 하나의 라인을 이루고, 수십에서 수백 라인을 갖춘 생산시설에서, 종래 각 라인별로 제어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하나의 라인에서는 한 종류의 스판덱스만을 생산할 수밖에 없었고,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라인 전체의 와인더가 정지되어야 하는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각 와인더 마다 개별 컨트롤러를 도입하고, 다수의 와인더 또는 한 라인 또는 복수 라인의 각 개별 컨트롤러(Individual Controller)와 통신하는 총괄 컨트롤러(Comprehensive Controller)를 도입함으로써 다품종 생산에 적합하며, 유지 보수시에는 해당 와인더만 정지시키면 되므로 생산에 차질이 없도록 할 수 있고, 총괄컨트롤러를 통한 라인별 및 와인더별 생산 및 설비 이력 관리가 가능하고, 적절한 데이터전송수단과 이더넷(Ethernet) 및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 원격지 모니터링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결국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스판덱스 와인더 개별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각각 스판덱스가 와인딩되는 복수의 보빈이 끼워지는 복수의 보빈홀더(Bobbin Holder), 상기 복수의 보빈홀더가 고정된 터렛(Turret), 상기 각 보빈홀더의 회전을 위한 제1구동수단과, 상기 터렛을 회전시켜 와인딩이 끝난 보빈의 배출을 돕는 제2구동수단, 그리고 미리 설정된 좌우폭 내에서 왕복 이동되어 실이 고르게 감길 수 있도록 하는 제3구동수단(Traverse Roller(TR))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와인더들; 상기 각 와인더 마다 구비되어 상기 제1, 2, 3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개별 컨트롤러; 사종조건을 상기 개별 컨트롤러에 지시하고, 상기 개별 컨트롤러를 통하여 상기 와인더의 상태를 감시하는 총괄 컨트롤러; 및 상기 개별 컨트롤러 및 상기 총괄 컨트롤러의 통신을 담당하는 데이터 전송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판덱스, 와인더, 트래버스 롤러, 컨트롤러, 개별, 총괄, 통신, 사종. 인버터, PLC

Description

스판덱스 와인더 개별 제어시스템{INDIVIDUAL CONTROL SYSTEM FOR SPANDEX WINDER}
본 발명은 스타킹이나 수영복 등을 위한 탄성섬유로 사용되는 스판덱스의 와인더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보빈이 장착된 복수의 와인더들이 집합되어 하나의 라인을 이루고, 수십에서 수백 라인을 갖춘 생산시설에서,
종래 각 라인별로 제어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하나의 라인에서는 한 종류의 스판덱스만을 생산할 수밖에 없었고,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라인 전체의 와인더가 정지되어야 하는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각 와인더 마다 개별 컨트롤러를 도입하고, 다수의 와인더 또는 한 라인 또는 복수 라인의 각 개별 컨트롤러(Individual Controller)와 통신하는 총괄 컨트롤러(Comprehensive Controller)를 도입함으로써
다품종 생산에 적합하며, 유지 보수시에는 해당 와인더만 정지시키면 되므로 생산에 차질이 없도록 할 수 있고, 총괄컨트롤러를 통한 라인별 및 와인더별 생산 및 설비 이력 관리가 가능하고, 적절한 데이터전송수단과 이더넷(Ethernet) 및 인 터넷을 통한 실시간 원격지 모니터링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결국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스판덱스 와인더 개별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판덱스(spandex)는 성분의 85% 이상이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계(Polyurethane) 탄성섬유를 총칭하며,
주로 스타킹, 양말의 목 부분, 수영복, 스키용 바지 등 스포츠용 의류나 캐주얼 바지 등 신축성이 필요한 곳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스판덱스 생산 공정에서 최종 와인딩과 관련하여, 종래에는 수십대의 와인더가 집합되어 이루어진 하나의 라인을 하나의 제어판넬로 제어하도록 설계되어 있었는데, 이는 단일 제품의 대량 생산에는 적합하지만,
수요의 다변화에 따라 다품종 소량 생산이 요청되는 현실에서는 부적합하고,
또 고장이나 유지보수시에는 라인 전체의 가동을 멈추어야 했으므로 생산이 중단되어 비용 손실이 과도하였다.
