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531B1 - 필터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필터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5531B1
KR100795531B1 KR1020060076675A KR20060076675A KR100795531B1 KR 100795531 B1 KR100795531 B1 KR 100795531B1 KR 1020060076675 A KR1020060076675 A KR 1020060076675A KR 20060076675 A KR20060076675 A KR 20060076675A KR 100795531 B1 KR100795531 B1 KR 100795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cover
filter paper
filter
pair
manufactur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연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연시스템
Priority to KR1020060076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5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2Loose filtering material, e.g. loos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0Filtering material manufact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엔드커버를 소정 시간 간격의 이동과 멈춤이 반복되는 공전과 자전에 의해 이송하면서 단계적으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용융시키고, 다른 궤도의 공전에 의해 이송되던 원통형 여과지가 엔드커버의 이송궤도를 따라 함께 이동하면서 동시에 여과지의 양측으로 엔드커버를 가압 융착시키는 필터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제조장치는 여과지와 상기 여과지의 양단에 결합된 엔드커버로 이루어진 필터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정 각도의 경사가 형성되어 중력에 의해 엔드커버를 공급하는 엔드커버 투입부; 투입된 엔드커버를 소정 시간 간격의 이동과 멈춤의 반복에 의해 공전시키면서, 동시에 열을 가하여 엔드커버의 표면을 소정 깊이로 용융시키는 엔드커버 이송수단; 여과지가 장착되어, 상기 여과지를 소정 시간 간격의 이동과 멈춤의 반복에 의해 공전시키는 여과지 이송수단; 및 이송중인 상기 여과지의 양측으로, 표면이 용융되어 이송중인 엔드커버를 가압하여 융착시키는 가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필터, 엔드커버, 융착, 회전, 수평이동

Description

필터 제조장치{Apparatus for Filter Element}
도1은 본 발명에 필터 제조장치의 정면도.
도2는 배면도.
도3a는 측면도.
도3b는 도3a의 A-A 단면도.
도3c는 여과지 이송수단의 그립퍼를 나타내는 도면.
도4a 내지 도4c는 엔드커버와 여과지가 동시에 이송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5a 내지 도5f는 엔드커버와 여과지가 융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6a 및 6c는 완성된 필터가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엔드커버 20 : 여과지
100 : 엔드커버 투입부 110 : 레일
200 : 엔드커버 이송수단 210 : 플레이트
300 : 여과지 이송수단 310 : 그립퍼
330 : 수평이동수단 400 : 가압수단
500 : 배출수단
본 발명은 필터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엔드커버를 소정 시간 간격의 이동과 멈춤이 반복되는 공전과 자전에 의해 이송하면서 단계적으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용융시키고, 다른 궤도의 공전에 의해 이송되던 원통형 여과지가 엔드커버의 이송궤도를 따라 함께 이동하면서 동시에 여과지의 양측으로 엔드커버를 가압 융착시키는 필터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터는 오일이나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이 중 원통형 필터는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여과지의 양단에 한 쌍의 엔드커버가 부착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필터는 대체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엔드커버와 여과지를 부착하거나, 열을 가하여 엔드커버의 표면을 녹이고 이렇게 표면을 녹인 한 쌍의 엔드커버 사이에 여과지를 놓고 양측에서 중심을 향하여 힘을 가하여 눌러 융착시켜 완성품의 필터를 얻는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2-002166호와 제2000-0049975호는 상기와 같은 종래 필터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와 같은 종래의 필터는 제조시에 여과지와 엔드커버의 결합을 위해 별도의 예열과정과 용융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가열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제조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엔드커버와 여과지의 공급, 이송, 결합 및 완성품의 배출까지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이지지 못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엔드커버와 여과지의 투입, 이송, 결합 및 완성품의 배출까지, 자동화된 필터 제조장치를 제공하여 제어가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필터를 제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엔드커버의 가열이 이송과 동시에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므로, 필터 하나당 제조 시간이 절약되어 효율이 높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엔드커버와 여과지의 이송경로가 일부 동일하도록 구성하여, 장비의 크기를 보다 줄일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제조장치는
