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2383B1 - 디스플레이 회동 및 익스텐션 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회동 및 익스텐션 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2383B1
KR100802383B1 KR1020060039451A KR20060039451A KR100802383B1 KR 100802383 B1 KR100802383 B1 KR 100802383B1 KR 1020060039451 A KR1020060039451 A KR 1020060039451A KR 20060039451 A KR20060039451 A KR 20060039451A KR 100802383 B1 KR100802383 B1 KR 100802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unit
display
rotat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7234A (ko
Inventor
최동원
김재경
이칠성
박경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9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2383B1/ko
Priority to JP2007120632A priority patent/JP2007300641A/ja
Priority to TW096115496A priority patent/TW200803495A/zh
Priority to EP07251851A priority patent/EP1852645A1/en
Priority to US11/797,345 priority patent/US20070258200A1/en
Priority to CNA2007101017438A priority patent/CN101067975A/zh
Publication of KR20070107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with ball-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9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depth adjustment, i.e. forward-backward translation of the head relatively to the undercarri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6Arms
    • F16M2200/061Scissors arms

Abstract

디스플레이 회동 및 익스텐션 장치 및 그들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지지체와, 지지체에 결합되는 유니버셜 조인트와, 유니버셜 조인트에 결합되는 이동체와, 지지체와 이동체에 결합되어 유니버셜 조인트를 중심으로 이동체를 회동시키는 구동부와, 구동부에 부착되어 이동체의 회동 정도를 감지하는 회동 감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회동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자동 및 수동으로 회동시킬 수 있으며, 원격 제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를 오토센터링(auto centering)할 수 있다.
지지체, 이동체, 구동부, 링크부, 힌지부재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회동 및 익스텐션 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display rotating and exten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회동 장치의 측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부의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부의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각에 따른 자성의 분포도.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와 검출소자의 상대적 위치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익스텐션 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스텐드형 디스플레이 회동 장치의 정면도 및 확대도.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 방법의 순서도.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 시스 템의 구성도.
도 6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회동 및 익스텐션 장치의 측면도.
도 6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회동 및 익스텐션 장치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이동체 2: 유니버셜 조인트
3: 구동부 4: 지지체
5: 디스플레이 6: 탄성체
101a, 101b: 연결부 301: 텐션부재
302: 롤러부재 303: 모터부
303a: 모터 303b: 풀리
304: 장력조절장치,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회동 및 익스텐션 장치 및 그들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LCD, PDP, LED 등이 적용된 TV나 모니터와 같은 평판형 디스플레이는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브라운관 TV나 모니터를 대체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다. 특히 평판형 LCD나 PDP TV는 일명 '벽걸이형 TV'로 칭하면서, 벽면에 고정 부착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고정 부착된 형태로 벽걸이형 TV를 시청할 경우에는, TV의 정면에 위치할 때 가장 넓게 화면을 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TV가 벽면에 고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TV 화면을 가장 넓게 볼 수 있는 위치 또한 고정되게 되므로, 시청자가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원만한 시청이 곤란하게 될 수도 있다. 종래의 벽걸이형 TV는 벽체와의 이격거리가 거의 없거나 좁아 TV의 위치를 변경하기 어려우며, 별도의 부재를 결합하여 TV를 벽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 하더라도 TV 몸체를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정한 이격거리를 유지하는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벽면에 부착되어 미려한 외관을 가지며, 실내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다는 벽걸이형 TV의 장점이 사라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시청자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가 벽면과 같은 고정체로부터 돌출되며, 또한 자동 및 수동으로 상하 좌우로 회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회동 및 익스텐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리모콘으로 디스플레이를 오토센터링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지체와, 지지체에 결합되는 유니버셜 조인트와, 유니버셜 조인트에 결합되는 이동체와, 지지체와 이동체에 결합되어 유니버셜 조인트를 중심으로 이동체를 회동시키는 구동부와, 구동부에 부착되어 이동체의 회동 정도를 감지하는 회동 감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회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구동부는 유니버셜 조인트를 중심으로 대향되는 이동체 상의 두 지점에 결합되는 텐션부재와, 텐션부재의 경로를 가이드하는 롤러부재와, 텐션부재의 경로상에 위치하며 텐션부재에 인장력을 인가하여 이동체를 유니버셜 조인트를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모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 감지부는 모터부에 결합되어 이동체의 회동 정도를 감지한다.