와인딩 또는 방적 공정의 제어와 관련한 종래 기술로는
아이알오피에이 악티엔게젤샤프트의 특허공개 제2004-0075933호(2004년08월30일) 『방적사 처리 시스템을 제어하고 그리고/또는 모니터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이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방적사 처리 시스템에서 시간 특정적이고 그리고 /또는 시간 임계적인 메시지 또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한정(definition) 및 안전(safety)을 최적화시킬 수 있고, 시스템 내의 구성부들과 상이한 펑션 유니트들 사이의 동기화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과는 직접적인 비교가 어렵다.
한편, 김종진 등의 실용신안등록 제0361561호(2004년09월01일) 『와인더용 스판덱스사 자동 비율제어장치』에서는 생산하고자 하는 실에 소정의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일반실과 스판덱스사를 함께 합사할 때 스판덱스의 비율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신속하고 간단하면서 자동으로 정밀하게 다단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이점이 제공되는 기계의 단계별로 정량카운터와 개별 인버터 구동 방식을 사용하여 스판덱스사의 비율을 자유롭고 확실하게 세팅을 할 수 있는 와인더용 스판덱스사 자동 비율제어장치를 제시하고 있으나, 역시 본 발명과 직접 대비에는 무리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 일반적인 라인별 단일 제어판넬에 의한 컨트롤 방식에서 벗어나,
각 와인더 마다 개별 컨트롤러(Individual Controller), 특히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와 구동수단을 이루는 모터 속도 제어를 위한 인버터 등으로 구성되어 이동성을 갖는 개별 컨트롤러를 도입하고,
상기 개별 컨트롤러(Individual Controller)와 통신하면서 복수의 와인더 또는 1 라인에 해당하는 와인더들 또는 복수 라인에 속한 와인더들을 제어하면서 사종(絲種) 조건 관리, 와인더 상태 감시, 생산이력감시, 그리고 실시간 모니터링 등의 특성이 구현된 총괄 컨트롤러(Comprehensive Controll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스판덱스 와인더 개별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총괄 및 개별 컨트롤러 상호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데이터 전송수단으로써 각각 FEP(Front-End Processor) 기능 및 게이트웨이(gateway)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제1, 2 서버를 포함하는 스판덱스 와인더 개별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판덱스 와인더 개별 제어시스템은
각각 스판덱스가 와인딩되는 복수의 보빈이 끼워지는 복수의 보빈홀더(Bobbin Holder), 상기 복수의 보빈홀더가 고정된 터렛(Turret), 상기 각 보빈홀더의 회전을 위한 제1구동수단과, 상기 터렛을 회전시켜 와인딩이 끝난 보빈의 배출을 돕는 제2구동수단, 그리고 미리 설정된 좌우폭 내에서 왕복 이동되어 실이 고 르게 감길 수 있도록 하는 제3구동수단(Traverse Roller(TR))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와인더들;
상기 각 와인더 마다 구비되어 상기 제1, 2, 3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개별 컨트롤러;
사종조건을 상기 개별 컨트롤러에 지시하고, 상기 개별 컨트롤러를 통하여 상기 와인더의 상태를 감시하는 총괄 컨트롤러; 및
상기 개별 컨트롤러 및 상기 총괄 컨트롤러의 통신을 담당하는 데이터 전송수단을 포함
사종조건을 상기 개별 컨트롤러에 지시하고, 상기 개별 컨트롤러를 통하여 상기 와인더의 상태를 감시하는 총괄 컨트롤러; 및
상기 개별 컨트롤러 및 상기 총괄 컨트롤러의 통신을 담당하는 데이터 전송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스판덱스 와인더 개별 제어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전송수단이 상기 총괄 컨트롤러측에 구비된 제1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서버는 총괄컨트롤러의 부하경감을 위하여 지령 및 감시 데이터 처리를 담당하는 FEP(Front-End Processor) 기능을 내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스판덱스 와인더 개별 제어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전송수단이 상기 개별 컨트롤러측에 구비된 제2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서버는 상기 제1서버와 통신하며 지령을 받아 상기 개별컨트롤러의 PLC 