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251B1 -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251B1
KR101044251B1 KR1020100025177A KR20100025177A KR101044251B1 KR 101044251 B1 KR101044251 B1 KR 101044251B1 KR 1020100025177 A KR1020100025177 A KR 1020100025177A KR 20100025177 A KR20100025177 A KR 20100025177A KR 101044251 B1 KR101044251 B1 KR 101044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aster
response
site
manag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은희
Original Assignee
(주)위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니텍 filed Critical (주)위니텍
Priority to KR1020100025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2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73Antenna detai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수단들 및 운전자들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VDMS(Vehicle and Driver Management System)를 포함하는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제1 고정형 리더(reader)기, 복수의 제2 고정형 리더기, 복수의 지휘자용 단말기, 중앙 관리부, 및 상황실용 단말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은 재난현장 대응자원을 실시간으로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므로, 재난 대응 기관의 업무가 경감될 수 있고, 재난 대응 기관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재난에도 신속하게 대응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System for managing resources for disaster response 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자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지역에는 자연재해나 화재 등과 같은 재난이 발생할 때, 이에 즉시 대응하기 위한 재난 대응 기관이 있다. 재난 대응 기관으로는 예를 들어, 경찰서, 군부대, 소방서, 봉사단체, 및 각종 유관기관 등을 들 수 있다.
재난 발생 지역 내에 있는 재난 대응 기관에 재난 발생 신고가 접수되면, 해당 재난 대응 기관은 재난 대응 장비를 갖춘 재난 대응 요원들을 재난 현장에 파견한다. 재난 대응 요원들이 재난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도록 하기 위해, 재난 현장의 지휘자가 재난 대응 요원들에게 업무를 지시한다. 재난 대응 요원들은 지휘자의 지시에 따라 재난 현장에서 인명을 구조하고 현장을 수습한다.
하지만, 종래에는 재난 현장 지휘자가 자신의 육감과 기억에 의존하여, 재난 대응 요원들의 활동을 지휘 및 통제하였으므로, 재난 현장 투입시간의 초과로 인한 재난 대응 요원의 부상, 조난, 또는 순직과 같은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사례가 빈발하였다. 일례로, 2008년 8월의 경기도 이천 냉동창고 화재 시, 소방차량 운전 요원이 화재 현장에 투입되어 순직하는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이처럼 현장 투입 요원의 관리체계 미비로 인하여 재난 상황이 종료될 때까지도 해당 요원의 순직 사실이 파악되지 않는 사례가 발생되고 있다. 1998년부터 2007년까지의 10년간 소방대원의 전체 순직사고 중 매몰이나 질식으로 인한 사고가 대략 46.2%로서 아주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재난 대응 요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재난 대응 요원들이 재난에 신속하게 대응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재난 대응 장비의 유지 및 보수도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종래에는 관리자가 직접 수작업에 의해 재난 대응 장비나 운송 수단의 상태를 점검하고 기록하였으므로, 재난 대응 자원에 대한 실시간 관리가 어렵고, 관리자의 업무가 가중되었다. 따라서 재난 대응 자원을 실시간으로 또한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재난현장 대응을 위한 인력 및 물적 자원을 실시간으로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재난 대응 기관의 업무를 경감시키고, 재난현장 지휘관의 효과적인 지휘 및 통제와 재난 대응 기관이 재난에 신속하게 대응함으로써, 인명 및 재산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재난현장 대응을 위한 인력 및 물적 자원을 실시간으로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재난 대응 기관의 업무를 경감시키고, 재난현장 지휘관의 효과적인 지휘 및 통제와 재난 대응 기관이 재난에 신속하게 대응함으로써, 인명 및 재산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수단들 및 운전자들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VDMS(Vehicle and Driver Management System)를 포함하는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제1 고정형 리더(reader)기, 복수의 제2 고정형 리더기, 복수의 지휘자용 단말기, 중앙 관리부, 및 상황실용 단말기를 더 포함한다. 복수의 제1 고정형 리더기는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의 운송 수단 보관 장소에 각각 설치된다.
복수의 제1 고정형 리더기 각각은, 재난 대응 요원들, 재난 대응 장비들, 및 운송 수단들이 운송 수단 보관 장소를 출입할 때마다, 재난 대응 요원들의 개인 보호 장비에 부착된 제1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tag)들, 재난 대응 장비들에 부착된 제2 RFID 태그들, 및 운송 수단들에 부착된 제3 RFID 태그들을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따라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들을 중앙 관리부에 출력한다.
복수의 제2 고정형 리더기는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에 각각 보유되는 복수의 출입 게이트(gate)에 각각 설치된다. 복수의 제2 고정형 리더기 각각은, 재난 발생 시 재난 현장의 입구 주변에 간이 설치된 해당 출입 게이트를 통하여 재난 대응 요원들 및 재난 대응 장비들이 재난 현장을 출입할 때마다, 제1 및 제2 RFID 태그들을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따라 제1 및 제2 태그 정보들을 중앙 관리부에 출력한다.
복수의 지휘자용 단말기는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에 각각 소속된 현장 지휘자들에 의해 각각 휴대 된다. 복수의 지휘자용 단말기 각각은, 중앙 관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제1 내지 제3 변환 데이터에 기초하여,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복수의 지휘자용 단말기 각각은, 중앙 관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제1 및 제2 투입 설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출입 게이트를 통하여 재난 현장에 투입된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투입 경과 시간 및 교대 주기를 표시하고, 해당 출입 게이트를 통하여 재난 현장에 투입된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을, 재난 현장에 투입되지 않은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과 다르게 구분하여 표시한다.
중앙 관리부는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제1 고정형 리더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들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4 변환 데이터를 출력한다. 중앙 관리부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제2 고정형 리더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제1 및 제2 태그 정보들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투입 설정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황실용 단말기는 상황실 근무자의 조작에 따라, 외부의 긴급구조 시스템을 통하여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재난 발생 지역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현장 대응 센터에 보유된 출동 명령 접수 단말기에 출동 명령 정보를 통지한다. 상황실용 단말기는 중앙 관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제1 내지 제3 변환 데이터에 기초하여, 재난 현장에 출동한 해당 현장 대응 센터 소속의 재난 대응 요원들에 대한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 재난 현장으로 운반된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 및 재난 현장에 출동한 운송 수단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상황실용 단말기는 중앙 관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제1 및 제2 투입 설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출입 게이트를 통하여 재난 현장에 투입된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투입 경과 시간 및 교대 주기를 표시하고, 해당 출입 게이트를 통하여 재난 현장에 투입된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을, 재난 현장에 투입되지 않은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과 다르게 구분하여 표시한다.
VDMS는 중앙 관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제4 변환 데이터에 기초하여, 재난 현장까지의 최단 경로 및 도로 상황 정보와, 운송 수단의 상태 및 운전자의 상태에 따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안내 정보를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중앙 관리부에 의해,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에 각각 보유된 복수의 휴대용 리더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재난 대응 요원의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 및 제1 태그 정보, 또는 재난 대응 장비의 점검 정보 및 제2 태그 정보, 또는 운송 수단에 관한 기본 정보 및 제3 태그 정보를 수신할 때, 그 수신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제1 저장 단계; 중앙 관리부에 의해, 운송 수단들 및 운전자들의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VDMS(Vehicle and Driver Management System)로부터, 운송 수단들 및 운전자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때, 그 수신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제2 저장 단계;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에 각각 보유된 복수의 지휘자용 단말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에 각각 보유된 복수의 관리자용 단말기 중 하나, 또는 상황실용 단말기로부터, 중앙 관리부에 저장된 정보의 송신을 요청받을 때, 중앙 관리부에 의해, 복수의 지휘자용 단말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관리자용 단말기 중 하나, 또는 상황실용 단말기에, 요청된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정보 제공 단계; 상황실용 단말기에 의해, 재난 신고를 접수할 때, 외부의 긴급 구조 시스템을 통하여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적어도 하나에 보유된 출동 명령 접수 단말기에 출동 명령 정보를 통지하는 단계; 및 중앙 관리부에 의해,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적어도 하나에 소속된 재난 대응 요원들이 재난 현장에 출동하는 시점부터 재난 수습 완료 후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적어도 하나에 복귀하는 시점까지, VDMS, 재난 현장에 출동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지휘자용 단말기, 상황실용 단말기, 및 긴급 구조 시스템에, 중앙 관리부에 저장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재난 대응 상황별로 필요한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를 각각 제공하는 제2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정보 제공 단계에서, 재난 현장에 출동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지휘자용 단말기와, 상황실용 단말기 각각에, 재난 현장에 출동한 재난 대응 요원들에 대한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 재난 현장으로 운반된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 및 재난 현장에 출동한 운송 수단들에 관한 정보들이 표시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은, 재난현장 대응자원을 실시간으로 체계적으로 관리하므로, 재난 대응 기관의 업무가 경감될 수 있고, 재난 대응 기관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재난에도 신속하게 대응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계 1900의 상세한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단계 1800과 관련된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단계 1907 내지 단계 1914와 관련된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단계 1916 내지 단계 1919와 관련된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도 1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만이 도시되고, 각 구성 요소들 간의 송수신 신호의 도시가 생략된다.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100)은 복수의 제1 고정형 리더(reader)기(FR1∼FRK)(K는 자연수), 복수의 제2 고정형 리더기(SR1∼SRK), 복수의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중앙 관리부(110), 상황실용 단말기(120), 및 VDMS(Vehicle and Driver Management System)(130)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1 고정형 리더기(FR1∼FRK)는,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의 운송 수단 보관 장소에 각각 설치된다. 복수의 제1 고정형 리더기(FR1∼FRK) 각각은, 재난 대응 요원들, 재난 대응 장비들, 및 운송 수단들이 운송 수단 보관 장소를 출입할 때마다, 재난 대응 요원들의 개인 보호 장비에 부착된 제1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tag)들(예를 들어, T11), 재난 대응 장비들에 부착된 제2 RFID 태그들(예를 들어, T12), 및 운송 수단들에 부착된 제3 RFID 태그들(예를 들어, T13)을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따라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들(FTG1∼FTGJ, STG1∼STGL, TTG1∼TTGN)(J, L, N은 자연수)을 중앙 관리부(110)에 출력한다.
여기에서,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들(FTG1∼FTGJ, STG1∼STGL, TTG1∼TTGN) 각각은, 재난 대응 요원들, 재난 대응 장비들, 및 운송 수단들이 각각 소속된 현장 대응 센터를 나타내는 코드 정보와 개별 식별 코드 정보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2 고정형 리더기(SR1∼SRK)는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에 각각 보유되는 복수의 출입 게이트(gate)에 각각 설치된다. 복수의 제2 고정형 리더기(SR1∼SRK) 각각은, 재난 발생 시 재난 현장의 입구 주변에 간이 설치된 해당 출입 게이트를 통하여 재난 대응 요원들 및 재난 대응 장비들이 재난 현장을 출입할 때마다, 제1 및 제2 RFID 태그들을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따라 제1 및 제2 태그 정보들(FTG1∼FTGJ, STG1∼STGL)을 중앙 관리부(110)에 출력한다.
