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0198B1 -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198B1
KR100800198B1 KR1020060067399A KR20060067399A KR100800198B1 KR 100800198 B1 KR100800198 B1 KR 100800198B1 KR 1020060067399 A KR1020060067399 A KR 1020060067399A KR 20060067399 A KR20060067399 A KR 20060067399A KR 100800198 B1 KR100800198 B1 KR 100800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base
display device
cam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8026A (ko
Inventor
김종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7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198B1/ko
Publication of KR20080008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splay Rack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일측이 체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가 안착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상기 스탠드를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의 하방에서 상기 스탠드를 향하여 일정 깊이 삽입되어 어느 일 부분이 상기 스탠드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스탠드를 상기 베이스 측으로 당겨서, 상기 스탠드를 상기 베이스에 강하게 결합시키는 스크류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사용자 및 작업자가 편리하게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를, 베이스에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스탠드의 사용시에 동작의 안정성이 개선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고, 디스플레이 기기를 사용하는 중에도 디스플레이 기기의 흔들림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포장시에 디스플레이 기기를 완전하게 다른 부품 별로 분리하여 포장하고 배송하더라도, 추후에 소비자가 이를 편리하게 재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물류비용을 줄일 수 있고, 조립시에 소비자의 착오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류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Stand for a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상기 캠 스크류의 확대사시도.
도 4는 상기 손잡이가 펴져있는 상태에서 캠 스크류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상기 캠 스크류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캠 스크류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캠 스크류 51 : 바
52 : 나사부 53 : 손잡이 54 : 캠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포장 크기가 줄어들고, 사용자 및 작업자가 스탠드의 분리 및 조작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기를 일정각도의 직립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스탠드가 구비되어야 하고, 이와 같은 스탠드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안정된 지지의 목적과, 사용자 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종래의 스탠드로는 포장시의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지주부와, 베이스부를 별개로 하여 포장을 하여 배송한 다음에, 사용자가 이를 조립하여 사용하는 형태가 소개된 바가 있다.
상세하게는, 제품을 포장할 때 디스플레이 기기와 지주부는 많은 부피를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일체로 체결하여 포장하고, 베이스는 디스플레이 기기와 포장을 할 때 상대적으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상기 지주부와는 분리해서 별도로 포장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베이스와 지주부를 체결하기 위하여 소정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강한 힘으로 조으는 것이 필요하고, 그렇지 아니한 경우에는 설치가 된 뒤에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흔들려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서, 특정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 일반인이 손으로 체결부재를 조으게 되면 아무리 강한 힘을 가하였다 하더라도 어느 정도 디스플레이 기기의 흔들림은 항상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더욱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일단 체결부재가 채워진 다음에 이를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채울 때 가하였던 정도의 강한 힘을 가해야 만이 분리가 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더욱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디스플레이 기기를 그 스탠드에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고, 스탠드의 사용시에 동 작의 안정성이 개선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를 제안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기기를 사용하는 중에, 디스플레이 기기의 흔들림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힘을 약하게 가하더라도 강하게 스탠드를 고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일측이 체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가 안착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상기 스탠드를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의 하방에서 상기 스탠드를 향하여 일정 깊이 삽입된 뒤에, 어느 일 부분이 상기 스탠드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스탠드를 상기 베이스 측으로 당겨서, 상기 스탠드를 상기 베이스에 강하게 결합시키는 캠 스크류가 포함되고, 상기 스탠드 또는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캠 스크류가 체결된 뒤에 상기 스탠드 및 상기 베이스가 서로 당겨질 때, 소정의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편이 형성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일측이 