및 제1, 2 구동수단의 인버터를 제어하고, 상기 각 와인더의 상태값을 상기 제1서버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gateway) 기능을 내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판덱스 와인더 개별 제어시스템은 각 와인더 마다 개별 컨트롤러(Individual Controller), 특히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와 구동수단을 이루는 모터 속도 제어를 위한 인버터 등으로 구성되어 이동성을 갖는 개별 컨트롤러를 도입하고, 상기 개별 컨트롤러(Individual Controller)와 통신하면서 복수의 와인더 또는 1 라인에 해당하는 와인더들 또는 복수 라인에 속한 와인더들을 제어하면서 사종(絲種) 조건 관리, 와인더 상태 감시, 생산이력감시, 그리고 실시간 모니터링 등의 특성이 구현된 총괄 컨트롤러(Comprehensive Controll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스판덱스 와인더 개별 제어시스템을 제공하고, 여기에 총괄 및 개별 컨트롤러 상호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데이터 전송수단으로써 각각 FEP(Front-End Processor) 기능 및 게이트웨이(gateway)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제1, 2 서버를 포함하는 스판덱스 와인더 개별 제어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결국 본 발명은 종래 일반적인 라인별 단일 제어판넬에 의한 컨트롤 방식에서 피할 수 없는 라인별 단일 종류의 스판덱스 생산 한계점과,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라인 전체의 와인더가 정지되어야 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다품종 생산에 적합하며, 유지 보수시에는 해당 와인더만 정지시키면 되므로 생산에 차질이 없도록 할 수 있고, 총괄컨트롤러를 통한 라인별 및 와인더별 생산 및 설비 이력 관리가 가능하고, 적절한 데이터전송수단과 이더넷(Ethernet) 및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 원격지 모니터링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결국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개략적인 블록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판덱스 와인더 개별 제어시스템은 하나의 라인을 이루는 복수의 와인더(W) 각각에 구비된 개별 컨트롤러(Individual Controller)(IC),
상기 복수의 개별 컨트롤러, 한 라인 전체의 개별 컨트롤러, 또는 복수 라인의 개별 컨트롤러에 대하여 사종(絲種)조건 등을 지령하는 총괄 컨트롤러(Comprehensive Controller)(CC), 그리고 상기 두 컨트롤러의 통신을 담당하는 데이터 전송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와인더(W)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는데, 통상 12개 정도의 보빈(11)(특히, 지관(紙管)형태)이 끼워지는 복수의 보빈홀더(통상 2개)(10A,10B)가 터렛(15)에 구비되며,
자중에 의하여 낙하하는 스판덱스는 제3구동수단, 통상적으로 트래버스 롤러(Traverse Roller)(13)에 의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보빈에 감기게 된다.
이러한 와인더(W)는 실을 공급하는 고뎃 롤러(godet roller)로부터 공급되는 실을 안내할 수 있도록 일정한 폭을 주기로 왕복 이동하는 다수의 트래버스 롤러에 의하여 보빈에 스판덱스가 감기게 되는데, 도면에서 참조부호 '13'은 실질적으로 상기 트래버스 롤러를 미리 설정된 이동폭 내에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트래버스 캠(traverse cam)이 내장된 박스에 해당하며, 편의를 위하여 각 홀더에 구비된 보빈에 스판덱스가 감기도록 하는 프릭션롤러(Friction Roller)를 포함하는 공지된 구성을 생략한 것이다.
상기 보빈홀더(10A,10B)는 각각 제1구동수단(M1)(모터 및 동력전달수단(벨트나 기어)을 포함)에 의하여 선회되고, 상기 보빈홀더는 하나의 리볼루션 터렛(revolution drum)(15)에 상하, 두 개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의 보빈이 만권되면 제2구동수단(M2)에 의하여 터렛이 선회되어 하부의 보빈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새롭게 권취 작업이 수행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통상적인 와인더 마다 장착되어 상기 제1, 2 구동수단과 제3구동수단(트래버스 롤러) 등을 제어하는 개별 컨트롤러(IC)와, 다수의 개별 컨트롤러, 한 라인 전체의 개별 컨트롤러, 또는 복수 라인의 개별컨트롤러를 제어하는 총괄 컨트롤러(CC)를 구비한 특징이 핵심으로 한다.