복수의 지휘자용 단말기(DT1∼DTK)는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에 각각 소속된 현장 지휘자들에 의해 각각 휴대 된다. 복수의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각각은, 중앙 관리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제1 내지 제3 변환 데이터(CDAT1∼CDAT3)에 기초하여, 재난 현장에 출동한 해당 현장 대응 센터 소속의 재난 대응 요원들에 대한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 재난 현장으로 운반된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 및 재난 현장에 출동한 운송 수단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재난 대응 요원들에 대한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은,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에 대한 경력, 인적사항, 전문기술력, 병적기록, 보직, 혈액형, 및 과거의 재난 대응 활동 이력에 관한 정보들을 포함한다.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은, 재난 대응 장비들 각각에 대한 점검 정보 이력, 수명, 및 소모품 교체주기에 관한 정보들을 포함한다.
운송 수단들에 관한 정보는 운송 수단들 각각에 대한 기본정보, 운행기록, 고장 이력, 정비 이력, 차량 진단 정보, 소모품 교체주기, 및 연료 소모량에 관한 정보들을 포함한다.
운전자들에 관한 정보는 운전자들 각각에 대한 운전성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복수의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각각은, 중앙 관리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제1 투입 설정 데이터(INDAT1)에 기초하여, 해당 출입 게이트를 통하여 재난 현장에 투입된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투입 경과 시간 및 교대 주기를 표시한다. 복수의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각각은, 중앙 관리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제2 투입 설정 데이터(INDAT2)에 기초하여, 해당 출입 게이트를 통하여 재난 현장에 투입된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을, 재난 현장에 투입되지 않은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과 다르게 구분하여 표시한다.
복수의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각각은, 중앙 관리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제1 투입 해제 데이터(OUTDAT1)에 기초하여, 출입 게이트를 통하여 재난 현장으로부터 빠져나온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투입 해제를 표시한다. 복수의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각각은, 중앙 관리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제2 투입 해제 데이터(OUTDAT2)에 기초하여, 출입 게이트를 통하여 재난 현장으로부터 빠져나온 재난 대응 장비들의 투입 해제를 표시한다.
복수의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각각은, 중앙 관리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제1 내지 제3 복귀 완료 데이터(RDAT1∼RDAT3)에 기초하여 해당 현장 대응 센터로 복귀한 재난 대응 요원들, 재난 대응 장비들, 및 운송 수단들의 복귀 완료를 표시한다. 따라서, 재난 상황 종료 후, 현장 지휘자는 현장 대응 센터에 복귀하지 않은 재난 대응 자원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복수의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각각은, 재난 현장의 수습이 완료된 후, 현장 지휘자의 입력에 따라, 재난 수습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재난 수습 완료 정보(ENIF)와,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재난 대응 활동 내용에 오류가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 요원 활동 확인 정보(ACTIF)를 정보변환 관리부(112)에 출력한다. 현장 지휘자는 재난 수습이 완료되면, 해당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중 하나)를 조작하여, 재난 수습이 완료되었음을 상황실 근무자에게 보고할 수 있다. 이때, 현장 지휘자는 해당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중 하나)에 표시된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재난 대응 활동 사항을 확인하여, 해당 사항이 맞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그 결과, 해당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중 하나)가 현장 지휘자의 체크 사항에 기초한 요원 활동 확인 정보(ACTIF)를 정보변환 관리부(112)에 출력한다.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복수의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재난 수습 완료 정보(ENIF)와 요원 활동 확인 정보(ACTIF)를 수신할 때, 재난 수습 완료 정보(ENIF)를 상황실용 단말기(120)와 긴급 구조 시스템(101)에 송신한다. 그 결과, 상황실 근무자는 재난 상황의 수습이 완료된 것을 인식한다.
또,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요원 활동 확인 정보(ACTIF)에 기초하여, 재난 현장에 출동한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활동 정보(MACTIF)를 생성하고, 재난 현장에 출동한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활동 정보(MACTIF)를 외부의 인사행정정보 시스템(103)에 송신한다.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제1 및 제2 고정형 리더기에 의해 각각 인식된 제1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재난 현장에 출동하거나, 재난 현장에 투입된 해당 재난 대응 요원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활동 상황(예를 들어, 활동 시간, 재난 현장 대응의 난이도, 활동 종류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인사행정정보 시스템(103)은, 정보변환 관리부(112)로부터 수신되는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활동 정보(MACTIF)에 기초하여,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업무 실적 및 기여도에 따른 마일리지를 산출하고, 그 산출 결과에 따라,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마일리지 정보를 갱신 저장한다. 이 후, 인사행정정보 시스템(103)에 저장된 각 재난 대응 요원별 마일리지 정보에 따라, 각 재난 대응 요원에게 표창, 성과급, 해외연수 등과 같은 각종 포상이 주어진다.
상술한 것과 같이,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100)은 각 재난 대응 요원의 재난 대응 활동에 따른 마일리지를 전산화하여 자동으로 산출하므로, 행정 업무 담당자의 업무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중앙 관리부(110)는 유선 통신망(N2) 또는 무선 통신망(N1)을 통하여 제1 고정형 리더기(FR1∼FRK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들(FTG1∼FTGJ 중 적어도 하나, STG1∼STGL 중 적어도 하나, TTG1∼TTGN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4 변환 데이터(CDAT1∼CDAT4)를 출력한다.
중앙 관리부(110)는 무선 통신망(N1)을 통하여 제2 고정형 리더기(SR1∼SRK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제1 및 제2 태그 정보들(FTG1∼FTGJ 중 적어도 하나, STG1∼STGL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투입 설정 데이터(INDAT1, INDAT2)를 출력한다.
중앙 관리부(110)는, 무선 통신망(N1)을 통하여 제2 고정형 리더기(SR1∼SRK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실시간으로 재수신되는 제1 및 제2 태그 정보들(FTG1∼FTGJ 중 적어도 하나, STG1∼STGL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투입 해제 데이터(OUTDAT1, OUTDAT2)를 더 출력한다. 중앙 관리부(110)는 유선 통신망(N2) 또는 무선 통신망(N1)을 통하여 제1 고정형 리더기(FR1∼FRK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실시간으로 재수신되는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들(FTG1∼FTGJ 중 적어도 하나, STG1∼STGL 중 적어도 하나, TTG1∼TTGN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복귀 완료 데이터(RDAT1∼RDAT3)를 더 출력한다.
중앙 관리부(110)의 구성 및 동작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앙 관리부(110)는 RFID 정보 관리부(111), 정보변환 관리부(112), 재난대응 요원정보 DB(113), 및 장비상태 점검정보 DB(114)를 포함한다.
RFID 정보 관리부(111)는 유선 통신망(N2) 또는 무선 통신망(N1)을 통하여 제1 고정형 리더기(FR1∼FRK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들(FTG1∼FTGJ 중 적어도 하나, STG1∼STGL 중 적어도 하나, TTG1∼TTGN 중 적어도 하나)을 실시간으로 수신한 후,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들(FTG1∼FTGJ 중 적어도 하나, STG1∼STGL 중 적어도 하나, TTG1∼TTGN 중 적어도 하나)과, 출동 알림 정보(GAIF)를 정보변환 관리부(112)에 출력한다.
RFID 정보 관리부(111)는 유선 통신망(N2) 또는 무선 통신망(N1)을 통하여 제1 고정형 리더기(FR1∼FRK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들(FTG1∼FTGJ 중 적어도 하나, STG1∼STGL 중 적어도 하나, TTG1∼TTGN 중 적어도 하나)을 재수신한 후,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들(FTG1∼FTGJ 중 적어도 하나, STG1∼STGL 중 적어도 하나, TTG1∼TTGN 중 적어도 하나)과, 복귀 알림 정보(RTIF)를 정보변환 관리부(112)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RFID 정보 관리부(111)가 제1 고정형 리더기(FR1)로부터 재난 대응 요원의 제1 태그 정보(FTG1)를 처음 수신할 때, 제1 태그 정보(FTG1)와 출동 알림 정보(GAIF)를 정보변환 관리부(112)에 출력한다. 이 후, RFID 정보 관리부(111)가 제1 고정형 리더기(FR1)로부터 재난 대응 요원의 제1 태그 정보(FTG1)를 두 번째 수신할 때, 제1 태그 정보(FTG1)와 복귀 알림 정보(RTIF)를 정보변환 관리부(112)에 출력한다.
RFID 정보 관리부(111)가 무선 통신망(N1)을 통하여 제2 고정형 리더기(SR1∼SRK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및 제2 태그 정보들(FTG1∼FTGJ 중 적어도 하나, STG1∼STGL 중 적어도 하나)을 실시간으로 수신한 후, 제1 및 제2 태그 정보들(FTG1∼FTGJ 중 적어도 하나, STG1∼STGL 중 적어도 하나)과, 현장 투입 알림 정보(INAIF)를 정보변환 관리부(112)에 출력한다.
RFID 정보 관리부(111)가 무선 통신망(N1)을 통하여 제2 고정형 리더기(SR1∼SRK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및 제2 태그 정보들(FTG1∼FTGJ 중 적어도 하나, STG1∼STGL 중 적어도 하나)을 실시간으로 재수신한 후, 제1 및 제2 태그 정보들(FTG1∼FTGJ 중 적어도 하나, STG1∼STGL 중 적어도 하나)과, 투입 해제 알림 정보(OUTAIF)를 정보변환 관리부(112)에 출력한다.
재난대응 요원정보 DB(113)는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에 소속된 재난 대응 요원들에 대한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PIF1∼PIFJ) 및 제1 태그 정보들(FTG1∼FTGJ)을 저장한다.
