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991B1 -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991B1
KR100799991B1 KR1020060059158A KR20060059158A KR100799991B1 KR 100799991 B1 KR100799991 B1 KR 100799991B1 KR 1020060059158 A KR1020060059158 A KR 1020060059158A KR 20060059158 A KR20060059158 A KR 20060059158A KR 100799991 B1 KR100799991 B1 KR 100799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microcapsules
tropical fruit
extrac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9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1075A (ko
Inventor
김영택
김광수
진성현
김기찬
Original Assignee
(주)에이티 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티 랩 filed Critical (주)에이티 랩
Priority to KR1020060059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991B1/ko
Publication of KR20080001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대성 과일의 유효성분 분획추출물을 마이크로캡슐화하여 그 안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피부의 주름을 개선하는데 그 효과를 안정한 상태에서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고 침전 및 변색 반응이 최소화될 수 있는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열대성 과일추출물을 안정화시킨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대성 과일추출물은 각(Gac), 노니(Noni), 까뮤까뮤(CamuCamu), 아카이(Acai), 고지(Goji), 과라나(Guanara), 씨벅톤(Sea Buckthron) 및 마카(Maca) 추출물을 함유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크기는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대성 과일추출물, 마이크로캡슐, 각(Gac), 노니(Noni), 까뮤까뮤(CamuCamu), 아카이(Acai), 고지(Goji), 과라나(Guanara), 씨벅톤(Sea Buckthron), 마카(Maca)

Description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WRINKLE CA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물의 섬유아세포 생장도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물의 콜라겐 생합성 능력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캡슐의 경피 흡수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캡슐의 SEM 사진.
본 발명은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대성 과일의 유효성분 분획추출물을 마이크로캡슐화하여 그 안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피부의 주름을 개선하는데 그 효과를 안정한 상태에서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고 침전 및 변색 반응이 최소화될 수 있는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의 "주름"은 근육운동에 의해 만성적인 변형을 받는 부위에 국소적으로 형성, 정착되는 피부의 형태, 구조 변화라고 말할 수 있고, 이러한 생리 변화만이 아니라 보다 미세한 피부 내부 구조의 변화나 물성 변화와 함께 주름 형성 메카니즘을 검토하는 것도 실제적인 주름형성기구의 이해를 위해서는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광노화에 따른 피부 내부 구조 변화로서는, 표피, 진피의 비후화나 비정상적인 탄력섬유증물질(elastotic material)의 축적, 또는 탄성섬유의 입체구조 변화 등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피부구조의 주요 구성 성분인 골격이라고 하는 콜라겐에 대해서는 콜라겐 섬유의 미세섬유화, 섬유형태의 약화 등이 밝혀지고 있다(Zheng P. and kligman L.H.,uvA-induced ultrastructural changes in hairless mouse skin: A comparison to uvB-induced damage., J.Invest.dermatol.,100,194-199(1993)).