특히 상기 개별 컨트롤러(IC)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와 구동수단, 특히 보빈홀더(10A,10B)를 위한 제1구동수단을 이루는 모터 속도 제어를 위한 인버터 등으로 구성되어 이동성을 가져 장착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판넬(panel) 로 구성된다.
또 상기 총괄 컨트롤러(CC)는 각 개별 컨트롤러, 결국은 각 와인더를 제어하면서 사종 생성 및 전송 등 사종(絲種) 조건 관리를 수행하고, 각 와인더 상태 감시, 생산이력감시, 그리고 실시간 모니터링 등의 특성이 구현되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상기 개별 컨트롤러 및 상기 총괄 컨트롤러의 통신을 담당하는 데이터 전송수단은 총괄 컨트롤러측 전송수단과 개별 컨트롤러측 전송수단을 분리하여 각각 구성하였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총괄 컨트롤러측에 구비된 전송수단인 제1서버(S1)가 총괄컨트롤러의 부하경감을 위하여 지령 및 감시 데이터 처리를 담당하는 FEP(Front-End Processor) 기능을 내장하고,
상기 개별 컨트롤러측에 구비된 전송수단 제2서버(S2)가 상기 제1서버와 통신하며 지령을 받아 상기 개별컨트롤러의 PLC 및 제1, 2 구동수단의 인버터를 제어하고, 상기 각 와인더의 상태값을 상기 제1서버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위(즉, 제1서버)의 이더넷(Ethernet) TCP/IP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주는 게이트웨이(gateway) 기능을 내장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시스템을 활용할 경우, 생산 대상 Spandex 사종을 만들기 위해 총괄 컨트롤러(CC)에서 구동수단, 특히 제1구동수단(M1)을 이루는 모터의 속도 및 시간, 권취량 등을 설정하여 사종 조건을 생성한 뒤, 생산하고자 하는 와인더(W) 위치 정보와 함께 제1서버(S1)로 전송한다.
상기 제1서버(S1)서 데이터를 받은 제1서버(S2)는 해당 와인더(W)를 제어하는 개별 컨트롤러(IC)를 검색하여 해당 제어 Panel이 위치하고 있는 개별 컨트롤러로 전송한다.
데이터를 전송 받은 개별 컨트롤러은 사종 조건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계적인 시퀀스와 모터의 가/감속 시간 등의 정보를 구비된 PLC로 전송하는 동시에, 해당 와인더 내부의 모터의 속도 정보 등을 해당 개별 컨트롤러의 Inverter로 전송하여 와인더의 제1구동수단을 이루는 모터를 제어하게 한다.
한편, 개별 컨트롤러에서 감지되는 매 시간의 운전 상태 값을 제2서버가 취합하여 다시 제1서버로 피드백 전송하게 되어 있으며, 제1서버는 총괄 컨트롤러 관할 영역(통상 하나의 라인) 내 모든 개별 컨트롤러의 이러한 정보를 취합하여 총괄 컨트롤러로 전송한다. 상기 제1서버가 총괄 컨트롤러에 구비된 수는 그 용량 및 제어 방식에 따라 하나에서부터 관할 제2서버와 동수로 구비되는 등 다양하게 선택될 수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총괄 컨트롤러에서 구동중인 응용프로그램들에 의해 데이터 가공이 되며, 필요에 따라 원격지 모니터링 PC에 의해 실시간 감시가 수행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스판덱스 와인더 개별 제어시스템을 활용할 경우에는 주파수 제어의 정밀성 향상과 패턴운전의 세분화 가능한데,
즉, 생산되는 스판덱스사를 보빈에 감는 과정에는 몇 가지 주의사항이 요구 되는데, 첫째 회전운동을 하는 보빈에 수직으로 낙하하는 스판덱스를 일정 폭(예: 43mm)을 주기로 좌우 왕복운동을 가해줌과 동시에 왕복 속도를 조금씩 가변 시켜 주어 실이 한 방향으로 몰려 감기는 현상을 방지하여야 하는데,
(여기서 '가변'이라 함은 단위시간 동안의 주파수 변화라 할 수 있고, 달리 "패턴"이라고 부를 수 있다)
종래 중앙집중식 단일 제어세스템에서는 그 한계로 인하여 패턴이 최대 6단계로 한정되어
(즉, 스판덱스사를 반권시킨 보빈 1 롤(roll)을 완성시키는데 소요되는 전체 시간을 6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별로 주파수 변동률을 달리 한다는 의미),
