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9757B1 - 탈황설비의 덕트파이프 스케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탈황설비의 덕트파이프 스케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9757B1
KR100789757B1 KR1020070093559A KR20070093559A KR100789757B1 KR 100789757 B1 KR100789757 B1 KR 100789757B1 KR 1020070093559 A KR1020070093559 A KR 1020070093559A KR 20070093559 A KR20070093559 A KR 20070093559A KR 100789757 B1 KR100789757 B1 KR 100789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duct pipe
main body
bol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전모
김원용
Original Assignee
(주)지엔테크
이전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엔테크, 이전모 filed Critical (주)지엔테크
Priority to KR1020070093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97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9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9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B08B9/0328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by purging the pipe with a gas or a mixture of gas an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6Apparatus having rotary means, other than rotatable nozzles, for atomising the cleaning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0Sulfur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47/00Details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2247/08Means for controlling the separation proc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황설비의 덕트파이프 스케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탈황설비의 흡수탑에 설치되는 덕트파이프에 형성되는 스케일을 제거하도록 펌프장치와 풋밸브와 고압호스와 스틸파이프가 포함되며, 상기 스틸파이프에 연결되는 제1나사와 상기 제1나사에 연결되는 결합부와 제2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제1, 2나사의 내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흡입공을 구성한 흡입부와, 내측으로 상기 흡입부의 제2나사가 결합되는 제3나사를 형성한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에 연결되고, 외측으로 제4나사를 형성한 제2본체와 상기 제2본체에 연결되며 제1배출구를 형성한 제3본체와 상기 제3본체에 연결되는 제5나사와, 상기 제1, 2, 3본체의 내측으로 흐름공을 구성한 연결부와, 내측으로 상기 연결부의 제3본체가 삽입되는 제1유입공, 제2유입공, 제3유입공이 형성되고, 측면으로 일정간격 배열되는 제2배출구를 형성한 제4본체와 상기 제4본체의 제2배출구에 결합되며 분사구를 형성한 배출볼트를 구성한 회전분사부와, 상기 연결부의 제2본체가 삽입되는 제1결합홈과 제1볼트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볼트홈에 결합되는 제1볼트와, 상기 제2본체의 제4나사에 결합되는 너트를 구성한 조정부와, 상기 연결부의 제5나사가 결합되는 제6나사와 걸이홈을 형성한 제5본체와 상기 제5본체가 결합되는 제2결합홈과 제2볼트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볼트홈에 결합되는 제2볼트를 구성한 마감부로 이루어진 탈황설비의 덕트파이프 스케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압펌프와 연결된 고압호스에서 분사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회전 분사부가 회전되면서, 덕트파이프의 내부에서 물이 회전되어 분사됨으로써, 상기 덕트파이프 내측에 형성된 스케일을 휘감으면서 제거시켜 상기 덕트파이프 내측에 형성된 스케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덕트파이프 내측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해 물의 압력을 높이지 않아도 되어, 높은 압력에 의해 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덕트파이프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으며, 상기 덕트파이프의 파손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을 줄이고, 덕트파이프 내측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시간 감축에 따른 작업효율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탈황설비, 흡수탑, 노즐, 스케일, 덕트파이프

Description

탈황설비의 덕트파이프 스케일 제거장치 { Apparatus for removing scale duct pipe of desulfurization}
본 발명은 탈황설비의 덕트파이프 스케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흡수탑에 설치된 덕트파이프 내부에 석고 등의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해 물을 분사시킬 때, 물이 회전되면서 분사되어 덕트파이프 내부에 형성되는 스케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탈황설비의 덕트파이프 스케일 제거장치에 관하 관한 것이다.
