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2910B1 - Ctba 트레일링암 부쉬 높이 가변 장치 - Google Patents

Ctba 트레일링암 부쉬 높이 가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2910B1
KR100792910B1 KR1020060126730A KR20060126730A KR100792910B1 KR 100792910 B1 KR100792910 B1 KR 100792910B1 KR 1020060126730 A KR1020060126730 A KR 1020060126730A KR 20060126730 A KR20060126730 A KR 20060126730A KR 100792910 B1 KR100792910 B1 KR 100792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ing arm
arm bush
cam drive
ctba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6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6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29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60G17/0525Height adjusting or levell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7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non-fluid unit, e.g.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1Trailing arm twist beam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40Steering conditions
    • B60G2400/41Steering ang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3/00Cams ; Non-rotary cams; or cam-followers, e.g. roller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3/02Single-track cams for single-revolution cycles; Camshafts with such cams
    • F16H53/04Adjustable c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CTBA에 있어서, 주행조건에 따라 트레일링암 부쉬의 높이를 가변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여 직선 주행시에는 충격 흡수 능력을 개선하고, 선회 시에는 선회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는 CTBA 트레일링암 부쉬 높이 가변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장치는, 트레일링암 부쉬, 토션빔, 트레일링암을 구비하는 CTBA(Coupled Torsion Beam Axle)의 트레일링암 부쉬에 부착되는 CTBA 트레일링암 부쉬 높이 가변 장치로서, 외주면이 트레일링암 부쉬의 외주면과 당접하는 캠과 캠에 장착되는 모터를 구비하는 캠드라이브, 및 트레일링암 부쉬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트레일링암 부쉬 이동 가이드 슬롯과, 캠드라이브가 결합되는 캠드라이브 마운팅 홀을 구비하는 차체 브라켓트를 포함하며, 모터는 스티어링 신호를 전달받아 캠드라이브를 회전시킴으로써, 트레일링암 부쉬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BA 트레일링암 부쉬 높이 가변 장치이다.