그렇지만, 이것들이 묶여 형성된 콜라겐 섬유다발에 대해서는, 피부의 상처 치료 과정의 연구 등을 통하여 피부의 강인성 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광노화에 의한 구조 변화와 피부물성의 변화, 주름형성에의 영향에 대하여 지금까지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최근 피부 노화 연구의 주류를 이루는 것은 오존층의 파괴 등으로 인한 태양광의 직간접적인 영향에 대한 연구이며, 이런 광에 의한 주름형성의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물질들을 사용하여 콜라겐 섬유에 미치는 영향을 활발히 연구 중이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기술분야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의 주름을 개선하는데 그 효과를 안정한 상태에서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는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대성 과일 추출물 첨가시 제형 내의 다른 약한 이온성 고분자들과 쉽게 반응하지 못하도록 하여 침전 및 변색 반응이 최소화되는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열대성 과일추출물을 안정화시킨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대성 과일추출물은 각(Gac), 노니(Noni), 까뮤까뮤(CamuCamu), 아카이(Acai), 고지(Goji), 과라나(Guanara), 씨벅톤(Sea Buckthron) 및 마카(Maca)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크기는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a) 수불용성 셀룰로스 유도체를 유기용매에 용해시키고, 상기 열대성 과일추출물을 첨가하여 유상을 제조하는 단계; (b) HLB(hydrophile lipophil balance) 12 이상의 수용성 계면활성제를 물에 용해하여 수상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수상에 유상을 첨가하면서 유화하여 O/W(Oil in water) 형 유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유화액을 건조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불용성 셀룰로스 유도체는 에틸셀룰로스, 셀룰로스아세테이트, 셀룰로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및 셀룰로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수불용성 셀룰로스 유도체이고, 상기 수용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형 비이온 계면활성제, 다가알콜에스테르형 비이온 계면활성제, 고분자형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수용성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보다 우수한 기능성 화장료를 찾고자 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수십 종의 열대성 과일을 검색한 결과,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또한, 보다 유효한 주름방지를 갖는 화장료를 얻기 위하여, 이들 추출물을 기본으로 하여 분획을 실시하여 배합비율을 얻고, 복합적인 분체의 제조를 시도한 각 성분의 상가(相加) 효과 이상의 상승효과가 얻어질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서 사용된 초임계 유체 추출기술이란 일정한 고압 및 고온(임계점)을 넘어서면 특정 물질이 유체상태가 되는데 이 상태에서 독성이나 잔류 물질 없이 인간에게 이로운 유효 성분만을 고순도로 분리, 정제해 내는 것이다.
초임계유체에 의한 추출은 용매로서 임계온도(critical temperature, Tc)와 임계압력(critical pressure, Pc)의 부근이나 그 이상의 상태인 초임계유체를 이용한다. 초임계유체는 기체와 액체의 물성을 절충한 특성을 나타내는데, 밀도는 액체의 밀도에 가깝고, 점도는 기체의 점도에 가까우며, 확산계수는 액체의 확산계수보다 약 100배정도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높은 용해도와 빠른 물질전달 속도를 나타낸다. 또한 간단히 온도와 압력을 변화시키거나 보조용매(modifier)의 사용으로 용매력(solvent power)을 자유자제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목적물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초임계유체로 이산화탄소를 꼽을 수 있는데, 이것은 임계온도가 낮아서 열에 불안정한 물질의 분리정제에 용이하다. 한편, 초임계유체 용매는 제품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으므로 유기용매 추출시 문제가 되는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그 가격이 저렴하므로 매우 환경친화적이며 경제적인 추출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초임계 추출의 장점은 첫째, 용매 대신에 인체에 무해한 이산화탄소를 이용하기 때문에 피부에 무독성이다. (잔류 유기용매 및 중금속 없음) 둘째 저온에서 공정이 이루어짐으로 천연식물 및 생약재의 신선함을 그대로 전해줄 수 있다.(Activity 연장, 열로 인한 변성을 막음) 셋째, 추출과정을 최대한 단순화하여 생화학적으로 안정할 수 있다.