상기 모터부는, 모터와 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되, 회동 감지부는 회전부에 결합되는 자성체와 자성체에 대향하여 위치하며 상기 자성체의 자성의 변화를 감지하는 검출소자와 검출소자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회전부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부는 슬립(slip) 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부재는 슬립 풀리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립 풀리는 어느정도의 마찰력에서는 슬립이 일어나는 풀리를 의미한다. 이는 수동으로 텐션부재가 움직일 경우 슬립 풀리에 결합된 모터의 회전자가 강제 회전을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텐션부재의 경로상에 장력조절장치가 더 결합되는 것이 텐션부재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 할을 한다.
또한, 일단부가 상기 이동체에 결합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체는 이동체에 디스플레이의 중력 모멘트에 대향하는 탄성력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고정체와, 고정체에 일단이 결합되는 링크부와, 링크부의 절점에 결합되며 모터부와 모터부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회전부에 결합되는 자성체와 자성체에 대향하여 위치하며 자성체의 자성의 변화를 감지하는 검출소자와 검출소자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회전부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회동 감지부와, 상기 링크부의 타단에 결합되는 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체는 상기 링크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고정체로부터 이격되는 디스플레이 익스텐션 장치가 제공된다.
한편, 링크부는 고정체에 결합되는 제1 힌지부재와, 이동체에 결합되는 제2 힌지부재와, 일단부가 제1 힌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부재와, 일단부가 제2 힌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는 고정체와 지지체의 중간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지지체를 고정체로부터 이격 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디스플레이가 결합될 수 있는 회동부와, 회동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부와, 고정부 또는 회동부에 결합되는 검출소자와, 검출소자에 대향하도록 검출소자가 결합되지 않은 회동부 또는 고정부에 결합되는 자 성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고정부와 회동부 간의 상대적 위치의 변동에 상응하여 발생하는 자성체의 자성의 변화를 상기 검출소자에 의해 측정하여 기준값으로 저장하는 단계, (b) 소정의 시간 간격동안 회동부를 회동시켜 검출소자에 의해 측정된 자성체의 자성의 변화의 측정값을 비교값에 축적하는 단계, 및 (c) 비교값과 기준값의 차이가 소정의 오차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단계 (b)를 더 수행하고, 측정값과 기준값의 차이가 상기 오차값 이하일 경우 회동부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단계 (b) 이전에 상기 비교값을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새로운 비교값을 설정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디스플레이 회동 및 익스텐션 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의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회동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체(1), 연결부재(101a, 101b), 유니버셜 조인트(2), 구동부(3), 텐션부재(301), 롤러부재(302), 모터부(303), 모터(303a), 풀리(303b), 장력조절장치(304), 지지체(4), 디스플레이(5), 탄성체(6)가 도시되어 있다.
이동체(1)는 디스플레이(5)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디스플레이(5)와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체(1)는 유니버셜 조인트(2)를 매개로 지지체(4)에 결합된다. 이동체(1)에는 연결부재(101a, 101b)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부(101a, 101b)에는 텐션부재(301)가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재(101a, 101b)는 이동체(1)와 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5)가 원활하게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유니버셜 조인트(2)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좌우로 이동체(1)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유니버셜 조인트(2)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한 쌍의 연결부재(미도시)가 추가적으로 이동체(1)에 형성될 수 있다.
이동체(1)와 지지체(4) 사이에는 디스플레이(5)의 중력 모멘트에 대향하도록 탄성체(6)가 결합된다. 평판형 TV의 무게는 수십 ㎏에 이르는 바,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는 상당한 중량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탄성체(6)를 도 1과 같이 이동체(1)와 지지체(4) 사이에 결합하지 않을 경우 유니버셜 조인트(2)를 중심으로 디스플레이(5)가 아래로 처지게 되고, 이러한 모멘트에 의해 텐션부재(301)는 고장력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모터를 작동할 경우 텐션부재(301)의 장력으로 인해 모터에 과부하 걸리게 된다. 탄성체(6)는 도 1과 같이 코일형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나, 동일한 작용을 하는 것이라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탄성체(6)는 모멘트에 의한 디스플레이(5)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면, 이동체(1)와 지지체(4)의 어느 부위를 연결하여도 무방하다.
