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0023B1 -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023B1
KR100800023B1 KR1020070048439A KR20070048439A KR100800023B1 KR 100800023 B1 KR100800023 B1 KR 100800023B1 KR 1020070048439 A KR1020070048439 A KR 1020070048439A KR 20070048439 A KR20070048439 A KR 20070048439A KR 100800023 B1 KR100800023 B1 KR 100800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input
resources
response re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원경
심평강
강대훈
황재동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70048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0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8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specially adapted for farming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현장 또는 원격지의 지휘자가 재난 현장에 투입된 자원의 운영을 합리적으로 할 수 있고 투입된 다수의 유관기관의 활동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은 재난현장의 어느 한 개별 구역에 투입되는 자원을 관리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으로서, 투입되는 자원이 가지고 있는 보유 정보를 무선으로 체크하는 체크 포인트기; 투입되는 자원에 대하여 투입임무를 포함한 투입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체크 포인트기 및 입력부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개별 구역에 투입되는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만들어 출력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재난현장의 인적·물적 투입자원의 현황을 현장 및 원격지의 상황실의 수준별 지휘자가 전술적 및 전략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단계적으로 연산 가공하여 제공해 줌으로써, 지휘자가 투입자원의 운영을 합리적으로 할 수 있고 투입자원의 희생을 보다 적극적으로 막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resources for calamity confront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1차 워크스테이션내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예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2차 워크스테이션내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예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3차 워크스테이션내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예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최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중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RFID태그 10 : 체크 포인트기
2, 12 : 입력부 14 : 처리부
16 : 표시부 20, 32 : GIS정보 저장부
22, 34 : 데이터베이스 24, 36 : 응용 프로그램 저장부
26, 38 : 가공부 28, 40 : 표시부
30, 42 : 제어부 100, 200, 300 :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
본 발명은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난현장의 투입자원 및 상황에 대한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를 현장 또는 상급 지휘관에게 맞춤형으로 제공하여 효율적인 자원 관리가 이루질 수 있도록 한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재난은 사회의 기본조직 및 정상기능을 와해시키는 갑작스런 사건이다. 재난은 단일 조직으로는 대응할 수 없어 다수기관간 유기적 통합대응체계가 강조된다.
대규모 재난이 발생할 때마다 빚어지는 현장지휘체계의 혼선은 재난대응에서 풀어야 할 최우선과제이다. 강원도 양양의 산불재난, 민항기 추락사고, 삼풍백화점 붕괴, 대구지하철참사 등 수많은 재난에서 언제나 문제가 되었다.
그래서, 재난의 영향범위가 광범위하고 대규모의 재산피해와 사상자 발생이 예견되는 재난현장에서 다수기관 및 자원봉사자의 총체적 현장동원 및 대응체계를 사전에 구축하고 비정형적 위기상황에 시기적절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통합형 현장지휘체계를 재설계할 것이 요구되었다.
그리하여, 2004년 6월에 소방방재청이 개청되어 재난대응 전담기관으로 역할을 담당하면서,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령, 현장에서의 자원운영을 규정하고 있는 긴급구조대응활동 및 현장지휘에 관한 규칙, 각종 현장대응메뉴얼이 수립되었다.
그러나, 재난에 관하여 중앙행정기관으로서 일정한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는 유관기관들은 평소에 재난에 대응할 태세가 미비하다. 유사시에, 현장에 당도한 경찰, 복지부, 국방부 등은 각자 제각기의 단절된 지휘소를 운영하면서 통합지휘체계 내에 따르지 않는다. 이는 하나의 행정문화처럼 되어서 최선의 재난대응활동에 역기능을 초래하고 있다.
이것은 재난현장지휘체계의 일사불란한 작동의 요체가 되는 지휘체계 내부의 기능들이 정확한 자원의 규모, 투입, 변경 등을 통제하고 관리하지 못하는데서 비롯된다.
현재 국내 재난분야에서는 재난대응 단위 기관 및 단체별로 유기적인 관리 메커니즘 없이 단절적으로 그때그때의 상황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지휘자의 명령에 의해 자원이 관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현장 또는 원격지의 지휘자가 재난 현장에 투입된 자원의 운영을 합리적으로 할 수 있고 투입된 다수의 유관기관의 활동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은, 재난현장의 어느 한 개별 구역에 투입되는 자원을 관리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으로서,
투입되는 자원이 가지고 있는 보유 정보를 무선으로 체크하는 체크 포인트기; 투입되는 자원에 대하여 투입임무를 포함한 투입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체크 포인트기 및 입력부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개별 구역에 투입되는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만들어 출력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보유 정보는 해당 자원에게 부여된 RFID태그에 기록되어 있고, 체크 포인트기는 RFID태그에 기록된 보유 정보를 독출하는 RFID판독기로 구성된다.
보유 정보는 해당 자원에게 미리 부여된 단일의 고유 번호이고, 처리부는 체크 포인트기에서 체크되어 전송되어 온 고유 번호를 근거로 외부의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하는 신상 정보를 독출하여 현황 정보에 포함시킨다.
보유 정보는 해당 자원에게 미리 부여된 단일의 고유 번호 및 신상 정보를 포함한다.
처리부는 체크 포인트기 및 입력부로부터의 정보를 취합하여 다수의 정보 영역으로 구획된 룩업테이블 형태의 파일로 만들어 출력한다.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정보들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표시부를 추가로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은, 재난현장의 각 개별 구역에 투입된 투입자원을 원격지에서 관리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으로서,
재난현장의 각 개별 구역에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다수 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로부터 제공받은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취합하여 재난현장의 모든 개별 구역에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로 가공하는 가공부; 및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로부터 제공받은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고, 저장시킨 다수의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가공부에게로 보내어 가공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GIS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GIS정보 저장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가공부는 GIS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GIS정보에 근거하여 재난현장의 각 개별 구역에 투입된 기관의 투입위치를 포함한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가공부는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로부터의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기초로 다수의 정보 영역으로 구획된 룩업테이블 형태의 파일로 만들어 출력한다.
