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986B1 - 매실 추출물과 젖산을 함유한 항생제 대체용 가축 사료첨가제 - Google Patents

매실 추출물과 젖산을 함유한 항생제 대체용 가축 사료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986B1
KR100796986B1 KR1020060082901A KR20060082901A KR100796986B1 KR 100796986 B1 KR100796986 B1 KR 100796986B1 KR 1020060082901 A KR1020060082901 A KR 1020060082901A KR 20060082901 A KR20060082901 A KR 20060082901A KR 100796986 B1 KR100796986 B1 KR 100796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m
feed
lactic acid
extract
antibio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2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인석
고영현
양혜영
강선영
Original Assignee
진주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주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진주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82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9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95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30/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preservation of materials in order to produce animal feeding-stuffs
    • A23K30/20Dehyd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실 추출물 및 젖산을 함유한 항생제 대체용 가축 사료 첨가제, (1) 매실을 세정하고 건조시킨 후 과육을 수득하는 단계; (2) 매실의 과육을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 (3) 단계 (2)에서 얻은 매실 분말을 저급 알킬 알코올에 일정 시간 침지하여 매실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4) 여과액으로부터 저급 알킬 알코올을 증발시켜 매실 추출물을 회수하는 단계; (5) 상기 회수된 매실 추출물과 젖산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 항생제 대체용 가축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항생제 대신에 상기 항생제 대체용 가축 사료 첨가제를 함유한 가축 사료에 관한 것으로서, 항생제 이용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매실 추출물, 젖산, 포도 씨앗 추출물, 항생제, 가축 사료 첨가제

Description

매실 추출물과 젖산을 함유한 항생제 대체용 가축 사료 첨가제{Feed Additives Containing Extract of Prunus Mume and Lactic Acid as Alternatives to Antibiotics}
본 발명은 가축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매실 추출물과 젖산을 함유한 항생제 대체용 가축 사료 첨가제, 이의 제조방법 및 항생제 대신에 상기 가축 사료 첨가제를 함유한 가축 사료에 관한 것이다.
사료 첨가용 항생제는 오래전부터 특히 어린 가축의 성장 촉진 및 사료 효율 증진제로서 사용되어 오다 지금은 모든 축종 및 연령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사료용 항생제는 미량으로 사료에 첨가되어 가축의 질병예방 또는 비임상적으로 나타나는 질병 치료효과 및 장내 유해 미생물 서식을 억제함으로써 성장촉진과 사료 효율 증진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가축 사료 첨가용으로 사용되는 항생제로는 바시트라신 (bacitracin), 옥시테트라사이클린 (oxytetracyclin), 페니실린(penicillin), 타일로신(tylosin), 버지니아마이신(virginiamycin)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항생제들은 사료에 첨가하여 지속적으로 투여하면 가축 자체에 내성이 생길 수 있고, 항 생제 잔류 축산물을 소비자가 지속적으로 섭취하면 인체도 항생제 내성이 생겨 국민 보건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동물성 식품에 존재할 수 있는 항생제 내성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는 현실에서 이를 간과하고서는 축산업에서의 경쟁력 확보가 불가능하다. 최근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사료 첨가용 항생제를 대폭 축소하고, 사료에 대한 HACCP 제도를 도입하는 등 사료 위생을 엄격히 관리하는 단계로 접어들면서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후보 물질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에 따라 사료 첨가용 항생제 대체제로 생균제, 광물질, 유기산제 및 허브 추출물 등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2005-0011016호는 생균제가 사료 첨가용 항생제 대체제로서 이용된 경우로, 가금 티푸스 원인균인 살모넬라 갈리나륨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높은 신규한 페니바실러스 폴리마이샤(Paenibacillus polymyxa) Gu88균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Gu24 및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Hans 1-19 균주를 제공한 것으로, 이들은 가금 티푸스 원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높아 동물용 항생제 대체제로서 사용이 가능하며, 사료에 0.2% 혼합 급여시 산란계의 분변균총 중 살모넬라와 대장균 수를 줄여 이들에 의한 폐사를 줄일 수 있다.
