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1859B1 - 주낙용 부력찌 고정구 - Google Patents

주낙용 부력찌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1859B1
KR100801859B1 KR1020060102612A KR20060102612A KR100801859B1 KR 100801859 B1 KR100801859 B1 KR 100801859B1 KR 1020060102612 A KR1020060102612 A KR 1020060102612A KR 20060102612 A KR20060102612 A KR 20060102612A KR 100801859 B1 KR100801859 B1 KR 100801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line
fixture
mai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2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8360A (ko
Inventor
김용호
Original Assignee
김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호 filed Critical 김용호
Priority to KR1020060102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1859B1/ko
Publication of KR20070078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8Trotlines, longlines; Accessories therefor, e.g. baiting devices, lifters or setting reel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낙용 부력찌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명이나 나일론으로 만든 긴 원줄의 곳곳에 설치되어 낚시줄이 연결되는 부력찌가 움직이지 않게 원줄에 설치하는 고정구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원줄의 외주면에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부력찌의 좌우 이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원줄에 손상을 전혀 주지 않으면서 중량도 원줄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부력찌의 부피도 줄일 수 있는 주낙용 부력찌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줄에 일정간격으로 관통설치된 부력찌를 고정시키기 위해 합성수지재로 된 본체가 원줄과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고정 설치된 주낙용 부력찌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원줄에 고정되기 위해 원줄을 압착하는 압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낙용 부력찌 고정구가 제공된다.
주낙, 부력찌, 고정구, 합성수지, 사출성형

Description

주낙용 부력찌 고정구{The fixer of float for a reel and line with multiple hooks}
도 1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의 일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주낙의 사용상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압착부
100: 고정구 200: 원줄
300: 부력찌 400: 낚시줄
500: 낚시바늘 1000: 주낙
M: 금형 P: 수직돌조(P)
본 발명은 주낙용 부력찌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명이나 나일론으로 만든 긴 원줄의 곳곳에 설치되어 낚시줄이 연결되는 부력찌가 움직이지 않게 원줄에 설치하는 고정구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원줄의 외주면에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부력찌의 좌우 이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원줄에 손상을 전혀 주지 않으면서 중량도 원줄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부력찌의 부피도 줄일 수 있는 주낙용 부력찌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낙은 낙지, 고등어, 다랑어, 학꽁치, 참치 등과 같은 어류를 한 번에 다량으로 포획할 수 있도록 무명이나 나일론으로 만든 수십 내지 수백미터의 길이를 갖는 하나의 원줄에 복수개의 낚시줄을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하여 구성한 어업용 도구이다.
이때 원줄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부력찌가 설치되는데, 이는 원줄이 수면에 뜨게 하고, 원줄에 연결된 낚시줄이 엉키지 않게 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낚시줄을 원줄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사용된다. 그러나 부력찌가 원줄 상에서 좌우로 이동하게 되면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으므로, 그 양단측의 원줄에는 고정구가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주낙용 부력찌 고정구는 양단이 개구된 금속관체로 이루어져 압착도구를 사용하여 원줄에 압착시켜 고정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고정구가 원줄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부력찌가 원줄 상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주낙용 부력찌 고정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원줄에 압착시켜 고정하는 구조이고, 그 양단부가 날카로워 원줄에 손상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금속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그 전체중량이 많이 나가게 됨으로써 원줄이 수면에 뜰 수 있게 부력찌의 부피도 증대시킬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주낙의 제조비용이 상승되고, 주낙의 전체적인 중량과 부피가 증가하게 되어 운반이나 보관도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부력찌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구가 원줄에 손상을 전혀 주지 않고, 중량도 가볍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원줄에 일정간격으로 관통설치된 부력찌를 고정시키기 위해 합성수지재로 된 본체가 원줄과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고정 설치된 주낙용 부력찌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원줄에 고정되기 위해 원줄을 압착하는 압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낙용 부력찌 고정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 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주낙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주낙용 부력찌 고정구(100)는 주낙(1000)의 원줄(200)에 일정간격으로 관통설치된 부력찌(300)를 고정시키기 위해 합성수지재로 된 본체(1)가 원줄(200)과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고정 설치된 주낙용 부력찌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내부에 원줄(200)에 고정되기 위해 원줄(200)을 압착하는 압착부(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1)는 상단이 둥근 원뿔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400과 500은 주낙(1000)을 구성하는 낚시줄과 낚시바늘이고, M은 고정구(100)의 제조를 위한 금형이며, P는 금형의 수직돌조(P)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주낙용 부력찌 고정구(100)는 도 4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낙(100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낚시줄(400)이 서로 엉키지 않게 하고 원줄(200)이 수면 뜨도록 하는 부력찌(300)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주낙(1000)의 구성요소이다.
특히, 본 발명의 주낙용 부력찌 고정구(100)는 원줄(200)에 손상을 주지 않아 주낙(1000)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중량도 가벼워 부력찌(300)의 부피도 줄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둥근 원뿔체형상을 갖는 합성수지재의 본체(1)가 고정구(100)가 설치되는 원줄(200)과 일체로 성형됨에 의한 것이다.
이때 본체(1)의 내부 양측에 압착부(2)가 돌설되어 원줄(200)의 외주면 양측을 압착시켜 본체(1)가 원줄(200)에 고정된다.
따라서 금속재로서 양단이 날카로워 사용이나 보관시 원줄(200)에 손상을 주었던 종래의 고정구(100)와는 달리,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양단이 부드럽고 매끈하여 원줄(200)에 고정되더라도 전혀 손상을 주지 않아 주낙(1000)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량이 무거워 수면에 뜨지 못하는 금속재로 형성되어 부력찌(300)의 부피를 크게 할 수 밖에 없었던 종래의 고정구(100)와 달리 중량이 가벼워 수면에 쉽게 뜨게 됨으로써 부력찌(300)의 부피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주낙(1000)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고, 주낙(1000)의 전체 중량과 부피 줄여 주낙(1000)의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데, 그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단계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100)의 성형하기 위한 금형(M)의 사이에 고정구(100)를 성형할 위치에 맞추어 원줄(200)을 내입하는 단계이다.
이때 금형(M)에는 원줄(200)의 외주면 상측과 하측을 압착시킬 수 있도록 수직돌조(P)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는 고정구(100)를 원줄(200)에 고정시키기 위한 압착부(2)를 고정구(100)의 내측에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부력찌(300)와 접하는 측에 고정구(100)의 하단이 형성되도록 원줄(200)의 내입방향에 주의해야 한다.
제2단계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M)의 내부에 용융상태의 합성수지를 주입하는 단계로서, 금형(M)의 내부에는 금형(M)의 수직돌조(P)에 의해 내부에 압착부(2)가 돌설된 고정구(100)가 성형된다.
제3단계는 고정구(100)를 금형(M)에서 탈형한 후 냉각시키는 단계로서, 고정구(100)의 제조를 완료하여 고정구(100)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원줄(200)을 압착한 상태에서 원줄(200)의 외주면에 사출성형되어 원줄(200)에 고정 설치된 구조임에 따라, 원줄(200)에 설치되는 부력찌(300)의 설치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낚시줄(500)의 엉킴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고, 원줄(200)에 설치하는 작업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으며, 설치 및 사용시 원줄(200)에 손상을 전혀 않아 주낙(1000)의 사용수명을 보다 연장할 수 있고, 중량도 가벼워 부력찌(3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주낙(1000)의 보관 및 운반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삭제
  2. 원줄(200)에 일정간격으로 관통설치된 부력찌(300)를 고정시키기 위해 합성수지재로 된 본체(1)가 원줄(200)과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고정 설치된 주낙용 부력찌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내부에 원줄(200)에 고정되기 위해 원줄(200)을 압착하는 압착부(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낙용 부력찌 고정구.
  3. 삭제
KR1020060102612A 2006-10-21 2006-10-21 주낙용 부력찌 고정구 KR100801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612A KR100801859B1 (ko) 2006-10-21 2006-10-21 주낙용 부력찌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612A KR100801859B1 (ko) 2006-10-21 2006-10-21 주낙용 부력찌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360A KR20070078360A (ko) 2007-07-31
KR100801859B1 true KR100801859B1 (ko) 2008-02-12

