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0607B1 - 문자 입력 장치 및 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 장치 및 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607B1
KR100800607B1 KR1020060093459A KR20060093459A KR100800607B1 KR 100800607 B1 KR100800607 B1 KR 100800607B1 KR 1020060093459 A KR1020060093459 A KR 1020060093459A KR 20060093459 A KR20060093459 A KR 20060093459A KR 100800607 B1 KR100800607 B1 KR 100800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phabet
input
character
consonants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3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표
Original Assignee
(주)대한기독교서회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기독교서회미디어 filed Critical (주)대한기독교서회미디어
Priority to KR1020060093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6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Abstract

알파벳의 나열에 의해 의미를 갖게 되는 영어와 같은 언어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이 문자 입력 장치는 2개 이상의 알파벳이 함께 할당되어 있는 알파벳 입력키를 포함하며, 해당 입력키가 빠르게 연속해서 2회 입력되는지(연타 입력) 또는 단타로 입력되는지에 따라 2개의 알파벳을 서로 구분하여 특정하며, 알파벳 입력키에 대한 1회의 입력과 특수문자 입력키에 대한 1회의 입력의 조합에 의해 또 다른 알파벳을 특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입력키에 할당된 2개의 알파벳을 연속으로 입력하는 경우에, 두 입력 사이에 우측 방향키(스페이스 키)를 입력하거나 커서가 다음 글자의 입력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기다릴 필요가 없으며, 모든 알파벳을 최대 2회의 키입력으로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문자 입력 속도를 향상사킬 수 있고 장치의 처리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제한된 개수의 입력키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특히 적합하다.

Description

문자 입력 장치 및 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ALPHABET INPUT APPARATUS AND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기능적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키패드 구조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기능적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영문자 입력 방식을 채용한 영문 자판 배열이다.
본 발명은 휴대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리모컨 등의 무선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여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유선전화, TV, 의료기기 등, 알파벳의 나열에 의해 의미를 갖게 되는 언어를 입력할 수 있는 모든 기기에 적용이 가능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와 같이 매우 제한된 개수의 입력키를 갖는 기기에 특히 적합하다.
휴대용 단말기는 12개의 입력키를 갖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각종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 보통이며, 따라서 영어와 같이 다수의 알파벳을 가지며 그 알파벳의 나 열에 의해 의미를 갖게 되는 언어의 알파벳을 제한된 개수의 입력키를 갖는 단말기에서 입력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입력키에 다수의 알파벳을 할당해야 한다.
도 5에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영문 키패드의 입력키 배치도이다. 이 영문 키패드의 각 입력키에는 2개 내지 3개의 알파벳이 할당되어 있으며, 각 입력키에 할당되어 있는 알파벳들은 1회의 키입력마다 순차적이고 반복적으로 특정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컨대 입력키 'abc'가 할당되어 있는 입력키를 1회 누를때마다 'a', 'b', 'c'가 순차적이고 반복적으로 특정된다.
