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2032B1 - 차량용 이중립형 플로어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이중립형 플로어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2032B1
KR100802032B1 KR1020070029339A KR20070029339A KR100802032B1 KR 100802032 B1 KR100802032 B1 KR 100802032B1 KR 1020070029339 A KR1020070029339 A KR 1020070029339A KR 20070029339 A KR20070029339 A KR 20070029339A KR 100802032 B1 KR100802032 B1 KR 100802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rt portion
lip
floor mat
vehicle
ski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연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엔티
Priority to KR1020070029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20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60N3/04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of carp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4Non-slip, anti-sl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B32B2471/04M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중립형 플로어매트는, 패드부(12)와, 패드부의 저면에서 돌출형성된 다수개의 미끄럼방지용 돌기(122)와, 패드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패드부선단에서 융기되어 서서히 하향하는 만곡구조로 이루어진 스커트부(20)와, 상기 스커트부의 저면에서 아래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스커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형태로서, 패드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중겹으로 배치되며, 그 하단이 차량실내바닥에 접하여 패드부 저면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차단하는 다수개의 보조립(22)(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 보조립(22)(24)은 스커트부의 모서리 부근에서 단절되어 일정길이 만큼의 절개간극(22a)(24a)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각 보조립의 절개간극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스커트부의 저면에 다중겹의 보조립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특성상, 차량 탑승자가 보다 안락한 쿠션감을 느낄 수 있으며, 패드부 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이 적극적으로 방지된다는 등의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이중립형 플로어매트{double rib type floor mat}
도 1은 종래 차량용 플로어매트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차량용 플로어매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 1의 Ⅱ - Ⅱ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보강립이 구비된 차량용 플로어매트의 구성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4a,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중립형 플로어매트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중립형 플로어매트의 구성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중립형 플로어매트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적으로 단면처리된 배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패드부 122: 돌기
20: 스커트부 22: 내측 보조립
22a: 절개간극 24: 외측 보조립
24a: 절개간극
본 발명은 차량용 플로어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물질의 유입이 보다 적극적으로 차단되는 차량용 이중립형 플로어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과 2에 나타난 것과 차량용 플로어매트(10)는 연질 PVC 또는 고무소재로 이루어지는 패드부(12)와, 상기 패드부(12)의 가장자리에 구성되어 패드부(12) 밑으로 흙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커트부(14)로 이루어져 있는데, 패드부(12)와 스커트부(14)의 상면에는 카페트와 같은 쿠션 및 보온효과를 얻기위해 섬모(121)가 식재되어 있으며, 패드부(12)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미끄럼방지용 돌기(122)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스커트부(14)는 패드부(12)의 선단에서 소정높이만큼 융기되어 서서히 하향하는 만곡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플로어매트는 차량의 실내 바닥에 안착된 상태에서 돌기(122)가 차량의 플로어카페트(5)에 박히게 됨으로써 탑승자의 발동작에 의해서도 쉽게 밀리지 않게 된다.
또한, 스커트부(14)의 형태특성상 스커트부(14)의 선단이 아래로 쳐져서 플로어카페트(5)에 접하게 됨으로써, 패드부(12)가 돌기(122)에 의해 떠받쳐져서 형성되는 패드부(12)와 플로어카페트(5) 사이의 간극으로 먼지나 흙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플로어카페트(5)가 더러워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스커트부(14)가 패드부(12)의 가장자리로부터 급격히 융기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특성상, 스커트부(14)의 저면이 바닥(플로어카페트)으로부터 이격되어 구조적으로 불안정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탑승자의 발동작) 등이 장기간 반복될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스커트부(14)의 외측 가장자리가 점차 상방으로 구부러져서 들뜨는 변형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커트부(14)가 변형되면, 플로어매트(10) 전체의 외관미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패드부(12) 밑으로 이물질이 쉽게 유입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스커트부(14)의 저면에 보강립(16)이 구비된 형태의 플로어매트(10')도 안출되었다.
