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1711A - 통합 제어를 위한 중계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 제어를 위한 중계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1711A
KR20060061711A KR1020040100532A KR20040100532A KR20060061711A KR 20060061711 A KR20060061711 A KR 20060061711A KR 1020040100532 A KR1020040100532 A KR 1020040100532A KR 20040100532 A KR20040100532 A KR 20040100532A KR 20060061711 A KR20060061711 A KR 20060061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ptical
repeater system
uni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0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9167B1 (ko
Inventor
전성훈
이명성
임종태
최경호
이병석
윤홍식
김문홍
양희삼
이기영
윤종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0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9167B1/ko
Publication of KR20060061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35Control of relay amplifier g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64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 H04B7/15585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by interference cance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계기에 적용되는 각각의 구성을 하나의 제어부로 통합하여 제어하는 통합 제어를 위한 중계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잡음 증폭기와 연결되어 RF 신호의 잡음 성분을 줄이고 신호 성분을 증폭하여 감쇄기로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감쇄기와 연결되어 RF 신호의 신호 레벨을 조정하여 고출력 증폭기로 전달하도록 제어하며, 고출력 증폭기와 연결되어 RF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기 위한 실효 전력까지 증폭하도록 제어하고, 온도센서와 연결되어 중계기 시스템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하며, 표시부와 연결되어 중계기 시스템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RF 파형 감시기와 연결되어 중계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RF 파형을 감시하며, 전원부와 연결되어 중계기 시스템의 전원 상태를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하여, 중계기 시스템 내부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부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하나의 제어부에서 중계기 시스템 내부의 구성을 통합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다수의 제어회로 간에 신호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및 오류 감시를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을 구비하는데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중계기, 제어

Description

통합 제어를 위한 중계기 시스템{Repeater System for Unified Control}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중계기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중계기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RF 중계기 시스템 110, 338, 438 : 모뎀부
120, 130 : 듀플렉서 122, 132, 310, 422 : LNA
124, 134 : 감쇄기 126, 136, 320, 412 : HPA
140, 332, 432 : 온도센서 142, 330, 430 : 표시부
144, 334, 434 : RF 파형 감시기 146, 336, 434 : 전원부
150 : 통합 제어부 160, 360, 470 : FAN
200 : 기지국 300 : 도너 모듈
312, 420 : E/O 322, 410 : O/E
340 : 제 1 통합 제어부 350, 450 : 광모듈
400 : 리모트 모듈 440 : 제 2 통합 제어부
본 발명은 중계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계기에 적용되는 각각의 구성을 하나의 제어부로 통합하여 제어하는 통합 제어를 위한 중계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지하, 건물 내부, 터널 등 일반적으로 전파가 도달하기 어려운 전파 음영 지역에서의 전파 음영을 해결하기 위해 중계기를 이용하고 있으며, 중계기는 기지국의 신호가 전파 음영 지역에 도달할 수 있도록 기지국 신호를 증폭하여 전파 음영 지역으로 송출하고, 전파 음영 지역에 위치한 단말의 신호가 기지국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단말 신호를 증폭 및 여과하여 기지국으로 송출하여 전파 음영의 문제점을 해소한다.
상기 중계기는 디스플레이, 감쇄기, 온도센서, RF 파형 감시기, 고출력 증폭기, 저잡음 증폭기, FAN 등을 구비하고, 이에 더하여 고출력 증폭기, 저잡음 증폭기 및 FAN을 제외한 중계기 내부의 디스플레이, 감쇄기, 온도센서, RF 파형 감시기 등을 제어하는 중계기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고출력 증폭기, 저잡음 증폭기 및 FAN은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내부에 독립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중계기 제어부와 상기 증폭기 또는 상기 FAN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제어부 간에는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및 제어회로 간의 오류를 측정하기 위한 오류 검증 프로그램이 요구되며, 이로 인하여 중계기에는 중복되는 프로그램 및 제어에 요구되는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중계기 내부에서 구현되는 모든 구성을 하나의 제어부에서 통합으로 관리하는 통합 제어를 위한 중계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 및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며, 저잡음 증폭기, 감쇄기, 고출력 증폭기, 온도센서, 표시부, RF 파형 감시기, 전원부를 포함하는 중계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잡음 증폭기와 연결되어 RF 신호의 잡음 성분을 줄이고 신호 성분을 증폭하여 상기 감쇄기로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쇄기와 연결되어 상기 RF 신호의 신호 레벨을 조정하여 고출력 증폭기로 전달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고출력 증폭기와 연결되어 상기 RF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기 위한 실효 전력까지 증폭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온도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중계기 시스템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하며, 상기 표시부와 연결되어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RF 파형 감시기와 연결되어 상기 중계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RF 파형을 감시하며,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전원 상태를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한다.