(산소차단, 미생물 오염방지) 초임계 추출에 의한 추출물 중 본 발명에 필요로 하는 유효성분만을 최대로 얻어낸 후 마이크로캡슐화를 통해 안정화를 유지하여 화장료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된 유효성분을 캡슐화하는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은 본 출원인이 발명하여 출원한 특허출원 제2005-0031878호 "수불용성 셀룰로스 유도체를 이용한 마이크로 캡슐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마이크로 캡슐"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음을 알려둔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사항 이외의 내용는 상기 특허출원에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캡슐은 (a) 수불용성 셀룰로스 유도체를 유기용매에 용해시키고, 상기 열대성 과일추출물을 첨가하여 유상을 제조하는 단계; (b) HLB(hydrophile lipophil balance) 12 이상의 수용성 계면활성제를 물에 용해하여 수상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수상에 유상을 첨가하면서 유화하여 O/W(Oil in water) 형 유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유화액을 건조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불용성 셀룰로스 유도체는 에틸셀룰로스, 셀룰로스아세테이트, 셀룰로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및 셀룰로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수불용성 셀룰로스 유도체이고, 상기 수용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형 비이온 계면활성제, 다가알콜에스테르형 비이온 계면활성제, 고분자형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수용성 계면활성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실시예 1 : 각 유효성분의 추출(초임계 추출)
먼저 1,3BG(Butylene Glycol)와 에탄올을 같은 질량 비율로 혼합한 후 교반시켜서 단일상이 되도록 하였으며, 이를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추출공정에 사용되어질 공용매로 사용한다. 각(Gac), 노니(Noni), 까뮤까뮤(CamuCamu), 아카이(Acai), 고지(Goji), 과라나(Guanara), 씨벅톤(Sea Buckthron), 마카(Maca)는 중량의 변화가 없을 때까지 건조하여 분쇄기를 이용하여 직경 0.3㎝이하의 크기로 분쇄한다. 각각 분쇄된 재료에 공용매를 1:2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30분간 교반한 후 혼합물을 내부용적 1.5L의 초임계 추출조에 투입하여 밀봉 후 고압 기체 펌프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공급함으로 압력을 높인다. 추출조 내부의 온도를 0.5℃/min속도로 40℃까지 승온하여 50분간 유지시킨다. 다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면서 추출물을 방출시키고 상압으로 감압되어 이산화탄소와 그 추출물이 분리되고 이산화탄소는 대기로 방출되며, 추출물은 포집기로 회수하여 본 발명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 열대성 과일 추출혼합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추출된 각각의 추출물을 동일 질량 비율로 혼합하여 여기에 메탄올을 첨가하고 5시간 동안 환류 시킨 후 감압 증류하여 140g의 건조 메탄올 추출물을 얻고, 상기 추출물을 증류수와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고 감압 증류하여 30g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얻은 후 헥산-에틸아세테이트(hexane-ethylacetate)를 기울기 용출용매로 이용하는 실리카 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얻은 분획 중 헥산-에틸아세테이트(8:5)에서 용출된 분획으로부터 본 발명의 열대성 과일 추출혼합물을 얻었다(Rf:0.16, 헥산-에틸아세테이트=8:5).
실시예 3 :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에틸셀룰로스 90 g을 메틸렌클로라이드 400 g에 용해하고 여기에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열대성 과일 추출혼합물 10 g을 분산시켜 유상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폴리비닐알콜 20 g을 물 980 g에 용해시켜 수상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상에 제조된 유상을 넣고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회전수 3000rpm에서 약 5분간 유화시켜 O/W형 유화액을 제조하였고, 유화액은 감압증류기를 이용하여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감압증류가 끝난 후 분산액을 여과하여 마이크로캡슐만 회수하고 회수된 마이크로캡슐은 건조기에서 건조시켜 분말상의 마이크로캡슐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8 : 화장료의 제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동종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성을 이용하여 다음 표 1의 조성에 따라, 유성 및 수성성분과 계면활성제 등을 실시예 3에 얻은 마이크로캡슐과 각각 혼합하여 호모믹서기로 교반한 후 가열 및 냉각하여 균일 혼합된 화장료인 실시예 4-8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각 유효성분의 추출(에탄올 추출)
실시예 1의 대상물질들 각각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직경 0.3㎝이하의 크기로 분쇄한 후, 일반적인 에탄올추출에 의한 대상물질 각각의 추출물들을 본 발명의 비교대상물질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2 : 열대성 과일 추출혼합물의 제조
비교예 1의 각각의 추출물을 동일 질량 비율로 혼합하여 열대성 과일 추출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 리포좀의 제조
