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3785B1 - 냉장고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3785B1
KR100793785B1 KR1020060110959A KR20060110959A KR100793785B1 KR 100793785 B1 KR100793785 B1 KR 100793785B1 KR 1020060110959 A KR1020060110959 A KR 1020060110959A KR 20060110959 A KR20060110959 A KR 20060110959A KR 100793785 B1 KR100793785 B1 KR 100793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refrigerator
refrigerating
temperature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0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교
임형근
오민규
송계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0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37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25B41/22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between evaporator and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1Evaporator distribut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4Temperature balanc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6Controll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f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기 전원 투입 시, 냉동실의 냉각속도를 개선하여 냉동실 냉각속도가 냉장실 냉각속도보다 늦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냉장고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냉동실 냉매유로를 전부 개방하여 냉동실 증발기를 운전하고, 냉장실 냉매유로를 일부만 개방하여 냉장실 증발기를 운전하는 단계 및, 냉동실 온도가 미리 설정된 냉동실 기준온도보다 낮고, 냉장실 온도가 미리 설정된 냉장실 기준온도보다 낮은 경우, 압축기를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냉장고, 냉각속도, 증발기, 냉매유로, 냉장실, 냉동실

Description

냉장고 제어방법{controlling method of refrigerator}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냉각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냉장고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의한 밸브의 개폐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케이스 102 : 냉장실
104 : 냉동실 110 : 압축기
120 : 응축기 130 : 삼방변
140 : 제1 팽창장치 150 : 냉동실 증발기
160 : 제2 팽창장치 170 : 냉장실 증발기
180 : 냉매배관 182 : 냉동실 냉매유로
S100 :냉동실 냉매유로를 전개하고, 냉장실 냉매유로를 일부만 개방하여 운전하는 단계
S200 : 압축기를 정지하는 단계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기 전원 투입 시, 냉동실의 냉각속도를 개선하여 냉동실 냉각속도가 냉장실 냉각속도보다 늦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냉장고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을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하는 기기로서,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식품을 냉장보관하는 냉장실과, 상기 케이스 내부 타측에 구비되어 식품을 냉동보관하는 냉동실과,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냉각시스템은 압축기(10), 응축기(20), 삼방변(30), 제1 팽창장치(40)와 제2 팽창장치(60) 및 냉동실 증발기(50)와 냉장실 증발기(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압축기(10)와 응축기(20)를 지나온 냉매배관(80)은 소정 부분에서 냉동실측으로 이어지는 제1 분지관(82)과 냉동실측으로 이어지는 제2 분지관(84)으로 분지된다. 상기 삼방변(30)은 상기 냉매배관(80)이 제1 분지관(82)과 제2 분지관(84)으로 분지되는 부분에 설치된다.
상기 삼방변(30)에 연결된 제1 분지관(82)에는 제1 팽창장치(40) 및 냉동실 증발기(50)가 설치되어 냉동실 냉각시스템을 구성하고, 제2 분지관(84)에는 제2 팽창장치(60) 및 냉장실 증발기(70)가 설치되어 냉장실 냉각시스템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응축기(20) 근처에는 응축팬(22)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냉동실 증발기(50)와 냉장실 증발기(70) 근처에는 제1 증발팬(52) 및 제2 증발팬(72)이 각각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냉각시스템은 압축기(10) 및 응축기(20)를 거친 냉매가 삼방변(30)에 의해 절환되어 상기 제1 팽창장치(40)와 냉동실 증발기(50)를 순차적으로 유동하는 냉동실 냉각사이클과, 상기 제2 팽창장치(60)와 냉장실 증발기(70)를 순차적으로 유동하는 냉장실 냉각사이클을 수행하도록 운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냉동실과 냉장실을 2개의 증발기로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온도가 안정화되었을 때에는 냉동실은 평균적으로 -18℃로, 냉장실은 평균적으로 3℃로 유지된다. 이를 위해서 일반적으로 냉동실의 제1 팽창장치(40)의 저항보다 냉장실의 제2 팽창장치(60)의 저항을 작게 설계한다.