탈황설비의 덕트파이프(1)는 화력발전소에 설치되는 흡수탑(4)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화력발전에 필요한 화석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냉각과 습포화를 거쳐 흡수탑(4 : 상부흡수탑(3)과 하부흡수탑(2)으로 분리됨)의 하부흡수탑(2)에 형성된 덕트파이프(1)로 유입되게 되는데, 이때, 덕트파이프(1)로 유입되는 연소가스가 산화공기와 만나서 이산화황 흡수반응에 의해 흡수탑(4)에서 생산된 석회석과 반응하여 석고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덕트파이프(1)의 내부에는 석고 등과 같은 스케일이 형성되어, 덕트파이프(1)로 유입되는 연소가스의 흐름을 원활하게 흐르지 못하게 하여 탈황설비의 흡수탑(4)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그래서, 도 1에 도시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 - 309272호와 같이 흡수탑(4)에 설치되는 덕트파이프(1)의 내부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작업자가 흡수탑(4)에 들어가, 고압펌프(7)와 연결된 고압호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 물을 분사시켜 덕트파이프(1)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시키거나, 상기 흡수탑(4) 내부에 노즐(5)과 배관(6)과 펌프(7)와 밸브(8) 등을 설치한 후, 상기 배관(6)으로 세정액(9)을 흘려보내 덕트파이프(1)의 내부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시켰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고압펌프와 연결된 고압호스에서 물을 분사시켜 흡수탑에 설치된 덕트파이프의 내부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고압펌프와 연결된 고압호스에서 분사되는 물이 직선으로만 분사되기 때문에, 덕트파이프의 내부에 형성된 스케일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작업자는 고압펌프와 연결된 고압호스에서 분사되는 물의 압력을 증가시켜 덕트파이프의 내부에 잔존하는 스케일을 제거하였으나 상기와 같이 물의 압력을 증가시키게 되면, 고정각도로 형성된 노즐에서 분사되는 높은 압력의 물이 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덕트파이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어 상기 덕트파이프의 파손을 발생시켜, 파손된 덕트파이프를 전체적으로 교체하면서 발생되는 엄청난 양의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과 상기 파손된 덕트파이프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비용과 덕트파이프를 유지보수하기 위한 유지보수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흡수탑의 내부에 덕트파이프를 세척하기 위한 노즐과 펌프, 배관 등을 따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노즐과 펌프, 배관 등을 설치하기 위한 구축비용이 소모됨은 물론, 상기 배관에서 배출되는 세정액이 분사되어 덕트파이프를 세척시킬 때, 덕트파이프의 위치에 맞게 작업자가 배관의 위치를 일일이 조정해야 했기 때문에, 그로 인한 작업시간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관에서 분사되는 세정액이 중력방향으로만 분사되기 때문에, 덕트파이프의 내부에 형성된 스케일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해, 흡수탑의 성능을 저하시키 는 문제점이 있었다.
탈황설비의 흡수탑에 설치되는 덕트파이프에 형성되는 스케일을 제거하도록 펌프장치와 풋밸브와 고압호스와 스틸파이프가 포함되며, 상기 스틸파이프에 연결되는 제1나사와 상기 제1나사에 연결되는 결합부와 제2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제1, 2나사의 내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흡입공을 구성한 흡입부와, 내측으로 상기 흡입부의 제2나사가 결합되는 제3나사를 형성한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에 연결되고, 외측으로 제4나사를 형성한 제2본체와 상기 제2본체에 연결되며 제1배출구를 형성한 제3본체와 상기 제3본체에 연결되는 제5나사와, 상기 제1, 2, 3본체의 내측으로 흐름공을 구성한 연결부와, 내측으로 상기 연결부의 제3본체가 삽입되는 제1유입공, 제2유입공, 제3유입공이 형성되고, 측면으로 일정간격 배열되는 제2배출구를 형성한 제4본체와 상기 제4본체의 제2배출구에 결합되며 분사구를 형성한 배출볼트를 구성한 회전분사부와, 상기 연결부의 제2본체가 삽입되는 제1결합홈과 제1볼트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볼트홈에 결합되는 제1볼트와, 상기 제2본체의 제4나사에 결합되는 너트를 구성한 조정부와, 상기 연결부의 제5나사가 결합되는 제6나사와 걸이홈을 형성한 제5본체와 상기 제5본체가 결합되는 제2결합홈과 제2볼트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볼트홈에 결합되는 제2볼트를 구성한 마감부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탈황설비의 덕트파이프 스케일 제거장치는 고압펌프와 연결된 고압호스에서 분사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회전분사부가 회전되면서, 덕트파이프의 내부에서 물이 회전되어 분사됨으로써, 상기 덕트파이프 내측에 형성된 스케일을 휘감으면서 제거시켜 상기 덕트파이프 내측에 형성된 스케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덕트파이프 내측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해 물의 압력을 높이지 않아도 되어, 높은 압력에 의해 