장비상태 점검정보 DB(114)는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에 소속된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DIF1∼DIFL) 및 제2 태그 정보들(STG1∼STGL)을 저장한다. 장비상태 점검정보 DB(114)는 운송 수단들에 관한 기본 정보들(PIF1∼PIFN) 및 제3 태그 정보들(TTG1∼TTGN)을 저장한다. 또, 장비상태 점검정보 DB(114)는 VDMS(130)에 의해 수집된 운송 수단들 및 운전자들에 관한 정보(VIF1∼VIFN, WIF1∼WIFN)와 제3 태그 정보들(TTG1∼TTGN)을 저장한다.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RFID 정보 관리부(111)로부터 출동 알림 정보(GAIF)와 함께 수신되는 제1 태그 정보들(FTG1∼FTGJ)에 기초하여, 재난 현장에 출동한 해당 현장 대응 센터 소속의 재난 대응 요원들에 대한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PIF1∼PIFJ)을 재난대응 요원정보 DB(113)로부터 독출한다.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RFID 정보 관리부(111)로부터 출동 알림 정보(GAIF)와 함께 수신되는 제2 태그 정보들(STG1∼STGL)에 기초하여, 재난 현장에 운반되는 해당 현장 대응 센터 소속의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DIF1∼DIFL)을 장비상태 점검정보 DB(114)로부터 독출한다.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독출한 재난 대응 요원들에 대한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PIF1∼PIFJ) 및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DIF1∼DIFL)을 그래픽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여 제1 및 제2 변환 데이터(CDAT1, CDAT2)를 재난 현장에 출동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중 적어도 하나), 상황실용 단말기(120), 및 긴급 구조 시스템(101)에 각각 출력한다.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RFID 정보 관리부(111)로부터 출동 알림 정보(GAIF)와 함께 수신되는 출동 알림 정보(GAIF)와 함께 수신되는 제3 태그 정보들(TTG1∼TTGN)에 기초하여, 재난 현장에 출동한 해당 현장 대응 센터 소속의 운송 수단들 및 운전자들에 관한 정보(VIF1∼VIFN, WIF1∼WIFN)를 장비상태 점검정보 DB(114)로부터 독출한다.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독출한 운송 수단들에 관한 정보(VIF1∼VIFN)를 그래픽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여 제3 변환 데이터(CDAT3)를 재난 현장에 출동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중 적어도 하나), 상황실용 단말기(120), 및 긴급 구조 시스템(101)에 각각 출력한다.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독출된 운송 수단들 및 운전자들에 관한 정보(VIF1∼VIFN, WIF1∼WIFN)와, 긴급구조 시스템(101)으로부터 수신되는 재난 현장의 위치 정보(LCIF) 및 도로 상황 정보(TRIF)에 기초하여, 제4 변환 데이터(CDAT4)를 VDMS(130)에 출력한다.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긴급구조 시스템(101)으로부터 어떤 재난이 발생했는지에 관한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복귀 알림 정보(RTIF)와 함께 수신되는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들(FTG1∼FTGJ 중 적어도 하나, STG1∼STGL 중 적어도 하나, TTG1∼TTGN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해당 현장 대응 센터로 복귀한 재난 대응 요원들, 재난 대응 장비들, 및 운송 수단들을 인식하고, 제1 내지 제3 복귀 완료 데이터(RDAT1∼RDAT3)를, 재난 현장에 출동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중 적어도 하나), 상황실용 단말기(120), 및 긴급 구조 시스템(101)에 각각 출력한다.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RFID 정보 관리부(111)로부터 현장 투입 알림 정보(INAIF)와 함께 수신되는 제1 및 제2 태그 정보들(FTG1∼FTGJ 중 적어도 하나, STG1∼STGL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재난 대응 요원들 및 재난 대응 장비들의 투입 시점을 인식하고, 제1 및 제2 투입 설정 데이터(INDAT1, INDAT2)를 재난 현장에 출동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중 적어도 하나)와, 상황실용 단말기(120)에 각각 출력한다.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투입 시점에 기초하여, 투입 경과 시간을 체크한다.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재난 대응 요원들 중 설정된 시간이 경과 할 때까지 재난 현장을 빠져나오지 않은 재난 대응 요원이 있을 때, 해당 재난 대응 요원에 대한 경보 데이터(ARDAT)를 재난 현장에 출동한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해당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중 적어도 하나)와, 상황실용 단말기(120)에 각각 출력한다.
재난 현장에 출동한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해당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중 적어도 하나)와 상황실용 단말기(120)는, 정보변환 관리부(112)로부터 수신되는 경보 데이터(ARDAT)에 기초하여 설정된 시간이 경과 할 때까지 재난 현장을 빠져나오지 않은 재난 대응 요원이 있음을 상황실 근무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람 정보를 각각 표시한다. 그 결과, 현장 지휘자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 할 때까지 재난 현장을 빠져나오지 않은 재난 대응 요원이 있음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재난 현장의 수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RFID 정보 관리부(111)로부터 투입 해제 알림 정보(OUTAIF)와 함께 수신되는 제1 및 제2 태그 정보들(FTG1∼FTGJ 중 적어도 하나, STG1∼STGL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재난 대응 요원들 및 재난 대응 장비들의 투입 해제 시점을 인식하고, 제1 및 제2 투입 해제 데이터(OUTDAT1, OUTDAT2)를 재난 현장에 출동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중 적어도 하나)와, 상황실용 단말기(120)에 각각 출력한다.
상황실용 단말기(120)는 상황실 근무자의 조작에 따라, 외부의 긴급구조 시스템(101)을 통하여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재난 발생 지역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현장 대응 센터에 보유된 출동 명령 접수 단말기(RT1∼RTK 중 하나)에 출동 명령 정보(CMD)를 통지한다.
상황실용 단말기(120)는 중앙 관리부(110)의 정보변환 관리부(112)로부터 수신되는 제1 내지 제3 변환 데이터(CDAT1∼CDAT3)에 기초하여, 재난 현장에 출동한 해당 현장 대응 센터 소속의 재난 대응 요원들에 대한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PIF1∼PIFJ), 재난 현장으로 운반된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DIF1∼DIFL), 및 재난 현장에 출동한 운송 수단들에 관한 정보(PIF1∼PIFN)를 포함하는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상황실용 단말기(120)는 중앙 관리부(110)의 정보변환 관리부(112)로부터 수신되는 제1 및 제2 투입 설정 데이터(INDAT1, INDAT2)에 기초하여, 해당 출입 게이트를 통하여 재난 현장에 투입된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투입 경과 시간 및 교대 주기를 표시하고, 해당 출입 게이트를 통하여 재난 현장에 투입된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DIF1∼DIFL 중 일부)을, 재난 현장에 투입되지 않은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DIF1∼DIFL 중 나머지)과 다르게 구분하여 표시한다.
상황실용 단말기(120)는 정보변환 관리부(112)로부터 수신되는 제1 투입 해제 데이터(OUTDAT1)에 기초하여, 출입 게이트를 통하여 재난 현장으로부터 빠져나온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투입 해제를 표시한다. 상황실용 단말기(120)는 정보변환 관리부(112)로부터 수신되는 제2 투입 해제 데이터(OUTDAT2)에 기초하여, 출입 게이트를 통하여 재난 현장으로부터 빠져나온 재난 대응 장비들의 투입 해제를 표시한다.
상황실용 단말기(120)는 정보변환 관리부(112)로부터 수신되는 제1 내지 제3 복귀 완료 데이터(RDAT1∼RDAT3)에 기초하여 해당 현장 대응 센터로 복귀한 재난 대응 요원들, 재난 대응 장비들, 및 운송 수단들의 복귀 완료를 표시한다. 따라서, 재난 상황 종료 후, 상황실 근무자는 현장 대응 센터에 복귀하거나 복귀하지 않은 재난 대응 자원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연속적인 재난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VDMS(130)는 운송 수단들 및 운전자들에 관한 정보(VIF1∼VIFN, WIF1∼WIFN)를 수집하고 관리한다. VDMS(130)는 중앙 관리부(111)의 정보변환 관리부(112)로부터 수신되는 제4 변환 데이터(CDAT4)에 기초하여, 재난 현장까지의 최단 경로 및 도로 상황 정보와, 운송 수단의 상태 및 운전자의 상태에 따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안내 정보를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VDMS(130)는 정보변환 관리부(112)로부터 제4 변환 데이터(CDAT4)를 수신할 때, 해당 운송 수단에 설치된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의 위치 추적 기능을 이용하여, 재난 현장까지의 최단 경로를 검색한다. VDMS(130)는 VDMS 정보 관리부(131)와 복수의 운송 수단용 단말기(VT1∼VTM)(M은 자연수)를 포함한다. 복수의 운송 수단용 단말기(VT1∼VTM)는 복수의 운송 수단에 각각 설치된다. 복수의 운송 수단용 단말기(VT1∼VTM) 각각은 정보제공 단말기(VP1∼VPM)와 정보수집 단말기(VR1∼VRM)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운송 수단용 단말기(VT1)는 정보제공 단말기(VP1)와 정보수집 단말기(VR1)를 포함한다. 정보수집 단말기(VR1)는 해당 운송 수단의 상태 및 운전자의 상태와 관련한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VDMS 정보 관리부(131)에 출력한다. VDMS 정보 관리부(131)는 해당 운송 수단의 제3 태그 정보와 정보수집 단말기(VR1)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정보변환 관리부(112)에 송신한다.
정보제공 단말기(VP1)는 VDMS 정보 관리부(131)를 통하여 정보변환 관리부(112)로부터 수신되는 제4 변환 데이터(CDAT4)에 기초하여, 재난 현장까지의 최단 경로 및 도로 상황 정보와, 운송 수단의 상태 및 운전자의 상태에 따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100)은 복수의 휴대용 리더기(PR1∼PRK)와 복수의 관리자용 단말기(MT1∼MTK)를 더 포함한다. 복수의 휴대용 리더기(PR1∼PRK)는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에 각각 소속된 장비 점검자들에 의해 각각 휴대 된다.
복수의 휴대용 리더기(PR1∼PRK) 각각은, 장비 점검자의 조작에 따라, 제2 RFID 태그를 스캔하여 제2 태그 정보(STG1∼STGL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고, 장비 점검자에 의해 입력된 점검 정보(CKIF1∼CKIFL 중 적어도 하나) 및 제2 태그 정보(STG1∼STGL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 통신망(N1)을 통하여 RFID 정보 관리부(111)에 출력한다. 장비 점검자는 휴대용 리더기(PR1∼PRK 중 하나)를 이용하여, 필요할 때마다 수시로 재난 대응 장비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복수의 휴대용 리더기(PR1∼PRK) 각각은, 장비 점검자의 조작에 따라, 제1 또는 제3 RFID 태그를 스캔하여 제1 또는 제3 태그 정보(FTG1∼FTGJ 중 적어도 하나, 또는 TTG1∼TTGN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한다. 복수의 휴대용 리더기(PR1∼PRK) 각각은, 장비 점검자에 의해 입력된 해당 재난 대응 요원의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PIF1∼PIFJ 중 적어도 하나) 및 제1 태그 정보(FTG1∼FTGJ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 통신망(N1)을 통하여 RFID 정보 관리부(111)에 출력한다. 복수의 휴대용 리더기(PR1∼PRK) 각각은, 장비 점검자에 의해 입력된 운송 수단에 관한 기본 정보(PIF1∼PIFN 중 적어도 하나) 및 제3 태그 정보(TTG1∼TTGN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 통신망(N1)을 통하여 RFID 정보 관리부(111)에 출력한다.
RFID 정보 관리부(111)는, 복수의 휴대용 리더기(PR1∼PRK)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점검 정보(CKIF1∼CKIFL 중 적어도 하나) 및 제2 태그 정보(STG1∼STGL 중 적어도 하나)를 정보변환 관리부(112)에 출력한다.
