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868B1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5868B1
KR100795868B1 KR1020060028488A KR20060028488A KR100795868B1 KR 100795868 B1 KR100795868 B1 KR 100795868B1 KR 1020060028488 A KR1020060028488 A KR 1020060028488A KR 20060028488 A KR20060028488 A KR 20060028488A KR 100795868 B1 KR100795868 B1 KR 100795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sma
session information
information
cha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8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7784A (ko
Inventor
이동현
곽민곤
Original Assignee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8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5868B1/ko
Publication of KR20070097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7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2Access point controller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SSMA의 세션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설정된 데이터 갱신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저장된 변경데이터를 제2 SSMA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변경데이터에 의해 제2 SSMA의 세션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함으로써, 제1 SSMA에서 제2 SSMA로 백업되는 데이터 및 데이터 백업 횟수를 최소화하여, 이중화용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 부하를 최소화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제1 SSMA의 장애 시 제2 SSMA를 동작 상태로 전환하고, 제2 SSMA는 제1 SSMA에서 백업된 제어 정보에 의해 기존에 설정된 가입자 세션정보를 유실됨이 없이 이용하여 휴대인터넷 서비스 제공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방법 및 시스템{Duplexing method and system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가입자 세션정보 이중화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입자 세션정보 이중화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을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관리 테이블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입자 세션정보 이중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입자 세션정보 이중화 방법에서 데이터 갱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제1 SSMA 120 : 제1 데이터 처리 유니트
122 : 제1 세션 제어부 124 : 제1 데이터 복제부
140 : 제1 데이터 저장 유니트 200 : 제2 SSMA
220 : 제2 데이터 처리 유니트 222 : 제2 세션 제어부
224 : 제2 데이터 복제부 240 : 제2 데이터 저장 유니트
300 : 이중화용 인터페이스 400 : 제어국 라우팅 모듈
500 : 제1 전송 인터페이스 600 : 제2 전송 인터페이스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SSMA(Subscriber Session Management Assembly : 가입자제어보드)의 장애 시 제2 SSMA를 동작 상태로 전환하고, 제1 SSMA에서 백업된 제어 정보에 의해 기존에 설정된 가입자 세션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 세션정보의 이중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유선통신망과 더불어 무선통신망(Wireless Network)을 이용한 다양한 통신서비스가 제공되고, 이러한 통신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사용자가 보행 또는 주행을 하게 되는 이동환경에서 고속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휴대인터넷이 보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무선통신망, 특히 휴대인터넷 시스템의 제어국은, 휴대단말기와의 통신채널을 유지하기 위한 가입자 세션정보를 관리하는 가입자제어보드(Subscriber Session Management Assembly : 이하 SSMA라 함)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SSMA는 동작(Active) 상태의 제1 SSMA와 대기(Stand-By) 상태의 제2 SSMA로 구성되어, 제1 SSMA에 이상이 발생되면 제2 SSMA를 통해 통신채널을 확보함으로써, 안정적인 휴대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즉,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지국 또는 다른 제어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가 제어국 라우팅 모듈(40)의 패킷 라우팅부(42)로 입력되면, 상기 패킷 라우팅부(42)는 입력된 메시지의 IP 주소를 확인하여 제1 전송 인터페이스(50)를 통해 동작(Active) 상태인 제1 SSMA(10)로 전송한다. 