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377B1 - 모니터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교탁 - Google Patents

모니터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교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377B1
KR100794377B1 KR1020070001377A KR20070001377A KR100794377B1 KR 100794377 B1 KR100794377 B1 KR 100794377B1 KR 1020070001377 A KR1020070001377 A KR 1020070001377A KR 20070001377 A KR20070001377 A KR 20070001377A KR 100794377 B1 KR100794377 B1 KR 100794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rail
opening
rotating
clos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1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수
Original Assignee
(주)비앤에스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앤에스미디어 filed Critical (주)비앤에스미디어
Priority to KR1020070001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4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02Church pulpits ; Stands for lectur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06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with adjustable top lea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5Monitor mounted support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07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under-desk displays, e.g. displays being viewable through a transparent working surface of the table or desk
    • A47B21/007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under-desk displays, e.g. displays being viewable through a transparent working surface of the table or desk liftable above the desk top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를 구비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교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니터의 자동 또는 수동, 그리고 부드럽게 조절할 수 있는 모니터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교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교탁은 내측에 각종 전자장비가 설치되는 케이스본체; 상기 케이스본체 상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전자장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모니터; 힌지핀을 축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회전함에 따라 전단이 상기 모니터의 저면을 전후방향으로 지지하며 이동하여 상기 모니터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켜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하는 모니터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모니터각도조절수단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전후진하는 연결부재와, 힌지핀을 구비하고 있고 후단은 상기 연결부재의 후단과 힌지결합되어 있고 전단은 상기 모니터의 저면을 지지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전후진에 연동되어 상기 힌지핀을 축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함으로서 상기 모니터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멀티미디어 교탁, 모니터, 모니터각도조절수단, 개폐도어

Description

모니터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교탁{MULTIMEDIA DESK EQUIPPED WITH MEANS FOR ADJUSTING ANGLE OF MONITOR}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교탁의 사시도.
도 2 는 도1의 개폐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 은 도1의 모니터가 각도조절된 상태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 는 모니터각도조절수단의 사시도.
도 5 는 도4의 분해사시도.
도 6 및 도 7 은 모니터의 각도조절 전 및 후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본체 20 : 개폐도어
30 : 모니터 100 : 각도조절수단
110 : 구동모터 111 : 회동축핀
113 : 이동판 115 : 가이드봉
120 : 연결부재 130 : 회전부재
131 : 힌지핀 140 : 베이스판
150 ; 롤러부재 160 : 레일부재
본 발명은 모니터를 구비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교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니터의 자동 또는 수동, 그리고 부드럽게 조절할 수 있는 모니터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교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의실, 강의실, 학교 등과 같은 교육현장에서는 강사가 분필 또는 보드펜으로 칠판 또는 보드판에 판서하면서 육성으로 강의를 하는 것일 일반적이었으나, 최근 교육장비의 개발과 멀티미이어시스템의 발전으로 각종 첨단장비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전자강의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강의를 위해 강사가 사용하는 멀티미디어 교탁에는 각종 전자장비와 교육내용을 디스플레이 하는 모니터가 구비되고, 강상의 강의 내용은 대형 스크린에 동영상 혹은 텍스트로 출력되거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한편, 수강생들에게도 입출력수단 및 저장수단을 구비한 단말기가 각각 구비되어 수강새들은 시청각적으로 강의를 들으면서 필요에 따라서는 강의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전자강의를 위한 멀티미디어 교탁에 구비되어 있는 모니터는 강사가 모니터를 주시하기 편하고 모니터에 표시된 정보가 잘 보일 수 있도록 적절히 각도가 조절될 필요가 있다.
모니터의 설치각도가 조절되는 멀티미디어 교탁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516967호 '멀티미디어 교탁에 설치되는 태블릿모니터의 회전식수납구조'와 등록특허 제568065호 '모니터 입출장치가 설치된 컴퓨터 책상'이 있다.
