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946B1 - 압연 강판 선단부 휨 발생 저감방법 - Google Patents

압연 강판 선단부 휨 발생 저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946B1
KR100804946B1 KR1020070036119A KR20070036119A KR100804946B1 KR 100804946 B1 KR100804946 B1 KR 100804946B1 KR 1020070036119 A KR1020070036119 A KR 1020070036119A KR 20070036119 A KR20070036119 A KR 20070036119A KR 100804946 B1 KR100804946 B1 KR 100804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d steel
steel sheet
rolling
bend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명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70036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9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28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46Roll speed or drive motor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2Rear end control; Front en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75/00Mill drive parameters
    • B21B2275/02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 강판 선단부 휨 발생 저감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압연 강판을 압연기를 이용하여 연속으로 압연하는 후판압연공정에서 상기 압연 강판의 선단부 휨을 저감하는 방법에 있어서, 압연이 종료된 현재 압연 강판의 선단부 휨 높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선단부 휨 높이와 목표 휨 높이의 차이인 다음 압연 강판의 선단부에 대한 제어 휨 높이를 계산하는 제1 단계; 현재 압연 강판에 대하여 측정된 압연 정보와 다음 압연 강판에 대한 예측된 압연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다음 압연 강판이 휨 제어 대상 조건에 해당되는지 판정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다음 압연 강판이 휨 제어 대상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제어 휨 높이에 따라 상기 다음 압연 강판에 대한 휨 제어를 수행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압연 강판 선단부 휨 발생 저감방법을 제공한다.
휨(bending), 길이내기 압연, 이주속, 상하부롤, 압연패스

Description

압연 강판 선단부 휨 발생 저감방법{Method for reducing front-end bending of rolled steel plate}
도 1은 일반적인 상향 휨 및 하향 휨이 발생한 압연 강판의 선단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압연기에서의 이주속 압연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 강판 선단부 휨 발생 저감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4는 도 3의 휨 제어 대상 조건 판정 단계(S130)의 일례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강판 20: 상부롤
30: 하부롤 40: 롤러
본 발명은 압연 강판 선단부 휨 발생 저감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 게는 현재 압연 강판의 마무리 압연패스 후에 압연 강판에 발생한 휨 높이에 따라 다음 압연 강판의 마무리 압연패스에서의 이주속을 설정하여 압연 강판에 발생하는 선단부 휨을 저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 공정에서 강판의 압연시 압연 강판의 두께방향으로 상 하부간의 비대칭 압연 인자(asymmetry rolling factor)들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의 선단부가 위로 휘어지는 현상(up bending, 이하 '상향 휨'이라 함) 또는 아래로 휘어지는 현상(down bending, 이하 '하향 휨'이라 함)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비대칭 압연 인자로서, 예를 들어, 강판의 압연 중 상/하면의 온도차, 상/ 하면의 마찰차, 상/하면의 직경차, 상/하부롤의 주속차, 선단부 끝들림(pick-up 픽업)량의 차이, 롤 직경의 차이, 압연소재의 비대칭 단면 형상 등이 있다.
