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229B1 - 고로 용융 슬래그 현열회수 장치 - Google Patents

고로 용융 슬래그 현열회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229B1
KR100804229B1 KR20010064125A KR20010064125A KR100804229B1 KR 100804229 B1 KR100804229 B1 KR 100804229B1 KR 20010064125 A KR20010064125 A KR 20010064125A KR 20010064125 A KR20010064125 A KR 20010064125A KR 100804229 B1 KR100804229 B1 KR 100804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slag
heat
heat exchanger
blast furnace
sl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10064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2390A (ko
Inventor
강덕홍
이용국
이재영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20010064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229B1/ko
Publication of KR20030032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2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3/00Gener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pig-iron
    • C21B3/04Recovery of by-products, e.g. slag
    • C21B3/06Treatment of liquid slag
    • C21B3/08Cooling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100/00Handling of exhaust gases produced during the 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100/60Process control or energy utilisation in the 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100/66Heat 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400/00Treatment of slags originating from iron or steel processes
    • C21B2400/08Treatment of slags originating from iron or steel processes with energy recov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rnace Details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 Manufacture Of Ir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 용융 슬래그 현열회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로에서 발생하여 주입된 용융 슬래그를 고온의 상태로 미립화시키는 고로 용융 슬래그 미립화 장치(A)와; 상기 슬래그 미립자가 떨어진 후 경사진 하부면을 따라 자연이송되면서, 연결 설치된 열교환기(108)로 열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수송관(109)과; 상기 수송관(109)의 하부로 떨어진 미립자가 유입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송풍되는 공기와 직접접촉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형성된 직접열교환장치(111)와; 상기 직접접촉열교환장치(111)에서 유입된 공기는 상부로 배출하고, 미립자는 하부로 낙하시켜 열교환기(114)로 열을 전달시킨 후 분리 배출하는 입자분리기(113)와; 상기 입자분리기(113)로부터 유입된 고온의 공기로부터 그 내부의 열교환기(119)로 열을 전달시킨 후 배출하는 열교환 체임버(118)와; 상기 열교환 체임버(118)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직접열교환장치(111)로 순환 공급하는 송풍기(116)와; 상기 열교환기(114)(118)와 상기 열교환기(119)로부터 고온 고압의 작업유체를 공급받아 발전을 한 후 다시 순환시켜, 연속적으로 발전을 하는 발전용 사이클시스템(B)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미회수 방출되고 있는 고온의 용융 슬래그의 현열 및 배열을 효율적으로 회수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종래의 수쇄식 설비에 비해 환경상의 문제점을 경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고로, 슬래그, 미립화, 현열, 회수

Description

고로 용융 슬래그 현열회수 장치{MOLTEN SLAG SENSIBLE HEAT RECOVERY EQUIPMENT IN BLAST FURNACE}
도 1은 종래의 고로 용융 슬래그 수쇄화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로 용융 슬래그 현열회수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로 용융 슬래그 미립화 장치(A) 부분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로 용융 슬래그 미립화 장치(A) 부분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용융 슬래그 101: 용융 슬래그 홈통
102: 용융 슬래그 저장기 103: 가속드럼
104: 냉각수 노즐 105: 충돌벽
106: 배관 루프(냉각수용) 107: 펌프(냉각수용)
108,114,119: 열교환기 109: 수송관
110: 바이패스(by-pass) 111: 직접열교환장치
113: 입자 분리기 115,117: 연결배관
116: 송풍기 118: 열교환 체임버(chamber)
120: 터빈 121: 응축기
122: 펌프(작업유체용) A: 고로 용융 슬래그 미립화 장치
B: 발전용 사이클시스템
본 발명은 고로 용융 슬래그 현열회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철소 고로의 용융 슬래그 수쇄설비에 있어서, 용융 슬래그를 고온의 열회수가 가능한 형태로 미립화시키고, 미립화된 용융 슬래그를 발전사이클의 열원으로서 사용한 후 배출시킴으로써, 미회수 방출되고 있는 고온의 용융 슬래그의 현열 및 배열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고로 용융 슬래그의 현열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고로 용융 슬래그 수쇄화 시스템 구성도로서, 고로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용융 슬래그(1500℃)를 수쇄화시키는데 적용되던 종래의 수쇄화 설비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고온의 용융 슬래그(10)가 분사된 냉각수(51)에 의해 미립화되어 교반조(50)로 주입되면서 교반조 상부로 스팀(52)이 배출되며, 교반조 하부에 쌓인 90℃ 정도의 미립화된 슬래그 입자들은 슬러리 펌프(53)에 의해 건조기(55)로 이송되어 슬래그 미립자는 건조기(55) 호퍼 하부로 분리되고, 오탁온수는 분리 회수된 후 집수지(water reservoir: 57)에 저장되어, 냉각탑(59)을 통해 약 60℃정도의 상태 로 냉각된 후, 서플라이 펌프(61)에 의해 다시 용융 슬래그 수쇄를 위한 냉각분사 장치로 공급되면서 순환을 하게 된다.