RFID 정보 관리부(111)는, 복수의 휴대용 리더기(PR1∼PRK)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해당 재난 대응 요원의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PIF1∼PIFJ 중 적어도 하나) 및 제1 태그 정보(FTG1∼FTGJ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운송 수단에 관한 기본 정보(PIF1∼PIFN 중 적어도 하나) 및 제3 태그 정보(TTG1∼TTGN 중 적어도 하나)를 정보변환 관리부(112)에 출력한다.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RFID 정보 관리부(111)로부터 수신되는 점검 정보(CKIF1∼CKIFL 중 적어도 하나) 및 제2 태그 정보(STG1∼STGL 중 적어도 하나)를 장비상태 점검정보 DB(114)에 저장한다. 선택적으로,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점검 정보(CKIF1∼CKIFL 중 적어도 하나) 및 제2 태그 정보(STG1∼STGL 중 적어도 하나)를 장비상태 점검정보 DB(114)에 저장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각 재난 대응 장비별 점검 일정을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다.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재난 대응 장비 각각에 대한 점검 일정 정보를 휴대용 리더기(PR1∼PRK 중 하나)에 송신한다. 장비 점검자가 휴대용 리더기(PR1∼PRK 중 하나)에 표시된 점검 일정 정보를 확인하고, 각각의 재난 대응 장비를 언제 점검해야 할지를 미리 알 수 있다.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RFID 정보 관리부(111)로부터 수신되는 해당 재난 대응 요원의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PIF1∼PIFJ 중 적어도 하나) 및 제1 태그 정보(FTG1∼FTGJ 중 적어도 하나)를 재난대응 요원정보 DB(113)에 저장한다.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RFID 정보 관리부(111)로부터 수신되는 해당 운송 수단에 관한 기본 정보(PIF1∼PIFN 중 적어도 하나) 및 제3 태그 정보(TTG1∼TTGN 중 적어도 하나)를 장비상태 점검정보 DB(114)에 저장한다.
복수의 관리자용 단말기(MT1∼MTK)는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에 각각 설치된다. 복수의 관리자용 단말기(MT1∼MTK) 각각은, 장비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정보변환 관리부(112)에 장비 보유 정보의 송신을 요청하고, 정보변환 관리부(112)로부터 수신되는 제5 변환 데이터(CDAT5)에 기초하여,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어느 하나가 보유하는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DIF1∼DIFL 중 일부)을 표시한다.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어느 하나에 소속된 관리자용 단말기(MT1∼MTK 중 하나)로부터 장비 보유 정보의 송신을 요청받을 때, 해당 현장 대응 센터에 대응하는 제2 태그 정보들(STG1∼STGL 중 일부)에 기초하여, 해당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DIF1∼DIFL 중 일부)을 장비상태 점검정보 DB(114)로부터 독출한다.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독출된 장비 상태 정보들(DIF1∼DIFL 중 일부)을 그래픽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여 제5 변환 데이터(CDAT5)를 장비 보유 정보의 송신을 요청한 해당 관리자용 단말기(MT1∼MTK 중 하나)에 송신한다.
복수의 관리자용 단말기(MT1∼MTK) 각각은, 장비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재난 대응 장비에 대한 구매 또는 폐기처분에 관한 정보(EPIF)를 정보변환 관리부(112)에 출력한다.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복수의 관리자용 단말기(MT1∼MTK)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재난 대응 장비에 대한 구매 또는 폐기처분에 관한 정보(EPIF)를 외부의 장비관리 시스템(102)에 송신한다.
장비 관리자는, 재난 대응 장비에 대한 구매 또는 폐기처분에 대한 정보를 상위기관의 자원 관리자에게 보고하는 행정 업무를 실행해야 한다. 장비 관리자는 관리자용 단말기(MT1∼MTK 중 하나)를 이용하여, 이러한 행정 업무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각각은, 현장 지휘자의 조작에 따라, 정보변환 관리부(112)에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의 송신을 요청하고, 정보변환 관리부(112)로부터 수신되는 제6 내지 제8 변환 데이터(CDAT6∼CDAT8)에 기초하여,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재난 대응 요원들에 대한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 재난 현장으로 운반된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 및 재난 현장에 출동한 운송 수단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복수의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의 송신을 요청받을 때,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제1 태그 정보들(FTG1∼FTGJ 중 일부)에 기초하여 해당 재난 대응 요원들의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PIF1∼PIFJ 중 일부)을 재난대응 요원정보 DB(113)로부터 독출한다. 또,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제2 및 제3 태그 정보들(STG1∼STGL 중 일부, TTG1∼TTGN 중 일부)에 기초하여, 해당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DIF1∼DIFL 중 일부)과 해당 운송 수단들에 관한 정보들(VIF1∼VIFN 중 일부)을 장비상태 점검정보 DB(114)로부터 독출한다.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독출된 해당 재난 대응 요원들의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PIF1∼PIFJ 중 일부), 해당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DIF1∼DIFL 중 일부), 및 해당 운송 수단들에 관한 정보들(VIF1∼VIFN 중 일부)을 그래픽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여 제6 내지 제8 변환 데이터(CDAT6∼CDAT8)를,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의 송신을 요청한 해당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중 하나)에 송신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현장 지휘자는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특정 현장 대응 센터에 보유된 재난 대응 요원들에 대한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 및 운송 수단들에 관한 정보들을 수시로 조회할 수 있다.
상황실용 단말기(120)는, 상황실 근무자의 조작에 따라, 정보변환 관리부(112)에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의 송신을 요청하고, 정보변환 관리부(112)로부터 수신되는 제6 내지 제8 변환 데이터(CDAT6∼CDAT8)에 기초하여,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상황실용 단말기(120)로부터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의 송신을 요청받을 때,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제1 태그 정보들(FTG1∼FTGJ 중 일부)에 기초하여 해당 재난 대응 요원들의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PIF1∼PIFJ 중 일부)을 재난대응 요원정보 DB(113)로부터 독출한다. 또,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제2 및 제3 태그 정보들(STG1∼STGL 중 일부, TTG1∼TTGN 중 일부)에 기초하여, 해당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DIF1∼DIFL 중 일부)과 해당 운송 수단들에 관한 정보들(VIF1∼VIFN 중 일부)을 장비상태 점검정보 DB(114)로부터 독출한다.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독출된 해당 재난 대응 요원들의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PIF1∼PIFJ 중 일부), 해당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DIF1∼DIFL 중 일부), 및 해당 운송 수단들에 관한 정보들(VIF1∼VIFN 중 일부)을 그래픽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여 제6 내지 제8 변환 데이터(CDAT6∼CDAT8)를,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의 송신을 요청한 상황실용 단말기(120)에 송신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황실 근무자는 상황실용 단말기(120)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특정 현장 대응 센터에 보유된 재난 대응 요원들에 대한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 및 운송 수단들에 관한 정보들을 수시로 조회할 수 있다.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긴급 구조 시스템(101)으로부터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의 송신을 요청받을 때, 상술한 것과 유사하게, 해당 재난 대응 요원들의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PIF1∼PIFJ 중 일부)을 재난대응 요원정보 DB(113)로부터 독출하고, 해당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DIF1∼DIFL 중 일부)과 해당 운송 수단들에 관한 정보들(VIF1∼VIFN 중 일부)을 장비상태 점검정보 DB(114)로부터 독출한다.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독출된 해당 재난 대응 요원들의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PIF1∼PIFJ 중 일부), 해당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DIF1∼DIFL 중 일부), 및 해당 운송 수단들에 관한 정보들(VIF1∼VIFN 중 일부)을 그래픽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여 제6 내지 제8 변환 데이터(CDAT6∼CDAT8)를,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의 송신을 요청한 긴급 구조 시스템(101)에 송신한다.
상황실용 단말기(120)는, 상황실 근무자의 조작에 따라, 상황 분석 정보(ANIF)를 정보변환 관리부(112)에 출력한다.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상황실용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되는 상황 분석 정보(ANIF)를 재난 현장에 출동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해당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한다. 상황실 근무자는 상황실용 단말기(120)를 이용하여, 재난 현장에 추가의 재난 대응 요원들을 지원하기 위해, 출동 명령 정보(CMD)를 통지했던 해당 현장 대응 센터 이외에, 또 다른 현장 대응 센터에 출동 명령 정보(CMD)를 더 통지할 수 있다.
재난 현장에 출동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해당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중 적어도 하나)는 정보변환 관리부(112)로부터 수신되는 상황 분석 정보(ANIF)에 기초하여, 상황실 근무자의 전달사항이나 재난 현장의 수습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재난 현장에 출동한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해당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중 적어도 하나)는, 해당 현장 대응 센터 소속의 재난 대응 요원들의 인적사항 정보, 재난 대응 장비들의 기본정보, 및 운송 수단들의 기본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재난 현장에 출동한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해당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중 적어도 하나)는 정보변환 관리부(112)와의 통신이 불가능할 때 무선 통신망(N1)을 통하여 제1 고정형 리더기(FR1∼FRK 중 하나)로부터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들(FTG1∼FTGJ 중 적어도 하나, STG1∼STGL 중 적어도 하나, TTG1∼TTGN 중 적어도 하나)을 직접 수신할 수 있다. 재난 현장에 출동한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해당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중 적어도 하나)는 수신한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들(FTG1∼FTGJ 중 적어도 하나, STG1∼STGL 중 적어도 하나, TTG1∼TTGN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재난 현장에 출동한 해당 현장 대응 센터 소속의 재난 대응 요원들의 인적사항 정보, 재난 대응 장비들의 기본정보, 및 운송 수단들의 기본정보를 표시한다.
또, 재난 현장에 출동한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해당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중 적어도 하나)는 정보변환 관리부(112)와의 통신이 불가능할 때 무선 통신망(N1)을 통하여, 제2 고정형 리더기(SR1∼SRK 중 하나)로부터 제1 및 제2 태그 정보들(FTG1∼FTGJ 중 적어도 하나, STG1∼STGL 중 적어도 하나)을 직접 수신할 수 있다. 재난 현장에 출동한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해당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중 적어도 하나)는 수신한 제1 및 제2 태그 정보들(FTG1∼FTGJ 중 적어도 하나, STG1∼STGL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재난 현장에 투입된 재난 대응 요원들 및 재난 대응 장비들에 관한 정보들을, 재난 현장에 투입되지 않은 재난 대응 요원들 및 재난 대응 장비들에 관한 정보들과 다르게 구분하여 표시한다.
따라서, 기후나 재난 상황에 따라, 해당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중 적어도 하나)와 정보변환 관리부(112) 간의 통신이 불안정할 때에도, 해당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및 제2 고정형 리더기(FR1∼FRK 중 하나, SR1∼SRK 중 하나)와 직접 통신할 수 있으므로, 현장 지휘자는 재난 현장에 출동한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와, 재난 현장에 투입된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중앙 관리부(110)의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RFID 정보 관리부(111)를 통하여 특정 정보를 수신할 때, 그 수신되는 정보가 휴대용 리더기(PR1∼PRK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100).
수신되는 정보가 휴대용 리더기(PR1∼PRK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정보일 때,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그 수신한 정보를 재난대응 요원정보 DB(113) 또는 장비상태 점검정보 DB(114)에 저장한다(단계 1200).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RFID 정보 관리부(111)를 통하여 수신되는 재난 대응 요원의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PIF1∼PIFJ 중 하나) 및 제1 태그 정보(FTG1∼FTGJ 중 하나)를 재난대응 요원정보 DB(113)에 저장한다. 또,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RFID 정보 관리부(111)를 통하여 수신되는 재난 대응 장비의 점검 정보(CKIF1∼CKIFL 중 하나) 및 제2 태그 정보(STG1∼STGL 중 하나), 또는 운송 수단에 관한 기본 정보(PIF1∼PIFN 중 하나) 및 제3 태그 정보(TTG1∼TTGN 중 하나)를 장비상태 점검정보 DB(114)에 저장한다.
수신되는 정보가 휴대용 리더기(PR1∼PRK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정보일 때,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VDMS(130)로부터의 정보 수신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300).
