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1025B1 - 텍스트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저장하는 방법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텍스트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저장하는 방법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1025B1
KR100801025B1 KR1020060029944A KR20060029944A KR100801025B1 KR 100801025 B1 KR100801025 B1 KR 100801025B1 KR 1020060029944 A KR1020060029944 A KR 1020060029944A KR 20060029944 A KR20060029944 A KR 20060029944A KR 100801025 B1 KR100801025 B1 KR 100801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meric information
text
buffer
information
nume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8376A (ko
Inventor
윤철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9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1025B1/ko
Publication of KR20070098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텍스트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저장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저장하는 방법은 텍스트(text)에 숫자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숫자 인식 단계 및 텍스트에 숫자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텍스트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 메시지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인식하고, 이를 추출하여 자동적으로 버퍼에 임시 저장하게 되므로, 수신 메시지에 포함된 계좌번호나 전화번호 등을 기억하기 위해 별도의 메모용지 등에 옮겨적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동통신단말기, 버퍼, 계좌번호, 모바일 뱅킹, ARS

Description

텍스트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저장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Method of extracting an information of number which is comprised in a received messag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저장하는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저장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저장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저장하는 방법이 모바일 뱅킹에 적용되는 일예를 도시한 화면예,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메시지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저장하는 방법이 ARS 시스템에 적용되는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200: 이동통신단말기 210: 키입력부
220: 디스플레이부 230: 무선 송수신부
240: 숫자 인식부 250: 제어부
260: 버퍼 270: 메모리부
280: 키톤 발생부
본 발명은 텍스트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저장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금융 거래를 수행하는 서비스 시스템이 개발되어 소위 모바일 뱅킹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는 금융 정보가 저장된 IC 카드칩을 휴대폰에 장착한 후,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기반의 무선 인터넷 방식을 사용하여 은행측에 뱅킹 서버에 접속함으로써 금융 거래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터넷 기반의 금융 서비스 이외에도 유선 전화선을 이용한 폰 뱅킹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이체자가 피이체자에게 계좌번호를 문자 메시지로 보내달라고 요청한 경우에, 피이체자가 자신의 계좌번호를 문자 메시지로 이체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한 경우,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는 수신한 메시지로부터 계좌번호를 추출할 수 없었다. 즉, 이 경우 사용자는 수신한 문자 메시지에 기재된 계좌번호를 외우거나, 간단한 메모장에 옮겨 적고, 모바일 뱅킹 서비스 또는 폰 뱅킹 서비스를 실행한 상태에서 계좌번호를 직접 입력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계좌번호나 전화번호를 외웠다가 다시 확인하려면 현재 사용중인 기능을 취소하고 다시 문자 메시지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텍스트(text)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숫자 정보를 임시 저장한 상태에서 다양한 서비스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텍스트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저장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저장하는 방법은 텍스트(text)에 숫자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숫자 인식 단계; 및 상기 텍스트에 숫자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텍스트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임시 저장된 숫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텍스트는, 수신 메시지, 수신 이메일,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작성되어 저장된 메모장 형태의 문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숫자 정보는, 은행계좌번호, 증권계좌번호, 신용카드번호, 회원번호 또는 전화 번호이다.
또한, 상기 숫자 정보는 팝업창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임시 저장된 숫자 정보를 메모리의 특정 폴더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외에도, 모바일 뱅킹이 요청되면 상기 임시 저장된 숫자 정보 또는 상기 메모리의 특정 폴더에 저장된 숫자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화면이 제공되고, 제공된 메뉴화면에서 선택된 소정 숫자 정보가 피이체자의 계좌번호로 입력된다.
또한, ARS 시스템과 통화연결이 수행되어, 상기 ARS 시스템으로부터 특정 번호를 입력하라는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임시 저장된 숫자 정보 또는 상기 메모리의 특정 폴더에 저장된 숫자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숫자 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상기 숫자 정보에 대응하는 키톤 데이터가 생성되어 전송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텍스트에 숫자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숫자 인식부; 상기 숫자 정보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임시 저장부; 및 수신한 메시지에 상기 숫자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임시 저장부에 임시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텍스트는, 수신 메시지, 수신 이메일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작성되어 저장된 메모장 형태의 문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숫자 정보는, 은행계좌번호, 증권계좌번호, 신용카드번호, 회원번호, 또는 전화번호이다.
