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1011B1 -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데이터포맷을 결정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데이터포맷을 결정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1011B1
KR100801011B1 KR1020060119905A KR20060119905A KR100801011B1 KR 100801011 B1 KR100801011 B1 KR 100801011B1 KR 1020060119905 A KR1020060119905 A KR 1020060119905A KR 20060119905 A KR20060119905 A KR 20060119905A KR 100801011 B1 KR100801011 B1 KR 100801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ctor
zone
logical block
data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우
송재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9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1011B1/ko
Priority to US11/943,044 priority patent/US2008013015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데이터 포맷을 결정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데이터 포맷을 결정하는 방법은, 디스크(Disk)의 최내주와 최외주 사이의 실질적으로 가운데 데이터 존 (Data Zone)을 기준으로 내주에 있는 데이터 존으로부터 디스크의 외주의 데이터 존까지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해 나가는 제1 데이터 포맷(Data format)에 따라, 디스크의 어느 하나의 데이터 존에 존재하는 섹터(Sector)에는 데이터 존보다 내측에 존재하는 어느 하나의 데이터 존에 존재하는 섹터의 논리블락주소(Logical Block Address ; LBA)보다 더 큰 논리블락주소를 부여하는 논리블락주소 부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성을 갖는 전자기기에 탑재되어 사용되는 경우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강하여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제공할 수 있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데이터 포맷, LBA

Description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데이터 포맷을 결정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Hard disk drive, method for deciding data format of hard disk driv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recording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구동 회로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디스크에 대한 일측에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10 : 디스크
20 : 스핀들 모터 22 : 스핀들 모터 드라이버
30 : 헤드 스택 어셈블리 31 : 자기 헤드
33 : 액츄에이터 암 35 : 보이스 코일 모터
36 : 보이스 코일 모터 드라이버 71 : 프리 엠프
70 : 콘트롤러 72 : 리드/라이트 채널
본 발명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데이터 포맷을 결정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성을 갖는 전자기기에 탑재되어 사용되는 경우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강하여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데이터 포맷을 결정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 HDD)는 전자장치와 기계장치로 이루어져 디지털 전자 펄스(pulse)를 보다 영구적인 자기장으로 바꾸어서 데이터(Data)를 기록 및 재생해 주는 방식의 기억장치로서, 대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액세스(access)할 수 있기 때문에 컴퓨터 시스템의 보조 기억 장치 등으로써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사용자의 데이터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내의 디스크(Disk) 상에 기록되거나 재생된다. 이러한 디스크는, 디스크의 중심을 동심(同心)으로 하는 수십 내지 수백 개의 트랙(Track)들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트랙은 수많은 섹터(Sector)로 분할된다. 섹터는 데이터 기록 또는 재생하는 작업의 최소 단위이며, 섹터 각각은 일반적으로 512바이트(Bytes)의 기록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동일 디스크 상의 트랙들은 원주 방향의 길이가 서로 다르다. 즉, 디스크의 외측에 위치하는 트랙일수록 긴 원주를 갖게 된다. 이러한 기하학적 특성에 따라 디스크의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보편적으로 디스크의 외측에 위치하는 트랙이 디스크의 내측에 위치하는 트랙보다 더 많은 섹터를 갖도록 한다. 하지만, 모든 트랙들이 서로 다른 개수의 섹터를 갖는 것은 아니며, 인접한 몇 개의 트랙들은 각각 동일한 개수의 섹터를 가지는데, 이러한 트랙들을 묶어 존(Zone)이라 한다. 이처럼, 디스크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긴 트랙일수록 많은 섹터를 가지되, 인접한 몇 개의 트랙들은 동일한 개수의 섹터를 가지는 디스크 구조를 존 비트 레코딩(Zoned Bit Recording ; ZBR)이라 한다.
이러한 존 비트 레코딩 방식에 따라 디스크 상에 데이터를 기록하면, 디스크의 외측에 위치하는 존을 읽을 때 데이터 전송 속도(Data transfer rate)가 빨라지게 된다. 이는, 디스크의 외측에 위치하는 존이 내측에 위치하는 존보다 더 많은 섹터를 가지는 반면 디스크의 각속도(angular velocity)는 디스크의 어느 존이 읽혀지는가에 관계없이 일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존 비트 레코딩 방식에 따르는 대부분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서는, 디스크의 성능(performance)을 고려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른 디스크의 외측에 위치하는 존들부터 데이터를 기록하고 이후 순차적으로 디스크의 내측에 위치하는 존들을 기록해 나가게 된다.