VDMS(130)로부터의 정보 수신일 때,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VDMS(130)로부터 수신한 운송 수단들 및 운전자들에 관한 정보(VIF1∼VIFN, WIF1∼WIFN)를 장비상태 점검정보 DB(114)에 저장한다(단계 1400).
휴대용 리더기(PR1∼PRK 중 적어도 하나)와 VDMS(13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지 않을 때,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중 하나), 또는 관리자용 단말기(MT1∼MTK 중 하나), 또는 상황실용 단말기(120), 또는 긴급 구조 시스템(101)으로부터,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 송신 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500).
정보 송신 요청이 있을 때,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재난대응 요원정보 DB(113) 및/또는 장비상태 점검정보 DB(114)로부터 요청된 해당 정보를 독출하고, 해당 정보에 대응하는 변환 데이터(즉, 제5 내지 제8 변환 데이터(CDAT5∼CDAT8) 중 적어도 하나))를 정보를 요청한 해당 장치(즉,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중 하나), 또는 관리자용 단말기(MT1∼MTK 중 하나), 또는 상황실용 단말기(120), 또는 긴급 구조 시스템(101))에 제공한다(단계 1600).
정보 송신 요청이 없을 때, 또는 상기 단계 1600 이 후에, 상황실용 단말기(120)는 재난 신고가 접수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700). 재난 신고가 접수되지 않을 때, 단계 1100 내지 단계 1700가 반복된다.
재난 신고는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상황실용 단말기(120)에 직접 접수될 수도 있고, 상황실 근무자가 전화를 통하여 재난 신고를 접수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황실 근무자가 재난 신고를 접수하면, 상황실 근무자는 재난 현장 주변에 위치한 현장 대응 센터에 출동 명령 정보를 통지하기 위해 상황실용 단말기(120)를 조작한다. 그 결과,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황실용 단말기(120)가 외부의 긴급 구조 시스템(101)을 통하여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1 ∼ K 중 적어도 하나에 보유된 출동 명령 접수 단말기(RT1∼RTK 중 적어도 하나)에 출동 명령 정보(CMD)를 통지한다(단계 1800).
이 후, 중앙 관리부(110)는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적어도 하나에 소속된 재난 대응 요원들이 재난 현장에 출동하는 시점부터 재난 수습 완료 후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적어도 하나에 복귀하는 시점까지, 재난 대응 상황별로 필요한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를 해당 장치에 제공한다(단계 1900). 즉, 중앙 관리부(110)는 중앙 관리부(110)에 저장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재난 대응 상황별로 필요한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를, VDMS(130), 재난 현장에 출동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지휘자용 단말기(DT1∼DTK 중 적어도 하나), 상황실용 단말기(120), 및 긴급 구조 시스템(101)에 각각 제공한다.
중앙 관리부(110)의 단계 1900의 동작 과정을 도 3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계 1900의 상세한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중앙 관리부(110)는 출동 명령 정보(CMD)를 통지받은 해당 현장 대응 센터의 운송 수단 보관 장소에 설치된 제1 고정형 리더기(예를 들어, FR1)로부터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예를 들어, FTG1∼FTG5, STG1∼STGL5, TTG1∼TTGN2)를 수신한다(단계 1901).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중앙 관리부(110)의 RFID 정보 관리부(111)가 제1 고정형 리더기(예를 들어, FR1)로부터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예를 들어, FTG1∼FTG5, STG1∼STGL5, TTG1∼TTGN2)를 수신하여, 출동 알림 정보(GAIF)와 함께 정보변환 관리부(112)에 출력한다.
중앙 관리부(110)의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긴급 구조 시스템(101)으로부터 재난 현장의 위치 정보(LCIF) 및 도로 상황 정보(TRIF)를 수신한다(단계 1902).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예를 들어, FTG1∼FTG5, STG1∼STGL5, TTG1∼TTGN2)에 기초하여, 재난 현장에 출동한 재난 대응 요원들에 대한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예를 들어, PIF1∼PIF5)을 재난대응 요원정보 DB(113)로부터, 또한 재난 현장에 운반되는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예를 들어, DIF1∼DIF5), 재난 현장에 출동한 운송 수단들 및 운전자들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VIF1∼VIF2, WIF1∼WIF2)를 장비상태 점검정보 DB(114)로부터 독출한다(단계 1903).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운송 수단들 및 운전자들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VIF1∼VIF2, WIF1∼WIF2)와, 재난 현장의 위치 정보(LCIF) 및 도로 상황 정보(TRIF)를 포함하는 운행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제4 변환 데이터(CDAT4)를 VDMS(130)에 송신한다(단계 1904). 그 결과, VDMS(130)는 정보변환 관리부(112)로부터 수신되는 제4 변환 데이터(CDAT4)에 기초하여, 재난 현장까지의 최단 경로 및 도로 상황 정보와, 운송 수단의 상태 및 운전자의 상태에 따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안내 정보를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이 후,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재난 현장에 출동한 재난 대응 요원들에 대한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예를 들어, PIF1∼PIF5), 재난 현장에 운반되는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예를 들어, DIF1∼DIF5), 재난 현장에 출동한 운송 수단들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VIF1∼VIF2)를 포함하는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1 내지 제3 변환 데이터(CDAT1∼CDAT3)를, 재난 현장에 출동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지휘자용 단말기(예를 들어, DT1), 상황실용 단말기(120), 및 긴급 구조 시스템(101)에 송신한다(단계 1905).
그 결과, 지휘자용 단말기(예를 들어, DT1)와 상황실용 단말기(120) 각각은, 제1 내지 제3 변환 데이터(CDAT1∼CDAT3)에 기초하여, 재난 현장에 출동한 재난 대응 요원들, 재난 대응 장비들, 및 운송 수단들을 포함하는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따라서, 현장 지휘자와 상황실 근무자는 재난 현장에 출동한 재난 대응 자원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현장 지휘자는 재난 현장을 지휘하는 동안에도, 해당 지휘자용 단말기(예를 들어, DT1)를 이용하여, 재난 대응 요원들에 대한 과거의 재난 대응 활동 이력에 대한 통계 정보나 기타 필요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중앙 관리부(110)(즉,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제1 고정형 리더기(예를 들어, FR1 또는 FR2)로부터 추가의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예를 들어, FTG6∼FTG10, STG1∼STGL10, TTG3∼TTGN4)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906).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RFID 정보 관리부(111)로부터 추가의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예를 들어, FTG6∼FTG10, STG1∼STGL10, TTG3∼TTGN4)가 수신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제1 고정형 리더기(예를 들어, FR1 또는 FR2)로부터 추가의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예를 들어, FTG6∼FTG10, STG1∼STGL10, TTG3∼TTGN4)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추가의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예를 들어, FTG6∼FTG10, STG1∼STGL10, TTG3∼TTGN4)가 수신될 때마다, 중앙 관리부(110)는 단계 1903 내지 단계 1905의 동작을 반복한다.
추가의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예를 들어, FTG6∼FTG10, STG1∼STGL10, TTG3∼TTGN4)가 수신되지 않을 때, 중앙 관리부(110)(즉,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재난 현장의 입구 주변에 간이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출입 게이트(도 5 참고)에 설치된 제2 고정형 리더기(예를 들어, SR1)로부터 제1 및 제2 태그 정보(예를 들어, FTG1∼FTG3, STG1∼STGL3)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907).
제2 고정형 리더기(예를 들어, SR1)로부터 제1 및 제2 태그 정보(예를 들어, FTG1∼FTG3, STG1∼STGL3)가 수신될 때, 중앙 관리부(110)는 투입 자원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1 및 제2 투입 설정 데이터(INDAT1, INDAT2)를, 재난 현장에 출동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지휘자용 단말기(예를 들어, DT1)와 상황실용 단말기(120)에 각각 송신한다(단계 1908).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RFID 정보 관리부(111)가 제2 고정형 리더기(예를 들어, SR1)로부터 제1 및 제2 태그 정보(예를 들어, FTG1∼FTG3, STG1∼STGL3)를 수신하여, 현장 투입 알림 정보(INAIF)와 함께 정보변환 관리부(112)에 출력한다.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제1 및 제2 태그 정보(예를 들어, FTG1∼FTG3, STG1∼STGL3)에 기초하여, 출입 게이트를 통하여 재난 현장에 투입된 재난 대응 요원들 및 재난 대응 장비들을 포함하는 투입 자원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1 및 제2 투입 설정 데이터(INDAT1, INDAT2)를, 재난 현장에 출동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지휘자용 단말기(예를 들어, DT1)와 상황실용 단말기(120)에 각각 송신한다.
지휘자용 단말기(예를 들어, DT1)와 상황실용 단말기(120) 각각은 제1 투입 설정 데이터(INDAT1)에 기초하여, 해당 출입 게이트를 통하여 재난 현장에 투입된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투입 경과 시간 및 교대 주기를 표시한다. 또, 지휘자용 단말기(예를 들어, DT1)와 상황실용 단말기(120) 각각은 제2 투입 설정 데이터(INDAT2)에 기초하여, 해당 출입 게이트를 통하여 재난 현장에 투입된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DIF1∼DIF3)을, 재난 현장에 투입되지 않은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과 다르게 구분하여 표시한다.
제2 고정형 리더기(예를 들어, SR1)로부터 제1 및 제2 태그 정보(예를 들어, FTG1∼FTG3, STG1∼STGL3)가 수신되지 않을 때, 또는 단계 1908 이 후,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상황실용 단말기(120)로부터 상황 분석 정보(ANIF)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909).
상황 분석 정보(ANIF)가 수신될 때,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상황 분석 정보(ANIF)를 재난 현장에 출동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지휘자용 단말기(예를 들어, DT1)에 송신한다(단계 1910).
재난 현장에 출동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해당 지휘자용 단말기(예를 들어, DT1)는 정보변환 관리부(112)로부터 수신되는 상황 분석 정보(ANIF)에 기초하여, 상황실 근무자의 전달사항이나 재난 현장의 수습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 현장 지휘자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해당 지휘자용 단말기(예를 들어, DT1)를 조작하여, 현장의 진행 상황 등을 상황실 근무자에게 보고할 수도 있다.
상황 분석 정보(ANIF)가 수신되지 않을 때, 또는 단계 1910 이 후, 중앙 관리부(110)(즉,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제2 고정형 리더기(예를 들어, SR1)로부터 제1 및 제2 태그 정보(예를 들어, FTG1∼FTG3, STG1∼STGL3)가 재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911).
제2 고정형 리더기(예를 들어, SR1)로부터 제1 및 제2 태그 정보(예를 들어, FTG1∼FTG3, STG1∼STGL3)가 재수신되지 않을 때,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위험 상황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912).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재난 대응 요원들 중 설정된 시간이 경과 할 때까지 재난 현장을 빠져나오지 않은 재난 대응 요원이 있을 때 위험 상황인 것으로 판단한다.
위험 상황일 때,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 할 때까지 재난 현장을 빠져나오지 않은 재난 대응 요원에 대한 경보 데이터(ARDAT)를 재난 현장에 출동한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해당 지휘자용 단말기(예를 들어, DT1)와 상황실용 단말기(120)에 각각 송신한다(단계 1913).
