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193B1 - 폐세척액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폐세척액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193B1
KR100794193B1 KR1020070092639A KR20070092639A KR100794193B1 KR 100794193 B1 KR100794193 B1 KR 100794193B1 KR 1020070092639 A KR1020070092639 A KR 1020070092639A KR 20070092639 A KR20070092639 A KR 20070092639A KR 100794193 B1 KR100794193 B1 KR 100794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solvent
tank
pipe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 홍 이
Original Assignee
(주)신정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정정밀 filed Critical (주)신정정밀
Priority to KR1020070092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41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8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thermal conditioning
    • C02F11/2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thermal conditioning by free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ree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048Purification of waste water by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34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industrial activ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2F2103/12 - C02F2103/32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7Modular desig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8Mobile apparatus and plants, e.g. mounted on a vehicl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기에서 배출되는 폐솔벤트와 폐수 및 지분, 잉크찌꺼기, 파우더, 기타 불순물 등의 슬러지가 포함된 폐세척액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1) 내측에 설치되어 콘트롤박스(2)의 터치스크린(3)을 조작하여 작동하는 폐세척액 정화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유수분리촉진제 저장탱크(310)가 결합된 폐세척액 저장탱크(300)와, 이송펌프(P1)에 의해 폐세척액 저장탱크(300)의 폐세척액을 공급받아 1시간 머물도록하여 폐솔벤트와 슬러지 및 폐수가 상층부와 중층부 및 하층부로 분리되는 유수분리탱크(400)와, 유수분리탱크(400) 내측 상층부로 분리된 폐솔벤트가 오버플로우관(407)을 통해 유입되는 폐솔벤트 저장탱크(410)와, 유수분리탱크(400) 내측 하층부로 분리된 폐수를 이송펌프(P4)로 공급받아 저장하는 폐수 저장탱크(420)와, 정제솔벤트를 이송펌프(P2)로 공급받아 저장하는 정제솔벤트 저장탱크(430)와, 정제수를 이송펌프(P5)로 공급받아 저장하는 정제수 저장탱크(440)와, 폐솔벤트 저장탱크(410)의 폐솔벤트를 이송관(L3)을 통해 공급받아 정제하는 폐솔벤트 증류탱크(100)와, 폐수 저장탱크(420)의 폐수를 이송관(L23)을 통해 공급받아 정제하는 폐수증류탱크(200)와, 폐솔벤트 증류탱크(410)와 폐수 증류탱크(420)에서 기화된 솔벤트와 물을 액화시키는 냉각탱크(500)와, 냉각탱크(500)에서 액화된 정제솔벤트를 이송관(L5)을 통해 공급받아 저장하고 이송펌프(P2)로 정제솔벤트 저장탱크(430)에 공급하는 정제솔벤트 진공저장탱크(600)와, 진공기(V1)와 연결된 이송관(L7)이 결합되고 수도배 관(710)으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아 순환펌프(P3)로 라디에이터(R)를 경유하여 냉각탱크(500)에 공급하는 냉각수탱크(700)와, 냉각탱크(500)에서 액화된 정제수를 이송관(L25)을 통해 공급받아 저장하고 이송펌프(P5)로 정제수 저장탱크(440)에 공급하는 정제수 진공저장탱크(800)와, 진공기(V2)와 연결된 이송관(L27)이 결합되고 수도배관(910)으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아 순환펌프(P6)로 라디에이터(R)를 경유하여 냉각탱크(500)에 공급하는 냉각수탱크(900)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폐솔벤트, 슬러지, 폐수, 유수분리탱크, 증류장치, 냉각탱크

Description

폐세척액 정화장치{solvent recycling system}
본 발명은 인쇄기에서 배출되는 폐솔벤트와 폐수 및 지분, 잉크찌꺼기, 파우더, 기타 불순물 등의 슬러지가 포함된 폐세척액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쇄소 등 각종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폐유(이하 '폐세척액' 이라 한다.)를 정화하여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유수분리장치(이하 '정화장치' 라 한다.)에 관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에서는 인쇄기에서 배출되는 폐세척액을 정화하는 장치를 실시예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폐세척액은 폐솔벤트와 폐수 및 슬러지(지분, 잉크찌거기, 파우더, 기타 불순물)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오프셋 인쇄(Offset Printing)는 석판 또는 아연판의 문자나 그림을 일단 고무롤러에 전사한 다음 종이에 찍는 인쇄법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인쇄과정이며, 인쇄를 위해 인쇄기 조작원들은 인쇄기를 설치하고 인쇄판을 맞추고, 기 본용액을 섞고, 인쇄기에 잉크를 묻히고, 종이를 채우고, 종이크기에 인쇄기를 맞춘다.
조작원들은 내역에 맞는지 종이와 잉크를 점검하고 여백과 잉크가 묻은 롤러의 잉크 흐름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는 업무 등을 하고 있다.
인쇄 작업은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많은 노력이 들어가고 때로는 지루할 수도 있으며, 이들은 거의 대부분을 서서 작업을 하고 때로는 마감시간에 대한 스트레스도 받는다.
이런 공정을 반복하면서 인쇄과정을 수행하고 다음공정을 위해 인쇄기 청소는 반드시 필요한 공정이다.
즉, 기존에 브랑켓에 묻은 잉크를 없애기 위해서는 세척을 해야하며 이공정에서 사용되는 것이 솔벤트(Solvent)인데, 솔벤트는 꼭 인쇄에만 사용되어지는 것이아니라 산업전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화공약품이다.
오프셋 인쇄에 이용되는 잉크는 기본적으로 유성(용제용해성)이기 때문에 잉크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많은 종류의 용제를 대량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주 사용 용제는 솔벤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인쇄작업의 각 공정의 숙명적인 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상황이다.