그런데, 냉장고를 처음 구입하여 설치하거나, 이사, 정전 등에 의하여 전원이 새로이 투입되었을 때, 과부하 조건이 적용되므로, 상기 삼방변(30)은 냉동실로 향하는 제1 분지관(82)과 냉장실로 향하는 제2 분지관(84)을 동시에 개방한다. 이때, 제1 팽창장치(40)의 저항이 제2 팽창장치(60)의 저항보다 작기 때문에 냉매 순환이 냉장실로만 집중되어 냉동실의 냉각속도가 냉장실 냉각속도보다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냉장고의 성능과 신뢰도에 관계되는 문제이며, 일반적으로, 냉동실을 대표하는 평균온도가 30℃에서 -5℃에 도달하는 시간과, 냉장실을 대표하는 평균온도가 30℃에서 10℃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최소 2시간 이내일 것이 요구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냉동실의 냉각속도가 냉장실 냉각속도보다 떨어지므로, 이러한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 전원 투입 시, 냉동실의 냉각속도를 개선하여 냉동실 냉각속도가 냉장실 냉각속도보다 늦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냉장고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동실 냉매유로를 전부 개방하여 냉동실 증발기를 운전하고, 냉장실 냉매유로를 일부만 개방하여 냉장실 증발기를 운전하는 단계 및, 냉동실 온도가 미리 설정된 냉동실 기준온도보다 낮고, 냉장실 온도가 미리 설정된 냉장실 기준온도보다 낮은 경우, 압축기를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냉장실 온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냉장실 기준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냉장실 냉매유로를 폐쇄하여 상기 냉장실 증발기의 운전을 중지하고, 상기 냉동실 온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냉동실 기준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냉동실 냉매유로를 폐쇄하여 상기 냉동실 증발기의 운전을 중지한다.
이때, 상기 냉동실 냉매유로를 폐쇄하는 동시에, 상기 냉장실 냉매유로를 전부 개방한다.
한편, 상기 냉장실 냉매유로를 일부만 개방하여 냉장실 증발기를 운전하는 단계는, 상기 냉장실 냉매유로가, 상기 냉동실 냉매유로상의 모세관 저항보다 상기 냉장실 냉매유로상의 모세관 저항과 상기 냉장실 냉매유로를 일부만 개방함으로써 발생하는 저항의 합이 더 크도록, 일부만 개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냉장고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는 냉장고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식품을 냉장보관하는 냉장실(104)과, 상기 케이스(100) 내부 타측에 구비되어 식품을 냉동보관하는 냉동실(102)과, 상기 냉장실(104)과 냉동실(102)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냉동실(102)이 케이스(100) 내부 좌측에 구비되고, 상기 냉동실(102)이 케이스(100) 내부 우측에 구비되는 좌냉동 우냉장 타입이 제시되지만, 상기 냉동실(102)이 케이스(100) 내부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냉장실(104)이 케이스(100) 내부 하부에 구비되는 상냉동 하냉장 타입도 채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이 상기 냉동실(102)이 케이스(100) 내부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냉장실(104)이 케이스(100) 내부 상부에 구비되는 상냉장 하냉동 타 입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냉각시스템은 압축기(110), 응축기(120), 삼방변(130), 제1 팽창장치(140)와 제2 팽창장치(160) 및 냉동실 증발기(150)와 냉장실 증발기(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냉장고 하부 후방에는 기계실(미도시)이 구비되며, 상기 압축기(110)와 응축기(120)는 상기 기계실에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110)와 응축기(120)를 지나온 냉매배관(180)은 소정 부분에서 냉동실측으로 이어지는 제1 분지관(182)과 냉동실측으로 이어지는 제2 분지관(184)으로 분지된다. 상기 삼방변(130)은 상기 냉매배관(180)이 제1 분지관(182)과 제2 분지관(184)으로 분지되는 부분에 설치된다.