구동부(3)는 텐션부재(301), 롤러부재(302), 모터부(303), 모터(303b), 회전 부(303a), 장력조절장치(304)로 구성된다. 텐션부재(301)는 와이어(wire), 벨트, 체인 등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와이어를 사용하였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부재(301)는 연결부(101a, 101b)에 결합된다. 텐션부재(301)에는 경로를 안내해주는 롤러부재(302)와 텐션부재(301)에 동력을 공급하는 모터부(303)가 결합된다. 롤러부재(302)는 도 1의 실시예에서는 2개 사용하였으나, 그 개수는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을 것이다.
모터부(303)는 회전부(303a)와 모터(303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실시예의 회전부(303a)는 슬립(Slip) 풀리로 구성되며, 여기에 텐션부재(303)가 결합된다. 도 1은 텐션부재(303)를 와이어로 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응되는 슬립 풀리가 결합되었으나, 텐션부재(303)가 체인일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는 스프로킷(sprocket)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모터부(303)는 도 1과 같이 지지체(4)에 결합될 수도 있으나, 이동체(1)에 결합되더라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슬립 풀리(303a)는 마찰력이 조절되어 있어, 모터(303b)가 회전할 경우에는 텐션부재(301)와 슬립이 일어나지 않으나, 모터(303b)가 작동하지 않는 상황에서 외부의 강제적 힘으로 텐션부재(301)를 움직일 경우 슬립이 일어나는 풀리를 의미한다. 슬립 풀리(303a)의 작동원리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슬립 풀리(303a)는 모터(303b)의 동력을 텐션부재(301)에 전달하여 궁극적으로 디스플레이(5)를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이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슬립 풀리(303a)와 텐션부재(301) 사이의 마찰력은 디스플레이(5)를 움직일 수 있을 만 큼 커야 한다. 즉 모터(303b)가 회전할 경우 슬립 풀리(303a)와 텐션부재(301) 사이에는 슬립(slip) 현상이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반면, 모터(303b)의 구동이 아닌, 외부에서 강제적으로 텐션부재(301)를 움직일 경우에는 슬립이 일어나 모터(303b)가 강제적으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즉, 슬립 풀리(303a)와 텐션부재(301) 사이의 마찰력은 모터(303b)의 코킹 토크(cogging torque)보다는 작아야 한다.
장력조절장치(304)는 텐션부재(301)의 경로상에 위치하여, 텐션부재(301)에 결합한다. 장력조절장치(304)도 일종의 풀리로 되어 있다. 단지,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위치가 가변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장력조절장치(304)의 형태와 구성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의 실시예의 장력조절장치(304)의 결합위치는 지지체(4)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나, 이동체(1)에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모터부(303)에는 회동 감지부가 결합된다. 회동 감지부는 자성체와, 자성체에 대향하여 모터(303b)에 결합하며 자성체의 자성과 자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검출소자와, 검출소자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회전부(303b)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부의 단면도이며, 도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부의 사시도이다. 도 2a와 도 2b를 참조하면, 모터부(20), 모터(21), 구동축(22), 회전부(23), 검출소자(24a), 자성체(24b), 회동 감지부(24)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극과 S극 으로 이루어진 자성체(24b)가 회전부(23)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와 대향되도록 모터(21)에 검출소자(24a)가 부착되어 있다.