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덕트파이프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으며, 상기 덕트파이프의 파손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을 줄이고, 덕트파이프 내측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시간 감축에 따른 작업효율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덕트파이프의 형성된 스케일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상기 덕트파이프로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상기 덕트파이프가 설치된 흡수탑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탈황설비의 덕트파이프 스케일 제거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탈황설비의 덕트파이프 스케일 제거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10)와, 연결부(20)와, 회전분사부(30)와, 조정부(40)와, 마감부(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흡입부(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틸파이프(도면에 도 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제1나사(11)와 상기 제1나사(11)에 연결되는 결합부(12)와 제2나사(13)를 형성하고, 상기 제1, 2나사(11, 13)의 내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흡입공(14)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상기 흡입부(10)의 제2나사(13)가 결합되는 제3나사(21)를 형성한 제1본체(22)와 상기 제1본체(22)에 연결되고, 외측으로 제4나사(23)를 형성한 제2본체(24)와, 상기 제2본체(24)에 연결되며 제1배출구(25)를 형성한 제3본체(26)와, 상기 제3본체(26)에 연결되는 제5나사(27)와, 상기 제1, 2, 3본체(22, 24, 26)의 내측으로 형성된 흐름공(28)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흡입부(10)의 흡입공(14)의 크기(d1)와 연결부(20)의 흐름공(28)의 크기(d2)는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펌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서 분사되는 물의 수압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 흡입부(10)의 흡입공(14)과 연결부(20)의 흐름공(28)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연결부(20)의 제3본체(26)에 형성된 제1배출구(25)는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펌프에서 분사되는 물의 압력을 높이기 위해서 2개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분사부(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상기 연결부(20)의 제3본체(26)가 삽입되는 제1유입공(31), 제2유입공(32), 제3유입공(33)이 형성되고, 측면으로 일정간격 배열되는 제2배출구(34)를 형성한 제4본체(35)와 상기 제4본체(35)의 제2배출구(34)에 결합되며 분사구(36)를 형성한 배출볼트(37)를 구성한다.
여기서, 다양한 개수로 형성되는 제2배출구(34)에 결합되는 배출볼트(37)는 제2배출구(34)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분사부(30)의 제2배출구(34)에 결합되는 배출볼트(37)에 형성된 분사구(36)는 엇갈리게 형성되도록 교차배열되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배출볼트(37)에 형성된 분사구(36)를 교차배열함으로써, 제2배출구(34)를 통해 분사구(36)로 배출되는 수압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4본체(35)에 형성된 제2유입공(32)의 크기(d3)는 제1, 3(31, 33)유입공의 크기(d4)보다 크게 형성시킴으로써, 제2배출구(34)로 배출되는 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덧붙여, 상기 회전분사부(30)의 배출볼트(37)에 형성된 분사구(36)의 크기(d5)는 연결부(20)의 제1배출구(25)의 크기(d6)와 회전분사부(30)의 제2배출구(34)의 크기(d6)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제1, 2배출구(25, 34)에서 분사구(26)로 배출되는 물의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정부(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20)의 제2본체(24)가 삽입되는 제1결합홈(41)과 제1볼트홈(42)을 형성하고, 상기 제1볼트홈(42)에 결합되는 제1볼트(43)와, 상기 제2본체(24)의 제4나사(23)에 결합되는 너트(44)를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마감부(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20)의 제5나사(27)가 결합되는 제6나사(51)와 걸이홈(52)을 형성한 제5본체(53)와 상기 제5 본체(53)가 결합되는 제2결합홈(54)과 제2볼트홈(55)을 형성하고, 상기 제2볼트홈(55)에 결합되는 제2볼트(56)를 구성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펌프장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작업자가 고압호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연결한 후, 상기 고압호스에 풋밸브(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고압호스를 연결한다.
