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615B1 - 임상경로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임상경로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615B1
KR100804615B1 KR1020070082601A KR20070082601A KR100804615B1 KR 100804615 B1 KR100804615 B1 KR 100804615B1 KR 1020070082601 A KR1020070082601 A KR 1020070082601A KR 20070082601 A KR20070082601 A KR 20070082601A KR 100804615 B1 KR100804615 B1 KR 100804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escription
patient
prescription information
gen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효찬
김윤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디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디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디웨어
Priority to KR1020070082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6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615B1/ko
Priority to PCT/KR2008/004057 priority patent/WO200902545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정보 시스템에서 생성되어진 의료정보로부터 임상경로의 원형모델을 생성하여 의료정보별 맞춤형 임상경로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임상경로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르는 임상경로정보 서비스 방법은, 다수의 환자정보를 포함하는 의료정보로부터 일반적인 환자정보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일반적인 환자정보들의 처방정보들에서 일반적인 처방정보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처방정보들에 대해 유형별 또는 항목별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유형별 또는 항목별로 분류된 처방정보들을 기준일차 별로 각각 처방빈도 또는 백분율의 통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처방정보들에 대해 필요도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처방정보에 대응되게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일반적인 처방정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처방정보 및 그 처방정보에 따른 상기 통계정보, 상기 필요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임상경로정보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임상경로, 의료정보

Description

임상경로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of Servicing A Clinical Pathway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상경로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원환자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반적인 환자정보 추출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처방 데이터의 분류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약품의 효능별 분류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병원정보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료진의 환자 진단 및 진료에 도움을 주는 임상경로 정보의 작성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지속적인 관리를 이행하는 임상경로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의료기관에서는 처방전달 시스템 또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등의 의료정보 시스템을 도입하여 의료기관의 합리적인 경영 및 환자의 진료의 수준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정보화 시스템은 환자에 대한 진료 기록의 수단으로만 이용되고 있을 뿐이었다.
한편, 근래에는 임상경로정보의 유용성이 부각됨에 따라 각 의료기관별로 임상경로정보를 작성하기 위해 임상경로 위원회를 운영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가하고 있다.
상기 임상경로정보는 의사, 간호사, 의료기사, 영양사 등의 많은 전문 인력이 협의 및 합의를 통해 생성되었으나, 의사를 비롯한 많은 전문가들의 협의에 필요한 기본 자료가 충분하지 않아 전문가들의 경험을 토대로 생성되었다. 이와 같이 종래 임상경로정보는 객관적인 자료가 아닌 경험을 토대로 생성됨에 따라 상기 임상경로정보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객관적인 자료가 없는 상태에서의 전문가들의 협의에서 합의를 위해서는 많은 기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객관적이며 명확한 근거제시가 가능한 임상경로정보를 빠른 시간내에 생성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의료정보 시스템에서 생성되어진 의료정보로부터 임상경로의 원형모델을 생성하여 의료정보별 맞 춤형 임상경로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임상경로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르는 임상경로정보 서비스 방법은, 다수의 환자정보를 포함하는 의료정보로부터 일반적인 환자정보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일반적인 환자정보들의 처방정보들에서 일반적인 처방정보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처방정보들에 대해 유형별 또는 항목별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유형별 또는 항목별로 분류된 처방정보들을 기준일차 별로 각각 처방빈도 또는 백분율의 통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처방정보들에 대해 필요도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처방정보에 대응되게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일반적인 처방정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처방정보 및 그 처방정보에 따른 상기 통계정보, 상기 필요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임상경로정보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의료정보 시스템에서 생성되어진 의료정보로부터 임상경로의 원형모델을 생성하여 의료정보별 맞춤형 임상경로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르는 임상경로정보는 의료정보 시스템을 통한 실제의료정보를 토대로 생성되므로 객관적이며 명확한 근거제시가 가능하며 빠른 시간내에 생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상경로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임상경로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제어모듈(100)과 데이터베이스(112), 사용자 인터페이스(114)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모듈(10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12)에 등록된 의료정보로부터 임상경로정보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모듈(100)에는 환자정보 추출부(102), 처방정보 추출부(104), 처방정보 통계 처리부(106), 진료패턴 선택부(108), 임상경로 정보 서비스부(110)의 소프트웨어 모듈을 구비한다.
<환자정보 추출부>
상기 환자정보 추출부(102)는 환자정보의 일반화를 위해 부작용 및 의료사고 등과 같은 특이한 경우의 환자정보를 제외한 일반적인 환자정보만을 추출한다.
상기 일반적인 환자정보 추출과정을 좀더 설명하면, 상기 환자정보 추출부(102)는 환자정보의 진료일자들 중 입원일 및 수술일자 등의 특정일자를 기준으로 수학식 1에 따라 상대적인 재원기준일자를 생성한다.