이상 예시된 바와 같이 생균제제로는 유산균류, 효모, 곰팡이류와 이들의 복합제제 등이 개발되어 왔는데, 이들은 장관에서 살모넬라(salmonella), 대장균(E. Coli), 콜로스트리움(clostridium perfringens) 등과 같은 유해 미생물 서식을 억 제하여 가축의 성장률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들의 효과는 생균제에 따라 크게 상이하기 때문에 특정 생균제를 사료 첨가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생체에서의 안전성 [FDA가 요구하는 "generally recognized as safe"(GRAS)] 및 효능이 먼저 검증되어야 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2005-0050566호는 광물질이 사료 첨가용 항생제 대체제로서 이용된 경우로, 견운모 60 내지 75 중량%, 음이온 분말 10 내지 20 중량%, 식물성 옥수수 전분 1 내지 7 중량%를 포함하는 양계용 천연광석물조성물과, 이를 분쇄 및 혼합하고 숙성 및 경화 후 과립화 및 열처리하여 배합사료에 15 내지 20 중량% 첨가하고 항균보온포장하여 양계용 건강기능성 보조사료를 제조하여, 화학영양제 및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 항병력 및 면역력 증가, 살균소독정화와 소화촉진 및 강장효능이 있는 양계용 건강기능성 보조사료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유기산(개미산, 구연산 및 프로피온산 등)은 생체에서 그 작용 기전이 알려지지 않았으나, 어린 가축 사료에 0.1 내지 5%의 양으로 첨가하면 설사 예방과 성장 촉진 작용이 있어 이들을 어린 가축사료 첨가제로 이용하여 왔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 2005-0060348호는 키토산 분말 5 중량%, 디-글루코사민 분말 5 중량%, 젖산 10 중량%, 물 80 중량%로 혼합한 혼합액을 제조하고, 이를 물로 1000배 희석하여 혼합액의 희석액을 제조한 후, 통상의 사료 5t, 비타민 C 1kg, 구연산 4kg을 혼합하여 제조한 분말사료에 상기 제조된 혼합액의 희석액을 압축분사하는 과정으로 제조되는 키토산이 함유된 배합사료를 개시하고 있다.
보다 최근에는 식물로부터 추출한 정유(essential oil)가 항생제 대체제로서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2003-0039370호는 통상의 가축사료 배합성분에 유자껍질 분쇄물, 유자가공부산물 또는 유자추출액, 특히 이로부터 분리한 리모넨을 함유하는 가축용 사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허브 추출물의 항균 작용 메커니즘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본 발명자들은 인공적으로 합성된 항생제를 대신할 수 있는 또 다른 물질을 스크리닝하던 중에 매실 추출물과 젖산을 함유한 조성물, 이에 추가로 포도 씨앗 추출물을 함유시킨 조성물이 장내 유해균의 번식을 억제하여 항생제 대신에 이용 가능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한 관점으로서, 매실 추출물 및 젖산을 함유한 항생제 대체용 가축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다른 관점으로서, 매실 추출물은 (1) 매실을 세정하고 건조시킨 후 과육을 수득하는 단계; (2) 매실의 과육을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 (3) 단계 (2)에서 얻은 매실 분말을 저급 알킬 알코올에 일정 시간 침지하여 매실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4) 여과액으로부터 저급 알킬 알코올을 증발시켜 매실 추출물을 회수하는 단계; (5) 상기 회수된 매실 추출물과 젖산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 항생제 대체용 가축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관점으로서, 상기 항생제 대체용 가축 사료 첨가제를 항생제 대신에 함유한 가축 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매실 추출물 및 젖산을 함유하거나, 여기에 추가로 포도 씨앗 추출물을 함유한 항생제 대체용 가축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생제 대체용 가축 사료 첨가제에서 매실 추출물은 목적한 항균 효과를 얻기 위하여 가축 사료 첨가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젖산도 매실의 항균 효과를 돕기 위해서는 가축 사료 첨가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항생제 대체용 가축 사료 첨가제가 포도 씨앗 추출물을 함유할 경우에는 그 함량을 1 내지 100pp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ppm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항생제 대체용 사료 첨가제에서 포도 씨앗 추출물은 주로 항산화제로서 작용하며, 매실 추출물과 젖산의 항균 효과를 지지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항생제 대체용 가축 사료 첨가제에 포함되는 성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사료 첨가제에 함유되는 "매실 추출물"의 출발물질인 매실은 주성분이 탄수화물이며, 당분이 10% 정도로 다량의 유기산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매실은 산도가 높은 천연물로서 구연산(1.61-5.12%)을 비롯한 말릭산(1.52-2.35) 등 5% 이상의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다(임재웅, 1999, 매실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영양학회, 학술 심포지엄, p.19-37). 