상기 비교예 2에서 얻은 열대성 과일 추출혼합물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8 : 화장료의 제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동종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성을 이용하여 다음 표 1의 조성에 따라, 비교예 3에서 얻은 리포좀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 내지 8과 동일한 조성으로 비교예 4 내지 비교예 8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표 1]
원료명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폴리 솔베이트-60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스테아린산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스쿠알란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세로 스테아릴알콜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세릴옥타노에이트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카보머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트리에탄올아민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글리세린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실시예 3혼합물 0.1
실시예 3혼합물 1
실시예 3혼합물 5
실시예 3혼합물 10
실시예 3혼합물 20
비교예 3혼합물 0.1
비교예 3혼합물 1
비교예 3혼합물 5
비교예 3혼합물 10
비교예 3혼합물 20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합 100 합 100 합 100 합 100 합 100 합 100 합 100 합 100 합 100 합 100
[실험예]
실험예 1 : 섬유아세포 증식능 및 콜라겐 합성능 비교실험
실시예 2의 추출물을 실험예 1에 사용하였다. 사람 피부 유래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그 세포 증식능을 실험하였다. 섬유아세포는 -70℃또는 액체질소에 보관된 세포를 증식시켜 사용하였다. T-75 플라스크에 배양되어진 섬유아세포를 PBS로 2-3회 세척하고, 트립신을 이용하여 부착된 세포를 떨어뜨린 후, 15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Heraeus, Labofuge 400R)하여 세포를 모았다. 원심분리 후 상층액은 버리고 침전세포에 10㎖의 DMEM(10% FBS)을 첨가하여 고르게 섞어준다. 혈구계수기를 이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하여 104ea/well 정도의 세포를 96well의 각 well에 200㎕씩 분주한다. 37℃, 5% CO2에서 배양하면서 well 면적의 약 50%정도의 세포가 자라면 새로운 DMEM (FBS10%)으로 배지를 교환해 주면서, 실시예 2의 처리구에 대하여 각각을 농도별로 각 well에 2반복으로 첨가하여 37℃, 5% CO2에서 각 시간대 별로 세포를 배양하였다.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Sigma)를 PBS에 2㎎/㎖가 되도록 녹여 냉장고에 보관해서 사용하였으며, 각 well에 MTT시약(5㎎/㎖ in PBS)을 20ul씩 처리하고 2시간 더 배양한 후 상등액을 버리고 150㎕의 디엠에스오(DMSO)를 넣고 잘 섞어주거나 또는 0.04N-HCl 100㎕를 넣고 섞어준다. 모든 단계가 끝난 후 ELISA leader(μQuant, Bio-Tek instrument INC.)를 이용해 560nm에서 측정한다(Reference : 650nm). 그 측정결과를 도 1과 2에 표시하였다.
실험예 2 : 피부 탄력효과 측정 실험
온도 22~24℃, 상대습도 55% 조건에서 20세 이상의 건강한 여성 60명(평균연령 29.5세)을 6 그룹으로 나누고, 실시예 6, 비교예 6의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눈가를 중심으로 12주간 도포(2회/일)한 후, 피부탄력측정기(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탄력을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Cutometer SEM 575의 각 시험 그룹별 평균값인 △R5값[R5(12주)-R5(0주)] 값으로 기재하였는데, R5 값은 실탄성 계수를 나타내는 값으로 1에 가까워지면 보다 탄력도가 우수함을 나타낸다.
또한 개선도는 하기 식 1에 의해 계산하였고 그 계산결과는 표 2에 기재하였다.
[식 1]
Figure 112006046646512-pat00001
[표 2]피부탄력도 측정실험결과(12주)
도포전 도포후 피부탄력증강효과(△R5) 개선도(%)
실시예 6 0.74 1.16 0.42 56.76
비교예 6 0.71 0.81 0.1 14.08
상기 표 2에 따르면, 실시예 3의 혼합물을 함유한 실시예 6을 사용한 경우, 피부 탄력이 비교예 6에 비해 42.68% 증가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를 안정화시킨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한 화장료는, 유효성분만을 극대화하지 않은 일반 추출 또는 마이크로 캡슐로 안정화되지 않는 경우보다, 피부탄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킴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피부 수분량 측정 실험
22~24℃, 상대습도 55%, 공기의 흐름이 없는 실내에서 건강한 여성 70명(평균연령 29.5세)을 대상으로 각각 10명씩 7그룹으로 분리하였다. 실시예 6 및 비교예 6의 화장료를 각 그룹마다 눈가를 중심으로 얼굴 전체에 하루 2회 6주간 도포하게 하였다. Skicon-200(IBS Co. Japan)을 이용하여, 도포 전, 후에 볼 부위의 수분량을 측정하여 보습효과의 지속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각 시험그룹별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개선도는 다음 식 2에 따라 계산하였다.