한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최근 들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사용영역이 확대되어 이동성을 갖는 가전제품(Consumer Electronics ; CE)이나 차량용 네이게이터(Car Navigator) 내에 탑재되기도 한다. 이러한 이동성을 지니는 전자기기에 탑재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성능뿐만 아니라 작동 충격(Operating shock) 및 진동(vibration)에 대한 안전성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그런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내의 디스크는, 디스크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에 위치한 부분일수록 작동 충격 및 진동에 대한 안전성이 취약해지는 특성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디스크의 바깥 영역에서부터 안쪽 영역으로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식이 일률적으로 적용되면, 이동성을 갖는 전자기기에 탑재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서는 작동 충격 및 진동에 불리한 특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데이터를 디스크의 바깥 영역에서부터 안쪽 영역으로 일률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반드시 바람직한 것인지에 관하여 재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성을 갖는 전자기기에 탑재되어 사용되는 경우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강하여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데이터 포맷을 결정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사용 환경에 적합하게 데이터 포맷을 선택하여, 외부 충격이나 진동이 적은 환경에서는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반면 외부 충격이나 진동이 많은 환경에서는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강하여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데이터 포맷을 결정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크(Disk)의 최내주와 최외주 사이의 실질적으로 가운데 데이터 존 (Data Zone)을 기준으로 내주에 있는 데이터 존으로부터 디스크의 외주의 데이터 존까지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해 나가는 제1 데이터 포맷(Data format)에 따라, 디스크의 어느 하나의 데이터 존에 존재하는 섹터(Sector)에는 데이터 존보다 내측에 존재하는 어느 하나의 데이터 존에 존재하는 섹터의 논리블락주소(Logical Block Address ; LBA)보다 더 큰 논리블락주소를 부여하는 논리블락주소 부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데이터 포맷을 결정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논리블락주소 부여 단계는, 디스크의 동일 실린더(Cylinder) 상에 존재하는 섹터에는, 섹터의 헤드 넘버(Head Number)가 작을수록 작은 논리블락주소를 부여하는 단계일 수 있다.
그리고, 논리블락주소 부여 단계는, 디스크의 동일 데이터 존에 존재하는 섹터에는, 섹터의 실린더 넘버(Cylinder Number)가 작을수록 작은 논리블락주소를 부여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논리블락주소 부여 단계는, 디스크의 동일 트랙(Track) 상에 존재하는 섹터에는, 섹터의 섹터넘버(Sector Number)가 작을수록 작은 논리블락주소를 부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디스크(Disk)의 최내주와 최외주 사이의 실질적으로 가운데 데 이터 존 (Data Zone)을 기준으로 내주에 있는 데이터 존으로부터 디스크의 외주의 데이터 존까지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해 나가는 제1 데이터 포맷(Data format) 및 디스크의 최내주와 최외주 사이의 실질적으로 가운데 데이터 존 (Data Zone)을 기준으로 외주에 있는 데이터 존으로부터 디스크의 내주의 데이터 존까지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해 나가는 제2 데이터 포맷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하는 데이터 포맷 선택 단계; 및 제1 데이터 포맷이 선택된 경우, 디스크의 어느 하나의 데이터 존에 존재하는 섹터(Sector)에는 데이터 존보다 내측에 존재하는 어느 하나의 데이터 존에 존재하는 섹터의 논리블락주소(Logical Block Address ; LBA)보다 더 큰 논리블락주소를 부여하며, 제2 데이터 포맷이 선택된 경우, 디스크의 어느 하나의 데이터 존에 존재하는 섹터에는 데이터 존보다 외측에 존재하는 어느 하나의 데이터 존에 존재하는 섹터의 논리블락주소보다 더 큰 논리블락주소를 부여하는 논리블락주소 부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데이터 포맷 결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스크; 및 디스크(Disk)의 최내주와 최외주 사이의 실질적으로 가운데 데이터 존 (Data Zone)을 기준으로 내주에 있는 데이터 존으로부터 디스크의 외주의 데이터 존까지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해 나가는 제1 데이터 포맷(Data format)에 따라, 디스크의 어느 하나의 데이터 존에 존재하는 섹터(Sector)에는 데이터 존보다 내측에 존재하는 어느 하나의 데이터 존에 존재하는 섹터의 논리블락주소(Logical Block Address ; LBA)보다 더 큰 논리블락주소를 부여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콘트롤러는, 디스크의 동일 실린더(Cylinder) 상에 존재하는 섹터에는, 섹터의 헤드 넘버(Head Number)가 작을수록 작은 논리블락주소를 부여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콘트롤러는, 디스크의 동일 데이터 존에 존재하는 섹터에는, 섹터의 실린더 넘버(Cylinder Number)가 작을수록 작은 논리블락주소를 부여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콘트롤러는, 디스크의 동일 트랙(Track) 상에 존재하는 섹터에는, 섹터의 섹터넘버(Sector Number)가 작을수록 작은 논리블락주소를 부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스크; 및 디스크(Disk)의 최내주와 최외주 사이의 실질적으로 가운데 데이터 존 (Data Zone)을 기준으로 내주에 있는 데이터 존으로부터 디스크의 외주의 데이터 존까지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해 나가는 제1 데이터 포맷(Data format) 및 디스크의 최내주와 최외주 사이의 실질적으로 가운데 데이터 존 (Data Zone)을 기준으로 외주에 있는 데이터 존으로부터 디스크의 내주의 데이터 존까지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해 나가는 제2 데이터 포맷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하며, 제1 데이터 포맷이 선택된 경우, 디스크의 어느 하나의 데이터 존에 존재하는 섹터(Sector)에는 데이터 존보다 내측에 존재하는 어느 하나의 데이터 존에 존재하는 섹터의 논리블락주 소(Logical Block Address ; LBA)보다 더 큰 논리블락주소를 부여하며, 제2 데이터 포맷이 선택된 경우, 디스크의 어느 하나의 데이터 존에 존재하는 섹터에는 데이터 존보다 외측에 존재하는 어느 하나의 데이터 존에 존재하는 섹터의 논리블락주소보다 더 큰 논리블락주소를 부여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예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구동 회로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는, 데이터를 기록 저장하는 디스크(10, Disk)와, 디스크(10)를 지지하여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20, Spindle Motor)와, 디스크(10) 상의 데이터를 독출하는 헤드 스택 어셈블리(30, HSA, Head Stack Assembly)와, 이들 구성 부품들이 조립되는 베이스(40, Base)와, 베이스(40)의 하부에 결합되며 대부분의 회로 부품들을 PCB(Printed Circuit Board) 상에 장착하여 각종 부품들을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조립체(50, PCB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와, 베이스(40)의 상부를 덮는 커버(60, Cover)를 구비한다.