전자의 등록특허는 모니터를 수납함에 안치시키고, 수납함 자체를 회전시켜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수납함의 중앙부를 축으로 회전을 하게 되는 구조이므로, 모니터를 희망하는 각도로 세우면 모니터의 하단부가 교탁의 상부보다 아래에 배치되므로 모니터 전체가 강사의 시야에 들어오지 않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후자의 등록특허는 제2회동부재의 일단이 구동축의 나사산을 따라 전후진하여 모니터의 저면을 밀거나 당김으로서 모니터를 상하로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 구조에서는 제2회동부재가 모니터를 밀거나 당기게 됨으로 모니터의 회전축이 전진 또는 후진하고자 하는 힘을 받게 되어 모니터의 상하 회전이 부드럽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모니터의 저면에 부착되어 있고 제1회동부재와 상기 제1회동부재와 힌지결합되는 제2회동부재는 모니터가 수평상태일 때 직선에 가까운 형태를 하고 있으므로 모니터를 회전 상승시키려는 초기에 큰 힘이 필요하고, 제1회동부재와 제2회동부재의 힌지결합부에 커다란 부하가 가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모니터각도조절수단으로 모니터를 하단을 축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시켜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하되 모니터의 회전이 큰 부하 없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멀티미디어 교탁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미 사용시 모니터를 보호하기 위해 개폐도어를 구비하되, 개폐도어가 완전개방된 경우에만 모니터의 각도조절이 되도록 하여 모니터와 개폐도어의 충돌로 인해 이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 멀티미이어 교탁을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교탁은,
내측에 각종 전자장비가 설치되는 케이스본체;
상기 케이스본체 상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전자장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모니터;
힌지핀을 축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회전함에 따라 전단이 상기 모니터의 저면을 전후방향으로 지지하며 이동하여 상기 모니터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켜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하는 모니터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각도조절수단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전후진하는 연결부재와, 힌지핀을 구비하고 있고 후단은 상기 연결부재의 후단과 힌지결합되어 있고 전단은 상기 모니터의 저면을 지지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전후진에 연동되어 상기 힌지핀을 축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함으로서 상기 모니터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모니터각도조절수단은 상기 회전부재의 힌지핀이 힌지결합되고, 저면에는 상기 구동모터가 장착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구동모터에 축결합되어 회전하며, 소정길이를 갖고 외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회동축핀과, 상기 회동축핀과 스크류결합되어 회동축핀을 따라 전후진하며, 양단에는 각각 상기 연결부재의 전단이 힌지결합되어 있는 이동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방향과 관련하여 강사가 교탁 앞에 섰을 때 강사의 시야가 향하는 방향을 전방, 그 반대방향을 후방, 지면을 기준으로 위쪽을 상부, 아래쪽을 하부로 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탁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1 및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10) 상부에는 좌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케이스본체(10) 상부 표면과 평면을 이루는 개폐도어(20)가 구비되어 있고,
개폐도어(20)의 후방 쪽에는 펜, 지휘봉 등 강사의 소지품을 임시보관하는 보관홈(11)이 형성되어 있고,
개폐도어(20)의 우측에는 마우스작업을 위한 마우스수용부(14)와 컵이나 캔을 올려놓는 원형홈(12)과 케이스본체(10)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전자장비(예; 컴퓨터본체, 오디오시스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을 조작하는 다수의 버튼(1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본체(10)는 강사의 키에 맞추어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하고, 저면의 일단에는 이동을 위하여 바퀴(미도시)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바닥면에 고정을 하기위해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폐도어(20)는 케이스본체(10) 상부에어 좌우로 슬라이드이동 되어 모니터(30)를 노출시키거나 은폐시키며, 개폐도어(20)의 슬라이드이동을 위해 상기 개폐도어(20)의 전후방 측면에는 제1레일(21)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본체(10) 상부의 전후방에는 상기 제1레일(21)이 삽입결합되는 제2레일(22)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1레일(21)과 제2레일(22)을 연결지지하며 이들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레일(23)이 제1레일 및 제2레일과 삽입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레일은 브라켓(24)의 수직부(24b)에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24)의 수평부(24a)는 상기 개폐도어(20)의 저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도어(20)의 완전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개방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되는데, 상기 개방감지센서는 모니터각도조절수단(100) 구동모터(110)의 작동을 제한한다. 즉, 개방감지센서로부터 개폐도어(20)의 완전개방 신호가 있을 경우에만 구동모터(110)가 작동되도록 하여, 개폐도어(20)가 닫혀있거나 덜 열린 상태에서 구동모터(110)가 작동되어 개폐도어(20)와 모니터(30)가 부딪히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개방감지센서로는 접점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즉, 개폐도어(20)와 케이스본체(10)의 결합부위로서 개폐도어(20)의 우단 또는 케이스본체(10)의 좌단에 부착되고 개폐도어(20)의 완전개방에 의해 접점이 온되거나 오프됨으로서 완전개방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점스위치가 개방감지센서로 이용될 수 있다.