여기서, 상기 숫자 정보는, 상기 임시 저장부에 선입선출 방식으로 임시 저장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상기 임시 저장부에 임시 저장된 숫자 정보는 삭제된다.
또한,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숫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숫자 정보는 팝업창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상기 임시 저장부에 임시 저장된 숫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임시 저장부에 임시 저장된 숫자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키입력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는, 상기 임시 저장부에 임시 저장된 숫자 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요청하는 핫 키;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숫자 정보에 대응하는 키톤 데이터를 생성하는 키톤 발생부;를 더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톤 발생부에서 생성된 키톤 데이터를 인코딩한다.
또한, 외부 ARS 시스템과 통화연결을 수행하고, 인코딩된 상기 키톤 데이터를 상기 외부 ARS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무선송수신부;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메시지에 포함된 숫자 정보 추출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의 구성도로서, 통상의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교환국(100)은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의 전반적인 시스템 제어를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메시지가 해당 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지정되어 전송된다.
기지국(20a~20d)은 일정 반경의 셀 범위 내에 위치한 가입자 이동통신단말기(10a~10d)와 공중망을 통해 채널을 형성하며, 형성된 채널을 통해 음성통화 데이터 및 메시지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동통신단말시스템에서 메시지의 전송 흐름을 살펴보면, 특정 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ex:10a)로부터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작성이 이루어져 메시지 전송이 수행되면, 전송된 메시지는 기지국(20a)을 통해 이동 교환국(100)으로 무선으로 전달된다.
이동 교환국(100)에서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ex:10d)가 결정되면, 이동 교환국(100)으로부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10d)가 속한 기지국(20d)으로 메시지가 전송된다. 기지국(20d)은 전송된 메시지를 해당 착신측 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d)로 송신하고, 착신측 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d)는 기지국(20d)으로부터 송신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착신링의 발생이나 착신램프의 구동, 그리고 진동의 발생을 통해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저장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이동통신단말기(200)는 키입력부(210), 디스플레이부(220), 무선 송수신부(230), 숫자 인식부(240), 제어부(250), 버퍼(260), 및 메모리부(270)를 포함한다.
키입력부(210)는 문자 키, 숫자 키와 각종 기능 키와 외부 볼륨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신호를 제어부(250)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키입력부(210)는 버퍼(260)에 임시저장된 숫자 정보가 팝업창 형태로 디스플레이부(22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요청하기 위한 핫 키(hot key)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이동통신단말기(200)에서 출력하는 각종 표시정보를 출력하며,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miting Diode)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20)는 메시지에서 추출된 숫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숫자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뱅킹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무선 송수신부(230)는 RF(Radio Frequency)부로서, 고주파 처리부와 중간주 파수 처리부 및 기저대역 처리부의 포괄적 구성부를 의미한다. 무선 송수신부(230)는 제어부(250)의 제어하에 문자 데이터,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숫자 인식부(240)는 무선 송수신부(230)를 통하여 수신한 메시지에 숫자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숫자 정보는 은행 계좌번호, 증권 계좌번호, 회원번호, 신용카드번호, 전화번호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250)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50)는 무선 송수신부(230)를 통해 메시지가 수신되면 착신링의 발생이나 착신램프의 구동, 그리고 진동이 발생되도록 제어하여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또한, 제어부(250)는 숫자 인식부(240)에 의해 수신한 메시지에 숫자 정보가 포함된 경우, 메시지로부터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버퍼(260)에 임시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버퍼(260)에 임시저장된 숫자 정보를 메모리부(270)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50)는 폰 뱅킹이 수행되어 계좌번호를 입력하라는 요청이 있게 되고, 이에 응하여 사용자가 버퍼(260)에 임시저장된 숫자 정보 또는 메모리부(270)에 저장된 숫자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후술하는 키톤 발생부(280)를 제어하여 선택된 숫자 정보에 대응하는 키톤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50)는 키톤 발생부(280)에 의해 생성된 키톤 데이터는를 인코딩한 후 무선송수신부(2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한다.
