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331B1 - 디스플레이장치용 화면보호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용 화면보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331B1
KR100794331B1 KR1020060021700A KR20060021700A KR100794331B1 KR 100794331 B1 KR100794331 B1 KR 100794331B1 KR 1020060021700 A KR1020060021700 A KR 1020060021700A KR 20060021700 A KR20060021700 A KR 20060021700A KR 100794331 B1 KR100794331 B1 KR 100794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isplay device
protective plate
display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3923A (ko
Inventor
김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마디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마디지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마디지텍
Priority to KR1020060021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4331B1/ko
Publication of KR20060083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involving heating or coo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48/00Metal treatment
    • Y10S148/08Infra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용 화면보호기에 관한 것으로, 각종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부에 장착하여 외부의 충격등으로부터 화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보호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디스플레이장치(10)의 화면부(11)에 구비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화면부를 보호하기 위해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투시부(30)와, 이 투시부(30)의 주변을 형성하는 테두리부(40)로 이루어진 보호판(20)과; 상기 테두리부(40)의 한쪽면에 디스플레이장치(10)의 화면부(11)의 둘레부(12)를 따라 부착하기 위해 구비된 부착수단(50)과; 상기 테두리부(40)의 일측에 공기의 소통 및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하나 이상 구비된 필터부재(6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각종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부에 부착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취약한 화면부를 보호할 수 있고, 필터부재가 구비되어 있어 화면부에 부착후 각종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고, 장기간 사용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보호판을 화면부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쉽게 이를 제거할 수 있어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색상을 보호판에 도포하여 디스플레이장치 및 주변 기기와 조화를 이루어서 더욱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도록 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화면, 보호, 강화유리, 부직포, 양면테이프, 충격, 손상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용 화면보호기{A Screen Protection Unit for Displa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화면보호기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배면도
도 7은 도 6의 C-C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디스플레이장치
11 : 화면부
12 : 둘레부
20 : 보호판
21 : 공간부
30 : 투시부
40 : 테두리부
50 : 부착수단
60 : 필터부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용 화면보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부에 장착하여 외부의 충격등으로부터 화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보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모니터와 같은 각종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부의 두께가 얇아지고 평면화되면서 화질이 점점 우수해지고 대형화되어가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일례로서, 최근에 상용화된 LCD(Liquid Crystal Diode) 또는 PDP(Plasma Display Panel) 텔레비젼과 같은 제품의 경우, 화면이 대형화/고화질화되면서 화면부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화면부는 항상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있기때문에,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취약한 상태에 있다.
특히, 노래방과 같은 곳에서는 노래방기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자인 고객들이 대개 취중에 가무를 즐기려는 경향이 많아서 취중에 자칫 디스플레이장치에 충격을 가해서 손상을 입히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가 날로 대형화되어 가는 추세이므로, 그만큼 고가여서 화면부에 크랙 또는 스크래치등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경제적인 손실이 막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각종 디스플레이장치에 화면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판을 장착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취약한 화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장치용 화면보호기를 제공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부에 구비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화면부를 보호하기 위해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투시부와, 이 투시부의 주변을 형성하는 테두리부로 이루어진 보호판과;
상기 테두리부의 한쪽면에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부의 둘레부를 따라 부착하기 위해 구비된 부착수단과;
상기 테두리부의 일측에 공기의 소통 및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하나 이상 구비된 필터부재;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판은 화면부의 둘레부에 부착되어 공간부가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보호판은 강화유리재로 되어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부착수단은 양면테이프로 되어있다.
또한, 상기 부착수단은 보호판의 각 변마다 1줄로 부착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는 공기의 소통 및 이물질을 여과시킬 수 있는 부직포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보호판의 가장자리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밀폐되도록 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보호판의 테두리부의 일면에 부착되는 부착수단인 양면테이프는 간격을 두고 2줄로 부착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2줄로 부착된 양면테이프의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실리콘계열 접착제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호판의 테두리부에는 각종 색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보호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의 화면부(11)에 구비되면서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보호판(20)으로서,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투시부(30)와, 이 투시부(30)의 주변을 형성하는 테두리부(4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배면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부(40)의 한쪽면에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화면부(11)의 둘레부(12)를 따라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50)이 형성되고, 테두리부(40)의 일측에는 공기의 소통 및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필터부재(60)가 구비된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 의 화면부(11)는 둘레부(12)보다 약간 들어간 상태로 배치되므로, 이 상태에서 본 발명의 보호판(20)을 화면부(11)의 둘레부(12)에 부착하면, 자연스럽게 공간부(21)가 형성된다. 이 공간부(21)에 의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화면부(11)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호판(20)은 강화유리재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투명한 재질로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부착수단(50)은 양면테이프로 된 구조지만, 부착수단(5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여러가지 부착가능한 부재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60)는 부직포로 이루어져 있다. 이 부직포는 미세한 통기공들이 형성된 구조로서, 공기의 소통이 이루어져 화면부(11)상에 부착한 후 사용도중 화면부에 습기등이 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세한 먼지등이 쉽게 유입되지 않고, 장기간 사용으로 미세한 먼지등이 유입되어 화면부가 더러워지더라도 이물질 제거용 청소기(도시되지 않음)로 쉽게 흡입하여 제거하므로써 항상 청결한 화면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판(20)의 가장자리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밀폐되도록 한 구조이다. 여기서의 접착제는 실리콘접착제를 사용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다른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호판(20)의 테두리부(40)의 일면에 부착되는 부착수단(50)인 양면테이프는 여러형태로 부착가능한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변마다 1줄의 양면테이프를 부착할 수 있고, 다른 형태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줄로 간격을 두고 양면테이프를 부착할 수 있다.