검출소자(24a)는 자성의 양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검출소자(24a)는 회전부(23)가 회전함에 따라 변화하는 자성체(24b)의 자성을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N극과 S극이 180도의 영역을 나누어 회전부(23)에 부착될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23)가 180도를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N극에서 S극 또는 S극에서 N극으로 자성이 변화한다. 또한, 같은 N극의 영역에 있다 하더라도, 회전각에 따라 자력 또한 다르게 측정된다. 이를 바탕으로 검출소자(24a)는 회전부(23)의 회전 정도를 감지하게 되고, 이를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한다. 도 3b는 중심을 기준으로 시계방향과 시계 반대방향으로 일정한각으로 회전부가 회동하는 경우 회전부의 위치와 검출소자의 상대적 위치를 예시하는 표이다. 표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회전부의 회전 위치에 따라 다른 자성의 영역에 검출소자가 위치하게 되고 당연히 그 위치에 따라 자성 및 자력도 달라진다.
제어부는 검출소자(24a)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분석하고, 모터(21)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어부는 검출소자(24a) 및 모터(21)와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으면 될 뿐, 결합위치는 중요하지 않다. 한편, 제어부는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가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어부는 검출소자(24a)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회전부(23)가 초기 위치에서 얼마나 회전하였는 지, 회전량을 분석하고 기억한다. 이후 디스플레이를 원위치 시킬 경우, 이미 입력된 회전량을 바탕으로 역으로 모터(21)를 회전시 키게 된다. 이러한 제어방법은 후에 상세히 설명하겠다.
한편, 검출소자(24a)와 자성체(24b)는 회전부(23)와 모터(21)에 각각 대향되도록 부착되면 되므로 반드시 검출소자(24a)가 모터(21)에 부착될 필요는 없다. 아울러, 본 실시예는 회동 감지부(24)가 모터(21)와 회전부(23)에 설치되었으나, 디스플레이의 회동을 감지할 수 있는 곳이라면, 도1 의 구동부(3)의 어느 곳에 부착되더라도 무방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익스텐션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링크부(40), 고정체(41), 지지체(42), 제1 힌지부재(44a), 제2 힌지부재(44b), 제3 힌지부재(44c), 제4 힌지부재(44d), 제5 힌지부재(44e), 제6 힌지부재(44f), 제1 링크부재(45a), 제2 링크부재(45b), 제3 링크부재(45c), 제4 링크부재(45d), 모터부(49), 아이들 기어(idle gear, 49c), 디스플레이 익스텐션 장치(40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2쌍의 링크부재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익스텐션 장치(400)이다. 제1 링크부재(45a)와 제2 링크부재(45b)의 일단은 제1 힌지부재(44a)와 제2 힌지부재(44b)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링크부재(45a)와 제2 링크부재(45b)의 타단과 제3 링크부재(45c) 및 제4 링크부재(45d)의 일단, 제3 링크부재(45c) 및 제4 링크부재(45d)의 타단과 지지체(42)도 각각 제3 내지 제4 힌지부재(44c~44f)를 개재하여 결합되어 있다.
제1 내지 제6 힌지부재(44a~44f)에 모터부(49)가 결합하여 링크부재들을 유동시킬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힌지부재(44a)와 제2 힌지부재(44b)에 각각 형성된 제1 기어(441a)와 제2 기어(441b) 사이에 짝수의 아이들 기어(49c)를 맞물리게 하고, 상기 제1 기어(441a), 제2 기어(441b), 짝수의 아이들 기어(49c) 중 하나에 모터부(49)를 결합하여 동력을 공급한다. 짝수개의 아이들 기어(49c)는 제1 기어(441a)와 제2 기어(441b)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하여 원활하게 링크부재들이 작동하도록 하며, 동일한 힘으로 제1 및 제2 링크부재(45a, 45b)를 구동하게 하여 어느 하나의 링크부재에 고(高)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힌지부재(44a)와 제2 힌지부재(44b)에 제1 기어(441a)와 제2 기어(441b)를 기어 결합하고, 그 사이에 짝수의 아이들 기어(49c), 및 제2 구동부(49)를 결합하였으나, 동일한 방식으로 제5 힌지부재(44e)와 제6 힌지부재(44f)에 사이에 개재하여 기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이들 기어(49c)를 개재하지 않고 직접 제1 기어(441a)와 제2 기어(441b)를 맞물리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익스텐션 장치(400)의 모터부(49)에도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회동 감지부(24)를 부착되어, 링크 부재의 회동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익스텐션 장치(400)의 지지체(42)에 도 1의 유니버셜 조인트(2), 유니버셜 조인트(2)에 결합하는 디스플레이(5), 디스플레이(5)를 자동으로 회동시키는 구동부(3)를 결합하여 실시할 경우, 디스플레이(5)를 지지체(42)로부터 이격 및 수축할 수 있고, 도 4의 지지체(42)를 기준으로 회동도 가능할 수 있어, 다양한 각도로 디스플레이(5)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스텐드형 디스플레이 회동 장치의 정면도 및 부분 확대 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모터부(50), 모터(51), 구동축(52), 회전부(53), 검출소자(54a), 자성체(54b), 회동 감지부(54), 지지체(56), 디스플레이(55)가 도시되어 있다.