버퍼(260)는 키 입력부(210)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거나 외부에서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수신되는 문자나 이미지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버퍼(260)는 제어부(250)에 의해 추출된 숫자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며, 버퍼(260)에 저장된 숫자 정보가 버퍼의 저장 용량을 초과하면, 숫자 정보는 먼저 저장된 순서대로 하나씩 삭제된다. 이는 먼저 삽입되는 자료가 먼저 삭제되는(FIFO : First In First Out) 자료 구조인 대기열(Queue) 구조와 같은 원리이다.
메모리부(27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부(270)는 계좌번호 또는 전화번호 별로 분류된 숫자 정보를 각각 저장하며, 버퍼(260)에 임시적으로 저장된 숫자 정보와 달리, 전원의 온/오프와 무관하게 저장되며, 사용자의 삭제 요청이 없는 한 영구적으로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부(270)는 저장된 계좌번호를 이용하여 모바일 뱅킹이나 폰 뱅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저장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직접 통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키톤 발생부(28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숫자 정보에 대응되는 키톤 데이터를 생성한다. 폰 뱅킹 수행시 계좌번호를 입력하라는 요청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메모리부(270) 또는 버퍼(260)에 저장된 특정 계좌번호를 선택하기만 하면, 선택된 계좌번호에 대응되는 키톤 데이터가 생성되어 전송되므로, 사용자는 일일이 키버튼을 눌러 계좌번호를 입력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에 포함된 숫자 정보 추출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3에서 텍스트는 수신한 메시지, 숫자 정보는 계좌 번호를 일예로 하여 설명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텍스트는 사용자가 직접 작성하여 메모리부(270)에 저장한 메모장 형식의 텍스트 문서나 수신한 이메일을 포함하며, 숫자 정보는 전화 번호, 신용카드번호, 회원번호 등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외부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무선 송수신부(230)는 수신한 메시지를 제어부(250)로 전송한다(S310). 제어부(250)는 착신링의 발생이나 착신램프의 구동, 그리고 진동이 발생되도록 제어하여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숫자 인식부(240)는 무선 송수신부(230)를 통하여 수신한 메시지에 숫자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320). 숫자 인식부(240)에 의해, 수신한 메시지에 숫자 정보가 포함되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면(S320:Y), 제어부(250)는 인식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 저장공간인 버퍼(260)에 저장한다(S330).
또한, 제어부(250)는 버퍼(260)에 임시 저장된 숫자 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S330). 본 실시예에서, 숫자 정보가 임시 저장공간인 버퍼(260)에 저장된 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만 버퍼(260)에 임시 저장된 숫자정보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요청은 이동통신단말기(200)에 구비된 특정 핫 키(hot key)를 누르거나, 메뉴 상에서 계좌번호 추출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버퍼에 임시 저장된 숫자 정보를 저장할 것을 요청한 경우(S350:Y), 제어부(250)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숫자 정보를 메모리부(270)의 특정 폴더에 저장한다(S360). 이 때, 숫자 정보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메모리부(270)의 계좌번호 폴더 또는 전화번호 폴더에 각각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버퍼(260)에 임시 저장되거나 메모리부(270)에 저장된 숫자 정보는 모바일 뱅킹, 폰 뱅킹, 증권 투자, 기차표 예매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메시지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저장하는 방법이 모바일 뱅킹에 적용되는 일예를 도시한 화면예이다.
도 4a는 계좌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메시지의 화면예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수신 메시지에는 입금해야할 계좌번호가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는 계좌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메시지를 확인하고 나서, 수신 메시지에 포함된 계좌번호를 이용하여 모바일 뱅킹을 수행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도 4a에 도시된 '메뉴' 항목을 선택하게 되면 도 4b에 도시된 팝업창 형태로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메뉴 화면 상의 선택 항목에는 계좌번호 추출 항목이 존재하며, 사용자가 계좌번호 추출 항목을 선택하게 되면, 수신 메시지에 포함된 계좌번호가 추출된 계좌번호 목록이 도 4c에 도시된 팝업창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계좌번호 목록이 팝업창 형태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옵션'(Option) 메뉴를 선택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된 계좌번호를 메모리부(270)의 계좌번호 폴더에 저장하는 메뉴와 추출된 계좌번호를 모바일 뱅킹에 직접 이용할 수 있는 메뉴가 구성된다.