도 1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 부호 63은 그래뉼러 펌프(granular pump), 65는 아지테이터 펌프(agitator pump), 67은 섬프 펌프(sump pump), 69는 세틀링 박스(settling box), 71은 부스터 펌프(booster pump)를 각각 나타낸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용융 슬래그 수쇄화 과정에서는, 고온의 용융 슬래그가 보유한 현열 및 공정을 통해 발생하는 배열의 회수가 거의 이루어 지지 않아 에너지 이용의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냉각수에 의해 미립화를 이루기 때문에 이에 사용되는 물의 양이 과다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본 출원인이 현재 운용 중인 시스템의 경우 30Nm3/min가 사용됨), 이에 따라 매우 많은 양의 물이 증발에 의해 소모되므로 그 열손실도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상기와 같은 공정에서 사용된 물(약 90℃)을 이용하여 발전설비시스템의 열원으로 사용하는 것이 시도된 바 있으나, 열원의 온도가 중저온이기때문에 시스템의 열효율이 많이 낮아 경제성이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제철소 고로의 용융 슬래그 수쇄설비에 있어서, 용융 슬래그를 고온의 열회수가 가능한 형태로 미립화시키고, 미립화된 용융 슬래그를 발전사이클의 열원으로서 사용한 후 배출시킴으로써, 미회수 방출되고 있는 고온의 용융 슬래그의 현열 및 배열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고로 용융 슬래그 현열회수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로에서 발생하여 홈통(101)을 따라 주입된 고온의 용융 슬래그를 용융 슬래그 저장기(102)로 저장 및 배출시키고, 상기 배출된 용융 슬래그를 가속드럼(103)의 회전하는 표면에 의해 가속시켜 접선방향으로 운동 모멘텀을 부여하며, 상기 가속된 슬래그가 충돌벽(105)에 충돌하여 반사되도록 하고, 상기 가속드럼(103)과 충돌벽(105) 사이의 유동상부에 냉각수를 자유낙하시키는 냉각수 노즐(104)을 구비하여 용융 슬래그를 고온의 상태로 미립화시키는 고로 용융 슬래그 미립화 장치(A)와;
상기 충돌벽(105)에 의해 반사된 미립자가 떨어진 후 경사진 하부면을 따라 자연이송되도록 형성되며, 연결 설치된 열교환기(108)로 상기 미립자의 열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수송관(109)과;
상기 수송관(109)의 하부로 떨어진 미립자가 그 측면 하부를 통해 유입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송풍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그 측면 상부를 통해 배출되면서, 공기와 미립자의 직접접촉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형성된 직접열교환장치(111)와;
상기 직접접촉열교환장치(111)에서 미립자와 공기가 유입되어, 가벼운 공기는 상부로 배출하고, 상대적으로 무거운 미립자는 하부로 낙하시켜 열교환기(114) 로 열을 전달시킨 후 저온의 상태로 분리 배출하는 입자분리기(113)와;
상기 입자분리기(113)로부터 유입된 고온의 공기를 통과시켜 그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119)로 열을 전달시킨 후, 하부로 배출하는 열교환 체임버(118)와;
상기 열교환 체임버(118)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직접열교환장치(111)로 공급하는 송풍기(116)와;