다른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 및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며, 저잡음 증폭기, 전광 변환부, 광전 변환부, 고출력 증폭기, 온도센서, 표시부, RF 파형 감시기 및 광모듈, 전원부를 포함하는 도너 모듈 및 저잡음 증폭기, 전광 변환부, 광전 변환부, 고출력 증폭기, 온도센서, 표시부, RF 파형 감시기, 스위치 및 광모듈, 전원부를 포함하는 리모트 모듈을 구비하는 중계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너 모듈의 상기 저잡음 증폭기와 연결되어 RF 신호의 잡음 성분을 줄이고 신호 성분을 증폭하여 상기 전광 변환부로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도너 모듈의 전광 변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저잡음 증폭기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의 전광 변환을 통해 상기 수신한 RF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광모듈로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도너 모듈의 광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전광 변환부로부터 전달받은 다수의 광 신호를 광 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리모트 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리모트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다수의 광 신호를 분기하여 상기 광전 변환부로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도너 모듈의 광전 변환부와 연결되어 상기 광 신호의 광전 변환을 통해 광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고출력 증폭기로 전달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고출력 증폭기와 연결되어 상기 RF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기 위한 실효 출력까지 증폭하고 RF 케이블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온도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중계기 시스템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며, 상기 표시부와 연결되어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RF 파형 감시기와 연결되어 상기 중계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RF 파형을 감시하며, 상기 도너 모듈의 전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도너 모듈의 전원 상태를 제어하는 제 1 통합 제어부; 상기 리모트 모듈의 스위치와 연결되어 수신되는 RF 신호를 상기 저잡음 증폭기로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리모트 모듈의 저잡음 증폭기와 연결되어 RF 신호의 잡음 성분을 줄이고 신호 성분을 증폭하여 상기 전광 변환부로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리모트 모듈의 전광 변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저 잡음 증폭기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의 전광 변환을 통해 상기 수신한 RF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광모듈로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리모트 모듈의 광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전광 변환부로부터 전달받은 다수의 광 신호를 광 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도너 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도너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다수의 광 신호를 분기하여 상기 광전 변환부로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리모트 모듈의 광전 변환부와 연결되어 상기 광 신호의 광전 변환을 통해 광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고출력 증폭기로 전달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고출력 증폭기와 연결되어 상기 RF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기 위한 실효 출력까지 증폭하고 RF 케이블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온도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중계기 시스템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며, 상기 표시부와 연결되어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RF 파형 감시기와 연결되어 상기 중계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RF 파형을 감시하며, 상기 리모트 모듈의 전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리모트 모듈의 전원 상태를 제어하는 제 2 통합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중계기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RF 중계기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한 것과 같이, RF 중계기 시스템(100)은 모뎀부(110), 듀플렉서(Duplexer)(120, 130),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이하 ‘LNA’라 함)(122, 132), 감쇄기(Attenuator)(124, 134), 고출력 증폭기(High Power Amplifier; 이하 ‘HPA’라 함)(126, 136), 온도센서(140), 표시부(LED, 142), RF 파형 감시기(144), 전원부(146), 통합 제어부(150) 및 FAN(16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통합 제어부(150)는 상기 RF 중계기 시스템(100)내의 모든 구성과 연결되어, 상기 RF 중계기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통합 제어부(150)는 듀플렉서(120, 130)와 연결되어 상향신호와 하향신호를 구분하여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LNA(122)와 연결되어 RF 신호의 잡음 성분을 줄이고 신호 성분을 증폭하여 상기 감쇄기로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감쇄기(124)와 연결되어 RF 신호의 신호 레벨을 조정하여 HPA(126)로 전달하도록 제어하며, HPA(126)와 연결되어 RF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기 위한 실효 전력까지 증폭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통합 제어부(150)는 온도센서(140)와 연결되어 RF중계기 시스템(100) 내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체크하며 조절하도록 제어하고, 표시부(142)와 연결되어 RF중계기 시스템(100)의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며, RF 파형 감시기(144)와 연결되어 RF 중계기 시스템(100)에서 발생되는RF 파형을 감시하고, 전원부(146)와 연결되어 RF 중계기 시스템(100)의 전원 상태를 제어한다.