가공부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표시부를 추가로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은, 재난현장의 각 개별 구역에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 및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와 쌍방향 통신을 수행하고,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로부터의 투입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에 근거하여 재난현장의 모든 개별 구역에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 를 생성하는 상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를 포함하고,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의 각각은, 재난현장의 해당 개별 구역에 투입되는 자원이 가지고 있는 보유 정보를 무선으로 체크하는 체크 포인트기, 투입되는 자원에 대하여 투입임무를 포함한 투입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체크 포인트기 및 입력부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개별 구역에 투입되는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만들어 출력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은, 재난현장의 각 개별 구역에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 및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와 쌍방향 통신을 수행하고,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로부터의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에 근거하여 재난현장의 모든 개별 구역에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상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를 포함하고,
상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는,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로부터 제공받은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취합하여 재난현장의 모든 개별 구역에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로 가공하는 가공부, 및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로부터 제공받은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고 저장시킨 다수의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가공부에게로 보내어 가공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난대응 자원 관리 방법은, 재난현장의 어느 한 개별 구역에 투입되는 자원을 관리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방법으로서,
체크 포인트기가, 투입되는 자원이 가지고 있는 보유 정보를 무선으로 체크하는 체크 단계; 입력부가, 투입되는 자원에 대하여 투입임무를 포함한 투입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단계; 및 처리부가, 체크 단계 및 입력 단계에서의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개별 구역에 투입되는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만들어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한다.
보유 정보는 해당 자원에게 미리 부여된 단일의 고유 번호이고, 출력 단계는 체크 포인트기에서 체크되어 전송되어 온 고유 번호를 근거로 외부의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하는 신상 정보를 독출하여 현황 정보에 포함시킨다.
보유 정보는 해당 자원에게 미리 부여된 단일의 고유 번호 및 신상 정보를 포함한다.
출력 단계는 체크 단계를 거친 정보 및 입력 단계를 거친 정보를 취합하여 다수의 정보 영역으로 구획된 룩업테이블 형태의 파일로 만들어 출력한다.
출력 단계에서 출력되는 정보들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표시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대응 자원 관리 방법은, 재난현장의 각 개별 구역에 투입된 투입자원을 원격지에서 관리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방법으로서,
가공부가, 재난현장의 각 개별 구역에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로부터 제공받은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취합하여 재난현장의 모든 개별 구역에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로 가공하는 가공 단계; 및 제어부가,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로부터 제공받은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고, 저장시킨 다수의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가공부에게로 보내어 가공하게 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가공 단계는 GIS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GIS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GIS정보에 근거하여 재난현장의 각 개별 구역에 투입된 기관의 투입위치를 포함한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가공 단계는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로부터의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기초로 다수의 정보 영역으로 구획된 룩업테이블 형태의 파일을 만들어 출력한다.
가공 단계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표시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대응 자원 관리 방법은,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가, 재난현장의 각 개별 구역에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제 1과정; 및 상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가,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와 쌍방향 통신을 수행하고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로부터의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에 근거하여 재난현장의 모든 개별 구역에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제 2과정을 포함하고,
제 1과정은, 재난현장의 해당 개별 구역에 투입되는 자원이 가지고 있는 보유 정보를 무선으로 체크하는 체크 단계; 투입되는 자원에 대하여 투입임무를 포함한 투입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단계; 및 체크 단계 및 입력 단계에서의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개별 구역에 투입되는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만들어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대응 자원 관리 방법은,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가, 재난현장의 각 개별 구역에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제 1과정; 및 상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가,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와 쌍방향 통신을 수행하고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로부터의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에 근거하여 재난현장의 모든 개별 구역에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제 2과정을 포함하고,
제 2과정은,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재난현장의 각 개별 구역에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취합하여 재난현장의 모든 개별 구역에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로 가공하는 가공 단계; 및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로부터의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데이 터베이스에 저장시키고, 저장시킨 다수의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가공하게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서는 3개 레벨의 워크스테이션을 도시하였으나, 보고체계에 따라 2개 레벨이 될 수도 있고 3개 레벨 이상이 될 수도 있다.
도 1에서,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100)가 최하위레벨의 1차 워크스테이션을 담당하고,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가 중간레벨의 2차 워크스테이션을 담당하며,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300)가 최상위레벨의 3차 워크스테이션을 담당한다.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100)는 재난현장에 도착한 각 기관(예컨대, 소방서, 경찰, 군부대 등)에 대하여 일대일로 배치된다. 따라서, 재난현장에 도착한 기관의 수만큼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100)가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보통 재난이라고 하면 광범위한 범위로 피해를 주는 것이므로 광범위한 재난현장에는 다수의 기관이 이곳 저곳에 투입된다. 그래서, 개별적으로 이곳 저곳에 투입된 각 기관별 투입자원의 현황(예컨대, 소속, 성명, 신체특기사항, 알레르기 유무/종류, 인식 코드, 투입임무, 투입활동, 장비체크결과 등)을 원격지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에서 취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재난현장에 도착한 각 기관별로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100)를 두었다.
각각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100)는 어느 한 재난현장의 개별 구역의 투입자원의 투입 현황에 관련된 정보를 상위레벨인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에게로 보낸다.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100)와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는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쌍방향 통신을 행한다.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는 일종의 중앙센터라고 이해하면 된다. 도 1에서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를 다수개로 표시하였는데, 이는 여러 지역에 동시다발적으로 재난이 발생한 경우를 고려한 것이다.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는 어느 한 재난현장에 투입된 모든 기관의 투입자원에 대한 투입 현황의 정보를 취합하여 활용가능한 정보(예컨대, 상부에 보고가능한 정보)로 만들어 보다 상위레벨인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300)에게로 전송한다.
재난은 국가 위기 또는 안보사태로 확대되거나 특별재난지역의 선포 여건이 될 수 있다.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300)는 예를 들어 최고위급(청와대, 국정원, 비상기획위원회, 행정자치부 등) 의사결정라인에서 최종 자원운영 현황 및 재난의 규모를 정책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300)는 최고위급 의사결정라인에서 최종 결정을 내릴 수 있게끔 하나 이상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로부터의 정보를 가공하여 출력한다.
다시 말해서,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100)는 현장(즉, 재난현장의 각 개별구역)의 최하위 단위 지휘관이 운영하는 것으로 보면 된다.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를 운영하는 직근 상급지휘관은 초기의 정보를 모두 알 필요가 없으므로 예 하 지휘권내에 있는 다양한 자원들의 개괄적 움직임을 알면 보다 상급의 지휘자에게 보고자료를 만들 수 있다.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300)를 운영하는 최상급지휘자는 복수의 중간지휘자급의 데이터가 통합 및 연산, 가공된 것에 더하여 보다 전략적 판단과 최상급 보고자료를 만든다.