즉, 판교체시 세척이라는 공정이 필요하고 적당한 건조성이 요구되어지기 때문에 미네랄 스피릿(mineral spirit)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유해물질로 지정되어 있는 솔벤트를 사용함에 있어서 각 인쇄소에서 안고 있는 문제는 환경보전과 작업자의 안전성 확보의 측면에서 보다 안전하고 환경에 영 향을 적게 미치는 재료가 요망되고는 있지만 실제로는 성능상, 비용적인 측면에서 충분히 현장에서 만족을 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폐솔벤트를 재사용하기 위한 기술은 필터, 원심분리로는 힘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즉, 폐솔벤트의 주원료인 미네랄 스피릿(mineral spirit)은 기름성분으로 필터를 사용할 경우 순수 솔벤트에 잉크가 용해되어 있어 필터의 입구를 막는 현상이 발생하여 필터의 생명을 단축시키며, 원심분리의 기술을 이용할 경우, 물과 기름만이 있는 것은 가능하나 물과 기름 및 잉크와 지분 등이 혼합되어 있는 물질이 많으면 분리 자체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폐세척액 정화장치는 오프셋 인쇄기의 브러시 타입 브랭켓 자동세척장치에서 수거된 폐솔벤트와 폐수 및 지분, 잉크찌꺼기, 파우더 등의 슬러지가 포함된 폐세척액을 재활용하는 장치로서 폐세척액 정화장치는 회수율 90%이상 세척액을 회수하는 장치로 최소의 운영 경비와 단기간에 투자비의 회수가 가능하도록 목적을 두고 있으며, 폐솔벤트에는 지분, 잉크, 물, 솔벤트, 기타 불순물 등의 슬러지가 함유되어 있으며, 이것을 온도차를 이용한 방법으로 정제하는 것을 기본바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체프레임(1) 내측에 유수분리촉진제 저장탱크(310)가 결합된 폐세척액 저장탱크(300)를 구비하고,
이송펌프(P1)에 의해 폐세척액 저장탱크(300)의 폐세척액을 공급받아 1시간 머물도록하여 폐솔벤트와 슬러지 및 폐수가 상층부와 중층부 및 하층부로 분리되는 유수분리탱크(400)를 구비하며,
유수분리탱크(400) 내측 상층부로 분리된 폐솔벤트가 오버플로우관(407)을 통해 유입되는 폐솔벤트 저장탱크(410)를 구비하고,
유수분리탱크(400) 내측 하층부로 분리된 폐수를 이송펌프(P4)로 공급받아 저장하는 폐수 저장탱크(420)를 구비하며,
정제솔벤트를 이송펌프(P2)로 공급받아 저장하는 정제솔벤트 저장탱크(430)를 구비하고,
정제수를 이송펌프(P5)로 공급받아 저장하는 정제수 저장탱크(440)를 구비하며,
폐솔벤트 저장탱크(410)의 폐솔벤트를 이송관(L3)으로 공급받아 정제하는 폐솔벤트 증류탱크(100)를 구비하고,
폐수저장탱크(420)의 폐수를 이송관(L23)으로 공급받아 정제하는 폐수증류탱크(200)를 구비하며,
폐솔벤트증류탱크(410)와 폐수증류탱크(420)에서 기화된 솔벤트와 물을 응축시키는 냉각탱크(500)를 구비하고,
냉각탱크(500)에서 액화된 정제솔벤트를 이송관(L5)으로 공급받아 저장하고 이송펌프(P2)로 정제솔벤트저장탱크(430)에 공급하는 진공저장탱크(600)를 구비하며,
진공기(V1)와 연결된 이송관(L7)이 결합되고 수도배관(710)으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아 순환펌프(P3)로 라디에이터(R)를 경유하여 냉각탱크(500)에 공급하는 냉각수탱크(700)를 구비하고,
냉각탱크(500)에서 액화된 정제수를 이송관(L25)으로 공급받아 저장하고 이송펌프(P5)로 정제솔벤트저장탱크(440)에 공급하는 진공저장탱크(800)를 구비하며,
진공기(V2)와 연결된 이송관(L27)이 결합되고 수도배관(910)으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아 순환펌프(P6)로 라디에이터(R)를 경유하여 냉각탱크(500)에 공급하는 냉각수탱크(900)를 구비하여, 인쇄소 또는 각종 산업현장에서 배출되는 폐세척액을 정화하여 재활용함으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코져 한다.
본 발명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고가의 세척액 구입 비용 및 폐수처리 비용을 극소화 할 수 있으며 폐세척액 정화장치를 이용하여 계속적으로 90%이상의 세척액을 재사용이 가능하다.
폐세척액 정화장치는 사용이 간단하며 인쇄소의 운영 경비를 절감 할 수 있는 경제적인 해결 방법과 환경보전에 큰 도움을 주며 고품질의 세척액을 재활용하여 생산원가의 절감과 단기간에 투자 비용을 회수할 수 있고, 또한 고품질의 세척액을 사용하여 롤러의 경화현상 및 브랭켓을 보호하여 사용수명을 연장시켜 주며 유지비를 절약하여 줄뿐만아니라고 품질의 인쇄를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인쇄소나 기타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폐세척액을 재활용하는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유수분리촉진제 저장탱크(310)가 결합된 폐세척액 저장탱크(300)와,
이송펌프(P1)에 의해 폐세척액 저장탱크(300)의 폐세척액을 공급받아 1시간 머물도록하여 폐솔벤트와 슬러지 및 폐수가 상층부와 중층부 및 하층부로 분리되는 유수분리탱크(400)와,
유수분리탱크(400) 내측 상층부로 분리된 폐솔벤트가 오버플로우관(407)을 통해 유입되는 폐솔벤트 저장탱크(410)와,
유수분리탱크(400) 내측 하층부로 분리된 폐수를 이송펌프(P4)로 공급받아 저장하는 폐수 저장탱크(420)와,
정제솔벤트를 이송펌프(P2)로 공급받아 저장하는 정제솔벤트 저장탱크(430)와,
정제수를 이송펌프(P5)로 공급받아 저장하는 정제수 저장탱크(440)와,
폐솔벤트 저장탱크(410)의 폐솔벤트를 이송관(L3)을 통해 공급받아 정제하는 폐솔벤트 증류탱크(100)와,
폐수 저장탱크(420)의 폐수를 이송관(L23)을 통해 공급받아 정제하는 폐수 증류탱크(200)와,
폐솔벤트 증류탱크(410)와 폐수 증류탱크(420)에서 기화된 솔벤트와 물을 액 화시키는 냉각탱크(500)와,
냉각탱크(500)에서 액화된 정제솔벤트를 이송관(L5)을 통해 공급받아 저장하고 이송펌프(P2)로 정제솔벤트 저장탱크(430)에 공급하는 정제솔벤트 진공저장탱크(600)와,
진공기(V1)와 연결된 이송관(L7)이 결합되고 수도배관(710)으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아 순환펌프(P3)로 라디에이터(R)를 경유하여 냉각탱크(500)에 공급하는 냉각수탱크(700)와,
냉각탱크(500)에서 액화된 정제수를 이송관(L25)으로 공급받아 저장하고 이송펌프(P5)로 정제수 저장탱크(440)에 공급하는 정제수 진공저장탱크(800)와,
진공기(V2)와 연결된 이송관(L27)이 결합되고 수도배관(910)으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아 순환펌프(P6)로 라디에이터(R)를 경유하여 냉각탱크(500)에 공급하는 냉각수탱크(90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장치들은 외부에 커버(4)와 관리도어(5)가 결합된 본체프레임(1) 내측에 설치되며, 콘트롤박스(2)의 터치스크린(3)을 조작하면 폐세척액을 정화시키는 동작이 시작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설명에 있어서, 정화장치의 작동은 콘트롤박스(2)의 중앙처리장치에 저장된 설정값에 의해 각 구성장치들이 작동하는 것임을 밝혀두며, 이에 대한 기판의 구성 등은 일반적인 기술내용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본 발명은 통체(301) 하부 양측면에 돌출형성된 한쌍의 로울러축(314)에 가이드레일(315)을 활주하는 로울러베어링(313)이 각각 결합되고,
일측 하부에는 폐세척액 이송펌프(P1)와 연결된 이송관(L1)이 결합되는 공급관(308)이 마련되며,
타측 하부에는 드레인밸브(317)가 결합되는 드레인관(309)이 마련되고,
일측 상부내측에는 폐세척액 투입구(303)가 형성된 여과바스켓(302)이 분리가능토록 결합되며,
타측 상면에는 통체(301) 내측으로 위치하는 상부센서(305)와 하부센서(306)를 갖는 레벨게이지(304)가 결합되고,
뚜껑(307) 상부에는 통체(301) 내측으로 삽입되는 안내관(312)과 솔레노이드밸브(311)를 갖는 유수분리촉진제 저장탱크(310)가 결합된 폐세척액 저장탱크(300)가 구비된다.
통체(401) 저면에는 이송펌프(P1)와 연결된 이송관(L2)이 결합되어 폐세척액이 유입되는 공급관(403)이 마련되고,
폐수 이송펌프(P4)와 연결된 이송관(L21)이 결합되어 폐수가 유출되는 배출관(402)과, 드레인밸브(405)를 갖는 드레인관(404)이 통체(401) 저면에 각각 결합되고,
통체(401) 일측면 상부에는 폐솔벤트의 이동통로인 오버플로우관(407)이 결합되고 중앙부에는 전동볼밸브(408)의 개방작동으로 슬러지가 배출되는 배출관(406)이 마련되며,
통체(401) 상면에는 통체(401)의 내측으로 위치하면서 폐솔벤트의 높이를 감지하는 상부센서(409a)와 폐수의 높이를 감지하는 중간센서(409b)와 폐세척액의 최저높이를 감지하는 하부센서(409c)를 갖는 레벨게이지(409)가 결합된 유수분리탱크(400)가 구비된다.