압연 강판의 선단부에 상향 휨이 발생하게 되면, 압연기를 통과한 강판의 선단부가 위로 휘는 현상이 지속되다가, 선행된 압연 강판의 자중에 의해 롤러 테이블(roller table)의 높이까지 하강함과 동시에 압연방향이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하향 휨이 발생하게 되면, 압연기를 통과하여 나온 압연 강판의 단부가 아래로 휘어져 진행하다가 롤러 테이블의 롤러와의 충돌을 일으키면서 압연 강판의 선단부가 롤러에 의해 구속을 받게 되고, 작업 롤과 압연 강판 사이에서는 슬립 현상과 하향 휨 발생에 의한 굽힘현상(turn down 또는 roll mark)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하향 휨 발생은 압연 강판에 휨 발생은 물론 롤마크가 연속적으로 판에 전사되어 판 변형을 유지하기 때문에, 후속 공정인 예비 교정(pre-levelling)을 거친 후에도 잔존하여, 냉각불량으로 휨이 추가로 부가되어 정정라인에서의 프레스 추가 교정에 의한 부하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와 같은 압연강판 선단부의 휨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들이 다수 제시되었다. 예컨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7-21190호 및 제1997-33146호에는 이주속 제어방법에 의한 열간압연 휨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전자는 열간 압연시 상부롤과 하부롤의 무부하 구간의 주속을 다르게 하여(이를, '이주속 압연'이라 함) 강판의 선단부에 발생하는 상향 또는 하향 휨 발생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후자는 압연기 전,후면에 설치한 두 개의 곡률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현재 패스에서 측정한 곡률로부터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제어방법에 따라 결정한 곡률값을 그 다음 패스 압연에 적용함으로써 강판 선단부의 휨 발생부를 반복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특허들은 압연기에 소재가 치입하기 직전까지 무부하구간에 이주속을 부여하고 부하구간에서는 속도를 동기화하므로, 치입시 순간적인 상하롤의 주속차를 이용하기 때문에 압연 토오크가 크게 작용하는 압연 패스에 대해서는 제어 효과가 미미하고, 압연기 입출측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법은 압연시 고압수 분사로 인한 수증기 발생, 진동으로 인한 측정 정도의 하락 및 측정값의 신뢰도 하락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편, 본 출원인이 2006년 9월 27일 출원한 특허출원번호 제2006-94378호에서는 압연 강판 선단부 중 판 변형부의 휨 방향과 휨량을 미리 예측하여, 부하구간으로 일정 구간까지 이주속을 부여하고, 나머지는 등속압연을 실시하는 선단부 휨 저감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선행 공정의 가열로 재로시간 및 상하면 가열온도조건의 변화, 압연기 고압수 분사 회수의 증대에 의한 온도 변화 및 압연기의 압연 조건 변화 등에 실시간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압연의 최적 판 상태를 결정하는 마지막 패스의 정밀제어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현재 압연 강판에 대한 마무리 패스 후의 압연 정보를 직접 측정하여, 다음 압연 강판의 마무리 압연패스에서의 이주속율 설정 값을 보정하여 선단부 휨을 정밀제어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간 후판 압연시 길이내기 압연의 마무리 패스의 휨제어를 정밀제어하는 방법으로 압연종료 후 판의 휨량을 측정하여, 측정 휨높이와 목표 휨높이간의 차이량에 대하여 이주속율로 환산하고, 기 제공된 이주속율에 추가하여, 후속 압연 마무리패스에 선단부 휨을 펴기 위한 역으로 휨 발생으로 유발하도록 상하 이주속율을 부여함으로써, 판 휨을 정밀 제어할 수 있는 마무리패스 선단부 판휨 저감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압연 강판을 압연기를 이용하여 연속으로 압연하는 후판압연공정에서 상기 압연 강판의 선단부 휨을 저감하는 방법에 있어서, 압연이 종료된 현재 압연 강판의 선단부 휨 높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선단부 휨 높이와 목표 휨 높이의 차이인 다음 압연 강판의 선단부에 대한 제어 휨 높이를 계산하는 제1 단계; 현재 압연 강판에 대하여 측정된 압연 정보와 다음 압연 강판에 대한 예측된 압연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다음 압연 강판이 휨 제어 대상 조건에 해당되는지 판정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다음 압연 강판이 휨 제어 대상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제어 휨 높이에 따라 상기 다음 압연 강판에 대한 휨 제어를 수행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압연 강판 선단부 휨 발생 저감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음 압연 강판의 선단부 제어 휨 높이는 하기 관계식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07028142110-pat00001
(여기서, ΔHc는 제어 휨 높이, Hm은 압연 종료 후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휨 높이, Ht는 목표 휨 높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휨 제어 대상 조건은 하기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07028142110-pat00002