각각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100)는, 재난현장에 도착한 기관의 투입자원이 가지고 있는 보유 정보를 무선으로 체크하는 체크 포인트기(10); 체크된 투입자원에 대하여 투입임무를 포함한 투입 정보 또는 변동데이터(예컨대, 추가 투입, 철수, 교대 등을 의미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12); 체크 포인트기(10) 및 입력부(12)로부터의 정보를 기초로 재난현장에 도착한 해당 기관의 투입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만들어 출력하고, 입력부(12)와는 별도로 상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로부터 전송되어 온 지시사항을 출력가능하게 신호처리하는 처리부(14); 및 처리부(14)에서 출력되는 정보들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표시부(16)를 포함한다.
투입자원이 가지고 있는 보유 정보는 RFID태그(1)에 기록된다. RFID태그(1)는 해당 투입자원의 방화복 등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체크 포인트기(10)는 RFID태그(1)에 기록된 보유 정보를 독출하는 RFID판독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RFID태그(1) 대신 휴대가능한 RFID카드를 사용할 수도 있겠으나, 이는 분실의 위험이 있다. 통상적으로, RFID태그에는 IC칩과 안테나가 내장되고, IC칩에는 인증번호와 기타 데이터가 저장된다. 따라서, RFID태그(1)내에 투입자원에 대한 정보를 저 장할 수 있다. 그리고, 바코드 태그에 RFID태그(1)내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RFID태그(1) 대신에 바코드 태그를 사용하여도 된다. 바코드 태그를 사용할 경우에는 바코드 판독기가 사용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간편하게, RFID태그(1)에는 해당 투입자원에게 미리 부여된 단일의 고유 번호(예컨대, 인식 코드 번호) 및 신상 정보(예컨대, 소속, 성명, 신체특기사항, 알레르기 유무/종류 등)가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면 된다.
물론, 다르게는 RFID태그(1)에 해당 투입자원에게 미리 부여된 단일의 고유 번호(예컨대, 인식 코드 번호)만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즉, 투입자원의 고유번호별 신상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신상 정보(예컨대, 소속, 성명, 신체특기사항, 알레르기 유무/종류 등)를 독출하여 사용하면 된다.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라 함은 중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내의 데이터베이스(22)가 될 수도 있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100)내에 별도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이 데이터베이스는 처리부(14)내에 내장된 것으로 하여도 된다)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는 최소한으로 하기의 표 1과 같은 정보 영역을 갖는다. 필요에 따라서는 하기의 표 1에서 어느 정보 영역을 삭제하거나 다른 내용의 정보 영역으로 대체하여도 무방하다. 각각의 정보 영역에는 그에 상응하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하기의 표 1에서, 인식코드 영역에는 각 투입자원에게 부여된 고유의 식별코드가 기록되고, 소속 영역에는 각 투입자원의 소속이 기록되며, 성명 영역에는 각 투입자원의 성명이 기록된다. 신체특기 사항 영역에는 각 투입자 원의 특기 사항이 기록되고, 알레르기 유무 영역에는 각 투입자원에게 알레르기가 있는지가 기록되고, 알레르기 물질 영역에는 알레르기가 있는 투입자원에게 어떤 물질에 대한 알레르기가 있는지가 기록된다.
(표 1)
인식코드 소속 성명 신체특기 사항 알레르기 유무 알레르기 물질 비고
123 00소방서 홍길동 ~~~ 유 또는 무 ~~~
. . . . . . . . . . . .
입력부(12)는 컴퓨터의 키보드와 같이 원하는 정보 입력이 가능한 기기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처리부(14)는 체크 포인트기(10) 및 입력부(12)로부터의 정보를 취합하여 다수의 정보 영역으로 구획된 룩업테이블 형태의 파일(즉, 재난현장에 도착한 해당 기관의 투입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가 수록된 파일)로 만들어 출력한다. 처리부(14)에서 출력되는 파일은 2차 워크스테이션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에게로 전송된다. 처리부(14)는 룩업테이블 형태의 파일내의 정보를 표시부(16)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 또한, 처리부(14)는 내부적으로 음성신호처리 및 문자신호처리가 가능하다. 처리부(14)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로부터의 지시사항이 음성신호이면 이를 내부적으로 음성신호처리하여 스피커(도시 생략) 등의 출력기기를 통해 출력시킨다. 한편, 처리부(14)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로부터의 지시사항이 문자신호이면 이를 내부적으로 문자신호처리하여 표시부(16)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처리부(14)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로부터의 지시사항에 근거하여 현재의 투입자원에 대한 현황을 수정한다.
표시부(16)는 컴퓨터의 모니터와 같이 정보의 표시가 가능한 기기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표시부(16)를 통해 출력되는 룩업테이블 형태의 정보는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다. 처리부(14)에서 생성하는 재난현장에 도착한 해당 기관의 투입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라 함은 도 2에 예시한 내용들(예컨대, 소속, 성명, 코드, 임무, 장비, 시각 등)을 포함한다.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는, 재난현장의 투입자원에 대한 지시사항(변동데이터)(예컨대, 각 기관별로 투입된 자원에 대한 추가 투입, 철수, 교대 등을 지시하는 데이터)을 입력하는 입력부(2); 지리적으로 참조가능한 모든 형태의 GIS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GIS정보 저장부(20); 각각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투입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즉, 재난현장의 개별 구역마다 투입된 자원들의 모든 현황 정보를 의미함)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2); 각각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투입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유용한 정보(즉, 상부로의 보고 자료 및/또는 현재의 재난상황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정보)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저장부(24); 데이터베이스(22)에 저장되는 재난현장 각 지역의 투입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취합하여 활용가능한 정보(즉, 상부로의 보고 자료 및/또는 현재의 재난상황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정보)로 가공하는 가공부(26); 가공부(26)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표시부(28); 및 각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투입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2) 에 저장시키고, 저장시킨 다수의 투입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가공부(26)에게로 보내어 가공하게 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한다.
입력부(2)는 컴퓨터의 키보드와 같이 원하는 정보 입력이 가능한 기기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2)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투입자원의 고유번호별 신상 정보(예컨대, 소속, 성명, 신체특기사항, 알레르기 물질 등)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가공부(26)는 정보 가공시 데이터베이스(22)에 저장되는 재난현장 각 지역의 투입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취합하여 재난현장에 투입된 모든 기관의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예컨대, 기관명, 각 기관별 투입자원수와 투입위치 및 기능(투입임무) 등)를 만들 뿐만 아니라 GIS정보 저장부(26)에 저장된 GIS정보에 근거하여 재난현장에 투입된 각 기관의 투입위치를 포함한 정보를 생성한다.