또한, 동일한 입력키에 할당되어 있는 알파벳을 연속으로 입력해야 하는 경우, 예를 들어 'hi'라는 단어를 입력할 경우에는 'ghi'가 할당된 입력키를 2회 누른 다음에 우측 방향키(스페이스 키)를 입력하거나 커서가 다음 글자의 입력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기다렸다가 다시 그 입력키를 3회 눌러야 한다. 따라서 전체적인 문장 입력 속도가 떨어지고 문자 입력 장치의 처리 부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영문 키패드의 경우 영문자 1자를 입력하는 데 최대 3회의 키입력이 필요하므로, 역시 전체적인 문장 입력 속도가 떨어지고 문자 입력 장치의 처리 부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영문 키패드의 경우 'a'를 제외한 모음이 전부 2회 입력 또는 3회 입력에 의해 입력되도록 입력키가 배열되어 있어서 전체적으로 문장 입력 속도가 떨어지고 문자 입력 장치의 처리 부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영문 키패드의 경우 5개의 모음이 불규칙적인 형상으로 키패드 에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판 배열을 숙지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문자 입력 장치에서 동일한 입력키에 할당되어 있는 알파벳을 연속으로 입력해야 하는 경우에도 우측 방향키를 입력하거나 커서가 이동하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도 연속 입력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문자 입력 속도를 향상시키고 문자 입력 장치의 처리 부하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자 입력 장치에서 최대 2회의 키입력으로 영문자를 특정함으로써 문자 입력 속도를 향상시키고 문자 입력 장치의 처리 부하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문자 입력 장치에서 단 1회의 키입력으로 영문자의 모음을 특정함으로써 문자 입력 속도를 향상시키고 문자 입력 장치의 처리 부하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문자 입력 장치에서 모음을 대칭 구조로 키패드상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자판 배열을 숙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다양한 목적들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구성 및 실시예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알파벳의 나열에 의해 의미를 갖게 되는 언어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 입력 장치로서, 상기 알파벳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알파벳 입력키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부와, 상기 복수의 알파벳 입력키에 대한 입력 패턴에 따라 상기 알파벳을 특정하고 특정된 알파벳을 순서대로 조합하는 문자 생성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알파벳 입력키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알파벳 입력키 각각에는 제1알파벳과 제2알파벳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알파벳이 함께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문자 생성 수단은, 상기 제1알파벳과 제2알파벳이 함께 할당되어 있는 알파벳 입력키가 단타 입력되는지 또는 연타 입력되는지에 따라 상기 제1알파벳(단타 입력)과 제2알파벳(연타 입력)을 구분지어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문자 입력부는 상기 알파벳 이외의 특수문자가 할당되어 있는 특수문자 입력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문자 생성 수단은, 상기 알파벳 입력키와 특수문자 입력키의 입력 조합에 의해 상기 제1알파벳과 제2알파벳 이외의 제3알파벳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자 입력 장치는, 상기 문자 조합과정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문자 입력 장치 및 기지국과의 음성/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 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연타' 또는 '연타 입력']
'연타'라 함은 첫 번째 키입력이 있고 나서 동일한 입력키에 대한 두 번째의 연속되는 키입력을 빠르게 발생시키는 동작을 말하는데, 이 때 첫 번째 키입력과 두 번째 기입력 사이의 시간 간격(이를 '연타 시간 간격'이라 한다)은 해당 한글 입력 장치의 성능, 키패드의 크기, 사용자의 특성(연령, 숙련도 등) 등 여러가지 상황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연타 시간 간격은 0.1초~0.5초로 설정하는 것이 적당하다.
0.1초 미만의 연타 시간 간격은 보통의 인간이 의식적인 연타동작을 통해 달성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연타'에 의한 문자 발생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연타 시간 간격이 0.5초를 초과하면 '단타'와의 구별에 걸리는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게 되어 전체적인 문장 입력 속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실험 결과, 중간 정도의 숙련도(컴퓨터 자판기를 통상적으로 이용하지만 특별히 연타 훈련을 하지 않은 수준)를 지니는 보통의 젊은 사람의 경우, 평균적인 연타 시간 간격은 0.13초~0.25초 이었다.
['단타' 또는 '단타 입력']
'단타'라 함은, 첫 번째 키입력 이후에 연타 시간 간격이 초과하고 나서 두 번째 키입력이 발생한 경우에, 당해 첫 번째 키입력 동작('연타'인 경우는 제외)을 일컫는다.
도 1에는 문자 입력부(110), 문자 처리부(120), 표시부(130), 메모리부(140), 및 제어부(150)로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영어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영어 이외에도 알파벳의 나열에 의해 의미를 갖게 되는 언어(예컨대, 독일어, 프랑스어 등)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되는 점은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문자 입력부(110)는 영어 알파벳의 모음(a, e, i, o, u)과 자음을 입력할 수 있는 복수의 알파벳 입력키(1~6, 8, 9)와 특수문자 입력키('*', '#'), 그리고 미지정 입력키 NSK1(7), NSK2(0)로 구성된 키패드(도 2)를 포함한다. 하기의 [표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음과 모음의 종류 및 용어를 정리한 것이다.