통체(411) 일측면 상부에는 유수분리탱크(400)의 오버플로우관(406)이 결합되어 폐솔벤트가 유입되고,
통체(411) 내측에 수직상태로 위치하면서 통체(411)의 상면으로 돌출된 상단부에 이송관(L3)이 연결되어 폐솔벤트가 유출되는 배출관(412)이 결합되며,
통체(411) 저면에는 드레인밸브(414)를 갖는 드레인관(413)이 결합되고,
통체(411) 상면에는 통체(411)의 내측으로 위치하면서 폐솔벤트의 높이를 감지하는 상부센서(416)와 중간센서(417) 및 하부센서(418)를 갖는 레벨게이지(415)가 결합된 폐솔벤트 저장탱크(410)가 구비된다.
통체(421) 저면에는 폐수 이송펌프(P4)와 연결된 이송관(L22)이 결합되어 폐수가 유입되는 공급관(422)과 드레인밸브(425)를 갖는 드레인관(424)이 각각 마련되고,
통체(421) 내측에 수직상태로 위치하면서 통체(421)의 상면으로 돌출된 상단부에 이송관(L23)이 연결되어 폐수가 유출되는 배출관(423)이 결합되며,
통체(421) 상면에는 통체(421)의 내측으로 위치하면서 폐수의 높이를 감지하는 상부센서(427)와 중간센서(428) 및 하부센서(429)를 갖는 레벨게이지(426)가 결합된 폐수 저장탱크(420)가 구비된다.
통체(431) 저면에는 정제솔벤트 이송펌프(P2)와 연결된 이송관(L13)이 결합되어 정제솔벤트가 유입되는 공급관(432)이 마련되고,
정제솔벤트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배출관(433)과 드레인밸브(435)를 갖는 드레인관(434)이 통체(401) 저면에 각각 결합되며,
통체(431) 상면에는 통체(431)의 내측으로 위치하면서 정제솔벤트의 높이를 감지하는 상부센서(437)와 하부센서(438)를 갖는 레벨게이지(436)가 결합된 정제솔벤트 저장탱크(430)가 구비된다.
통체(441) 저면에는 정제수 이송펌프(P5)와 연결된 이송관(L33)이 결합되어 정제수가 유입되는 공급관(442)이 마련되고,
정제수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배출관(443)과 드레인밸브(445)를 갖는 드레인관(444)이 통체(441) 저면에 각각 결합되며,
통체(441) 상면에는 통체(441)의 내측으로 위치하면서 정제수의 높이를 감지하는 상부센서(447)와 하부센서(448)를 갖는 레벨게이지(446)가 결합된 정제수 저 장탱크(440)가 구비된다.
통체(101) 상면 일측에는 이송관(L3)이 결합된 공급관(108)이 마련되고,
통체(101) 내측 상부에는 원추벽(107)이 결합되며 원추벽(107)을 경계로 하여 상측에는 예열실(103)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가열실(102)이 형성되며,
원추벽(107)의 직하방에는 중앙에 유출관(106)을 갖는 받침판(105)이 결합되고 하부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뚫린 다공판(104)이 결합되며,
원추벽(107)의 상부 중앙에는 통체(101) 상면 중앙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이송관(L4)과 연결되는 증기 배출관(109)이 결합되고,
받침판(105)의 상면 가열실(102)과 연이어 통하며 투명관(112)에 의해 증기배출관(109)의 분기관(110)과 연결되는 보조배출관(111)이 결합되며,
통체(101) 일측면에는 예열실(103)로 공급된 폐솔벤트가 유출되는 유도관(113)이 결합되고, 유도관(113)에는 전동볼밸브(116)가 장착된 경유관(115)이 결합되며, 경유관(115)에는 가열실(102)로 폐솔벤트를 유입시키는 유도관(114)이 결합되고,
통체(101) 타측면에는 진공계(123)와 솔레노이드밸브(127)가 결합된 통기관(125)이 받침판(105)의 하측 가열실(102)로 연이어 통하도록 결합되며,
투시창(120)이 결합된 투시관(119)이 다공판(104)의 상측 가열실(102)로 연이어 통하도록 결합되고,
통체(101) 일측 하부에는 폐솔벤트의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계(124)가 결합된 온도관(123)이 마련되며,
통체(101) 타측 하부에는 레벨스위치(122)가 결합된 레벨관(121)이 결합되고,
통체(101) 저면에는 드레인밸브(129)를 갖는 드레인관(128)이 결합되며,
통체(101)의 하부에는 보온재(131)가 내장된 히팅박스(130)를 레벨관(121)과 온도관(123) 및 드레인관(128)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히팅박스(130)의 상면에는 열매체오일을 공급하는 주입관(134)과 열매체오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36)가 결합되고, 저면에는 드레인관(137)이 결합되며,
히팅박스(130)의 일측면에 마련된 가열관(132)에는 열매체오일을 가열하는 가열히터(133)가 결합된 폐솔벤트 증류탱크(100)가 구비된다.
통체(201) 상면 일측에는 이송관(L23)이 결합된 공급관(208)이 마련되고,
통체(201) 내측 상부에는 원추벽(207)이 결합되며 원추벽(207)을 경계로 하여 상측에는 예열실(203)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가열실(202)이 형성되며,
원추벽(207)의 직하방에는 중앙에 유출관(206)을 갖는 받침판(205)이 결합되고 하부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뚫린 다공판(204)이 결합되며,
원추벽(207)의 상부 중앙에는 통체(201) 상면 중앙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이송관(L24)과 연결되는 증기 배출관(209)이 결합되고,
받침판(205)의 상면 가열실(202)과 연이어 통하며 투명관(212)에 의해 증기 배출관(209)의 분기관(210)과 연결되는 보조배출관(211)이 결합되며,
통체(201) 일측면에는 예열실(203)로 공급된 폐수가 유출되는 유도관(213)이 결합되고, 유도관(213)에는 전동볼밸브(216)가 장착된 경유관(215)이 결합되며, 경유관(215)에는 가열실(202)로 폐수를 유입시키는 유도관(214)이 결합되고,
통체(201) 타측면에는 진공계(223)와 솔레노이드밸브(227)가 결합된 통기관(225)이 받침판(205)의 하측 가열실(202)로 연이어 통하도록 결합되며,
투시창(220)이 결합된 투시관(219)이 다공판(204)의 상측 가열실(202)로 연이어 통하도록 결합되고,
통체(201) 일측 하부에는 폐수의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계(224)가 결합된 온도관(223)이 마련되며,
통체(201) 타측 하부에는 레벨스위치(222)가 결합된 레벨관(221)이 결합되고,
통체(201) 저면에는 드레인밸브(229)를 갖는 드레인관(228)이 결합되며,
통체(201)의 하부에는 보온재(231)가 내장된 히팅박스(230)를 레벨관(221)과 온도관(223) 및 드레인관(228)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히팅박스(230)의 상면에는 열매체오일을 공급하는 주입관(234)과 열매체오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36)가 결합되고, 저면에는 드레인관(237)이 결합되며,
히팅박스(230)의 일측면에 마련된 가열관(232)에는 열매체오일을 가열하는 가열히터(233)가 결합된 폐수 증류탱크(200)가 구비된다.