상기 제1 SSMA(10)의 제1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처리부(12)는 입력된 메시지를 처리하고, 그 결과에 따라 가입자의 세션정보가 변경될 경우, 변경된 세션정보를 공용 저장 공간(30)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제1 SSMA(10)에 이상이 발생되면, 대기(Stand-by) 상태인 제2 SSMA(20)를 동작 상태로 변경하고 제2 어플리케이션 처리부(22)를 상기 공용 저장 공간(30)과 커플링(Coupling)되도록 재구성 한 후, 제2 전송 인터페이스(60)를 통해 상기 패킷 라우팅부(42)와 메시지를 송수신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가입자 세션정보의 이중화 방법은, 제2 SSMA(20)가 동작 상태로 변경되고, 상기 공용 저장 공간(30)과 제2 어플리케이션(22) 간의 재구성 작업에 수분 내지 수십분이 소요되어, 상기 재구성 작업을 하는 동안 휴대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중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휴대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 SSMA에서 제2 SSMA로 백업되는 데이터 및 데이터 백업 횟수를 줄이도록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방법 및 시스템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방법은, 제1 SSMA의 세션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설정된 데이터 갱신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저장된 변경데이터를 제2 SSMA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변경데이터에 의해 제2 SSMA의 세션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방법은, 제2 SSMA의 세션정보 갱신 후 갱신 완료 확인 신호를 제1 SSMA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갱신 완료 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SSMA가 변경데이터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SSMA에서 제2 SSMA로 백업되는 데이터 및 데이터 백업 횟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이중화용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 부하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시스템은, 세션정보에 따라 무선통신채널을 유지하고, 상기 세션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며, 설정된 데이터 갱신 조건이 만족되면 저장된 변경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 SSMA; 상기 제1 SSMA로부터 전송된 변경데이터에 의해 세션정보를 갱신하는 제2 SSMA; 및 상기 제1 SSMA와 상기 제2 SSMA간의 데이터전송을 위한 이중화용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 명한다. 참고로,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먼저, 동작 상태인 제1 SSMA에 제1 저장수단을 구비하고, 대기 상태인 제2 SSMA에 제2 저장수단을 구비하며, 동작 상태인 제1 SSMA와 대기 상태인 제2 SSMA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중화용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이후, 상기 동작 상태인 제1 SSMA의 제1 저장수단에 저장되는 정보는 상기 이중화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저장수단으로 전송하여, 상기 제1 저장수단에 저장된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상기 제2 저장수단에 저장되도록 한다. 만약, 상기 제1 SSMA에 장애가 발생되면 상기 제2 SSMA를 동작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제2 저장수단에 저장된 정보에 의해 통신채널을 유지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대기 상태의 SSMA가 동작상태로 변경됨으로써, 재구성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휴대인터넷 서비스의 사용자가 늘어남에 따라 이중화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게 되면, 백업되는 가입자 세션정보의 전송에 지연이 발생되어 제2 SSMA가 동작 상태로 변환될 때, 무선인터넷 서비스가 지연됨은 물론, 상기 전송지연에 의해 백업 데이터가 전송되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 제2 SSMA가 동작 상태로 변경되면, 전송되지 못한 백업 데이터가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서비스의 지연 및 데이터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세션정보 이중화 장치의 일 예로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입자 세션정보 이중화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제1 SSMA(100), 제2 SSMA(200), 이중화용 인터페이스(300), 제어국 라우팅 모듈(400), 제1 전송 인터페이스(500), 제2 전송 인터페이스(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국 라우팅 모듈(400)은 기지국 또는 다른 제어국과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패킷을 송수신하는 패킷 라우터(4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SSMA(100)는 동작(Active) 상태로 설정되며, 상기 패킷 라우터(420)에서 수신되는 메시지를 처리하고, 그에 따라 가입자 세션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고, 변경된 정보를 상기 제2 SSMA(200)로 전송하는 것으로, 상기 기지국 또는 다른 제어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처리하고, 가입자 세션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며, 가입자 세션정보를 추출하여 관리하는 제1 데이터 처리 유니트(120)와, 가입자 세션정보 및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데이터 저장 유니트(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데이터 저장 유니트(140)는 상기 변경된 가입자 세션정보에 의해 저장된 세션정보를 갱신한다. 