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354B1 -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 - Google Patents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354B1
KR101997354B1 KR1020170154896A KR20170154896A KR101997354B1 KR 101997354 B1 KR101997354 B1 KR 101997354B1 KR 1020170154896 A KR1020170154896 A KR 1020170154896A KR 20170154896 A KR20170154896 A KR 20170154896A KR 101997354 B1 KR101997354 B1 KR 101997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heater
unit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671A (ko
Inventor
임흥수
Original Assignee
임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흥수 filed Critical 임흥수
Priority to KR1020170154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354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or steam circulating in tubes o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5/00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 F22D5/18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for varying the speed or delivery pressure of fee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GSUPERHEATING OF STEAM
    • F22G1/00Steam superheating characterised by heating method
    • F22G1/16Steam superheating characterised by heating method by using a separate heat source independent from heat supply of the steam boiler, e.g. by electricity, by auxiliary combustion of fuel oil
    • F22G1/165Steam superheating characterised by heating method by using a separate heat source independent from heat supply of the steam boiler, e.g. by electricity, by auxiliary combustion of fuel oil by electr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73Arrangement or mounting of means for forcing the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열수증기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온풍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물을 가열하여 과열수증기를 발생시키는 몸체와, 몸체의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몸체로부터 연결관을 통해 공급되는 과열수증기를 공기와 함께 전방으로 송풍하는 송풍부와, 몸체의 상측에 설치되며 송풍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A FAN HEATER USING SUPERSATURATED STEAM}
본 발명은 온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열수증기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공장, 시설하우스 등 열원을 필요로 하는 장소에서 온풍기를 사용함에 있어, 현재는 전기, 석탄, 기름, 목재, 펠렛 등을 이용하여 열원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기름값 인상, 분진으로 인한 미세먼지 공해, 전기온풍기의 사용으로 인한 시설하우스와 공장의 전기세 상승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생산원가 상승의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기름보일러나 전기온풍기 등을 사용하는 많은 분야에서 기름가격과 전기료 상승으로 인한 생산품목의 생산원가 상승으로 부담을 앓고 있으며, 대류전열에 의한 온풍의 경우 건강에 미치는 유해성이 문제화되고, 시설하우스의 경우에는 기름보일러 사용시 과다한 CO2 발생으로 작물에 미치는 악영향이 크다. 또한, 정부보조금의 축소로 인해 온풍기 사용시간을 절감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필요한 장소에 충분한 열을 공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과열수증기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온풍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컴팩트한 구조로서 설치 및 이동이 쉽고 사용이 편리한 온풍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물을 가열하여 과열수증기를 발생시키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몸체로부터 연결관을 통해 공급되는 과열수증기를 공기와 함께 전방으로 송풍하는 송풍부; 및 상기 몸체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공간부는 격벽에 의해 복수 개로 구획되며,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부와, 상기 물탱크부의 상측에 구획 형성되며 상기 물탱크부의 물을 이송하도록 물공급 펌프와 파이프가 설치되는 기계실과, 상기 기계실의 일측에 구획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터로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물탱크부의 일측에 구획 형성되며 상기 히터의 작동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가 설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열부는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제1 히터부와, 상기 수증기를 가열하여 과열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제2 히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송풍부는 전후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흡입팬과, 상기 연결관과 연통하도록 상기 흡입팬의 전방에 설치되며 과열수증기를 분사하는 분사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송풍부는 상기 분사관의 전방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보조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물공급 펌프에 의해, 상기 물탱크부에서 상기 가열부로 공급되는 물의 주입량과 주입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는 컴팩트한 구조로서,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하고 작동이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에 의하면, 물을 이용하여 공기 중의 밀도를 높이고, 복사열전달, 대류전열 및 응축열을 포함하여 열풍공기의 약 8배 열량이 있는 복합열원으로 산소를 포함한 열방사성 가스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대형건물, 대형 공공장소 등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에 의하면, 시설하우스의 경우 작물의 성장을 도울 수 있도록 지하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온화된 미네랄을 작물에 살포할 수 있으므로, 이온화되어 있는 칼슘 또는 마그네슘 외 70여가지 성분이 작물에 살포되어 생식성장과 영양성장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는, 물의 잠열과 현열을 이용함에 있어서, 물을 가열 기화시킨 다음 재가열하여 나노미터 크기의 수증기입자를 갖는 과열수증기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처음 공기 부피의 2,400~4,000배로 팽창해서 외부 공기와 혼합 배출됨에 따라, 공간 전체에 동일한 밀도로 빠르게 확산될 수 있고, 열 손실 없이 유기체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에 의하면, 전기요금이 기존의 온풍기에 비해 1/3~1/5로 절약되고, 인체에 건증기가 도포되므로 작업자의 피부건강에 좋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에 의하면, CO2 과다방출로 인한 작물피해를 방지할 수 있고, 작물의 잎에 수막을 형성하여 바이러스에 의한 전염과 잎마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곰팡이 균류들은 특성상 온풍기에서 분사되는 물 분자를 흡수하여 조직이 파괴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를 시설하우스에 적용하는 경우, 강한 송풍능력으로 시설하우스 내 대류가 잘 이루어지고, 장소에 따른 수분공급과 온도분포의 차이가 거의 없어서 작물이 균일하게 성장할 수 있으며, 과일의 경우에는 미세 물입자를 많이 머금게 되므로 유통기한이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의 전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의 후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의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이하, '온풍기')(100)는, 몸체(200)와, 몸체(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송풍부(700)와, 몸체(200)의 상측에서 송풍부(700)를 지지하는 지지부(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200)는 내부에서 물을 가열하여 과열수증기를 생성시키며, 송풍부(700)에는 구동모터(730)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일 방향으로 송풍하는 흡입팬(740)이 구비된다.