디스크(10)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저장되는 장소이며, 일반적으로 복수 개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디스크(11)와 하측 디스크(15), 2개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10)는 양쪽면 모두 데이터의 저장 공간으로 활용된다. 즉, 상측 디스크(11)의 상면(12) 및 하면(13), 하측 디스크(15)의 상면(16) 및 하면(17)이 모두 데이터의 저장 공간으로 활용되게 된다. 이들 디스크(10)의 네 개의 기록면(12, 13, 15, 16)은 각각 동일한 방법으로 구획되는데, 이에 대하여 상측 디스크(11)의 상면(12)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측 디스크(11)의 상면(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0)의 회전축(C)을 동심으로 하는 5개의 존(Zone, 12a 내지 12e)을 갖는다. 참고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의 디스크(10) 상에는 메인터넌스 실린더(Maintenance Cylinder)와 같이 데이터의 기록과 무관한 존이 있을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의 5개의 존(12a 내지 12e)은 편의상 모두 데이터의 기록과 관련된 존(이하, 데이터 존이라 함)으로 간주하기로 한다. 이들 5개의 데이터 존(12a 내지 12e)이 모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데이터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들 5개의 데이터 존(12a 내지 12e) 각각은, 다시 회전축(C)을 동심으로 하는 복수 개의 트랙들로 구획되고, 이들 각각의 트랙들은 다시 복수 개의 섹터로 분할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디스크(10)는 전술한 존 비트 레코딩(Zoned Bit Recording) 방식에 의해 구획되어, 5개의 데이터 존(12a 내지 12e)은 회전축(C)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것일수록 데이터 존(12a 내지 12e) 내의 하나의 트랙에 속하는 섹터의 개수가 많도록 구획된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속도는 최외주에 위치하는 데이터 존(12e)이 가장 빠르고 최내주에 위치하는 데이터 존(12a)이 가장 느리게 된다.
한편, 디스크(10) 상의 모든 섹터에는, 헤드 넘버(Head Number), 실린더 넘버(Cylinder Number) 및 섹터 넘버(Sector Number)가 할당된다.
디스크(10)의 동일한 기록면 상에 존재하는 섹터들은 동일한 헤드 넘버를 갖게 되며 위쪽 기록면에서부터 시작하여 아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1'씩 증가한 헤드 넘버가 할당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네 개의 기록면(12, 13, 16, 17)에 속하는 각각의 섹터에는, 순차적으로 0, 1, 2, 3의 헤드 넘버가 할당된다.
그리고, 회전축(C)으로부터 등거리에 있는 트랙의 집합을 실린더(Cylinder)라고 하며, 동일 실린더 상의 섹터들은 디스크(10)의 어느 기록면에 있는지에 무관하게 동일한 실린더 넘버를 갖는다. 그리고, 실린더 넘버는 디스크(10)의 최외주의 트랙 상에 존재하는 섹터들이 가장 작은 실린더 넘버 '0'을 가지고, 안쪽으로 진행할수록 '1'씩 증가하여, 최내주의 트랙 상에 존재하는 섹터들은 가장 큰 실린더 넘버를 가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5개의 데이터 존(12a 내지 12e) 각각이 10개의 트랙들로 구획된 경우라면 디스크(10)는 총 50개의 실린더를 가지게 되므로, 실린더 넘버는 '0' 부터 '49'까지 존재하게 된다.
또한, 하나의 트랙 상에 존재하는 섹터들 중 어느 하나의 섹터가 섹터 넘버 '0'을 가지고, 나머지 섹터들이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1'씩 증가한 섹터 넘버를 가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어느 하나의 트랙이 100개 의 섹터로 구획되면 그 트랙 상에 존재하는 섹터들은 '0'부터 '99'까지의 섹터 넘버 중 하나를 가지게 된다.
스핀들 모터(20)는, 후술할 바와 같은 콘트롤러(70)의 제어 신호를 받아 디스크(10)를 회전 구동시킨다. 스핀들 모터(20)의 회전 각속도는 3,600rpm, 5,400rpm, 7,200rpm, 10,000rpm 등이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헤드 스택 어셈블리(30)는, 디스크(10) 상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데이터를 독취하기 위한 운반체(Carriage)로서, 디스크(10) 상에 데이터를 쓰거나 기록된 데이터를 읽기 위한 자기 헤드(31, head)와, 자기 헤드(31)가 디스크(10) 상의 데이터를 액세스(Access)할 수 있도록 피봇축(32)을 축심으로 디스크(10) 상을 선회하는 액추에이터 암(33)과, 피봇축(3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액추에이터 암(33)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피봇축 홀더(34)와, 피봇축 홀더(34)에서 액추에이터 암(33)의 반대방향에 마련되어 액추에이터 암(33)을 회전구동시키는 보이스코일모터(35, Voice Coil Motor, VCM)를 구비한다.
