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3080B1 - 고발열부가 분리된 통신기기용 중계기 - Google Patents

고발열부가 분리된 통신기기용 중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3080B1
KR100713080B1 KR1020040090309A KR20040090309A KR100713080B1 KR 100713080 B1 KR100713080 B1 KR 100713080B1 KR 1020040090309 A KR1020040090309 A KR 1020040090309A KR 20040090309 A KR20040090309 A KR 20040090309A KR 100713080 B1 KR100713080 B1 KR 100713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high heat
heat generating
main body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0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1325A (ko
Inventor
이병석
전성훈
양희삼
김경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0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3080B1/ko
Publication of KR20060041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기기용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 중계기 본체(1)의 일측에 방열판(2)을 고정 설치하고, 방열판(2)의 일측면에는 삽입홈(3)을 형성한 다음 이 삽입홈(3)에 고발열부 케이스(4)를 고정 설치하며, 고발열부 케이스(4)와 중계기 본체(1)사이에는 하단부에 케이블 연결구(5)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고발열부를 중계기의 외부에 설치함으로써 고온으로부터 각종 전자기기들을 보호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계기 본체에서 고 발열부와 이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를 분리함으로서 중계기 본체의 부피를 최소로 줄일 수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생산단가를 절감하고 고열로 인한 시스템의 오류를 최소로 함으로서 수리로 인한 인력과 그 비용을 절감하고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고발열부가 분리된 통신기기용 중계기{A communication machinery and tools repeater which the prosecution heroine is separated}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 개략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전체 개략 측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측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중계기 본체 2. 방열판 3. 삽입홈
4. 고발열부 케이스 5. 케이블 연결구 6. 냉각용 휀
본 발명은 통신기기용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 중계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발열부를 외부로 분리한 다음 본체와 고발열부 사이에 냉각판을 설치하고 본체와 고발열부 사이에 연결관을 설치하여 이 연결관을 통하여 케이블로 연결하여서 된 것으로서, 중계기본체의 내부에 고발열부를 외부로 분리함으로서 기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한편 열기로 인한 쇼트와 단선을 방지함으로서 수명을 최대로 연 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기기용 중계기에는 각종 전자장비와 냉각기가 설치되는 바, 이때 중계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자장비를 가동하게 되면 각각의 전자장비에서는 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방법은 중계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전자장비중 각각의 발열 온도가 다른 기기들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온이 발생할 경우 여러 가지의 기기중 온도의 범위를 벗어난 기기들의 시스템이 오류를 일으키거나 정지하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열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통신기기용 중계기의 하단부에 냉각장치용 휀을 설치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의 상부 배면으로 배출 되게 함으로써 본체의 내부에 있는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냉각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중계기 본체의 내부에 각각 설정온도가 다른 전자기기들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하단부에 별도의 냉각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주계기 본체의 부피가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별도의 냉각장치를 설치하여도 온도에 미세한 전자기기들이 있으므로 실제적으로 시스템이 자주 다운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중계기의 내부에 여러 가지의 냉각장치를 설치함으로서 냉각의 효율을 극대화시키고자 하였으나 냉각장치가 설치되는 만큼 그 부피가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설치공간 또 한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 사용되어온 냉각방법은 냉각장치가 중계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중계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장치에 의하여 열이 발생할 경우 냉각장치가 필수적으로 가동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불필요한 지출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의 방법은 냉각장치와 고발열부가 중계기의 내부에 다른 기기들과 같이 밀폐된 공간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기기를 작동시킬 경우 자동적으로 온도센서에 의하여 냉각장치가 작동하게 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중계기 본체에 설치되는 고발열부는 별도로 분리하여 중계기의 외부에 설치하되 고발열부의 외부에 냉각용 방열판을 설치하여 자연 냉각이 되도록 하고 중계기 본체와 고발열부 사이에는 케이블을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 고발열부를 중계기의 외부에 설치함으로써 고온으로부터 각종 전자기기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계기 본체에서 고 발열부와 이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를 분리함으로서 중계기 본체의 부피를 최소로 줄일 수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생산단가를 절감하고 시스템의 오류를 최소로 할 수가 있으며,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가 있는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계기 본체의 내부에 냉각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중계기 본체(1)의 일측에 방열판(2)을 고정 설치하고, 방열판(2)의 일측면에는 삽입홈(3)을 형성한 다음 이 삽입홈(3)에 고발열부 케이스(4)를 고정 설치하며, 고발열부 케이스(4)와 중계기 본체(1)사이에는 하단부에 케이블 연결구(5)를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서 미 설명 부호 7은 지주, 8은 고정용 브라켓을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중계기본체(1)의 일측에 방열판(2)을 고정 설치하고, 방열판(2)의 일측면에는 삽입홈(3)을 형성한 다음 이 삽입홈(3)에 고발열부 케이스(4)를 고정 설치하며, 고발열부 케이스(4)와 중계기 본체(1)사이에는 하단부에 케이블 연결구(5)를 설치하되 방열판(2)의 하단부에 냉각용 휀(6)을 설치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계기 본체(1)의 내부에 통신용 전자기기를 설치하고 고 발열부 케이스(4)의 내부에는 고열이 발생되는 LPA(LINEAR POWER AMPILFIER)를 설치하여 각각 케이블 연결구(5)를 통하여 케이블로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중계기본체(1)와 고발열부 케이스(4)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블 연결구(5)를 통하여 케이블을 연결할 경우 케이블 자체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파손의 우려가 없으며, 또한 중계기 본체(1)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방수가 용이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중계기가 작동할 경우 중계기와 고발열부에서 중계기 본체(1)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은 방열판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히트싱크에 의하 여 냉각하게 되고, 고발열부에서 발생된 열은 고 발열부 케이스(4)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방열판(2)에 의하여 공랭식으로 자동으로 냉각하게 되는 것이다.
즉 LPA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은 고발열부 케이스(4)를 감싸고 있는 방열판(2)과 접하고 있기 때문에 그 열기가 방열판(2)에 전달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방열판(2)은 흡수되는 열기를 냉각하게 되므로 고발열부를 냉각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중계기 본체(1)에서 고발열부가 외부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중계기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통신기기들을 고열로 부터 보호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 에서와 같이 고발열부에 용량이 커져 고열이 발생할 경우 이를 설치되어 있는 방열판(2)으로는 냉각을 시킬 수가 없을 경우 방열판(2)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냉각용 휀(6)을 작동시키게 되면 냉각용 휀(6)에 의하여 발생되는 바람이 방열판(2)을 거치면서 방열판(2)을 냉각시키게 됨으로서, 냉각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중계기 본체에 설치되는 고발열부는 별도로 분리하여 중계기의 외부에 설치하되 고발열부의 외부에 냉각용 방열판을 설치하여 자연 냉각이 되도록 하고, 중계기 본체와 고발열부 사이에는 케이블을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고발열부를 중계기의 외부에 설치함으로써 고온으로부터 각종 전자기기들을 보호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계기 본체에서 고 발열부와 이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를 분리함으로서 중계기 본체의 부피를 최소로 줄일 수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생산단가를 절감하고 고열로 인한 시스템의 오류를 최소로 함으로서 수리로 인한 인력과 그 비용을 절감하고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변화시키지 아니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중계기 본체의 내부에 냉각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고발열부가 분리된 통신기기용 중계기에 있어서, 중계기 본체(1)의 일측에 방열판(2)을 고정 설치하고, 방열판(2)의 일측면에는 삽입홈(3)을 형성한 다음 이 삽입홈(3)에 고발열부 케이스(4)를 고정 설치하며, 고발열부 케이스(4)와 중계기 본체(1)사이에는 하단부에 케이블 연결구(5)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발열부가 분리된 통신기기용 중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고발열부 케이스(4)와 중계기 본체(1)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방열판(2)의 하단부에 냉각용 휀(6)을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발열부가 분리된 통신기기용 중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중계기에서 고발열부를 외부로 분리하여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발열부가 분리된 통신기기용 중계기
KR1020040090309A 2004-11-08 2004-11-08 고발열부가 분리된 통신기기용 중계기 KR100713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309A KR100713080B1 (ko) 2004-11-08 2004-11-08 고발열부가 분리된 통신기기용 중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309A KR100713080B1 (ko) 2004-11-08 2004-11-08 고발열부가 분리된 통신기기용 중계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518U Division KR200373963Y1 (ko) 2004-11-08 2004-11-08 고발열부가 분리된 통신기기용 중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325A KR20060041325A (ko) 2006-05-11
KR100713080B1 true KR100713080B1 (ko) 2007-05-02