[식 2]
Figure 112006046646512-pat00002
[표 3]
시험전 도포 6주 후 개선도 (%)
실시예 6 630 ± 10 890 ± 10 41.27
비교예 6 630 ± 10 635 ± 10 0.78
상기 표 3에 따르면, 화장료 중에 실시예 2를 안정화시킨 마이크로캡슐을 0.1 내지 20 중량%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 인체첩포 실험
열대성 과일의 유효성분을 마이크로 캡슐화한 실시예 3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자극, 기타 부작용이 없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비교예 7과 실시예 7, 8의 크림제형을 대상으로 인체에 대한 첩포실험(Patch test)을 실시하였다.
검사는 건강한 성인 남, 여 30명으로 등 부위에 핀쳄버(Finn chamber)를 이 용하여 알루미늄 원판 속에 화장제품을 직접 넣거나 종이 디스크에 묻혀서 40㎕를 처리하여 이를 스켄포어 테잎(scanpore tape)으로 피부에 고정시키고, 24시간 후 첩포를 떼어내고, 그 뒤 4시간 후 결과를 판정하였다. 결과는 홍반과 부종의 정도에 따라 수치로 나타내며, 판정기준은 국제접촉피부염 연구위원회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ICDRG)의 기준에 의한다(Wooding et al, 1967; Rietschell, 1982; Fischer & Maibach, 1984; Aberer et al, 1993).
판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0 : 발적없음
1 : 발적(erythema)
2 : 발적 및 구진(papules)
3 : 발적, 구진 및 소수포(vesicles)
4 : 심한 부종 및 소수포
상기 판정기준에 따라 판정한 점수에 근거하여 하기 식 3에 따라 자극도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식 3]
Figure 112006046646512-pat00003
[표 4]
비교예 7 실시예 7 실시예 8
자극도(%) 5.0 0.01 0.02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7 및 8의 경우 피부염증 또는 기타 자극은 없었다.
실험예 5 : 마이크로 캡슐의 크기별 경피흡수 측정 실험
화학결합에 의하여 형광물질을 부가시킨 PMMA 고분자를 이용하여 각각 50㎛, 80㎛, 120㎛ 및 500㎛의 크기를 갖는 입자를 제조하고, 암컷 무모 기니아 피그의 피부에 도포하고 이어서,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피부 단면을 잘라 경피 흡수된 나노입자에서 방출되는 형광을 측정하였다. 형광 PMMA 고분자 나노입자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co-메타아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산의 몰비는 84:16)의 메타아크릴산의 카르복실기에 형광분자를 공유결합시켜 제조하였다.
