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2453B1 -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2453B1
KR100802453B1 KR1020060093764A KR20060093764A KR100802453B1 KR 100802453 B1 KR100802453 B1 KR 100802453B1 KR 1020060093764 A KR1020060093764 A KR 1020060093764A KR 20060093764 A KR20060093764 A KR 20060093764A KR 100802453 B1 KR100802453 B1 KR 100802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signal processing
signal
processing modul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3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록
남인창
김재형
장정우
김길진
최현호
이동익
허남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3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2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35Cooling of active equipments, e.g. air du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75Radio-over-fibre, e.g. radio frequency signal modulated onto an optical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09Outer radiating structures o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fins integrated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06Coo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는, 도너로부터 입력되는 순방향 신호를 처리하여 단말기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역방향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도너측으로 전송하되, 상기 순방향 및 역방향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가 모듈화되어 있으며,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리모트용 통합모듈; 및 상기 리모트용 통합모듈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리모트용 통합모듈은, 상기 도너로부터 입력되는 순방향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단말기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역방향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도너측으로 전송하되, 상기 순방향 및 역방향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가 모듈화 되어 있는 신호처리모듈; 및 상기 신호처리모듈이 결합되며, 상기 신호처리모듈의 발열량에 비례하는 방열 면적을 가지는 방열판;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신호처리모듈의 발열량이 작을 경우, 그에 비례하여 방열 면적이 작은 방열판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리모트의 제조단가 및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동통신 중계기, 리모트, 리모트모듈, 전력증폭, 발열, 방열

Description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REMOTE FOR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도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에서 신호처리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의 신호처리모듈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0,400':리모트
410,610:리모트용통합모듈
411,411':신호처리모듈
412,612:방열판
420:케이싱
421:슬라이딩턱
본 발명은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리모트의 신호처리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망에서는 통신량이 많은 지역이나, 전파음영지역의 서비스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중계기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중계기(이하 '중계기')(100)는 기지국(200)과 케이블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격지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도너(Donor)(110)와, 각 원격지에서 상기 도너(110)와 광케이블로 연결되어, 단말기(301,302,303,304)와 RF(Radio Frequency)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도너(110)와 연계시키는 리모트(Remote)(121,122,123,124)들을 포함한다. 이때,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도너(110)와 리모트(121,122,123,124)간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중계기를 '광중계기'라 한다.
여기서, 리모트(121,122,123,124)는, 도너(110)로부터 입력되는 순방향 신호를 광전변환하고 높은 전력으로 증폭하여 단말기(301,302,303,304)측으로 전송하며, 단말기(301,302,303,304)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역방향 신호를 저잡음증폭하고 전광변환하여 도너(110)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처리부들이 실장되어 있는 리모트모듈과, 상기 각 신호처리부들을 제어하는 리모트제어부, 그리고 상기 각 신호처리부들과 리모트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리모트제어부는, 리모트모듈의 각 신호처리부들을 감시, 제어 및 점검하는데, 이를 위해 각 신호처리부들에는 각각의 CPU가 실장되어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각각의 신호처리부에서 사용하기 적합하도록 조절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각 신호처리부에는 레귤레이터(Regulator)가 실장되어 있다.
즉, 각 신호처리부가 각각의 CPU와 레귤레이터를 갖기 때문에, 이들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리모트모듈은 외형적인 사이즈가 크며, 제조비용 또한 상승하게 되고, 더불어 리모트의 사이즈도 커지고, 제조비용도 상승하게 된다. 또한, 각 신호처리부들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로 인해, 그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도 있다.
또한, 리모트에는 광전변환된 순방향신호를 높은 전력으로 증폭하기 위한 전력증폭기가 포함되어 있는데, 상기 전력증폭기는, 출력용량이 커질수록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어 높은 온도의 열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리모트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한 높은 열로 인하여 오동작을 하거나 고장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전력증폭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식히거나, 외부로 배출시켜 적정 온도를 유지시켜야 한다.