이러한 매실을 농축 추출액으로 제조하면 구연산 48.0%, 사과산 14.0% 이상 등 모두 약 62% 이상의 유기산이 함유되도록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매실 추출액에 함유된 다량의 유기산이 탁월한 항균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사료 첨가제에 포함되는 "젖산"은 사료에 첨가하여 가축에게 급여시킬 경우 췌장 효소의 분비를 촉진한다고 알려져 있다 (Ravindran, V. et al. 1993, A review. J. Sci. Food Agri. vol.62, pp.313-322). 일반적으로 장내 유해균은 대부분 그람 음성균(E. coli, salmonella, clostridium, campylobacter)으로 장내 pH 4.5 이상에서 번식이 활발하지만, 장내 유산균이 활발하게 증식될 경우, 장내 pH가 저하되어 장내 유해균의 번식이 억제되어 결과적으로 동물자체의 독성물질 생성 방지, 면역력 증강 등과 같은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젖산의 경우 pH가 낮기 때문에 가축에게 급여시킬 경우 장내 pH를 저하시킬 것으로 예상되며, 그에 따라 장내 유해균의 번식을 억제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젖산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며, 분리 정제된 젖산 대신에 젖산을 생산하는 미생물의 배양물을 그대로 또는 부분 정제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사료 첨가제에 선택적으로 포함되는 "포도 씨앗 추출물"의 출발물질인 포도 씨앗은 천연의 항산화제로서 세포의 항산화력 방어 작용이 기대된다. 특히, 포도 씨앗은 페놀 계열의 성분이 많아 각종 질병 및 노화에 대한 항산화 방어 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Bagchi M. et al. 1999, Nutr. Res. Vol.19, pp.1189-1199). 포도 씨앗에 함유된 프로안토시아니딘(proanthocyanidin)은 폴리페놀(polyphenol) 계열의 항산화제로서 생체내에서 우수한 항산화 기능을 나타내는데, 비타민 E 및 C에 비해 각각 20배 및 50배 이상의 항산화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Uchida S. 1980, Med. Sci. Res. vol. 15, pp.831-832). 따라서, 본 발명의 가축 사료 첨가제가 포도 씨앗 추출물을 함유할 경우에는 포도 씨앗의 항산화 효과를 추가로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포도 씨앗 추출물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며, 가능한 포도 씨앗의 성분들이 보존되어 고유한 효능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는 상태로 제조된 추출물을 입수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성분들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사료 첨가제는 (1) 매실을 세정하고 건조시킨 후 과육을 수득하는 단계; (2) 매실의 과육을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 (3) 단계 (2)에서 얻은 매실 분말을 저급 알킬 알코올에 일정 시간 침지하여 매실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4) 여과액으로부터 저급 알킬 알코올을 증발시켜 매실 추출물을 회수하는 단계; (5) 상기 회수된 매실 추출물과 젖산을 혼합하는 단계를 거쳐서 제조할 수 있다.
단계 (1)에서 매실은 시중에서 구입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이렇게 얻은 매실은 충분히 세정하여 각종 불순물과 농약을 제거하여야 하며, 세정 후에는 완전히 건조시킨 다음 과육만을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1)을 통하여 분리한 매실의 과육은 동결 건조하여 분말로 만든다. 이와 같이 분말로 만들게 되면, (후술하는) 매실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용 매와 매실이 접촉하는 면적이 커져 매실의 유효성분을 최대한으로 추출해낼 수 있다. 이 때, 동결 건조는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동결 건조 방식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3)에서는 단계 (2)를 통하여 얻은 매실 분말을 저급 알킬 알코올에 일정 시간 침지하여 매실의 유효성분을 추출한다. 여기서, 매실 분말 대 저급 알킬 알코올을 1: 1 내지 5, 바람직하게는 1 : 1 내지 3, 더욱 바람직하게는 1: 1의 혼합비로 침지시킨다. 저급 알킬 알코올로는 메탄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알코올에 매실 분말을 침지하는 시간은 2 내지 5일이 적절하고, 3 내지 5 일이 바람직하고, 4 내지 5일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매실 분말을 알코올에 침지된 상태로 방치하기 보다는 정기적으로 흔들어 주어 매실의 유효성분이 추출되는 것을 촉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4)에서는 단계 (3)을 통하여 얻은 여과액으로부터 저급 알킬 알코올을 증발시켜 매실 추출물을 회수한다. 이 때에는 증발 장치, 특히 회전식 진공 증발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저급 알킬 알코올이 모두 증발되면 증발을 종료하고 농축된 매실 추출물을 회수한다.