모니터(30)가 일정 각도로 상승되어 있는 상태를 교탁 전방에서 바라본 도3을 참고하면, 교탁 상부에는 모니터(30)를 수용하는 수용부(1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15)를 형성하는 테두리에는 모니터(30)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지지홈(1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30)는 상기 지지홈(16)에 특별한 결합수단 없이 자유롭게 안치되어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며, 모니터(30)는 지지홈(16)에 수용된 후단을 축으로 상하로 회전된다. 물론, 모니터(30)의 후단에 별도의 축핀을 구비하여 축핀을 축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별도의 축핀 없이 회전하는 모니터(30)의 상하회전시 안전성을 위해 회전축 부분이 되는 모니터(30) 후단과 지지홈(16)의 접촉부분에는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고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30)는 모니터(30)의 저면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모니터각도조절수단(100)을 통해 상하로 회전되어 각도가 조절되는데, 이를 도3 내지 도5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모니터각도조절수단(100)은 구동모터(110), 연결부재(120), 회전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베이스판(140)과, 레일부재(160), 롤러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40)은 케이스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모니터(30)의 저면 후방에 배치되고, 그 상부에는 회전부재(130)가 배치되고 그 하부에는 구동모터(110) 및 연결부재(120)가 배치된다.
상기 회전부재(130)는 상하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판(140)의 후단에 힌지핀(131)으로 힌지결합되고, 전단은 상기 모니터(30)의 저면을 지지하고, 힌지핀(131)에서부터 후단부는 하방을 향하여 절곡되어 있으며 후단에는 연결부재(120)의 전단과 힌지결합된다. 상기 회전부재(130)가 힌지핀(131)을 축으로 상하로 회전함에 따라 그 전단은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모니터(30)의 저면을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지지하여 모니터(30)를 후단을 축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130)의 전단이 상기 모니터(30)의 저면을 안정적이고 부드럽게 지지하며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레일부재(160)와 롤러부재(1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레일부재(160)는 모니터(30)의 저면에 부착되고, 롤러부재(150)를 수용하며 롤러(151)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양측에는 롤러(151)가 안치되는 레일홈(16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부재(150)는 상기 회전부재(130)의 전단에 축핀(152)으로 힌지결합된다.
상기 연결부재(120)는 구동모터(110)에 의해 전후진하여 그 전단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회전부재(130)의 후단을 밀거나 당김으로서, 회전부재(130)를 힌지핀(131)을 축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연결부재(120)를 전후진시키기 위하여 구동모터(110)에는 회동축핀(111)이 구비된다. 상기 회동축핀(111)은 구동모터(110)와 축결합되어 회전하며, 연결부재(120)를 전후진 시키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고, 그 외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동축핀(111)의 단부에는 구동모터(110)에의 전원공급이 차단된 경우 수동으로 회동축핀(111)을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부재(180)가 결합된다.
상기 회동축핀(111)에는 이동판(113)이 스크류결합되어 있다. 상기 이동 판(113)은 회동축핀(111)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동축핀(111)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을 하고, 그 양측에는 연결부재(120)의 전단이 힌지결합되어 연결부재(12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그리고 상기 이동판(113)이 기울어짐 없이 구동모터(110)의 회동축핀(111)을 따라 전후진 할 수 있도록 하는 두 가이드봉(115)이 회동축핀(111)과 평행을 이루며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봉(115)은 구동모터(110), 연결부재(120) 등을 감싸는 커버케이스(170)의 전방과 구동모터(110)의 케이스에 연결되고, 이동판(113)의 양측에 천공되어 있는 가이드공(미도시)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모니터(30)각도조절수단(100)에 의해 모니터(30)의 각도가 조절되는 단계를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구동모터(110)를 작동시키면 회동축핀(111)이 회전을 하게 되고, 이동판(113)이 회전하는 회동축핀(111)을 따라 전진하고, 이동판(113)이 전진에 연동되어 연결부재(120)도 전진을 한다. 그러면 회전부재(130)의 후단이 전진을 하면서 회전부재(130)를 힌지핀(131)을 축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회전부재(130)의 전단에 구비된 롤러(151)부재(150)가 모니터(30)의 저면에 부착되어 있는 레일부재(160)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레일부재(160) 및 모니터(30)를 들어올려 모니터(30)가 후단을 축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모니터(30)가 희망하는 각도로 회전되면 구동모터(110)를 정지시킴으로서 모니터(30)의 각도가 조절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니터의 각도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모니터의 각도조절이 큰 부하가 걸림 없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고, 개폐도어에 의해 모니터를 보호하며 개폐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경우에만 구동모터를 통해 모니터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개폐도어나 모니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모니터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교탁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내측에 각종 전자장비가 설치되는 케이스본체;