전력증폭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식히고,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방열판을 이용하는 기술이 공지된 바 있다. 즉, 리모트 케이싱 내부에 다수의 방열핀이 형성된 방열판이 마련되고, 전력증폭기를 방열판에 인접하여 설치함으로써, 전력증폭기 의 열이 다수의 방열핀이 형성하는 표면적(방열면적)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었다. 그러나 전력증폭기는 최대출력이 높을수록 발열량은 더욱 커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방열판은, 리모트에 설치되는 전력증폭기가 최대의 출력을 내는, 즉 최대의 발열량을 감안하여, 최대의 방열면적을 갖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에 따라, 통신량이 적은 지역에 설치되어, 저출력의 전력증폭기를 사용하는 리모트에도, 방열면적이 최대인 방열판이 설치됨으로 인해서, 리모트의 제조 및 설치단가가 높아질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각 신호처리부들에 공통적으로 실장된 구성을 하나의 구성으로 공용화하여 소형화 된 신호처리모듈을 포함하는 리모트에서, 신호처리모듈의 발열량에 비례하는 방열판을 사용하여, 리모트의 제조 및 설치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를 제공하며, 또한, 신호처리모듈의 교체시,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여 A/S를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는, 도너로부터 입력되는 순방향 신호를 처리하여 단말기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역방향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도너측으로 전송하되, 상기 순방향 및 역방향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가 모듈화되어 있으며,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리모트용 통합모듈; 및 상기 리모트용 통합모듈을 수용하 는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리모트용 통합모듈은, 상기 도너로부터 입력되는 순방향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단말기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역방향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도너측으로 전송하되, 상기 순방향 및 역방향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가 모듈화 되어 있는 신호처리모듈; 및 상기 신호처리모듈이 결합되며, 상기 신호처리모듈의 발열량에 비례하는 방열 면적을 가지는 방열판;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방열판은, 상기 신호처리모듈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신호처리모듈은, 상기 수용홈에 안착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모트용 통합모듈은, 상기 케이싱 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케이싱은, 내부에 슬라이딩턱이 형성되어, 상기 리모트용 통합모듈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는, 도너로부터 입력되는 순방향 신호를 처리하여 단말기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역방향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도너측으로 전송하되, 상기 순방향 및 역방향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가 모듈화 되어 있는 신호처리모듈; 상기 신호처리모듈이 결합되며, 상기 신호처리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는 방열판; 및 상기 신호처리모듈 및 방열판을 수용하되, 내부에 상기 방열판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턱이 형성된 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의 평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의 신호처리모듈(411)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400)는, 리모트용 통합모듈(410) 및 케이싱(420)을 포함한다.
리모트용 통합모듈(410)은, 도너(500)로부터 입력되는 순방향 신호를 처리하여 단말기측으로 전송하고, 단말기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역방향 신호를 처리하여 도너(500)측으로 전송한다. 또한, 순방향 및 역방향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가 모듈화 되어 있으며,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리모트용 통합모듈(410)은, 신호처리모듈(411) 및 방열판(4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신호처리모듈(411)은, 도너(500)로부터 입력되는 순방향 신호를 처리하여 단말기측으로 전송하고, 단말기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역방향 신호를 처리하여 도너(500)측으로 전송하는데, 순방향 및 역방향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가 모듈화 되어 있다. 이때, 신호처리부들 중에는, 전력증폭유닛(411b)이 포함되는데, 전력증폭유닛(411b)은 많은 양의 전류가 소모되면서 높은 열을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신호처리모듈(411) 또한 높은 열을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전력증폭유닛(411b) 의 출력용량이 커질수록 발열량은 더욱 커진다. 신호처리모듈(411)의 다른 신호처리부들에 대한 설명은 이후 다시 하도록 한다.
방열판(412)은, 신호처리모듈(411)이 결합되며, 신호처리모듈(411)의 발열량에 비례하는 방열 면적을 갖는다. 한편, 도3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판(412)은 신호처리모듈(411)을 수용하는 수용홈(412a)이 형성되고, 신호처리모듈(411)은 수용홈(412a)에 안착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싱(420)은, 신호처리모듈(411)을 수용한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400)의 다른 구성들, 예를 들면, 리모트제어부(413) 및 전원공급부(414)들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A)도 마련된다.