(여기서, 상기 Ti는 현재 압연 강판의 압연 종료 설정온도이며, Ti +1은 다음 압연 강판의 압연 종료 설정온도이며, α1은 압연 종료 온도 차의 허용 범위)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휨 제어 대상 조건은 하기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07028142110-pat00003
(여기서, 상기 hi는 현재 압연 강판의 두께이며, hi +1은 다음 압연 강판의 두께이며, α2는 두께 차의 허용 범위)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휨 제어 대상 조건은 하기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07028142110-pat00004
(여기서, 상기 wi는 현재 압연 강판의 폭이며, wi +1은 다음 압연 강판의 폭이며, α3은 폭 차의 허용 범위)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휨 제어 대상 조건은 하기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07028142110-pat00005
(여기서, 상기 βi는 현재 압연 강판의 형상비이며, βi+1은 다음 압연 강판의 형상비이며, α4은 형상비 차의 허용 범위)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다음 압연 강판의 선단부 제어 휨 높이를 상기 선단부 휨의 발생부에 대하여 추가로 제어되어야 할 제어 곡률(1/ρ*)로 환산하는 제4단계; 상기 제어 곡률(1/ρ*)을 이용하여 상기 압연기의 상부롤 및 하부롤의 제어 이주속율(ΔVf)을 산출하고, 상기 제어 이주속율(ΔVf)로부터 설정 이주속율(ΔVr *)을 설정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설정 이주속율(ΔVr *)에 따라 결정되는 속도로 상기 다음 압연 강판의 마무리 패스에서의 상기 상부롤과 하부롤의 속도를 각각 가변시켜 압연을 수행하는 제6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곡률(1/ρ*)은 하기 관계식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07028142110-pat00006
(여기서, k0, k1은 곡률과 휨 높이간의 환산계수)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이주속율(ΔVf)은 하기 관계식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07028142110-pat00007
Figure 112007028142110-pat00008
Figure 112007028142110-pat00009
Figure 112007028142110-pat00010
Figure 112007028142110-pat00011
(여기서, Ld는 롤과 압연강판과의 접촉길이, hm은 입출측 평균두께, 1/ρ는 곡률, a1~a4, b1~b4, c1~c4, d1~d4는 각각 회귀계수)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설정 이주속율(ΔVr)은 하기 관계식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07028142110-pat00012
(여기서, Ld는 롤과 압연강판과의 접촉길이, hm은 입출측 평균두께이며, j1, j2, j3는 회귀계수)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상기 제6단계에서, 상기 설정 이주속율(ΔVr *)을 상기 압연기에 대한 압연모델에서의 설정 이주속율(ΔVr i)에 더하여 상기 다음 압연 강판의 마무리 패스에 적용할 이주속율(ΔVr i+1)을 계산하고, 상기 이주속율(ΔVr i+1)에 따라 상기 다음 압연 강판의 마무리 패스에서의 상기 상부롤과 하부롤의 속도를 각각 가변시켜 압연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에서의 이주속 압연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는 롤러(40)를 통하여 이송되는 강판(10)을 압연기의 상부롤(20) 및 하부롤(30) 사이로 치입하여 압연한다. 상기 강판(10)은 상기 상,하부롤(20, 30)의 높이 조절과 관련된 픽업(pick-up)량을 조절함으로써 최종적으로 패스라인량의 조정을 통해 강판(10)을 압연하는데, 강판(10)에 휨이 발생하는 경우 픽업량에 따른 패스라인량을 조절하여 휨을 제어한다.
압연기는 통상적으로 상,하부롤(20, 30)의 회전속도(VU, VL)를 동일하게 하여 강판(10)을 압연한다. 이 경우, 압연된 강판(10)의 두께는 수백 ㎛ 정도가 그 한계이다. 최근에는 열간 압연의 경우 강판의 압연 조건에 따른 선단부 휨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연기의 상, 하부롤(20, 30)의 회전 속도(VU, VL)를 인위적으로 다르게하여 강판을 압연하는, 이른바, 이주속 압연이 제시되었다. 이주속 압연이라 함은 부하 및 무부하 구간에 관계없이 상부롤의 회전속도와 하부롤의 회전속도를 다르게 하여 압연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압연기에서 길이내기 압연시 현재 압연 강판의 압연 종료 후에 측정된 선단부의 휨 높이로부터 다음 압연 강판의 마지막 압연 패스의 상,하부롤(20, 30)의 이주속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상,하부롤(20, 30) 회전 속도를 가변시켜 다음 압연 강판의 마지막 압연 패스를 실시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하부롤(20, 30)은 각각의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된다. 이 때, 각 구동모터는 상기 상,하부롤(20, 30)을 각각 상호 독립적으로 구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하부롤(20, 30)의 회전속도를 서로 다르게 하여 압연(즉, 이주속 압연)을 실시하는 압연기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주속 압연에서 상,하부롤(20, 30) 간의 이주속율(ΔV)은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7028142110-pat00013
여기서 VU는 상부롤(20)의 회전속도이고, VL은 하부롤(20)의 회전속도이다.