몸체(200)에서 생성된 과열수증기는 몸체(200)와 송풍부(700)를 연결하는 연결관(210)을 통해 송풍부(700)로 공급되며, 흡입팬(74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송풍부(700)를 지나면서 과열수증기를 운반하게 된다.
일 예로서, 몸체(20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된 함체 형태의 케이스(220)와, 케이스(220)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스(220)의 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221)에 의해 복수 개의 공간부로 구획된다. 이때, 케이스(220)는 격벽(221)에 의해 길이 방향(도 2와 도 3 기준 좌우 방향)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의 공간부가 형성되는데, 후방의 공간부는 후술하는 히터(512,522)의 작동 제어를 위해 컨트롤러(610)가 설치되는 제어부(600)로 형성된다. 또한, 제어부(600)의 전방에는 상하 2층으로 나뉘어서 하층에는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부(300)가 형성되며, 물탱크부(300)의 상층에는 격벽(221)에 의해 몸체(200)의 폭 방향으로 2개의 공간부가 구획 형성된다. 여기서, 물탱크부(300)의 상층에 형성되는 2개의 공간부 중 하나는 물탱크부(300)의 물을 이송하도록 물공급 펌프(410)와 급수파이프(420)가 설치되는 기계실(400)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공간부는 급수파이프(42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터로 가열하는 가열부(500)로 형성된다.
물탱크부(300)에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물공급관(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으며, 물공급관에는 물공급관의 개도 조절을 위한 밸브(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물탱크부(300)에는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계(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물공급관의 밸브는 컨트롤러(610)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위계에서 감지되는 물의 수위가 일정값보다 낮으면, 밸브를 개방시켜 물공급관을 통해 물탱크부(300)로 물이 공급되게끔 할 수 있다.
물탱크부(300)의 상층에는 격벽(221)에 의해 기계실(400)과 가열부(500)가 각각 구획 형성된다. 기계실(400)에는 일단이 물탱크부(300)의 하부까지 연장되고 타단이 후술하는 제1 파이프(511)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급수파이프(420)와, 급수파이프(420)의 일측에 설치되어 물탱크부(300)의 물을 가열부(500)의 제1 파이프(511)로 급수하는 물공급 펌프(410)가 설치된다.
기계실(400)의 일측에는 격벽(221)에 의해 가열부(500)가 구획 형성된다. 가열부(500)에는 한 쌍의 히터부가 나란히 설치되는데, 한 쌍의 히터부는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제1 히터부(510)와, 수증기를 가열하여 과열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제2 히터부(520)를 포함한다.
제1 히터부(510)는 물탱크부(300)로부터 급수파이프(420)를 통해 물이 공급되는 제1 파이프(511)와, 제1 파이프(5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1 파이프(511)를 따라 흐르는 물을 가열하는 제1 히터(512)와,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외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1 보호관(513)을 포함한다.