그런 후, 일측이 상기 풋밸브와 연결된 고압호스의 타측으로 스틸파이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연결한다.
그리고, 연결부(20)의 제2본체(24)에 조정부(40)를 결합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조정부(40)에 형성된 제1결합홈(41)에 연결부(20)의 제2본체(24)가 삽입되도록 한 뒤, 조정부(40)의 제1볼트홈(42)에 제1볼트(43)를 삽입하고, 연결부(20)의 제2본체(24)에 형성된 제4나사(23)에 너트(44)를 결합하여 조정부(40)를 연결부(20)에 고정결합시킨다.
그런 후, 연결부(20)의 제1본체(22)에 형성된 제3나사(21)에 상기 흡입부(10)의 제2나사(13)를 삽입하고, 흡입부(10)의 제1나사(11)를 상기 일측이 고압호스에 연결된 스틸파이프의 타측으로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연결부(20)의 제3본체(26)에 회전분사부(30)를 결합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회전분사부(30)의 제4본체(35)에 형성된 제1, 2, 3유입공(31, 32 ,33)으로 연결부(20)의 제3본체(26)를 삽입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20)의 제1배출구(25)가 회전분사부(30)의 제4본체(35) 에 형성된 제2배출구(34)와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제2배출구(34)에 분사구(36)가 형성된 배출볼트(37)를 삽입한다.
한편, 상기 연결부(20)의 제5나사(27)에 마감부(50)의 제5본체(53)에 형성된 제6나사(51)를 이용하여 연결부(20)와 마감부(50)의 제5본체(53)를 결합한다.
그런 후, 상기 제5본체(53)를 제2결합홈(54)에 삽입하고, 제2볼트홈(55)에 제2볼트(56)를 삽입하여, 상기 연결부(20)와 마감부(50)를 고정결합시킨다.
그리고, 펌프장치에 전원을 인가하고, 작업자가 풋밸브를 작동시키게 되면, 펌프장치의 작동에 의해 펌프장치로 유입되는 물이 펌프장치에서 고압호스와 풋밸브를 거쳐 다시 고압호스에서 스틸파이프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펌프장치에서 유입되어 스틸파이프로 흐르던 물이 상기 스틸파이프에서 흡입부(10)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흡입부(10)에 형성된 흡입공(14)으로 물이 흐르면서, 연결부(20)의 제1, 2, 3본체(22, 24, 26) 내측에 형성된 흐름공(28)으로 물이 흐르게 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부(10)의 흡입공(14)과 연결부(20)의 흐름공(28)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 압력호스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러면, 상기 제3본체(26)에 형성된 제1배출구(25)를 통해 물이 분사되면서, 상기 회전분사부(30)의 제4본체(35)에 형성된 제2배출구(34)에 결합되는 배출볼트(37)에 형성된 분사구(36)로 물이 분사되게 되면, 작업자가 덕트파이프의 내부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20)의 제3본체(26)에 형성된 제1배출구(25)에서 배출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상기 회전분사부(30)가 회전되어 회전분사부(30)에 형성된 배출볼트(37)의 분사구(36)를 통해 물이 회전되면서 분사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회전분사부(30)의 제4본체(35)에 형성된 제2유입공(32)은 제1, 3유입공(31, 33)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연결부(20)의 제3본체(26)에 형성된 제1배출구(25)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제2배출구(34)로 용이하게 배출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분사부(30)의 제2배출구(34)에 결합되는 배출볼트(37)에 형성된 분사구(36)는 연결부(20)의 제1배출구(25)와 회전분사부(30)의 제2배출구(34)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 2배출구(25, 34)를 통해 분사구(26)로 분사되는 물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고, 또한, 제1배출구(25)를 통해 회전분사부(30)로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상기 회전분사부(30)가 회전되면서 상기 배출볼트(37)의 분사구(36)를 통해 회전분사부(30)의 외부로 배출되는 물이 회전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덕트파이프에 형성된 스케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덕트파이프의 내측에 형성된 스케일의 제거작업이 마무리가 되면, 상기 마감부(50)에 형성된 걸이홈(52)을 이용하여 일정한 장소에 걸어둠으로써, 탈황설비의 덕트파이프 스케일 제거장치(100)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 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탈황설비의 덕트파이프 스케일 제거장치를 도시한 간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탈황설비의 