이러한 압연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연 강판의 선단부 휨 저감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연 강판 선단부 휨 발생 저감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의 압연 강판에 대한 압연이 종료한 후에 압연 강판의 선단부 휨 높이를 측정한다(S110). 선단부 휨 높이가 측정된 후에는 목표 휨 높이와 측정된 휨 높이의 차로부터 아래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다음 압연 강판의 제어 휨 높이를 계산한다(S120).
Figure 112007028142110-pat00014
여기서, ΔHc는 제어 휨 높이, Hm은 압연 종료 후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휨 높이, Ht는 목표 휨 높이를 나타낸다.
상기 선단부의 휨 높이는 현재 압연 강판이 압연기의 마지막 압연 패스를 통과한 후 진행하는 방향에 설치된 측정센서에서 측정되며, 상기 수학식에서 계산된 제어해야할 휨 높이는 압연이 종료된 현재 압연 강판의 이주속 자동 설정 모델에서 적용한 값과 실제 비대칭 압연인자에 의해서 발생한 오차이다. 따라서, 이러 한 오차를 다음 압연 강판의 압연시 이주속율을 결정하는데 피드백시키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 휨 높이가 계산되면(S120), 현재 압연 강판에 대하여 측정된 압연 정보와 다음 압연 강판에 대한 예측된 압연정보를 비교하여 휨 제어 대상 조건에 해당되는지 판정한다(S130). 현재의 압연 강판과 다음의 압연 강판에 대하여 강종이나, 판 두께, 판 폭, 압연 종료 설정온도 등이 다른 경우에는 휨 제어의 대상이 되지 못하므로, 이 경우에는 다음 압연 강판에 대한 휨 제어를 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휨 발생 저감방법을 종료한다. 다음 압연 강판이 휨 제어 대상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다음 단계(S140)를 계속한다.
이러한 휨 제어 대상 조건을 판정하는 단계(S130)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휨 제어 대상 조건은, 현재 압연 강판의 압연 종료 온도와 다음 압연 강판의 예측된 압연 종료 온도의 차가 소정 범위 이내이거나(S131), 현재 압연 강판의 두께와 다음 압연 강판의 예측된 두께가 소정 범위 이내이거나(S132), 현재 압연 강판의 폭과 다음 압연 강판의 예측된 폭의 차가 소정 범위 이내이거나(S133), 현재 압연 강판의 형상비와 다음 압연 강판의 예측된 형상비의 차가 소정 범위 이내(S134)인 것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휨 제어 대상 조건들은 아래의 수학식 3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7028142110-pat00015
Figure 112007028142110-pat00016
Figure 112007028142110-pat00017
Figure 112007028142110-pat00018
여기서, Ti는 현재 압연 강판의 압연 종료 설정온도, Ti +1은 다음 압연 강판의 압연 종료 설정온도, α1은 압연 종료 온도 차의 허용 범위; hi는 현재 압연 강판의 두께, hi +1은 다음 압연 강판의 두께, α2는 판 두께 차의 허용 범위; wi는 현재 압연 강판의 폭, wi +1은 다음 압연 강판의 폭, α3은 판 폭 차의 허용 범위; 및 βi는 현재 압연 강판의 판의 형상비, βi+1은 다음 압연 강판의 형상비, α4은 판 형상비 차의 허용 범위이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다음 압연 강판이 현재 압연 강판과 압연 종료 설정온도, 두께, 폭, 및 형상비는 각각 해당 허용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에만 다음 압연 강판에 대한 휨 제어가 수행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휨 제어 대상 조건은 도 4 및 상술한 조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조건 중 일부의 조건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조건들 외에 압연 강 판의 특성의 변화를 나타내는 여러 조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3으로 돌아가면, 다음 압연 강판이 휨 제어 대상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다음 단계(S140)로 진행하며, 휨 제어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단부 휨 저감방법은 종료한다. 한편, 도 3에서는 현재 압연 강판의 선단부 휨 높이가 측정되고(S110) 제어 휨 높이가 계산(S120)된 후에 다음 압연 강판이 휨 제어 대상 조건인지 판단하지만(S130),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압연 강판이 휨 제어 대상 조건인지 판단하는 단계(S130)는 선단부의 휨 높이가 측정되는 단계(S110) 이전, 또는 제어 휨 높이가 계산되는 단계(S120)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압연 강판이 휨 제어 대상에 포함되면, 먼저, 아래의 휨 발생부의 곡률과 휨 높이간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상기 다음 압연 강판의 선단부 제어 휨 높이를 상기 선단부 휨의 발생부에 대하여 추가로 제어되어야 할 제어 곡률(1/ρ*)로 환산한다(S140).