그 제조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34g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co-메타아크릴산을 150ml의 무수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녹인 뒤, 132mg의 디시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와 74mg의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를 첨가하여 카르복실기를 활성화시켰다. 1시간동안 교반한 뒤, 222mg의 플루오레신아민을 첨가하여 플루오레신아민의 1차 아민과 활성화된 카르복실기가 반응하여 아미드결합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고분자 사슬에 형광분자가 공유결합하게 하였다. 반응은 상온, 암실조건에서 5시간동안 진행시켰다. 반응 후 형성되는 부산물인 디사이클로헥실우레아를 0.45㎛ 나일론 필터를 통해 제거한 뒤, 디에틸에테르에 침전시켜 반응시약 및 미반응 잔류물들을 일차적으로 제거하였다. 이어서, 이를 과량의 3차 증류수에서 하루동안 방치하여 나머지 잔류물들을 제거한 뒤, 40도에서 진공오븐을 이용하여 건조하였다. 그 결과, 형광물질이 부가된 50㎛, 80㎛, 120㎛, 500㎛의 크기를 갖는 PMMA 입자를 제조하였다. 크기별 경피흡수시험 을 위하여 8주령 암컷 무모 기니아 피그(strain IAF/ HA-hrBR)를 이용하였다. 기니아 피그의 복부부위의 피부를 절취하여 프라즈-타입 디퓨젼 셀(Franz-type diffusion cells(Lab Fine Instruments, Korea))에 장착하여 실험하였다. 프라즈-타입 디퓨젼 셀의 수용 용기(5ml)에는 50 mM 인산염 완충액(pH 7.4, 0.1M NaCl)을 넣어주었다. 디퓨젼 셀은 32℃를 유지해주면서 600 rpm으로 혼합, 분산시켜주었으며, 각 크기별로 제조된 형광 PMMA입자가 10%(w/v) 분산된 용액 50㎕를 각각의 도너(donor) 용기에 넣어주었다. 미리 예정한 시간(평균 12시간)에 따라 흡수 확산시켜 주었으며, 흡수 확산이 일어나는 피부의 면적은 0.64 cm2 가 되게 하였다. 입자의 흡수 확산이 끝난 후에는, 건조된 Kimwipes 혹은 에탄올 10ml로 피부위에 남아있는 흡수되지 못한 입자를 씻어주고, 피부의 단면을 절개하여 피부단면에 흡수된 형광 PMMA입자의 분포를 측정하였다.
입자의 피부내 분포측정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으며, 도 3 및 4에 사진을 나타내었다.
[표 5]
입자의 평균 크기 경피흡수 도달부위
50㎛ 35㎛
80㎛ 17㎛
120㎛ 12㎛
500㎛ 7㎛
표 5에서, 입자의 경피흡수는 평균 입경에 크게 의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평균 직경 50㎛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입자는 표피를 통과하여, 진피층 상단까지 흡수, 확산되었으며, 입자의 크기가 5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입자는 피부표면에 머물게 되며, 더 이상 피부내부로의 흡수가 일어나지 않았다. 평균 직경 50㎛ 내외의 입자는 피부의 세포간 지질 사이로 확산되어 들어가고, 고분자의 소수성은 이러한 경피흡수를 촉진해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경피 흡수가 잘 안되거나 불안정한 유효 활성성분을 평균 입경 50㎛ 내외의 입자에 포집시켜 주는 경우, 입자를 통한 피부 내부로의 전달을 통해 활성성분의 경피흡수 전달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6 : 안정성 실험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시킨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한 화장료에 대한 제형의 안정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6, 비교예 6 및 7을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한 시료, 4℃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완전히 차광된 냉장고 내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한 시료, -5℃에서 37℃를 순환하는 순환 챔버(1회/일)에 12주 동안 보관한 시료에 대하여 분리, 변색 정도 및 침전 정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제품 분리 및 변색 정도를 다음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제품 변색 평가 기준
0 : 변화 없음 1 : 극히 조금 분리(변색)
2 : 조금 분리(변색) 3 : 조금 심하게 분리(변색)
4 : 심하게 분리(변색) 5 : 극히 심하게 분리(변색)
[표 6]시험물질의 분리 및 변색 정도
온도 실시예 6 비교예 6 비교예 7
45℃ 0 3 3
4℃ 0 2 2
순환 0 2 3
상기 표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캡슐을 통해 안정화된 실시예 6은 4℃, 45℃ 및 순환시험에서 변색이나 분리 증상이 없이 안정하였으나, 안정화시키지 않고 직접 제형에 사용한 비교예 6 및 7의 경우에는 분리(변색)가 일어나 불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품 침전 정도를 다음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제품 침전 평가 기준
0 : 변화 없음 1 : 극히 조금 침전
2 : 조금 침전 3 : 조금 심하게 침전
4 : 심하게 침전 5 : 극히 심하게 침전
[표 7]시험물질의 침전 정도
온도 실시예 6 비교예 6 비교예 7
45℃ 0 3 3
4℃ 0 3 2
순환 0 3 2