가공부(26)는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투입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취합하여 응용 프로그램 저장부(24)에 기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다수의 정보 영역으로 구획된 룩업테이블 형태의 파일(즉, 재난현장에 투입된 모든 기관의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가 수록된 파일)로 만들어 출력한다. 또한, 가공부(26)는 입력부(2)로부터 입력되는 임의의 기관에 대한 투입자원의 변동데이터가 있다면 변동데이터의 내용을 반영시킨 현황 정보를 생성한다. 가공부(26)에서 출력되는 파일은 표시부(28)상에 디스플레이될 뿐만 아니라 최상위레벨인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300)에게로 전송된다. 도 1에서는 가공 부(26)에서 출력되는 파일은 제어부(30)를 거쳐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300)에게로 전송되게 되어 있지만, 제어부(30)를 거치지 않고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300)에게로 전송되게 하여도 된다. 가공부(26)는 예를 들어 룩업테이블 형태의 정보가 수록된 파일내의 정보를 표시부(28)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
표시부(28)는 컴퓨터의 모니터와 같이 정보의 표시가 가능한 기기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표시부(28)를 통해 출력되는 룩업테이블 형태의 정보는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다. 표시부(28)는 재난현장의 3차원적인 지도를 표시하는 GIS정보 영역(DP1) 및 투입된 각 기관별 투입자원수와 투입위치 및 기능(투입임무) 등이 표시되는 표시영역(DP2)을 갖는다. 도 3에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GIS정보 영역(DP1)에 표시되는 재난현장에 대한 지도상에는 투입된 각 기관의 투입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으로는, 표시영역(DP2)과는 무관하게 GIS정보 영역(DP1)에 표시되는 재난현장에 대한 지도상에 각 기관의 투입위치를 표시하고 어느 한 기관이 선택(클릭)되면 해당 투입위치의 기관의 명칭 및 투입자원수와 기능 등이 후속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가공부(26)에서 만들어지는 재난현장에 투입된 모든 기관의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라 함은 도 3에 예시한 내용들을 포함한다.
제어부(30)는 입력부(2)를 통해 입력되는 지시사항(변동데이터)을 해당하는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100)에게로 전송한다.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를 운영하는 운영자(지휘자)는 표시부(28)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보고서 적절한 지시사항을 입력하게 된다.
상황이 급박한 경우에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를 운영하는 운영자(중 간지휘자급)가 입력부(2)를 통해 지시사항(변동데이터)을 입력하지 않고 마이크(도시 생략) 또는 휴대폰(도시 생략) 등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100)의 운영자에게로 직접 하달할 수도 있다. 마이크(도시 생략) 또는 휴대폰(도시 생략)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지시사항(변동데이터)을 해당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100)의 운영자에게로 직접 하달하였다고 하더라도 그 하달한 내용은 중간지휘자급의 운영자 또는 그 중간지휘자급의 운영자 근처의 보조자가 입력부(2)를 통해 제어부(30)에게로 다시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 가공부(26)에서 지시사항이 반영된 투입자원의 현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입력부(2)를 통해 입력되는 원하는 지시사항(변동데이터)은 제어부(30)에 의해 그 내용이 해당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100)에게로 전달된다. 도 1에는 중간지휘자가 지시사항(변동데이터)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에 대해 키보드를 언급하였는데, 앞서 예시한 마이크 또는 휴대폰 등도 가능하다. 키보드로부터의 지시사항(변동데이터)을 전송하기 위한 구성(즉, 입력된 문자/숫자 등을 신호처리할 수 있는 구성)은 제어부(30)의 내부에 갖추어진 것으로 한다. 제어부(30)에 갖추어진 지시사항을 전송하기 위한 구성(도시 생략)에 대해서는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누구라도 쉽게 주지의 기술로 구현가능하므로 별도로 설명하지 않았다.
GIS정보 저장부(20)에 저장되는 GIS정보는 지리정보시스템(도시 생략)으로부터 제공되는 갱신가능한 정보이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술한 GIS정보 저장부(20)를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와는 별도로 구성된 지리정보시스템에 갖추어진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렇게 할 경우,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는 필 요에 따라 지리정보시스템으로부터 원하는 GIS정보를 얻으면 된다.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300)는 앞서 설명한 중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와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참조부호는 다르지만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와 동일한 명칭의 구성을 갖는다.
물론,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300)의 표시부(4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은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의 표시부(28)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내용과는 다르다. 즉,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300)는 최고위급 의사결정라인에서 최종 결정을 내릴 수 있게끔 하나 이상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로부터의 정보를 취합하여 연산 및 가공하여 출력시킨다. 즉, 가공부(38)에서는 응용 프로그램 저장부(36)에 저장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현재 재난상황에 대하여 최종적인 결론을 내린 최고정책정보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현재의 재난상황이 특별재난지역선포요건을 충족하는지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생성한다.
그에 따라, 표시부(40)는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최고정책정보(즉, 가공부(38)에서 응용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현재 재난상황에 대하여 최종적인 결론을 내린 최고정책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영역(DPP1) 및 특별재난지역선포요건의 충족여부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영역(DPP2)을 갖는다. 표시영역(DPP1)에는 재난현장의 3차원적인 지도가 함께 표시되면서 최종적으로 시스템적으로 결정된 최고정책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표시영역(DPP2)에는 인명피해의 정도, 재산피해의 정도, 피해반경의 범위를 나타내는 규모 등이 막대 그래프와 같은 형상으로 표시된 다. 각각의 막대 그래프는 피해의 정도에 따라 녹색, 황색, 적색 등의 색깔로 변화하면서 실시간으로 오르내린다. 이러한 표시부(40)상의 표시는 가공부(26)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근거로 행해진다.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300)를 운영하는 최상급지휘자는 표시부(40)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보고서 최고위급(예컨대, 청와대, 국정원, 비상기획위원회, 행정자치부 등) 의사결정라인으로 보고할지를 판단한다.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300)의 응용 프로그램 저장부(36)에 저장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은 최고위급 의사결정라인에게로 보고할 수 있는 정도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응용 프로그램 저장부(36)에는 특별재난지역선포요건에 관련된 각종의 인자(즉, 인명피해의 정도, 재산피해의 정도, 피해반경의 범위를 나타내는 규모 등)별로 피해정도에 따라 막대 그래프의 상승율/하강율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가공부(38)는 응용 프로그램 저장부(36)에 저장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근거하여 그에 상응하는 가공작업을 행한다.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300)를 운영하는 운영자도 필요에 의해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에게로 질의 내용 또는 지시사항을 보낼 경우가 있으므로,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300)에도 질의 및 지시사항을 입력할 수 있는 기기(예컨대, 입력부(2)와 같은 기기)가 갖추어진 것으로 보아도 된다. 질의 및 지시사항을 입력할 수 있는 기기로는 마이크 또는 휴대폰, 키보드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를 기초로 하여 최하위레벨인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100)에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다수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100)중 어느 한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100)에서의 동작이지만, 각각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100)는 이하의 설명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면 된다.