자기 헤드(31)는, 디스크(10)의 표면에 형성된 자계(磁界)를 감지하여 디스크(10)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디스크(10)의 표면을 자화(磁化)시킴으로써 디스크(10)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자기 헤드(31)는, 베이스(40)의 상부에 적층된 디스크(10)의 기록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부상하여 배치된다. 자기 헤드(31)는, 디스크(10)의 양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고 이보다 적은 수로 배치될 수도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디스 크(11, 12) 각각의 양면 모두 데이터가 기록되므로, 4개의 기록면(12, 13, 16, 17) 각각에 하나의 자기 헤드(31)가 대응하여 마련된다.
액추에이터 암(33)은, 그 일단이 자기 헤드(31)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피봇축(32)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액추에이터 암(33)은 자기 헤드(31)가 디스크(10)의 표면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길게 연장 형성된다.
피봇축 홀더(34)는, 피봇축(3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피봇축 홀더(34)에 결합된 액추에이터 암(33)을 지지한다.
보이스 코일 모터(35)는, 액추에이터 암(134)을 피봇축(130a)을 축심으로 하여 회전 구동시킨다. 보이스 코일 모터(35)는 보이스 코일(미도시)과 마그네트(미도시)를 구비한다. 보이스 코일 모터(35)는, 마그네트에 의해 발생된 자기력선 및 보이스 코일을 흐르는 전류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력에 의하여,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르는 방향으로 액추에이터 암(33)을 회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이스 코일 모터(35)를 마련하여 액추에이터 암(33)을 회전 구동시키지만, 입력 신호에 따라 소정 각도씩 회전 구동시키는 스테퍼 모터(stepper motor)로 대체할 수도 있다. 다만, 보이스 코일 모터(35)를 사용할 경우, 열에 강하며, 정기적인 포맷이 불필요하고, 신뢰도가 탁월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는, 전술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의 구성들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가 필요하다. 이에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 앰프(71, Pre-AMP)와, 리드/라이트 채널(72, R/W Channel)과, 호스트 인터페이스(73, Host Interface)와, 보이스 코일 모터 드라이버(36, VCM Driver)와, 스핀들 모터 드라이버(22, SPM Driver)와, 콘트롤러(70, Controller)를 구비한다.
프리 앰프(71, Pre-AMP)는, 자기 헤드(31)가 디스크(10)로부터 재생한 데이터 신호를 증폭하거나, 리드/라이트 채널(72)에 의하여 변환된 기록 전류를 증폭하여 자기 헤드(31)를 통하여 디스크(10)에 기록시킨다.
리드/라이트 채널(72, R/W Channel)은, 디스크(10)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모드(Data Read Mode)에서는, 자기 헤드(31)에 의해 디스크(10)로부터 재생되어 프리 앰프(71)에 의하여 증폭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여 콘트롤러(70)에 입력한다. 그리고, 리드/라이트 채널(72, R/W Channel)은, 디스크(10)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모드(Data Write Mode)에서는, 호스트 인터페이스(73)에 의하여 수신된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를 콘트롤러(70)를 통하여 입력받아 기록에 용이한 2진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프리 앰프(71)로 출력한다.
여기서, 호스트 기기(2)는, 컴퓨터의 CPU, I/O 콘트롤러와 같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를 포함한 컴퓨터 전체를 전반적으로 제어 및 작동시키는 요소들을 총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호스트 인터페이스(73, Host Interface)는, 데이터 재생 모드에서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를 호스트 기기(2)로 전송하며, 데이터 기록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호스트 기기(2)로부터 수신하여 콘트롤러(70)에 출력한다.
보이스 코일 모터 드라이버(36, VCM Driver)는, 콘트롤러(70)의 제어 신호를 받아서 보이스 코일 모터(35)에 인가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한다.
스핀들 모터 드라이버(22, SPM Driver)는, 콘트롤러(70)의 제어 신호를 받아서 스핀들 모터(20)에 인가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한다.
콘트롤러(70, Controller)는, 데이터 기록 모드에서는 호스트 기기(2)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를 호스트 인터페이스(73)를 통하여 수신받아 이를 리드/라이트 채널(72)로 출력하며, 데이터 재생 모드에서는 자기 헤드(31)에 의해 재생되어 프리 앰프(71)에 의하여 증폭된 데이터 신호를 리드/라이트 채널(72)이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면 이를 입력받아 호스트 인터페이스(73)로 출력한다.
그리고, 콘트롤러(70, Controller)는, 자기 헤드(31)가 디스크(10) 상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보이스 코일 모터(35)를 제어하며, 디스크(1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도록 스핀들 모터(20)를 제어한다.
이러한 콘트롤러(70, Controller)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 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 Processor), 마이크로 콘트롤러(Micro Controller) 등이 될 수 있으며, 후술할 바와 같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의 데이터 포맷을 결정하는 방법은 소프트웨어(Software) 또는 펌웨어(Firmware)의 형태로 콘트롤러(7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의 데이터 포맷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2의 디스크(10)에 대한 일측에서의 부분 단면도인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의 데이터 포맷을 결정하는 방법은,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단계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데이터 포맷(Date format)이 선택 되도록 하는 단계이고, 두 번째 단계는, 선택된 데이터 포맷에 따라 디스크(10) 상의 섹터들 각각에 논리블락주소(Logical Block Address ; LBA)를 부여하는 단계이다.