    상기 케이스본체 상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전자장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모니터;
    힌지핀을 축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회전함에 따라 전단이 상기 모니터의 저면을 전후방향으로 지지하며 이동하여 상기 모니터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켜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하는 모니터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모니터각도조절수단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전후진하는 연결부재와,
    힌지핀을 구비하고 있고 후단은 상기 연결부재의 후단과 힌지결합되어 있고 전단은 상기 모니터의 저면을 지지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전후진에 연동되어 상기 힌지핀을 축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함으로서 상기 모니터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힌지핀이 힌지결합되고, 저면에는 상기 구동모터가 장착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구동모터에 축결합되어 회전하며, 소정길이를 갖고 외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회동축핀과,
    상기 회동축핀과 스크류결합되어 회동축핀을 따라 전후진하며, 양단에는 각각 상기 연결부재의 전단이 힌지결합되어 있는 이동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교탁.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의 양측에는 각각 가이드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회동축핀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평행을 이루는 두 가이드봉이 각기 상기 가이드공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판의 전후진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교탁.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모니터의 저면에 부착되고 양측에 레일홈을 구비하고 있는레일부재와,
    상기 레일부재의 레일홈에 안치되는 롤로가 양측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회전부재의 전단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롤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교탁.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핀의 단부에는 회동축핀을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교탁.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 상부에는 좌우로 슬라이드이동되어 상기 모니터를 노출 또는 은폐시키는 개폐도어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개폐도어의 슬라이드이동을 위해 상기 개폐도어의 전후방 측면에는 제1레일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본체 상부의 전후방에는 상기 제1레일이 삽입결합되는 제2레일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을 연결지지하며 이들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레일이 제1레일 및 제2레일과 삽입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레일은 브라켓의 수직부에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의 수평부는 상기 개폐도어의 저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교탁.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의 완전개방을 감지하는 개방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개방감지센서로부터 개폐도어의 완전개방신호가 있을 경우에만 작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교탁.
  9.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는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교탁.
KR1020070001377A 2007-01-05 2007-01-05 모니터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교탁 KR100794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377A KR100794377B1 (ko) 2007-01-05 2007-01-05 모니터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교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377A KR100794377B1 (ko) 2007-01-05 2007-01-05 모니터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교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4377B1 true KR100794377B1 (ko) 2008-01-15

Family

ID=39217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1377A KR100794377B1 (ko) 2007-01-05 2007-01-05 모니터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교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4377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365B1 (ko) * 2009-01-13 2009-09-11 코리아판서시스템(주)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멀티미디어 강의대
KR100947886B1 (ko) * 2008-01-24 2010-03-17 코리아판서시스템(주) 멀티미디어강의대용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장치