이에 더하여, 통합 제어부(150)는 FAN(160)과 연결되어 FAN(160)을 제어하며, 모뎀부(110)와 연결되어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etwork Management System)과 통신을 수행하며 RF 중계기 시스템의 감시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에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망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모뎀부와 통신을 수 행하며 중계기 시스템의 동작을 감시한다. 또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교환기로부터 망의 상태, 경보, 트래픽 데이터 등을 수집, 축적하며, 망 관리 파라미터나 통계 데이터를 계산한다. 이에 더하여,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명령어에 의하여 교환기의 트래픽 유입을 제어하며, 망 관리 센터의 망 감시반, 망 제어 단말을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중계기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광 중계기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한 것과 같이, 광 중계기 시스템은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이하 ‘LNA’라 함)(310), 전광 변환부(E/O)(312), 광전 변환부(O/E)(322), 고출력 증폭기(High Power Amplifier; 이하‘HPA’라 함)(320), 표시부(330), 온도센서(332), RF 파형 감시기(334), 전원부(336), 모뎀부(338), 제 1 통합 제어부(340), 광모듈(350) 및 FAN(3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너 모듈(300)과, 광모듈(450), 광전 변환부(410), HPA(412), 스위치(460), LNA(422), 전광 변환부(420), 표시부(430), 온도센서(432), RF 파형 감시기(434), 전원부(436), 모뎀부(438), 제 2 통합 제어부(440) 및 FAN(3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모트 모듈(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광 중계기 시스템의 도너 모듈(300)과 리모트 모듈(400)은 광 통신 케이블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 1 통합 제어부(340)는 광 중계기 시스템 도너 모듈(300)의 모든 구성과 연결되어, 상기 광 중계기 시스템의 도너 모듈(3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 1 통합 제어부(340)는 LNA(310)와 연결되어 RF 신호의 잡음 성분을 줄이고 신호 성분을 증폭하여 전광 변환부(312)로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전광 변환부(312)와 연결되어 LNA(31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의 전광 변환을 통해 수신한 RF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광모듈(350)로 전달하도록 제어하며, 광모듈(350)과 연결되어 전광 변환부(312)로부터 전달받은 다수의 광 신호를 광 통신 케이블을 통해 리모트 모듈(400)로 전송한다.
또한, 제 1 통합 제어부(340)는 리모트 모듈(400)로부터 전달받은 다수의 광 신호를 분기하여 광전 변환부(322)로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광전 변환부(322)와 연결되어 광 신호의 광전 변환을 통해 광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고 HPA(320)로 전달하도록 제어하며, HPA(320)와 연결되어 RF 신호를 상기 기지국(200)으로 전송하기 위한 실효 출력까지 증폭하고 RF 케이블을 통해 기지국(200)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더하여, 제 1 통합 제어부(340)는 온도센서(332)와 연결되어 광 중계기 시스템 내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체크하며 조절하도록 제어하고, 표시부(330)와 연결되어 광 중계기 시스템의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며, RF 파형 감시기(334)와 연결되어 광 중계기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RF 파형을 감시하고, 전원부(336)와 연결되어 도너 모듈(300)의 전원 상태를 제어한다.
또한, 제 1 통합 제어부(340)는 FAN(360)과 연결되어 FAN(360)을 제어하며, 모뎀부(338)와 연결되어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etwork Management System)과 통신을 수행하며 광 중계기 시스템의 감시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 2 통합 제어부(440)는 광 중계기 시스템 리모트 모듈(400)의 모든 구성과 연결되어, 상기 광 중계기 시스템의 리모트 모듈(4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 2 통합 제어부(440)는 스위치(460)와 연결되어 수신되는 RF 신호를 LNA(422)로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LNA(422)와 연결되어 RF 신호의 잡음 성분을 줄이고 신호 성분을 증폭하여 전광 변환부(420)로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전광 변환부(420)와 연결되어 LNA(422)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의 전광 변환을 통해 수신한 RF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광모듈(450)로 전달하도록 제어하며, 광모듈(450)과 연결되어 전광 변환부(420)로부터 전달받은 다수의 광 신호를 광 통신 케이블을 통해 도너 모듈(300)로 전송한다.
또한, 제 2 통합 제어부(440)는 도너 모듈(300)로부터 전달받은 다수의 광 신호를 분기하여 광전 변환부(410)로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광전 변환부(410)와 연결되어 광 신호의 광전 변환을 통해 광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HPA(412)로 전달하도록 제어하며, HPA(412)와 연결되어 RF 신호를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기 위한 실효 출력까지 증폭하고 RF 케이블을 통해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더하여, 제 2 통합 제어부(440)는 온도센서(432)와 연결되어 광 중계기 시스템 내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체크하며 조절하도록 하도록 제어하고, 표시부(430)와 연결되어 광 중계기 시스템의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며, RF 파형 감시기(434)와 연결되어 광 중계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RF 파형을 감시하고, 전원부 (436)와 연결되어 리모트 모듈(400)의 전원 상태를 제어한다.