Figure 112007028142110-pat00019
여기서, k0, k1은 곡률과 휨 높이간의 환산계수이다.
다음으로, 상기 수학식 4에서 구한 제어해야 할 곡률(1/ρ*)과 상기 상,하부롤(20,30)의 이주속율(ΔVf) 간의 관계식을 나타내는 아래 수학식 5를 이용하여 제어해야 할 이주속율(△Vf)을 구한다(S150).
Figure 112007028142110-pat00020
Figure 112007028142110-pat00021
Figure 112007028142110-pat00022
Figure 112007028142110-pat00023
Figure 112007028142110-pat00024
여기서, Ld는 롤과 압연강판과의 접촉길이, hm은 입출측 평균두께, a1~a4, b1~b4, c1~c4, d1~d4는 각각 회귀계수이다.
이어, 기설정된 설정 이주속율(△Vr *)과 상기 계산된 제어 이주속율(△Vf)간의 관계식인 아래 수학식 5를 이용하여 다음 압연 강판의 선단부 휨량을 추가로 제어하기 위한 이주속율(△Vr *)을 계산한다(S160).
Figure 112007028142110-pat00025
여기서, j1, j2, j3는 회귀계수이다.
다음으로, 상기 수학식 5에서 구한 설정 이주속율(ΔVr *)을 상기 압연기에 대한 압연모델에서의 설정 이주속율(ΔVr i)에 더하여 상기 다음 압연 강판의 마무리 패스에 적용할 이주속율(ΔVr i+1)을 계산하고, 상기 이주속율(ΔVr i+1)에 따라 상기 다음 압연 강판의 마무리 패스에서의 상기 상부롤과 하부롤의 속도를 각각 가변시켜 압연을 수행한다(S170).
즉, 이를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7028142110-pat00026
따라서, 설정 이주속율(ΔVr *)이 양의 값을 갖는 경우에는 다음 압연 강판의 마무리 패스에 적용할 이주속율은 압연모델에서의 설정 이주속율보다 큰 값이 되고, 설정 이주속율(ΔVr *)이 음의 값을 갖는 경우에는 다음 압연 강판의 마무리 패스에 적용할 이주속율은 압연모델에서의 설정 이주속율보다 작은 값이 되어, 결과적으로 현재 압연 강판의 휨 정도로부터 다음 압연 강판의 마무리 패스에서의 상하부롤 속도가 가변되어 다음 압연 강판의 휨 정도를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재 압연 강판의 선단부 휨에 대한 정보가 다음 압연 강판의 마무리 패스에 적용되는 이주속율을 결정을 위해 피드백됨으로써, 압연 강판의 선단부 휨 발생을 더욱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며, 이 또한 첨부 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압연 강판의 길이내기 압연 후에 측정된 휨 높이를 다음 압연 강판의 마무리 압연 패스의 이주속 압연에 반영함으로써, 압연 강판의 휨 발생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복수의 압연 강판을 압연기를 이용하여 연속으로 압연하는 후판압연공정에서 상기 압연 강판의 선단부 휨을 저감하는 방법에 있어서,
    압연이 종료된 현재 압연 강판의 선단부 휨 높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선단부 휨 높이와 목표 휨 높이의 차이인 다음 압연 강판의 선단부에 대한 제어 휨 높이를 계산하는 제1 단계;
    현재 압연 강판에 대하여 측정된 압연 정보와 다음 압연 강판에 대한 예측된 압연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다음 압연 강판이 휨 제어 대상 조건에 해당되는지 판정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다음 압연 강판이 휨 제어 대상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제어 휨 높이에 따라 상기 다음 압연 강판에 대한 휨 제어를 수행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압연 강판 선단부 휨 발생 저감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압연 강판의 선단부에 대한 제어 휨 높이는 하기 관계식을 이용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강판 선단부 휨 발생 저감방법.
    Figure 112007028142110-pat00027
    (여기서, ΔHc는 제어 휨 높이, Hm은 압연 종료 후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휨 높이, Ht는 목표 휨 높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휨 제어 대상 조건은 하기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강판 선단부 휨 발생 저감방법.