먼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데이터 포맷이 선택되도록 하는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데이터 포맷은, 디스크(10) 상의 수 많은 섹터들로 이루어진 데이터 영역을 어떤 순서로 채워나갈지에 대한 계획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는 사용자로 하여금 두 가지 데이터 포맷 즉, 제1 데이터 포맷 및 제2 데이터 포맷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데이터 포맷과 제2 데이터 포맷은, 디스크(10) 상의 외주에 있는 데이터 존부터 기록해 갈 것인지 아니면 디스크(10) 상의 내주에 있는 데이터 존부터 기록해 갈 것인지에 따라 구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크(10) 상의 내주에 있는 데이터 존부터 기록해 가는 데이터 포맷을 제1 데이터 포맷으로, 디스크(10) 상의 외주에 있는 데이터 존부터 기록해 가는 데이터 포맷을 제2 데이터 포맷으로 부르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0)의 4개의 기록면 각각은 5개의 데이터 존을 갖는다. 이들 각각의 데이터 존은, 전술했듯이 복수 개의 트랙으로 구획되고 또한 각각의 트랙은 복수 개의 섹터로 분할되어 있다.
제1 데이터 포맷에 따르는 경우, 디스크(10) 상의 데이터 존들 중에서 최내주에 위치하는 것들부터 기록해 나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크(10)의 최내주에 위치하는 데이터 존은 디스크(10)의 기록면 각각에 하나씩 있게 된다. 즉,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존1(12a), 존6(13a), 존11(16a) 및 존16(17a)이 디스크(10)의 최내주의 데이터 존에 해당한다. 이들 4개의 데이터 존에 데이터를 기록하여 모두 채워지면 다음으로, 이들 데이터 존들에 인접한 존2(12b), 존7(13b), 존12(16b) 및 존17(17b)에 데이터가 기록될 것이다. 그리하여, 최종적으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데이터 존들은 디스크(10)의 최외주에 위치하는 존5(12e) 존10(13e), 존15(16e) 및 존20(17e)이 될 것이다.
그런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에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하는 통상의 작동은 섹터 단위로 실행되므로, 데이터 포맷은 최종적으로는 '존' 단위가 아닌 '섹터' 단위에서 데이터의 기록 순서가 정해져야 한다. 따라서, 제1 데이터 포맷은 좀 더 구체화되어야 한다. 즉, 디스크(10)의 회전축(C)으로부터 등거리에 있는 데이터 존들 간의 기록 순서가 정해져야 하고, 동일 데이터 존 내의 트랙들의 기록 순서가 정해져야 하며, 최종적으로 동일 트랙 상의 섹터들의 기록 순서가 정해져야 한다.
디스크(10)의 회전축(C)으로부터 등거리에 있는 데이터 존들 간의 기록 순서는 여러 가지 조합이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존들 내의 섹터들의 헤드 넘버가 작은 데이터 존부터 먼저 기록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 넘버는 최상위에 위치하는 디스크(10)의 기록면(12)에 '0'이 할당되고 아래쪽으로 갈수록 '1'씩 증가한다. 디스크(10)의 최내주에 위치하는 데이터 존들을 예로 들면, 존1(12a)에는 헤드 넘버 '0', 존6(13a)에는 헤드 넘버 '1', 존11(16a)에는 헤드 넘버 '2', 존16(17a)에는 헤드 넘버 '3'이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4개의 데이터 존들 간의 기록 순서는, 헤드 넘버가 증가하는 순서대로, 존1(12a), 존6(13a), 존11(16a), 존16(17a)이 될 것이다.
동일 데이터 존 내의 트랙들의 기록 순서도 여러 가지 조합이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실린더 넘버가 작은 트랙부터 먼저 기록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린더 넘버는 디스크(10)의 최외주의 트랙에 '0'이 할당되고 안쪽 트랙으로 갈수록 '1'씩 증가한다. 따라서, 동일 데이터 존 내의 트랙들의 기록 순서는 바깥에서 안쪽이 될 것이다.
동일 트랙 상의 섹터들의 기록 순서도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조합이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트랙 상의 섹터들에 할당된 섹터 넘버가 작은 것에서부터 큰 순서로 기록되도록 한다.
제2 데이터 포맷에 따르는 경우, 디스크(10) 상의 데이터 존들 중에서 최외주에 위치하는 것들부터 기록해 나가게 된다. 존5(12e) 존10(13e), 존15(16e) 및 존20(17e)이 최외주의 데이터 존에 해당하며 이들 4개의 데이터 존에 데이터를 기록하여 모두 채워지면, 다음으로 이들 데이터 존들에 인접한 존4(12d), 존9(13d), 존14(16d) 및 존19(17d)에 데이터가 기록될 것이다. 그리하여, 최종적으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데이터 존들은 디스크(10)의 최내주에 위치하는 존1(12a), 존6(13a), 존11(16a) 및 존16(17a)이 될 것이다.
그리고, 제2 데이터 포맷도 최종적으로는 '존' 단위가 아닌 '섹터' 단위로 데이터의 기록 순서가 정해져야 한다. 따라서, 제1 데이터 포맷과 마찬가지로, 디스크(10)의 회전축(C)으로부터 등거리에 있는 데이터 존들 간의 기록 순서가 정해 져야 하며, 동일 데이터 존 내의 트랙들의 기록 순서가 정해져야 하고, 최종적으로 동일 트랙 상의 섹터들의 기록 순서가 정해져야 한다. 이러한 세 가지의 기록 순서는 전술한 제1 데이터 포맷에서와 동일하다.