폐솔벤트 증류탱크(100)의 증기배출관(109)과 연결된 이송관(L4)이 통체(501) 상면 일측으로 돌출된 유입구(503)에 결합되고 이송관(L5)이 통체(501) 저면 일측으로 돌출된 유출구(504)에 결합되는 나선관(502)이 통체(501) 내측에 결합되고,
폐수 증류탱크(200)의 증기배출관(209)과 연결된 이송관(L24)이 통체(501) 상면 타측으로 돌출된 유입구(506)에 결합되고 이송관(L25)이 통체(501) 저면 타측으로 돌출된 유출구(507)에 결합되는 나선관(505)이 통체(501) 내측에 결합되며,
진공기(V1)와 연결된 이송관(L11)이 통체(501) 상면 일측으로 돌출된 토출관(509)에 결합되고,
진공기(V2)와 연결된 이송관(L31)이 통체(501) 상면 타측으로 돌출된 토출관(511)에 결합되며,
라디에이터(R)와 연결된 이송관(L10)이 통체(501) 저면 일측으로 돌출된 공급관(508)에 결합되고,
라디에이터(R)와 연결된 이송관(L30)이 통체(501) 저면 타측으로 돌출된 공급관(510)에 결합된 냉각탱크(500)가 구비된다.
냉각탱크(500)의 나선관(502)과 연결된 이송관(L5)이 결합되어 전동볼밸브(602)의 개방작동으로 액화된 정제솔벤트가 유입되는 공급관(602)이 통체(601) 상면 일측에 결합되고,
진공기(V1)와 연결된 이송관(L6)이 결합되어 전동볼밸브(607)의 개방작동으 로 진공압이 유입되는 배출관(603)이 통체(600) 상면 타측에 결합되며,
통체(601) 상면 중앙에는 통체(601)의 내측으로 위치하면서 정제솔벤트의 높이를 감지하는 상부센서(611)와 하부센서(612)를 갖는 레벨게이지(610)가 결합되고,
통체(601) 측면 상부에는 솔레노이드밸브(609)가 결합된 통기관(605)이 마련되며,
이송펌프(P2)와 연결되는 이송관(L12)이 연결되고 전동볼밸브(608)의 개방작동으로 정제솔벤트가 유출되는 배출관(604)이 통체(601) 측면 하부에 마련된 정제솔벤트 진공저장탱크(600)가 구비된다.
냉각탱크(500)의 나선관(502)과 연결된 이송관(L5)이 결합되어 전동볼밸브(602)의 개방작동으로 액화된 정제솔벤트가 유입되는 공급관(602)이 통체(601) 상면 일측에 결합되고,
진공기(V1)와 연결된 이송관(L6)이 결합되어 전동볼밸브(607)의 개방작동으로 진공압이 유입되는 배출관(603)이 통체(601) 상면 타측에 결합되며,
통체(601) 상면 중앙에는 통체(601)의 내측으로 위치하면서 정제솔벤트의 높이를 감지하는 상부센서(611)와 하부센서(612)를 갖는 레벨게이지(610)가 결합되고,
통체(601) 측면 상부에는 솔레노이드밸브(609)가 결합된 통기관(605)이 마련되며,
이송펌프(P2)와 연결되는 이송관(L12)이 연결되고 전동볼밸브(608)의 개방작동으로 정제솔벤트가 유출되는 배출관(604)이 통체(601) 측면 하부에 마련된 정제솔벤트 진공저장탱크(600)가 구비된다.
진공기(V1)와 연결되는 이송관(L7)이 연결된 공급관(702)이 통체(701) 내측에 결합되고,
통체(701) 상면 일측에는 통체(701)의 내측으로 위치하면서 냉각수의 높이를 감지하는 상부센서(708)와 하부센서(709)를 갖는 레벨게이지(707)가 결합되고,
통체(701) 상면 타측에는 수도배관(710)이 연결되고 전동볼밸브(706)의 개방작동으로 보충수가 유입되는 보충관(704)이 마련되며,
이송관(L9)을 통해 라디에이터(R)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순환펌프(P3)와 연결된 이송관(L8)이 결합되는 배출관(703)이 마련된 냉각수탱크(700)가 구비된다.
냉각탱크(500)의 나선관(505)과 연결된 이송관(L25)이 결합되어 전동볼밸브(806)의 개방작동으로 액화된 정제수가 유입되는 공급관(802)이 통체(801) 상면 일측에 결합되고,
진공기(V2)와 연결된 이송관(L26)이 결합되어 전동볼밸브(807)의 개방작동으로 진공압이 유입되는 배출관(803)이 통체(801) 상면 타측에 결합되며,
통체(801) 상면 중앙에는 통체(801)의 내측으로 위치하면서 정제수의 높이를 감지하는 상부센서(811)와 하부센서(812)를 갖는 레벨게이지(810)가 결합되고,
통체(801) 측면 상부에는 솔레노이드밸브(809)가 결합된 통기관(805)이 마련되며,
이송펌프(P5)와 연결되는 이송관(L32)이 연결되고 전동볼밸브(808)의 개방작동으로 정제수가 유출되는 배출관(804)이 통체(801) 측면 하부에 마련된 정제수 진공저장탱크(800)가 구비된다.
진공기(V2)와 연결되는 이송관(L27)이 연결된 공급관(902)이 통체(901) 내측에 결합되고,
통체(901) 상면 일측에는 통체(901)의 내측으로 위치하면서 냉각수의 높이를 감지하는 상부센서(908)와 하부센서(909)를 갖는 레벨게이지(907)가 결합되고,
통체(901) 상면 타측에는 수도배관(910)이 연결되고 전동볼밸브(906)의 개방작동으로 보충수가 유입되는 보충관(904)이 마련되며,
이송관(L29)을 통해 라디에이터(R)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순환펌프(P6)와 연결된 이송관(L28)이 결합되는 배출관(903)이 마련된 냉각수탱크(900)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폐세척액 저장탱크(300), 유수분리탱크(400), 폐솔벤트 저장탱크(410), 폐수 저장탱크(420), 정제솔벤트 저장탱크(430), 정제수 저장탱크(440)와, 폐솔벤트 증류탱크(100), 폐수 증류탱크(200), 냉각탱크(500), 정제솔벤트 진공저장탱크(600), 냉각수탱크(700), 정제수 진공저장탱크(800), 냉각수탱크(900) 및 라디에이터(R), 진공기(V1)(V2), 이송펌프(P1)(P2)(P4)(P5), 순환 펌프(P3)(P6) 등은 이송관(L1) 내지 이송관(L13)과 이송관(L21) 내지 이송관(L13)으로 연결되어 폐솔벤트, 폐수, 정제솔벤트, 정제수, 냉각수 등을 상호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며,
상기 구성장치들은 외부에 커버(4)와 관리도어(5)가 결합된 본체프레임(1) 내측으로 배치되어 설치되며, 콘트롤박스(2)의 터치스크린(3)을 조작하면 폐세척액을 정화시키는 동작이 시작된다.
상기 터치스크린(3)는 오퍼레이팅 모드와 매뉴얼 모드 및 알람모드가 디스플레이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작동과정과 함께 더욱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인쇄기에서 배출되는 폐세척액을 별도의 용기(일명:말통)에 담아 투입하거나, 별도의 배관라인을 설치하여 폐세척액 저장탱크(300)에 공급한다.
폐세척액은 여과바스켓(302)의 투입구(303)로 공급되는 것으로, 여과바스켓(302)의 메시(mesh)에 의해 입자가 큰 덩어리 형태의 불순물이 여과된다.
폐세척액이 공급되면 폐세척액 저장탱크(300) 내부에 결합된 레벨게이지(304)의 상부센서(305)가 폐세척액의 높이를 감지하여 콘트롤박스(2)의 터치스크린(3)에 경고등이 표시되면 폐세척액의 투입을 중지한다.
