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015B1 - 벨벳직물의 무늬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벨벳직물의 무늬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015B1
KR100804015B1 KR1020070031832A KR20070031832A KR100804015B1 KR 100804015 B1 KR100804015 B1 KR 100804015B1 KR 1020070031832 A KR1020070031832 A KR 1020070031832A KR 20070031832 A KR20070031832 A KR 20070031832A KR 100804015 B1 KR100804015 B1 KR 100804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lvet fabric
metallic particles
velvet
metallic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민
Original Assignee
조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민 filed Critical 조경민
Priority to KR1020070031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04Decorating textiles by metall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44C1/105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2After-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31Methods for making patterns on fabrics, e.g. by application of powder dye, moiréing, embo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lo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사와 레이온사로 제직하여 구비되는 통상의 번아웃 가공용 벨벳직물에 메탈릭 입자를 부착하고 날염을 시행한 후, 번아웃 가공을 실시하여 폴리에스테르사가 제거되지 않은 벨벳직물에는 메탈릭 입자가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고, 번아웃가공되어 폴리에스테르사가 제거되고 레이온사만 남겨진 벨벳직물에는 메탈릭 입자가 폴리에스테르사와 함께 제거되어, 폴리에스테르사에만 메탈릭 입자가 부착되고 레이온사에는 메탈릭입자가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벨벳직물의 무늬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폴리에스테르사와 레이온사로 제직하여 구비되는 통상의 번아웃 가공용 벨벳직물에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벨벳직물의 폴리에스테르사 상단에 일측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메탈릭 입자를 도포하는 메탈릭 입자 도포단계와, 상기 메탈릭 입자 도포단계에서 메탈릭 입자가 도포된 벨벳직물을 130℃ 내지 170℃의 가열롤러로 3초 내지 20초 동안 가압하여 상기 메탈릭 입자의 접착층이 용융되어 벨벳직물에 핫멜트 방식으로 접착되도록 하는 가열단계와, 상기 가열단계에서 메탈릭입자가 부착된 벨벳직물에 계획된 색호와 계획 문양에 맞추어 날염을 실시하는 날염단계와, 상기 날염단계가 완료된 벨벳직물 상단에 증열, 수세 및 텐터 처리되어 파일부분이 문양에 맞추어 번아웃을 시행하는 번아웃 가공단계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벨벳직물, 번아웃가공, 메탈릭입자

Description

벨벳직물의 무늬형성방법{pattern formative method for velvet textile}
도 1은 본 발명 벨벳직물의 무늬형성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벨벳직물의 무늬형성방법에 사용되는 메탈릭 입자의 형성과정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벨벳직물의 무늬형성방법의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10 :입자도포단계 S20 : 가열단계
S30 : 날염단계 S40 : 번아웃가공단계
100 : 벨벳직물 110 : 폴리에스테르사
120 : 레이온사 200 : 메탈릭입자
200' : 메탈릭판 210,210' : 접착층
300 : 날염
본 발명은 벨벳직물의 무늬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폴리에스테르사와 레이온사로 제직하여 구비되는 통상의 번아웃 가공용 벨벳직물에 메탈릭 입자를 부착하 고 날염을 시행한 후, 번아웃 가공을 실시하여 폴리에스테르사가 제거되지 않은 벨벳직물에는 메탈릭 입자가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고, 번아웃가공되어 폴리에스테르사가 제거되고 레이온사만 남겨진 벨벳직물에는 메탈릭 입자가 폴리에스테르사와 함께 제거되어, 폴리에스테르사에만 메탈릭 입자가 부착되고 레이온사에는 메탈릭입자가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벨벳직물의 무늬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벳직물이라 함은 비로드(veludo) 또는 우단(羽緞)이라고도 하며, 파일직물에는 날실로 파일을 나타내는 날파일 직물과 씨실로 파일을 나타내는 씨파일 직물이 있는데, 벨벳은 날파일 직물에 속한다. 벨벳은 날실로 바탕용 날실과 파일용 날실을 사용하고, 조직은 평조직이나 능조직으로 하며, 파일용 날실로서 직물 바탕 위에 부드러운 파일이나 루프를 나타낸 직물이고, 제직(製織)할 때 파일을 만들기 위하여 씨실 방향으로 철사를 삽입하고 바닥조직과 파일조직을 교대로 조직하여 제직 후에 절모(切毛)하여 컷 파일(cut pile)로 하든가, 절모를 하지 않고 고리 모양의 루프(loop)를 표면에 치밀하게 나타나게 한다.