이상 설명한 제1 데이터 포맷과 제2 데이터 포맷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데이터 포맷을 선택하게 되면 반대로 사용자의 데이터는 디스크(10)의 내주에 위치한 데이터 존들부터 채워지게 되어 데이터 전송 속도는 느리지만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강한 특성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제2 데이터 포맷을 선택하게 되면 사용자의 데이터가 디스크(10)의 외주에 위치하는 데이터 존들부터 채워지게 되어 제 데이터 포맷이 선택된 경우에 비해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지만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취약하게 된다. 따라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의 사용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가 탑재되는 시스템이 좋은 성능을 요구하는지 아니면 외부 충격 또는 진동에 강한 특성을 요구하는지에 따라 데이터 포맷을 취사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데이터 포맷의 선택은 1회에 한정하여 가능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 하면, 데이터 포맷을 선택하여 일정량의 데이터의 기록한 후 다시 데이터 포맷을 다른 것으로 변경하게 되면 데이터를 억세스(access)하는 과정에서의 오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두 번째 단계 즉, 선택된 데이터 포맷에 따라 디스크(10) 상의 섹터들 각각에 논리블락주소(Logical Block Address ; LBA)를 지정하는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논리블락주소(LBA)를 이와 대응되는 개념인 물리주소(Cylinder Head Sector, CHS)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논리블록주소(LBA)와 물리주소(CHS)는 모두,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의 디스크(10)의 섹터에 대하여 주소를 부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리주소(CHS)는, 특정 섹터에 대하여 실린더, 헤드 및 섹터에 대한 3차원적인 정보 즉, 예를 들어서 제25 실린더에 속하며, 제2 자기 헤드에 매칭되는 제98번째의 섹터와 같은 방식으로 해당 섹터의 주소를 부여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물리주소(CHS)는 해당 섹터에 대하여 3차원 정보로 주소 지정을 해야 하기 때문에 호스트 기기(2)가 지정할 수 있는 물리주소(CHS) 파라미터(parameter)에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 논리블록주소(LBA) 방식으로서, 논리블록주소(LBA)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의 디스크(10)의 3차원적인 정보가 아니라, 디스크(110)의 모든 섹터들을 순차적으로 0번부터 N번까지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해당 섹터의 주소를 부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수 내지 수십 기가 바이트(GB) 단위의 섹터 주소 지정이 가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호스트 기기(2)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 사이에서는 논리블록주소(LBA)의 정보가 송수신되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의 콘트롤러(70)에 포함된 펌웨어(Firmware)에 의하여 논리블록주소(LBA)가 물리주소(CHS)로 번역되어, 자기 헤드(31)가 그 물리주소(CHS) 정보에 따라 해당 섹터를 찾아가서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재생하게 된다.
그리고, 호스트 기기(2)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에게 데이터의 기록을 명령할 때, 해당 데이터가 기록될 섹터를 함께 지정한다. 이 때, 데이터가 기록될 섹터는 전술한 논리블록주소(LBA)의 값이 작은 섹터부터 순차적으로 지정된다. 따라 서, 디스크(10) 상의 섹터들은 선택된 데이터 포맷에 의해 정해지는 데이터 기록 순서에 따라 논리블록주소(LBA)의 값을 부여받도록 하여야 한다. 이에 대하여, 전술한 데이터 포맷 선택 단계에서 제1 데이터 포맷이 선택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데이터 포맷이 선택된 경우, 디스크(10)의 최내주에 위치하는 데이터 존들 즉, 존1(12a), 존6(13a), 존11(16a) 및 존16(17a)이 우선적으로 기록되어져야 한다. 그리고, 이들 데이터 존들은 또한 헤드 넘버가 작은 것부터 기록되어지므로, 존1(12a), 존6(13a), 존11(16a), 존16(17a) 순으로 기록되어져야 한다. 이러한 기록 순서대로 데이터가 기록되도록 하기 위해, 이들 데이터 존들에 존재하는 섹터들에 논리블록주소(LBA)를 부여하는 순서도 존1(12a), 존6(13a), 존11(16a), 존16(17a)의 순서에 따르게 된다. 다시 말해, 이들 4개의 데이터 존들 중에서 존1(12a)에 속하는 섹터들이 가장 작은 논리블록주소(LBA)를 부여받고 존16(17a)에 속하는 섹터들이 가장 큰 논리블록주소(LBA)를 부여받게 된다.
또한 제1 데이터 포맷이 선택된 경우, 각각의 데이터 존 내에 속하는 섹터들 간의 데이터 기록 순서에 따라 각각의 섹터에 논리블록주소(LBA)를 부여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데이터 포맷이 선택된 경우, 동일 데이터 존 내에 존재하는 섹터들 중 실린더 넘버가 작은 트랙 상에 존재하는 섹터들부터 실린더 넘버가 큰 트랙 상에 존재하는 섹터들 순으로 기록되며, 동일 트랙 상에서는 섹터 넘버가 작은 섹터부터 기록되어 섹터 넘버가 큰 순으로 기록되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제1 데이터 포맷에 따라 데이터가 디스크(10) 상에 기록되도록 하기 위해, 디스크(10) 상에 존재하는 임의의 데이터 존에 속하는 섹터들에 논리블록주소(LBA)를 부여할 때, 실린더 넘버가 작은 트랙에 속하는 섹터들에게 작은 값의 논리블록주소(LBA)가 부여되도록 하며, 동일 트랙 내의 섹터들에는 섹터 넘버가 작을수록 작은 값의 논리블록주소(LBA)를 부여한다.