상기 열교환기(114)(118)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증발된 작업유체와, 상기 열교환기(119)를 통과하면서 증발된 작업유체가 터빈(120)으로 공급되어 발전을 한 후, 응축기(121)에서 응축되고, 펌프(122)에 의해 다시 열교환기(114)와 열교환기(119)로 각각 분리 공급되도록 형성된 발전용 사이클시스템(B)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로 용융 슬래그 미립화 장치(A)는, 고로에서 발생하여 홈통을 따라 상부로 주입된 고온의 용융 슬래그(10)를 저장하고, 상하부 압력차를 이용하여 상기 용융 슬래그(10)를 하부 배출구를 통해 연속적으로 배출시키되, 상하 개폐식으로 상기 하부 배출구의 크기를 조절하는 용융 슬래그 유량조절용 도어(102a)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배출구측으로 하향 경사진 용융 슬래그 저장기 하부대(102b)를 내부 바닥면으로서 구비하며, 상기 하부 배출구의 후단에 용융 슬래그 분리배출용 가이드 베인(102c)을 구비한 용융 슬래그 저장기(102)와;
상기 용융 슬래그 분리배출용 가이드 베인(102c)의 후단 하부에 설치되되, 배출된 용융 슬래그(10)를 그 회전하는 표면에 의해 가속시켜 접선방향으로 운동 모멘텀을 부여하는 가속드럼(103)과;
상기 가속된 슬래그가 충돌하여 반사하되, 반사된 슬래그가 떨어져 상기 수송관(109)으로 배출되도록 설치된 충돌벽(105)과;
상기 가속드럼(105)과 충돌벽(105) 사이의 유동상부에 위치하되, 냉각수를 자유낙하시키고 통과하는 용융 슬래그와 접촉시킴으로써 급속냉각하고, 자유낙하시킨 냉각수를 펌프(107)와 배관 루프(106)를 통해 순환 공급받는 냉각수 노즐(10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로 용융 슬래그 현열회수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로 용융 슬래그 미립화 장치(A) 부분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로 용융 슬래그 미립화 장치(A) 부분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로 용융 슬래그 현열회수 장치는, 고로 용융 슬래그 미립화 장치(A)와, 수송관(109), 직접열교환장치(111), 입자분리기(113), 열교환 체임버(118), 송풍기(116), 발전용 사이클시스템(B)을 주요 구성요소로 하여 이루어져 있다.
고로에서 비중차이에 의해 용선과 분리되어 발생한 고온(1550℃)의 용융 슬래그는 홈통(molten slag runner: 101)을 따라 용융 슬래그 저장기(slag collector: 102)로 주입되며, 용융 슬래그 저장기(102)의 하부 배출구로부터 낙하되는 용융 슬래그는 하부에 위치한 가속드럼(103)과 충돌을 하게 된다.
이때 가속드럼(103)의 표면에 닿은 용융 슬래그는 가속드럼(103)의 회전에 의해 가속드럼(103)의 접선방향으로 운동 모멘텀이 가해지게 되며, 이로 인해 충돌벽(105) 방향으로 유동이 발생한다.
한편, 가속드럼(103)이 냉각문제로 인하여 트러블이 생기는 경우에 대비하여 용융 슬래그 저장기(102)하부에 냉각수 분사노즐(도면 미도시)을 설치하여, 분사되는 냉각수의 운동량으로 슬래그가 충돌벽(105)으로 바로 충돌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속드럼(103)과 충돌벽(105) 사이의 유동상부에 위치한 냉각수 노즐(104)로 부터 낙하되는 냉각수(약 60℃)와의 접촉에 의해 용융 슬래그는 급속냉각되는데, 이를 통해 슬래그의 유리화율이 증대된다. 즉, 급속냉각을 통하여 슬래그의 내부 입자들이 충분히 결정화할 수 있는 시간을 주지 않기 때문에, 미립 슬래그의 유리화율(80%이상)의 증대를 가져오게 되어 시멘트와의 친화성이 좋아지게 되므로, 도로의 노반재나 콘크리트 증량재 등으로 사용가능하게 되어 수재 슬래그 자체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자유낙하된 냉각수는 펌프(107)에 의해 배관 루프(106)를 따라 순환하게 되는데, 손실된 일부 냉각수는 외부의 보조라인(도면 미도시)에 의해 공급해 주게 된다.