여과지와 상기 여과지의 양단에 결합된 엔드커버로 이루어진 필터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정 각도의 경사가 형성되어 중력에 의해 엔드커버를 공급하는 엔드커버 투입부; 투입된 엔드커버를 소정 시간 간격의 이동과 멈춤의 반복에 의해 공전시키면서, 동시에 열을 가하여 엔드커버의 표면을 소정 깊이로 용융시키는 엔드커버 이송수단; 여과지가 장착되어, 상기 여과지를 소정 시간 간격의 이동과 멈춤의 반복에 의해 공전시키는 여과지 이송수단; 및 이송중인 상기 여과지의 양측으로, 표면이 용융되어 이송중인 엔드커버를 가압하여 융착시키는 가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여과지에 엔드커버가 융착된 필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필터 배출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엔드커버 투입부는 일정 간격을 갖는 한 쌍의 레일로 이루어져, 각 레일을 통해 한 쌍의 엔드커버를 동시에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엔드커버 이송수단은 투입된 엔드커버가 장착되는 복수의 원형의 플레이트가 집합된 형태의 한 쌍이 서로 마주보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각 플레이트는 공전 및 자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중 서로 마주보는 어느 한 쌍의 플레이트에 실린더가 작용하여, 상기 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플레이트가 움직이면서, 엔드커버 투입부의 엔드커버가 엔드커버 이송장치로 이동하여 마주보는 한 쌍의 플레이트에 동시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2쌍 이상의 플레이트에는 엔드커버에 열을 가하는 가열수단이 작용하여, 상기 엔드커버는 공전이 일시적으로 멈추는 순간, 플레이트가 자전하면서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단계적으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여과지 이송수단은 내부에 여과지가 삽입 장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복수의 원통형 그립퍼가 집합되어 이루어지며, 각 그립퍼가 공전에 의해 여과지를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과지 이송수단은 여과지의 양측으로 엔드커버가 가압 융착될 때, 상기 여과지가 엔드커버의 공전 궤도와 동일 궤도를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수평이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필터 제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2는 배면도, 도3a는 측면도, 도3b는 도3a의 A-A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일정 각도의 경사가 형성되어 중력에 의해 엔드커버(10)를 공급하는 엔드커버 투입부(100), 투입된 상기 엔드커버(10)를 소정 궤도를 따라 회전 이송시키면서 열을 가하여 엔드커버(10)의 표면을 소정 깊이로 용융시키는 엔드커버 이송수단(200), 여과지(20)를 공급받아 소정 궤도를 따라 회전 이송시키는 여과지 이송수단(300), 이송중인 여과지(20)의 양측으 로 역시 이송중인 엔드커버(10)를 가압하여 융착시키는 가압수단(400), 및 엔드커버(10)와 여과지(20)로 이루어진 완성품 필터(30)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필터 배출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엔드커버(10)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얇은 판상형으로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여과지(20)는 부직포 등을 사용한다.
도3b는 도3a에 대한 A-A 단면도로써, 엔드커버 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엔드커버가 엔드커버 이송장치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3c는 여과지 이송수단의 그립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커버 투입부(100)는 일정 간격을 갖는 한 쌍의 레일(110)로 이루어져, 상기 각 레일(110)을 통해 한 쌍의 엔드커버(10)가 동시에 엔드커버 이송장치(20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레일(110)은 일정 각도의 경사가 형성되어 기울어져, 엔드커버(10)가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미끄러져 엔드커버 이송장치(200)측으로 투입된다.
엔드커버 이송장치(200)는 도3a와 같이 투입된 엔드커버(10)가 장착되는 복수의 원형의 플레이트(210)가 집합된 형태의 한 쌍이 서로 마주보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레이트(210)는 바람직하게는 6개로 이루어져, 공전을 수행하는 중심부(220)에 대하여 일정 간격으로 원형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중심부(220)에는 공전 구동을 위한 모터 등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각 플레이트(210)는 중심부(220)에 대하여 소정 시간 간격으로 이동과 멈춤을 반복하는 공전을 수행한다. 즉, 엔드커버 투입부(100)로부터 한 쌍의 엔드커버(10)가 마주보는 한 쌍의 플레이트(210)에 장착되면, 상기 플레이트(210)는 공전에 의해 다음 위치로 이동하여 약 4초간 멈추어 있다가, 그 다음 위치로 공전하여 약 4초간 멈추었다 다시 공전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여기서,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210)가 일시적으로 멈추는 시간이 약 4초로 설정되지만, 상기 시간은 엔드커버(10)가 용융되는 깊이나 공전이 멈추는 횟수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가능하다.