    Figure 112007028142110-pat00028
    (여기서, 상기 Ti는 현재 압연 강판의 압연 종료 설정온도이며, Ti +1은 다음 압연 강판의 압연 종료 설정온도이며, α1은 압연 종료 온도 차의 허용 범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휨 제어 대상 조건은 하기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강판 선단부 휨 발생 저감방법.
    Figure 112007028142110-pat00029
    (여기서, 상기 hi는 현재 압연 강판의 두께이며, hi +1은 다음 압연 강판의 두 께이며, α2는 두께 차의 허용 범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휨 제어 대상 조건은 하기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강판 선단부 휨 발생 저감방법.
    Figure 112007028142110-pat00030
    (여기서, 상기 wi는 현재 압연 강판의 폭이며, wi +1은 다음 압연 강판의 폭이며, α3은 폭 차의 허용 범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휨 제어 대상 조건은 하기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강판 선단부 휨 발생 저감방법.
    Figure 112007028142110-pat00031
    (여기서, 상기 βi는 현재 압연 강판의 형상비이며, βi+1은 다음 압연 강판의 형상비이며, α4은 형상비 차의 허용 범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다음 압연 강판의 선단부 제어 휨 높이를 상기 선단부 휨의 발생부에 대하여 추가로 제어되어야 할 제어 곡률(1/ρ*)로 환산하는 제4단계;
    상기 제어 곡률(1/ρ*)을 이용하여 상기 압연기의 상부롤 및 하부롤의 제어 이주속율(ΔVf)을 산출하고, 상기 제어 이주속율(ΔVf)로부터 설정 이주속율(ΔVr *)을 설정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설정 이주속율(ΔVr *)에 따라 결정되는 속도로 상기 다음 압연 강판의 마무리 패스에서의 상기 상부롤과 하부롤의 속도를 각각 가변시켜 압연을 수행하는 제6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강판 선단부 휨 발생 저감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곡률(1/ρ*)은 하기 관계식을 이용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강판 선단부 휨 발생 저감방법.
    Figure 112007028142110-pat00032
    (여기서, ΔHc는 제어 휨 높이, k0, k1은 곡률과 휨 높이간의 환산계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이주속율(ΔVf)은 하기 관계식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강판 선단부 휨 발생 저감방법.
    Figure 112007028142110-pat00033
    Figure 112007028142110-pat00034
    Figure 112007028142110-pat00035
    Figure 112007028142110-pat00036
    Figure 112007028142110-pat00037
    (여기서, Ld는 롤과 압연강판과의 접촉길이, Hm은 입출측 평균두께, a1~a4, b1~b4, c1~c4, d1~d4는 각각 회귀계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이주속율(ΔVr *)은 하기 관계식을 이용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강판 선단부 휨 발생 저감방법.
    Figure 112007028142110-pat00038
    (여기서, Ld는 롤과 압연강판과의 접촉길이, Hm은 입출측 평균두께, j1, j2, j3는 회귀계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에서,
    상기 설정 이주속율(ΔVr *)을 상기 압연기에 대한 압연모델에서의 설정 이주속율(ΔVr i)에 더하여 상기 다음 압연 강판의 마무리 패스에 적용할 이주속율(ΔVr i+1)을 계산하고, 상기 이주속율(ΔVr i+1)에 따라 상기 다음 압연 강판의 마무리 패 스에서의 상기 상부롤과 하부롤의 속도를 각각 가변시켜 압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강판 선단부 휨 발생 저감방법.