KR200449493Y1 (ko) 2008-07-09 2010-07-14 주식회사 모든넷 강의대의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KR200452085Y1 (ko) 2009-05-27 2011-01-28 주식회사 인켈피에이 멀티미디어 교탁용 모니터 장치
KR200457480Y1 (ko) * 2009-03-27 2011-12-22 (주)인텍엔씨티 전자교탁
KR101152794B1 (ko) * 2009-01-13 2012-06-05 코리아판서시스템(주)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한 멀티미디어 강의대
CN102697288A (zh) * 2012-06-07 2012-10-03 集美大学 多功能办公桌
CN102697289A (zh) * 2012-06-07 2012-10-03 集美大学 隐藏电脑式办公桌
CN102793377A (zh) * 2012-08-01 2012-11-28 济南蓝贝思特科技有限公司 多媒体讲台
KR101232826B1 (ko) * 2010-12-28 2013-02-21 임성근 전자교탁
KR101460751B1 (ko) * 2013-03-08 2014-11-26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다수 개의 배치모드 제어가 가능한 모니터 승하강장치
KR101610940B1 (ko) 2014-06-09 2016-04-11 (주)피케이엘앤에스 모니터 이동이 가능한 전자교탁
KR101918780B1 (ko) * 2012-12-28 2018-11-14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매체 저장 장치
CN109393741A (zh) * 2018-12-07 2019-03-01 四川久舟科技有限公司 一种信息化电子讲台
CN110766990A (zh) * 2019-11-08 2020-02-07 长春师范大学 一种具有高校远程辅导功能的计算机多媒体教学设备
CN113892756A (zh) * 2021-10-21 2022-01-07 哈尔滨学院 一种基于计算机技术的多媒体教学仪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0266A (ko) * 1997-11-21 1998-03-30 박홍렬 멀티미디어용 교탁
KR19980014234A (ko) * 1996-08-09 1998-05-25 배순훈 테이블형 pc의 모니터각도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234A (ko) * 1996-08-09 1998-05-25 배순훈 테이블형 pc의 모니터각도 조절장치
KR980000266A (ko) * 1997-11-21 1998-03-30 박홍렬 멀티미디어용 교탁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886B1 (ko) * 2008-01-24 2010-03-17 코리아판서시스템(주) 멀티미디어강의대용 디스플레이 각도조절장치
KR200449493Y1 (ko) 2008-07-09 2010-07-14 주식회사 모든넷 강의대의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KR101152794B1 (ko) * 2009-01-13 2012-06-05 코리아판서시스템(주)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한 멀티미디어 강의대
KR100916365B1 (ko) * 2009-01-13 2009-09-11 코리아판서시스템(주)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멀티미디어 강의대
KR200457480Y1 (ko) * 2009-03-27 2011-12-22 (주)인텍엔씨티 전자교탁
KR200452085Y1 (ko) 2009-05-27 2011-01-28 주식회사 인켈피에이 멀티미디어 교탁용 모니터 장치
KR101232826B1 (ko) * 2010-12-28 2013-02-21 임성근 전자교탁
CN102697288B (zh) * 2012-06-07 2014-10-22 集美大学 多功能办公桌
CN102697288A (zh) * 2012-06-07 2012-10-03 集美大学 多功能办公桌
CN102697289A (zh) * 2012-06-07 2012-10-03 集美大学 隐藏电脑式办公桌
CN102793377A (zh) * 2012-08-01 2012-11-28 济南蓝贝思特科技有限公司 多媒体讲台
KR101918780B1 (ko) * 2012-12-28 2018-11-14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매체 저장 장치
KR101460751B1 (ko) * 2013-03-08 2014-11-26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다수 개의 배치모드 제어가 가능한 모니터 승하강장치
KR101610940B1 (ko) 2014-06-09 2016-04-11 (주)피케이엘앤에스 모니터 이동이 가능한 전자교탁
CN109393741A (zh) * 2018-12-07 2019-03-01 四川久舟科技有限公司 一种信息化电子讲台
CN110766990A (zh) * 2019-11-08 2020-02-07 长春师范大学 一种具有高校远程辅导功能的计算机多媒体教学设备
CN110766990B (zh) * 2019-11-08 2021-08-03 长春师范大学 一种具有高校远程辅导功能的计算机多媒体教学设备
CN113892756A (zh) * 2021-10-21 2022-01-07 哈尔滨学院 一种基于计算机技术的多媒体教学仪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377B1 (ko) 모니터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교탁
US8596204B2 (en) Work station for computers and the like, particularly for didactic use
KR100916365B1 (ko)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멀티미디어 강의대
KR101510199B1 (ko) 무선 전자교탁
EP0995369A1 (en) Furniture with concalable display and optional concealable keyboard
KR200481600Y1 (ko) 전자교탁
CN109431082B (zh) 一种远程计算机教学装置
KR101152794B1 (ko)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한 멀티미디어 강의대
KR200452085Y1 (ko) 멀티미디어 교탁용 모니터 장치
CN209641102U (zh) 计算机辅助教学装置
KR20100138111A (ko) 전자칠판을 수용하는 가구
KR20110065072A (ko) 슬라이드식 벽면티브이를 구비한 칠판
KR20150064301A (ko) 전자 교탁
KR101304520B1 (ko) 듀얼 모니터 기반의 전자교탁
KR100904493B1 (ko) 테이블용 모니터 틸팅장치
KR200306754Y1 (ko) 판서용 교탁
KR100466848B1 (ko) 다목적용 교탁
KR200411302Y1 (ko) 다목적용 교탁
KR200440788Y1 (ko) 수납공간이 구비된 전자칠판장치
CN206641553U (zh) 多媒体教学专用讲桌
CN212630237U (zh) 一种多媒体教学讲台
CN114515066B (zh) 一种国际教育教学使用的多媒体装置
JP2009218664A (ja) 遠隔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KR200344177Y1 (ko) 멀티미디어 기기가 구비된 강의대
KR20080056349A (ko) 멀티미디어 강의대용 디스플레이어 각도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