유리화를 거쳐 포물선 운동을 하면서 낙하되는 슬래그는 충돌벽(105)과의 충돌에 의하여 1차 미립화(atomization)가 되고, 약 900℃의 온도로 미립자 수송관(109)에 떨어지면서 2차 미립화가 진행된다.
한편, 상기 수송관(109)의 하부면은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2차 미립화 가 진행되면서 슬래그 미립자가 수송관(109)의 내부를 자연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송되는 슬래그 미립자는 수송관(109)의 하부로 떨어지면서 전단의 열교환기(114)에 의해 예열되어 연결배관(115)을 거쳐서 들어온 발전용 사이클시스템(B)의 작업유체를 열교환기(108)를 통하여 증발시키고, 후단의 직접열교환장치(111)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송풍기(116)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슬래그 미립자가 수송관(109)의 하부 출구를 막을 염려가 있기 때문에, 바이패스(110) 라인을 두어 이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송풍기(116)에 의해 공급되는 직접열교환장치(111)내의 공기속도는 유동층 속도의 임계속도보다 크게 함으로써 공학적 수송(pneumatic transport)이 가능하게 해야 한다.
송풍기(116)에 의해 공급된 공기와 슬래그 미립자의 직접접촉열교환이 이뤄진 후, 슬래그 미립자와 공기는 후단의 입자분리기(113)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가벼운 공기는 열교환 체임버(118)로 공급되고, 상대적으로 무거운 슬래그 미립자는 입자분리기(113)의 하부로 낙하하면서 발전용 사이클시스템(B) 작업유체의 예열기 역할을 하는 열교환기(114)를 거쳐 저온의 상태로 분리 배출되게 된다.
열교환 체임버(118)로 공급된 고온의 공기는 발전용 사이클시스템(B)의 예열기, 증발기 및 과열기 역할을 하는 열교환기(119)에 의해 열교환되어 냉각되면서, 저온의 상태로 열교환 체임버(118) 하부로 이송 배출되어 다시 송풍기(116)에 의해 상기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발전용 사이클시스템(B)의 작업유체는 열교환기 119 및 열교환기 114,108에 의해 고온고압의 과열증기 상태가 되어 터빈(120)을 통과하게 되고, 이때 저온저압 상태로의 열역학적 변화를 거치면서 발전을 한 후, 응축기(121)에서 응축되어 작업유체용 펌프(122)에 의해 다시 발전용 사이클시스템(B)을 순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상기 열교환기(108)(114)(119)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쉘엔튜브(shell&tube)형 열교환기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타입의 열교환기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등한 효과를 낼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열교환기도 물론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전용 사이클시스템(B)은 그 작업유체로서 스팀을 사용할 수도 있고, 이와 유사한 효과를 내는 유기 냉매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한 시스템에 의해 고온의 용융 슬래그의 현열은 효율적으로 회수될 수 있으며 또한 고품질의 슬래그 미립자가 제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로 용융 슬래그 미립화 장치(A) 부분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고로 용융 슬래그 미립화 장치는 용융 슬래그 저장기(102)와 가속드럼(103), 충돌벽(105), 냉각수 노즐(104)을 주요 구성요소로 하여 이루어져 있다.