또한, 제 2 통합 제어부(440)는 FAN(470)과 연결되어 FAN(470)을 제어하며, 모뎀부(438)와 연결되어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etwork Management System)과 통신을 수행하며 광 중계기 시스템의 감시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통합 제어를 위한 중계기 시스템은 중계기 시스템 내부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부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하나의 제어부에서 중계기 시스템 내부의 구성을 통합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다수의 제어회로 간에 신호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및 오류 감시를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을 구비하는데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제어부에서 중계기 시스템 내부의 구성을 통합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별도의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과 비교하여 중계기 시스템 내부의 회로 구성이 간략해지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이동 통신망 및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며, 저잡음 증폭기, 감쇄기, 고출력 증폭기, 온도센서, 표시부, RF 파형 감시기, 전원부를 포함하는 중계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잡음 증폭기와 연결되어 RF 신호의 잡음 성분을 줄이고 신호 성분을 증폭하여 상기 감쇄기로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쇄기와 연결되어 상기 RF 신호의 신호 레벨을 조정하여 고출력 증폭기로 전달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고출력 증폭기와 연결되어 상기 RF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기 위한 실효 전력까지 증폭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온도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중계기 시스템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하며, 상기 표시부와 연결되어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RF 파형 감시기와 연결되어 상기 중계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RF 파형을 감시하며,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전원 상태를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시스템은 FAN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FAN과 연결되어 상기 FAN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시스템은 상기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모뎀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모뎀부가 상기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감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시스템.
  4. 이동 통신망 및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며, 저잡음 증폭기, 전광 변환부, 광전 변환부, 고출력 증폭기, 온도센서, 표시부, RF 파형 감시기 및 광모듈, 전원부를 포함하는 도너 모듈 및 저잡음 증폭기, 전광 변환부, 광전 변환부, 고출력 증폭기, 온도센서, 표시부, RF 파형 감시기, 스위치 및 광모듈, 전원부를 포함하는 리모트 모듈을 구비하는 중계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너 모듈의 상기 저잡음 증폭기와 연결되어 RF 신호의 잡음 성분을 줄이고 신호 성분을 증폭하여 상기 전광 변환부로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도너 모듈의 전광 변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저잡음 증폭기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의 전광 변환을 통해 상기 수신한 RF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광모듈로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도너 모듈의 광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전광 변환부로부터 전달받은 다수의 광 신호를 광 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리모트 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리모트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다수의 광 신호를 분기하여 상기 광전 변환부로 전달하도 록 제어하고, 상기 도너 모듈의 광전 변환부와 연결되어 상기 광 신호의 광전 변환을 통해 광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고출력 증폭기로 전달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고출력 증폭기와 연결되어 상기 RF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기 위한 실효 출력까지 증폭하고 RF 케이블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온도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중계기 시스템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며, 상기 표시부와 연결되어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RF 파형 감시기와 연결되어 상기 중계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RF 파형을 감시하며, 상기 도너 모듈의 전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도너 모듈의 전원 상태를 제어하는 제 1 통합 제어부; 및
    상기 리모트 모듈의 스위치와 연결되어 수신되는 RF 신호를 상기 저잡음 증폭기로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리모트 모듈의 저잡음 증폭기와 연결되어 RF 신호의 잡음 성분을 줄이고 신호 성분을 증폭하여 상기 전광 변환부로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리모트 모듈의 전광 변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저잡음 증폭기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의 전광 변환을 통해 상기 수신한 RF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광모듈로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리모트 모듈의 광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전광 변환부로부터 전달받은 다수의 광 신호를 광 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도너 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도너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다수의 광 신호를 분기하여 상기 광전 변환부로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리모트 모듈의 광전 변환부와 연결되어 상기 광 신호의 광전 변환을 통해 광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고출력 증폭기로 전달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고출력 증폭기와 연결되어 상기 RF 신호를 상기 이동통 신망으로 전송하기 위한 실효 출력까지 증폭하고 RF 케이블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온도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중계기 시스템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며, 상기 표시부와 연결되어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RF 파형 감시기와 연결되어 상기 중계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RF 파형을 감시하며, 상기 리모트 모듈의 전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리모트 모듈의 전원 상태를 제어하는 제 2 통합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시스템은 FAN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FAN과 연결되어 상기 FAN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시스템은 상기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모뎀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모뎀부가 상기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중계기 시스템의 감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시스템.