상기 삼방변(130)에 연결된 제1 분지관(182)에는 제1 팽창장치(140) 및 냉동실 증발기(150)가 설치되어 냉동실 냉각시스템을 구성하고, 제2 분지관(184)에는 제2 팽창장치(160) 및 냉장실 증발기(170)가 설치되어 냉장실 냉각시스템을 구성한다.
즉, 상기 제1 분지관(182)은 냉동실 냉매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분지관(184)은 냉장실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냉동실 냉매유로(182)와 냉장실 냉매유로(184)로 지칭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응축기(120) 근처에는 응축팬(122)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냉동실 증발기(150)와 냉장실 증발기(170) 근처에는 제1 증발팬(152) 및 제2 증발팬(154)이 각각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냉각시스템은 압축기(110) 및 응축기(120)를 거친 냉매가 삼방변(130)에 의해 절환되어 상기 제1 팽창장치(140)와 냉동실 증발기(150)를 순차적으로 유동하는 냉동실 냉각사이클과, 상기 제2 팽창장치(160)와 냉장실 증발기(170)를 순차적으로 유동하는 냉장실 냉각사이클을 수행하도록 운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축기(110)에서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120)에서 응축되고, 상기 응축 냉매는 제1, 2 팽창장치(140, 160)에서 저온저압의 기체상태의 냉매로 전환된다. 상기 기체 냉매는 냉동실 증발기(150)와 냉장실 증발기(170)에 유입되어 냉동실(102) 및 냉장실(104)의 공기와 열교환된 후, 다시 합쳐진 냉매배관(180)을 통해 상기 압축기(110)로 재유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품구입, 이사, 정전 등의 이유로 냉장고에 새로이 전원이 투입되는 경우, 통상적인 과부하 조건을 적용하여 냉동실 냉매유로(182)와 냉장실 냉매유로(184)를 동시에 개방한다면, 냉동실(102)의 냉각속도가 냉장실(104)의 냉각속도보다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의한 밸브의 개폐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냉동실 냉매유로(182)를 전부 개방하여 냉동실 증발기(150)를 운전하고, 냉장실 냉매유로(184)를 일부만 개방하여 냉장실 증발기(170)를 운전하는 단계(S100) 및, 냉동실(102) 온도가 미리 설정된 냉동실(102) 기준온도보다 낮고, 냉장실(104) 온도가 미리 설정된 냉장실(104) 기준온도보다 낮은 경우, 압축기(110)를 정지하여 냉장고 운전을 정지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냉장고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초기 시점에 전원이 투입되면, 삼방변(130) 밸브의 펄스가 P1의 상태로 조정되어 초기화된다.
여기서, 상기 삼방변(130) 밸브는 펄스 폭 변조가 가능한 펄스 비례제어 밸브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펄스 비례제어 밸브는 입력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유로의 개폐뿐만 아니라, 개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 삼방변(130)이 펄스 비례제어 밸브로 이루어지면, 냉동실 냉매유로(182)와 냉장실 냉매유로(184)의 밸브 개도를 조절하여 냉매의 유량을 컨트롤할 수 있다.
상기 초기화 이후, 냉장고의 전반적인 기능을 컨트롤하는 제어부(미도시)는 바로 냉동실 냉매유로(182)를 전개(全開)하고 냉장실 냉매유로(184)를 일부만 개방하는 P2의 상태로 펄스를 조절하여 냉각운전을 실시한다(S100)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삼방변(130)의 냉동실 밸브(미도시)와 냉장실 밸브(미도시)를 개폐하거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냉동실 냉매유로(182)와 냉장실 냉매유로(184)의 개폐와 냉매가 흐르는 유량을 조절한다.
이때, 상기 냉장실 냉매유로(184)는, 상기 냉동실 냉매유로(182) 상의 모세관 저항보다 상기 냉장실 냉매유로(184) 상의 모세관 저항과 상기 냉장실 냉매유로(184)를 일부만 개방함으로써 발생하는 저항의 합이 더 크도록, 일부만 개방된다.