제 1기관(예컨대, 00소방서)이 재난현장의 어느 한 집결지(개별 구역)에 도착하게 되면(S10) 제 1기관에 소속된 투입자원(예컨대, 소방대원)들은 차례로 체크 포인트기(10)를 지나치게 된다. 그리하면, 체크 포인트기(10)는 차례대로 투입자원의 방화복에 고착된 RFID태그(1)내의 정보를 독출해 낸다. 여기서, RFID태그(1)에는 해당 투입자원에게 미리 부여된 단일의 고유 번호(예컨대, 인식 코드 번호) 및 신상 정보(예컨대, 소속, 성명, 신체특기사항, 알레르기 유무/종류 등)가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체크 포인트기(10)는 독출해 낸 각 투입자원의 보유 정보(즉, 고유 번호 및 신상 정보)를 처리부(14)에게로 전송한다(S12).
이어, 해당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100)의 운영자측에서는 입력부(12)를 이용하여 각 투입자원에 대한 투입 정보를 지정하여 수동으로 입력한다. 예를 들어, 운영자는 각 투입자원별로 투입임무, 투입명령지점, 투입시각, 공기호흡기의 장비상태(공기의 잔량 체크가 대원의 생명과 직결됨) 등을 확인 및 결정하여 입력한다.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되는 각 투입자원에 대한 투입 정보는 처리부(14)에게로 전송된다(S14).
그에 따라, 처리부(14)는 입력된 각 투입자원의 보유 정보 및 투입 정보에 근거하여 제 1기관에 소속된 모든 투입자원의 현황을 알 수 있도록 신호 처리하여 룩업테이블 형태로 정리된 정보가 수록된 파일을 만든다(S16). 그리고, 처리부(14)는 파일내의 정보를 표시부(16)에 디스플레이시킨다(S18). 여기서는, 룩업테이블 형태라고 하였으나, 제 1기관에 소속된 모든 투입자원의 현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표시부(16)에는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 1기관의 모든 투입자원에 대한 소속, 성명, 코드(고유 번호 또는 식별 번호를 의미함), 투입임무, 장비체크결과, 투입시각 등이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면 된다.
이후, 처리부(14)는 입력부(12)를 통해 현재 투입된 자원에 대한 지시사항(변동데이터)(예컨대, 추가 투입, 철수, 교대 등을 의미하는 데이터)이 입력되는지를 체크한다(S20). 여기서, 현재 투입된 자원에 대한 지시사항은 해당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100)의 운영자(즉, 최하위 단위 지휘자)가 입력하는 것으로 한다. 즉,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100)의 운영자(즉, 최하위 단위 지휘자)는 표시부(16)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현재의 투입자원들의 현황을 보고서 실시간으로 지시사항을 하달하거나 재난현장에 투입된 자원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지시사항을 하달한다.
지시사항(변동데이터)이 입력되면(S20에서 "Yes") 처리부(14)는 입력된 지시사항(변동데이터)에 근거하여 현재의 투입자원의 현황을 수정한다(S22).
그리고, 처리부(14)는 수정된 투입자원의 현황에 대한 정보가 룩업테이블 형태로 정리된 파일을 만들고서(S24), 상술한 단계 S18에서와 같이 표시부(16)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
만약, 상기의 단계 S20에서 지시사항(변동데이터)의 입력이 없다면(S20에서 "No") 처리부(14)는 가장 최근에 작성한 파일(즉, 가장 최근의 투입자원의 현황을 알 수 있는 정보가 수록된 파일)을 상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에게로 전송한다(S26).
이후,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100)는 상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측으로부터의 투입자원에 대한 지시사항(변동데이터; 예컨대, 해당 제 1기관에서 투입시킨 자원에 대한 추가 투입, 철수, 교대 등을 지시하는 데이터)이 입력되면(S28에서 "Yes") 처리부(14)는 그 입력받은 지시사항을 표시가능하게 신호처리하여 표시부(16)에 디스플레이시킨다(S30). 그에 따라,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100)의 운영자(즉, 최하위 단위 지휘자)는 표시부(16)상에 디스플레이된 지시사항을 보고서 그에 상응하는 명령을 해당하는 투입자원에게 휴대폰 또는 무전기 등을 이용하여 하달한다. 이어, 처리부(14)는 상기 단계 S22로 복귀하여 그 단계부터의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 S28에서 상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측으로부터의 투입자원에 대한 지시사항이 입력되지 않으면 재난상황의 종료여부에 따라 상술한 단계 S20에서부터의 동작을 재개한다. 중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를 운영하는 운영자가 재난상황의 종료여부를 판단하여 재난대응 자원 관리 장치(100)에게로 알려주거나, 최상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300)를 운영하는 운영자가 재난상황의 종료여부를 판단하여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를 거쳐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100)에게로 알려준다.
이와 같이 하여 재난상황이 종료되었으면(S32에서 "Yes") 더이상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재난상황이 계속 이어지고 있으면(S32에서 "No") 처리부(14)는 상기 단계 S20으로 복귀하여 그 단계부터의 동작을 계속한다.
이번에는, 도 6을 기초로 하여 중간레벨인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에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중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는 다수의 하위레벨(즉, 최하위레벨을 의미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100)로부터 재난현장의 각 개별 구역에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는다(S300). 즉,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는 각각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100)의 처리부(14)에서 만들어진 룩업테이블 형태로 정리된 정보(즉, 해당 개별 구역에 투입된 자원의 현황 정보)가 수록된 파일을 제공받는다.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의 제어부(30)는 입력된 각 투입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2)에 저장시킨다(S310).