하부센서(306)는 폐세척액의 최저높이를 감지하여 터치스크린(3)에 경고등을 표시하는 것이며 작업자는 이를 확인하고 폐세척액을 재투입하면 된다.
폐세척액의 투입수단은 레벨게이지(304)의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별도의 폐세척액 공급관을 마련하여 자동공급할 수도 있다.
폐세척액이 투입이 완료되면 유수분리촉진제 저장탱크(310)의 솔레노이드밸브(311)가 개방작동하여 유수분리촉진제를 폐세척액에 투입하게 되는 바, 유수분리촉진제는 통체(301) 내측으로 배관되어 출구부가 공급관(308)에 근접하게 배치된 안내관(312)으로 공급하게 된다.
안내관(312)의 출구부가 폐세척액이 유출되는 공급관(308)에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한 것은 유수분리촉진제가 유출되는 폐세척액과 혼합이 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폐세척액 저장탱크(300)의 유지관리시에는 본체프레임(1)의 측면하부 관리도어(5)를 개방한 후 폐세척액 저장탱크(300)의 손잡이(316)를 잡고 당겨주면 로울러베어링(313)이 본체프레임(1) 내측 바닥면에 결합된 가이드레일(315)을 활주하면서 측면 관리도어(5) 측으로 진출하게 된다.
그리고, 여과바스켓(302)이나 유수분리촉진제 저장탱크(310)를 분리하여 이물질제거 또는 유수분리촉진제를 보충하고, 드레인밸브(317)를 개방하여 드레인관(309)으로 슬러지를 배출시켜 통체(301) 내부를 청소하면 된다.
폐세척액 저장탱크(300)에 폐세척액이 공급된 후 레벨게이지(304)의 상부센서(305)가 폐세척액의 높이를 감지하면 폐세척액 이송펌프(P1)가 작동하고 폐세척액은 공급관(30)과 이송관(L1)(L2)을 통해 유수분리탱크(400)로 공급된다.
상기 이송펌프(P1)는 폐세척액 저장탱크(300)의 레벨게이지(304)의 상부센서(305)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작동하고, 하부센서(306)가 폐세척액의 최저 높이를 감지하면 이송펌프(P1)는 정지되고 콘트롤박스(2)의 터치스크린(3)에 알람표시등을 점멸시킨다.
폐세척액 저장탱크(300)의 폐세척액이 유수분리탱크(400)로 공급되면 레벨게이지(409)의 상부센서(409a)가 폐세척액의 상부 높이를 감지하면 폐세척액 이송펌프(P1)의 작동이 멈추게 되고 폐세척액의 공급이 중단된다.
유수분리탱크(400)로 공급된 폐세척액을 1시간 동안 홀딩(holding)시켜 저장하게 되면 유수분리탱크(400) 내측의 하층부에는 폐수가 위치하게 되고, 중층부에는 슬러지가 위치하게 되며, 상층부에는 폐솔벤트가 위치하게 되어 폐세척액은 폐수층과 슬러지층 및 폐솔벤트층으로 각각 분리된다.
유수분리탱크(400)의 상층부에 위치하는 폐솔벤트는 오버플로우관(407)을 통해 인접한 폐솔벤트 저장탱크(410)로 이송된다.
폐솔벤트가 오버플로우관(407)을 경유하여 폐솔벤트 저장탱크(410)로 이송되는 것은 폐세척액이 유수분리탱크(400) 내에서 머무르면서 폐솔벤트층과 슬러지층 및 폐수층으로 분리되는 1시간 후 작동되도록 셋팅된 폐세척액 이송펌프(P1)가 30초동안 동작하여 폐세척액이 재공급되면서 폐수층과 슬러지층 및 폐솔벤트층을 밀어올리는 작용으로 상층부의 폐솔벤트는 폐세척액이 공급되는 양(약30ℓ)만큼 오버 플로우관(407)을 경유하여 폐솔벤트 저장탱크(410)로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폐수층과 슬러지층 및 폐솔벤트층이 폐세척액의 재공급으로 밀어올려지는 과정에서 폐수의 상부 높이를 중간센서(409b)가 감지하게 되면 전동볼밸브(408)가 10~12초 동안 개방작동하여 슬러지가 배출관(406)으로 유출되어 별도로 마련된 슬러지 수거통(도시생략)으로 배출되고 전동볼밸브(408)는 폐쇄작동 한다.
그리고, 전동볼밸브(408)의 폐쇄작동 후 폐수이송펌프(P4)가 작동하면 유수분리탱크(400) 하층부의 폐수는 이송관(L21)이 연결된 배출관(402)으로 유출되어 이송관(L22)이 연결된 공급관(429)으로 유입되어 폐수저장탱크(420)에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폐세척액이 폐세척액 저장탱크(300)에서 유수분리탱크(400)로 공급되어 폐수와 슬러지 및 폐솔벤트로 분리된 후 폐솔벤트 저장탱크(410)와 폐수저장탱크(420)로 이송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폐솔벤트 저장탱크(410)와 폐수 저장탱크(420) 내부에 각각 설치된 레벨게이지(415),(426)의 상부센서(416),(427)가 폐솔벤트 및 폐수의 상부 높이를 감지하게 되면 폐세척액 이송펌프와 폐수 이송펌프는 정지하여 폐솔벤트와 폐수의 공급이 중단된다.
폐솔벤트와 폐수가 저장탱크(410),(420)에 공급되는 과정에서 레벨게이지(415),(426)의 중간센서(417),(428)가 폐솔벤트와 폐수의 상부 높이를 각각 감지하면, 폐솔벤트 증류탱크(100)와 순환펌프(P3) 및 폐수 증류탱크(200)와 순환펌프(P6)가 작동하여 폐솔벤트는 이송관(L3)이 연결된 배출관(412)으로 유출되어 폐솔벤트 증류탱크(100)로 진공이송되고, 폐수는 이송관(L23)이 연결된 배출관(423)으로 유출되어 폐수 증류탱크(200)로 진공이송된다.
상기 이송관(L3),(L23)이 각각 연결되는 배출관(412),(423)의 유출구 타측 유입구는 저장탱크(410),(420) 내측 바닥면에 근접하여 위치하며, 레벨게이지(415),(426)의 하부센서(418),(429)는 배출관(412),(423)의 유입구보다 높은 위치에 각각 결합되어, 폐솔벤트와 폐수의 상부 수위가 배출관(412),(423)의 유입구에 도달하여 진공압력이 해제되기전에 폐솔벤트 증류장치(100)와 폐수 증류장치(200)를 정지시키게 된다.
한편, 폐솔벤트 증류탱크(100) 상부의 공급관(108)으로 유입된 폐솔벤트는 원추벽(107)에 의해 가열실(102)과 차단된 예열실(103)에서 가열실(102) 내부의 간접열에 의해 1차 예열된다.
예열실(103)에서 예열된 폐솔벤트는 유도관(113)으로 유출되어 경유관(115)을 통과한 후 유도관(114)으로 유출되어 폐솔벤트 증류탱크(100)의 가열실(102) 하부로 공급된다.
가열실(102)로 공급되는 폐솔벤트를 상부 높이를 레벨스위치(122)가 감지하면 전동볼밸브(116)가 폐쇄작동하여 폐솔벤트의 공급이 중단되고, 히팅박스(130)의 가열히터(133)가 작동하여 히팅박스(130) 내부에 충진된 열매체오일을 가열시키게 된다.
열매체오일의 간접열이 폐솔벤트 증류탱크(100)의 저면부로 전달되면 폐솔벤트 증류탱크(100)의 내측 하부에 공급된 폐솔벤트는 열매체오일의 간접열에 의해 가열되어 기화되기 시작한다.