체결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가 안착되는 베이스; 및 상기 스탠드와 상기 베이스에 함께 삽입되어 고정시키는 캠 스크류가 포함되고, 상기 캠 스크류는, 상기 스탠드 또는 상기 베이스 중의 어느 하나에 걸려서 고정시키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바; 상기 스탠드 또는 상기 베이스 중의 다른 하나에 지지되는 캠; 상기 바와 상기 캠이 힌지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축; 상기 캠으로부터 더 연장되어, 상기 캠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스탠드 및 상기 베이스가 접근되는 방향으로 당겨져서 양자가 더욱 강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손잡이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되고, 디스플레이 기기의 제품의 설치 및 사용의 안정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는 디스플레이 기기(1)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를 지지하는 스탠드(2)와 상기 스탠드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베이스(3)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3)에서 상기 스탠드(2)가 삽입되는 부분에서 상기 베이스(3)가 함몰 형성되는 안착홈(4)이 제공되어, 일단 안착된 스탠드(2)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스탠드(2)는 디스플레이 기기(1)의 배면에 체결되는 체결부재(23)와, 스탠드(2)의 직립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강성재질-예를 들어, 철재-로 제공되는 프레임(21)과, 상기 체결부재(23)와 프레임(21)의 사이 간격부에 제공되는 힌지부(22)와, 상기 프레임(21)의 위에 더 씌워져서 프레임(21)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스탠드 커버(24)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1)에는 프레임의 어느 위치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체결편(25)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편(25)에는 스탠드측 삽입홀(2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3)에는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탠드(2)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베이스의 상면에는 안착홈(4)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스탠드(2)의 흔들림이 최대한으로 억제된다. 그리고, 베이스 바닥면(33)에서 상기 스탠드측 삽입홀(26)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베이스측 삽입홀(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탠드측 삽입홀(26)과 베이스측 삽입홀(32)로는 캠 스크류(5)가 끼워져서 스탠드(2)와 베이스(3)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측 삽입홀(32)의 부근에는 상기 캠 스크류(5)가 삽입된 다음에, 캠 스크류(5)의 손잡이(53)가 뉘어져서 수납되는 수용홈(31)이 상기 손잡이(5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되어 있다.
도 3에는 상기 캠 스크류의 확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캠 스크류(5)에는 적어도 상기 삽입홀(26)(32)에 삽입되는 바(51)와, 상기 스탠드측 삽입홀(26)에 끼워져서 나사로 결합되는 나사부(52)와, 상기 힌지축(55)에 의해서 상기 바(51)와 힌지결합되는 캠(54)과, 상기 캠(54)에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53)가 포함된다.
상기 캠(54)은, 상기 나사부(52)가 스탠드측 삽입홀(26)에 일정깊이 삽입된 다음에, 손잡이(53)를 눕히는 과정에서, 상기 나사부(52)를 하측으로 더 잡아당기는 힘을 제공하는 기구이다. 이는, 힘이 약한 사람이 상기 나사부(52)를 완전히 상기 스탠드측 삽입홀(26) 안으로 삽입하지 않고, 일정깊이 삽입하고 난 다음에 상기 손잡이(53)를 상기 수용홈(31)에 수용되는 방향으로 뉘이기만 하면, 상기 캠(54)의 작용에 의해서 스탠드측 삽입홀(26)이 하방으로 더 당겨져서, 스탠드(2)와 베이스(3)와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구이다.
도 4에는 상기 손잡이가 펴져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상기 손잡 이가 뉘어져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상기 캠 스크류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캠 스크류의 측면도가 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를 구매한 사용자는, 먼저, 나사부(52)를 정렬된 삽입홀(26)(32)에 끼우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캠 스크류(5)를 삽입하는 과정은 손잡이(53)를 세운 상태에서 손잡이를 돌리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종래 별도의 드라이버를 사용해서 나사를 조으거나, 별도의 동전등을 이용해서 나사를 돌리는 것에 비하여 훨씬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생산현장의 작업자나 제품을 구매한 사용자도 편리하게 이를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캠 스크류(5)를 회전시켜서 삽입시킬 때에는, 힘이 센 사람은 완전하게 깊은 곳까지 캠 스크류를 삽입할 수 있지만, 힘이 약한 사람은 깊은 곳까지 삽입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본원 발명에 적용되는 캠 스크류는 일정깊이 이상으로만-손잡이가 직립된 상태에서 캠과 베이스 바닥면이 닿는 깊이로만- 캠 스크류(5)가 삽입되면, 그 뒤에는 베이스 바닥면(33)을 향하여 손잡이(53)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캠(54)은 상기 손잡이(53)가 직립된 상태에서 캠(54)의 외주면과 베이스 바닥면(33)이 접하는 곳과 힌지축(55) 까지의 거리(W1)에 비하여, 상기 손잡이(53)가 뉘어진 상태에서 캠(54)의 외주면과 베이스 바닥면(33)이 접하는 곳과 힌지축(55) 까지의 거리(W2)가 더 크게 형성된다. 그 거리의 차이는 대략 1밀리미터이고, 긴 거리는 4밀리미터이고 짧은 거리는 3밀리미터가 적당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은 반경의 차이로 인하여, 상기 손잡이(53)가 베이스 바닥면(33)을 향하여 뉘어지는 과정 중에는, 상기 나사부(52)에 의해서 체결편(25)은 캠 스크류(5)를 향하여 당겨지게 된다. 물론, 상기 체결편(25)이 일 부품을 이루는 스탠드(2)도 베이스(3)를 향하여 강하게 당겨지게 되고, 이러한 강한 체결력에 의해서 스탠드(2)와 베이스(3)는 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후에는, 상기 손잡이(53)가 상기 수용홈(31)의 내부에 수용되어, 소정의 두께가 있는 손잡이(53)가 베이스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베이스의 안정을 해치는 것을 억제한다.