Description

CTBA 트레일링암 부쉬 높이 가변 장치{HEIGHT VARIABLE DEVICE OF CTBA TRAILING ARM BUSH}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링암 부쉬 높이 가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링암 부쉬 높이 가변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체 마운팅 브라켓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캠드라이브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링암 및 캠드라이브의 작동을 직진 주행시 선회시로 구분하여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는 종래 기술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트레일링암 부쉬가 휠센터보다 위에 배치된 경우의 측면 및 상면 개략도이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트레일링암 부쉬가 휠센터보다 아래에 배치된 경우의 측면 및 상면 개략도이다.
<도면 부호에 대한 간략한 설명>
1..... 차체 브라켓트 2.....캠드라이브
3.....트레일링암 부시 4.....토션빔
5.....트레일링암 6.....타이어
7.....와이어 8.....트레일링암 부쉬 이동 가이드 슬롯
9.....캠드라이브 마운팅 홀 10.....캠
11.....모터 12.....휠 궤적
본 발명은 CTBA(Coupled Torsion Beam Axle)의 트레일링암 부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트레일링암 부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종래의 CTBA는 그 트레일링암 부쉬의 높이가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는 구조가 사용되었다. 하지만, 휠센타에 대한 트레일링암 부쉬의 위치, 그 중에서 높이는 차량의 충격 흡수 능력과 선회 성능의 관점에서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트레일링암 부쉬(3)가 휠센터보다 위에 배치된 경우에 있어서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팩트 충격시 휠 궤적(12)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충격 흡수 능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휠 궤적(12)의 후방 운동으로 인하여 2열 승객 공간을 넓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시 외륜에 토우-아웃이 발생하여 선회 성능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트레일링암 부쉬(3)가 휠센터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팩트 충격시 휠 궤적(12)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충격 흡수 능력에서 불리하며, 휠 궤적(12)의 전방 운동으로 인하여 2열 승객 공간 확보에 있어서 불리하다. 반면에,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시 외륜이 토우-인이 되어 안정된 선회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휠센터에 대하여 트레일링암 부쉬가 위치되는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종래의 CTBA의 경우, 충격흡수 능력이나 안정된 선회 성능 중 어느 하나를 개선할 수 있을 뿐이어서, 주행 조건에 따라 차량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주행조건에 따라 트레일링암 부쉬의 높이를 가변할 수 있는 장치로 하여 직선 주행시에는 충격 흡수 능력을 개선하고, 선회 시에는 선회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는 CTBA 트레일링암 부쉬 높이 가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레일링암 부쉬, 토션빔, 트레일링암을 구비하는 CTBA(Coupled Torsion Beam Axle)의 트레일링암 부쉬에 부착되는 CTBA 트레일링암 부쉬 높이 가변 장치로서, 외주면이 트레일링암 부쉬의 외주면과 당접하는 캠과 캠에 장착되는 모터를 구비하는 캠드라이브, 및 트레일 링암 부쉬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트레일링암 부쉬 이동 가이드 슬롯과, 캠드라이브가 결합되는 캠드라이브 마운팅 홀을 구비하는 차체 브라켓트를 포함하며, 모터는 스티어링 신호를 전달받아 캠드라이브를 회전시킴으로써, 트레일링암 부쉬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티어링 신호는 휠의 조향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조향각에 따라서 캠드라이브가 비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직진 주행시에는 상기 트레일링암 부쉬가 휠센타 상측에 위치되고, 선회시에는 상기 트레일링암 부쉬가 휠센타 하측에 위치되는 것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링암 부쉬 높이 가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여기에는, CTBA를 구성하는 트레일링암 부쉬(3), 토션빔(4) 및 트레일링암(5) 등이 도시되어 있으며, 트레일링암 부쉬(3)를 상하로 이동시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캠드라이브(2)와 차체 브라켓트(1)가 도시되어 있다.
높이 가변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링암 부쉬 높이 가변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고, 도 3은 그 중 차체 마운팅 브라켓트(1)를, 도 4는 캠드라이브(2)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2에 있어서, 트레일링암 부시(3)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하여 트레일링암 부시(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캠드라이브(2)가 트레일링암 부시(3)와 당접하고 있다. 또한, 트레일링암 부시(3)와 캠드라이브(2)가 각각 차체 브라켓트(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스티어링 회전시, 즉 조향 시에 스티어링 회전 각도를 입력받아 타원형 캠을 회전시킴으로써 트레일링암 부쉬(3)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스티어링 신호를 전달하여 모터(11)를 회전시키는 외이어(7)도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차체 브라켓트(1)를 나타내며, 차체 브라켓트(1)는 그 상단과 하단에 트레일링암 부쉬 이동 가이드 슬롯(8)과 캠드라이브 마운팅 홀(9)을 구비하고 있다. 차체 브라켓트(1)의 상단에 위치한 슬롯에는 트레일링암 부쉬(3)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 트레일링암 부쉬 이동 가이드 슬롯(8)은 캠의 회전에 따라 트레일링암 부쉬(3)가 상하로 이동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단에 위치한 캠드라이브 마운팅 홀(9)에는 캠(10)에 장착된 모터(11)를 고정한다.
도 4는 캠드라이브(2)를 나타내며, 타원형 캠(10)은 캠기어로써, 편심된 위치에서 모터(11)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모터(11)가 타원형 캠(10)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로 캠드라이브(2)가 구성된다. 모터(11)는 중앙에 차체 브라켓트(1)와 볼팅 결합할 수 있도록 볼트 가이드(미도시)가 있어서, 브라켓트(1)에 볼팅 결합을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작동에 관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직진 주행시에는 스티어링 신호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트레일링암 부시(3)가 높게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임팩트 충격에 대한 흡수 능력이 우수하여 승차감을 개선할 수 있게 한다.
선회 시에는, 와이어(7)에 의해 전달받은 스티어링 신호인 조향각에 따라서, 모터(11)를 구동하여 캠드라이브(2)를 비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트레일링암 부 쉬(3)의 위치를 하향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러한 지오메트리 변화는 선회시 후륜 외륜을 토우-인으로 유도하여 선회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CTBA에서 트레일링암 부쉬의 높이를 주행 조건에 따라서 조절하여, 직진 주행시에는 임팩트 충격에 대한 흡수 능력이 우수하여 승차감을 개선하고, 선회시에는 후륜 외륜을 토우-인으로 유도하여 선회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트레일링암 부쉬, 토션빔, 트레일링암을 구비하는 CTBA(Coupled Torsion Beam Axle)의 트레일링암 부쉬에 부착되는 CTBA 트레일링암 부쉬 높이 가변 장치로서,
    외주면이 상기 트레일링암 부쉬의 외주면과 당접하는 캠과 상기 캠에 장착되는 모터를 구비하는 캠드라이브, 및
    상기 트레일링암 부쉬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트레일링암 부쉬 이동 가이드 슬롯과, 상기 캠드라이브가 결합되는 캠드라이브 마운팅 홀을 구비하는 차체 브라켓트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는 스티어링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캠드라이브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트레일링암 부쉬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BA 트레일링암 부쉬 높이 가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신호는 휠의 조향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BA 트레일링암 부쉬 높이 가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향각에 따라서 캠드라이브가 비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직진 주행시 에는 상기 트레일링암 부쉬가 휠센타 상측에 위치되고, 선회시에는 상기 트레일링암 부쉬가 휠센타 하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BA 트레일링암 부쉬 높이 가변 장치.
KR1020060126730A 2006-12-13 2006-12-13 Ctba 트레일링암 부쉬 높이 가변 장치 KR100792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730A KR100792910B1 (ko) 2006-12-13 2006-12-13 Ctba 트레일링암 부쉬 높이 가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730A KR100792910B1 (ko) 2006-12-13 2006-12-13 Ctba 트레일링암 부쉬 높이 가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2910B1 true KR100792910B1 (ko) 2008-01-08