Family

ID=37147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0309A KR100713080B1 (ko) 2004-11-08 2004-11-08 고발열부가 분리된 통신기기용 중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30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789B1 (ko) * 2007-07-31 2007-11-27 (주)텔레콤랜드 이동 통신 중계기 함체
KR102352012B1 (ko) 2019-05-23 2022-01-1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중계기 함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6691B1 (en) 2000-04-17 2002-05-28 Circa Telecom, Usa, Inc. Thermal cover for T1/HDSL repeater case
KR20030073042A (ko) * 2002-03-08 2003-09-19 현대네트웍스 주식회사 Dsl 장비의 보드 타입 옥외형 시스템의 자연 냉각장치
KR20060061711A (ko) * 2004-12-02 2006-06-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합 제어를 위한 중계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6691B1 (en) 2000-04-17 2002-05-28 Circa Telecom, Usa, Inc. Thermal cover for T1/HDSL repeater case
KR20030073042A (ko) * 2002-03-08 2003-09-19 현대네트웍스 주식회사 Dsl 장비의 보드 타입 옥외형 시스템의 자연 냉각장치
KR20060061711A (ko) * 2004-12-02 2006-06-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합 제어를 위한 중계기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3-0073042
10-2006-00617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325A (ko) 200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0381B2 (en) Inverter with electrical and electronic components arranged in a sealed housing
US772452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nturi fan-assisted cooling
US20070279863A1 (en) Solar inverter assembly
JP5794101B2 (ja) 強制空冷式ヒートシンク
US9258924B2 (en) Heat dissipation device for electronic ballast
CN101600325A (zh) 一种密闭壳体电子设备的组合散热装置
JP2014003788A (ja) 制御盤
CN105578812B (zh) 电气设备
CN102056465B (zh) 带有至少一个产生热量的电气元件的电气安装内装设备
JP2011138960A (ja) 車両用電力変換装置
CN103384461A (zh) 具有管道安装式电子构件的封罩
KR100713080B1 (ko) 고발열부가 분리된 통신기기용 중계기
JP2005012991A (ja) Acアダプタ
JP2008086101A (ja) モータ制御装置
CN102734868B (zh) 空气调节机的室内机
KR200373963Y1 (ko) 고발열부가 분리된 통신기기용 중계기
JP7064998B2 (ja) 設置型電力変換装置
JP4042520B2 (ja) 通信機器の実装構造とその放熱方法
KR102006798B1 (ko) 옥외용 전기기기 함체
JP2019176534A (ja) 蓄電池システム
JP2011103393A (ja) 基地局の冷却構造
JPWO2016181494A1 (ja) 車両用制御装置
JP2006187062A (ja) 冷却用空気を整流する遮蔽体付きスイッチギヤ及び遮蔽体による冷却用空気の整流方法
WO2018150715A1 (ja) 電気設備
CN216451729U (zh) 具有简易散热结构且散热效率高的hdmi分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