즉, 상기 냉장실 밸브가 일부만 열리면, 상기 제2 팽창장치(160)와 함께 상 기 일부만 열린 냉장실 밸브가 2차 모세관 역할을 수행하고, 이 둘 저항의 합이 상기 제1 팽창장치(140)의 저항보다 크도록 상기 P2의 펄스가 선정된다. 이는 냉동실 증발기(150) 쪽으로 냉매가 많이 흘러가 냉동실(102)의 냉각속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P2의 펄스 값은 시스템의 특성, 냉동실(102)과 냉장실(104)의 부피, 달성하고자 하는 냉동실(102)과 냉장실(104)의 냉각속도에 따라 적절한 값이 선택된다.
그 후, 냉각이 진행되어 상기 냉장실(104) 온도가 미리 설정된 냉장실 기준온도보다 낮은 경우, 제어부는 P3 펄스를 적용하여 상기 냉장실 냉매유로(184)를 폐쇄하고, 냉장실 증발기(170)의 운전을 중지한다(S120).
반대로, 상기 냉동실(102) 온도가 미리 설정된 냉동실 기준온도보다 낮은 경우, 제어부는 P5 펄스를 적용하여 상기 냉동실 냉매유로(182)를 폐쇄하고, 냉동실 증발기(150)의 운전을 중지한다(S140).
마지막으로, 상기 냉동실(102) 온도가 상기 냉동실 기준온도보다 낮고, 냉장실(104) 온도가 냉장실 기준온도보다 낮은 경우, 제어부는 P4 펄스를 적용하여 상기 냉동실 냉매유로(182)와 냉장실 냉매유로(184)를 폐쇄하고 압축기(110)를 정지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초기 전원이 투입됨과 동시에, 제어부는 상기 삼방변(130)을 초기화하고, 압축기(110)의 운전을 시작한다.
이때, 냉장실(104) 내에 설치되는 온도센서(미도시)는 냉장실(104)의 온도를 측정하고, 냉동실(102) 내에 설치되는 온도센서(미도시)는 냉동실(102)의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냉장온도와 냉동온도가 각각 미리 설정된 소정온도보다 높은지를 판단한다. 이는 정전에 의하여 잠시 전원이 끊긴 경우에 냉장고 내부의 온도가 아직 충분히 낮은 상태라면, 상기 냉장실 냉매유로(184)를 일부만 개방하여 냉장실 증발기(170)의 운전하는 단계를 생략하고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만일 그렇지 않고, 상기 냉동온도와 냉장온도가 각각 설정된 소정온도보다 높다면, 상기 제어부는 냉동실 냉매유로(182)를 전부 개방하여 냉동실 증발기(150)를 운전하고, 냉장실 냉매유로(184)를 일부만 개방하여 냉장실 증발기(170)를 운전한다(S100).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상기 삼방변(130)의 냉동실 밸브와 냉장실 밸브를 개폐하거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냉동실 냉매유로(182)와 냉장실 냉매유로(184)의 개폐와 냉매가 흐르는 유량을 조절한다.
여기서도, 상기 냉동실 냉매유로(182) 상의 모세관(제1 팽창장치)(140)의 저항보다 상기 냉장실 냉매유로(184) 상의 모세관(제2 팽창장치)(160)의 저항과 상기 냉장실 냉매유로(184)를 일부만 개방함으로써 발생하는 저항의 합이 더 크도록 냉장실 밸브의 개도가 조절된다. 즉, 상기 냉장실 밸브가 2차 저항의 역할을 수행하 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냉동실 증발기(150) 쪽으로 더 많은 양의 냉매가 흘러들어가 냉동실()의 냉각속도가 증가된다.
한편, 상기 냉장실 냉매유로(184)를 일부만 개방하여 냉장실 증발기(170)의 운전이 수행되는 도중에, 상기 냉장실(104)과 냉동실(102) 내부의 온도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냉장온도와 냉동온도에 따라 다음 단계로의 진행 여부가 결정된다.