상기 보강립(16)은 스커트부(14)의 저면에 형성되며, 스커트부(14)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직선형태로서, 스커트부(14)의 저면에서 아래로 돌출된 구조이며,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평행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보강립(16)이 구비된 종래의 차량용 플로어매트(10')는, 스커트부(14)가 들뜨는 변형현상이 보강립(16)에 의해 억제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안 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보강립(16)이 구비된 차량용 플로어매트(10')의 경우, 보강립(16)의 형태가 앞서 말한바와 같이 스커트부(14)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단순한 직선형태이며 서로 평행하기 때문에, 스커트부(14)가 들뜨는 현상 즉, 상방으로 구부러지는 변형현상은 억제되지만, 스커트부(14)의 보강립(16)과 보강립(16) 사이 부위는 점차 아래로 주저앉거나 들뜨게 됨으로써 스커트부(14)가 길이방향으로 구불구불해지는 파형굴곡(波形屈曲)현상이 유발된다는 또다른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스커트부(14)가 파형굴곡되면, 플로어매트(10')의 외관미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먼지 등의 이물질이 패드부(12) 밑으로 유입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보강립(16)에 의해 스커트부(14)가 단단히 받쳐지는 특성상 차량 탑승자가 발로 스커트부(14)를 디딜 때 딱딱한 느낌이 들기 때문에 쿠션감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스커트부가 상방으로 들뜨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쿠션감이 향상되고,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보다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이중립형 플로어매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중립형 플로어매트는, 패드부와, 패드부의 저면에서 돌출형성된 다수개의 미끄럼방지용 돌기와, 패드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패드부선단에서 융기되어 서서히 하향하는 만곡구조로 이루어진 스커트부와, 상기 스커트부의 저면에서 아래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스커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형태로서, 패드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중겹으로 배치되며, 그 하단이 차량실내바닥에 접하여 패드부 저면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차단하는 다수개의 보조립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 보조립은 스커트부의 모서리 부근에서 단절되어 일정길이 만큼의 절개간극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각 보조립의 절개간극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상기 각 보조립은 그 하단이 스커트부의 외곽쪽으로 향하도록 기울어지며, 상단에서 하단으로 가면서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위에서 아래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부드럽게 아래로 눌리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첨부된 도 4a 부터 도 6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중립형 플로어매트는 도 4a에 나타난 것과 같이, 스커트부(20)의 저면에서 아래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스커트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형태의 내측 보조립(22)과 외측 보조립(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 보조립(22)(24)은 패드부(12)를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중겹으로 배치되는데, 겹구조를 이루는 보조립의 개수에 대한 제한은 없으나, 각 보조립간에 일정한 거리가 유지되어야 하는 반면, 스커트부(20)의 폭은 제한적이므로 이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두개의 보조립으로 이루어지는 형태 즉, 이중겹으로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5와 도 6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각 보조립(22)(24)은 스커트부(20)의 모서리 부근에서 단절되어 일정길이 만큼의 절개간극(22a)(24a)을 갖는 스플릿(split)형태로 이루어지며, 각 보조립(22)(24)의 절개간극(22a)(24a)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즉, 내측 보조립(22)의 절개간극(22a)이 스커트부(20)의 모서리와 일치하게끔 배치되면, 외측 보조립(24)의 절개간극(24a)이 상기 내측 보조립(22)의 절개간극(22a)과 겹치지 않도록 약간 비켜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 같은 내외측 보조립(22)(24)의 배치구조는 앞서 말한 것과 반대로 외측 보조립(24)의 절개간극(24a)이 스커트부(20)의 모서리와 일치하고, 내측 보조립(22)의 절개간극(22a)이 스커트부(20)의 모서리에서 비켜난 위치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보조립(22)(24)은 그 하단이 스커트부(20)의 외곽쪽으로 기 울어지거나(도 4a 참조), 스커트부의 내측(패드부측)으로 향하도록 기울어지며(도 4b 참조), 상단에서 하단으로 가면서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커트부(20)의 저면에 형성된 각 보조립(22)(24)이 스커트부(20)의 위에서 아래로 가해지는 압력에 대해 큰 버팀력을 발휘하지 않고 부드럽게 구부러지게 된다.
따라서, 차량 탑승자가 발로 밟거나 하는 작용에 의해 스커트부(20)가 아래로 부드럽게 눌려질 뿐만 아니라, 그 하단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며, 상단에서 하단으로 가면서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각 보조립(22)(24)의 형태특성상, 각 보조립(22)(24)에 의해 적절한 탄성력이 유지되기 때문에 탑승자가 보다 편안한 쿠션감각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각 보조립(22)(24)이 스커트부(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커트부(20)가 부분적으로 구부러지거나 들뜨는 현상이 방지되며, 스커트부(20)의 최외곽 가장자리와, 각 보조립(22)(24)의 하단이 차량실내바닥의 플로어카페트(5)에 접하여 3중겹의 접촉라인을 형성하기 때문에 먼지나 흙 등의 이물질이 패드부(12) 밑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상기 각 보조립(22)(24)에 의해 스커트부(20)가 아래로 하중을 받기 때문에 스커트부(20)가 위로 들뜨는 현상이 더욱 적극적으로 방지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상기 각 보조립(22)(24)이 스플릿형태로 이루어지고 스커트부(20)의 모서리부위에서 양 보조립(22)(24)의 절개간극(22a)(24a)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데, 이에 따른 특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 보조립(22)(24)이 단절되지 않고 연속된 형태로 이루어진다고 가정하면 평면상으로 볼 때 일정각도 이상 굴곡된 부위(스커트부의 모서리부위에 해당함)에서는 상방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대해 구조적인 강한 버팀력을 갖게 된다.