제1 파이프(511)는 발열용적의 확대를 위해 나사선 형태로 권회되어 열효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히터(512)는 나사선 형태 또는 바(bar) 형태의 전열히터로서 제1 파이프(511)와 인접하여 제1 파이프(511)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히터(512)는 초음파 히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히터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제1 히터부(510)에서 충분한 열원으로 수증기가 발생되도록 하여야 제2 히터부(520)에서 과열수증기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파이프(511)의 일측에는 공급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계(미도시)가 설치되고, 물공급 펌프(410)는 제1 히터(512)와 후술하는 제2 히터(522)의 열량에 맞춰 정량·정압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공급 펌프(410)와 유량계를 이용하여 급수파이프(420)를 통해 제1 파이프(511)로 주입되는 유량과 주입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파이프(511)의 입구로 유입된 물은 제1 파이프(511)를 지나면서 제1 히터(512)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가열되며, 제1 파이프(511)의 출구를 통해 수증기가 배출된다.
제2 히터부(520)는 제1 히터부(510)와 나란히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파이프(511)의 출구와 연통하도록 결합되어 제1 파이프(511)로부터 수증기가 유입되는 제2 파이프(521)와, 제2 파이프(521)를 따라 흐르는 수증기를 가열하는 제2 히터(522)와,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외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2 보호관(523)을 포함한다.
제2 파이프(521)는 발열용적의 확대를 위해 나사선 형태로 권회될 수 있으며, 제2 히터(522)는 제2 파이프(521)와 인접하여 제2 파이프(521)의 내측 또는 외측에 나사선 형태 또는 바(bar) 형태로 설치되는 전열히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 히터(522)는 초음파 히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히터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제2 파이프(521)의 직경 또는 권회 직경은 제1 파이프(511)보다 2~4배 큰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2 파이프(521)를 지나는 수증기의 속도를 낮춤과 동시에 제2 파이프(521)의 내부 압력을 높여서 물분자의 분산효율을 향상시켜 과열수증기의 생성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제2 파이프(521)의 입구로 유입된 수증기는 제2 파이프(521)를 지나면서 제2 히터(522)로부터 열을 공급받게 되며, 제2 파이프(521)의 출구를 통해 과열수증기가 배출된다.
한편, 전술한 제1 히터(512)와 제2 히터(522)의 일측에는 온도센서가 설치되어 제1,제2 히터(512,522)의 발열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케이스(220) 내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어부(600)에는 물공급관의 밸브와 물공급 펌프(410) 및 제1,제2 히터(512,522)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610)가 설치된다. 누전 방지를 위해 컨트롤러(610)에는 누전 계전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히터에는 과열방지기를 부착하는 한편, 누전이나 과부하시 입력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200)의 상측에는 후술하는 송풍부(7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800)가 설치된다.
여기서 지지부(800)는 소정 간격 이격하여 몸체(200)의 상측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810)와, 한 쌍의 지지대(810)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대(820)를 포함한다. 또한, 지지대(810)는 후술하는 송풍부(7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프레임(811)과, 베이스 프레임(811)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되는 지지프레임(812)을 포함하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811) 사이에 전술한 연결대(820)가 결합된다.
지지프레임(812)은 베이스 프레임(811)의 길이 방향 양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부(813)와, 한 쌍의 경사부(813)의 상단을 위쪽으로 볼록한 원호 형태로 연결하는 원호부(814)를 포함한다. 원호부(814)의 내측에는 아래쪽으로 볼록한 원호 형태의 각도 조절바(815)가 형성되며, 각도 조절바(815)에는 원호 형태의 각도조절홈(816)이 절개 형성되고, 이 각도조절홈(816)에 고정구(817)가 결합된다.
송풍부(700)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812)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후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의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구동모터(730)에 의해 회전하는 흡입팬(740)과, 흡입팬(740)의 전방에 설치되며 과열수증기를 분사하는 분사관(750)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은 지지프레임(812)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 하우징(710)과, 후방 하우징(710)의 전단에 결합되는 전방 하우징(720)을 포함하며, 후방 하우징(710)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브라켓(711)이 지지프레임(812)의 원호부(814)에 힌지 결합된다. 사용자는 후방 하우징(710)을 지지프레임(812)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켜 송풍부(700)를 원하는 경사 각도로 세울 수 있으며, 고정구(817)를 조여서 하우징의 경사 각도를 고정할 수 있다.
후방 하우징(710) 내부의 공간부 후단에는 흡입팬(740)이 설치되며, 이 흡입팬(740)의 회전을 위한 구동모터(730)가 흡입팬(740)의 전방에 설치된다. 흡입팬(740)에 의해 후방 하우징(710)으로 흡입된 외기는 전방 하우징(720)을 거쳐 전방으로 토출된다.