[표 1]에서 '2타'는 2회의 키입력(본 실시예에서는 해당 입력키와 특수문자 입력키의 키입력 조합)을 의미하며, '단타'와 '연타'는 전술한 정의에 따른 키입력을 의미한다.
구 분 문 자
자 음 연타 자음 b, f, j, p, v, n, t, z
2타 좌자음 c, g, k, q, w
2타 우자음 d, h, l, r, x
단타 자음 m, s, y
모 음 단타 모음 a, e, i, o, u
즉 모음(a, e, i, o, u)은 1회의 키입력(단타)으로 특정될 수 있도록 5개의 입력키에 하나씩 할당하고, 그 5개의 입력키에는 3개씩의 자음을 각각 더 할당하며, 다른 3개의 입력키에는 2개씩의 자음을 각각 할당함으로써, 총 26개의 영어 알파벳을 할당한다. 또한, 키패드는 특수문자 입력키인 '*'과 '#', 그리고 미지정 입력키 NSK1 및 NSK2를 포함한다. 특수문자 입력키에는 해당 특수문자 자체가 할당되거나, 또는 목적에 따라 다른 기능(예컨대 문자 입력 장치가, 다른 언어, 기호, 숫자 등의 다른 문자의 입력에도 사용될 수 있는 경우에는 문자 입력 모드 전환 기능 등)이 할당될 수 있다. 혹은 영어 알파벳 입력 기능 이외의 다른 기능은 미지정 입력키에 할당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수문자 입력키가 다른 입력키와 조합되어 알파벳을 특정하기 때문에, 특수문자 자체의 특정 이외의 기능은 미지정 입력키 또는 다른 별도의 키패드상에 마련된 입력키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자음이 2개씩 함께 할당된 3개의 알파벳 입력키(도 2에서 4번, 6번, 9번 입력키) 중 하나의 알파벳 입력키(예컨대 '4'번 입력키)에 4개의 자음(예컨대 'm, n, s, t')을 함께 할당하거나, 또는 두 개의 알파벳 입력키에 3개의 자음을 각각 할당하여, 모음이 할당된 알파벳 입력키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해당 자음들을 특정하면, 하나의 입력키를 미지정 입력키로 더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제한된 수의 입력키를 갖는 단말기에서 효율적으로 키패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특수문자 입력키와 조합되어 알파벳을 특정하는 알파벳 입력키는 당해 특수문자 입력키와 인접하여 배치하는 것이 문자 입력 속도의 향상을 위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모음을 키패드상에서 대칭 구조(특히 'T'자 형상)로 배열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자판 배열을 숙지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배열은, 사용자가 양 엄지손가락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동선이 편리하게 해주며, 하나의 엄지손가락으로 입력할 때에는 대칭 구조의 모음 배열이 무게중심점이 되므로 인지성이 향상되어 빠른 입력이 가능해진다. 인지성이 향상되면 인식력이나 기억력도 더 뚜렷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본 발명의 자판 배열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다.
한편, 문자 입력 속도를 높이고 제한된 키패드 공간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2개의 미지정 입력키를 활용하는 다른 방법들도 생각할 수 있다. 즉 입력키에 할당되어 있는 알파벳의 일부를 미지정 입력키에 할당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도 2의 키패드에서, 2타 자음인 n, t, z 중 2개를 7번 입력키와 0번 입력키에 각각 할당하여 단타 자음으로 할당할 수 있다. 또한, 통계적으로 가장 빈번히 등장하는 알파벳에 대해서는 2개의 미지정 입력키에 할당하여 문자 입력 속도를 더 향상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독일어와 같이 26개의 정식 알파벳 이외에 특수 알파벳(모음 위에 2개의 점이 붙은 알파벳)을 갖는 언어의 경우에는, 미지정 입력키에 그 특수 알파벳을 할당하여 본 발명의 특정 방법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알파벳 키패드의 배열 방식은 얼마든지 변형할 수 있으며, 미지정 입력키의 할당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를 구성하여도 좋다.