히팅박스(130) 상부에 결합된 온도센서(136)는 열매체오일의 온도를 감지하여 일정온도가 유지되도록 가열히터(133)를 동작시키게 된다.
폐솔벤트의 가열온도는 170℃~235℃로서 폐솔벤트 이외에 다른 폐유류를 증류할 시 가열온도는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가열히터(133)의 동작으로 가열된 열매체오일의 간접열에 의해 폐솔벤트가 끓어올라 기화되기 시작한다.
이때 끓어오르는 폐솔벤트는 가열실(102) 상측으로 튀어오르게 되는데 유도관(114) 하측에 결합된 다공판(104)이 튀어오르는 폐솔벤트를 막아주게 되며, 다공판(104)에 뚫린 다수개의 통공(도시생략)으로 기화된 폐솔벤트는 가열실(102)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폐솔벤트가 끓어오르는 과정에서 거품이 발생하게 되며, 거품이 과도하게 발생되면 유도관(114)이나 보조배출관(111) 및 증기배출관(109)으로 불순물이 함유된 폐솔벤트가 그대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통체(101) 일측의 거품관(117)에 결합된 거품감지기(118)가 일정높이로 차오른 거품을 감지하면 진공계(126)의 후측에 결합된 솔레노이드밸브(127)가 개방되어 통체(101) 외부의 대기압이 통기관(125)을 통해 가열실(102) 내부로 전달 되면서 진공압력이 낮아지게 되고, 결국 진공압상태에서 끓는점과 대기압상태에서 끓는점의 변화원리에 의해 거품이 제거된다.
솔레노이드밸브(127)가 5~10초 동안 개방작동하여 거품이 제거된 후 폐쇄작동하면 가열실(102)은 설정된 진공압력을 유지하게 된다.
폐솔벤트 증기는 받침판(105)의 유출관(106)을 통과하여 가열실(102) 상부의 원추벽(107) 중앙에 결합된 증기배출관(109)을 경유한 후 이송관(L4)을 통해 냉각탱크(500)의 나선관(502)으로 공급된다.
상기 받침판(105)은 폐솔벤트 증기의 이동과정에서 일부 폐솔벤트 증기가 원추벽(107)에 부딪혀 응축되어 발생하는 액화상태의 정제솔벤트가 가열실(102)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받침판(105)에 고인 정제솔벤트는 보조배출관(111)으로 유출되어 투명관(112)을 경유한 후 증기배출관(109)의 분기관(110)으로 유입되어 냉각탱크(500)의 나선관(502)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냉각탱크(500)로 공급된 폐솔벤트 증기는 이송관(L4)이 결합된 유입구(503) 측으로 유입되어 통체(501) 내부에 충진된 냉각수에 의해 나선관(502)을 경유하면서 액화되어 유출구(504)측으로 유출된 후 이송관(L5)을 통해 정제솔벤트 진공저장탱크(600)로 공급된다.
전동볼밸브(608)가 개방작동하여 이송관(L5)이 연결된 공급관(602)으로 액화 된 정제솔벤트가 유입되면 통체(601) 상면 중앙에 결합된 레벨게이지(610)의 상부센서(611)가 정제솔벤트의 상부 높이를 감지한다.
상부센서(611)가 정제솔벤트의 상부 높이를 감지하면 전동볼밸브(606),(607)가 폐쇄작동되고, 통기관(605)에 결합된 솔레노이드밸브(609)와 배출관(604)에 결합된 전동볼밸브(608)가 개방작동되어 정제솔벤트 진공저장탱크(600) 내부의 진공상태가 해제된다.
전동볼밸브(608)가 개방작동함과 동시에 정제솔벤트 이송펌프(P2)가 동작하여 정제솔벤트는 배출관(604)으로 유출되어 이송관(L12)을 경유한 후 이송관(L13)과 연결된 공급관(432)으로 유입되어 정제솔벤트 저장탱크(430)로 공급된다.
정제솔벤트가 공급되면서 레벨게이지(436)의 상부센서(437)가 정제솔벤트의 상부 높이를 감지하면 폐솔벤트 증류탱크(100)의 작동이 중지되고 콘트롤박스(2)의 터치스크린(3)에 표시등이 점멸된다.
정제솔벤트 저장탱크(430)의 정제솔벤트는 배출관(433)의 배출밸브(439)를 개방하여 별도에 용기에 수거하여 재활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정제솔벤트가 이송펌프(P2)에 의해 정제솔벤트 저장탱크(430)로 이송되면서 정제솔벤트 진공저장탱크(600)의 레벨게이지(610) 하부센서(612)가 정제솔벤트의 상부 높이를 감지하게 되면 이송펌프(P2)가 정지되고 전동볼밸브(608)와 솔레노이드밸브(609)가 폐쇄작동하며, 전동볼밸브(606),(607)가 개방작동하고 폐솔벤트 증류탱크(100)가 재가동 된다.
상기 냉각탱크(500)의 나선관(502)에 공급된 폐솔벤트 증기를 액화시키는 냉각수의 이동경로는 냉각수탱크(700)에 저장된 냉각수를 순환펌프(P3)가 작동하여 이송관(L8)이 연결된 배출관(703)으로 유출되어 이송관(L9)을 통해 라디에이터(R)로 공급된다.
라디에이터(R)를 경유하면서 냉각된 냉각수는 이송관(L10)이 연결된 공급관(508)으로 유입되어 냉각탱크(500)로 공급된 후 토출관(509)에 연결된 이송관(L11)을 통해 진공기(V1)를 경유하여 냉각수탱크(700)로 재공급된다.
또 한편, 폐수 증류탱크(200) 상부의 공급관(208)으로 유입된 폐수는 원추벽(207)에 의해 가열실(202)과 차단된 예열실(203)에서 가열실(202) 내부의 간접열에 의해 1차 예열된다.
예열실(203)에서 예열된 폐수는 유도관(213)으로 유출되어 경유관(215)을 통과한 후 유도관(214)으로 유출되어 폐수 증류탱크(200)의 가열실(202) 하부로 공급된다.
가열실(202)로 공급되는 폐수의 상부 높이를 레벨스위치(222)가 감지하면 전동볼밸브(216)가 폐쇄작동하여 폐수의 공급이 중단되고, 히팅박스(230)의 가열히터(233)가 작동하여 히팅박스(230) 내부에 충진된 열매체오일을 가열시키게 된다.
열매체오일의 간접열이 폐수 증류탱크(200)의 저면부로 전달되면 폐수 증류탱크(200)의 내측 하부에 공급된 폐수는 열매체오일의 간접열에 의해 가열되어 기 화되기 시작한다.
히팅박스(230) 상부에 결합된 온도센서(236)는 열매체오일의 온도를 감지하여 일정온도가 유지되도록 가열히터(233)를 동작시키게 된다.
가열히터(233)의 동작으로 가열된 열매체오일의 간접열에 의해 폐수가 끓어올라 기화되기 시작한다.
이때 끓어오르는 폐수는 가열실(202) 상측으로 튀어오르게 되는데 유도관(214) 하측에 결합된 다공판(204)이 튀어오르는 폐수를 막아주게 되며, 다공판(204)에 뚫린 다수개의 통공(도시생략)으로 기화된 폐수는 가열실(202)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폐수가 끓어오르는 과정에서 거품이 발생하게 되며, 거품이 과도하게 발생되면 유도관(214)이나 보조배출관(211) 및 증기배출관(209)으로 불순물이 함유된 폐수가 그대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통체(201) 일측의 거품관(217)에 결합된 거품감지기(218)가 일정높이로 차오른 거품을 감지하면 진공계(226)의 후측에 결합된 솔레노이드밸브(227)가 개방되어 통체(201) 외부의 대기압이 통기관(225)을 통해 가열실(202) 내부로 전달되면서 진공압력이 낮아지게 되고, 결국 진공압상태에서 끓는점과 대기압상태에서 끓는점의 변화원리에 의해 거품이 제거된다.