고로에서 비중차이에 의해 용선과 분리되어 발생한 고온(약 1550℃)의 용융 슬래그(10)는 홈통을 따라 용융 슬래그 저장기(102)로 주입되며, 용융 슬래그 저장기(102)의 하부 배출구로부터 상하부 압력차(중력)에 의해 상기와 같이 저장된 용 융 슬래그(10)가 배출되게 된다. 이때 고로에서부터 간헐적으로 배출되는 용융 슬래그(10)가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용융 슬래그 저장기(102)에서 배출되는 용융 슬래그는 상하 개폐식으로 작동되는 용융 슬래그 유량조절용 도어(102a)에 의해 유량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용융 슬래그 저장기(102)의 내부 바닥면을 구성하는 용융 슬래그 저장기 하부대(102b)는 하부 배출구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용융 슬래그 배출이 보다 용이하고, 배출되는 용융 슬래그의 수평방향 속도가 증가되어 충돌벽(105)과의 모멘텀 교환양이 증대됨으로써, 미립화율이 더욱 증가되도록 구성되었다.
용융 슬래그 저장기(102)의 하부 배출구의 후단에는 용융 슬래그 분리배출용 가이드 베인(102c)이 설치되어 용융 슬래그의 미립화를 촉진시키도록 구성되었다.
상기와 같이 하부 배출구와 용융 슬래그 분리배출용 가이드 베인(102c)을 통과하여 배출된 용융 슬래그는, 상기 용융 슬래그 분리배출용 가이드 베인(102c)의 후단 하부에 설치된 가속드럼(103)의 표면에 닿게 되고, 그 후 가속드럼(103)의 회전에 의해 그 접선방향으로 운동 모멘텀이 가해지게 되어 충돌벽(105) 방향으로 유동증대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가속드럼(103)의 표면에는 원반형 또는 돌기형의 배플(baffle: 103a)이 그 축방향을 따라 다수개 설치되어 용융 슬래그의 유동에 난류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를 통해 용융 슬래그의 유동에 불안정성을 야기시켜 미립화를 촉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가속드럼(103)의 회전에 의해 그 접선방향으로 운동 모멘텀이 가해진 용융 슬래그는 충돌벽(105) 방향으로 유동하는 과정 중에 가속드럼(103)과 충돌벽(105) 사이의 유동상부에 위치한 냉각수 노즐(104)로부터 낙하되는 냉각수(약 60℃)와 접촉하여 급속냉각되게 된다.
이때, 자유낙하된 냉각수는 펌프(107)에 의해 배관 루프(106)를 따라 순환하게 되는데, 손실된 일부 냉각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외부의 보조라인(도면 미도시)에 의해 보충 공급되게 된다.
그 후, 용융 슬래그는 충돌벽(18)과의 충돌에 의하여 미립화가 되는데, 이때 미립자의 온도는 약 900℃ 정도가 되고, 미립자 수송관(109)을 통해 후 공정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고로 용융 슬래그 현열회수 장치는, 제철소 고로의 용융 슬래그 수쇄설비에 있어서, 용융 슬래그를 고온의 열회수가 가능한 형태로 미립화시키고, 미립화된 용융 슬래그를 발전사이클의 열원으로서 사용한 후 배출시킴으로써, 미회수 방출되고 있는 고온의 용융 슬래그의 현열 및 배열을 효율적으로 회수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종래의 수쇄식 설비에 비해 환경상의 문제점을 경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슬래그의 유리화율을 증대시켜 시멘트와의 친화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수재 슬래그 자체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효과도 제공한다.