Family

ID=39217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6730A KR100792910B1 (ko) 2006-12-13 2006-12-13 Ctba 트레일링암 부쉬 높이 가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29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75011A1 (en) * 2013-06-21 2014-12-25 Hyunday Wia Corporation Rear suspension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onic vehicle
CN112895827A (zh) * 2021-03-31 2021-06-04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一种拖曳臂式四连杆悬架以及汽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9916A (ja) 1997-05-08 1998-11-24 Daihatsu Motor Co Ltd 車両の後輪懸架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9916A (ja) 1997-05-08 1998-11-24 Daihatsu Motor Co Ltd 車両の後輪懸架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75011A1 (en) * 2013-06-21 2014-12-25 Hyunday Wia Corporation Rear suspension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onic vehicle
US8998230B2 (en) * 2013-06-21 2015-04-07 Hyundai Wia Corporation Rear suspension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
CN112895827A (zh) * 2021-03-31 2021-06-04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一种拖曳臂式四连杆悬架以及汽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5484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EP1671877B1 (en) Vehicle
KR100792910B1 (ko) Ctba 트레일링암 부쉬 높이 가변 장치
KR100521217B1 (ko) 자동차의 프런트서스펜션 구조
KR100610110B1 (ko) 자동토우조절 기능을 갖는 서스펜션 시스템
JP5263323B2 (ja)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KR100953322B1 (ko)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현가장치
KR20130033208A (ko) 삼륜차량의 후륜서스펜션 장치
KR100901598B1 (ko) 소형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용 스핀들브라켓
KR100462243B1 (ko) 토션 빔 서스펜션
KR101189287B1 (ko) Ctba시스템의 마운트 포인트 이동장치
JP2000016042A (ja) リヤサスペンション構造
KR20130039558A (ko) 삼륜차량의 후륜서스펜션 구조
KR20090123629A (ko)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리어 현가장치
KR100957160B1 (ko) 커플드 토션 빔 액슬타입 현가장치
KR20190070563A (ko) 차량의 후륜 서스펜션
JP2007076379A (ja) 車両用操舵装置
KR101219564B1 (ko) 바퀴의 정렬을 변경할 수 있는 서스펜션 너클
JP2007131073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416516B1 (ko) 편심조절축을 이용한 자동차 현가장치의 캠버와 캐스터 조절장치
KR100452202B1 (ko) 소형자동차용 리어현가장치의 스핀들브라켓트
KR100599488B1 (ko) 듀얼 링크 현가장치
KR20230161136A (ko)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
KR101316406B1 (ko) 리어 서스펜션의 토우 조절장치
JP2007131074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