그리고, 제어부(30)는 입력받은 모든 투입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가공부(26)에게로 보낸다. 가공부(26)는 입력받은 모든 투입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취합하여 응용 프로그램 저장부(24)에 기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다수의 정보 영역으로 구획된 룩업테이블 형태의 파일로 가공한다. 이때, 가공부(26)는 GIS정보 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는 GIS정보에 근거하여 재난현장에 투입된 각 기관의 투입위치를 포함한 정보(예컨대, 기관명, 각 기관별 투입자원수와 투입위치 및 기능(투입임무) 등)를 함께 생성한다(S320).
그 후, 가공부(26)는 생성한 정보(즉, 룩업테이블 형태의 파일내의 정보 및 투입위치를 포함한 정보)를 표시부(28)에 디스플레이시킨다.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28)의 GIS정보 영역(DP1)에는 재난이 발생한 현장인 재난현장에 대한 3차원적인 지도가 디스플레이된다. 표시부(28)의 표시영역(DP2)에는 투입된 각 기관별 투입자원수와 투입위치 및 기능(투입임무) 등이 디스플레이된다(S330).
제어부(30)는 입력부(2)를 통해 현재 각 기관별로 투입된 자원에 대한 지시사항(변동데이터)(예컨대, 각 기관별로 투입된 자원에 대한 추가 투입, 철수, 교대 등을 지시하는 데이터)이 입력되는지를 체크한다(S340). 여기서, 현재 각 기관별로 투입된 자원에 대한 지시사항은 해당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의 운영자(즉, 중간지휘자급)가 입력하는 것으로 한다. 즉,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의 운영자(즉, 중간지휘자급)는 표시부(28)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현재의 각 기관별 투입자원들의 현황을 보고서 실시간으로 지시사항을 하달한다.
지시사항(변동데이터)이 입력되면(S340에서 "Yes") 예를 들어 어느 한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100)를 운영하는 운영자에게로 하달될 지시사항을 입력한 경우 제어부(30)는 입력된 지시사항(변동데이터)을 가공부(26)에게로 보낸다. 이와 함께, 제어부(30)는 입력된 지시사항(변동데이터)을 전송가능한 신호로 처리하여 소 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100)에게로 보낸다. 그리고, 가공부(26)는 입력된 지시사항(변동데이터)에 근거하여 현재의 각 기관별 투입자원의 현황을 수정한다(S350).
가공부(26)는 수정된 각 기관별 투입자원의 현황에 대한 정보가 룩업테이블 형태로 정리된 파일을 만들고서(S360), 상술한 단계 S330에서와 같이 표시부(28)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
만약, 상기의 단계 S340에서 지시사항(변동데이터)의 입력이 없다면(S340에서 "No") 제어부(30)는 가공부(26)에서 작성된 가장 최근의 파일(즉, 가장 최근의 각 기관별 투입자원의 현황을 알 수 있는 정보가 수록된 파일) 및 투입위치를 포함한 정보(예컨대, 3차원적인 GIS정보)를 최상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300)에게로 전송한다(S370). 그에 따라, 최상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300)를 운영하는 최상급지휘자는 표시부(40)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보고서 최고위급(예컨대, 청와대, 국정원, 비상기획위원회, 행정자치부 등) 의사결정라인으로 보고할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나서, 재난상황의 종료여부에 따라 상술한 단계 S340에서부터의 동작을 재개한다. 중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를 운영하는 운영자가 재난상황의 종료여부를 판단하거나, 최상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300)를 운영하는 운영자가 재난상황의 종료여부를 판단하여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에게로 알려준다.
이와 같이 하여 재난상황이 종료되었으면(S380에서 "Yes") 더이상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재난상황이 계속 이어지고 있으면(S380에서 "No") 제어부(30)는 상기 단계 S340으로 복귀하여 그 단계부터의 동작을 계속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최상위레벨인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300)에서의 동작에 대해서는 별도로 설명하지 않는다. 이는 앞서 설명한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에서의 출력결과에서 차이날 뿐 동작은 상호 유사하다.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의 표시부(28)에는 재난현장에 대한 3차원적인 지도 및 투입된 각 기관별 투입자원수와 투입위치 및 기능(투입임무) 등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300)의 표시부(400)에는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최고정책정보(즉, 가공부(38)에서 응용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현재 재난상황에 대하여 최종적인 결론을 내린 최고정책정보) 및 특별재난지역선포요건을 충족시키는지의 시각적인 정보(즉, 막대 그래프 형태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상술한 실시예 설명에서는 특별재난지역선포요건이 되는지를 막대 그래프 형태의 정보로 보여주는 것으로 하였는데, 막대 그래프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라도 시각적으로 금방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라면 무엇이어도 무방하다.
물론, 자세히 보면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와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300)의 동작이 기능적으로 서로 차이난다. 최상위레벨인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300)에서의 동작에 대해서는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앞서 설명한 중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의 동작 설명에 의해 충분히 이해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고체계를 3단계로 하여 3개 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를 가지고 설명하였는데, 보고체계를 2단계로 하여 상술한 중간레벨 및 최상위레벨을 하나의 레벨로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할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데이터베이스(22, 34)와 응용 프로그램 저장부(24, 36)와 가공부(26, 38)와 표시부(28, 40) 및 제어부(30, 42)에 대한 설명이 그에 상응되게 변경되면 된다. 즉, 중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에서 최상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300)에서의 기능까지 함께 수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되고, 반대로 최상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300)에서 중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200)의 기능까지 함께 수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러한 경우 특히, 가공부(26)가 가공부(38)의 기능을 함께 갖춘 것으로 보면 되거나 가공부(38)가 가공부(26)의 기능을 함께 갖춘 것으로 보면 된다. 이와 함께, 응용 프로그램 저장부(24)에는 응용 프로그램 저장부(36)내의 응용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으로 보거나 응용 그로그램 저장부(36)에 응용 프로그램 저장부(24)내의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보면 된다. 이는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앞서 설명한 내용으로 충분히 이해가능하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재난현장의 인적·물적 투 입자원의 현황을 현장 및 원격지의 상황실의 수준별 지휘자가 전술적 및 전략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단계적으로 연산 가공하여 제공해 줌으로써, 지휘자가 투입자원의 운영을 합리적으로 할 수 있고 투입자원의 희생을 보다 적극적으로 막을 수 있게 된다.