이 때, 사용자가 모바일 뱅킹(Mobile banking) 메뉴를 선택하면, 도 4e에 도시된 예금 이체 화면창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예금 이체 화면창의 하단 좌측에 위치한 검색 메뉴를 누르면,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부(270)에 저장된 계좌번호 및 메모리부(270)에 저장되지 않았으나 버퍼(260)에 임시저장된 계좌번호도 함께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계좌번호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서, 사용자는 수신 메시지에 포함된 계좌번호를 메모장에 옮겨 적은 후에 모바일 뱅킹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메시지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저장하는 방법이 ARS 시스템에 적용되는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200)를 이용하여 ARS 시스템에 연결하고자 ARS 시스템의 전화번호를 누르면, 이동통신단말기(200)는 ARS 시스템으로 다이얼링한다(S510).
이동통신단말기(200)가 ARS 시스템에 연결된 경우, 일반적인 ARS 시스템은 TTS를 이용하여 합성된 음성으로 해당 서비스에 필요한 번호를 입력받기 위해 'XXXX 번호를 눌러주십시요'라는 요청문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ARS 시스템으로부터 특정 번호를 입력해달라는 요청이 있게 되면, 사용자는 버퍼(260) 또는 메모리부(270)에 저장된 숫자 정보를 선택한다(S520).
사용자가 숫자 정보를 선택하는 예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키입력부(210)에 구비된 메뉴 버튼을 누르면, 버퍼(260) 또는 메모리부(270)에 저장된 숫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저장번호확인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저장번호확인메뉴'를 선택하면, 버퍼(260) 또는 메모리부(270)에 저장된 숫자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원하는 숫자 정보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 이외에도,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저장된 숫자 정보를 바로 확인하도록 하기 위한 전용키(hot key)를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숫자 정보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특정한 숫자 정보가 선택되면 제어부(250)는 키톤 발생부(280)를 제어하여 선택된 숫자 정보에 대응하는 키톤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제어하고(S530), 키톤 발생부(280)에서 생성된 데이터는 제어부(250)에서 인코딩되어(S540) 무선송수신부(230)를 통하여 ARS 시스템으로 전송된다(S550).
상술한 바에 대한 일예를 들면, 사용자 폰뱅킹을 위해 이동통신단말기(200)를 ARS 시스템에 연결한 경우, 사용자가 계좌이체 항목을 선택하면 ARS 시스템은 은행계좌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청한다.
이러한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버퍼(260) 또는 메모리부(270)에 저장된 계좌번호를 선택하면, 선택된 계좌번호에 대응하는 키톤 데이터가 생성되면서 인코딩되어 ARS 시스템으로 전송되고, ARS 시스템에서는 은행계좌번호를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숫자 정보를 은행계좌번호를 위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화번호나 증권계좌번호, 회원번호, 신용카드번호 등 다양한 숫자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모바일 뱅킹이나 폰 뱅킹 이외에도 증권투자, 기차표 예매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 메시지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인식하고, 이를 추출하여 자동적으로 버퍼에 임시 저장하게 되므로, 수신 메시지에 포함된 계좌번호나 전화번호 등을 기억하기 위해 별도의 메모용지 등에 옮겨적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 메시지로부터 추출되어 버퍼에 임시저장된 계좌번호 또는 메모리의 계좌번호 폴더에 저장된 계좌번호를 이용하여 모바일 뱅킹이나 폰 뱅킹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0)

  1. 숫자 정보를 포함하는 텍스트가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가 상기 텍스트에서 상기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버퍼에 임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텍스트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저장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에 임시 저장된 숫자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저장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는,
    수신 메시지, 수신 이메일,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작성되어 저장된 메모장 형태의 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저장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 정보는,
    은행계좌번호, 증권계좌번호, 신용카드번호, 회원번호 또는 전화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저장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에 임시 저장된 숫자 정보는 팝업창 형태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저장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버퍼에 임시 저장된 숫자 정보를 메모리의 특정 폴더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저장하는 방법.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모바일 뱅킹이 요청되면, 상기 버퍼에 임시 저장된 숫자 정보 또는 상기 메모리의 특정 폴더에 저장된 숫자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화면이 제공되고, 제공된 메뉴화면에서 선택된 소정 숫자 정보가 피이체자의 계좌번호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저장하는 방법.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ARS 시스템과 통화연결이 수행되어, 상기 ARS 시스템으로부터 특정 번호를 입력하라는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버퍼에 임시 저장된 숫자 정보 또는 상기 메모리의 특정 폴더에 저장된 숫자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숫자 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상기 숫자 정보에 대응하는 키톤 데이터가 생성되어 상기 ARS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저장하는 방법.