스텐드형 디스플레이 회동 장치는 지지체(56), 모터부(50)로 구성된다. 지지체(56)는 바닥에 안정감 있게 디스플레이(55)를 지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모터부(50)는 디스플레이(55)와 지지체(56)를 연결하는 부분에 결합되어 있다. 모터부(50)의 모터(51)는 지지체(56)에 고정되어 있고, 모터부(50)의 구동축(52)에 연결된 모터부(50)의 회전부(53)는 디스플레이(55)와 결합되어 있다. 특별한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구동축(52)이 디스플레이(55)와 직접 결합하는 경우, 회전부(53)는 디스플레이(55)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실시예의 검출소자(54a)는 회전부(53)에 결합되어 있고, 자성체(54b)는 모터(51)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검출소자(54a)와 회전부(53)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회동 감지장치(54)의 작동 원리는 상기 제2 실시예에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기 도 1과 도 4의 실시예의 회동 감지부(24)가 어떻게 디스플레이 회동 장치와, 익스텐션 장치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지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6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회동 및 익스텐션 장치의 측면도, 도 6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회동 및 익스텐션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b, 도 6c, 도 6d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61), 디스플레이 회동 장치(62), 디스플레이 익스텐션 장치(63), 회동 감지부(64), 검출소자(64a), 자성체(64b), 제어부(64c), 리모콘(66), 모터부(67)가 도시되어 있다.
도 6c와 도 6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회동 및 익스텐션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회동 장치의 지지체(4)에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익스텐션 장치의 링크부(40)가 결합된 형태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회동 및 익스텐션 장치는 고정부와 회동부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고정부와 회동부는 상대적인 개념이다. 즉 디스플레이 회동 장치(62)가 회동할 경우에는 지지체(624)가 고정부이며, 유니버셜 조인트(622)를 비롯한 지지체(624)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모든 부분이 회동부가 된다. 반면, 디스플레이 익스텐션 장치(63)를 기준으로 보면, 고정부는 고정체(631)이고, 회동부는 고정체를 기준으로 운동하는 링크부(630)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의 회동 감지부(64)는 회동부와 고정부에 결합되며, 엄밀히 말하면 고정부를 중심으로 회동부를 회동하게 하는 모터부(67)에 부착된다. 도 2a와 도 2b는 회동 감지부(24)가 모터부(20)에 결합한 형태를 예시하는 대표적인 도면이다. 회동 감지부(64)는 고정부를 기준으로 회동부가 얼마나 회동하였는 지를 감지하여, 이후에 제어부(64c)는 디스플레이(61)를 초기 위치 회동하도록 제어한다. 이하 이러한 회동 감지부(64)에 의한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6a의 S61은 고정부와 회동부 간의 상대적 위치의 변동에 상응하여 발생하는 자성체(64b)의 자성의 변화를 검출소자(64a)로 측정하여 기준값으로 저장하는 단계이다. 디스플레이 익스텐션 장치(63)와 디스플레이 회동 장치(62)는 시청자가 리모콘(66)과 같은 장치로 원격으로 회동 및 익스텐션 할 수 있다. 이때, 회동 감지부(64)의 검출소자(64a)는 초기 위치에서 변화된 위치를 감지하고 이를 신호로 변화하여 제어부(64c)에 전달한다. 제어부(64c)는 초기 위치와 변화된 위치의 상대적 차이를 기준값으로 저장한다.