벨벳은 여러 종류가 있는데, 대표적인 예를 들면, 시폰 벨벳(chiffon velvet:가볍고 부드러운 견제품인 고급 벨벳)·레이온 벨벳(rayon velvet:파일을 짧게 하고 곧바로 세워서 파일의 감촉을 약간 뻣뻣하게 한 고급 벨벳)·브로케이드 벨벳(brocade velvet:무늬를 나타낸 벨벳) 등이 있다. 씨파일 직물은 씨실로 바탕용 씨실과 파일용 씨실을 쓰고, 파일용 씨실로서 파일을 나타내는데, 여기에는 벨베틴과 코듀로이가 있으며, 벨베틴은 파일용 씨실에 면사가 쓰이기 때문에 면벨벳이라 하기도 하고, 코듀로이는 날실 방향으로 파일로 형성되는 일정한 넓이의 두둑 을 나타낸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벨벳직물은 그 형태가 단순히 날염이나 번아웃가공에 의한 입체무늬에 제한되어 있어 사용자들의 미적 심미감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번아웃가공에 의해 입체무늬를 형성하거나, 날염을 이용하여 무늬를 형성한 벨벳직물에 광택이 뛰어난 메탈릭입자를 도포하여 밋밋한 벨벳직물을 한층 미려하게 보이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벨벳직물에 광택이 뛰어난 메탈릭 입자를 도포하는 방법은 벨벳직물 전체에 메탈릭 입자를 도포하는 방법이 시행되어져 왔고, 이에 따라 메탈릭 입자의 광택이 벨벳직물에 형성된 날염 또는 번아웃가공에 의한 입체무늬의 미적 심미감을 표출되지 못하도록 저하시켜, 옷감이 단순히 메탈릭 입자만을 도포한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에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벨벳직물의 미려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메탈릭 입자를 날염 또는 번아웃에 의해 형성된 입체무늬에만 부착되도록 하고, 번아웃가공에 의해 폴리에스테르사가 제거되고 레이온사만 남겨진 벨벳직물에는 메탈릭 입자가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벨벳직물의 무늬형성방법의 제공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 벨벳직물의 무늬형성방법은 벨벳직물의 미려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메탈릭 입자를 날염 또는 번아웃에 의해 형성된 입체무늬에만 부착되도록 하고, 번 아웃가공에 의해 폴리에스테르사가 제거되고 레이온사만 남겨진 벨벳직물에는 메탈릭 입자가 부착되지 않도록 하여 벨벳직물의 미적 심미감을 극대화시킬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다양한 미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사와 레이온사로 제직하여 구비되는 통상의 번아웃 가공용 벨벳직물에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벨벳직물의 폴리에스테르사 상단에 일측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메탈릭 입자를 도포하는 메탈릭 입자 도포단계와, 상기 메탈릭 입자 도포단계에서 메탈릭 입자가 도포된 벨벳직물을 130℃ 내지 170℃의 가열롤러로 3초 내지 20초 동안 가압하여 상기 메탈릭 입자의 접착층이 용융되어 벨벳직물에 핫멜트 방식으로 접착되도록 하는 가열단계와, 상기 가열단계에서 메탈릭입자가 부착된 벨벳직물에 계획된 색호와 계획 문양에 맞추어 날염을 실시하는 날염단계와, 상기 날염단계가 완료된 벨벳직물 상단에 증열, 수세 및 텐터 처리되어 파일부분이 문양에 맞추어 번아웃을 시행하는 번아웃 가공단계로 이루어지는 벨벳직물의 무늬형성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메탈릭 입자는 박판형태의 메탈릭판을 구비하고, 상기 메탈릭판의 일면에 접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메탈릭판이 잘게 분쇄되어 폴리에스테르사 상단에 구비되는 벨벳직물의 무늬형성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 벨벳직물의 무늬형성방법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벨벳직물의 무늬형성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벨벳직물의 무늬형성방법에 사용되는 메탈릭 입자의 형성과정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벨벳직물의 무늬형성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 벨벳직물의 무늬형성방법은 폴리에스테르사(110)와 레이온사(120)로 제직하여 구비되는 통상의 번아웃 가공용 벨벳직물(100)의 폴리에스테르사(110) 상단에 일측면에 접착층(210)을 형성하는 메탈릭입자(200)를 도포하는 메탈릭 입자 도포단계(S10)와, 상기 메탈릭 입자 도포단계(S10)에서 메탈릭입자(200)가 도포된 벨벳직물(100)을 130℃ 내지 