여기서, 신호처리모듈(411)의 신호처리부가 모듈화되어 있다는 것은, 순방향 및 역방향 신호를 처리하는 각 신호처리부가, 리모트모듈에 실장되는 종래 기술과 달리, 각 신호처리부를 일원화하여 설계함으로써 신호처리모듈(411)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각 신호처리부들을 하나의 설계도로써 회로화하면,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성, 즉, 리모트제어부(413)의 감시 및 제어에 필요한 CPU나,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레귤레이터등을 하나만 사용함으로써, 공간 및 제조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처리모듈(411)의 신호처리부는, 광송수신부(411a), 전력증폭유닛(411b), 제1대역통과필터(411c), 제2대역통과필터(411d), 저잡음증폭부(411e) 및 모뎀(411f)을 포함할 수 있다.
광송수신부(411a)는, 도너(500)측으로부터 수신되는 광신호인 순방향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단말기측으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인 신호인 역방향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도너(500)측으로 전송한다.
전력증폭유닛(PAU : Power Amplifier Unit)(411b)은 광송수신부(411a)로부터 입력되는 순방향 신호를 공기중으로 전파하기 위해 높은 전력으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전력증폭유닛(411b)은 출력레벨의 조절 및 광손실에 대한 보상을 위하여 감쇄기(Attenuater)를 내장할 수 있다. 또한, 전력증폭유닛(411b)은 출력되는 신호의 레벨을 측정할 수 있는 파워디텍터유닛(PDU : Power Detector Unit)을 내장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이득 및 출력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제1대역통과필터(BPF : Band Pass Filter)(411c)는 전력증폭유닛(411b)으로부터 입력되는 순방향 신호에서 원하는 주파수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송신안테나(411g)측으로 출력한다.
제2대역통과필터(411d)는 수신안테나(411h)를 통해 수신되는 역방향 신호에서 원하는 주파수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저잡음증폭부(LNA : Low Noise Amplifier)(411e)는 제2대역통과필터(411d)로부터 입력되는 역방향 신호를 잡음을 최소화하여 증폭시켜 광송수신부(411a)측으로 출력한다.
모뎀(411f)은 도너(500)와 통신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모뎀(411f)은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주파수편이변조(FSK : Frequency Shift Keying)모뎀 또는 진폭편이변조(ASK : Amplitude Shift Keying)모뎀일 수 있다.
한편, A공간에 수용될 수 있는, 리모트제어부(413)는 상기d한 신호처리모듈(411)을 감시 및 제어하며, 그리고 전원공급부(414)는 상기한 신호처리모듈(411) 및 리모트제어부(413)에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리모트용 통합모듈(410)은, 케이싱(420) 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모트용 통합모듈(410)을 케이싱(462)에 탈착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그 일례로, 리모트용 통합모듈(410)의 방열판(412) 양 날개를, 케이싱(420)에 형성된 슬라이딩턱(421)에 슬라이딩 결합하는 방법을 도시하였다. 리모트용 통합모듈(410)을 케이싱(42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함으로써,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처리모듈(411)의 출력용량이 클 경우, 즉, 전력증폭유닛(411b)의 출력용량이 클 경우에는, 그에 따라 방열면적이 큰 방열판(412)을 가지는 리모트용 통합모듈(410)을 케이싱(420)에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처리모듈의 출력용량이 작을 경우, 즉, 전력증폭유닛의 출력용량이 작을 경우에는, 방열면적이 작은 방열판(612)을 가지는 리모트용 통합모듈(610)을 케이싱(420)에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는, 송풍장치를 더 포함하여 방열효과를 높여줄 수도 있다. 즉, 모터와 송풍팬이 구비된 송풍장치를 이용하여, 방열판에 공기를 강제로 송풍시킴으로써, 신호처리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이 더욱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신호처리모듈의 신호처리부는 다이버시티(Diversity)를 위하여,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도6의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400')에 구현된 신호처리모듈(411')은, 광송수신부(411a'), 전력증폭유닛(411b'), 듀플렉서(411c'), 제1저잡음증폭부(411e'), 대역통과필터(411g'), 제2저잡음증폭부(411h'), 모뎀(411i') 및 피뢰기(411d',411f')를 포함한다.