재난 현장에 출동한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해당 지휘자용 단말기(예를 들어, DT1)와 상황실용 단말기(120)는, 정보변환 관리부(112)로부터 수신되는 경보 데이터(ARDAT)에 기초하여 설정된 시간이 경과 할 때까지 재난 현장을 빠져나오지 않은 재난 대응 요원이 있음을 상황실 근무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람 정보를 각각 표시한다. 그 결과, 현장 지휘자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 할 때까지 재난 현장을 빠져나오지 않은 재난 대응 요원이 있음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재난 현장의 수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제2 고정형 리더기(예를 들어, SR1)로부터 제1 및 제2 태그 정보(예를 들어, FTG1∼FTG3, STG1∼STGL3)가 재수신될 때,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적어도 하나의 출입 게이트를 통하여 재난 현장으로부터 빠져나온 재난 대응 요원들 및 재난 대응 장비들을 포함하는 투입 해제 자원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1 및 제2 투입 해제 데이터(OUTDAT1, OUTDAT2)를, 재난 현장에 출동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지휘자용 단말기(예를 들어, DT1)와 상황실용 단말기(120)에 각각 송신한다(단계 1914).
지휘자용 단말기(예를 들어, DT1)와 상황실용 단말기(120) 각각은 제1 투입 해제 데이터(OUTDAT1)에 기초하여, 출입 게이트를 통하여 재난 현장으로부터 빠져나온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투입 해제를 표시한다. 또, 지휘자용 단말기(예를 들어, DT1)와 상황실용 단말기(120) 각각은 제2 투입 해제 데이터(OUTDAT2)에 기초하여, 출입 게이트를 통하여 재난 현장으로부터 빠져나온 재난 대응 장비들의 투입 해제를 표시한다.
이 후,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지휘자용 단말기(예를 들어, DT1)로부터 재난 수습 완료 정보(ENIF)와 요원 활동 확인 정보(ACTIF)가 수신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재난 수습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915). 재난 수습이 완료되면, 현장 지휘자는 지휘자용 단말기(예를 들어, DT1)를 조작하여,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재난 수습이 완료되었음을 상황실 근무자에게 보고할 수 있다. 이때, 현장 지휘자는 지휘자용 단말기(예를 들어, DT1)에 표시된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재난 대응 활동 사항을 확인하여, 해당 사항이 맞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재난 수습이 완료되지 않았거나, 단계 1913 이 후, 중앙 관리부(110)는 재난 수습이 완료될 때까지 단계 1907 내지 단계 1914의 동작을 반복한다.
재난 수습이 완료되었을 때,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재난 수습 완료 정보(ENIF)를 상황실용 단말기(120)와 긴급 구조 시스템(101)에 송신한다(단계 1916). 그 결과, 상황실 근무자는 재난 상황의 수습이 완료된 것을 인식한다.
또,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요원 활동 확인 정보(ACTIF)에 기초하여, 재난 현장에 출동한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활동 정보(MACTIF)를 생성하고, 재난 현장에 출동한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활동 정보(MACTIF)를 재난대응 요원정보 DB(113)에 저장한다(단계 1917). 그 결과, 재난대응 요원정보 DB(113)에 재난 대응 요원들에 대한 과거의 재난 대응 활동 이력에 대한 정보가 누적된다.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재난 현장에 출동한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활동 정보(MACTIF)를 외부의 인사행정정보 시스템(103)에 송신한다(단계 1918). 그 결과, 인사행정정보 시스템(103)은, 정보변환 관리부(112)로부터 수신되는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활동 정보(MACTIF)에 기초하여,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업무 실적 및 기여도에 따른 마일리지를 산출하고, 그 산출 결과에 따라,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마일리지 정보를 갱신 저장한다.
이 후, 중앙 관리부(110)(즉,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제1 고정형 리더기(예를 들어, FR1)(도 6 참고)로부터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예를 들어, FTG1∼FTG5, STG1∼STGL5, TTG1∼TTGN2)가 재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919).
제1 고정형 리더기(예를 들어, FR1)로부터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예를 들어, FTG1∼FTG5, STG1∼STGL5, TTG1∼TTGN2)가 재수신될 때, 정보변환 관리부(112)는 해당 현장 대응 센터로 복귀한 재난 대응 요원들, 재난 대응 장비들, 및 운송 수단들을 나타내는 제1 내지 제3 복귀 완료 데이터(RDAT1∼RDAT3)를 지휘자용 단말기(예를 들어, DT1)와 상황실용 단말기(120)에 각각 송신한다(단계 1920).
지휘자용 단말기(예를 들어, DT1)와 상황실용 단말기(120) 각각은, 제1 내지 제3 복귀 완료 데이터(RDAT1∼RDAT3)에 기초하여 해당 현장 대응 센터로 복귀한 재난 대응 요원들, 재난 대응 장비들, 및 운송 수단들의 복귀 완료를 표시한다. 재난 상황 종료 후, 현장 지휘자는 지휘자용 단말기(예를 들어, DT1)에 표시된 정보를 보고, 현장 대응 센터에 복귀하지 않은 재난 대응 자원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재난 상황 종료 후, 철수된 재난 대응 자원의 투명한 관리가 가능해지고, 재난 대응 요원들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들 실시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균등한 수단도 또한 본 발명에 그대로 결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 110: 중앙 관리부
120: 상황실용 단말기 130: VDMS
FR1∼FRK: 제1 고정형 리더기 SR1∼SRK: 제2 고정형 리더기
PR1∼PRK: 휴대용 리더기 DT1∼DTK: 지휘자용 단말기
MT1∼MTK: 관리자용 단말기 111: RFID 정보 관리부
112: 정보변환 관리부 113: 재난대응 요원정보 DB
114: 장비상태 점검정보 DB

Claims (20)

  1. 운송 수단들 및 운전자들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VDMS(Vehicle and Driver Management System)를 포함하는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의 운송 수단 보관 장소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제1 고정형 리더(reader)기;
    상기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에 각각 보유되는 복수의 출입 게이트(gate)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제2 고정형 리더기;
    상기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에 각각 소속된 현장 지휘자들에 의해 각각 휴대되는 복수의 지휘자용 단말기;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제1 고정형 리더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들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4 변환 데이터를 상황실용 단말기와 VDMS로 출력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제2 고정형 리더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제1 및 제2 태그 정보들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투입 설정 데이터를 출력하는 중앙 관리부 및
    상황실 근무자의 조작에 따라, 외부의 긴급구조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재난 발생 지역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현장 대응 센터에 보유된 출동 명령 접수 단말기에 출동 명령 정보를 통지하고, 상기 중앙 관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내지 제3 변환 데이터에 기초하여, 재난 현장에 출동한 해당 현장 대응 센터 소속의 재난 대응 요원들에 대한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 재난 현장으로 운반된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 및 재난 현장에 출동한 운송 수단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중앙 관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및 제2 투입 설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출입 게이트를 통하여 재난 현장에 투입된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투입 경과 시간 및 교대 주기를 표시하고, 해당 출입 게이트를 통하여 재난 현장에 투입된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을, 재난 현장에 투입되지 않은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과 다르게 구분하여 표시하는 상황실용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고정형 리더기 각각은, 재난 대응 요원들, 재난 대응 장비들, 및 운송 수단들이 운송 수단 보관 장소를 출입할 때마다, 재난 대응 요원들의 개인 보호 장비에 부착된 제1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tag)들, 재난 대응 장비들에 부착된 제2 RFID 태그들, 및 운송 수단들에 부착된 제3 RFID 태그들을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들을 상기 중앙 관리부에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제2 고정형 리더기 각각은, 재난 발생 시 재난 현장의 입구 주변에 간이 설치된 해당 출입 게이트를 통하여 재난 대응 요원들 및 재난 대응 장비들이 재난 현장을 출입할 때마다, 상기 제1 및 제2 RFID 태그들을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태그 정보들을 상기 중앙 관리부에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지휘자용 단말기 각각은, 상기 중앙 관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내지 제3 변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중앙 관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및 제2 투입 설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출입 게이트를 통하여 재난 현장에 투입된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투입 경과 시간 및 교대 주기를 표시하고, 해당 출입 게이트를 통하여 재난 현장에 투입된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을, 재난 현장에 투입되지 않은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과 다르게 구분하여 표시하고,
    상기 VDMS는 상기 중앙 관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4 변환 데이터에 기초하여, 재난 현장까지의 최단 경로 및 도로 상황 정보와, 운송 수단의 상태 및 운전자의 상태에 따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안내 정보를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상기 제1 변환 데이터는 재난 대응 요원들에 대한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을 그래픽 데이터 형태로 변환한 데이터이고,
    상기 제2 변환 데이터는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을 그래픽 형태로 변환한 데이터이며,
    상기 제3 변환 데이터는 운송 수단들에 관한 정보를 그래픽 데이터 형태로 변환한 데이터이고,
    상기 제4 변환 데이터는 재난 현장의 위치 정보 및 도로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관련 정보이며,
    상기 제1 및 제2 태그 정보는 상기 복수의 출입 게이트를 통해 재난 대응 요원들 및 재난 대응 장비들의 재난 현장 출입 정보이고,
    상기 제1 및 제2 투입 설정 데이터는 재난 대응 요원 및 재난 대응 장비들의 투입 시점을 설정한 정보인 것인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부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제2 고정형 리더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재수신되는 제1 및 제2 태그 정보들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투입 해제 데이터를 더 출력하고,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제1 고정형 리더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재수신되는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들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복귀 완료 데이터를 더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지휘자용 단말기와 상기 상황실용 단말기 각각은, 상기 중앙 관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투입 해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 게이트를 통하여 재난 현장으로부터 빠져나온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투입 해제를 표시하고, 상기 중앙 관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2 투입 해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 게이트를 통하여 재난 현장으로부터 빠져나온 재난 대응 장비들의 투입 해제를 표시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복귀 완료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현장 대응 센터로 복귀한 재난 대응 요원들, 재난 대응 장비들, 및 운송 수단들의 복귀 완료를 표시하는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에 소속된 재난 대응 요원들에 대한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 및 상기 제1 태그 정보들을 저장하는 재난대응 요원정보 DB;
    상기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에 소속된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 및 상기 제2 태그 정보들을 저장하고, 상기 VDMS에 의해 수집된 운송 수단들 및 운전자들에 관한 정보와 상기 제3 태그 정보들을 저장하는 장비상태 점검정보 DB;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제1 고정형 리더기로부터 상기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수신한 후, 상기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들과, 출동 알림 정보 또는 복귀 알림 정보를 출력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제2 고정형 리더기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태그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수신한 후, 상기 제1 및 제2 태그 정보들과, 현장 투입 알림 정보 또는 투입 해제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RFID 정보 관리부; 및