170℃의 가열롤러로 3초 내지 20초 동안 가압하여 상기 메탈릭입자(200)의 접착층(210)이 용융되어 벨벳직물(100)에 핫멜트 방식으로 접착되도록 하는 가열단계(S20)와, 상기 가열단계(S20)에서 메탈릭입자(200)가 부착된 벨벳직물(100)에 계획된 색호와 계획 문양에 맞추어 날염(300)을 실시하는 날염단계(S30)와, 상기 날염단계(S30)가 완료된 벨벳직물(100) 상단에 증열, 수세 및 텐터 처리되어 파일부분이 문양에 맞추어 번아웃을 시행하는 번아웃 가공단계(S4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벨벳직물(100)은 여러 종류가 있는데, 대표적인 예를 들면, 시폰 벨벳(chiffon velvet:가볍고 부드러운 견제품인 고급 벨벳)·레이온 벨벳(rayon velvet:파일을 짧게 하고 곧바로 세워서 파일의 감촉을 약간 뻣뻣하게 한 고급 벨벳)·브로케이드 벨벳(brocade velvet:무늬를 나타낸 벨벳) 등이 있다. 씨파일 직물은 씨실로 바탕용 씨실과 파일용 씨실을 쓰고, 파일용 씨실로서 파일을 나타내는데, 여기에는 벨베틴과 코듀로이가 있으며, 벨베틴은 파일용 씨실에 면사가 쓰이기 때문에 면벨벳이라 하기도 하고, 코듀로이는 날실 방향으로 파일로 형성되는 일정한 넓이의 두둑을 나타낸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위경사로 사용되는 원사는 카치온(CATION)폴리사를 선택하고, 파일부를 형성할 파일사로는 레이온사를 선택하며, 경사의 중간에 공급되어 문양을 이루는 문양경사로는 일반적인 폴리사를 선택하고, 상기한 원사를 이용하여 제직되는 벨벳직물을 비롯하여, 벨벳직물의 바닥조직에 형성되는 파일은 비스코레이온사를 공급/제직하고, 바닥조직을 구성하는 위사는 카치온사로, 경사는 염색 후 직선라인이 형성되도록 카치온사 8~10가닥과 폴리에스테르사 1~2가닥의 비율로 반복되게 공급/제직한 번아웃 가공용 벨벳직물과 같이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벨벳직물(100)의 의미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메탈릭 입자 도포단계(S10)는 벨벳직물(100)의 폴리에스테르사(110) 상단에 일측면에 접착층(210)을 형성하는 메탈릭입자(200)를 도포하는 단계로 메탈릭입자(200)는 자연에서 산출되는 균질한 결정질의 광물입자를 비롯하여 필름지에 금박 또는 은박과 같이 금속광택을 구비하고 미려함을 구비한 소재를 도포 또는 코팅처리하여 이루어진 메탈릭판(200')을 잘게 분쇄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광물입자는 대부분 무기과정에 의해 생성되고 화학조성이 일정하고 원자배열이 규칙적이며, 대부분 무기과정에 의해 만들어지고,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광물 또는 메탈릭입자(200)의 종류는 약 2,400종이나 되며, 은(Ag), 금(Au), 구리(Cu) 등과 같은 원소소재 광물입자와 다이아몬드, 강옥, 석영과 같은 물성 소재광물입자와, 장석, 녹주석, 수정과 같은 보석 광물입자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벨벳직물(100)에 부착 되어 미려함을 표출할 수 있는 소재를 용도와 디자인에 맞도록 선택하여 분쇄하고 벨벳직물(100)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메탈릭입자(200)로도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소재는 한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와 같이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진 메탈릭입자(200)는 잘게 분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그 크기 및 형상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탈릭입자(200)는 박판형태의 메탈릭판(200')을 구비하고, 상기 메탈릭판(200')의 일면에 접착층(210')을 형성하고, 상기메탈릭판(200')이 잘게 분쇄되어 폴리에스테르사(110) 상단에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 메탈릭판(2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판 형태의 필름지에 금박 또는 은박 또는 기타 다른 색상과 광택을 구비하는 소재를 코팅 처리되거나 도포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박판형태의 메탈릭판(200')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부착하여 접착층(210')을 형성함에 따라, 메탈릭입자(200)가 벨벳직물(100)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와 같이 박판형태로 구비된 메탈릭판(200')은 그 크기와 용도에 맞게 다양한 사이즈와 모양으로 절단되어 구비될 수 있다.