Claims (2)

  1. 고로에서 발생하여 홈통(101)을 따라 주입된 고온의 용융 슬래그를 용융 슬래그 저장기(102)로 저장 및 배출시키고, 상기 배출된 용융 슬래그를 가속드럼(103)의 회전하는 표면에 의해 가속시켜 접선방향으로 운동 모멘텀을 부여하며, 상기 가속된 슬래그가 충돌벽(105)에 충돌하여 반사되도록 하고, 상기 가속드럼(103)과 충돌벽(105) 사이의 유동상부에 냉각수를 자유낙하시키는 냉각수 노즐(104)을 구비하여 용융 슬래그를 고온의 상태로 미립화시키는 고로 용융 슬래그 미립화 장치(A)와;
    상기 충돌벽(105)에 의해 반사된 미립자가 떨어진 후 경사진 하부면을 따라 자연이송되도록 형성되며, 연결 설치된 열교환기(108)로 상기 미립자의 열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수송관(109)과;
    상기 수송관(109)의 하부로 떨어진 미립자가 그 측면 하부를 통해 유입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송풍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그 측면 상부를 통해 배출되면서, 공기와 미립자의 직접접촉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형성된 직접열교환장치(111)와;
    상기 직접접촉열교환장치(111)에서 미립자와 공기가 유입되어, 가벼운 공기는 상부로 배출하고, 상대적으로 무거운 미립자는 하부로 낙하시켜 열교환기(114)로 열을 전달시킨 후 저온의 상태로 분리 배출하는 입자분리기(113)와;
    상기 입자분리기(113)로부터 유입된 고온의 공기를 통과시켜 그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119)로 열을 전달시킨 후, 하부로 배출하는 열교환 체임버(118)와;
    상기 열교환 체임버(118)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직접열교환장치(111)로 공급하는 송풍기(116)와;
    상기 열교환기(114)(118)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증발된 작업유체와, 상기 열교환기(119)를 통과하면서 증발된 작업유체가 터빈(120)으로 공급되어 발전을 한 후, 응축기(121)에서 응축되고, 펌프(122)에 의해 다시 열교환기(114)와 열교환기(119)로 각각 분리 공급되도록 형성된 발전용 사이클시스템(B)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용융 슬래그 현열회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로 용융 슬래그 미립화 장치(A)는,
    고로에서 발생하여 홈통을 따라 상부로 주입된 고온의 용융 슬래그(10)를 저장하고, 상하부 압력차를 이용하여 상기 용융 슬래그(10)를 하부 배출구를 통해 연속적으로 배출시키되, 상하 개폐식으로 상기 하부 배출구의 크기를 조절하는 용융 슬래그 유량조절용 도어(102a)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배출구측으로 하향 경사진 용융 슬래그 저장기 하부대(102b)를 내부 바닥면으로서 구비하며, 상기 하부 배출구의 후단에 용융 슬래그 분리배출용 가이드 베인(102c)을 구비한 용융 슬래그 저장기(102)와;
    상기 용융 슬래그 분리배출용 가이드 베인(102c)의 후단 하부에 설치되되, 배출된 용융 슬래그(10)를 그 회전하는 표면에 의해 가속시켜 접선방향으로 운동 모멘텀을 부여하는 가속드럼(103)과;
    상기 가속된 슬래그가 충돌하여 반사하되, 반사된 슬래그가 떨어져 상기 수송관(109)으로 배출되도록 설치된 충돌벽(105)과;
    상기 가속드럼(105)과 충돌벽(105) 사이의 유동상부에 위치하되, 냉각수를 자유낙하시키고 통과하는 용융 슬래그와 접촉시킴으로써 급속냉각하고, 자유낙하시킨 냉각수를 펌프(107)와 배관 루프(106)를 통해 순환 공급받는 냉각수 노즐(10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용융 슬래그 현열회수 장치.