상기 제어국 라우팅 모듈(400)의 패킷 라우터(420)와의 데이터 송수신은 제1 전송 인터페이스(500)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제2 SSMA(200)는 대기(Stand-by) 상태로 설정되며, 상기 제1 SSMA(100)로부터 전송된 변경데이터에 의해 가입자 세션정보를 갱신하는 것으로, 상기 변경된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하고, 상기 변경된 정보에 따라 저장된 가입자 세션정보를 갱신하는 제2 데이터 처리 유니트(220)와, 가입자 세션정보 및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데이터 저장 유니트(2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유니트(220)는 제2 SSMA(200)가 대기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기지국 또는 다른 제어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처리하고, 가입자 세션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며, 변경된 가입자 세션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2 데이터 저장 유니트(240)에 저장된 가입자 세션정보를 갱신한다. 상기 제어국 라우팅 모듈(400)의 패킷 라우터(420)와의 데이터 송수신은 제2 전송 인터페이스(600)를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SSMA(100)와 상기 제2 SSMA(200) 간의 데이터 전송은 이중화용 인터페이스(300)를 통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중화용 인터페이스(300)와 제1 전송 인터페이스(500) 및 제2 전송 인터페이스(600)의 구성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제1 SSMA(100)와 제2 SSMA(200) 중 하나의 SSMA, 가령 제1 SSMA(100)가 동작(Active) 상태인 경우, 나머지 SSMA, 즉 제2 SSMA(200)는 대기(Stand-by) 상태가 되며, 대기 상태인 제2 SSMA(200)는 동작 상태인 제1 SSMA(100)와 동일한 세션정보 및 시스템에 대한 환경 설정 정보를 가지게 되며, 상기 동작 상태인 제1 SSMA(100)에 장애가 발생될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세션 제어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면 대기 상태인 제2 SSMA(200)를 동작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패킷 라우터(420)로 수신되는 메시지를 제2 SSMA(200)에서 처리함으로써, 기존에 설정된 세션정보를 유실하지 않고 세션 상태 변경 요구, 핸드오프(Hand-Off) 요구, 호 해제 요구 등의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세션정보는 가입자의 휴대단말기에 대한 MAC 주소, 상기 휴대단말기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IP 주소 및 IP 할당시의 절대 시간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대기 상태인 제2 SSMA(200)가 동작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제2 SSMA(200)에 포함된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 동적 호스트 설정 통신 규약 - IPv4 & IPv6)블록(도시하지 않음)은 저장된 세션정보의 MAC 주소, IP 주소, IP 할당시의 절대 시간 등을 이용하여 기 할당된 IP 군(Pool)을 재 구성하고 관리하게 된다. 따라서, 해당 IP의 시간초과(Time-out)시 IP 해제도 가능하고, 새로운 IP 할당시 재 구성된 IP 군을 이용하여 동적 상태인 제1 SSMA(100)에 할당된 IP 주소들을 제외한 IP 주소가 대기 상태인 제2 SSMA(200)에 할당되도록 하여, 제2 SSMA(200)의 동작 상태 또는 대기 상태로의 절체시에도 IP 주소의 관리가 가능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제어국 라우팅 모듈(400)은 동작 상태인 제1 SSMA(100)의 IP 주소를 대표 IP 주소로 인식하고 외부와 송수신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SSMA(100)에서 처리하도록 하며, 상기 동작 상태인 제1 SSMA(100)의 장애 시, 대기 상태인 제2 SSMA(200)가 동작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제2 SSMA(200)의 IP 주소를 대표 IP 주소로 설정하고 상기 외부와 송수신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2 SSMA(200)에서 처리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국 라우팅 모듈(400)로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대표 IP 주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국 라우팅 모듈(400)은 동작 상태인 SSMA의 IP 주소를 대표 IP 주소로 설정한다. 상기 제1 SSMA(100)의 IP 주소 및 제2 SSMA(200)의 IP 주소와 대표 IP 주소와의 매칭은, 상기 제1 SSMA(100) 및 제2 SSMA(200)의 동작 상태 또는 대기 상태로의 절체에 따라 대응되어 설정됨은 당연하다.