솔레노이드밸브(227)가 5~10초 동안 개방작동하여 거품이 제거된 후 폐쇄작동하면 가열실(202)은 설정된 진공압력을 유지하게 된다.
폐수 증기는 받침판(205)의 유출관(206)을 통과하여 가열실(202) 상부의 원추벽(207) 중앙에 결합된 증기배출관(209)을 경유한 후 이송관(L24)을 통해 냉각탱크(500)의 나선관(505)으로 공급된다.
상기 받침판(205)은 폐수 증기의 이동과정에서 일부 폐수 증기가 원추벽(207)에 부딪혀 응축되어 발생하는 액화상태의 정제수가 가열실(202)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받침판(205)에 고인 정제수는 보조배출관(211)으로 유출되어 투명관(212)을 경유한 후 증기배출관(209)의 분기관(210)으로 유입되어 냉각탱크(500)의 나선관(505)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냉각탱크(500)로 공급된 폐수 증기는 이송관(L24)이 결합된 유입구(506) 측으로 유입되어 통체(501) 내부에 충진된 냉각수에 의해 나선관(505)을 경유하면서 액화되어 유출구(507)측으로 유출된 후 이송관(L25)을 통해 정제수 진공저장탱크(800)로 공급된다.
전동볼밸브(806)가 개방작동하여 이송관(L25)이 연결된 공급관(802)으로 액화된 정제수가 유입되면 통체(801) 상면 중앙에 결합된 레벨게이지(810)의 상부센서(811)가 정제수의 상부 높이를 감지한다.
상부센서(811)가 정제수의 상부 높이를 감지하면 전동볼밸브(806),(807)가 폐쇄작동되고, 통기관(805)에 결합된 솔레노이드밸브(809)와 배출관(804)에 결합된 전동볼밸브(808)가 개방작동되어 정제수 진공저장탱크(800) 내부의 진공상태가 해제된다.
전동볼밸브(808)가 개방작동함과 동시에 정제수 이송펌프(P5)가 동작하여 정 제수는 배출관(804)으로 유출되어 이송관(L32)을 경유한 후 이송관(L33)과 연결된 공급관(442)으로 유입되어 정제수 저장탱크(440)로 공급된다.
정제수가 공급되면서 레벨게이지(446)의 상부센서(447)가 정제수의 상부 높이를 감지하면 폐수 증류탱크(200)의 작동이 중지되고 콘트롤박스(2)의 터치스크린(3)에 표시등이 점멸된다.
정제수 저장탱크(440)의 정제수는 배출관(443)의 배출밸브(449)를 개방하여 별도에 용기에 수거하여 재활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정제수가 이송펌프(P5)에 의해 정제수 저장탱크(440)로 이송되면서 정제수 진공저장탱크(800)의 레벨게이지(810) 하부센서(812)가 정제수의 상부 높이를 감지하게 되면 이송펌프(P5)가 정지되고 전동볼밸브(808)와 솔레노이드밸브(809)가 폐쇄작동하며, 전동볼밸브(806),(807)가 개방작동하고 폐수 증류탱크(200)가 재가동 된다.
상기 냉각탱크(500)의 나선관(505)에 공급된 폐수 증기를 액화시키는 냉각수의 이동경로는 냉각수탱크(900)에 저장된 냉각수를 순환펌프(P6)가 작동하여 이송관(L28)이 연결된 배출관(903)으로 유출되어 이송관(L29)을 통해 라디에이터(R)로 공급된다.
라디에이터(R)를 경유하면서 냉각된 냉각수는 이송관(L30)이 연결된 공급관(510)으로 유입되어 냉각탱크(500)로 공급된 후 토출관(511)에 연결된 이송관(L31)을 통해 진공기(V2)를 경유하여 냉각수탱크(900)로 재공급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인쇄기나 기타 산업현장에서 배출되는 폐세척액을 정화하여 재사용 할 수 있도록 한 그 기대되는 가치가 대단히 우수한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외관을 보인 평면도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외관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본체프레임(1)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내부구성을 보인 정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폐솔벤트 증류탱크(100)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폐솔벤트 증류탱크(100)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폐수 증류탱크(200)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폐수 증류탱크(200)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폐세척액 저장탱크(300)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폐세척액 저장탱크(300)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유수분리탱크(400)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폐솔벤트 저장탱크(410)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폐수 저장탱크(420)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정제솔벤트 저장탱크(430)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정제수 저장탱크(440)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냉각탱크(500)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정제솔벤트 진공저장탱크(600)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정제솔벤트 냉각수탱크(700)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정제수 진공저장탱크(800)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정제수 냉각수탱크(900)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본체프레임, 2:콘트롤박스, 3:터치스크린, 4:커버, 5:관리도어
100:폐솔벤트 증류탱크, 101:통체, 102:가열실, 103:예열실, 104:다공판
105:받침판, 106:유출관, 107:원추벽, 108:공급관, 109:증기배출관
110:분기관, 111:보조배출관, 112:투명관, 113:유도관, 114:유도관
115:경유관, 116:전동볼밸브, 117:거품관, 118:거품감지기, 119:투시관
120:투시창, 121:레벨관, 122:레벨스위치, 123:온도관, 124:온도계
125:통기관, 126:진공계, 127:솔레노이드밸브, 128:드레인관
129:드레인밸브, 130:히팅박스, 131:보온재, 132:가열관 133:가열히터
134:주입관, 135:센서관, 136:온도센서, 137:열매체오일 드레인관
200:폐수 증류탱크, 201:통체, 202:가열실, 203:예열실, 204:다공판
205:받침판, 206:유출관, 207:원추벽, 208:공급관, 209:증기배출관
210:분기관, 211:보조배출관, 212:투명관, 213:유도관, 214:유도관
215:경유관, 216:전동볼밸브, 217:거품관, 218:거품감지기, 219:투시관
220:투시창, 221:레벨관, 222:레벨스위치, 223:온도관, 224:온도계
225:통기관, 226:진공계, 227:솔레노이드밸브, 228:드레인관
229:드레인밸브, 230:히팅박스, 231:보온재, 232:가열관 233:가열히터
234:주입관, 235:센서관, 236:온도센서, 237:열매체오일 드레인관
300:폐세척액 저장탱크, 301:통체, 302:여과바스켓, 303:투입구
304:레벨게이지, 305:상부센서, 306:하부센서, 307:뚜껑, 308:공급관
309:드레인관, 310:유수분리촉진제 탱크, 311:솔레노이드밸브, 312:안내관
313:로울러베어링, 314:로울러축, 315:가이드레일, 316:손잡이
317:드레인밸브
400:유수분리탱크, 401:통체, 402:배출관, 403:공급관, 404:드레인관
405:드레인밸브, 406:배출관, 407:오버플로우관, 408:전동볼밸브
409:레벨게이지, 409a:상부센서, 409b:중간센서, 409c:하부센서
410:폐솔벤트 저장탱크, 411:통체, 412:배출관, 413:드레인관
414:드레인밸브, 415:레벨게이지, 416:상부센서, 417:중간센서
418:하부센서
420:폐수 저장탱크, 421:통체, 422:공급관, 423:배출관, 424:드레인관
425:드레인밸브, 426:레벨게이지, 427:상부센서, 428:중간센서
429:하부센서
430:정제솔벤트 저장탱크, 431:통체, 432:공급관, 433:배출관, 434:드레인관
435:드레인밸브, 436:레벨게이지, 437:상부센서, 438:하부센서
439:배출밸브
440:정제수 저장탱크, 441:통체, 442:공급관, 443:배출관, 444:드레인관
445:드레인밸브, 446:레벨게이지, 447:상부센서, 448:하부센서
449:배출밸브
500:냉각탱크, 501:통체, 502:나선관, 503:유입구, 504:유출구, 505:나선관