가열단계(S20)는 상기 메탈릭 입자 도포단계(S10)에서 메탈릭입자(200)가 도포된 벨벳직물(100)을 130℃ 내지 170℃의 가열롤러로 3초 내지 20초 동안 가압하여 상기 메탈릭입자(200)의 접착층(210)이 용융되어 벨벳직물(100)에 핫멜트 방식으로 접착되도록 하는 단계로, 상기 메탈릭입자(200)에 형성된 접착층(210)이 상기 가열롤러의 가열 및 가압으로 인하여 용융되어 벨벳직물(100)에 견고히 접착되도록 한다.
상기 가열롤러의 온도를 130℃이하의 온도로 가열하면 메탈릭입자(200)의 접착층(210)이 제대로 용융되지 않아 메탈릭입자(200)가 벨벳직물(100)에 제대로 접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온도를 170℃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면 고온의 가열로 인해 벨벳직물(100)의 원단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130℃ 내지 170℃의 가열롤러 가열시키는 것이 바람직 하고, 가열시간을 3초 내지 20초 동안 시행하는 이유는 3초 이하로 가열하면 메탈릭입자(200)의 접착층(210)이 제대로 용융되지 않아 메탈릭입자(200)가 벨벳직물(100)에 제대로 접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20초 이상으로 가열하면 장시간의 가열로 인해 벨벳직물(100)의 원단손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날염단계(S30)는 상기 가열단계(S20)에서 메탈릭입자(200)가 부착된 벨벳직물(100)에 계획된 색호와 계획 문양에 맞추어 날염(300)을 실시하는 단계로, 상기 날염(300)은 피륙에 무늬를 염색하는 방법으로 실이나 직물지, 특히 직물을 부분적으로 착색하여 필요한 무늬가 나타나도록 하는 기술로서, 날염대상과 날염작업에 쓰이는 착색제의 종류 등에 의해 여러가지로 분류되고 있지만, 그 기술의 원리를 설명하는 데는 염료날염과 안료날염으로 나누어서 생각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
상기 날염(300) 방법에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이송부, 상기 이송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날염 프린트수단, 상부에 피인쇄물이 고정되고, 상기 이송부에 안치되어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프레임상에서 왕복 이송되며, 상기 피인쇄물의 두께에 따라 높낮이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자동승강조절수단을 구비한 이송구동수단, 상기 프레임의 소정 부위에 각각 위치되어 이송구동수단의 초기 위치, 인쇄시작위치 및 배출완료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수단, 상기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로 명령을 전달하도록 조작하는 조작스위치가 구비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디지털 날염기를 포함하여,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에 밀착되어 안내롤러를 통해 공급되는 원단을 안내하고 동시에 원단을 밀착시켜 이송시키는 원단이송고무롤러, 염액이 충전된 염액공급박스와, 이 염액공급박스에서 염액을 흡수하여 상기 원단이송고무롤러와 밀착 회전되어 원단에 염액을 날염하는 무늬롤러와, 이 무늬롤러에 밀착되어 무늬롤러에 흡수된 염액량을 조절해주는 염액조절롤러로 구성된 날염조가 다색상의 무늬를 원단에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원단이송고무롤러측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된 날염장치와 같이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날염장치 및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롤러에 의한 날염방식이나, 전사방식뿐만 아니라 수작업 및 기타 여러 방법으로 날염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두는 바이다.