Family

ID=38502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612A KR100801859B1 (ko) 2006-10-21 2006-10-21 주낙용 부력찌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18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267Y1 (ko) * 2009-10-14 2010-03-29 박상준 로켓형 낚시쿠션고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6538U (ja) * 1995-04-04 1995-10-03 株式会社ヨシオ 釣り用浮き
JPH089846A (ja) * 1994-07-05 1996-01-16 Sakae Sano 係止突起を有する釣糸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537Y1 (ko) 1999-09-09 2000-10-16 이진국 부이의 결합구조
KR200361564Y1 (ko) 2004-05-17 2004-09-14 주식회사 해피텍 금속클립이 없는 주낙어구
KR200399559Y1 (ko) 2005-08-12 2005-10-25 황정용 낙지 주낙용 모릿줄
KR200401902Y1 (ko) 2005-09-08 2005-11-22 황정용 낙지 주낙용 모릿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846A (ja) * 1994-07-05 1996-01-16 Sakae Sano 係止突起を有する釣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3016538U (ja) * 1995-04-04 1995-10-03 株式会社ヨシオ 釣り用浮き
KR200200537Y1 (ko) 1999-09-09 2000-10-16 이진국 부이의 결합구조
KR200361564Y1 (ko) 2004-05-17 2004-09-14 주식회사 해피텍 금속클립이 없는 주낙어구
KR200399559Y1 (ko) 2005-08-12 2005-10-25 황정용 낙지 주낙용 모릿줄
KR200401902Y1 (ko) 2005-09-08 2005-11-22 황정용 낙지 주낙용 모릿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360A (ko) 200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1721B2 (en) Device for preventing welding wire from tangling
US20100146837A1 (en) Fiber reinforced fishing lure
US3435552A (en) Floatable trotline
US20160100560A1 (en) Protective device for animal breeding, such as the breeding of fish, mussels or molluscs
KR100801859B1 (ko) 주낙용 부력찌 고정구
US3293792A (en) Fishing line accessory
KR200399559Y1 (ko) 낙지 주낙용 모릿줄
KR101673704B1 (ko) 갈치잡이용 주낙어구
KR101926399B1 (ko) 낚시용 봉돌
US6694668B2 (en) Apparatus for storing fishing lures
KR200470111Y1 (ko) 부력주머니가 구비된 낚시찌
KR100516234B1 (ko) 어류포획기
US2911754A (en) Fishing float
CN205884449U (zh) 带导线管的钓具
CN205547059U (zh) 一种新型钓竿
KR20110080752A (ko) 갈치 잡이용 주낙의 원줄
KR200490901Y1 (ko) 수심 측정 싱커용 싱커축
CN210763691U (zh) 两端夹线绕线轴
KR101022128B1 (ko) 낚시용 수중찌
US20210259224A1 (en) Internal strengthening system for soft plastic fishing lures
KR200439543Y1 (ko) 주낙용 부구
KR102027599B1 (ko) 낚시찌 회수구
JP3182444U (ja) 貝類養殖の係止具
CN201617101U (zh) 改进的钓鱼钩
KR101043442B1 (ko) 낚시대용 소품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