투입된 다수의 유관기관의 활동 등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재난현장에 투입된 다수의 유관기관 및 인력과 장비들을 유기적으로 통합운영할 수 있고 재난현장의 운영의 책임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적의 자원관리를 할 수 있어 최적의 대응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1)

  1. 재난현장의 어느 한 개별 구역에 투입되는 자원을 관리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투입되는 자원이 가지고 있는 보유 정보를 무선으로 체크하는 체크 포인트기;
    상기 투입되는 자원에 대하여 투입임무를 포함한 투입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체크 포인트기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해당하는 개별 구역에 투입되는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만들어 출력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유 정보는 해당 자원에게 부여된 RFID태그에 기록되어 있고,
    상기 체크 포인트기는 상기 RFID태그에 기록된 보유 정보를 독출하는 RFID판독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유 정보는 해당 자원에게 미리 부여된 단일의 고유 번호이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체크 포인트기에서 체크되어 전송되어 온 고유 번호를 근거로 외부의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하는 신상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현황 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유 정보는 해당 자원에게 미리 부여된 단일의 고유 번호 및 신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체크 포인트기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정보를 취합하여 다수의 정보 영역으로 구획된 룩업테이블 형태의 파일로 만들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정보들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표시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7. 재난현장의 각 개별 구역에 투입된 투입자원을 원격지에서 관리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재난현장의 각 개별 구역에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투입된 자원에 대 한 현황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재난현장의 모든 개별 구역에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로 가공하는 가공부; 및
    상기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고, 상기 저장시킨 다수의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상기 가공부에게로 보내어 가공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GIS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GIS정보 저장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가공부는 상기 GIS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GIS정보에 근거하여 재난현장의 각 개별 구역에 투입된 기관의 투입위치를 포함한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는 상기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로부터의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기초로 다수의 정보 영역으로 구획된 룩업테이블 형태의 파일로 만들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10.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표시부를 추가 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11.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으로서,
    재난현장의 각 개별 구역에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 및
    상기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와 쌍방향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로부터의 투입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재난현장의 모든 개별 구역에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상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의 각각은, 상기 재난현장의 해당 개별 구역에 투입되는 자원이 가지고 있는 보유 정보를 무선으로 체크하는 체크 포인트기, 상기 투입되는 자원에 대하여 투입임무를 포함한 투입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체크 포인트기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개별 구역에 투입되는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만들어 출력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보유 정보는 해당 자원에게 부여된 RFID태그에 기록되어 있고,
    상기 체크 포인트기는 상기 RFID태그에 기록된 보유 정보를 독출하는 RFID판독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보유 정보는 해당 자원에게 미리 부여된 단일의 고유 번호이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체크 포인트기에서 체크되어 전송되어 온 고유 번호를 근거로 외부의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하는 신상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현황 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보유 정보는 해당 자원에게 미리 부여된 단일의 고유 번호 및 신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체크 포인트기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정보를 다수의 정보 영역으로 구획된 룩업테이블 형태의 파일로 만들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16.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5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정보들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표시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17.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으로서,
    재난현장의 각 개별 구역에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 및
    상기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와 쌍방향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로부터의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재난현장의 모든 개별 구역에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상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상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는, 상기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로부터 제공받은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재난현장의 모든 개별 구역에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로 가공하는 가공부, 및 상기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고 상기 저장시킨 다수의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상기 가공부에게로 보내어 가공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상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는 GIS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GIS정보 저장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가공부는 상기 GIS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GIS정보에 근거하여 재난현장의 각 개별 구역에 투입된 기관의 투입위치를 포함한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는 상기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로부터의 투입된 자원에 대한 관리 정보를 기초로 다수의 정보 영역으로 구획된 룩업테이블 형태의 파일을 만들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20. 청구항 17 내지 청구항 19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표시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21. 재난현장의 어느 한 개별 구역에 투입되는 자원을 관리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방법으로서,
    체크 포인트기가, 상기 투입되는 자원이 가지고 있는 보유 정보를 무선으로 체크하는 체크 단계;
    입력부가, 상기 투입되는 자원에 대하여 투입임무를 포함한 투입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단계; 및
    처리부가, 상기 체크 단계 및 상기 입력 단계에서의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개별 구역에 투입되는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만들어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방법.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보유 정보는 해당 자원에게 미리 부여된 단일의 고유 번호이고,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체크 포인트기에서 체크되어 전송되어 온 고유 번호를 근거로 외부의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하는 신상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현황 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방법.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보유 정보는 해당 자원에게 미리 부여된 단일의 고유 번호 및 신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방법.
  24.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체크 단계를 거친 정보 및 상기 입력 단계를 거친 정보를 취합하여 다수의 정보 영역으로 구획된 룩업테이블 형태의 파일로 만들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방법.
  25. 청구항 21 내지 청구항 24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계에서 출력되는 정보들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표시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방법.
  26. 재난현장의 각 개별 구역에 투입된 투입자원을 원격지에서 관리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방법으로서,
    가공부가, 상기 재난현장의 각 개별 구역에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재난현장의 모든 개별 구역에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로 가공하는 가공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고, 상기 저장시킨 다수의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상기 가공부에게로 보내어 가공하게 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방법.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가공 단계는 GIS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GIS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GIS정보에 근거하여 재난현장의 각 개별 구역에 투입된 기관의 투입위치를 포함한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방법.
  28.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가공 단계는 상기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로부터의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기초로 다수의 정보 영역으로 구획된 룩업테이블 형태의 파일을 만들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방법.
  29. 청구항 26 내지 청구항 28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단계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표시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방법.
  30. 재난대응 자원 관리 방법으로서,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가, 재난현장의 각 개별 구역에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제 1과정; 및
    상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가, 상기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와 쌍방향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로부터의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재난현장의 모든 개별 구역에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제 2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과정은, 상기 재난현장의 해당 개별 구역에 투입되는 자원이 가지고 있는 보유 정보를 무선으로 체크하는 체크 단계; 상기 투입되는 자원에 대하여 투입임무를 포함한 투입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단계; 및 상기 체크 단계 및 상기 입력 단계에서의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개별 구역에 투입되는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만들어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방법.
  31. 재난대응 자원 관리 방법으로서,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가, 재난현장의 각 개별 구역에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제 1과정; 및
    상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가, 상기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와 쌍방향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로부터의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재난현장의 모든 개별 구역에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제 2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과정은, 상기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재난현장의 각 개별 구역에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재난현장의 모든 개별 구역에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로 가공하는 가공 단계; 및 상기 다수의 하위레벨의 재난대응 자원 관리장치로부터의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고, 상기 저장시킨 다수의 투입된 자원에 대한 현황 정보를 가공하게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응 자원 관리 방법.