KR1020070036119A 2007-04-12 2007-04-12 압연 강판 선단부 휨 발생 저감방법 KR100804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119A KR100804946B1 (ko) 2007-04-12 2007-04-12 압연 강판 선단부 휨 발생 저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119A KR100804946B1 (ko) 2007-04-12 2007-04-12 압연 강판 선단부 휨 발생 저감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4946B1 true KR100804946B1 (ko) 2008-02-20

Family

ID=39382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119A KR100804946B1 (ko) 2007-04-12 2007-04-12 압연 강판 선단부 휨 발생 저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94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312B1 (ko) 2010-12-28 2013-03-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재의 이주속 압연방법
CN103962387A (zh) * 2014-04-29 2014-08-06 南京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轧机侧导板位置跟随的动态控制方法
CN104014593A (zh) * 2014-05-30 2014-09-03 济钢集团有限公司 一种控制低合金结构钢中厚板表面花斑缺陷的方法
CN104624665A (zh) * 2015-01-09 2015-05-20 攀钢集团攀枝花钢铁研究院有限公司 控制热连轧带钢粗轧翘头的方法
CN105903770A (zh) * 2016-06-22 2016-08-31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薄规格钢板轧制调整装置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4031A (ja) * 1993-12-14 1995-06-27 Nippon Steel Corp 圧延反り予測・制御装置
JPH08267113A (ja) * 1995-03-31 1996-10-15 Kawasaki Steel Corp 厚板圧延における板反り制御方法
KR970011630B1 (en) * 1994-12-29 1997-07-12 Posco Method of control warping hot rolling slab
JPH10137829A (ja) 1996-11-01 1998-05-26 Kawasaki Steel Corp 連続熱間圧延の粗圧延における反り発生の防止方法および反り発生要因の推定装置
JP2006007307A (ja) 2004-06-29 2006-01-12 Sumitomo Metal Ind Ltd 鋼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4031A (ja) * 1993-12-14 1995-06-27 Nippon Steel Corp 圧延反り予測・制御装置
KR970011630B1 (en) * 1994-12-29 1997-07-12 Posco Method of control warping hot rolling slab
JPH08267113A (ja) * 1995-03-31 1996-10-15 Kawasaki Steel Corp 厚板圧延における板反り制御方法
JPH10137829A (ja) 1996-11-01 1998-05-26 Kawasaki Steel Corp 連続熱間圧延の粗圧延における反り発生の防止方法および反り発生要因の推定装置
JP2006007307A (ja) 2004-06-29 2006-01-12 Sumitomo Metal Ind Ltd 鋼板の製造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312B1 (ko) 2010-12-28 2013-03-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재의 이주속 압연방법
CN103962387A (zh) * 2014-04-29 2014-08-06 南京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轧机侧导板位置跟随的动态控制方法
CN103962387B (zh) * 2014-04-29 2016-01-20 南京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轧机侧导板位置跟随的动态控制方法
CN104014593A (zh) * 2014-05-30 2014-09-03 济钢集团有限公司 一种控制低合金结构钢中厚板表面花斑缺陷的方法
CN104624665A (zh) * 2015-01-09 2015-05-20 攀钢集团攀枝花钢铁研究院有限公司 控制热连轧带钢粗轧翘头的方法
CN105903770A (zh) * 2016-06-22 2016-08-31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薄规格钢板轧制调整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4946B1 (ko) 압연 강판 선단부 휨 발생 저감방법
JP2016078057A (ja) スラブのキャンバー抑制方法及びキャンバー抑制装置、並びにスラブのガイド装置
CN107900144B (zh) 一种酸洗在线平整机的延伸率复合控制方法
JP2008043967A (ja) 熱間圧延における板形状の制御方法
JP7128127B2 (ja) ローラレベラによる鋼板の矯正方法
JP4089658B2 (ja) 鋼板の製造方法
KR100775242B1 (ko) 압연강판 선단부 휨발생 방지방법
JP3603851B2 (ja) 圧延鋼板の製造方法
JP3506120B2 (ja) タンデム圧延機の圧延負荷配分変更方法
KR100660233B1 (ko) 압연판 선단부의 평탄도 제어방법
KR100223150B1 (ko) 열간압연판 휨제어방법
KR100328930B1 (ko) 열간압연판선단부의두께및판폭불량발생방지를위한압연방법
JP2007283353A (ja) 金属板の圧延方法
JPH09295022A (ja) リバース圧延における形状制御方法
KR101050792B1 (ko) 동적 재설정을 이용한 냉각제어방법
JP3211709B2 (ja) 形鋼の製造方法
JP4227686B2 (ja) 冷間圧延時のエッジドロップ制御方法
JP5278141B2 (ja) 板圧延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9072757A (ja) 圧延機のレベリング設定方法、圧延機のレベリング設定装置、及び鋼板の製造方法
JPH0716693B2 (ja) 板圧延における形状制御方法
JP5459599B2 (ja) 熱延板の製造方法
JP3211710B2 (ja) 形鋼の製造方法
KR20040004946A (ko) 열간압연공정에서 사용되는 압연기의 자동게이지제어장치와 벤더의 제어방법
JPH05111716A (ja) ローラーレベラーの操業方法
JPH069702B2 (ja) 熱間連続圧延機の板厚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