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유니트(120)는 상기 가입자 세션정보를 변경하는 제1 세션 제어부(122)와, 가입자 세션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고 변경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1 데이터 저장 유니트(140)에 저장된 가입자 세션정보를 갱신하고 상 기 이중화용 인터페이스(300)를 통해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유니트(220)로 전송하는 제1 데이터 복제부(12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유니트(220)는 가입자 세션정보를 변경하는 제2 세션 제어부(222)와, 상기 제1 데이터 복제부(124)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의해 상기 제2 데이터 저장 유니트(240)에 저장된 가입자 세션정보를 갱신하는 제2 데이터 복제부(22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데이터 복제부(124) 및 제2 데이터 복제부(224)는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속성 조인(Attribute Join)에 의하여 데이터를 조작하며, 상기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는 데이터를 계층구조가 아닌 단순한 표(Table)로 표현하는 형식으로, 한 레코드에 저장된 데이터가 다른 레코드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러 파일에 분산되어 저장된 데이터들을 서로 연관시킬 수 있어, 복잡한 데이터의 조작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에 의한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은 도 3a에 나타난바와 같이, 변경전 데이터를 나타내는 원데이터(Raw) 인덱스인 세로열과 속성(Attribute) 인덱스인 가로열로 구성하며, 상기 원데이터 인덱스와 속성 인덱스가 교차되는 칸에는 변경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에 의한 데이터 관리 테이블은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변경 인덱스인 세로열과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 식별자, 원데이터 인덱스, 속성 인덱스인 가로열로 구성하여, 해당 데이터의 변경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 및 데이터 관리 테이블의 가로열과 세로열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것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데이터 복제부(124) 및 제2 데이터 복제부(224)의 기능은, 분산되어 저장된 세 션정보 및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 등을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로 관리함에 있어, 각 데이터 간의 연결을 최적화하여 관리할 수 있는 미들웨어(Middleware)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세션정보 이중화 시스템의 동작 및 가입자 세션정보의 이중화 방법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기지국 또는 다른 제어국으로부터 상기 제어국 라우팅 모듈(400)의 패킷 라우터(420)로 메시지가 수신되면(S100), 상기 패킷 라우터(420)는 수신된 메시지의 수신자 IP 주소를 확인한다(S102). 상기 수신자 IP 주소가 대표 IP 주소일 경우(S104), 상기 제어국 라우팅 모듈(400)은 상기 제1 SSMA(1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지를 판단하게 되며, 상기 제1 SSMA(1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S106), 상기 제1 전송 인터페이스(500)를 통해 해당 메시지를 제1 SSMA(100)로 전송하게 된다(S108).
상기 제1 SSMA(100)의 제1 데이터 처리 유니트(120)는 수신된 메시지를 처리하며, 가입자 세션정보가 변경될 경우,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유니트(120)의 제1 세션 제어부(122)에 의해 제1 데이터 저장 유니트(140)에 저장된 가입자 세션정보를 변경한다(S110). 상기와 같이 가입자 세션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유니트(120)의 제1 데이터 복제부(124)가 이를 확인하여, 변경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에 저장하고, 변경정보를 데이터 관리 테이블에 저장한다.
상기 제1 데이터 복제부(124)가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 및 데이터 관리 테이블의 정보는 특정 데이터 갱신 조건이 되면 상기 이중화용 인터페이스(300)를 통해 제2 SSMA(200)의 제2 데이터 처리 유니트(220)로 전송하며(S112),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유니트(220)의 제2 데이터 복제부(224)는 전송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SSMA(200)의 제2 데이터 저장 유니트(240)에 저장된 가입자 세션정보를 갱신하게 된다(S114). 여기서, 상기 데이터 갱신 조건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데이터의 변경 횟수로 설정할 수 있으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설정된 백업주기마다 데이터를 갱신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후,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제1 SSMA(100) 및 제2 SSMA(200)에 저장되는 가입자 세션정보를 동시에 갱신하여 가입자 세션정보를 이중화한다. 또한 시스템 환경 설정(Configuration) 정보에 대하여, 상기 제1 SSMA(100)에 저장되는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상기 제2 SSMA(200)에 저장하고, 상기 제1 SSMA(100)에 저장된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가 변경될 경우, 상기 제2 SSMA(200)에 저장된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를 갱신하여 이중화한다.