문자 처리부(120)는 입력키에 대한 키입력 패턴에 따라 알파벳을 특정하는 문자 특정부(120a)와 특정된 알파벳을 순차적으로 조합하는 문자 조합부(120b)를 포함한다. 문자 처리부(120)는 후술하는 메모리부(140) 및 제어부(150)와 협동하여 본 발명의 문자 생성 수단을 구성한다.
문자 특정부(120a)는 문자 입력부(110)로부터의 키입력 패턴에 따라 문자를 특정한다. 본 실시예의 문자 특정부(120a)에 의한 본 발명의 문자 특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모음의 특정 방법
모음(a, e, i, o, u)은 해당 입력키를 1회 입력('단타')하는 것에 의해 특정된다.
2. 자음의 특정 방법
단타 자음(m, s, y)은 해당 입력키를 1회 입력('단타')하는 것에 의해 특정된다. 2타 좌자음(c, g, k, q, w)은 해당 입력키와 특수문자 입력키 '*'를 연속해서 입력함으로서 특정되고, 2타 우자음(d, h, l, r, x)은 해당 입력키와 특수문자 입력키 '#'를 연속해서 입력함으로써 특정되며, 이 때 당해 입력키들의 입력 순서는 바뀌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6개 영어 알파벳의 특정 방법을 정리하면 다음의 [표 2]와 같다. [표 2]에서 '-' 표시 없이 표기된 것(예컨대 '22')은 연타를 의미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지정 입력키에 일부 문자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미지정 입력키를 입력함으로써 해당 일부 문자를 특정할 수도 있다.
모음 및 단타자음 입력순서 연타자음 입력순서 2타자음 입력순서
a 1 b 11 c 1-*
e 2 f 22 g 2-*
i 3 j 33 k 3-*
o 5 n 44 q 5-*
u 8 p 55 w 8-*
m 4 t 66 d 1-#
s 6 v 88 h 2-#
y 9 z 99 l 3-#
r 5-#
x 8-#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26개의 영어 알파벳을 최대 2회의 키입력에 의해 특정할 수 있으므로 문자 입력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입력키에 할당된 2개의 알파벳이 키입력이 행해질 때마다 순차적이고 반복적으로 특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2개의 알파벳이 단타와 연타에 의해 구분되어 특정되기 때문에, 동일한 입력키에 할당되어 있는 2개의 알파벳을 연속해서 입력하는 경우에도 우측 방향키를 입력하거나 커서가 이동하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도 연속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키입력 횟수를 줄임으로써 문자 입력 속도를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입력 동작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jim'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33-3-4'를 순차로 입력하면 'j'와 'i' 사이에 스페이스 키를 입력하거나 커서가 'j'의 위치에서 'i'의 위치로 이동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어진다.
3. 특수문자의 특정 방법
본 실시예에서 특수문자 '*'과 '#'은 2타 좌자음 및 2타 우자음과 조합되어 각 자음을 특정한다. 따라서 특수문자가 2타 좌자음이나 2타 우자음 입력키 이외의 다른 입력키와 조합될 경우에는 당해 다른 입력키와 특수문자가 각각 별개로 특정된다. 또한, 우연히 특수문자 앞 또는 뒤에 2타 좌자음이나 2타 우자음이 입력되는 상황에서, 특수문자와 당해 알파벳을 각각 별개로 특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특수문자의 앞 또는 뒤에 별도의 입력키를 입력하도록 문자 입력 장치(10)를 구성하면 된다. 예를 들어 별도의 스페이스 키 또는 미지정 입력키 '7'과 특수문자 입력키를 함께 입력하면 당해 특수문자가 특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입력키는 도 2에 도시된 키패드와는 별도의 키패드에 배치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특수문자 입력키 자체를 연타 입력함으로써 해당 특수문자 자체를 별개로 특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특수문자가 특정된 경우에, 문자 입력 장치(10)의 제어부(150)는 특수문자 입력키의 할당 내용에 따라, 표시부(130)에 해당 특수문자 자체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또는 특수문자 입력키에 할당된 기능(예컨대 문자 입력 모드 전환 기능 등)이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문자 조합부(120b)는 문자 특정부(120a)에 의해 특정된 문자를 받아들여 순서대로 알파벳을 조합한다. 이때, 특정된 문자가 특수문자 입력키 또는 미지정 입력키에 할당된 특정의 '기능'에 해당될 경우, 문자 조합부(120b)는 제어부(150)와 협동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한다.