재원기준일자 = 퇴원일자 -입원일자 또는 수술일자
상기한 방식으로 얻어진 다수의 환자정보의 재원기준일자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s"그래프를 상하로 뒤집어 놓은 듯한 모양으로 나타난다. 상기 그래프를 수식화한 것이 수학식 2이다.
Figure 112007059378317-pat00001
상기 수학식 2에서 a는 재원자수의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0보다 크고 최대 환자수보다 작다. 상기 b는 퇴원환자가 급격히 감소되는 기간을 나타내는 변수로서, 값이 클수록 퇴원환자가 단기간에 감소된다. 상기 c는 재원기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값이 클수록 고정된 재원기간이 길어지며, 퇴원 환자의 감소추세가 늦게 나타난다. 상기 d는 퇴원환자의 완만한 감소정도를 나타내는 기울기로써 음수값을 가진다.
상기 환자정보 추출부(102)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래프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환자정보만을 선별한다.
상기 일반적인 환자정보를 선별하는 방법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귀곡선에 의한 방법, 박스 위스커(box whisker) 방법, 백분율을 이용한 방법, 전문가들의 직접 입력 방법 등이 있다.
먼저 회귀곡선에 의한 환자 일반화 방법은 상기 그래프를 미분하여 그 값이 최소가 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일반적인 환자정보를 추출하는 것이다. 즉, 도 2에서 황색으로 표식된 부분이 일반적인 환자정보가 분포하는 영역이다.
그리고 박스 위스커(box whisker) 방법은, 통계학적 그래프로 수렴 도표의 제3사분위수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환자정보만을 선별하는 것이다. 좀더 설명하면, 나타나는 데이터의 순번으로 “전체데이터수 * 1/4” 순서째 나타나는 값을 “1사분위수”, 가장 중앙에 있는 값이 “중앙값” “전체데이터수 * 3/4” 순서째 나타나는 값을 “3사분위수”라 칭한다. 예를 들어 5개의 데이터가 있을 때 크기별로 순서를 매겼을때 가장 작은 값 다음 2번째 값이 1사분위수, 중앙에 있는 3번째 값 이 중앙값, 4번째 값이 3사분위수가 된다. 이에 수렴 도표의 제3사분위수를 취함으로써, 일반적인 환자정보의 선별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백분율을 이용한 방법은 전체 환자의 분포를 이용하여 시작일자로부터 누적환자수의 60%, 80% 등의 일정 분포에 위치하는 환자정보를 일반적인 환자정보로 선별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문가들이 직접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 전체 환자 중 일반적인 환자로 판별하기 위한 재원기간 범위정보를 직접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재원기간 범위정보에 대응되는 환자정보를 일반적인 환자정보로 선별하는 것이다.
<처방정보 추출부>
상기 처방정보 추출부(104)는 상기 환자정보 추출부(102)에 의해 추출된 환자정보들에 포함된 처방 정보 중 일반적인 처방 정보만을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처방 정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 주사, 병리검사, 진단방사선검사, 특수검사, 물리치료, 식이처방, 의사의 임상소견, 퇴원처방 등으로 유형별로 그룹화되고, 각 유형별 처방 정보는 항목별로 세분화된다.
특히 상기 처방 정보 중 약 및 주사에 대한 처방 정보에는 도 5에 도시한 분류기준에 따른 분류 코드(code)가 부가되며, 상기 분류 코드는 약품의 성분 또는 효능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처방정보 중 약 및 주사에 대한 처방 정보에는 해당 약 또는 주사에 대한 사용량 및 제약회사정보가 부가된다.
상기한 약 및 주사에 대한 처방 정보에 대한 부가정보는, 동일한 성분의 약 및 주사 중 사용 추세 등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일반적인 처방정보 추출과정을 좀더 설명하면, 상기 처방정보 추출부(104)는 상기 환자정보 추출부(102)에 의해 추출된 환자정보들의 진료정보들을 수술일자 또는 입원일자 등의 특정 일자를 기준으로 수학식 3에 따라 생성된 수술전후 처방일차 또는 재원중 처방일차에 따라 재정렬한다.
수술전후 처방일차 = 진료일자 - 수술일자
재원일차 = 진료일자 - 입원일자
즉 수학식 3에 따라 수술전후 처방일차 또는 재원중 처방일차가 생성되면, 상기 추출된 환자정보들의 진료정보들은 상기 수술전후 처방일차 또는 재원중 처방일차에 따라 재정렬되며, 예를 들어, 2007년 1월 1일 맹장염으로 수술한 제1환자와 2006년 5월 7일 맹장염으로 수술한 제2환자의 처방 정보들은 수술일자를 기준으로 수술1일전 처방정보, 수술 당일 처방정보, 수술후 1일 처방정보 등으로 재정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환자정보들의 처방정보들이 수술전후 처방일차 또는 재원중 처방일차를 기준으로 재정렬되면, 상기 처방정보 추출부(104)는 상기 환자정보들의 처방정보들을 각 유형 또는 세부항목별로 그래프화하고, 상기 그래프를 이용하여 회귀곡선에 의한 방법, 박스 위스커(box whisker) 방법, 백분율을 이용한 방법, 전문가들의 직접 입력 방법 등에 따라 일반적인 처방정보만을 추출한다.