만약, 상기 제1 SSMA(100)가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못할 경우(장애발생)(S106), 상기 제어국 라우팅 모듈(400)은 상기 패킷 라우터(420)로 수신되는 메시지를, 상기 제2 전송 인터페이스(600)를 통해 제2 SSMA(200)로 전송하며(S116), 상기 제2 SSMA(200)의 제2 데이터 처리 유니트(220)는 제2 데이터 저장 유니트(240)에 저장된 가입자 세션정보에 따라 수신된 메시지를 처리하고, 가입자 세션정보가 변경될 경우,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유니트(220)는 제2 데이터 저장 유니트(240)에 저장된 가입자 세션정보를 변경하며(S118), 상기 제2 SSMA(200)의 상태를 동작 상태로 변경한다(S120). 상기 제어국 라우팅 모듈(400)은 상기 변경된 제2 SSMA(200)의 IP 주소를 상기 제어국 라우팅 모듈(400)에 대표 IP 주소로 설정하며, 이후로 상기 제어국 라우팅 모듈(400)로 수신되는 메시지는 제2 전송 인터페이스(600)를 통해 동작 상태로 변경된 제2 SSMA(200)에서 처리하여, 휴대인터넷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도 5은 본 발명에 의한 가입자 세션정보 이중화 방법에서 데이터 갱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데이터 복제부(124) 및 제2 데이터 복제부(224)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가입자 세션정보가 변경되면(S200), 상기 제1 데이터 복제부(124)는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의 정보를 변경하고, 데이터 관리 테이블에 변경된 정보를 추가한다(S202). 이때, 상기 데이터 관리 테이블의 변경 인덱스를 증가시켜 변경된 정보를 저장하고 총 변경 카운트(Total_Change_Count : TCC)값을 1만큼 증가시킨다(S204). 예를 들어,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 1의 원데이터 인덱스 1과 속성 인덱스 1에 해당되는 데이터가 변경 될 경우, 상기 변경된 정보를 원데이터 인덱스 1과 속성 인덱스 1이 교차되는 칸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 테이블의 변경 인덱스 ‘1’에, 해당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 식별자를 ‘1’로 입력하고, 원데이터 인덱스를 ‘1’로 입력하며, 속성 인덱스를 ‘1’로 입력한다. 이후,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 2(도시하지 않음)의 원데이터 인덱스 2와 속성 인덱스 4에 해당되는 데이터가 변경 될 경우, 상기 변경된 정보를 원데이터 인덱스 2와 속성 인덱스 4가 교차되는 칸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 테이블의 변경 인덱스 ‘2’에, 해당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 식별자를 ‘2’로 입력하고, 원데이터 인덱스를 ‘2’로 입력하며, 속성 인덱스를 ‘4’로 입력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총 변경 카운트값이 기준값을 초과하게 되면(S206), 상기 제1 데이터 복제부(124)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 및 데이터 관리 테이블에 저장된 정보를 제2 데이터 복제부(224)로 전송한다(S208). 상기 제2 데이터 복제부(224)는 수신된 정보에 따라 저장된 가입자 세션정보를 갱신한다. 이때, 상기 제1 데이터 복제부(124)로부터 제2 데이터 복제부(224)로 전송되는 변경정보의 전송 시, 변경정보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데이터 복제부(224)는 가입자 세션정보의 갱신이 완료되면, 상기 제1 데이터 복제부(124)로 갱신 완료 확인 신호를 전송하며(S210), 상기 갱신 완료 확인 신호를 수신한 제1 데이터 복제부(124)는 상기 변경 인덱스 및 총 변경 카운터를 초기화함으로써(S212), 상기 변경정보의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변경 인덱스 및 총 변경 카운터가 초기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메시지의 수신에 따른 가입자 세션정보의 변경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가입자의 세션 생성, 상태 변경, 위치 변경 등과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의 변경 등에도 적용됨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 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인터넷 시스템에서 제어국에 포함되는 SSMA(가입자 제어 보드)내의 가입자 세션정보 및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를 이중화하여, 제1 SSMA의 장애 시 제2 SSMA를 동작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이중화에 의해 저장된 가입자 세션정보 및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에 의해 제2 SSMA가 기존에 설정된 가입자 세션정보를 유실됨이 없이 이용하여 휴대인터넷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제1 SSMA에서 제2 SSMA로 백업되는 데이터 및 데이터 백업 횟수를 최소화하여, 이중화용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 부하를 줄이도록함으로써, 휴대인터넷 서비스의 사용자가 증가하여도, 원활한 휴대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9)

  1. 제1 SSMA(Subscriber Session Management Assembly)의 세션정보가 변경되면, 설정된 데이터 갱신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변경된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데이터 갱신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저장된 변경데이터를 제2 SSMA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변경데이터에 의해 제2 SSMA의 세션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이중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제2 SSMA의 세션정보 갱신 후 갱신 완료 확인 신호를 제1 SSMA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1 SSMA는 상기 갱신 완료 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변경데이터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이중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정보는 가입자의 MAC 주소, IP 주소, IP 할당시의 절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이중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갱신 조건은, 정보의 변경 횟수가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이중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갱신 조건은, 백업주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이중화 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정보는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의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로 저장되고,
    상기 변경데이터는 데이터 관리 테이블에 변경된 정보를 추가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이중화 방법.