광송수신부(411a')는, 도너(500')측으로부터 수신되는 광신호인 순방향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단말기측으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인 신호인 역방향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도너(500')측으로 전송한다.
전력증폭유닛(PAU : Power Amplifier Unit)(411b')은 광송수신부(411a')로부터 입력되는 순방향 신호를 공기중으로 전파하기 위해 높은 전력으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전력증폭유닛(411b')은 출력레벨의 조절 및 광손실에 대한 보상을 위하여 감쇄기(Attenuater)를 내장할 수 있다. 또한, 전력증폭유닛(411b')은 출력되는 신호의 레벨을 측정할 수 있는 파워디텍터유닛(PDU : Power Detector Unit)을 내장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이득 및 출력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듀플렉서(Duplexer)(411c')는, 전력증폭유닛(411b')으로부터 입력되는 순방향 신호에서 원하는 주파수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송수신안테나(411j')측으로 출력하고, 송수신안테나(411j')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역방향 신호에서 원하는 주파수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이후 서술되는 제1저잡음증폭부(411e')측으로 출력한다. 즉, 듀 플렉서(411c')는, 송신과 수신을 하나의 안테나로 공유하여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제1저잡음증폭부(LNA : Low Noise Amplifier)(411e')는, 듀플렉서(411c')로부터 입력되는 역방향 신호를 잡음을 최소화하여 증폭시켜 광송수신부(411a')로 출력한다.
대역통과필터(BPF : Band Pass Filter)(411g')는 수신안테나(411k')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역방향 신호에서 원하는 주파수 대역만을 필터링 하여 출력한다.
제2저잡음증폭부(411h')는, 대역통과필터(411g')로부터 입력되는 역방향 신호를 잡음을 최소화하여 증폭시켜 광송수신부(411a')로 출력한다.
모뎀(411i')은 도너(500')와 통신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모뎀(411i')은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주파수편이변조(FSK : Frequency Shift Keying)모뎀 또는 진폭편이변조(ASK : Amplitude Shift Keying)모뎀일 수 있다.
피뢰기(411d',411f')는 송수신안테나(411j') 및 수신안테나(411k')측에 각각 설치되어 낙뢰 또는 과전압에 의한 손상을 막기 위해 마련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의 다른 구성들, 즉, 리모트제어부(413')는 신호처리모듈(411')을 제어 및 감시하고, 전원공급부(414')는 신호처리모듈(411') 및 리모트제어부(413')에 전원을 공급하며, 이러한 리모트제어부(413') 및 전원공급부(414')는 케이싱의 수용 공간에 마련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중계기의 용도에 따라 리모트 의 신호처리모듈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신호처리부들을 모듈화하여 신호처리모듈을 구성함으로써, CPU 및 레귤레이터 등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회로화 하기 때문에, 신호처리모듈, 더 나아가 리모트의 사이즈를 대폭 줄이고 제조비용 또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원격지에 설치되는, 리모트의 운반 및 설치가 간편해 질 수 있으며, 설치 공간 또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신호처리모듈과 방열판을 결합한 리모트용 통합모듈을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의 케이싱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열량이 큰 신호처리모듈(411)을 사용할 시에는, 이에 비례하는 방열면적이 큰 방열판(412)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발열량이 작은 신호처리모듈을 사용할 시에는, 방열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방열판(612)을 사용하여 제조원가 및 설치비용을 더욱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신호처리모듈과 방열판을 모듈화하지 않고, 방열면적이 각기 다른 방열판을 케이싱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신호처리부를 모듈화하여 신호처리모듈을 설계함으로써, 공통으로 사용되는 CPU 또는 레귤레이터 등의 구성들이 신호처리모듈의 각 신호처리부에 따로 구비될 필요 없이, 리모트제어부 및 전원공급부에서 통합으로 제어 및 전원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신호처리모듈의 크기, 더 나아가 리모트의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제조비용 또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리모트의 운반 및 설치가 간편하고, 원격지의 리모트가 설치되는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둘째, 신호처리모듈의 발열량에 비례하여 방열면적이 다른 방열판을 케이싱에 결합함으로써, 항상 신호처리모듈의 최대출력에 대응하는 방열판을 사용함으로 인해서 생기는 비효율성을 제거할 수 있으며, 더불어 제조원가 및 설치비용을 더욱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방열판을 케이싱과 슬라이딩 결합함으로써 탈착이 용이하여, 신호처리모듈의 고장 발생시, A/S가 수월하다.