<처방정보 통계처리부>
상기 처방정보 통계처리부(106)는 상기 처방정보 추출부(104)에 의해 추출된 처방정보를 수술전후 처방일차 또는 재원일차별로 환자수와의 백분율을 산출한 통계정보를 생성한다. 특히 상기 통계정보는 유형별 또는 세부 항목별로 처리된다.
<진료패턴 선택부>
상기 진료패턴 선택부(108)는 상기 처방정보 통계처리부(106)에서 생성된 통계정보들 각각에 대해 진료패턴정보를 선택받아 상기 통계정보들에 각각 대응되게 저장한다. 상기 진료패턴정보는 전문가들의 협의와 합의에 의한 선택되며, 필수, 필요, 선택, 불필요 등의 해당 처방에 대한 필요도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14)를 통해 입력받는 것이다.
<임상경로정보 서비스부>
상기 임상경로정보 서비스부(1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생성된 일반적인 환자에 대한 환자정보, 처방정보, 통계정보들을 진료시 제공할 수 있도록 가공한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114) 또는 미도시된 네트워크를 통한 다른 단말기에 의해 어느 한 정보에 대한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임상경로정보는 상기 요청된 정보를 XML 형식으로 변환하여 임상경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임상경로정보를 상기 정보 요청자에게 전송한다. .
상기 임상경로정보에는 해당 임상경로정보가 질병 또는 수술에 의한 것인지 여부, 상기 선택된 정보의 수집 기간, 상기 선택된 정보를 생성한 의료정보를 제공한 의료기관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임상경로정보에는 재원일차 또는 수술일차 등의 기준일차에 따른 처방의 범주별 빈도, 백분율, 처방에 대한 필요도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임상경로정보 서비스부(110)는 상기 XML 형식의 임상경로정보를 XSD와 같은 데이터 구조(스키마)정보와 XSL과 같은 데이터 표현정보로 변환하여 의료기관간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의료정보 시스템에서 생성되어진 의료정보로부터 임상경로의 원형모델을 생성하여 의료정보별 맞춤형 임상경로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르는 임상경로정보는 의료정보 시스템을 통한 실제의료정보를 토대로 생성되므로 객관적이며 명확한 근거제시가 가능하며 빠른 시간내에 생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임상경로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환자정보를 포함하는 의료정보로부터 일반적인 환자정보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일반적인 환자정보들의 처방정보들에서 일반적인 처방정보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처방정보들에 대해 유형별 또는 항목별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유형별 또는 항목별로 분류된 처방정보들을 기준일차 별로 각각 처방빈도 또는 백분율의 통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처방정보들에 대해 필요도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처방정보에 대응되게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일반적인 처방정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처방정보 및 그 처방정보에 따른 상기 통계정보, 상기 필요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임상경로정보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임상경로정보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환자정보의 재원기간을 산출하고, 상기 다수의 환자정보의 재원기간에 따라 그래프화하고, 상기 그래프를 이용하여 회귀곡선에 의한 방법, 박스 위스 커(box whisker) 방법, 백분율을 이용한 방법, 직접 선별방법에 의해 상기 다수의 환자정보 중 일반적인 환자정보가 추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경로정보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처방정보를 처방일차에 따라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처방정보를 각 유형 또는 세부항목별로 그래프화하고, 상기 그래프를 이용하여 회귀곡선에 의한 방법, 박스 위스커(box whisker) 방법, 백분율을 이용한 방법, 직접 선별 방법에 의해 상기 다수의 처방정보 중 일반적인 처방정보가 추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경로정보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정보 중 약 및 주사 처방정보에는 약품의 성분 또는 효능에 따른 분류정보, 사용량 및 제약회사정보가 부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경로정보 서비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상경로정보는 XML 또는 XSD, XSL 형식으로 외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경로정보 서비스 방법.