  7. 제어국이 기지국 또는 다른 제어국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메시지의 수신자 IP 주소를 확인하고, 상기 수신자 IP 주소가 동작 상태인 제1 SSMA의 IP 주소일 경우, 제1 SSMA로 수신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SSMA가 수신된 메시지를 처리하고, 그 결과로 세션정보가 변경될 경우, 제1 SSMA의 제1 데이터 복제부가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의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 복제부가 변경된 정보를 데이터 관리 테이블에 추가하여 변경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 복제부가 설정된 데이터 갱신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갱신된 변경데이터를 제2 SSMA의 제2 데이터 복제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SSMA의 제2 데이터 복제부가 전송된 변경데이터에 의해 제2 SSMA의 세션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이중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제2 SSMA의 세션정보가 갱신되면, 갱신 완료 확인 신호를 제1 SSMA의 데이터 복제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1 SSMA의 데이터 복제부가 데이터 관리 테이블을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이중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SSMA 및 제2 SSMA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에 의해 IP 군을 재구성하여, 상기 제1 SSMA 및 제2 SSMA의 동작 상태 또는 대기 상태로의 절체시 IP 주소의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이중화 방법.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은,
    세로열은 원데이터(Raw) 인덱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가로열은 속성(Attribute) 인덱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이중화 방법.
  11.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 테이블은,
    세로열은 변경 인덱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가로열은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 식별자, 원데이터 인덱스, 속성 인덱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이중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변경 인덱스가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갱신된 변경데이터를 제2 SSMA의 데이터 복제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이중화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백업주기마다 갱신된 변경데이터를 제2 SSMA의 데이터 복제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이중화 방법.
  14. 세션정보에 따라 무선통신채널을 유지하고, 상기 세션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며, 설정된 데이터 갱신 조건이 만족되면 저장된 변경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 SSMA;
    상기 제1 SSMA로부터 전송된 변경데이터에 의해 세션정보를 갱신하는 제2 SSMA; 및
    상기 제1 SSMA와 상기 제2 SSMA간의 데이터전송을 위한 이중화용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이중화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SSMA는 가입자 세션정보 및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데이터 저장 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SSMA는 가입자 세션정보 및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데이터 저장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이중화 시스템.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SSMA는,
    상기 세션정보를 갱신한 후 상기 이중화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갱신 완료 확인 신호를 제1 SSMA로 전송하며,
    상기 제1 SSMA는,
    상기 이중화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갱신 완료 확인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변경데이터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이중화 시스템.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정보는 가입자의 MAC 주소, IP 주소, IP 할당시의 절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이중화 시스템.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갱신 조건은, 정보의 변경 횟수가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이중화 시스템.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갱신 조건은, 백업주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이중화 시스템.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정보는,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의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로 저장되고,
    상기 변경데이터는 데이터 관리 테이블에 변경된 정보를 추가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이중화 시스템.
  21. 가입자 세션정보를 이중화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제어국으로서,
    기지국 또는 다른 제어국과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패킷 라우팅부를 포함하는 제어국 라우팅 모듈; 세션정보에 따라 무선통신채널을 유지하고, 상기 메시지를 처리한 후 처리결과에 따라 가입자 세션정보를 저장하며, 설정된 데이터 갱신 조건이 만족되면 저장된 변경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 SSMA; 상기 제어국 라우팅 모듈과 제1 SSMA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인터페이스; 상기 제1 SSMA로부터 전송된 변경데이터에 의해 세션정보를 갱신하는 제2 SSMA; 상기 제1 SSMA와 제2 SSMA간의 데이터전송을 위한 이중화용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어국 라우팅 모듈과 제2 SSMA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 전송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SSMA는,
    저장되는 세션정보를 관리형 데이터 베이스로 관리하고, 상기 세션정보의 변경여부를 확인하여 변경된 정보를 저장하며, 설정된 데이터 갱신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갱신된 변경데이터를 상기 이중화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SSMA로 전송하는 제1 데이터 처리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SSMA는,
    상기 이중화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변경데이터에 의해 저장된 세션정보를 갱신하는 제2 데이터 처리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국.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유니트는,
    상기 세션정보를 변경하는 제1 세션 제어부와,
    상기 세션정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고 변경된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된 세션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이중화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유니트로 전송하는 제1 데이터 복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유니트는,
    상기 세션정보를 변경하는 제2 세션 제어부와,
    상기 제1 데이터 복제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의해 저장된 세션정보를 갱신하는 제2 데이터 복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국.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복제부는,
    상기 세션정보를 갱신한 후 상기 아중화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갱신 완료 확인 신호를 상기 제1 데이터 복제부로 전송하며,
    상기 제1 데이터 복제부는,
    상기 이중화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갱신 완료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변경데이터를 초기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국.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복제부 및 제2 데이터 복제부는 미들웨어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국.