KR20010064125A 2001-10-17 2001-10-17 고로 용융 슬래그 현열회수 장치 KR100804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64125A KR100804229B1 (ko) 2001-10-17 2001-10-17 고로 용융 슬래그 현열회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64125A KR100804229B1 (ko) 2001-10-17 2001-10-17 고로 용융 슬래그 현열회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390A KR20030032390A (ko) 2003-04-26
KR100804229B1 true KR100804229B1 (ko) 2008-02-18

Family

ID=29565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64125A KR100804229B1 (ko) 2001-10-17 2001-10-17 고로 용융 슬래그 현열회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2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461B1 (ko) * 2006-12-19 2008-02-0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수재제조설비의 충돌판 및 그를 이용한 수재 입도 조절방법
KR101044909B1 (ko) * 2009-02-23 2011-06-29 (주)세와비전 고로 용융 슬래그의 현열 회수장치
KR101312623B1 (ko) * 2011-10-28 2013-10-01 현대제철 주식회사 슬래그 처리장치 및 슬래그 처리방법
KR101351318B1 (ko) * 2011-12-13 2014-02-1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수소 제조를 위한 용융 슬래그 입자의 현열 회수 장치 및 방법
CN102605116B (zh) * 2012-04-09 2013-11-13 刘犇 一种高炉渣显热回收及发电的方法
CA2961075C (en) * 2014-09-21 2017-07-25 Hatch Ltd. Gas atomization of molten materials using by-product off-gases
CN108330237A (zh) * 2017-09-27 2018-07-27 中能立化科技有限公司 一种渣流输送装置及熔渣粒化取热系统
CN114777508A (zh) * 2022-05-06 2022-07-22 河南省冶金研究所有限责任公司 一种冶炼熔渣多级余热高效回收利用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5794A (en) * 1977-01-07 1978-07-2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Cooling equipment for slag granules
JPS5538926A (en) * 1978-09-06 1980-03-18 Hitachi Zosen Corp Finely granulating method for molten slag
JPS6274009A (ja) * 1985-09-27 1987-04-04 Sumitomo Metal Ind Ltd 高炉炉頂圧回収発電方法
JPS6291231A (ja) * 1985-10-17 1987-04-25 Sumitomo Metal Ind Ltd 溶融スラグの造粒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5794A (en) * 1977-01-07 1978-07-2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Cooling equipment for slag granules
JPS5538926A (en) * 1978-09-06 1980-03-18 Hitachi Zosen Corp Finely granulating method for molten slag
JPS6274009A (ja) * 1985-09-27 1987-04-04 Sumitomo Metal Ind Ltd 高炉炉頂圧回収発電方法
JPS6291231A (ja) * 1985-10-17 1987-04-25 Sumitomo Metal Ind Ltd 溶融スラグの造粒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390A (ko) 200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21884B (zh) 一种高炉熔渣干式显热回收系统和生产工艺
CN102827969B (zh) 一种干式粒化液态熔渣的余热回收系统及方法
JP5905463B2 (ja) 乾燥コンベア装置ならびにそれを備えた火力発電システム
CN105110661B (zh) 一种熔融渣粒化及余热回收装置
CN105603135A (zh) 一种高温液态熔渣干式离心粒化余热回收系统与方法
KR100804229B1 (ko) 고로 용융 슬래그 현열회수 장치
CN102433400B (zh) 高温冶金渣粒余热回收装置
CN101993964A (zh) 冶金熔渣干式粒化及热能回收系统
CN102766706B (zh) 一种高炉渣余热煤气化系统
CN103148495B (zh) 高钠煤脱钠提质风扇磨制粉及水回收联合循环发电系统
CN103642956B (zh) 液态高炉渣粒化及多滚筒余热回收系统
CN105567889A (zh) 高炉渣余热梯级利用系统
CN101736101A (zh) 半湿法炉渣处理余热回收发电系统及方法
JP2023515210A (ja) 高炉スラグ粒子化および廃熱リサイクル利用装置および方法
CN105154606B (zh) 高炉渣空间雾化水淬及高温水淬渣余热发电方法
CN207061912U (zh) 一种应用于废水制盐的惰性载体流化床系统
CN109099407B (zh) 高温冶金渣粒余热回收与品质调控一体化系统及方法
CN108796147B (zh) 一种高炉渣粒化及余热回收的方法
CN201561662U (zh) 半湿法炉渣处理余热回收发电系统
CN104073578A (zh) 高炉炉渣的干式显热回收处理系统及方法
CN101864504A (zh) 一种回收利用高炉渣显热提高热风炉风温的方法
KR100823616B1 (ko) 고로 용융 슬래그 미립화 장치
CN108531671A (zh) 一种高炉熔渣固体介质换热回收和综合利用工艺方法及成套装备
CN106482530A (zh) 一种烧结矿用多罐式显热回收装置及显热回收方法
CN201825962U (zh) 冶金熔渣干式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