이와 함께 상기 플레이트(210)는 자전을 수행한다. 플레이트(210)가 공전뿐만 아니라 자전을 하는 것은 장착된 엔드커버(10)를 용융시키기 위해 열을 가할 때, 열이 엔드커버(10)의 표면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상기 엔드커버 이송수단(200)은 공전을 일시적으로 멈추는 순간, 엔드커버(10)에 가열수단(240)에 의해 열이 공급될 때 자전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엔드커버 이송수단(200)은 공전 및 자전을 수행하며 후술하는 엔드커버(10)의 이송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엔드커버 투입부(100)의 레일(110)의 말단에 위치하는 플레이트(210)에는, 도3b와 같이 양측으로 실린더(230)가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230)의 동작에 따라 플레이트(210)가 움직이면서, 엔드커버(10)가 엔드커버 투입부(100)에서 엔드커버 이송장치(200)로 이동하여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플레이트(210)에 각 각 장착된다.
이렇게 엔드커버(10)가 장착된 플레이트(210)는 회전을 통해 다음위치인 1차 열처리부(211), 2차 열처리부(212) 및 3차 열처리부(213)로 순차적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엔드커버(10)가 이송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여과지 이송장치(300)에 여과지가(20)가 투입되어 이송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과지 이송장치(300)는 도3a와 같이, 내부에 여과지(20)가 삽입 장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그립퍼(310)가 집합되어 이루어져, 상기 각 그립퍼(310)가 중심부(320)에 대하여 소정 시간 간격의 이동과 멈춤이 반복되는 공전에 의해 여과지(10)를 이송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중심부(320)에는 공전 구동을 위한 모터 등이 결합될 수 있다. 즉, 여과지(20)가 삽입 장착된 그립퍼(310)는 공전에 의해 다음 위치로 이동하여 약 4초간 멈추어 있다가, 그 다음 위치로 공전하여 약 4초간 멈추었다 다시 공전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여기서,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그립퍼(310)가 일시적으로 멈추는 시간을 플레이트(210)와 동일하게 약 4초로 설정하게 되며, 상기 시간은 플레이트(210)가 멈추는 시간에 따라 동일하게 변형하여 실시한다.
또한, 상기 그립퍼(310)는 도3c와 같이 측면을 따라 절개되어 일정 각도로 벌여졌다가 오므려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여과지(20)의 이송 시에는 그립퍼(310)가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여과지(20)의 양측으로 엔드커버(10) 가 부착되어 완성된 필터(30)를 배출할 때는 상기 그립퍼(320)가 벌여져 필터(30)의 배출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도4a 내지 도4c는 엔드커버와 여과지가 동시에 이송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a 내지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커버(10)가 장착된 플레이트(210)는 1차 열처리부(211), 2차 열처리부(212) 및 3차 열처리부(213)로 순차적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1차 열처리부(211), 2차 열처리부(212) 및 3차 열처리부(213)에 설치된 가열수단(240)이 작용하여, 엔드커버(10)를 단계적으로 가열, 용융시킨다.
즉, 상기 플레이트(210)는 중심부(220)에 대하여 공전을 수행하는데, 먼저 1차 열처리부(211)에 약 4초간 멈추어 가열수단(240)에 의해 장착된 엔드커버(10)를 1차적으로 예열시키고, 이후 2차 열처리부(212)에 약 4초간, 3차 열처리부(213)에 약 4초간 머무르면서 엔드커버(10)의 단계적 용융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플레이트(210)는 공전을 일시적으로 멈추는 순간 자전을 수행하여, 가열수단(240)에 의해 공급되는 열이 엔드커버(10)의 표면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가열수단(240)은 일반적으로 할로겐 램프를 사용하게 되지만, 경우에 따라 자외선 램프, 적외선 히터 등 다른 수단으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엔드커버(10)로부터 소정 위치에 배열되어, 열이 엔드커버(10) 표면에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한다.