본 발명에서는 개별 컨트롤러에 PLC를 도입하여 패턴이 10단계로 확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파수 제어가 좀 더 정밀해졌으며, 좀 더 세분화된 패턴 운전으로 인해 다양한 권취 형태 및 안정된 권취 상태 보장, 그리고 하나의 보빈에 가능한 긴 스판덱스의 권취가 가능해졌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스판덱스 와인더 개별 제어시스템을 활용할 경우에는 제어 주파수 수치의 오차율 감소가 가능한데,
즉, 하나의 제어 판넬이 모든 와인더를 제어하는 기존의 중앙집중식 제어구조에서는 원격지의 모든 와인더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판넬과 와인더 간에 하드와이어링(Hard Wiring) 형태로 장거리 결선하였고, 이에 따라 전송로상의 아날로 그 제어 데이터들이 주변의 노이즈와 거리에 따른 신호감쇄에 취약한 문제를 안을 수밖에 없었던 것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런 문제를 제거하기 위해 각 와인더와 제어 판넬과의 거리를 2미터 이내로 최소화하여 노이즈 문제를 해결하였고, 이 제어 판넬들을 별도의 통신망. 즉, Ethernet 네트워크로 구성함에 따라 신호감쇄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였으며, 각종 제어수치의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를 완전히 해소하였다.
이상의 설명에서 공지된 스판덱스 제조공정, 와인더의 종류 및 구체 구조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구성을 갖는 제어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판덱스 와인더 개별 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W: 와인더 M1,M2: 구동수단
10A,10B: 보빈홀더 11: 보빈
13: 트래버스 롤러 15: 터렛
IC: 개별 컨트롤러 CC: 총괄 컨트롤러
S1,S2: 서버

Claims (3)

  1. 각각 스판덱스가 와인딩되는 복수의 보빈이 끼워지는 복수의 보빈홀더(Bobbin Holder), 상기 복수의 보빈홀더가 고정된 터렛(Turret), 상기 각 보빈홀 더의 회전을 위한 제1구동수단과, 상기 터렛을 회전시켜 와인딩이 끝난 보빈의 배출을 돕는 제2구동수단, 그리고 미리 설정된 좌우폭 내에서 왕복 이동되어 실이 고르게 감길 수 있도록 하는 제3구동수단(Traverse Roller(TR))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와인더들;
    상기 각 와인더 마다 구비되어 상기 제1, 2, 3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개별 컨트롤러;
    사종조건을 상기 개별 컨트롤러에 지시하고, 상기 개별 컨트롤러를 통하여 상기 와인더의 상태를 감시하는 총괄 컨트롤러; 및
    상기 개별 컨트롤러 및 상기 총괄 컨트롤러의 통신을 담당하는 데이터 전송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스판덱스 와인더 개별 제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수단은
    상기 총괄 컨트롤러측에 구비된 제1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서버는 총괄컨트롤러의 부하경감을 위하여 지령 및 감시 데이터 처리를 담당하는 FEP(Front-End Processor) 기능을 내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판덱스 와인더 개별 제어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수단은
    상기 개별 컨트롤러측에 구비된 제2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서버는 상기 제1서버와 통신하며 지령을 받아 상기 개별컨트롤러의 PLC 및 제1, 2 구동수단의 인버터를 제어하고, 상기 각 와인더의 상태값을 상기 제1서버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gateway) 기능을 내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판덱스 와인더 개별 제어시스템.