표시부(130)는 문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키입력 신호 또는 제어부(150)에 의해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표시장치) 등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10)에서 선택적인 구성요소이다. 표시부(130)는 문자 조합 과정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문자의 조합과정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메모리부(14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문자 특정/조합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문자 입력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등록되어 있고, 제어부(150)는 메모리부(140)에 등록된 프로그램을 처리하여 문자 입력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50)는 상기 문자 특정/조합 방법에 의해 영문자가 생성되어 표시되도록 문자 입력 장치(10)를 제어하고, 나아가 특수문자 입력키 또는 미지정 입력키에 할당된 기능에 따라 해당 기능이 실행되도록 문자 입력 장치(10)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메모리부(140)에 등록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의 동작을 구현하였지만, 알려진 하드웨어 구현 기술에 의해 하드웨어적으로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의 동작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가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30)의 기능적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셀룰러폰(cellullar phone),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A, IMT2000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키패드(310), 처리부(320), 디스플레이(330), 메모리(340), 및 통신부(350)를 포함한다. 통신부(350)는 통신회로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고 음성 통신 및 각종 데이터 통신을 위해 기지국과 통신하며,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10)를 구현하기 위해 기능적으로 상호 협동한다. 즉 문자 입력 장치(10)의 문자 입력부(110), 문자 처리부(120), 표시부(130), 및 메모리부(140)의 기능은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310), 처리부(320), 디스플레이(330), 및 메모리(340)에 의해 구현되며,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부(320)는 문자 입력 장치(10)의 제어부(150)의 기능도 수행한다. 그 밖에 통신부(350)를 제외한 휴대용 단말기(30)의 각 구성요소는 통신부(350)와 관련된 각종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30)에는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 이외에도 데이터 통신 및 음성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안테나, 마이크, 스피커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에 의한 문자 입력 방법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단계(S401)에서는 키입력이 검출되었는지를 판정하고, 키입력이 아직 검출되지 않았으면 반복하여 키입력을 계속 검출하고, 키입력이 검출되었으면 해당 키입력이 발생된 입력키가 모음이 할당된 입력키인지를 판정한다(S403).
단계(S403)에서 모음이 할당된 입력키라고 판정되면 그 키입력이 연타에 의한 것인지를 판정하고(S405), 그렇다면 연타자음(b, f, j, p, v)을 특정하고(S407), 그렇지 않다면 후속 키입력이 발생한 입력키가 특수문자 입력키인지를 판정한다(S409).
단계(S409)에서 후속 입력 문자가 특수문자라고 판정되면, 특수문자 입력키가 '*'인 경우에는 2타 좌자음(c, g, k, q, w)을 특정하고, 특수문자 입력키가 '#'인 경우에는 2타 우자음(d, h, l, r, x)을 특정하며(S411), 단계(S409)에서 후속 입력 문자가 특수문자가 아니라고 판정되면 모음(a, e, i, o, u)과 그 후속 입력 문자를 각각 별개로 연속하여 특정한다(S413).
한편, 단계(S403)에서 모음 이외의 다른 문자가 입력된 것으로 판정되면, 그 다른 문자가 특수문자인지를 판정하고(S415), 그렇다면 그 특수문자에 이어서 입력되는 후속 문자가 모음인지를 판정한다(S417).
단계(S417)에서 후속 문자가 모음이라고 판정되면 단계(S411)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2타 좌자음 또는 2타 우자음을 특정하고(S419), 그렇지 않다면 그 특수문자 자체와 그 후속 문자를 각각 별개로 연속하여 특정한다(S421).