덕트파이프 스케일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탈황설비의 덕트파이프 스케일 제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흡입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연결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의 a는 본 발명의 회전분사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의 b는 본 발명의 회전분사부의 제4본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조정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마감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흡입부 11 : 제1나사
12 : 결합부 13 : 제2나사
14 : 흡입공 20 : 연결부
21 : 제3나사 22 : 제1본체
23 : 제4나사 24 : 제2본체
25 : 제1배출구 26 : 제3본체
27 : 제5나사 28 : 흐름공
30 : 회전분사부 31 : 제1유입공
32 : 제2유입공 33 : 제3유입공
34 : 제2배출구 35 : 제4본체
36 : 분사구 37 : 배출볼트
40 : 조정부 41 : 제1결합홈
42 : 제1볼트홈 43 : 제1볼트
44 : 너트 50 : 마감부
51 : 제6나사 52 : 걸이홈
53 : 제5본체 54 : 제2결합홈
55 : 제2볼트홈 56 : 제2볼트
100 : 탈황설비의 덕트파이프 스케일 제거장치

Claims (7)

  1. 탈황설비의 흡수탑에 설치되는 덕트파이프에 형성되는 스케일을 제거하도록 펌프장치와 풋밸브와 고압호스와 스틸파이프가 포함되어 형성된 탈황설비의 덕트파이프 스케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틸파이프에 연결되는 제1나사(11)와 상기 제1나사(11)에 연결되는 결합부(12)와 제2나사(13)를 형성하고, 상기 제1, 2나사(11, 13)의 내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흡입공(14)을 구성한 흡입부(10);
    내측으로 상기 흡입부(10)의 제2나사(13)가 결합되는 제3나사(21)를 형성한 제1본체(22)와 상기 제1본체(22)에 연결되고, 외측으로 제4나사(23)를 형성한 제2본체(24)와 상기 제2본체(24)에 연결되며 제1배출구(25)를 형성한 제3본체(26)와 상기 제3본체(26)에 연결되는 제5나사(27)와 상기 제1, 2, 3본체(22, 24, 26)의 내측으로 흐름공(28)을 구성한 연결부(20);
    내측으로 상기 연결부(20)의 제3본체(26)가 삽입되는 제1유입공(31), 제2유입공(32), 제3유입공(33)이 형성되고, 측면으로 일정간격 배열되는 제2배출구(34)를 형성한 제4본체(35)와 상기 제4본체(35)의 제2배출구(34)에 결합되며 분사구(36)를 형성한 배출볼트(37)를 구성한 회전분사부(30);
    상기 연결부(20)의 제2본체(24)가 삽입되는 제1결합홈(41)과 제1볼트홈(42)을 형성하고, 상기 제1볼트홈(42)에 결합되는 제1볼트(43)와, 상기 제2본체(24)의 제4나사(23)에 결합되는 너트(44)를 구성한 조정부(40);
    상기 연결부(20)의 제5나사(27)가 결합되는 제6나사(51)와 걸이홈(52)을 형성한 제5본체(53)와 상시 제5본체(53)가 결합되는 제2결합홈(54)과 제2볼트홈(55)을 형성하고, 상기 제2볼트홈(55)에 결합되는 제2볼트(56)를 구성한 마감부(5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탈황설비의 덕트파이프 스케일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10)의 흡입공(14)의 크기(d1)와 연결부(20)의 흐름공(28)의 크기(d2)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탈황설비의 덕트파이프 스케일 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0)에 형성된 제1배출구(25)는 2개소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탈황설비의 덕트파이프 스케일 제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분사부(30)의 제2배출구(34)에 결합되는 배출볼트(37)는 제2배출구(34)와 동일한 개소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탈황설비의 덕트파이프 스케일 제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분사부(30)의 배출볼트(37)에 형성된 분사구(36)는 교차배열되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탈황설비의 덕트파이프 스케일 제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분사부(30)의 제4본체(35)에 형성된 제2유입공(32)의 크기(d3)는 제1, 3유입공(31, 33)의 크기(d4)보다 크게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탈황설비의 덕트파이프 스케일 제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분사부(30)의 배출볼트(37)에 형성된 분사구(36)의 크기(d5)는 연결부(20)의 제1배출구(25)와 회전분사부(30)의 제2배출구(34)의 크기(d6)보다 작게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탈황설비의 덕트파이프 스케일 제거장치.