전방 하우징(720)과 몸체(200) 사이에 연결관(210)이 설치되는데, 이 연결관(210)의 상단은 전방 하우징(720) 내부의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전방 하우징(720)의 일측에 결합되며, 연결관(210)의 하단은 제2 파이프(521)와 연통하도록 몸체(200)의 일측에 결합된다. 이때, 전방 하우징(720)의 내측에는 연결관(210)과 연통하도록 흡입팬(740)의 전방에 이격하여 분사관(750)이 설치되며, 분사관(750)의 끝단은 전방을 향해 절곡된다.
이에 따라, 제2 히터부(520)에서 생성된 과열수증기는 제2 파이프(521)와 연결관(210) 및 분사관(750)을 통해 전방 하우징(720)의 내부로 분사되며, 흡입팬(740)에 의해 후방 하우징(710)으로 흡입된 외기가 후방 하우징(710)과 전방 하우징(720)을 거쳐 송풍부(700)의 전방을 향해 고속으로 송풍될 때, 분사관(750)에서 분사된 과열수증기가 외기에 섞여 함께 송풍된다. 이때, 흡입팬(740)에 의해 송풍되는 외기는 분사관(750)에서 분사되는 고온의 과열수증기를 냉각시키는 역할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의 전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의 후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하우징(720)의 전단에는 그릴(760)이 형성되며, 그릴(760)과 분사관(750) 사이에 보조히터(770)가 설치된다.
이 보조히터(770)는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 조절을 위한 것으로, 외기가 너무 차갑거나 과열수증기의 온도가 낮을 때, 과열수증기를 함유한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며, 동심을 갖는 원호 형태로 수직하게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하우징(710)의 후단에도 그릴(760)이 형성되어 이물질의 유입과 사용자의 상해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몸체(200)의 후면에는 제어부(600)와 연통하도록 개구부가 절개 형성되며, 이 개구부에 컨트롤 패널(620)이 결합된다. 컨트롤 패널(620)에는 유량계(621)와 온도계(622), 흡입팬 작동 놉(623), 타이머(624), 전원 스위치(625)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800)에 대하여 송풍부(700)를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켜, 송풍부(70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송풍 각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100)에 의하면, 물을 이용하여 공기 중의 밀도를 높이고, 복사열전달, 대류전열 및 응축열을 포함하여 열풍공기의 약 8배 열량이 있는 복합열원으로 산소를 포함한 열방사성 가스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대형건물, 대형 공공장소 등에 적합하고 시설하우스의 경우 작물의 성장을 도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100)는, 물의 잠열과 현열을 이용함에 있어서, 물을 가열 기화시킨 다음 재가열하여 나노미터 크기의 수증기입자를 갖는 과열수증기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처음 공기 부피의 2,400~4,000배로 팽창해서 외부 공기와 혼합 배출됨에 따라(Diffuser heater 기능), 공간 전체에 동일한 밀도로 빠르게 확산될 수 있고, 열 손실 없이 유기체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100)에 의하면, 전기요금이 기존의 온풍기에 비해 1/3~1/5로 절약되고, 인체에 건증기가 도포되므로 인체의 피부건강에 좋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100)에 의하면, CO2 과다방출로 인한 작물피해를 방지할 수 있고, 작물의 잎에 수막을 형성하여 바이러스에 의한 전염과 잎마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곰팡이 균류들은 특성상 온풍기(100)에서 분사되는 물 분자를 흡수하여 조직이 파괴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온풍기(100)를 시설하우스에 적용하는 경우, 강한 송풍능력으로 시설하우스 내 대류가 잘 이루어지고, 장소에 따른 수분공급과 온도분포의 차이가 거의 없어서 작물이 균일하게 성장할 수 있으며, 과일의 경우에는 미세 물입자를 많이 머금게 되므로 유통기한이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온풍기 200 : 몸체
210 : 연결관 220 : 케이스
221 : 격벽 300 : 물탱크부
400 : 기계실 410 : 물공급 펌프
420 : 급수파이프 500 : 가열부
510 : 제1 히터부 520 : 제2 히터부
600 : 제어부 610 : 컨트롤러
620 : 컨트롤 패널 700 : 송풍부
710 : 후방 하우징 720 : 전방 하우징
730 : 구동모터 740 : 흡입팬
750 : 분사관 760 : 그릴
770 : 보조히터 800 : 지지부
810 : 지지대 815 : 각도 조절바
820 : 연결대

Claims (6)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물을 가열하여 과열수증기를 발생시키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몸체로부터 연결관을 통해 공급되는 과열수증기를 공기와 함께 전방으로 송풍하는 송풍부; 및
    상기 몸체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송풍부는 전후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흡입팬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상기 연결관과 연통하도록 상기 흡입팬의 전방에 이격하여 설치되며 끝단이 전방을 향해 절곡되어 과열수증기를 분사하는 분사관을 포함하고,