KR1020070048439A 2007-05-18 2007-05-18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800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439A KR100800023B1 (ko) 2007-05-18 2007-05-18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439A KR100800023B1 (ko) 2007-05-18 2007-05-18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0023B1 true KR100800023B1 (ko) 2008-02-01

Family

ID=39342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439A KR100800023B1 (ko) 2007-05-18 2007-05-18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002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748B1 (ko) 2008-03-27 2011-01-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구조물의 파일 설계 관리 시스템
KR101044251B1 (ko) 2010-03-22 2011-06-28 (주)위니텍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420911B1 (ko) 2012-02-10 2014-07-16 박범규 양방향통신을 이용한 국가 재난 방재 및 스마트 방범시스템
KR101876717B1 (ko) * 2017-12-06 2018-07-13 주식회사 피씨엔 재난재해 복구를 위한 복구 자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80108220A (ko) 2017-03-24 2018-10-04 주식회사 넥토마이닝 폴대와 지향성 스피커를 사용한 이동차량 기반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63729A (ko)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넥토마이닝 사회재난 대응을 위한 융복합기술 기반의 카메라와 센서 네트워크와 지향성 스피커를 사용한 인명지킴이 시스템
KR20210054109A (ko) 2019-11-04 2021-05-13 (주)유엔이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20037004A (ko) 2020-09-16 2022-03-24 (주)유엔이 지능형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4078A (ja) 1996-12-18 1998-12-18 Hitachi Ltd 災害時意思決定支援装置及び方法及び災害時の意思決定を支援するための実行手順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WO2002035413A1 (fr) 2000-10-20 2002-05-02 Secom Co.,Ltd. Systeme d'assistance de commande, terminal de commande et dispositif de centre de commande
JP2002324288A (ja) 2001-04-26 2002-11-08 Japan Atom Energy Res Inst 緊急時及び平常時両用機能と情報の時空間及び自律分散管理機能を有する災害情報システム及びそれによる被害の推定方法
KR20040096180A (ko) * 2003-05-07 2004-11-16 서경종 통신네트워크로 연결된 비상상황제어관리시스템과 이를이용한 비상상황제어관리사업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 의해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KR20050037017A (ko) * 2003-10-17 2005-04-21 주식회사 도래정보시스템 통합 방재 시스템
KR20050089540A (ko) * 2004-03-05 2005-09-08 주식회사 스마트로 무선 주파수 통신을 이용한 상품 식별 태그 및 상품 관리방법
KR20070053989A (ko) * 2005-11-22 2007-05-2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태그의 프라이버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4078A (ja) 1996-12-18 1998-12-18 Hitachi Ltd 災害時意思決定支援装置及び方法及び災害時の意思決定を支援するための実行手順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WO2002035413A1 (fr) 2000-10-20 2002-05-02 Secom Co.,Ltd. Systeme d'assistance de commande, terminal de commande et dispositif de centre de commande
JP2002324288A (ja) 2001-04-26 2002-11-08 Japan Atom Energy Res Inst 緊急時及び平常時両用機能と情報の時空間及び自律分散管理機能を有する災害情報システム及びそれによる被害の推定方法
KR20040096180A (ko) * 2003-05-07 2004-11-16 서경종 통신네트워크로 연결된 비상상황제어관리시스템과 이를이용한 비상상황제어관리사업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 의해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KR20050037017A (ko) * 2003-10-17 2005-04-21 주식회사 도래정보시스템 통합 방재 시스템
KR20050089540A (ko) * 2004-03-05 2005-09-08 주식회사 스마트로 무선 주파수 통신을 이용한 상품 식별 태그 및 상품 관리방법
KR20070053989A (ko) * 2005-11-22 2007-05-2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태그의 프라이버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748B1 (ko) 2008-03-27 2011-01-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구조물의 파일 설계 관리 시스템
KR101044251B1 (ko) 2010-03-22 2011-06-28 (주)위니텍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420911B1 (ko) 2012-02-10 2014-07-16 박범규 양방향통신을 이용한 국가 재난 방재 및 스마트 방범시스템
KR20180108220A (ko) 2017-03-24 2018-10-04 주식회사 넥토마이닝 폴대와 지향성 스피커를 사용한 이동차량 기반 재난 대응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63729A (ko)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넥토마이닝 사회재난 대응을 위한 융복합기술 기반의 카메라와 센서 네트워크와 지향성 스피커를 사용한 인명지킴이 시스템
KR101876717B1 (ko) * 2017-12-06 2018-07-13 주식회사 피씨엔 재난재해 복구를 위한 복구 자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54109A (ko) 2019-11-04 2021-05-13 (주)유엔이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20037004A (ko) 2020-09-16 2022-03-24 (주)유엔이 지능형 위기경보수준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023B1 (ko)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1160610B (zh) 集合设备
US20130197951A1 (en) Incident Management and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Preece et al. Using the Viable System Model (VSM) to structure information processing complexity in disaster response
CN110114794A (zh) 事故指挥系统中的针对第一响应者的智能调试
US20100102929A1 (en) Protection, security and displacement tracking luminous badge system
WO20071313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services, medical and community response to critical incidents
WO2007016304A2 (en) Digital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emergency and disaster plan implementation
US20150050950A1 (en) Checkpoint system and process
AU20052957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situation awareness
US200401742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personnel at a site
Parry-Jones et al. Crisis management for biobanks
KR101722713B1 (ko) 구역별 위치 추적 시스템
US10165413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Ibrahim et al. Favorable working environment in promoting safety at workplace
Blake et al. Disaster Preparedness: Mitigation, Response, and Recovery to Ensure Staffing Excellence in Los Angeles County.
US20210258757A1 (en) Emergency Response Communication System
KR102059579B1 (ko) 재난 발생 신고의 수보 정보에 따른 재난 대응 정보 관리 시스템
Kapalo et al. First In, Left Out: Current Technological Limit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Fire Engine Companies.
JP6829942B2 (ja) 発災時初動支援キット
US20220051543A1 (en) Autonomous Monitoring System
KR102617545B1 (ko) 비상기구함을 이용한 안전관리시스템
US202301292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nd updating device safety data by both owners and non-owners of devices
Johnson GIS technology and applications for the fire services
REYES APPROVAL P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