KR1020070093559A 2007-09-14 2007-09-14 탈황설비의 덕트파이프 스케일 제거장치 KR100789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559A KR100789757B1 (ko) 2007-09-14 2007-09-14 탈황설비의 덕트파이프 스케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559A KR100789757B1 (ko) 2007-09-14 2007-09-14 탈황설비의 덕트파이프 스케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9757B1 true KR100789757B1 (ko) 2008-01-03

Family

ID=39216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559A KR100789757B1 (ko) 2007-09-14 2007-09-14 탈황설비의 덕트파이프 스케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97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667B1 (ko) 2015-08-19 2017-08-29 한국중부발전(주) 이너 슬리브를 구비하는 탈황 흡수탑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375Y1 (ko) 2000-03-30 2000-08-16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가스조절기 피스톤의 고착방지장치
KR200309272Y1 (ko) 2002-12-11 2003-03-31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탈황 설비의 덕트 파이프 세정 장치
KR100488368B1 (ko) 2003-02-04 2005-05-11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탈황설비의 가스가스히터 플러깅 해소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375Y1 (ko) 2000-03-30 2000-08-16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가스조절기 피스톤의 고착방지장치
KR200309272Y1 (ko) 2002-12-11 2003-03-31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탈황 설비의 덕트 파이프 세정 장치
KR100488368B1 (ko) 2003-02-04 2005-05-11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탈황설비의 가스가스히터 플러깅 해소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667B1 (ko) 2015-08-19 2017-08-29 한국중부발전(주) 이너 슬리브를 구비하는 탈황 흡수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9757B1 (ko) 탈황설비의 덕트파이프 스케일 제거장치
CN110787568A (zh) 一种气动滚流水洗塔中的喷淋机构
CN207445794U (zh) 一种节能环保水幕式除尘器
CN201871504U (zh) 冷却塔的自动清洗装置
CN101890285B (zh) 烟气脱硫塔除雾器旋转清洗装置
JP5495997B2 (ja) ハウスの排液、排水等の回収システムと、その切換えバルブの構造
CN211100814U (zh) 一种冷轧钢管内壁的自动清洗装置
CN211585795U (zh) 一种用于烟尘净化的喷淋装置
CN205517108U (zh) 一种脱硫塔用可抽出清洗式多方向喷淋装置
CN204902070U (zh) 降温-杀菌一体式蒸发冷气机
CN203591640U (zh) 脱硫浆液循环泵入口可在线清理过滤装置
CN201534120U (zh) 回旋喷枪头
CN111496698A (zh) 一种半导体晶片喷砂加工除尘装置
CN205833706U (zh) 一种机具维护用喷气式清理装置
CN220215437U (zh) 可外部装拆的喷淋装置
CN206141512U (zh) 一种落地式轨道洗车机
CN205586778U (zh) 一种环保可循环利用的脱硫除尘塔
CN215388634U (zh) 一种鼓泡塔烟气脱硫喷淋塔喷淋装置
CN104179223A (zh) 一种水箱的自动清洁系统
CN212843137U (zh) 一种冷却塔内部配水结构
CN220405123U (zh) 一种复合式油烟净化器
CN220677214U (zh) 建筑施工除尘装置
CN220677219U (zh) 一种废气处理全方位喷淋设备
CN217961892U (zh) 生物质锅炉烟气除尘、脱硝一体化装置
CN210131897U (zh) 一种空气冷却器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