    상기 공간부는 격벽에 의해 복수 개로 구획되며,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부와, 상기 물탱크부의 상측에 구획 형성되며 상기 물탱크부의 물을 이송하도록 물공급 펌프와 파이프가 설치되는 기계실과, 상기 기계실의 일측에 구획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터로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물탱크부의 일측에 구획 형성되며 상기 히터의 작동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가 설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는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제1 히터부와, 상기 수증기를 가열하여 과열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제2 히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히터부는, 상기 물탱크부로부터 급수파이프를 통해 물이 공급되며 나사선 형태로 권회되는 제1 파이프와, 상기 제1 파이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파이프를 따라 흐르는 물을 가열하는 제1 히터와, 제1 파이프와 제1 히터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1 보호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히터부는, 상기 제1 파이프의 출구와 연통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파이프로부터 수증기가 유입되며 나사선 형태로 권회되는 제2 파이프와, 상기 제2 파이프를 따라 흐르는 수증기를 가열하는 제2 히터와, 제2 파이프와 제2 히터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2 보호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파이프의 직경 또는 권회 직경이 상기 제1 파이프보다 2~4배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단에 형성되는 그릴과 상기 분사관 사이에 동심을 갖는 원호 형태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보조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 펌프에 의해, 상기 물탱크부에서 상기 가열부로 공급되는 물의 주입량과 주입압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
KR1020170154896A 2017-11-20 2017-11-20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 KR101997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896A KR101997354B1 (ko) 2017-11-20 2017-11-20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896A KR101997354B1 (ko) 2017-11-20 2017-11-20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671A KR20190057671A (ko) 2019-05-29
KR101997354B1 true KR101997354B1 (ko) 2019-07-05

Family

ID=66672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896A KR101997354B1 (ko) 2017-11-20 2017-11-20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3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543B1 (ko) * 2020-09-29 2021-06-07 고명관 화물차 타이어 건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086Y1 (ko) * 2001-08-04 2001-11-26 이효심 이동식 방역장치
KR101623656B1 (ko) * 2014-12-03 2016-05-24 임정수 열풍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383B1 (ko) * 2006-05-02 2008-02-13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회동 및 익스텐션 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KR100996836B1 (ko) * 2008-11-05 2010-11-29 전경순 난방장치
KR20100050077A (ko) * 2008-11-05 2010-05-13 고상수 수증기가 함유된 열풍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086Y1 (ko) * 2001-08-04 2001-11-26 이효심 이동식 방역장치
KR101623656B1 (ko) * 2014-12-03 2016-05-24 임정수 열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671A (ko)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87913A1 (en) Steam generator and cooking apparatus including steam generator
KR101652578B1 (ko) 흡입 배출 순환식 다목적 가습형 온풍장치
JP2009115445A (ja) 温風暖房装置
KR101997354B1 (ko) 과열수증기를 이용한 온풍기
KR20140007042A (ko) 동식물 생육 난방기
KR20130068337A (ko) 탄소 발열체를 이용한 고온 열풍기
KR101693154B1 (ko) 가변출력형 항온항습 열풍기
KR101523315B1 (ko) 농장용 난방시스템
KR20170089314A (ko) 피티시 히터를 갖춘 전기 열풍기
KR101813859B1 (ko) 온풍순환 난방 장판
KR102310938B1 (ko) 열 순환 구조가 일체로 형성된 온수방열 온풍장치
KR101746570B1 (ko) 온풍기
KR102365403B1 (ko) 온,습도 조절장치
KR20200138954A (ko) 동파방지 기능을 가진 공기조화기
WO2017158580A1 (en) A space temperature controlling apparatus and a space heating apparatus
KR200154186Y1 (ko) 공기조화기
KR20160032427A (ko) 전기식 온풍장치
KR20100091785A (ko) 온풍기
KR20160020091A (ko) 물을 이용한 스팀온풍기의 제어시스템
KR200231138Y1 (ko) 급속 온풍기
US2126931A (en) sorsoleil
KR20080004435U (ko) 전기온풍기
KR20030055738A (ko) 가습기 일체형 팬코일유닛
KR200267665Y1 (ko) 동파방지용 열교환기가 구비된 공기조화기
CN216346553U (zh) 一种竖立式防烫伤型取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