도 6a의 S62는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 회동부를 회동시켜 검출소자(64a)에 의해 측정된 자성체(64b)의 자성의 변화의 측정값을 비교값에 축적하는 단계이다. 디스플레이(61)를 초기 위치로 회동하기 위해서는 S61 단계의 기준값을 기준으로 모터부(67)의 모터를 구동하여야 한다. 제어부(64c)는 외부의 입력신호 또는 자체 내장된 프로그렘에 의해서 디스플레이(61)를 초기 위치로 회동하도록 모터를 제어한다. 이때, 검출소자(64a)는 모터의 구동에 따른 자성체(64b)의 자성변화를 측정하여 제어부(64c)에 입력하며, 제어부(64c)는 이렇게 입력된 측정값을 비교값으로 하여 축적한다. 여기서 '축적한다'의 의미는 새로운 측정값을 기존의 비교값에 합산하여 새로운 비교값으로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반드시 수학적 의미의 합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수학적 처리를 통해 측정된 값이 쌓이도 록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6a의 S63은 비교값과 기준값의 차이가 소정의 오차값을 초과할 경우 S62 단계를 더 수행하고, 측정값과 기준값의 차이가 상기 오차값 이하일 경우 회동부를 정지시키는 단계이다. S63단계는 측정값과 기준값의 차이를 일정한 오차값의 범위 이하로 줄이도록 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를 반복하여 비교값과 기준값이 오차값 내로 측정되면 모터의 구동은 멈춰진다. 비교값과 기준값의 차이를 오차값과 비교한다고 할 때의 '차이'는 반드시 수학적 의미에서의 감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수학적 처리를 통해 2개의 값(비교값과 기준값)의 차이에 상응하는 값을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S62 단계 이전에 비교값을 초기화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비교값에 새롭게 시작된 측정값이 추가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초기 위치로 회동부를 회동시키는 동작이 끝난 이후에는 비교값을 초기화 하고, 다음의 측정값을 비교값에 추가하여 새로운 비교값으로 설정하기 위함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회동 장치로서 디스플레이를 자동으로 상하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동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도 모터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익스텐션 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자동으로 익스텐션 및 수축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자동으로 센터링할 수 있어, 벽면과 부딪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결합되는 유니버셜 조인트와;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에 결합되는 이동체와;
    상기 지지체와 상기 이동체에 결합되어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를 중심으로 상기 이동체를 회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부착되어 상기 이동체의 회동 정도를 감지하는 회동 감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회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구동부는,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를 중심으로 대향되는 상기 이동체 상의 두 지점에 결합되는 텐션부재와;
    상기 텐션부재의 경로를 가이드하는 롤러부재와;
    상기 텐션부재의 경로상에 위치하며 텐션부재에 인장력을 인가하여 상기 이동체를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를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모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 감지부는 상기 모터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체의 회동 정도를 감지하는 디스플레이 회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동 감지부는,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는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에 대향하여 위치하며 상기 자성체의 자성의 변화를 감지하는 검출소자와, 상기 검출소자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회전부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회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슬립(slip) 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부재는 상기 슬립 풀리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회동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재와 결합하는 위치가변형의 풀리를 포함하여, 상기 텐션부재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장치가 상기 지지체와 이동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회동 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이동체에 결합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탄성체는 상기 이동체에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력 모멘트에 대향하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회동 장치.
  7.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에 일단이 결합되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의 절점에 결합되며,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는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에 대향하여 위치하며 상기 자성체의 자성의 변화를 감지하는 검출소자와, 상기 검출소자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회전부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회동 감지부와;
    상기 링크부의 타단에 결합되는 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체는 상기 링크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고정체로부터 이격되는 디스플레이 익스텐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고정체에 결합되는 제1 힌지부재와;
    상기 지지체에 결합되는 제2 힌지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제1 힌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제2 힌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익스텐션 장치.