506:유입구, 507:유출구, 508:공급관, 509:토출관, 510:공급관, 511:토출관
512:드레인관
600:정제솔벤트 진공저장탱크, 601:통체, 602:공급관, 603:배출관
604:배출관, 605:통기관, 606:전동볼밸브, 607:전동볼밸브, 608:전동볼밸브
609:솔레노이드밸브, 610:레벨게이지 611:상부센서, 612:하부센서
700:냉각수탱크, 701:통체, 702:공급관, 703:배출관, 704:보충관
705:드레인관, 706:전동볼밸브, 707:레벨게이지, 708:상부센서
709:하부센서, 710:수도배관
800:정제수 진공저장탱크, 801:통체, 802:공급관, 803:배출관
804:배출관, 805:통기관, 806:전동볼밸브, 807:전동볼밸브, 808:전동볼밸브
809:솔레노이드밸브, 810:레벨게이지, 811:상부센서, 812:하부센서
900:냉각수탱크, 901:통체, 902:공급관, 903:배출관, 904:보충관
905:드레인관, 906:전동볼밸브, 907:레벨게이지, 908:상부센서
909:하부센서, 910:수도배관
P1:폐세척액 이송펌프, P2:정제솔벤트 이송펌프, P3:순환펌프
P4:폐수 이송펌프, P5:정제수 이송펌프, P6:순환펌프
L1 내지 L13:이송관, L21 내지 L33:이송관
V1, V2:진공기, R:라디에이터

Claims (1)

  1. 본체프레임(1) 내측에 설치되어 콘트롤박스(2)의 터치스크린(3)을 조작하여 작동하는 폐세척액 정화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유수분리촉진제 저장탱크(310)가 결합된 폐세척액 저장탱크(300)와,
    이송펌프(P1)에 의해 폐세척액 저장탱크(300)의 폐세척액을 공급받아 1시간 머물도록하여 폐솔벤트와 슬러지 및 폐수가 상층부와 중층부 및 하층부로 분리되는 유수분리탱크(400)와,
    유수분리탱크(400) 내측 상층부로 분리된 폐솔벤트가 오버플로우관(407)을 통해 유입되는 폐솔벤트 저장탱크(410)와,
    유수분리탱크(400) 내측 하층부로 분리된 폐수를 이송펌프(P4)로 공급받아 저장하는 폐수 저장탱크(420)와,
    정제솔벤트를 이송펌프(P2)로 공급받아 저장하는 정제솔벤트 저장탱크(430)와,
    정제수를 이송펌프(P5)로 공급받아 저장하는 정제수 저장탱크(440)와,
    폐솔벤트 저장탱크(410)의 폐솔벤트를 이송관(L3)을 통해 공급받아 정제하는 폐솔벤트 증류탱크(100)와,
    폐수 저장탱크(420)의 폐수를 이송관(L23)을 통해 공급받아 정제하는 폐수증류탱크(200)와,
    폐솔벤트 증류탱크(410)와 폐수 증류탱크(420)에서 기화된 솔벤트와 물을 액 화시키는 냉각탱크(500)와,
    냉각탱크(500)에서 액화된 정제솔벤트를 이송관(L5)을 통해 공급받아 저장하고 이송펌프(P2)로 정제솔벤트 저장탱크(430)에 공급하는 정제솔벤트 진공저장탱크(600)와,
    진공기(V1)와 연결된 이송관(L7)이 결합되고 수도배관(710)으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아 순환펌프(P3)로 라디에이터(R)를 경유하여 냉각탱크(500)에 공급하는 냉각수탱크(700)와,
    냉각탱크(500)에서 액화된 정제수를 이송관(L25)을 통해 공급받아 저장하고 이송펌프(P5)로 정제수 저장탱크(440)에 공급하는 정제수 진공저장탱크(800)와,
    진공기(V2)와 연결된 이송관(L27)이 결합되고 수도배관(910)으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아 순환펌프(P6)로 라디에이터(R)를 경유하여 냉각탱크(500)에 공급하는 냉각수탱크(9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세척액 정화장치.
KR1020070092639A 2007-09-12 2007-09-12 폐세척액 정화장치 KR100794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639A KR100794193B1 (ko) 2007-09-12 2007-09-12 폐세척액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639A KR100794193B1 (ko) 2007-09-12 2007-09-12 폐세척액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4193B1 true KR100794193B1 (ko) 2008-01-17

Family

ID=39218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639A KR100794193B1 (ko) 2007-09-12 2007-09-12 폐세척액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419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3651A (ko) * 1996-05-28 1997-12-10 김채진 탄화수소계 용제 회수장치 및 그 방법
KR200188551Y1 (ko) 2000-01-28 2000-07-15 김명자 폐페인트 분리 정제 장치
US6159345A (en) 1998-11-06 2000-12-12 Mitsubishi Chemical Americ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and/or recycling solvents
KR200384132Y1 (ko) 2005-02-22 2005-05-11 이무윤 폐액 재생장치
JP2007038345A (ja) 2005-08-03 2007-02-15 Daio Kensetsu Kk 切削油の再生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3651A (ko) * 1996-05-28 1997-12-10 김채진 탄화수소계 용제 회수장치 및 그 방법
US6159345A (en) 1998-11-06 2000-12-12 Mitsubishi Chemical Americ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and/or recycling solvents
KR200188551Y1 (ko) 2000-01-28 2000-07-15 김명자 폐페인트 분리 정제 장치
KR200384132Y1 (ko) 2005-02-22 2005-05-11 이무윤 폐액 재생장치
JP2007038345A (ja) 2005-08-03 2007-02-15 Daio Kensetsu Kk 切削油の再生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323756B2 (en) Solvent recycler
US20090048396A1 (en) Emulsion separator
US6902082B2 (en) Manhole device
JPH0732907B2 (ja) 液体廃流から再利用可能な成分をオンサイト回収するための可動システム
CN102574703B (zh) 用于减少用于平版印刷版的显影废液的装置
US7291277B2 (en)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the fountain solution of a printing press
US4830710A (en) Apparatus for recycling solvents
KR100794193B1 (ko) 폐세척액 정화장치
US20190070628A1 (en) Hot glue unit for a labeling machine with extractor
JPH05138873A (ja) 印刷機の胴を洗浄するための装置
US5637212A (en) Dry cleaning waste water treatment machine having recirculating arrangement
IT8225067A1 (it) Metodo ed impianto automatico continuo per il recupero del cromo dalle acque reflue di conceria
WO2003018218A1 (en) System for recovering and recycling solvent from a solvent-based cleaning process
KR20150124508A (ko) 유수 분리 장치
GB2080605A (en) Method of removing radioactive material from organic wastes
CN107098528A (zh) 洗车废水多重净化装置
KR102507106B1 (ko) 폐유기용제 재생시스템
KR101622293B1 (ko) 유수 전용 분리 차량
KR102527187B1 (ko) 폐유기용제 재생시스템
KR101859455B1 (ko) 원유 정제과정에서 발생한 정유폐수 슬러지의 재처리시스템
CN211659325U (zh) 一种酞菁颜料生产过程中溶剂回收装置
RU2293613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поверхностей от углеводородных загрязнений
JP4866551B2 (ja) 印刷システム
JPH0398601A (ja) 油回収装置
JP2003103241A (ja) 汚染土壌の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