상기 1줄로 양면테이프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각 모서리쪽에 필터부재(60)가 부착되고, 디스플레이장치(10)의 화면부(11)에 부착한 다음, 보호판(20)의 각 변마다의 틈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 밀폐시킨다. 이때에는 물론, 외기와의 소통을 위해 필터부재(60) 부분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는다. 상기 접착제는 실리콘접착제를 사용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여러가지 접착제의 사용도 가능하다.
상기 필터부재(60)의 부착위치는 모서리부 또는 중앙부 그외의 다른 위치에도 부착가능하다.
한편, 2줄로 양면테이프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그 사이에 접착제(70)를 도포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의 화면부(11)에 바로 부착하기만 하면 된다. 이 경우에는 부착수단(50)인 양면테이프와 접착제(70)가 각 변마다 고르게 분포되어 있어 확실하게 고정가능하며, 밀폐성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사용된 접착제(70)는 실리콘계열 접착제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다른 접착가능한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판(20)의 테두리부(40)에는 부착수단(50) 및 필터부재(60)가 바깥쪽에서 보이지 않도록 반투명 또는 바람직하게는 불투명하게 처리한다. 이때에는 흰색을 기본으로 하여 각종 색상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예를들어 무지개색(빨강색/주황색/노랑색/초록색/파랑색/남색/보라색) 등으로 색상을 구현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와 조화를 이루어서 디자인적인 측면에 서 사용자로 하여금 좋은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색상을 표현할때에는 강화유리재로 된 보호판(20)의 테두리부(40)에 세라믹잉크로 인쇄한 후 소정의 온도(1000℃)에서 굽는 과정을 거쳐서 색상이 정착되어 분리되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기는 예를들어 디스플레이장치의 일례로서 PDP 텔레비젼인 경우, 화면부(11)의 둘레부(12)에 부착하면, 보호판(20)이 강화유리로 되어 있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즉, 다시말해서, 상기 보호판(20)은 디스플레이장치(10)의 화면부(11)와 공간부(21)를 두고 부착되어 있어 보호판(20)에 직접적으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공간부(21)에서 충격을 흡수하므로, 화면부(11)에는 직접 충격이 전달되지 않아서 화면부(11)의 손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호판(20)의 둘레를 이루는 테두리부(40)의 일면에 부착된 부착수단인 양면테이프는 소형화면인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변마다 1줄로 부착하고, 가장자리에 실리콘 접착제를 도포하여 밀폐시켜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대형 화면인 경우, 그 만큼 면적이 크고 중량이므로, 각 변마다 2줄로 부착하고, 그 사이에 실리콘 접착제(70)를 도포하므로써, 견고한 부착상태를 유지하면서 내부로 쉽게 이물질등이 유입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테두리부(40)의 일면 모서리부 또는 중앙위치에는 필터부재(60)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 필터부재(60)는 부직포로 이루어져서 공기의 소통이 이루어져 밀폐된 화면부(11)의 내부 공간부(21)에 습기가 형성되어 화면이 보이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화면보호기를 부착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를 작동하면, 화면부(11)에서 열이 발생한다. 그러면, 부착된 보호판(20)과 화면부(11)사이의 공간부(21)는 화면부(11)로부터 발생된 열기로 인해 온도가 상승한 상태로 있게되어서, 화면보호기(20)의 외부 대기중의 온도와 차이가 발생한다.
특히, 더운 여름철인 경우에는 실내에서 냉방장치인 에어콘을 작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에 실내의 대기온도는 낮아지는데 반하여 작동중인 디스플레이장치(10)는 발열하게되므로, 그만큼 온도차가 심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미리 화면부(11)와 보호판(20)간의 공간부(21)에 차있던 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외기와의 온도차에 의해서 습기가 발생하여 보호판(20)면이 얼룩이 발생하여 결국 화면을 제대로 볼 수 없게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필터부재(60)인 부직포가 구비되어 있어 이러한 습기의 발생시, 외기와 소통되므로, 습기가 차지않게된다.
더욱이, 화면부에 미세한 먼지등이 유입되어 화면부 등에 부착되는 경우, 청소기로 사용하여 필터부재(60)에 대고 흡입하여 미세한 먼지등을 제거할 수 있어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된다.