    상기 RFID 정보 관리부로부터 상기 출동 알림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제1 태그 정보들에 기초하여, 재난 현장에 출동한 해당 현장 대응 센터 소속의 재난 대응 요원들에 대한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을 상기 재난대응 요원정보 DB로부터 독출하고, 상기 RFID 정보 관리부로부터 상기 출동 알림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제2 태그 정보들에 기초하여, 재난 현장에 운반되는 해당 현장 대응 센터 소속의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을 상기 장비상태 점검정보 DB로부터 독출하여, 독출된 상기 재난 대응 요원들에 대한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 및 상기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을 그래픽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변환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RFID 정보 관리부로부터 상기 출동 알림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제3 태그 정보들에 기초하여, 재난 현장에 출동한 해당 현장 대응 센터 소속의 운송 수단들 및 운전자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장비상태 점검정보 DB로부터 독출하고, 독출된 운송 수단들에 관한 정보를 그래픽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제3 변환 데이터를 출력하고, 독출된 운송 수단들 및 운전자들에 관한 정보와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재난 현장의 위치 정보 및 도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4 변환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복귀 알림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들에 기초하여, 해당 현장 대응 센터로 복귀한 재난 대응 요원들, 재난 대응 장비들, 및 운송 수단들을 인식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복귀 완료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RFID 정보 관리부로부터 상기 현장 투입 알림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제1 및 제2 태그 정보들에 기초하여, 재난 대응 요원들 및 재난 대응 장비들의 투입 시점을 인식하고, 상기 제1 및 제2 투입 설정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투입 해제 알림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제1 및 제2 태그 정보들에 기초하여, 재난 대응 요원들 및 재난 대응 장비들의 투입 해제 시점을 인식하고, 상기 제1 및 제2 투입 해제 데이터를 출력하는 정보변환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VDMS는 상기 정보변환 관리부로부터 상기 제4 변환 데이터를 수신할 때, 해당 운송 수단에 설치된 내비게이션 장치의 위치 추적 기능을 이용하여, 재난 현장까지의 최단 경로를 검색하는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대응 요원들에 대한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은,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에 대한 경력, 인적사항, 전문기술력, 병적기록, 보직, 혈액형, 및 과거의 재난 대응 활동 이력에 관한 정보들을 포함하고,
    상기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은, 재난 대응 장비들 각각에 대한 점검 정보 이력, 수명, 및 소모품 교체주기에 관한 정보들을 포함하고,
    상기 운송 수단들에 관한 정보는 운송 수단들 각각에 대한 기본정보, 운행기록, 고장 이력, 정비 이력, 차량 진단 정보, 소모품 교체주기, 및 연료 소모량에 관한 정보들을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들에 관한 정보는 운전자들 각각에 대한 운전성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에 각각 소속된 장비 점검자들에 의해 각각 휴대 되는 복수의 휴대용 리더기; 및
    상기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관리자용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휴대용 리더기 각각은, 장비 점검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2 RFID 태그를 스캔하여 제2 태그 정보를 인식하고, 장비 점검자에 의해 입력된 점검 정보 및 제2 태그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RFID 정보 관리부에 출력하고,
    상기 RFID 정보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휴대용 리더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점검 정보 및 제2 태그 정보를 상기 정보변환 관리부에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관리자용 단말기 각각은, 장비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정보변환 관리부에 장비 보유 정보의 송신을 요청하고, 상기 정보변환 관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제5 변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어느 하나가 보유하는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을 표시하고,
    상기 정보변환 관리부는, 상기 RFID 정보 관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점검 정보 및 제2 태그 정보를 상기 장비상태 점검정보 DB에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어느 하나에 소속된 관리자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장비 보유 정보의 송신을 요청받을 때, 해당 현장 대응 센터에 대응하는 제2 태그 정보들에 기초하여, 해당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을 상기 장비상태 점검정보 DB로부터 독출하고, 독출된 장비 상태 정보들을 그래픽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제5 변환 데이터를 장비 보유 정보의 송신을 요청한 해당 관리자용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들 각각은, 재난 대응 요원들, 재난 대응 장비들, 및 운송 수단들이 각각 소속된 현장 대응 센터를 나타내는 코드 정보와 개별 식별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리자용 단말기 각각은, 장비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재난 대응 장비에 대한 구매 또는 폐기처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정보변환 관리부에 출력하고,
    상기 정보변환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관리자용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재난 대응 장비에 대한 구매 또는 폐기처분에 관한 정보를 외부의 장비관리 시스템에 송신하는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휴대용 리더기 각각은, 장비 점검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3 RFID 태그를 스캔하여 제1 또는 제3 태그 정보를 인식하고, 장비 점검자에 의해 입력된 해당 재난 대응 요원의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 및 제1 태그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RFID 정보 관리부에 출력하거나, 또는 장비 점검자에 의해 입력된 운송 수단에 관한 기본 정보 및 제3 태그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RFID 정보 관리부에 출력하고,
    상기 RFID 정보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휴대용 리더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해당 재난 대응 요원의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 및 제1 태그 정보, 또는 운송 수단에 관한 기본 정보 및 제3 태그 정보를 상기 정보변환 관리부에 출력하고,
    상기 정보변환 관리부는, 상기 RFID 정보 관리부로부터 수신되는 해당 재난 대응 요원의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 및 제1 태그 정보를 상기 재난대응 요원정보 DB에 저장하고, 상기 RFID 정보 관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운송 수단에 관한 기본 정보 및 제3 태그 정보를 상기 장비상태 점검정보 DB에 저장하는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휘자용 단말기 각각은, 현장 지휘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정보변환 관리부에 상기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의 송신을 요청하고, 상기 정보변환 관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제1 내지 제3 변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정보변환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지휘자용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의 송신을 요청받을 때, 상기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제1 태그 정보들에 기초하여 해당 재난 대응 요원들의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을 상기 재난대응 요원정보 DB로부터 독출하고, 상기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제2 및 제3 태그 정보들에 기초하여, 해당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과 해당 운송 수단들에 관한 정보들을 상기 장비상태 점검정보 DB로부터 독출하고, 독출된 해당 재난 대응 요원들의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 해당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 및 해당 운송 수단들에 관한 정보들을 그래픽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한 상기 제1 내지 제3 변환 데이터를,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의 송신을 요청한 해당 지휘자용 단말기에 송신하는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실용 단말기는, 상황실 근무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정보변환 관리부에 상기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의 송신을 요청하고, 상기 정보변환 관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제1 내지 제3 변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정보변환 관리부는 상기 상황실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의 송신을 요청받을 때, 상기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제1 태그 정보들에 기초하여 해당 재난 대응 요원들의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을 상기 재난대응 요원정보 DB로부터 독출하고, 상기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제2 및 제3 태그 정보들에 기초하여, 해당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과 해당 운송 수단들에 관한 정보들을 상기 장비상태 점검정보 DB로부터 독출하고, 독출된 해당 재난 대응 요원들의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 해당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 및 해당 운송 수단들에 관한 정보들을 그래픽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한 상기 제1 내지 제3 변환 데이터를 상기 상황실용 단말기에 송신하는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변환 관리부는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으로부터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의 송신을 요청받을 때, 상기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제1 태그 정보들에 기초하여 해당 재난 대응 요원들의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을 상기 재난대응 요원정보 DB로부터 독출하고, 상기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제2 및 제3 태그 정보들에 기초하여, 해당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과 해당 운송 수단들에 관한 정보들을 상기 장비상태 점검정보 DB로부터 독출하고, 독출된 해당 재난 대응 요원들의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 해당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 및 해당 운송 수단들에 관한 정보들을 그래픽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여 제6 내지 제8 변환 데이터를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에 송신하고, 재난 발생 시, 상기 제1 내지 제3 변환 데이터와, 상기 제1 내지 제3 복귀 완료 데이터를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에 더 송신하는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변환 관리부는,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투입 시점에 기초하여, 투입 경과 시간을 체크하고, 재난 대응 요원들 중 설정된 시간이 경과 할 때까지 재난 현장을 빠져나오지 않은 재난 대응 요원이 있을 때, 해당 재난 대응 요원에 대한 경보 데이터를 재난 현장에 출동한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해당 지휘자용 단말기에 출력하고,
    재난 현장에 출동한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해당 지휘자용 단말기는, 상기 정보변환 관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경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시간이 경과 할 때까지 재난 현장을 빠져나오지 않은 재난 대응 요원이 있음을 현장 지휘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람 정보를 표시하는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변환 관리부는, 해당 재난 대응 요원에 대한 경보 데이터를 상기 상황실용 단말기에 더 출력하고,
    상기 상황실용 단말기는, 상기 정보변환 관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경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시간이 경과 할 때까지 재난 현장을 빠져나오지 않은 재난 대응 요원이 있음을 상황실 근무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람 정보를 표시하는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실용 단말기는, 상황실 근무자의 조작에 따라, 상황 분석 정보를 상기 정보변환 관리부에 출력하고,
    상기 정보변환 관리부는 상기 상황실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황 분석 정보를 재난 현장에 출동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해당 지휘자용 단말기에 송신하고,
    재난 현장에 출동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해당 지휘자용 단말기는 상기 정보변환 관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상황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상황실 근무자의 전달사항이나 재난 현장의 수습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
  14. 제3항에 있어서,
    재난 현장에 출동한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해당 지휘자용 단말기는, 해당 현장 대응 센터 소속의 재난 대응 요원들의 인적사항 정보, 재난 대응 장비들의 기본정보, 및 운송 수단들의 기본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정보변환 관리부와의 통신이 불가능할 때 상기 제1 고정형 리더기로부터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들을 수신하고, 상기 제2 고정형 리더기로부터 제1 및 제2 태그 정보들을 수신하고, 수신한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들에 기초하여 재난 현장에 출동한 해당 현장 대응 센터 소속의 재난 대응 요원들의 인적사항 정보, 재난 대응 장비들의 기본정보, 및 운송 수단들의 기본정보를 표시하고, 수신한 제1 및 제2 태그 정보들에 기초하여 재난 현장에 투입된 재난 대응 요원들 및 재난 대응 장비들에 관한 정보들을, 재난 현장에 투입되지 않은 재난 대응 요원들 및 재난 대응 장비들에 관한 정보들과 다르게 구분하여 표시하는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휘자용 단말기 각각은, 재난 현장의 수습이 완료된 후, 현장 지휘자의 입력에 따라, 재난 수습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재난 수습 완료 정보와,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재난 대응 활동 내용에 오류가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 요원 활동 확인 정보를 상기 정보변환 관리부에 출력하고,
    상기 정보변환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지휘자용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재난 수습 완료 정보와 상기 요원 활동 확인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재난 수습 완료 정보를 상기 상황실용 단말기와 상기 긴급 구조 시스템에 송신하고, 상기 요원 활동 확인 정보에 기초하여, 재난 현장에 출동한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활동 정보를 생성하고, 재난 현장에 출동한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활동 정보를 상기 재난대응 요원정보 DB에 저장하고, 재난 현장에 출동한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활동 정보를 외부의 인사행정정보 시스템에 송신하고,