단계(S415)에서 그 다른 문자가 특수문자가 아니라고 판정되면 입력된 문자가 자음인지를 판정하여(S423), 그렇다면 단계(S425)에서 그 자음의 키입력이 연타에 의한 것인지를 판정하여 그렇다면 연타 자음(n, t, z)을 특정하고(S427), 그렇지 않다면 단타 자음(m, s, y)을 특정한다(S429). 마지막으로 단계(S423)에서 입력된 문자가 자음이 아니라고 판정되면 미지정 입력키(본 실시예에서는 '7'과 '0')를 특정한다(S431).
상기 본 발명의 문자 특정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도 2)에 할당된 문자 또는 기능을 모두 특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문자 입력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및 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입력키에 할당된 2개의 문자를 연타와 단타에 의해 서로 구분지어 특정하기 때문에, 첫 문자를 입력한 후에 우측 방향키를 입력하거나 커서가 이동하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도 후속 문자의 연속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최대 2회의 키입력으로 모든 문자를 특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문자의 모음을 1회의 키입력으로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문자 입력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12개의 입력키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등의 키패드에 있어서, 복수의 미지정 입력키에 빈출 알파벳 등을 할당함으로써 한글 입력 속도를 향상시키고 제한된 키패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5개의 모음을 대칭 구조로 키패드상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자판 배열을 숙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12개의 제한된 입력키만을 갖는 문자 입력 장치에서, 문자 입력에 필요한 입력키 이외에 최대 3개의 미지정 입력키를 다른 기능에 활용할 수 있으므로, 키패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알파벳의 나열에 의해 의미를 갖게 되는 언어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 입력 장치로서,
    상기 알파벳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알파벳 입력키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부와,
    상기 복수의 알파벳 입력키에 대한 입력 패턴에 따라 상기 알파벳을 특정하고 특정된 알파벳을 순서대로 조합하는 문자 생성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알파벳은 복수의 자음과 5개의 모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5개의 모음은 상기 문자 입력 장치에서 대칭 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알파벳 입력키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알파벳 입력키 각각에는 제1알파벳과 제2알파벳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알파벳이 함께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문자 생성 수단은, 상기 제1알파벳과 제2알파벳이 함께 할당되어 있는 입력키가 단타 입력되는지 또는 연타 입력되는지에 따라 상기 제1알파벳(단타 입력)과 제2알파벳(연타 입력)을 구분지어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부는 상기 알파벳 이외의 특수문자가 할당되어 있는 특수문자 입력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문자 생성 수단은, 상기 알파벳 입력키와 특수문자 입력키의 입력 조합에 의해 상기 제1알파벳과 제2알파벳 이외의 제3알파벳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5개의 모음은 상기 문자 입력 장치에서 'T'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알파벳이 할당되어 있는 알파벳 입력키는 상기 특수문자 입력키와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알파벳은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알파벳은 자음 또는 모음이고, 상기 제2알파벳은 자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알파벳은 영문 알파벳이며, 상기 복수의 알파벳 입력키는 1개의 모음과 복수 개의 자음이 각각 함께 할당된 복수 개의 모음 할당 알파벳 입력키를 포함하며, 상기 모음은 상기 제1알파벳이고, 상기 복수 개의 자음 중 하나는 상기 제2 알파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알파벳 입력키는 상기 제1알파벳인 제1자음 및 상기 제2알파벳인 제2자음을 포함하는 2 이상의 자음이 함께 할당된 자음 할당 알파벳 입력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알파벳 입력키는 상기 제1알파벳인 제3자음만이 할당된 자음 단독 알파벳 입력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알파벳은 영문 알파벳이며, 상기 복수의 알파벳 입력키는, 1개의 모음과 복수 개의 자음이 각각 함께 할당된 5개의 모음 할당 알파벳 입력키와, 2개 이상의 자음이 함께 할당된 복수 개의 자음 할당 알파벳 입력키와, 2개의 상기 특수문자 입력키로 구성되며, 상기 2개 이상의 자음 중 하나와 상기 모음은 상기 제1알파벳이고, 상기 복수 개의 자음 중 하나와 상기 2개 이상의 자음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알파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모음 할당 알파벳 입력키 각각에 할당된 자음은 3개이고, 상기 자음 할당 알파벳 입력키는 2개씩의 자음이 각각 할당된 3개의 입력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모음 할당 알파벳 입력키 각각에 할당된 자음은 3개이고, 상기 자음 할당 알파벳 입력키는 3개씩의 자음이 각각 할당된 2개의 입력키로 구성되거나 4개의 자음과 2개의 자음이 각각 할당된 2개의 입력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13. 청구항 1과 청구항 2 및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12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생성 수단에서의 문자 조합과정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14. 청구항 13에 기재된 문자 입력 장치 및 기지국과의 음성/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