KR1020040100532A 2004-12-02 2004-12-02 통합 제어를 위한 중계기 시스템 KR101079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532A KR101079167B1 (ko) 2004-12-02 2004-12-02 통합 제어를 위한 중계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532A KR101079167B1 (ko) 2004-12-02 2004-12-02 통합 제어를 위한 중계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711A true KR20060061711A (ko) 2006-06-08
KR101079167B1 KR101079167B1 (ko) 2011-11-02

Family

ID=37158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0532A KR101079167B1 (ko) 2004-12-02 2004-12-02 통합 제어를 위한 중계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916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898B1 (ko) * 2004-12-02 2007-04-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중계기
KR100713080B1 (ko) * 2004-11-08 2007-05-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고발열부가 분리된 통신기기용 중계기
KR100800261B1 (ko) * 2006-09-29 2008-02-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과 이에 적용되는 중계기
KR100802453B1 (ko) * 2006-09-26 2008-02-13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
KR100802454B1 (ko) * 2006-09-26 2008-02-13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이동통신 중계기
KR100870555B1 (ko) * 2007-03-16 2008-11-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온도 및 전류 감시 기능을 갖는 광 신호 중계장치 및 그구동 방법
WO2019067372A1 (en) * 2017-09-26 2019-04-04 Cellphone-Mate, Inc. RADIO FREQUENCY SIGNAL SURPLIERS FOR HIGH FREQUENCY CELLULAR COMMUN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5456B1 (ko) * 1996-08-01 1999-10-15 이용규 이동통신 기지국의 옥외형 수신시스템을 위한 상태감시장치 및 상태정합장치
KR100408701B1 (ko) * 2001-04-11 2003-12-18 신정희 이동수단에 장착된 이동통신용 중계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080B1 (ko) * 2004-11-08 2007-05-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고발열부가 분리된 통신기기용 중계기
KR100706898B1 (ko) * 2004-12-02 2007-04-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중계기
KR100802453B1 (ko) * 2006-09-26 2008-02-13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이동통신 중계기용 리모트
KR100802454B1 (ko) * 2006-09-26 2008-02-13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이동통신 중계기
KR100800261B1 (ko) * 2006-09-29 2008-02-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과 이에 적용되는 중계기
KR100870555B1 (ko) * 2007-03-16 2008-11-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온도 및 전류 감시 기능을 갖는 광 신호 중계장치 및 그구동 방법
WO2019067372A1 (en) * 2017-09-26 2019-04-04 Cellphone-Mate, Inc. RADIO FREQUENCY SIGNAL SURPLIERS FOR HIGH FREQUENCY CELLULAR COMMUN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9167B1 (ko) 201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12851B (zh) 一种分布式无线信号覆盖系统
US20020103012A1 (en) Distributed antenna device for intermediate frequency conversion / process
US20060104643A1 (en) Optical network for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KR101079167B1 (ko) 통합 제어를 위한 중계기 시스템
KR100553421B1 (ko) 무선광전송을 이용한 중계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263595B (zh) 多网融合光纤接入系统
CN101621323A (zh) 一种优化直放站平坦度指标的方法
KR20060118379A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중계기
CN201682503U (zh) 含低噪放功放的光传输装置
KR100697209B1 (ko) 시분할 무선 중계기의 동기 제어 장치
CN202424726U (zh) 多制式射频光传输模块
KR100767311B1 (ko) 잡음 플로어 측정을 통해 역방향 이득을 제어하는이동통신망 광중계기의 도너 및 이동통신망 광중계기의도너에서 잡음 플로어 측정을 통해 역방향 이득을 제어하는방법
KR100628556B1 (ko) 디지털 지연기를 갖는 아날로그 광 중계기
KR100638794B1 (ko) 무선으로 링크를 구성하는 중계 장치
KR200369105Y1 (ko) 디지털 지연기를 갖는 아날로그 광 중계기
KR100674608B1 (ko) 통합증폭유닛 및 이동통신망 광중계기의 리모트
KR200430832Y1 (ko)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
KR200420308Y1 (ko) 이동통신 알에프중계기
CN204836178U (zh) 无线对讲应急通信的射频放大组件及光纤传输系统
KR200232445Y1 (ko) 주파수 변환 방식을 이용한 인-빌딩용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의 도우너 모듈
KR200233511Y1 (ko) 주파수 변환 방식을 이용한 인-빌딩용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의 안테나 모듈
KR100782922B1 (ko)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
TWM628644U (zh) 適用5g網路的分散式天線系統
KR100673164B1 (ko)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 시스템
CN114337566A (zh) 一种可调式双向放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