이렇게 엔드커버(10)를 단계적으로 가열하게 되면, 예열과정과 용융과정을 거쳐 소정 깊이만큼 엔드커버(10)의 표면 일부가 용융되므로, 한 번에 용융과정을 거치는 것보다 가열시간이 단축되어, 필터(30)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여 작업 효율이 보다 높아진다. 상기 가열수단(240)의 가열 온도는 엔드커버(10)의 재질이나 필터의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하여 사용 가능하다.
같은 방법으로, 동시에 여과지(20)가 삽입된 그립퍼(310)도 3단계에 걸쳐 순차적으로 이동과 멈춤의 반복에 의해 공전된다.
이렇게 도4c와 같이 3번의 이동과정을 거친 용융된 엔드커버(10)와 여과지(20)는 이후, 동일 평면상의 궤도를 따라 이송되며, 가압 융착되게 된다.
도5a 내지 도5f는 엔드커버와 여과지가 융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중인 엔드커버(10)와 여과지(20)가 동시에 융착 과정을 거치기 위해서는 일시적으로 동일 평면상의 궤도를 따라 공전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여과지 이송수단(300)에 별도의 수평이동수단(330)이 설치된다.
상기 수평이동수단(330)은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져 엔드커버(10)와 융착 시 여과지(20)의 이송경로가 엔드커버(10)의 이송경로와 동일 평면에 구성되도록, 그립퍼(310)를 회전시키고 있는 여과지 이송수단(300)을 도5a와 같이 수평으로 움직 여 준다.
따라서 도5b 및 도5c와 같이 엔드커버(10)와 여과지(20)가 융착되면서 동시에 일시적으로 동일 평면상의 궤도를 따라 진행하게 된다.
이때, 엔드커버(10)와 여과지(20)가 융착되는 과정을 도5b 및 도5c의 b-b선 단면도인 도5d 내지 도5f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도5b 및 도5d와 같이 엔드커버(10)와 여과지(20)가 공전에 의해 동일 평면상의 위치로 이송되어, 여과지(20)의 양 측으로 한 쌍의 엔드커버(10)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엔드커버(10)와 여과지(20)가 약 4초간 공전을 멈추게 되고, 한 쌍의 엔드커버(10)가 장착된 플레이트(210)에 연결되어 작용하는 가압수단(400)이 내측으로 수평방향의 소정의 힘을 가하여 도5e와 같이 여과지(20)에 엔드커버(10)를 압착시킨다. 여기서, 상기 엔드커버(10)는 가열수단(240)을 통해 순차적으로 표면이 가열되어 소정 깊이로 용융되어 있으므로 여과지(20)에 압착되면, 상기 용융된 부위가 고체화 되는 과정에서, 엔드커버(10)와 여과지(20)는 완전하게 결합된다.
이후, 상기 엔드커버(10)와 여과지(20)는 공전을 계속하여 도5c 및 도5f와 같이 동시에 상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수평이동수단(330)에 의해 여과지 이송장치(20)가 왕복 수평운동을 함께 수행하여, 서로 다른 공전궤도로 이송되던 엔드커버(10)와 여과지(20)가 일시적으로 동일 평면상의 궤도를 따라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부측에 위치한 상기 엔드커버(10)와 여과지(20)가 약 4초간 공전을 멈추고, 엔드커버(10)가 장착된 한 쌍의 플레이트(210)에 연결되는 가압수단(400)에서 반대로 외측으로 수평방항의 힘을 가하면 도5f와 같이 엔드커버(10)가 여과지(20)에 완전하게 부착되어, 플레이트(210)와 분리된다. 따라서 엔드커버(10)를 제외한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210)만 수평 이동 하게 된다.
이렇게 여과지(20)의 양측으로 엔드커버(10)가 부착되어 완성품 필터(30)가 완성된다.