즉, 상기 냉장실 냉매유로(184)를 일부만 개방하여 냉장실 증발기(170)의 운전이 수행되는 도중에, 상기 냉장실(104) 내부의 온도센서는 냉장실(104) 온도를 측정한다.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냉장실(104) 온도가 미리 설정된 냉장실 기준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냉장실 냉매유로(184)를 폐쇄하여 상기 냉장실 증발기(170)의 운전을 중지한다(S120).
상기 냉장실 기준온도는 시스템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대체로 10℃에서 3℃의 범위 내의 수치로 정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냉동실 냉매유로(182)를 전개하고, 냉장실 냉매유로(184)의 일부만 개방하여 운전하는 단계에서 상기 삼방변(130)의 냉장실 밸브의 개도가 시스템에 맞추어 적절히 조절되었다면, 다시 냉장실 냉매유로(184)를 개방하여 냉장실 증발기(170)의 운전을 재개할 필요는 없다. 즉, 상기 냉장실 증발기(170)의 운전이 중지된 후 냉장실(104)의 온도가 많이 올라가기 전에 냉동실(102)의 온도가 냉동실 기준온도까지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냉동실(102) 내부의 온도센서는 냉동실(102) 온도를 측정한다.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냉동실(102) 온도가 미리 설정된 냉동실 기준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냉동실 냉매유로(182)를 폐쇄하여 상기 냉동실 증발기(150)의 운전을 중지한다(S140).
상기 냉동실 기준온도는 시스템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대체로 -5℃에서 -18℃의 범위 내의 수치로 정해질 수 있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냉동실 냉매유로(182)를 전개하고, 냉장실 냉매유로(184)의 일부만 개방하여 운전하는 단계에서 상기 삼방변(130)의 냉장실 밸브의 개도가 시스템에 맞추어 적절히 조절되었다면, 다시 냉동실 냉매유로(182)를 개방하여 냉동실 증발기(150)의 운전을 재개할 필요는 없다. 즉, 상기 냉동실 증발기(150)의 운전이 중지된 후 냉동실(102)의 온도가 많이 올라가기 전에 냉장실(104)의 온도가 냉장실 기준온도까지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상기 냉동실 냉매유로(182)를 폐쇄하는 동시에, 상기 냉장실 냉매유로(184)를 전부 개방하여, 냉장실(104)의 냉각속도를 증가시킨다. 현재 냉장실 냉매유로(184)가 일부만 개방된 상태이므로, 이를 전부 개방하여 냉장실(104)도 빨리 안정상태에 진입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냉동실(102) 온도가 상기 냉동실 기준온도보다 낮고, 동시에 상기 냉장실(104) 온도가 상기 냉장실 기준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제어부는 냉동실 냉매유로(182)와 냉장실 냉매유로(184)를 모두 폐쇄하고, 압축기(110)를 정지한다(S200).