  9. 숫자 정보를 포함하는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숫자 정보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버퍼; 및
    상기 텍스트로부터 상기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버퍼에 임시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는,
    수신 메시지, 수신 이메일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작성되어 저장된 메모장 형태의 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 정보는,
    은행계좌번호, 증권계좌번호, 신용카드번호, 회원번호, 또는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 정보는, 상기 버퍼에 선입선출 방식으로 임시 저장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상기 버퍼에 임시 저장된 숫자 정보는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 정보를 포함하는 텍스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 정보를 포함하는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에 임시 저장된 숫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에 임시 저장된 숫자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키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상기 버퍼에 임시 저장된 숫자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요청하는 핫 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8. 제9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 정보에 대응하는 키톤 데이터를 생성하는 키톤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톤 발생부에서 생성된 키톤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외부 ARS 시스템과 통화연결을 수행하고, 인코딩된 상기 키톤 데이터를 상기 외부 ARS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무선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60029944A 2006-04-01 2006-04-01 텍스트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저장하는 방법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801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944A KR100801025B1 (ko) 2006-04-01 2006-04-01 텍스트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저장하는 방법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944A KR100801025B1 (ko) 2006-04-01 2006-04-01 텍스트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저장하는 방법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376A KR20070098376A (ko) 2007-10-05
KR100801025B1 true KR100801025B1 (ko) 2008-02-04

Family

ID=38804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944A KR100801025B1 (ko) 2006-04-01 2006-04-01 텍스트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저장하는 방법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10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806B1 (ko) * 2009-11-09 2016-06-2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인증번호 처리 방법 및 인증번호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1895A (ja) * 1994-05-26 1995-12-08 Kyocera Corp 携帯電話機
KR20010011274A (ko) * 1999-07-27 2001-02-15 서평원 단말기에서 단문 내의 전화 번호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1895A (ja) * 1994-05-26 1995-12-08 Kyocera Corp 携帯電話機
KR20010011274A (ko) * 1999-07-27 2001-02-15 서평원 단말기에서 단문 내의 전화 번호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376A (ko) 200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81947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commerce
US20180247299A1 (en) Watch with SIM and Web browser
JP4521401B2 (ja) 機能停止情報通知方法及び移動通信端末装置
KR100547858B1 (ko)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문자 입력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방법
KR20100041145A (ko) 쿼티 키패드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발신 방법 및 전화번호 저장 방법
CN1694372B (zh) 提供综合消息传送业务的无线通信终端及其方法
KR100801025B1 (ko) 텍스트에 포함된 숫자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저장하는 방법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1023909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에이알에스 접속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0969284B1 (ko) 문자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이동 통신 단말기
KR101950059B1 (ko) 수기 메시지 제공 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072441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문자 메시지 리스트 표시 방법
KR100660063B1 (ko) 문자 메시지의 음성 변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H09282286A (ja) スケジュール管理装置及びスケジュール管理システム
JP2020067855A (ja) 安否確認システム
KR100594446B1 (ko) 수신자 부담요청 관리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0672427B1 (ko) 모바일 뱅킹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06328B1 (ko) 문자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02054B1 (ko)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제공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732989B1 (ko) 브이카드를 이용한 신용카드서비스기능이 구비된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60125032A (ko) 금융카드의 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기
KR100963964B1 (ko) 문자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9990016717A (ko) 인터넷 공중 전화장치 및 그 사용방법
KR20190069381A (ko) 통합형 수기 메시지 제공 장치,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07129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방법
KR20070115231A (ko) 휴대단말을 이용한 기념일 관리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