참고로 제2 데이터 포맷이 선택된 경우는, 디스크(10)의 외주에 위치하는 데이터 존일수록 그보다 상대적으로 디스크(10)의 내주에 위치하는 데이터 존보다 작은 논리블록주소(LBA)를 부여받는 점에서 다르지만, 동일 데이터 존에 속하는 섹터들 간의 논리블록주소(LBA)를 부여받는 순서는 제1 데이터 포맷이 선택된 경우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데이터 포맷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데이터 포맷에 따라 디스크(10) 상의 섹터들 각각에 논리블락주소(LBA)를 지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의 데이터 포맷을 결정하는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가 사용될 환경에 적합하게 데이터 포맷을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가 이동성을 갖는 전자기기에 탑재되어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는 디스크(10)의 데이터 영역의 최내주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데이터를 저장해 나가는 제1 데이터 포맷을 선택하여 성능 면에서는 손해를 보더라도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강한 특성을 갖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반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가 외부 충격이나 진동이 무시될 수 있는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라면, 디스크(10)의 데이터 영역의 최외주로부터 내주 방향으로 데이터를 저장해 나가는 제2 데이터 포맷을 선택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빨라짐으로써 성능이 향상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성을 갖는 전자기기에 탑재되어 사용되는 경우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강하여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사용 환경에 적합하게 데이터 포맷이 선택하여, 외부 충격이나 진동이 적은 환경에서는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반면 외부 충격이나 진동이 많은 환경에서는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강하여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디스크(Disk)의 최내주와 최외주 사이의 실질적으로 가운데 데이터 존 (Data Zone)을 기준으로 내주에 있는 데이터 존으로부터 상기 디스크의 외주의 데이터 존까지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해 나가는 제1 데이터 포맷(Data format)에 따라, 상기 디스크의 어느 하나의 데이터 존에 존재하는 섹터(Sector)에는 상기 데이터 존보다 내측에 존재하는 어느 하나의 데이터 존에 존재하는 섹터의 논리블락주소(Logical Block Address ; LBA)보다 더 큰 논리블락주소를 부여하는 논리블락주소 부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데이터 포맷을 결정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블락주소 부여 단계는,
    상기 디스크의 동일 실린더(Cylinder) 상에 존재하는 섹터에는, 상기 섹터의 헤드 넘버(Head Number)가 작을수록 작은 논리블락주소를 부여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데이터 포맷을 결정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블락주소 부여 단계는,
    상기 디스크의 동일 데이터 존에 존재하는 섹터에는, 상기 섹터의 실린더 넘 버(Cylinder Number)가 작을수록 작은 논리블락주소를 부여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데이터 포맷을 결정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블락주소 부여 단계는,
    상기 디스크의 동일 트랙(Track) 상에 존재하는 섹터에는, 상기 섹터의 섹터넘버(Sector Number)가 작을수록 작은 논리블락주소를 부여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데이터 포맷을 결정하는 방법.
  5. 디스크(Disk)의 최내주와 최외주 사이의 실질적으로 가운데 데이터 존 (Data Zone)을 기준으로 내주에 있는 데이터 존으로부터 상기 디스크의 외주의 데이터 존까지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해 나가는 제1 데이터 포맷(Data format) 및 상기 디스크의 최내주와 최외주 사이의 실질적으로 가운데 데이터 존 (Data Zone)을 기준으로 외주에 있는 데이터 존으로부터 상기 디스크의 내주의 데이터 존까지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해 나가는 제2 데이터 포맷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하는 데이터 포맷 선택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 포맷이 선택된 경우, 상기 디스크의 어느 하나의 데이터 존에 존재하는 섹터(Sector)에는 상기 데이터 존보다 내측에 존재하는 어느 하나의 데이터 존에 존재하는 섹터의 논리블락주소(Logical Block Address ; LBA)보다 더 큰 논리블락주소를 부여하며, 상기 제2 데이터 포맷이 선택된 경우, 상기 디스크의 어느 하나의 데이터 존에 존재하는 섹터에는 상기 데이터 존보다 외측에 존재하는 어느 하나의 데이터 존에 존재하는 섹터의 논리블락주소보다 더 큰 논리블락주소를 부여하는 논리블락주소 부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데이터 포맷 결정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데이터 포맷을 결정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7.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상기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스크; 및
    상기 디스크(Disk)의 최내주와 최외주 사이의 실질적으로 가운데 데이터 존 (Data Zone)을 기준으로 내주에 있는 데이터 존으로부터 상기 디스크의 외주의 데이터 존까지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해 나가는 제1 데이터 포맷(Data format)에 따라, 상기 디스크의 어느 하나의 데이터 존에 존재하는 섹터(Sector)에는 상기 데이터 존보다 내측에 존재하는 어느 하나의 데이터 존에 존재하는 섹터의 논리블락주소(Logical Block Address ; LBA)보다 더 큰 논리블락주소를 부여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디스크의 동일 실린더(Cylinder) 상에 존재하는 섹터에는, 상기 섹터의 헤드 넘버(Head Number)가 작을수록 작은 논리블락주소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디스크의 동일 데이터 존에 존재하는 섹터에는, 상기 섹터의 실린더 넘버(Cylinder Number)가 작을수록 작은 논리블락주소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디스크의 동일 트랙(Track) 상에 존재하는 섹터에는, 상기 섹터의 섹터넘버(Sector Number)가 작을수록 작은 논리블락주소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11.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상기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스크; 및
    상기 디스크(Disk)의 최내주와 최외주 사이의 실질적으로 가운데 데이터 존 (Data Zone)을 기준으로 내주에 있는 데이터 존으로부터 상기 디스크의 외주의 데이터 존까지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해 나가는 제1 데이터 포맷(Data format) 및 상기 디스크의 최내주와 최외주 사이의 실질적으로 가운데 데이터 존 (Data Zone) 을 기준으로 외주에 있는 데이터 존으로부터 상기 디스크의 내주의 데이터 존까지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해 나가는 제2 데이터 포맷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하며, 상기 제1 데이터 포맷이 선택된 경우, 상기 디스크의 어느 하나의 데이터 존에 존재하는 섹터(Sector)에는 상기 데이터 존보다 내측에 존재하는 어느 하나의 데이터 존에 존재하는 섹터의 논리블락주소(Logical Block Address ; LBA)보다 더 큰 논리블락주소를 부여하며, 상기 제2 데이터 포맷이 선택된 경우, 상기 디스크의 어느 하나의 데이터 존에 존재하는 섹터에는 상기 데이터 존보다 외측에 존재하는 어느 하나의 데이터 존에 존재하는 섹터의 논리블락주소보다 더 큰 논리블락주소를 부여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KR1020060119905A 2006-11-30 2006-11-30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데이터포맷을 결정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801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905A KR100801011B1 (ko) 2006-11-30 2006-11-30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데이터포맷을 결정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US11/943,044 US20080130153A1 (en) 2006-11-30 2007-11-20 Hard disk drive apparatus and method of deciding data format of hard disk driv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905A KR100801011B1 (ko) 2006-11-30 2006-11-30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데이터포맷을 결정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1011B1 true KR100801011B1 (ko) 2008-02-04