  9. 디스플레이가 결합될 수 있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부와, 상기 회동부와 상기 고정부에 각각 대향되도록 부착되는 검출소자와 자성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고정부와 회동부 간의 상대적 위치의 변동에 상응하여 발생하는 상기 자성체의 자성의 변화를 상기 검출소자에 의해 측정하여 기준값으로 저장하는 단계;
    (b) 소정의 시간 간격동안 상기 회동부를 회동시켜 상기 검출소자에 의해 측정된 상기 자성체의 자성의 변화의 측정값을 비교값에 축적하는 단계; 및
    (c) 상기 비교값과 상기 기준값의 차이가 소정의 오차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단계 (b)를 더 수행하고, 상기 측정값과 상기 기준값의 차이가 상기 오차값 이하일 경우 상기 회동부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이전에 상기 비교값을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방법.
KR1020060039451A 2006-05-02 2006-05-02 디스플레이 회동 및 익스텐션 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KR100802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451A KR100802383B1 (ko) 2006-05-02 2006-05-02 디스플레이 회동 및 익스텐션 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JP2007120632A JP2007300641A (ja) 2006-05-02 2007-05-01 ディスプレイ回動及びエクステンション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TW096115496A TW200803495A (en) 2006-05-02 2007-05-01 Display rotation and extens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07251851A EP1852645A1 (en) 2006-05-02 2007-05-02 Display rotation and extens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797,345 US20070258200A1 (en) 2006-05-02 2007-05-02 Display rotation and extens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A2007101017438A CN101067975A (zh) 2006-05-02 2007-05-08 显示器转动和延伸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451A KR100802383B1 (ko) 2006-05-02 2006-05-02 디스플레이 회동 및 익스텐션 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234A KR20070107234A (ko) 2007-11-07
KR100802383B1 true KR100802383B1 (ko) 2008-02-13

Family

ID=38196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451A KR100802383B1 (ko) 2006-05-02 2006-05-02 디스플레이 회동 및 익스텐션 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258200A1 (ko)
EP (1) EP1852645A1 (ko)
JP (1) JP2007300641A (ko)
KR (1) KR100802383B1 (ko)
CN (1) CN101067975A (ko)
TW (1) TW20080349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1881B2 (ja) * 2005-06-20 2012-06-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用スタンド
US7854415B2 (en) * 2006-12-04 2010-12-21 Peerless Industries, Inc. Motorized support for a television or other electronic display
PL381735A1 (pl) * 2007-02-12 2008-08-18 Bober Wiesław Wysięgnik pantografowy do mocowania ekranu wyświetlającego, zwłaszcza płaskiego ekranu telewizyjnego
US20090032656A1 (en) * 2007-07-31 2009-02-05 Oh Sung I Actuator with a safety cover
KR100896085B1 (ko) * 2007-11-27 2009-05-07 (주)센트로닉스 틸트 장치
JP2009157165A (ja) * 2007-12-27 2009-07-16 Brother Ind Ltd 表示パネル装置及び電気機器
US7891620B2 (en) * 2008-06-11 2011-02-22 Peerless Industries, Inc. Mount for moving of a display
TWI428631B (zh) * 2008-12-12 2014-03-01 Sony Corp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method
KR101021128B1 (ko) * 2009-05-12 2011-03-14 (주)센트로닉스 월 마운트
US8330779B2 (en) * 2009-09-30 2012-12-11 Sony Corporation ADC calibration for color on LCD with no standardized color bar for geographic area in which LCD is located
US9277812B2 (en) 2010-07-08 2016-03-08 Southco, Inc. Display support with first and second arms and mechanism for maintaining constant orientation of the plane bisecting the range of rotation of the second arm relative to a support base
CN102042466B (zh) * 2010-12-30 2012-09-19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大型空间光学遥感器扭摆调整架