상기 표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캡슐로 안정화시킨 화장료는 침전이 생기지 않아, 안정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열대성 과일의 추출물을 안정화시키지 않고 첨가하면, 제형 내의 다른 약한 이온성 고분자들과 쉽게 반응하여 침전 및 변색이 일어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추출물을 마이크로캡슐로 안정화시켜 제형에 적 용하는 경우에는 과량 첨가되어도 침전 및 변색 반응이 최소화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열대성 과일의 유효성분 분획추출물을 마이크로캡슐화하여 그 안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피부의 주름을 개선하는데 그 효과를 안정한 상태에서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열대성 과일의 추출물을 안정화시키지 않고 첨가하면, 제형 내의 다른 약한 이온성 고분자들과 쉽게 반응하여 침전 및 변색이 일어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추출물을 마이크로캡슐로 안정화시켜 제형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과량 첨가되어도 침전 및 변색 반응이 최소화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삭제
  2. 화장료 조성물로서,
    건조되어 분쇄된 각(Gac), 노니(Noni), 까뮤까뮤(CamuCamu), 아카이(Acai), 고지(Goji), 과라나(Guanara), 씨벅톤(Sea Buckthron) 및 마카(Maca) 각각의 과일과 같은 질량비율로 혼합된 1,3BG(Butylene Glycol)와 에탄올의 공용매를 1:2의 질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초임계 유체인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초임계 추출법으로 추출한 각각의 추출물을 동일 질량 비율로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다시 헥산-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얻은 열대성 과일 혼합 추출물을 안정화시킨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크기는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삭제
KR1020060059158A 2006-06-29 2006-06-29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799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158A KR100799991B1 (ko) 2006-06-29 2006-06-29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158A KR100799991B1 (ko) 2006-06-29 2006-06-29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075A KR20080001075A (ko) 2008-01-03
KR100799991B1 true KR100799991B1 (ko) 2008-01-31

Family

ID=39213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9158A KR100799991B1 (ko) 2006-06-29 2006-06-29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99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043B1 (ko) * 2012-09-25 2014-11-20 우익중 카무카무분말이 포함된 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CN104382815A (zh) * 2014-10-27 2015-03-04 福州品行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改善脸部皮肤松弛的面膜液及其制备方法
RU2813352C1 (ru) * 2022-10-17 2024-02-12 Ооо "Эколайн"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асла и сока ягод облепих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60579B2 (ja) * 2008-10-10 2016-02-16 丸善製薬株式会社 フィラグリン産生促進剤、インボルクリン産生促進剤、及びトランスグルタミナーゼ−1産生促進剤
CN104207997A (zh) * 2014-09-18 2014-12-17 深圳朶妃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诺丽原液提取液的深层赋活面膜及其制备方法
CN104306617B (zh) * 2014-11-02 2018-02-27 福州乾正药业有限公司 含有玛咖和阿萨伊果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706703A (zh) * 2015-02-10 2015-06-17 山西隆水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翅果玛咖复方片及其制备方法
CN106377453B (zh) * 2016-08-31 2020-12-25 海南师范大学 一种诺丽果提取物乳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0040442A1 (ko) * 2018-08-20 2020-02-27 안디바 주식회사 수딩 크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34622B1 (ko) * 2019-10-16 2021-04-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카 다당류를 포함하는 이중미세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65027B1 (ko) * 2021-09-27 2022-02-23 주식회사 네오코스 천연 추출물 및 햄프씨드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4975A (en) * 1980-06-13 1983-05-24 Sandoz, Inc. Process for preparation of microspheres
JP2000319120A (ja) * 1999-05-10 2000-11-21 Ichimaru Pharcos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2000327550A (ja) * 1999-05-19 2000-11-28 Kose Corp 皮膚外用剤
JP2002138045A (ja) * 2000-10-30 2002-05-14 Ichimaru Pharcos Co Ltd 前駆脂肪細胞分化誘導剤
KR20020070279A (ko) * 1999-11-17 2002-09-05 타그라 바이오테크놀러지 엘티디. 마이크로 캡슐화 방법