KR1020070120089A 2007-11-23 2007-11-23 스판덱스 와인더 개별 제어시스템 KR100806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089A KR100806222B1 (ko) 2007-11-23 2007-11-23 스판덱스 와인더 개별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089A KR100806222B1 (ko) 2007-11-23 2007-11-23 스판덱스 와인더 개별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6222B1 true KR100806222B1 (ko) 2008-02-22

Family

ID=39382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089A KR100806222B1 (ko) 2007-11-23 2007-11-23 스판덱스 와인더 개별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22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0159A (ja) * 1989-10-03 1991-05-22 Murata Mach Ltd ワインダのデータ収集装置
JPH07300278A (ja) * 1994-05-09 1995-11-14 Murata Mach Ltd ワインダの管理装置
JPH09235072A (ja) * 1996-03-01 1997-09-09 Teijin Seiki Co Ltd 巻取機の制御装置
KR19990083729A (ko) * 1999-07-05 1999-12-06 정운흥 스판덱스용원사권취장치및그방법
KR20040046361A (ko) * 2002-11-27 2004-06-05 정성욱 실 권취장치와 권취방법
KR200361561Y1 (ko) 2004-04-26 2004-09-14 김 종 진 와인더용 스판덱스사 자동 비율제어장치
KR20060111752A (ko) * 2005-04-25 2006-10-30 권영호 와인더의 권취장력 조절방법 및 조절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0159A (ja) * 1989-10-03 1991-05-22 Murata Mach Ltd ワインダのデータ収集装置
JPH07300278A (ja) * 1994-05-09 1995-11-14 Murata Mach Ltd ワインダの管理装置
JPH09235072A (ja) * 1996-03-01 1997-09-09 Teijin Seiki Co Ltd 巻取機の制御装置
KR19990083729A (ko) * 1999-07-05 1999-12-06 정운흥 스판덱스용원사권취장치및그방법
KR20040046361A (ko) * 2002-11-27 2004-06-05 정성욱 실 권취장치와 권취방법
KR200361561Y1 (ko) 2004-04-26 2004-09-14 김 종 진 와인더용 스판덱스사 자동 비율제어장치
KR20060111752A (ko) * 2005-04-25 2006-10-30 권영호 와인더의 권취장력 조절방법 및 조절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42915B2 (ja) 繊維処理プラント紡績工場および紡績機械
CN114164526B (zh) 用于优化转杯纺纱机的生产的方法
CN102445930B (zh) 一种粘胶长丝连续纺丝机的自动控制系统
CN106948050B (zh) 用于调整纺织机上的纱线批次生产的方法
EP2762617B1 (de) Verfahren zur Optimierung eines Partiewechsels an einer Offenend-Spinnmaschine
EP3549893A1 (en) Automatic winder, yarn winding system, and yarn winding method
CN105177774A (zh) 半自动自由端转杯纺纱机
JP2003535227A (ja) テクスチャード加工機の制御方法およびテクスチャード加工機
EP3312122B1 (en) Maintenance order adjustment system and method for textile machinery technical field
JP2016000657A (ja) 半自動式綾巻きパッケージ製造繊維機械
CN110609516B (zh) 带纱长计算的大圆机伺服送纱方法、系统及大圆机
KR100806222B1 (ko) 스판덱스 와인더 개별 제어시스템
TW201509784A (zh) 彈性紗進料之牽伸比控制方法
WO2013163914A1 (en) Spinning machine
CN106319698A (zh) 一种用于纺纱机中的纺纱区的方法及纺纱机中的纺纱区
CZ2015234A3 (cs) Způsob ukončení předení na pracovním místě rotorového dopřádacího stroje
CN115352035A (zh) 一种纤维缠绕丝嘴装置及运行方法
US6476570B1 (en) Device and process for controlling the motor drives of textile machines
EP3931382B1 (en) Ring spinning machine
CN112575433A (zh) 一种挂轴和经轴通用智能金属丝网织机
CN216335908U (zh) 用于管理纺织设备的系统
CN203158931U (zh) 高速线绳卷绕机的双卷线轴交换机构
US9725277B2 (en) Winding machine
CZ2014834A3 (cs) Způsob navíjení příze na křížovou cívku na pracovním místě rotorového dopřádacího stroje a zařízení k provádění způsobu
CN110835795A (zh) 亚麻湿纺细纱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