  6. 임상경로정보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환자정보를 포함하는 의료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의료정보로부터 일반적인 환자정보들을 추출하고,
    상기 일반적인 환자정보들의 처방정보들에서 일반적인 처방정보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처방정보들에 대해 유형별 또는 항목별로 분류하고,
    상기 유형별 또는 항목별로 분류된 처방정보들을 기준일차 별로 각각 처방빈도 또는 백분율의 통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분류된 처방정보들에 대해 필요도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처방정보에 대응되게 저장하고,
    상기 일반적인 처방정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처방정보 및 그 처방정보에 따른 상기 통계정보, 상기 필요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임상경로정보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임상경로정보 서비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이,
    다수의 환자정보의 재원기간을 산출하고, 상기 다수의 환자정보의 재원기간에 따라 그래프화하고, 상기 그래프를 이용하여 회귀곡선에 의한 방법, 박스 위스커(box whisker) 방법, 백분율을 이용한 방법, 직접 선별방법에 의해 상기 다수의 환자정보 중 일반적인 환자정보를 추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경로정보 서비스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다수의 처방정보를 처방일차에 따라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처방정보를 각 유형 또는 세부항목별로 그래프화하고, 상기 그래프를 이용하여 회귀곡선에 의한 방법, 박스 위스커(box whisker) 방법, 백분율을 이용한 방법, 직접 선별 방법에 의해 상기 다수의 처방정보 중 일반적인 처방정보가 추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경로정보 서비스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정보 중 약 및 주사 처방정보에는 약품의 성분 또는 효능에 따른 분류정보, 사용량 및 제약회사정보가 부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경로정보 서비스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임상경로정보는 XML 또는 XSD, XSL 형식으로 외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경로정보 서비스 시스템.
KR1020070082601A 2007-08-17 2007-08-17 임상경로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804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601A KR100804615B1 (ko) 2007-08-17 2007-08-17 임상경로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CT/KR2008/004057 WO2009025452A1 (en) 2007-08-17 2008-07-10 Method and system of servicing a clinical pathway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601A KR100804615B1 (ko) 2007-08-17 2007-08-17 임상경로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4615B1 true KR100804615B1 (ko) 2008-02-20

Family

ID=39382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601A KR100804615B1 (ko) 2007-08-17 2007-08-17 임상경로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04615B1 (ko)
WO (1) WO200902545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548B1 (ko) 2010-10-21 2012-08-21 주식회사 알엑스커뮤니케이션즈 인터넷 기반의 전문 의약품 처방패턴 조사 시스템 및 방법
KR101565331B1 (ko) 2013-12-27 2015-11-03 성승주 패턴을 이용한 의료정보 분석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722A (ko) * 2002-02-16 2003-08-25 주식회사 인퍼스트 네트워크 기반의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81768A (ko) * 2002-04-12 2003-10-22 신흥섭 임상정보관리방법
KR20050015059A (ko) * 2003-08-01 2005-02-21 황욱배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과 정보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1055A (ja) * 2002-05-14 2003-11-21 Hitachi Ltd クリニカルパス運用支援情報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722A (ko) * 2002-02-16 2003-08-25 주식회사 인퍼스트 네트워크 기반의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81768A (ko) * 2002-04-12 2003-10-22 신흥섭 임상정보관리방법
KR20050015059A (ko) * 2003-08-01 2005-02-21 황욱배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과 정보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548B1 (ko) 2010-10-21 2012-08-21 주식회사 알엑스커뮤니케이션즈 인터넷 기반의 전문 의약품 처방패턴 조사 시스템 및 방법
KR101565331B1 (ko) 2013-12-27 2015-11-03 성승주 패턴을 이용한 의료정보 분석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25452A1 (en)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7078B2 (en) Patient data mining
US8949082B2 (en) Healthcare information technology system for predicting or preventing readmissions
US7949544B2 (en) Integrated system for generation and retention of medical records
Baker Testing a conceptual model of oral heal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US6735272B1 (en) Method and system for a customized patient report in imaging systems
US200302332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biological data and providing data interpretation tools
US20070156032A1 (en) Electronic disease management system
US9015191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enhance queries in an affinity domain
WO2007137869A2 (en) Patien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Kristianson et al. Data extraction from a semi-structured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for outpatients: a model to facilitate the access and use of data for quality control and research
KR20100129016A (ko) 의료정보 검색방법 및 시스템
RU2626898C2 (ru) Идентификация медицинских концепций для выбора протокола визуализации
Liu et al. Developing a prenatal nursing car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for Nursing Practice catalogue
CN113066562A (zh) 基于5g的医疗图像传输方法及系统
Khodambashi Lean analysis of an intra-operating management process-identifying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in health information systems
CN113903439A (zh) 基于大数据的医院运营分析系统
KR100804615B1 (ko) 임상경로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10431339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relevant patient information
KR20210015584A (ko) Fhir 표준 기반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60162650A1 (en) Method for automating medical billing
KR20010031684A (ko) 선택적 치료 제공자 청구서 작성을 인코딩하고 처리하는방법 및 시스템
Thawani et al. Are online reviews of physicians biased against female providers?
CN110911014A (zh) 一种门诊重复用药查询分析方法及系统
KR102484681B1 (ko) 임상 의사 결정의 방법 및 시스템
Borst et al. The bridge between administrative and clinical inform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