또한, 각종 색상으로 구현하여 디스플레이장치와 조화를 이루어서 구매자로 하여금 시각적인 효과가 상승되어 제품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각종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부에 부착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취약한 화면부를 보호할 수 있고, 특히 노래방과 같이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화면부에 손상을 입히기 쉬운 환경하에서도 효과적으로 화면부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부재가 구비되어 있어 화면부에 부착후 각종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고, 장기간 사용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보호판을 화면부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쉽게 이를 제거할 수 있어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색상을 보호판에 도포하여 디스플레이장치 및 주변 기기와 조화를 이루어서 더욱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편의상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Claims (11)

  1. 디스플레이장치(10)의 화면부(11)에 구비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화면부를 보호하기 위해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투시부(30)와, 이 투시부(30)의 주변을 형성하는 테두리부(40)로 이루어진 보호판(20)과;
    상기 테두리부(40)의 한쪽면에 디스플레이장치(10)의 화면부(11)의 둘레부(12)를 따라 부착하기 위해 구비된 부착수단(50)과;
    상기 테두리부(40)의 일측에 공기의 소통 및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하나 이상 구비된 필터부재(6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화면보호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20)은 화면부(11)의 둘레부(12)에 부착되어 공간부(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화면보호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20)은 강화유리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화면보호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50)은 양면테이프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화면보호기.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50)은 보호판(20)의 각 변마다 1줄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화면보호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60)는 공기의 소통 및 이물질을 여과시킬 수 있는 부직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화면보호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20)의 가장자리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밀폐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화면보호기.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50)인 양면테이프는 간격을 두고 2줄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화면보호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2줄로 부착된 양면테이프의 사이에 접착제(70)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화면보호기.
  10. 제 7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실리콘계열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화면보호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20)의 테두리부(40)에는 각종 색상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화면보호기.
KR1020060021700A 2006-03-08 2006-03-08 디스플레이장치용 화면보호기 KR100794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700A KR100794331B1 (ko) 2006-03-08 2006-03-08 디스플레이장치용 화면보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700A KR100794331B1 (ko) 2006-03-08 2006-03-08 디스플레이장치용 화면보호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419U Division KR200381590Y1 (ko) 2005-01-17 2005-01-17 디스플레이장치용 화면보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923A KR20060083923A (ko) 2006-07-21
KR100794331B1 true KR100794331B1 (ko) 2008-01-15

Family

ID=37174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700A KR100794331B1 (ko) 2006-03-08 2006-03-08 디스플레이장치용 화면보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43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2574A1 (ko) 2012-05-14 2013-11-21 (주)윌닉스 액정 글래스 보호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2327U (ko) * 1994-09-30 1996-04-17 브라운관의 화면보호필름
KR970011600U (ko) * 1995-08-26 1997-03-29 보안경
KR19980057816U (ko) * 1997-02-13 1998-10-15 배순훈 도어비젼 카메라의 결로 방지장치
JP2005012257A (ja) 2003-06-16 2005-01-13 Casio Comput Co Ltd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2327U (ko) * 1994-09-30 1996-04-17 브라운관의 화면보호필름
KR970011600U (ko) * 1995-08-26 1997-03-29 보안경
KR19980057816U (ko) * 1997-02-13 1998-10-15 배순훈 도어비젼 카메라의 결로 방지장치
JP2005012257A (ja) 2003-06-16 2005-01-13 Casio Comput Co Ltd 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2574A1 (ko) 2012-05-14 2013-11-21 (주)윌닉스 액정 글래스 보호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923A (ko) 200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1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2902087B (zh) 显示装置
KR101279793B1 (ko) 액정 글래스 보호기구
JP2003066419A (ja) 液晶表示部の保護板
TW200619688A (en) Color filt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JP3226815U (ja) 直視型発光ダイオードディスプレイ用保護カバー
TW200712619A (en)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asing the same
CN104614892B (zh) 彩膜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201203726Y (zh) 显示器保护屏
KR100794331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화면보호기
US10267555B2 (en) Method for removing screen coating film
KR200381590Y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화면보호기
TW200519424A (en) Color filter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TW200638070A (en) Color filter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GB2449899A (en) A transparent screen protector for a flat-panel display apparatus
JP2014130194A (ja) 表示装置
KR101236646B1 (ko) 액정 글래스 보호기구
JP4594860B2 (ja) スクリーンフィルム
CN102685423A (zh) 平板电视保护屏
WO2008146526A1 (ja) 商品展示体
EP1582912A4 (en) LIQUID CRYSTAL DISPLAY UNIT
JPH0949909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タ
CN200969239Y (zh) 显示器保护屏
KR200385025Y1 (ko) 투시창 보호용 투명필름이 적층된 작업용 마스크
CN218989157U (zh) 一种具有防窥涂层的钢化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