    상기 인사행정정보 시스템은, 상기 정보변환 관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업무 실적 및 기여도에 따른 마일리지를 산출하고, 그 산출 결과에 따라,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마일리지 정보를 갱신 저장하는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
  16. 중앙 관리부에 의해,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에 각각 보유된 복수의 휴대용 리더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재난 대응 요원의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
    재난 대응 요원들의 개인 정보에 부착된 제1 RFID 태그들로부터 전송되는 소속된 현장 대응 센터를 나타내는 코드정보와 개별 식별 코드 정보를 포함한 제1 태그 정보 또는 재난 대응 장비의 점검 정보 및 재난 대응 장비들에 부착된 제2 RFID 태그들로부터 전송되는 소속된 현장 대응 센터를 나타내는 코드 정보와 개별 식별 코드 정보를 포함한 제2 태그 정보 또는 운송 수단에 관한 기본 정보 및 운송수단에 부착된 제3 RFID 태그들로부터 전송되는 소속된 현장 대응 센터를 나타내는 코드 정보와 개별 식별 코드 정보를 포함한 제3 태그 정보를 수신할 때, 그 수신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제1 저장 단계;
    상기 중앙 관리부에 의해, 운송 수단들 및 운전자들의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VDMS(Vehicle and Driver Management System)로부터, 운송 수단들 및 운전자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때, 그 수신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제2 저장 단계;
    상기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에 각각 보유된 복수의 지휘자용 단말기 중 하나, 또는 상기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에 각각 보유된 복수의 관리자용 단말기 중 하나, 또는 상황실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중앙 관리부에 저장된 정보의 송신을 요청받을 때, 상기 중앙 관리부에 의해, 복수의 지휘자용 단말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관리자용 단말기 중 하나, 또는 상황실용 단말기에, 요청된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정보 제공 단계;
    상기 상황실용 단말기에 의해, 재난 신고를 접수할 때, 외부의 긴급 구조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적어도 하나에 보유된 출동 명령 접수 단말기에 출동 명령 정보를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 관리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적어도 하나에 소속된 재난 대응 요원들이 재난 현장에 출동하는 시점부터 재난 수습 완료 후 상기 복수의 현장 대응 센터 중 적어도 하나에 복귀하는 시점까지, 상기 VDMS, 재난 현장에 출동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지휘자용 단말기, 상기 상황실용 단말기, 및 상기 긴급 구조 시스템에, 상기 중앙 관리부에 저장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재난 대응 상황별로 필요한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를 각각 제공하는 제2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제공 단계에서, 재난 현장에 출동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지휘자용 단말기와, 상기 상황실용 단말기 각각에, 재난 현장에 출동한 재난 대응 요원들에 대한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 재난 현장으로 운반된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 및 재난 현장에 출동한 운송 수단들에 관한 정보들이 표시되는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대응 요원들에 대한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은,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에 대한 경력, 인적사항, 전문기술력, 병적기록, 보직, 혈액형, 및 과거의 재난 대응 활동 이력에 관한 정보들을 포함하고,
    상기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은, 재난 대응 장비들 각각에 대한 점검 정보 이력, 수명, 및 소모품 교체주기에 관한 정보들을 포함하고,
    상기 운송 수단들에 관한 정보는 운송 수단들 각각에 대한 기본정보, 운행기록, 고장 이력, 정비 이력, 차량 진단 정보, 소모품 교체주기, 및 연료 소모량에 관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제공 단계는,
    출동 명령 정보를 통지받은 해당 현장 대응 센터의 운송 수단 보관 장소에 설치된 제1 고정형 리더기로부터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수신 단계;
    상기 긴급 구조 시스템으로부터 재난 현장의 위치 정보와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수신 단계;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재난 현장에 출동한 재난 대응 요원들에 대한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 재난 현장에 운반되는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 재난 현장에 출동한 운송 수단들 및 운전자들에 관한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운송 수단들 및 운전자들에 관한 정보와, 재난 현장의 위치 정보 및 도로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제4 변환 데이터를 상기 VDMS에 송신하는 제1 송신 단계;
    재난 현장에 출동한 재난 대응 요원들에 대한 개인 활동 및 상태 정보들, 재난 현장에 운반되는 재난 대응 장비들에 대한 장비 상태 정보들, 재난 현장에 출동한 운송 수단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대응 자원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1 내지 제3 변환 데이터를, 재난 현장에 출동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지휘자용 단말기, 상기 상황실용 단말기, 및 상기 긴급 구조 시스템에 송신하는 제2 송신 단계;
    재난 현장의 입구 주변에 간이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출입 게이트에 설치된 제2 고정형 리더기로부터 제1 및 제2 태그 정보를 수신할 때, 적어도 하나의 출입 게이트를 통하여 재난 현장에 투입된 재난 대응 요원들 및 재난 대응 장비들을 포함하는 투입 자원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1 및 제2 투입 설정 데이터를, 재난 현장에 출동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지휘자용 단말기와 상기 상황실용 단말기에 각각 송신하는 제3 송신 단계;
    상기 상황실용 단말기로부터 상황 분석 정보를 수신할 때, 상황 분석 정보를 재난 현장에 출동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지휘자용 단말기에 송신하는 제4 송신 단계;
    상기 제2 고정형 리더기로부터 제1 및 제2 태그 정보를 재수신할 때, 적어도 하나의 출입 게이트를 통하여 재난 현장으로부터 빠져나온 재난 대응 요원들 및 재난 대응 장비들을 포함하는 투입 해제 자원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1 및 제2 투입 해제 데이터를, 재난 현장에 출동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지휘자용 단말기와 상기 상황실용 단말기에 각각 송신하는 제5 송신 단계;
    적어도 하나의 출입 게이트를 통하여 재난 현장에 투입된 재난 대응 요원들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 시간이 경과 할 때까지 재난 현장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은 위험 상황이 발생할 때, 경보 데이터를 재난 현장에 출동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지휘자용 단말기와 상기 상황실용 단말기에 각각 송신하는 제6 송신 단계;
    재난 현장의 수습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제3 송신 단계 내지 상기 제6 송신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재난 현장의 수습이 완료된 후, 재난 현장에 출동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지휘자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재난 수습 완료 정보를 상기 상황실용 단말기와 상기 긴급 구조 시스템에 각각 송신하는 제7 송신 단계;
    재난 현장의 수습이 완료된 후, 재난 현장에 출동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자가 휴대한 지휘자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요원 활동 확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한 재난 현장에 출동한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활동 정보를 저장하는 제3 저장 단계;
    재난 현장에 출동한 재난 대응 요원들 각각의 활동 정보를 외부의 인사행정정보 시스템에 송신하는 제8 송신 단계; 및
    재난 현장의 수습이 완료된 후, 상기 제1 고정형 리더기로부터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를 재수신할 때, 해당 현장 대응 센터로 복귀한 재난 대응 요원들, 재난 대응 장비들, 및 운송 수단들을 나타내는 제1 내지 제3 복귀 완료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지휘자용 단말기와 상기 상황실용 단말기에 각각 송신하는 제9 송신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들에 관한 정보는 운전자들 각각에 대한 운전성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단계에서, 상기 VDMS에 의해, 재난 현장에 출동한 적어도 하나의 운송 수단이 재난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재난현장까지의 최단 경로 및 도로상황 정보와, 운송 수단의 상태 및 운전자의 상태에 따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안내 정보가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출동 명령 정보를 통지받은 추가의 현장 대응 센터의 운송 수단 보관 장소에 설치된 추가의 제1 고정형 리더기로부터 추가의 제1 내지 제3 태그 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상기 독출 단계 내지 상기 제2 송신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방법.
KR1020100025177A 2010-03-22 2010-03-22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044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177A KR101044251B1 (ko) 2010-03-22 2010-03-22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177A KR101044251B1 (ko) 2010-03-22 2010-03-22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4251B1 true KR101044251B1 (ko) 2011-06-28

Family

ID=44406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177A KR101044251B1 (ko) 2010-03-22 2010-03-22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2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0503A (ko) 2014-12-10 2016-06-20 한국정보공학 주식회사 무선 통신을 이용한 협업 소방관의 위치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과, 협업 소방관의 위치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소방 헬멧
KR101986224B1 (ko) * 2017-12-12 2019-06-07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Ict를 이용한 재난현장 긴급복구 시스템
KR102286448B1 (ko) * 2020-02-19 2021-08-05 주식회사 시큐웨어 출동 관리 방법 및 인사 관리 시스템
KR102367869B1 (ko) * 2020-11-26 2022-02-25 주식회사 시큐웨어 재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4078A (ja) 1996-12-18 1998-12-18 Hitachi Ltd 災害時意思決定支援装置及び方法及び災害時の意思決定を支援するための実行手順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KR100704018B1 (ko) 2006-06-20 2007-04-04 (주)위니텍 유/무선 재난 자동 감시 시스템
KR100800023B1 (ko) 2007-05-18 2008-02-01 대한민국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80109371A (ko) * 2007-06-13 2008-12-17 (주)퓨전정보기술 응급 구조구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4078A (ja) 1996-12-18 1998-12-18 Hitachi Ltd 災害時意思決定支援装置及び方法及び災害時の意思決定を支援するための実行手順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KR100704018B1 (ko) 2006-06-20 2007-04-04 (주)위니텍 유/무선 재난 자동 감시 시스템
KR100800023B1 (ko) 2007-05-18 2008-02-01 대한민국 재난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80109371A (ko) * 2007-06-13 2008-12-17 (주)퓨전정보기술 응급 구조구난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0503A (ko) 2014-12-10 2016-06-20 한국정보공학 주식회사 무선 통신을 이용한 협업 소방관의 위치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과, 협업 소방관의 위치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소방 헬멧
KR101986224B1 (ko) * 2017-12-12 2019-06-07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Ict를 이용한 재난현장 긴급복구 시스템
KR102286448B1 (ko) * 2020-02-19 2021-08-05 주식회사 시큐웨어 출동 관리 방법 및 인사 관리 시스템
KR102367869B1 (ko) * 2020-11-26 2022-02-25 주식회사 시큐웨어 재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188B1 (ko) 실시간 위치 추적 및 gis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그리고 산업현장 안전관리 방법
CN105564465B (zh) 一种铁路电务信号设备维护作业卡控系统和方法
US20070194922A1 (en) Safe warn building system and method
US20130166114A1 (en) Worker Protection Method
KR101044251B1 (ko) 재난현장 대응자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754753B1 (ko) It 시설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안전 공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 공정 관리방법
US20090234520A1 (en) Communication, Monitor And Control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For Railway Traffic
US20140330604A1 (en) Operator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JP2001051717A (ja) プラント機器監視装置
US2013001377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20110109621A (ko)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102159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data of personnel
KR20220133137A (ko) 중대재해 예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04127044A (ja) 処理人員割当方法
KR102361552B1 (ko) 스마트 안전플랫폼 시스템
JP2017174252A (ja) 防災支援システム
WO2016046328A1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managing maintenance activities
KR20160096962A (ko) 산업현장 작업자 위치 추적 기반 재난안전 통합 시스템
KR102367869B1 (ko) 재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시스템
KR102240068B1 (ko) 테블릿 기반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CN104992276A (zh) 基于rfid的隧道考勤安全管理系统
JP6504941B2 (ja) 列車運行管理システム、及び、列車運行管理方法
JP2013097644A (ja) 緊急駆付け方法及び緊急駆付けシステム
JP6832289B2 (ja) 原子力発電所格納容器に係わる作業のサーバとクライアントを用いたリアルタイム遠隔操作管理
KR20070066498A (ko) 열차무선데이터 통신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