그리고, 이후에는 냉장고 내부의 온도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냉장실 증발기(170)와 냉동실 증발기(150)의 교대냉각이 수행된다. 상기 교대냉각은 냉장 고 내부의 온도가 안정화된 상태에서, 냉동실(102) 또는 냉장실(104)의 냉각사이클을 교대로 가동하여 냉동실(102)과 냉장실(104)의 온도를 소정온도 이하로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2개의 증발기가 설치되는 냉장고 뿐만 아니라 3개의 증발기가 설치되는 냉장고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삼방변(130) 대신 사방변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방변도 펄스 폭 변조가 가능한 펄스 비례제어 밸브로 구성되어 냉동실 냉매유로는 전개하고, 2개의 냉장실 냉매유로(184)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 냉장고에 초기 전원이 투입되는 경우만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방법은 냉각운전 중에 냉동실(102)과 냉장실(104)의 온도가 외부요인에 의하여 많이 올라가서 빠른 시간 안에 안정상태로 다시 떨어뜨릴 필요가 있을 때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냉장고의 전원이 투입된 때, 냉장실의 팽창장치 저항이 냉동실의 팽창장치 저항보다 작기 때문에 냉매순환이 냉장실로 집중되어 냉동실 냉각속도가 냉장실 냉각속도보다 늦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둘째, 정전 등의 돌발사태가 발생해도 빠른 시간 내에 냉동실과 냉장실을 안정상태로 복귀시킴으로써, 냉장고에 보관되는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셋째, 초기 전원 투입 시, 빠른 시간 내에 가용 온도에 도달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냉장실 밸브의 개도가 시스템에 따라 적절하게 튜닝되므로, 냉장실과 냉동실이 비슷하게 안정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Claims (5)

  1. 냉동실 냉매유로를 전부 개방하여 냉동실 증발기를 운전하고, 냉장실 냉매유로를 일부만 개방하여 냉장실 증발기를 운전하는 단계; 및
    냉동실 온도가 미리 설정된 냉동실 기준온도보다 낮고, 냉장실 온도가 미리 설정된 냉장실 기준온도보다 낮은 경우, 압축기를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냉장실 냉매유로를 일부만 개방하여 냉장실 증발기를 운전하는 단계는, 상기 냉장실 냉매유로가, 상기 냉동실 냉매유로상의 모세관 저항보다 상기 냉장실 냉매유로상의 모세관 저항과 상기 냉장실 냉매유로를 일부만 개방함으로써 발생하는 저항의 합이 더 크도록, 일부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 온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냉장실 기준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냉장실 냉매유로를 폐쇄하여 상기 냉장실 증발기의 운전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 온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냉동실 기준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냉동실 냉매유로를 폐쇄하여 상기 냉동실 증발기의 운전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 냉매유로를 폐쇄하는 동시에, 상기 냉장실 냉매유로를 전부 개 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어방법.
  5. 삭제
KR1020060110959A 2006-11-10 2006-11-10 냉장고 제어방법 KR100793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959A KR100793785B1 (ko) 2006-11-10 2006-11-10 냉장고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959A KR100793785B1 (ko) 2006-11-10 2006-11-10 냉장고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3785B1 true KR100793785B1 (ko) 2008-01-11

Family

ID=39217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0959A KR100793785B1 (ko) 2006-11-10 2006-11-10 냉장고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37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1953A (ko) * 1995-05-02 1996-12-19 구자홍 병렬연결형 냉동냉장사이클
KR20000005636A (ko) * 1998-06-29 2000-01-25 니시무로 타이죠 냉장고및냉장고의제어방법
KR100480706B1 (ko) 2002-07-04 200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2개의 증발기가 구비된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1953A (ko) * 1995-05-02 1996-12-19 구자홍 병렬연결형 냉동냉장사이클
KR20000005636A (ko) * 1998-06-29 2000-01-25 니시무로 타이죠 냉장고및냉장고의제어방법
KR100480706B1 (ko) 2002-07-04 200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2개의 증발기가 구비된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1413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95554B1 (ko)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KR20120012613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140711B1 (ko) 냉장고 및 그 운전제어방법
KR20060110687A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0638103B1 (ko) 냉각 장치
KR100648943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1897332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냉장실 정온제어방법
KR20190050080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JP3426892B2 (ja) マルチエバポレータ冷蔵庫
KR102617277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JP2003035481A (ja) 冷蔵庫
KR100863041B1 (ko) 냉장고 제어방법
KR100793785B1 (ko) 냉장고 제어방법
JPS6350628B2 (ko)
JPH09264650A (ja) 冷蔵庫
KR101723284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48792A (ko) 시차분할 멀티사이클형 냉각 장치
JP3954835B2 (ja) 冷蔵庫
JP2002267312A (ja) 冷凍冷蔵庫
KR20050063218A (ko) 직냉식 냉장고용 냉동싸이클 및 이의 운전 제어 방법
KR100898052B1 (ko)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KR102589265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JPH11182945A (ja) 冷凍装置
KR20070068932A (ko) 냉장고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