도6a 및 6c는 완성된 필터가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a와 같이 여과지(20)의 양측으로 엔드커버(10)가 완전하게 부착된 완성품 필터(30)는 여과지 이송장치(300)에 의해 다음 위치인 최종 위치로 공전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30)가 약 4초간 공전을 멈추었을 때, 필터(30)가 이송된 최종 위치에서 작용하는 배출수단(500)에 의해, 상기 필터(30)는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필터(30)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여과지(20)가 삽입되어 고정된 그립퍼(310)가 도6b와 같이 소정각도로 벌어져 필터(30)의 배출을 돕는다.
이렇게 최종 위치로 이동한 그럽퍼(310)가 벌어지게 되면, 도6c와 같이 필터(30)의 일측에서 배출수단(500)에 의해 수평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상기 필터(30)는 배출구(510)를 통해 외부로 분리 배출된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일련의 필터(30) 제조과정은 엔드커버(10) 및 여과지(20)가 연속하여 지속적으로 투입되면서, 단계적으로 반복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공전이 멈추는 시간(본 발명 실시예의 경우 약 4초)에 따라 소정 시간 간격으로(본 발명 실시예의 경우 약 6초)마다 완성품 필터(30)가 계속해서 제조되므로, 불필요한 공정이 단축되고 작업생산과 능률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누구나 수정 및 변환 실시가 가능한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엔드커버와 여과지의 투입, 이송, 결합 및 완성품의 배출까지, 자동화된 필터 제조 장치를 제공하여 제어가 간단하고 불필요한 공정이 단축되어 작업생상 및 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엔드커버의 가열이 이송과 동시에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므로, 필터 하나당 제조 시간이 절약되므로, 생산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엔드커버와 여과지의 이송경로가 일부 동일하도록 구성하여, 장비의 크기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여과지와 상기 여과지의 양단에 결합된 엔드커버로 이루어진 필터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정 각도의 경사가 형성되어 중력에 의해 엔드커버를 공급하는 엔드커버 투입부,
    투입된 엔드커버를 소정 시간 간격의 이동과 멈춤의 반복에 의해 공전시키면서, 동시에 열을 가하여 엔드커버의 표면을 소정 깊이로 용융시키는 엔드커버 이송수단,
    여과지가 장착되어, 상기 여과지를 소정 시간 간격의 이동과 멈춤의 반복에 의해 공전시키는 여과지 이송수단, 및
    이송중인 상기 여과지의 양측으로, 표면이 용융되어 이송중인 엔드커버를 가압하되 이송 동작 중에 가압상태를 유지하여 융착시키는 가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커버 이송수단은 투입된 엔드커버가 장착되는 복수의 플레이트가 집합된 형태의 한 쌍이 서로 마주보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각 플레이트는 공전 및 자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중 서로 마주보는 어느 한 쌍의 플레이트에 실린더가 작용하여,
    상기 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플레이트가 움직이면서, 엔드커버 투입부의 엔드커버가 엔드커버 이송장치로 이동하여 마주보는 한 쌍의 플레이트에 동시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제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2쌍 이상의 플레이트에는 엔드커버에 열을 가하는 가열수단이 작용하여,
    상기 엔드커버는 공전이 일시적으로 멈추는 순간, 플레이트가 자전하면서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단계적으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제조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커버 투입부는 일정 간격을 갖는 한 쌍의 레일로 이루어져,
    각 레일을 통해 한 쌍의 엔드커버를 동시에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제조장치.
  7. 제1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여과지 이송수단은 내부에 여과지가 삽입 장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복수의 원통형 그립퍼가 집합되어 이루어지며,
    각 그립퍼가 소정 시간 간격의 이동과 멈춤이 반복되는 공전에 의해 여과지를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지 이송수단은 여과지의 양측으로 엔드커버가 가압 융착될 때, 상기 여과지가 엔드커버의 공전 궤도와 동일 궤도를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수평이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제조장치.