CN103105856A (zh) * 2011-11-10 2013-05-15 天津市亚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云台高精度控制装置及方法
EP3268839A1 (en) * 2015-07-14 2018-01-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inge assemblies
US11131423B2 (en) 2016-03-07 2021-09-28 Southco, Inc. Display support arm assembly for mounting a display
EP3396226B1 (en) * 2017-04-27 2023-08-23 Advanced Digital Broadcast S.A. A method and a device for adjusting a position of a display screen
CN107101076A (zh) * 2017-06-14 2017-08-29 威海职业学院 一种用于移动电子设备的固定支撑装置
KR101997354B1 (ko) * 2017-11-20 2019-07-05 임흥수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
CN108374959B (zh) * 2018-03-06 2019-06-25 漳州视瑞特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自由转动功能的监视器
US10663106B1 (en) * 2018-08-24 2020-05-26 Nexus 21, Inc. TV wall mount
CN109099284B (zh) * 2018-09-20 2020-07-17 浙江中超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雷达控制人脸朝向电视架
KR102421493B1 (ko) * 2020-11-26 2022-07-14 김광 벽걸이 텔레비전용 각도조절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5918A (ko) * 1993-11-06 1995-06-17 이헌조 유도전동기의 회전수 검출장치
KR19980059156U (ko) * 1997-02-28 1998-10-26 이형도 브러시 레스 모터의 회전자용 회전 검출 소자의 구조
KR19990028284U (ko) * 1997-12-26 1999-07-15 전주범 모터의 회전위치 검출장치
KR20050083030A (ko) * 2005-05-23 2005-08-24 주식회사 엘엠디 평판 디스플레이용 벽면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75802B1 (fr) * 1985-01-10 1987-02-06 Universal Technic Support orientable, notamment pour miroir de projecteur de poursuite
DE29901967U1 (de) * 1999-02-05 2000-07-13 Mulfingen Elektrobau Ebm Elektromotor mit einer Anordnung zur Drehzahlüberwachung
JP2002077775A (ja) * 2000-08-30 2002-03-15 Masatoshi Yamamoto モニタ及びモニタ台
FI118668B (fi) * 2003-04-01 2008-01-31 Samsung Electro Mech Matkapuhelin ja sen automaattinen pyöritysmenetelmä
KR100531314B1 (ko) * 2004-03-16 2005-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JP4605435B2 (ja) * 2004-03-24 2011-01-0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回転検出装置
EP1619880A1 (en) * 2004-07-22 2006-01-25 Chao-Hung Chang Improved mechanism for rotatable image-tak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5918A (ko) * 1993-11-06 1995-06-17 이헌조 유도전동기의 회전수 검출장치
KR19980059156U (ko) * 1997-02-28 1998-10-26 이형도 브러시 레스 모터의 회전자용 회전 검출 소자의 구조
KR19990028284U (ko) * 1997-12-26 1999-07-15 전주범 모터의 회전위치 검출장치
KR20050083030A (ko) * 2005-05-23 2005-08-24 주식회사 엘엠디 평판 디스플레이용 벽면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234A (ko) 2007-11-07
TW200803495A (en) 2008-01-01
EP1852645A1 (en) 2007-11-07
US20070258200A1 (en) 2007-11-08
JP2007300641A (ja) 2007-11-15
CN101067975A (zh) 200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2383B1 (ko) 디스플레이 회동 및 익스텐션 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KR100821530B1 (ko) 디스플레이 회동 장치 및 회동 방법
CN111971503B (zh) 提供多位置显示的系统和方法
EP3762642B1 (en) A device for supporting an electronic display
KR100775379B1 (ko) 디스플레이 회동 장치
US11862048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KR100802384B1 (ko) 디스플레이 회동 장치 및 이것과 디스플레이의 결합 방법
EP2045689B1 (en) Supporting device and dual display unit having the same
US20190318710A1 (en) Systems and methods of displaying virtual elements on a multipositional display
KR100796978B1 (ko) 디스플레이 회동 장치
CN114072610B (zh) 具有非固定旋转中心的多位置显示器
CN101155283B (zh) 具有可调运动能力的安装系统
CN217442839U (zh) 测试装置
KR20080067779A (ko) 검사장치
CN202048090U (zh) 枢轴总成
CN105508825A (zh) 一种角度可调的新型显示屏
TWM454073U (zh) 用於支撐顯示面板的相框式支撐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