번아웃가공단계(S40)는 상기 날염단계(S30)가 완료된 벨벳직물(100) 상단에 증열, 수세 및 텐터 처리되어 파일부분이 문양에 맞추어 번아웃을 시행하는 단계로, 상기 번아웃가공단계(S40)에 의해 번아웃이 이루어진 부분은 폴리에스테르사(110)가 제거되고 번아웃이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은 폴리에스테르사(110)가 유지되고 있으며, 폴리에스테르사(110)가 제거된 부분은 폴리에스테르사(110) 상단에 부착된 메탈릭입자(200)도 동시에 제거되고 레이온사(120)만 남게 되고, 폴리에스테르사(110)가 제거되지 않은 부분은 그 상단의 메탈릭입자(200)도 함께 유지되어 결과적으로 레이온사(120)가 노출된 부분은 메탈릭입자(200)가 부착되지 않고, 폴리에스테르사(110)에만 메탈릭입자(200)가 부착되게 된다.
상기 번아웃공정은 벨벳직물(100) 표면에 화학약품 처리에 의한 특정 무늬의 형성을 위해 섬유 번아웃용 화학약품 및 착색용 화학약품이 혼합된 화학약품이 묻은 특정 도안의 인쇄용 로울러를 이용하여 무늬를 인쇄하고, 상기 직물에 인쇄된 화학약품의 화학적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소정의 온도로 열처리하고, 상기 열처리에 의해 섬유 조직이 번아웃된 부분을 수세 처리하고, 상기 수세처리 후 남아 있는 번아웃 잔여물을 깨끗하게 제거하기 위해 샌드 워싱하고, 상기 샌드 워싱 후, 직물을 건조하여 제품을 완성하는 번아웃 가공방법을 비롯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번아웃공정과 날염공정은 필요에 따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 벨벳직물의 무늬형성방법은 벨벳직물의 미려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메탈릭 입자를 날염 또는 번아웃에 의해 형성된 입체무늬에만 부착되도록 하고, 번아웃가공에 의해 폴리에스테르사가 제거되고 레이온사만 남겨진 벨벳직물에는 메탈릭 입자가 부착되지 않도록 하여 벨벳직물의 미적 심미감을 극대화시킬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다양한 미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1. 폴리에스테르사(110)와 레이온사(120)로 제직하여 구비되는 통상의 번아웃 가공용 벨벳직물(100)에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벨벳직물(100)의 폴리에스테르사(110) 상단에 일측면에 접착층(210)을 형성하는 메탈릭입자(200)를 도포하는 메탈릭 입자 도포단계(S10);
    상기 메탈릭 입자 도포단계(S10)에서 메탈릭입자(200)가 도포된 벨벳직물(100)을 130℃ 내지 170℃의 가열롤러로 3초 내지 20초 동안 가압하여 상기 메탈릭입자(200)의 접착층(210)이 용융되어 벨벳직물(100)에 핫멜트 방식으로 접착되도록 하는 가열단계(S20);
    상기 가열단계(S20)에서 메탈릭입자(200)가 부착된 벨벳직물(100)에 계획된 색호와 계획 문양에 맞추어 날염(300)을 실시하는 날염단계(S30);
    상기 날염단계(S30)가 완료된 벨벳직물(100) 상단에 증열, 수세 및 텐터 처리되어 파일부분이 문양에 맞추어 번아웃을 시행하는 번아웃 가공단계(S4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벳직물의 무늬형성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릭입자(200)는 박판형태의 메탈릭판(200')을 구비하고, 상기 메탈릭판(200')의 일면에 접착층(210')을 형성하고, 상기 메탈릭판(200')이 잘게 분쇄되어 폴리에스테르사(110) 상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벳직물(100)의 무늬형성방법.