Family

ID=39342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905A KR100801011B1 (ko) 2006-11-30 2006-11-30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데이터포맷을 결정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130153A1 (ko)
KR (1) KR1008010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4785B1 (en) * 2008-05-09 2011-08-23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isk drive write verifying unformatted data sectors
US7929234B1 (en) 2009-03-27 2011-04-19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isk drive prioritizing in-the-field defect scanning based on number of write operations in each of a plurality of defect zones
WO2011053316A1 (en) * 2009-10-30 2011-05-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ard disk drive having regions corresponding to different speeds at which storage surface rotates
US8565053B1 (en) 2012-06-19 2013-10-22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reventing media errors due to media scratches
US8908307B1 (en) * 2013-08-23 2014-12-09 Lsi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hard disk drive region based data encod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1616A (en) * 1989-11-21 1992-01-14 Teac Corporation Positioning controller
JPH0520821A (ja) * 1991-07-10 1993-01-29 Canon Electron Inc デイスク装置
JPH06150564A (ja) * 1992-10-30 1994-05-31 Sony Corp 論理ブロックアドレス割り付け方法及び記録再生媒体及びディスク回転型記録再生装置
US6084831A (en) * 1996-12-16 2000-07-04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averaging disk transfer rate including division of disks into disks accessible in a radially inward direction and disks accessible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4219A (en) * 1995-12-14 1998-07-21 Seagate Technology, Inc. Dual servo format for optimum format efficiency and off-track dete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1616A (en) * 1989-11-21 1992-01-14 Teac Corporation Positioning controller
JPH0520821A (ja) * 1991-07-10 1993-01-29 Canon Electron Inc デイスク装置
JPH06150564A (ja) * 1992-10-30 1994-05-31 Sony Corp 論理ブロックアドレス割り付け方法及び記録再生媒体及びディスク回転型記録再生装置
US6084831A (en) * 1996-12-16 2000-07-04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averaging disk transfer rate including division of disks into disks accessible in a radially inward direction and disks accessible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30153A1 (en) 200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4930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어드레스 변환 방법 및 그 방법을사용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US83254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rving data of a storage device
US75674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error rate of track information on a magnetic storage device
KR100871647B1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기록파라미터를 최적화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813192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allocating read and write sequence randomizer
JP2006294163A (ja) ディスク装置
KR100801011B1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데이터포맷을 결정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US10318173B2 (en) Multi-speed data storage device with media cache for high speed writes
KR100773738B1 (ko)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재생적중률 향상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8014245B2 (en) System and method of defect description of a data storage medium
KR101332645B1 (ko)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컨트롤러 및 그를 구비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KR100242290B1 (ko) 트랙제로 위치결정방법 및 그에 따른 트랙맵핑(Mapping)방법
JP2014086116A (ja) 磁気ディスク装置およびデータライト方法
JP2005346816A (ja) データ記憶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293968A (ja) 追記型記憶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235386A (ja) 記録順序再配列方法,ハードディスク装置,及びディスク記録方法
KR20090106126A (ko)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기록검증기능 활성화 온도설정방법
KR100849199B1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rro 보상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기록 매체
US200501660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gnitive pre-fetching
JP2011222015A (ja) ディスク装置及びそのライト方法
KR20100104168A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fod 전압 제어 방법
JP2006155728A (ja) 磁気ディスクにデータセクタをフォーマットする方法および磁気ディスク装置
JP3950680B2 (ja) 記録装置、及びデータ記録方法
CN1254909A (zh) 磁盘驱动装置、磁盘驱动控制装置和磁盘驱动控制系统
Kumar et al. Western digital hard drive color differe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