단계 (5)에서는 앞서 회수된 매실 추출물과 젖산을 균질하게 혼합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라 여기에 추가로 포도 씨앗 추출물을 혼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항균력을 나타내므로 인공적으로 합성된 항생제 대신에 사료에 첨가시킬 수 있으며, 그러한 사료도 본 발명의 한 측면을 이룬 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를 사료에 첨가함에 있어서, 양이 너무 적을 경우 유의적인 항균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양이 너무 많을 경우 증체량 및 사료 섭취량이 감소하고 가축 체내에 독성을 유발할 우려가 있으므로 첨가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조가격의 경제성을 고려하여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사료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2.0 중량%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를 사료에 첨가하여 배합하는 방법으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기계적 혼합, 흡착, 흡장 등의 방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로는 곡류위주의 배합사료, 일반 볏짚, 목초, 앤시리지, 건초, 산야초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가축의 사육에 사용되는 사료면 어떠한 것이든지 무방하다.
이하,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가축 사료 첨가제에 함유되는 각 성분의 제조
시중에서 구입한 매실을 증류수에 세척하고 완전히 건조하여 과육을 획득하 였다. 획득된 과육을 동결 건조하여 매실 분말을 얻고, 이렇게 얻은 매실 분말 5kg을 5L 메탄올(1:1 비율)에 침지하여 5일 동안 정기적으로 흔들어 주어 매실의 유효 성분을 추출하였다. 추출 과정이 완료된 후, 그 여과액을 회전식 진공 증발장치(60℃)에서 증발시켜 약 500㎖의 고농축 매실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젖산(순도 50%; 올더베스트, 한국) 및 포도 씨앗 추출물(SUSA International Inc, 미국)은 시중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In vitro 항균력 분석
A. 각 성분의 농도별 제조
실시예 1을 통하여 얻은 매실 추출물을 증류수에 100, 75, 50, 25 및 12.5% 등 농도별로 희석하여 제조하였다. 마찬가지로 젖산도 증류수에 희석하여 100, 75, 50, 25 및 12.5% 농도로 제조하였다. 포도 씨앗 추출물도 항균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100, 75, 50, 25 및 12.5%의 농도로 제조하였다.
B. 단일 성분의 항균력 분석
본 발명의 성분들, 즉 매실 추출물, 젖산 및 포도 씨앗 추출물 각각의 항균력은 paper disc agar diffusion법(Collins C.H. et al. 1989, Collins and Lyne's microbiological methods, 6th ed. p.161)에 따라 분석하였다. 대장균(KCTC 2441) 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ATCC 6633)를 배양한 후 콜로니 1-2개를 순수 분리하여 영양 배지와 아가를 이용하여 각각 배양하였다. 이어서, 중층용 배지에 상기 배양물을 0.1㎖씩 넣어 미생물을 접종하고 평판 배지에 분주한 후 실온에서 방치하여 굳혔다. 앞서 제조된 각 성분의 특정 농도의 희석액 20㎕를 디스크(disk, 6mm)에 주입한 후 건조시켜 상기 패트리 접시에 일정한 간격으로 놓고 37℃ 배양기에서 1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후 클린 존(미생물 성장이 억제된 반경)을 측정하여 항균력의 범위로 간주하였다.
그 결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실 추출물 및 젖산 처리구에서 농도 의존성 항균력이 나타냈다. 매실 추출물은 100% 농도에서 가장 높은 항균을 보였으며,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항균력도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젖산 역시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높은 농도 의존성 항균력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포도 씨앗 추출물은 모든 농도에서 항균력을 보이지 않았다.