KR1020070031832A 2007-03-30 2007-03-30 벨벳직물의 무늬형성방법 KR100804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832A KR100804015B1 (ko) 2007-03-30 2007-03-30 벨벳직물의 무늬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832A KR100804015B1 (ko) 2007-03-30 2007-03-30 벨벳직물의 무늬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4015B1 true KR100804015B1 (ko) 2008-02-18

Family

ID=39382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832A KR100804015B1 (ko) 2007-03-30 2007-03-30 벨벳직물의 무늬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0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439B1 (ko) * 2014-12-23 2015-05-21 주식회사 무창섬유 이중직물의 번아웃 방법과 그 직물
KR20190006895A (ko) * 2018-05-23 2019-01-21 주식회사 무창섬유 나염으로 식모를 감량분할한 파일직물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8983A (en) 1971-12-27 1974-10-01 Brunswick Corp Velvet fabric
KR200230636Y1 (ko) 2000-11-14 2001-07-03 김태호 번아웃 작업용 벨벳직물
KR200275429Y1 (ko) 2001-09-18 2002-05-16 이준희 번아웃 가공용 벨벳직물
KR200358495Y1 (ko) 2004-03-25 2004-08-11 김득만 번아웃 가공용 벨벳직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8983A (en) 1971-12-27 1974-10-01 Brunswick Corp Velvet fabric
KR200230636Y1 (ko) 2000-11-14 2001-07-03 김태호 번아웃 작업용 벨벳직물
KR200275429Y1 (ko) 2001-09-18 2002-05-16 이준희 번아웃 가공용 벨벳직물
KR200358495Y1 (ko) 2004-03-25 2004-08-11 김득만 번아웃 가공용 벨벳직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439B1 (ko) * 2014-12-23 2015-05-21 주식회사 무창섬유 이중직물의 번아웃 방법과 그 직물
KR20190006895A (ko) * 2018-05-23 2019-01-21 주식회사 무창섬유 나염으로 식모를 감량분할한 파일직물 제조방법
KR101961690B1 (ko) 2018-05-23 2019-03-26 주식회사 무창섬유 나염으로 식모를 감량분할한 파일직물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39223B (zh) 一种在织品上提供三维图案的贴花及其制作和使用方法
US7666231B2 (en) Process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a flocked and dyed cloth backing
US20060026778A1 (en) Process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a flocked and dyed cloth backing
KR100804015B1 (ko) 벨벳직물의 무늬형성방법
CN101984890B (zh) 基于光纤的可控发光图案的窗帘及其制备方法
CN104831548A (zh) 一种双面条码印刷商标带及其制备工艺
CN102051729B (zh) 真丝印经织造工艺及其应用
CN109068767B (zh) 徽章粘合剂移除组件及相关方法
US20050153614A1 (en) Compound fabric for embroidering
KR101538267B1 (ko) 쟈카드직물의 입체무늬 형성장치 및 입체무늬를 갖는 쟈카드직물
KR100541023B1 (ko) 망사형 직물지에 엠보싱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및이로부터 얻어진 블라인드용 원단
KR100850150B1 (ko) 전사 날염방법과 그 장치
CN100408754C (zh) 反光布的制作方法
KR100803702B1 (ko) 구두 밑창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두 밑창
CN1295392C (zh) 织物的染色加工方法
CN109943955A (zh) 一种复古风格面料的制备工艺及其制备的面料
CN113715539B (zh) 一种钻石画布及其制备工艺
KR100729493B1 (ko) 헤드타이 또는 다마스크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0576648B1 (ko) 색상 원단의 제조 방법과 그 장치
CN110195281A (zh) 一种免车缝工艺及应用
KR101029703B1 (ko) 나염직물지의 장식지 접착방법 및 그 장치
KR100725963B1 (ko) 인쇄된 원사를 사용하는 직물 성형장치와 방법 및 그성형직물
JP2668208B2 (ja) 小絣織物の製造法
KR101893345B1 (ko) 요철 원단의 식모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모 원단
KR20110008721A (ko) 반짝이소재가 부착된 원단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