JP2005022993A (ja) * 2003-06-30 2005-01-27 Kyoei Kagaku Kogyo Kk コラーゲン及びエラスチン産生促進剤並びにこれを含む老化防止化粧料
JP2005194246A (ja) * 2004-01-09 2005-07-21 Ichimaru Pharcos Co Ltd NF−κB活性化抑制剤
KR20050120881A (ko) * 2004-06-21 2005-12-2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노니 초임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4975A (en) * 1980-06-13 1983-05-24 Sandoz, Inc. Process for preparation of microspheres
JP2000319120A (ja) * 1999-05-10 2000-11-21 Ichimaru Pharcos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2000327550A (ja) * 1999-05-19 2000-11-28 Kose Corp 皮膚外用剤
KR20020070279A (ko) * 1999-11-17 2002-09-05 타그라 바이오테크놀러지 엘티디. 마이크로 캡슐화 방법
JP2002138045A (ja) * 2000-10-30 2002-05-14 Ichimaru Pharcos Co Ltd 前駆脂肪細胞分化誘導剤
JP2005022993A (ja) * 2003-06-30 2005-01-27 Kyoei Kagaku Kogyo Kk コラーゲン及びエラスチン産生促進剤並びにこれを含む老化防止化粧料
JP2005194246A (ja) * 2004-01-09 2005-07-21 Ichimaru Pharcos Co Ltd NF−κB活性化抑制剤
KR20050120881A (ko) * 2004-06-21 2005-12-2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노니 초임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043B1 (ko) * 2012-09-25 2014-11-20 우익중 카무카무분말이 포함된 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CN104382815A (zh) * 2014-10-27 2015-03-04 福州品行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改善脸部皮肤松弛的面膜液及其制备方法
CN104382815B (zh) * 2014-10-27 2017-01-11 福州品行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改善脸部皮肤松弛的面膜液及其制备方法
RU2813352C1 (ru) * 2022-10-17 2024-02-12 Ооо "Эколайн"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асла и сока ягод облепих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075A (ko) 200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9991B1 (ko)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040101588A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1033B1 (ko) 개양귀비, 붉은토끼풀, 라케모사승마 및 칼메그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74558B1 (ko) 진세노사이드 Rd, Rb2와 죽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01287B1 (ko) 하이드록시 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레스베라트롤 포접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090009054A (ko) 나노베지클 비타톡스를 함유하여 항산화 효과 및 눈가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58445B1 (ko) 복숭아꽃 추출물이 함유된 나노리포좀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1083A (ko)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43976B1 (ko) 흑효모 발효 발아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7139B1 (ko) 아이리쉬모스, 마조람, 카룸 페트로셀리눔 및 둥근빗살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4348B1 (ko) 파슬리, 약모밀, 페퍼민트잎 및 노니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02236A (ko) 미세먼지 차단 및 항노화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00820B1 (ko) 프로방스장미꽃잎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1107A (ko) 명월초 추출물 및 부아 메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040101709A (ko) 동백나무 추출물을 안정화시킨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JP2004107269A (ja) 蛋白質のカルボニル化抑制剤、皮膚外用剤及び方法
JPH11171784A (ja) 皮膚外用剤
JP4608691B2 (ja) 蛋白質のカルボニル化抑制剤、皮膚外用剤及び方法
JP4707214B2 (ja) 皮膚外用剤
KR20210025259A (ko) 흰서양송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14315A (ko) 호두 및 밤 복합 발효추출물의 나노 에멀젼을 함유하는 피부의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8766B1 (ko) 감태, 톳, 개청각, 우뭇가사리, 제주진득찰 및 랍도시아루베스켄스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70509B1 (ko) 바람하늘지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77138B1 (ko) 바위손, 사과, 오이 및 황금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14272165B (zh) 美白紧致植物精华护肤乳液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