  25. 제 22항 또는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복제부 및 제2 데이터 복제부는,
    상기 관리형 데이터 베이스의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에 의해 상기 세션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관리형 데이터 베이스의 데이터 관리 테이블에 의해 상기 변경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국.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은,
    세로열은 원데이터 인덱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가로열은 속성 인덱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국.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 테이블은,
    세로열은 변경 인덱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가로열은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 식별자, 원데이터 인덱스, 속성 인덱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국.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복제부는,
    변경 인덱스가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갱신된 변경데이터를 제2 데이터 복제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국.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복제부는,
    백업주기마다 갱신된 변경데이터를 제2 데이터 복제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국.
KR1020060028488A 2006-03-29 2006-03-2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방법 및 시스템 KR100795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488A KR100795868B1 (ko) 2006-03-29 2006-03-2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488A KR100795868B1 (ko) 2006-03-29 2006-03-2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7784A KR20070097784A (ko) 2007-10-05
KR100795868B1 true KR100795868B1 (ko) 2008-01-21

Family

ID=38803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488A KR100795868B1 (ko) 2006-03-29 2006-03-2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58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431B1 (ko) * 2008-08-26 2009-05-27 주식회사 한스웰 기지국 독립실행가능 열차무선통신시스템의 대체지령 광통신시스템
KR102034030B1 (ko) 2013-04-24 2019-10-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통신 망 이중화 방법 및 장치
KR101740043B1 (ko) * 2015-07-08 2017-06-08 주식회사 케이티 번들 케이블의 데이터 전송 속도 최적화 방법 및 그 장치
WO2017007169A1 (ko) * 2015-07-08 2017-01-12 주식회사 케이티 번들 케이블의 데이터 전송 속도 최적화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792A (ko) * 1998-06-23 2000-01-15 김영환 이중화 제어국관리기의 데이터 이중화 방법
EP1198147A2 (en) 2000-10-13 2002-04-1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of interfacing nodes in a third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792A (ko) * 1998-06-23 2000-01-15 김영환 이중화 제어국관리기의 데이터 이중화 방법
EP1198147A2 (en) 2000-10-13 2002-04-1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of interfacing nodes in a third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7784A (ko) 200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0517B1 (ko) 복수의 데이터 통신장치들 간의 데이터 동기 방법
CN102148850B (zh) 一种集群系统的业务处理方法及集群系统
US5991828A (en) System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portable device to network using network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domain name of naming device and community name of network management protocol
JP3974652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ノードのためのハードウェアおよびデータ冗長アーキテクチャ
CN101595689B (zh) 在多机架网络接入环境中改变用户信息
JP2010519630A (ja) 整合性のとれた耐障害性分散ハッシュテーブル(dht)オーバレイネットワーク
JP2000299698A (ja) データ通信装置
US9077558B2 (en) Client/bridge failure recovery method and system
CN102026124A (zh) 短信智能业务平台系统及基于该系统的短信业务实现方法
CN100492984C (zh) 一种通过地址解析协议报文实现数据转发备份的方法
KR100795868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방법 및 시스템
US20070242617A1 (en) Network device connecting apparatus and network device connecting method
CN108777723B (zh) Arl表管理系统
CN106937351B (zh) 一种会话实现方法及核心网元
CN103227733B (zh) 一种拓扑发现方法及系统
JP2009194787A (ja) ゲートウェイ装置
JP2006227763A (ja) データ共有システム、データ共有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468286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physical residential gateway and access node
CN101336539A (zh) 网关实体
CN107547605A (zh) 一种基于节点队列的消息读写方法及节点设备
CN103220373B (zh) 一种分布式逻辑地址与物理地址互换方法、装置及设备
JP3468993B2 (ja) 通信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CN111315037B (zh) 通信链路建立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WO2016177211A1 (zh) 地址解析协议arp表项的同步方法及装置
CN110110004B (zh) 一种数据操作方法、装置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