한편, 일단 뉘어진 손잡이(53)가 다시금 직립되는 방향으로 서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53)가 뉘어진 상태에서 뉘어지는 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캠의 외형은, 상기 힌지축(55)을 향하여 접근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다시 말하면 직경이 줄어들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일단 뉘어진 손잡이(53)가 자연적으로 또는 외부의 작은 충격으로 인하여 다시금 직립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캠에서 상기 회전축(55)에서 가장 먼 지점은-다시 말하면, 직경이 가장 큰 지점은-, 상기 손잡이(53)가 상기 베이스 바닥면(33)에 닿는 지점보다 약간 정도 앞쪽에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손잡이(53)를 완전히 젖혔다는 것을 경쾌하게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캠을 회전시키는 힘의 변화-즉, 최고점을 지난 다음에는 회전시키는 힘이 약해지도록 힘의 변화-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손잡이(53)를 뉘어서 상기 체결편(25)을 당길 때에는, 체결편(25)에 강한 힘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 강하게 작용하는 힘은 편의 형상으로 절곡되어 제공되는 체결편(25)의 변형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체결편(25)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힘이 센 사람이 상기 캠 스크류(5)를 체결할 때에도 캠 스크류(5)에 의해서 여타의 다른 구성요소들이 파손되는 것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캠과 상기 베이스 바닥면이 접하는 면에 별도의 탄성부재를 더 개입시키는 경우에는 캠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서 여타의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도 있고, 상기 캠 스크류에 의해서 체결편에 가하여지는 힘이 일정하게 조절되는 장점을 얻을 수도 있다. 이와 동일한 부재로서, 상기 스탠드와 상기 베이스가 접하는 면에 소정의 탄성부재가 더 개입되도록 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기기와 스탠드와 사이에 상기 힌지부가 있는 것으로 제시되어 있으나, 이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회전시키고자 할 때에만 필요한 부품으로서 필수적이라고 할 수는 없고, 회전이 필요치 아니하는 경우에는 없는 것도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는 상기 베이스의 하측에서 상방으로 삽입되어, 상기 스탠드를 상기 베이스 측으로 당기는 동작에 의해서 양자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체결편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편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스탠드에 또 다른 체결편이 형성되고, 상기 캠 스크류가 반대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가 상기 스탠드 쪽으로 당겨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용이하게 구상될 수 있다.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스탠드를 베이스에 체결하기 위하여 특별히 제안된 발명으로서, 분리형 스탠드의 경우에 힘이 약한 사용자라 하더라도 편리하게 스탠드와 베이스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고,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는 스탠드 및 베이스 양 물품의 직립성과 안정적인 체결 신뢰성을 얻기 위하여 적용되는 발명인 것으로서, 단순한 취사선택으로 볼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및 작업자가 편리하게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를, 베이스에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스탠드의 사용시에 동작의 안정성이 개선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고, 디스플레이 기기를 사용하는 중에도 디스플레이 기기의 흔들림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힘을 약하게 가하더라도 강하게 스탠드를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포장시에 디스플레이 기기를 완전하게 다른 부품 별로 분리하여 포장하고 배송하더라도, 추후에 소비자가 이를 편리하게 재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물류비용을 줄일 수 있고, 조립시에 소비자의 착오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디스플레이 기기에 일측이 체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가 안착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상기 스탠드를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의 하방에서 상기 스탠드를 향하여 일정 깊이 삽입된 뒤에, 어느 일 부분이 상기 스탠드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스탠드를 상기 베이스 측으로 당겨서, 상기 스탠드를 상기 베이스에 강하게 결합시키는 캠 스크류가 포함되고,
    상기 스탠드 또는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캠 스크류가 체결된 뒤에 상기 스탠드 및 상기 베이스가 서로 당겨질 때, 소정의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편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가 수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바닥면의 바닥에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4. 디스플레이 기기에 일측이 체결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가 안착되는 베이스; 및