[표 1] 각 성분의 농도별 항균력
Figure 112006062727914-pat00001
1제시된 값(평균±SD): 배지 disk 주위 미생물이 자라지 않은 범위 직경(clean zone, cm)
C. 이종 성분의 항균력 분석
실시예 2의 B에 따라 항균력을 분석하되, 단일 성분을 이용하는 대신에 매실 추출물과 젖산을 농도별로 조합하여 항균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매실 추출물 및 젖산의 혼합물 처리구에서 항균력이 나타났으며, 매실 추출물과 젖산의 혼합 농도에 비례적으로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특히, 매실 추출물 12.5% 이상 및 젖산 50% 이상부터 농도 증가에 비례하여 비교적 높은 항균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2] 이종 성분의 농도별 조합에 따른 항균력
Figure 112006062727914-pat00002
D. 삼종 성분의 항균력 분석
실시예 2의 B에 따라 항균력을 분석하되, 단일 성분을 이용하는 대신에 매실 추출물, 젖산 및 포도 씨앗 추출물을 농도별로 조합하여 항균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표 3 내지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서 이종 성분을 농도별로 혼합하여 관찰한 결과와 유사하게 젖산 50% 이상 및 매실 추출물 12.5% 이상에서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포도씨앗 추출물은 항균력 보다는 공지된 바와 같이 항산화 방어 작용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표 3] 젖산이 100%인 경우에 삼중 성분의 농도별 조합에 따른 항균력
Figure 112006062727914-pat00003
[표 4] 젖산이 75%인 경우에 삼중 성분의 농도별 조합에 따른 항균력
Figure 112006062727914-pat00004
[표 5] 젖산이 50%인 경우에 삼중 성분의 농도별 조합에 따른 항균력
Figure 112006062727914-pat00005
[표 6] 젖산이 25%인 경우에 삼중 성분의 농도별 조합에 따른 항균력
Figure 112006062727914-pat00006
이상의 In vitro 분석 결과와 경제성을 고려하여 매실 추출물 25%, 젖산 75% 및 포도 씨앗 추출물 10ppm을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항생제 대체용 가축 사료 첨가제(이하,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로 간략하게 표기함)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를 대상으로 (후술하는) in vivo 항균력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3>
In vivo 항균력 분석
A. 공시 동물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의 in vivo 항균력 분석 대상은 육계 수컷 Ross 308종 96수로서 (주) 하림에서 구입하였다. 구입 후 스트레스로 인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하여 2일간 적응기간을 거친 3일령(49.18 ± 0.90g) 병아리를 완전 임의법에 의해 3개 처리구에 처리당 8 케이지, 케이지 당 4수씩 배치하였다. 본 in vivo 항균력 분석을 위하여 총 35일간 사육을 실시하였으며, 온도와 명암 조절(조명: 07:00~19;00)이 가능한 사육 시설에서 본 대학교의 사육 관리 지침에 따라 실시되었다.
B. 사료의 조성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를 균질하게 혼합시키기 위하여 시중에서 구입한 배합 사료를 분쇄기(Perten 3600, Sweden)를 사용하여 가루사료로 만들었다. 이어서, 대조구로서 무첨가, 항생제 처리구로서 전기사료에는 네오마이신(33ppm)과 옥시테트라사이클린(100ppm)을 첨가한 사료, 후기사료에는 콜리스틴(100ppm)을 첨가한 사료,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처리구로서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를 사료내 0.5 중량% 수준으로 배합하여 실온에서 보관하였다. 전기사료는 3-21일령까지, 후기사료는 22-35 일령까지로 구분하여 육계에게 급여하였다. 육계 사육시 사료는 매일 일정 량 무게를 측정하여 동물이 충분히 먹을 수 있는 양을 급여하여 자유 채식시켰다(표 7). 상기 사료의 조성은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다. 사료 섭취량은 체중 측정시에 측정하여 (21일령 및 35일령) 증체량과 사료 요구율을 계산하였다.