특히, 각 보조립(22)(24)이 겹구조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버팀력이 더욱 강해지기 때문에 스커트부(20)의 모서리를 차량 탑승자가 밟게 되면, 타부위와 달리 부드러운 쿠션감을 느끼지 못하고 딱딱한 느낌을 받게 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우선 내측 보조립(22)의 절개간극(22a)이 스커트부(20)의 모서리와 일치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스커트부(20)의 모서리에서 내측 보조립(20)에 의한 강한 버팀력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외측 보조립(24)은 그 일측단이 내측 보조립(22)의 절개간극(22a)과 겹치고, 절개간극(24a)이 내측 보조립(22)의 절개간극(22a)을 벗어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내측 보조립(22)의 절개간극(22a)을 통해 이물질이 패드부 저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외측 보조립(24)의 경우에는 스커트부(20)의 모서리부위를 따라 굴곡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지만, 스플릿 형태의 특성상 버팀력이 강하지 않기 때문에, 스커트부(20)의 모서리를 밟는 탑승자가 강한 저항감을 느끼지는 않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중립형 플로어매트에 의하면, 스커트부의 저면에 다중겹의 보조립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특성상, 차량 탑승자가 보다 안락한 쿠션감을 느낄 수 있으며, 패드부 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이 적극적으로 방지된다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4)

  1. 패드부;
    패드부의 저면에서 돌출형성된 다수개의 미끄럼방지용 돌기;
    패드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패드부선단에서 융기되어 서서히 하향하는 만곡구조로 이루어진 스커트부;
    상기 스커트부의 저면에서 아래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스커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형태로서, 패드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중겹으로 배치되며, 그 하단이 차량실내바닥에 접하여 패드부 저면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차단하는 다수개의 보조립
    을 포함하는 차량용 이중립형 플로어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보조립은
    스커트부의 모서리 부근에서 단절되어 일정길이 만큼의 절개간극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각 보조립의 절개간극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중립형 플로어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보조립은
    그 하단이 스커트부의 외곽쪽으로 향하도록 기울어지며, 상단에서 하단으로 가면서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위에서 아래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부드럽게 아래로 눌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중립형 플로어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보조립은
    그 하단이 스커트부의 내측(패드부측)으로 향하도록 기울어지며, 상단에서 하단으로 가면서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위에서 아래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부드럽게 아래로 눌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중립형 플로어매트.
KR1020070029339A 2007-03-26 2007-03-26 차량용 이중립형 플로어매트 KR100802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339A KR100802032B1 (ko) 2007-03-26 2007-03-26 차량용 이중립형 플로어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339A KR100802032B1 (ko) 2007-03-26 2007-03-26 차량용 이중립형 플로어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2032B1 true KR100802032B1 (ko) 2008-02-12

Family

ID=39342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339A KR100802032B1 (ko) 2007-03-26 2007-03-26 차량용 이중립형 플로어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20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2136U (ko) 1986-04-04 1987-10-15
JPH10181409A (ja) 1996-12-26 1998-07-07 Japan Vilene Co Ltd フロア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78647A (ja) 1997-08-29 1999-03-23 Japan Vilene Co Ltd フロア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78646A (ja) 1997-08-29 1999-03-23 Japan Vilene Co Ltd フロア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2136U (ko) 1986-04-04 1987-10-15
JPH10181409A (ja) 1996-12-26 1998-07-07 Japan Vilene Co Ltd フロア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78647A (ja) 1997-08-29 1999-03-23 Japan Vilene Co Ltd フロア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78646A (ja) 1997-08-29 1999-03-23 Japan Vilene Co Ltd フロア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5556B2 (en) Cushioning-material structure for vehicle seat
JP6475278B2 (ja) 車両用シート
US9643673B2 (en) Bottom-plate structure for vehicle seat
JP5277912B2 (ja) 乗物用シート
JP6549371B2 (ja) イス
US9004605B2 (en) Vehicle seat
JPH04101652U (ja) 椅子の背もたれ装置
KR100802032B1 (ko) 차량용 이중립형 플로어매트
JP4447264B2 (ja) 座席シート
JP2011516342A (ja) 車両座席カバー及び車両座席
KR20170106412A (ko) 시트 팬 및 시트
JP6549370B2 (ja) 椅子用荷重支持部材、及び、椅子
JP4947621B2 (ja) 敷きマット
JP2015134562A (ja) 乗物用シート
KR100802031B1 (ko) 차량용 복합형 플로어매트
KR100761030B1 (ko) 차량용 플로어매트
JP6039267B2 (ja) 車両用シートのボトムプレート構造
JP6588474B2 (ja) シート用パッド
JP2003040042A (ja) 車両用ルーフモール
JP2020156629A (ja) 表皮係止用クリップ
JP4230829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パッド
JP4230828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パッド
JP2009529929A (ja) 鐙用鐙挿入部
JP7239311B2 (ja) 車両用シートパッド
JP4446485B2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