KR1020060076675A 2006-08-14 2006-08-14 필터 제조장치 KR100795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675A KR100795531B1 (ko) 2006-08-14 2006-08-14 필터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675A KR100795531B1 (ko) 2006-08-14 2006-08-14 필터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5531B1 true KR100795531B1 (ko) 2008-01-17

Family

ID=39218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675A KR100795531B1 (ko) 2006-08-14 2006-08-14 필터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553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479B1 (ko) 2009-01-13 2010-12-14 오한승 오일 필터 조립 장치
KR101392500B1 (ko) 2014-02-18 2014-05-07 주식회사 세일 밸러스트 수 처리용 필터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544048B1 (ko) 2015-04-03 2015-08-13 (주)상아프론테크 필터 자동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멤브레인 필터
KR102014151B1 (ko) * 2018-07-23 2019-08-26 백승훈 필터조립체 자동조립장치
KR20200113442A (ko) * 2019-03-25 2020-10-07 배선구 활성탄 필터체 제조장치 및 그에 의한 활성탄 필터체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957A (ko) * 2000-08-28 2002-03-07 함상식 필터제조장치
KR200389807Y1 (ko) 2005-03-25 2005-07-14 소닉스코리아(주) 필터의 여지와 캡 부착용 웰딩머신
KR100606993B1 (ko) 2005-05-23 2006-08-02 최종현 필터용 여과지 및 캡의 열융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957A (ko) * 2000-08-28 2002-03-07 함상식 필터제조장치
KR200389807Y1 (ko) 2005-03-25 2005-07-14 소닉스코리아(주) 필터의 여지와 캡 부착용 웰딩머신
KR100606993B1 (ko) 2005-05-23 2006-08-02 최종현 필터용 여과지 및 캡의 열융착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479B1 (ko) 2009-01-13 2010-12-14 오한승 오일 필터 조립 장치
KR101392500B1 (ko) 2014-02-18 2014-05-07 주식회사 세일 밸러스트 수 처리용 필터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544048B1 (ko) 2015-04-03 2015-08-13 (주)상아프론테크 필터 자동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멤브레인 필터
KR102014151B1 (ko) * 2018-07-23 2019-08-26 백승훈 필터조립체 자동조립장치
KR20200113442A (ko) * 2019-03-25 2020-10-07 배선구 활성탄 필터체 제조장치 및 그에 의한 활성탄 필터체 제조방법
KR102227052B1 (ko) 2019-03-25 2021-03-12 배선구 활성탄 필터체 제조장치 및 그에 의한 활성탄 필터체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5531B1 (ko) 필터 제조장치
JP6772372B2 (ja) インターフェース製品の自動ピン挿入機
US10118373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ouble-layer fabric for down products having pattern joining line formed by high-frequency bonding
CN207916331U (zh) 医疗产品用自动化移印设备
JPH06122101A (ja) 薄板切削接合装置
CN107813491A (zh) 一种纽扣的压型方法
KR20120029059A (ko) 열간성형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한 열간성형 제조방법
KR101579166B1 (ko) 화장합판 제조장치
KR101933500B1 (ko) 단프라시트용 비고정식 융착장치
CN100553942C (zh) 通过热成形热塑性材料坯片来制造物品的设备
CN108437607A (zh) 一种三明治板成型用的连续式生产工艺
KR100642069B1 (ko) 에어 블로워 성형방법 및 그 장치
JP2002160230A (ja) レンズ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US838615A (en) Machine for finishing garment-pads of matted or felted fibers.
KR101864264B1 (ko) 샌드위치 판넬 제조 장치
CN107639967B (zh) 一种纽扣喷涂前序加工方法
JPH01240434A (ja) 容器の耳部接着装置
CN205233633U (zh) 一种鞋子前衬/后套加工机器
KR930007210Y1 (ko) 종이컵 제조기의 컵통체 접착단 예열 및 성형장치
JP7045037B2 (ja) 繊維シート集合体の製造装置
CN218193684U (zh) 一种发电机调节器维修设备
CN217729946U (zh) 用于夹胶玻璃生产的合片装置
KR102274690B1 (ko) 멜라민 보드 제조 시스템
CN107570357A (zh) 一种纽扣喷涂设备
JPH01240432A (ja) 容器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