KR1020060093459A 2006-09-26 2006-09-26 문자 입력 장치 및 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 KR100800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459A KR100800607B1 (ko) 2006-09-26 2006-09-26 문자 입력 장치 및 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459A KR100800607B1 (ko) 2006-09-26 2006-09-26 문자 입력 장치 및 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0607B1 true KR100800607B1 (ko) 2008-02-05

Family

ID=39342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3459A KR100800607B1 (ko) 2006-09-26 2006-09-26 문자 입력 장치 및 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06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692B1 (ko) 2009-10-24 2011-11-22 윤정호 영어 문자 입력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5908A (en) 1984-11-13 1986-04-29 Gte Communication Systems Corporation Data entry and display control circuit
KR20010098105A (ko) * 2000-04-28 2001-11-08 정회선 단축형 키패드를 사용한 영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20059231A (ko) * 2000-12-30 2002-07-12 정장호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60010626A (ko) * 2004-07-28 2006-02-02 신성식 축소형 글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축소형 한글 글자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5908A (en) 1984-11-13 1986-04-29 Gte Communication Systems Corporation Data entry and display control circuit
KR20010098105A (ko) * 2000-04-28 2001-11-08 정회선 단축형 키패드를 사용한 영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20059231A (ko) * 2000-12-30 2002-07-12 정장호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60010626A (ko) * 2004-07-28 2006-02-02 신성식 축소형 글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축소형 한글 글자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692B1 (ko) 2009-10-24 2011-11-22 윤정호 영어 문자 입력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07823A (ko) 터치 패드가 부착된 핸드헬드 전자 장치
CA2248292A1 (en) Keypad
CN102177485A (zh) 数据输入系统
KR2011001807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20070063984A1 (en) Input method for touch screen
JPH06102979A (ja) 片手用キーボード
KR100800607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
CN103677302A (zh) 手机中文快捷拼音输入的方法
CN110806835A (zh) 一种用于触摸屏的英文和拼音拼形输入键盘
JP3222445B2 (ja) 文字入力キーボードを備えた電子機器
KR100800606B1 (ko) 한글 입력 장치 및 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
KR101637163B1 (ko) 문자입력장치
KR100990242B1 (ko) 키패드 어셈블리
KR100914884B1 (ko) 라틴 문자 입력 장치 및 휴대용 통신 단말기
JP2002373046A (ja) 携帯型電子機器
KR101615862B1 (ko)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자와 숫자입력 자판 및 그 입력방법
US20200150779A1 (en) Keyboard
KR100875334B1 (ko) 영문 입력을 위한 키패드
JP4348590B2 (ja) 電子機器の文字入力装置
JP2010238255A (ja) キーボード
KR20070075381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379156Y1 (ko) 엄지손가락 터치만으로 키입력이 가능한 컴퓨터 키보드
KR101400073B1 (ko) 후보 단어 또는 후보 한자가 제시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중국어 입력 방법
RU2477878C1 (ru) Способ адаптивного ввода текстовой информаци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сенсорных экранов
JP2002049460A (ja) 文字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