[표 7] In vivo 항균력 분석 설계
Figure 112006062727914-pat00007
[표 8] 사료의 조성
Figure 112006062727914-pat00008
11kg당 포함된 성분과 함량 : vit. A, 5,500,000IU; vit D3, 1,500,000IU; vit E, 15,000mg; vit K, 800mg; 티아민, 1,000mg; 리보플라빈, 4,000mg; 니아신, 25,000mg; 비오틴, 30mg; 폴산, 500mg 판토텐산, 5,000mg, 피리독신, 1,500mg; vit. B12, 15 mg
21kg당 포함된 성분과 함량 : Cu, 12,000mg; Fe, 35,000mg; Zn, 25,000mg; Co, 150mg; I. 500mg; Co, 150mg; Se, 120mg; Mn, 38,000mg
3매실 추출물 25% + 젖산 75% + 포도 씨앗 추출물 10mg/kg
4네오마이신+옥시테트라사이클린 (전기사료), 콜리스틴 설페이트 (후기사료)
C. In vivo 항균력 분석 대상 및 절차
체중 측정은 사육 개시(3일령), 육계 사육 전기(21일령) 및 사육 종료시(35일령)에 측정하여 증체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사육 기간 동안 사료 섭취량, 사료 요구율 및 폐사율도 측정하였다. 사육이 종료되는 35일령에 체중 측정 후 다음날 평균 체중에 가까운 7수씩 선택하여 경정맥을 절단하여 희생시켰다. 이어서, 복강을 절개하여 소장을 획득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소장과 맹장이 만나는 부위에서 소화내용물을 채취하여 밀봉한 후 액체질소에 급속 동결하여 분석 전까지 -70℃에 보관하였다. 맹장내 소화내용물로부터 대장균 및 유산균 균총도 조사하였다. 각각의 결과는 PROC-GLM(SAS, 1996)에 의해 분산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처리구간 비교는 Duncan 방법에 의해 P<0.05 수준에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D. 증체 및 사료 이용성
이상의 in vivo 항균력 분석 결과,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첨가구인 대조구에서 가장 낮은 사육 성적을 보였고, 항생제 첨가구에서 가장 우수한 성적을 나타내었다. 한편,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에서는 대조구보다 우수하고 항생제 처 리구 보다는 유의차 없이 다소 낮은 중간 정도의 사육 성적을 나타내어 항생제 대체용 사료 첨가제로서의 가능성이 입증되었다. 폐사율을 조사한 결과 항생제 처리구에서만 한 마리가 폐사되었으며,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처리구에서는 폐사가 발생되지 않았다.
[표 9] 각 처리구별 사육 시험 성적
Figure 112006062727914-pat00009
평균±SD
a,bP<0.05.
E. 장내 미생물 조사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장균수는 모든 구에서 유의적 차이 없이 비슷한 총균수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총 유산균 군락수는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처리구에서 대조구 및 항생제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은 총균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가 장내 유익한 미생물인 유산균의 번식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10] 각 처리구별 장내 미생물 총균수 [cfu(log/g)]
Figure 112006062727914-pat00010
평균±SD
a,bP<0.05.
본 발명에 따른 매실 추출물 및 젖산을, 여기에 추가로 포도 씨앗 추출물을 함유한 항생제 대체용 사료 첨가제는 가축의 장내 유해균의 번식을 억제함에 따라 인공 합성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항균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인공 합성 항생제 이용에 따른 환경적, 건강적 측면에서의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1) 매실을 세정하고 건조시킨 후 과육을 수득하는 단계; (2) 매실의 과육을 동결 건조시키고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 (3) 단계 (2)에서 얻은 매실 분말을 저급 알킬 알코올에 일정 시간 침지하여 매실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4) 여과액으로부터 저급 알킬 알코올을 증발시켜 매실 추출물을 회수하는 단계; (5) 상기 회수된 매실 추출물과 젖산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 항생제 대체용 가축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단계 (3)에서 매실 분말과 저급 알킬 알코올을 1:1 내지 5의 비율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대체용 가축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단계 (3)의 저급 알킬 알코올은 메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대체용 가축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단계 (3)의 일정 시간은 2 내지 5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대체용 가축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단계 (3)의 침지시에는 정기적으로 흔들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대체용 가축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11. 제 6항에 있어서,
    단계 (4)에서는 회전식 진공 증발장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대체용 가축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12. 삭제
  13. 삭제
KR1020060082901A 2006-08-30 2006-08-30 매실 추출물과 젖산을 함유한 항생제 대체용 가축 사료첨가제 KR100796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901A KR100796986B1 (ko) 2006-08-30 2006-08-30 매실 추출물과 젖산을 함유한 항생제 대체용 가축 사료첨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901A KR100796986B1 (ko) 2006-08-30 2006-08-30 매실 추출물과 젖산을 함유한 항생제 대체용 가축 사료첨가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6986B1 true KR100796986B1 (ko) 2008-01-22

Family

ID=39218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2901A KR100796986B1 (ko) 2006-08-30 2006-08-30 매실 추출물과 젖산을 함유한 항생제 대체용 가축 사료첨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98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865A (ko) * 2001-06-26 2002-02-09 양진석 사료첨가제용 포도찌꺼기 발효물