Claims (5)

  1. 도너로부터 입력되는 순방향 신호를 처리하여 단말기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역방향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도너측으로 전송하되, 상기 순방향 및 역방향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가 모듈화되어 있으며,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리모트용 통합모듈; 및
    상기 리모트용 통합모듈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리모트용 통합모듈은,
    상기 도너로부터 입력되는 순방향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단말기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역방향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도너측으로 전송하되, 상기 순방향 및 역방향 신호를 처리하는 각 신호처리부가 모듈화 되어 있는 신호처리모듈; 및
    상기 신호처리모듈이 결합되며, 상기 신호처리모듈의 발열량에 비례하는 방열 면적을 가지는 방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상기 신호처리모듈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신호처리모듈은, 상기 수용홈에 안착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용 통합모듈은, 상기 케이싱 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내부에 슬라이딩턱이 형성되어, 상기 리모트용 통합모듈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
  5. 도너로부터 입력되는 순방향 신호를 처리하여 단말기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역방향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도너측으로 전송하되, 상기 순방향 및 역방향 신호를 처리하는 각 신호처리부가 모듈화 되어 있는 신호처리모듈;
    상기 신호처리모듈이 결합되며, 상기 신호처리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는 방열판; 및
    상기 신호처리모듈 및 방열판을 수용하되, 내부에 상기 방열판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턱이 형성된 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
KR1020060093764A 2006-09-26 2006-09-26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 KR100802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764A KR100802453B1 (ko) 2006-09-26 2006-09-26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764A KR100802453B1 (ko) 2006-09-26 2006-09-26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2453B1 true KR100802453B1 (ko) 2008-02-13

Family

ID=39342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3764A KR100802453B1 (ko) 2006-09-26 2006-09-26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24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316B1 (ko) * 2020-01-21 2020-06-04 김응석 접속반의 온도 조절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1711A (ko) * 2004-12-02 2006-06-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합 제어를 위한 중계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1711A (ko) * 2004-12-02 2006-06-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합 제어를 위한 중계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316B1 (ko) * 2020-01-21 2020-06-04 김응석 접속반의 온도 조절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8044B2 (en) Antenna integrated radio with wireless fronthaul
US20040198451A1 (en) Tower top antenna structure with fiber optic communications link
US20020103012A1 (en) Distributed antenna device for intermediate frequency conversion / process
JP2001513969A (ja) セルラー通信システム
WO2008088859A2 (en) Hybrid passive active broadband antenna for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9735872B2 (en) Remote device of optical relay system
WO2020029309A1 (zh) 一种多天线系统的信号放大器
JP2010525727A (ja) 減衰装置を備えた中継装置の可変減衰方法、及びその遠隔管理システム
JP4413815B2 (ja) 光アナログ伝送システム
KR100802453B1 (ko)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
KR100805592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중계기
KR100802454B1 (ko) 이동통신 중계기
US739509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eiver upgrade
EP0926817B1 (en) Improved feedforward multicarrier linear RF power amplifier
KR101079167B1 (ko) 통합 제어를 위한 중계기 시스템
JP2004147191A (ja) 高出力多モード移動体通信用送受信装置
EP1408634B1 (en) Two stage optical amplifier
US20120155884A1 (en) Optical repeater system
KR20070084716A (ko) 기지국용 무선처리장치
US9614345B2 (en) Arrayed optical amplifier and optical transmission device
CN101777694B (zh) 一种对讲机大功率有源天线
KR100700459B1 (ko)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의 옥외 수신신호 처리장치 및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
KR20020017785A (ko) 광중계기용 결합 및 분배 장치
KR101588129B1 (ko) 무선통신장치 및 무선통신장치의 제조 방법
KR100827642B1 (ko) 방열구조를 가지는 이동통신 중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