    상기 스탠드와 상기 베이스에 함께 삽입되어 고정시키는 캠 스크류가 포함되고,
    상기 캠 스크류는,
    상기 스탠드 또는 상기 베이스 중의 어느 하나에 걸려서 고정시키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바;
    상기 스탠드 또는 상기 베이스 중의 다른 하나에 지지되는 캠;
    상기 바와 상기 캠이 힌지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축;
    상기 캠으로부터 더 연장되어, 상기 캠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스탠드 및 상기 베이스가 접근되는 방향으로 당겨져서 양자가 더욱 강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손잡이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1020060067399A 2006-07-19 2006-07-19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100800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399A KR100800198B1 (ko) 2006-07-19 2006-07-19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399A KR100800198B1 (ko) 2006-07-19 2006-07-19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026A KR20080008026A (ko) 2008-01-23
KR100800198B1 true KR100800198B1 (ko) 2008-02-01

Family

ID=39221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399A KR100800198B1 (ko) 2006-07-19 2006-07-19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01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92665B2 (en) 2019-12-30 202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assembly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157B1 (ko) 2002-11-04 2005-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스탠드구조
KR20060035889A (ko) * 2004-10-21 200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
KR20060070052A (ko) * 2004-12-20 2006-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압력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용 장비
KR20060112110A (ko) * 2005-04-26 2006-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영상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157B1 (ko) 2002-11-04 2005-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스탠드구조
KR20060035889A (ko) * 2004-10-21 200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
KR20060070052A (ko) * 2004-12-20 2006-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압력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용 장비
KR20060112110A (ko) * 2005-04-26 2006-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영상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92665B2 (en) 2019-12-30 202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assembly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026A (ko) 200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4363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6390483B1 (en) Folding device for scooter
KR100738705B1 (ko)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RU2416773C2 (ru) Дверной лоток для холодильника (варианты)
KR100800198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US20050138745A1 (en) Massage brush
EP2369219B1 (fr) Dispositif de fixation pour ecran plat
KR101946819B1 (ko) 앞받침대와 낚시대받침구가 일체로 구비된 관절형 낚시받침대
US6988690B2 (en) Adhesive tape holder
JP2006264700A (ja) ボトル収容用手提げ紙袋
KR100800197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CN208973317U (zh) 一种炒菜用锅具及其炒菜机
WO2021063020A1 (zh) 冰箱抽屉和具有其的冰箱
TW200605754A (en) Non-tool assembling apparatus and computer housing applying the assembling apparatus
US20120055889A1 (en) Rack Assembly that can be Folded Partially
CN208709225U (zh) 杯盖组件及随行杯
KR102610316B1 (ko) 도어스토퍼의 고정장치
EP3157404B1 (en) Device having two parts
CN220293527U (zh) 可折叠收纳的锅盖把手和锅盖
KR100581793B1 (ko) 록킹과 전시각 조정이 가능한 종이 과자상자
JPH01502485A (ja) 弾性取付け装置を備えた着脱可能な踵
KR102141250B1 (ko) 접이용 뚜껑 손잡이
EP1158633B1 (fr) Appareil électrique à encliqueter sur un rail
KR101382285B1 (ko) 범퍼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KR200439959Y1 (ko) 착탈식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