KR20020043339A (ko) * 2000-12-02 2002-06-10 이재민 매실의 다알코올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030065683A (ko) * 2002-01-30 2003-08-09 주식회사 한빛바이오 기능성 매실 발효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17660A (ko) * 2004-06-11 2005-12-15 진주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항산화물을 포함하는 가축의 사료첨가제
KR20060004636A (ko) * 2005-12-29 2006-01-12 주식회사 유니바이오 산란계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76645B1 (ko) 2005-02-04 2006-05-08 주식회사 한빛바이오 매실원액과 매실발효사료를 이용한 가축의 사육방법과그로부터 얻어진 돈육(豚肉) 및 계육(鷄肉)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339A (ko) * 2000-12-02 2002-06-10 이재민 매실의 다알코올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020011865A (ko) * 2001-06-26 2002-02-09 양진석 사료첨가제용 포도찌꺼기 발효물
KR20030065683A (ko) * 2002-01-30 2003-08-09 주식회사 한빛바이오 기능성 매실 발효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17660A (ko) * 2004-06-11 2005-12-15 진주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항산화물을 포함하는 가축의 사료첨가제
KR100576645B1 (ko) 2005-02-04 2006-05-08 주식회사 한빛바이오 매실원액과 매실발효사료를 이용한 가축의 사육방법과그로부터 얻어진 돈육(豚肉) 및 계육(鷄肉)
KR20060004636A (ko) * 2005-12-29 2006-01-12 주식회사 유니바이오 산란계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83922B (zh) 家禽用抗病促生长绿色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3609899B (zh) 猪用抗腹泻促生长绿色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EP2385765A1 (en) Additive to food or drinking water containing botanical antioxidants together with probiotic microorganisms
Pandey et al. Nutritional and anti-methanogenic potentials of macroalgae for ruminants
Adegbeye et al. Pawpaw, black cumin, and mustard seed meals dietary supplementation in broiler chickens: effect on performance, gut microflora, and gut morphology
KR101834383B1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와이셀라 시바리아 WIKIM28(Weissella cibaria WIKIM28)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0936015B1 (ko) 가축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KR101836365B1 (ko)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32를 첨가한 김치 양념소 및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102313770B1 (ko) 제주산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101087269B1 (ko) 약쑥 발효물을 포함하는 유해세균 억제용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사료 첨가제 급여에 의한 계란의 생산방법
KR100688441B1 (ko) 감귤박을 이용한 사료첨가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013473A (ko)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dk128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동물 면역증강용 천년초 발효유의 제조방법
KR100951273B1 (ko) 가축설사 억제제로써 죽엽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생물활성액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KR102313769B1 (ko) 제주산 방울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6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102317864B1 (ko) 유용미생물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96986B1 (ko) 매실 추출물과 젖산을 함유한 항생제 대체용 가축 사료첨가제
KR20160039097A (ko)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wikim20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60918B1 (ko) 미생물 기반의 사료용 생균제
KR101670955B1 (ko) 양식어류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양식시킨 양식어류
KR100557869B1 (ko) 사료 첨가제
KR20100037312A (ko) 유산균을 이용한 분말형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Saracila et al. Implication of dietary phytogenic mixture in modulating the intestinal microflora of broilers raised in thermoneutral and heat stress conditions
RU2779648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ой кормовой добавки дл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животных и птицы
KR102457367B1 (ko) 제주산 방울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6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RU2791554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эффективности выращивания рыбопосадо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осетровы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