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667B1 - 이너 슬리브를 구비하는 탈황 흡수탑 - Google Patents

이너 슬리브를 구비하는 탈황 흡수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667B1
KR101772667B1 KR1020150116440A KR20150116440A KR101772667B1 KR 101772667 B1 KR101772667 B1 KR 101772667B1 KR 1020150116440 A KR1020150116440 A KR 1020150116440A KR 20150116440 A KR20150116440 A KR 20150116440A KR 101772667 B1 KR101772667 B1 KR 101772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sleeve
duct pipe
absorption tower
desulfurization absorption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2009A (ko
Inventor
유희상
이규욱
최윤성
Original Assignee
한국중부발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중부발전(주) filed Critical 한국중부발전(주)
Priority to KR1020150116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667B1/ko
Publication of KR20170022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56Removing acid components
    • B01D53/1481Removing sulfur dioxide or sulfur tr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0Sulfur oxides
    • B01D53/507Sulfur oxides by treating the gases with other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0Semi-solid phase processes, i.e. by using slur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4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using washing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황 흡수탑에서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덕트 파이프의 내측으로 교체가 가능한 이너 슬리브를 설치하여 내부에 스케일이 고착되어 축적이 되더라도 간단하게 교체하여 탈황 흡수탑의 유지보수의 용이 및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탈황 흡수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탈황 흡수탑의 내부에 구비되는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복수의 덕트 파이프(2)를 구비하는 탈황 흡수탑에 있어서, 덕트 파이프(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되, 탈착이 가능한 이너 슬리브(10)와; 이너 슬리브(10)를 덕트 파이프(2)에 고정하는 결합수단(20)을 포함하되, 이너 슬리브(10)는 덕트 파이프(2)와 동일한 형상인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11)와; 몸체(11)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스토퍼(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너 슬리브를 구비하는 탈황 흡수탑{FGD System Absorber having inner sleeve}
본 발명은 이너 슬리브를 구비하는 탈황 흡수탑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탈황 흡수탑에서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덕트 파이프의 내측으로 교체가 가능한 이너 슬리브를 설치하여 내부에 스케일이 고착되어 축적이 되더라도 간단하게 교체하여 탈황 흡수탑의 유지보수의 용이 및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탈황 흡수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연탈황 시스템은 보일러 배기가스를 흡수탑으로 이송하여 석회석 슬러리로 세정 및 석회석 슬러리에 침투시켜 화학반응으로 배기 가스 중 SO2를 제거하는 설비이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는 흡수탑 상부에서 가스 강하관인 덕트 파이프(Duct Pipe;가스 강하관)를 통하여 하부의 석회석 슬러리조로 이동한다. 이때 배기가스 뿐만 아니라 1차 탈황 반응을 위해서 배기가스에 분사된 석고슬러리도 함께 덕트 파이프를 통하여 하부 석회석 슬러리 반응조로 이동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파이프를 통하여 배기가스와 석고슬러리 혼합물이 이동할 때 덕트 파이프 내부에 슬러리가 고착하면 경질 스케일이 형성되고 결국 슬러리가 성장하면서 덕트 파이프 막힘현상을 초래하게 된다. 일단 한번 형성된 경질 스케일은 강도가 높아 제거가 불가능하여 탈황설비를 정지한 후에 덕트 파이프 자체를 교체해야 한다. 또한, 석고슬러리의 흐름으로 덕트파이프 내면이 마모되어 파손되게 된다.
이에 따라 덕트 파이프를 교체하는데 드는 비용 및 작업공수가 많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이며, 특히, 덕트 파이프 교체 시 작업환경이 매우 열악하며, 중량물을 취급하여야 되므로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1226386호
본 발명의 목적은 탈황 흡수탑에서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덕트 파이프의 내측으로 교체가 가능한 이너 슬리브를 설치하여 내부에 스케일이 고착되어 축적이 되더라도 간단하게 교체하여 탈황 흡수탑의 유지보수의 용이 및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탈황 흡수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탈황 흡수탑의 내부에 구비되는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복수의 덕트 파이프(2)를 구비하는 탈황 흡수탑(1)에 있어서, 덕트 파이프(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되, 탈착이 가능한 이너 슬리브(10)와; 이너 슬리브(10)를 덕트 파이프(2)에 고정하는 결합수단(20);을 포함하되, 이너 슬리브(10)는 덕트 파이프(2)와 동일한 형상인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11)와; 몸체(11)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스토퍼(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몸체(11)의 길이는 덕트 파이프(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몸체(11)는 덕트 파이프(2)에서 용이하게 인출입할 수 있도록 덕트 파이프(2)의 내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스토퍼(12)는 몸체(11)의 단부가 외측으로 'ㄱ' 형상으로 꺾어서 형성되는 것
바람직하게, 스토퍼(12)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결합수단(20)은 덕트 파이프(2)의 입구 측부에서 돌출되어 이너 슬리브(10)의 스토퍼(12)에 형성된 결합공(13)을 관통하는 볼트부(21)와, 볼트부(21)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스토퍼(12)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결합수단(20)은 덕트 파이프(2) 입구의 측부에 너트홀(23)이 형성되고, 이너 슬리브(10)의 스토퍼(12)에 형성된 결합공(13)을 관통하여 너트홀(23)에 체결되는 볼트부(2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이너 슬리브(10)는 몸체(11)의 외측에 삽입홈(14)이 형성되고, 삽입홈(14)에는 밀폐링(15)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너 슬리브를 구비하는 탈황 흡수탑에 의하면, 이너 슬리브가 덕트 파이프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어 스케일이 이너 슬리브에 고착되며, 소정 시간 경과 한 후 이너 슬리브만 교체하면 되므로 탈황 흡수탑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과 같이 스케일 때문에 덕트 파이프 전체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 공수의 감소 및 유지보수 비용이 감소되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탈황 흡수탑의 개략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덕트 파이프의 내측면에 생성된 스케일의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황 흡수탑의 덕트 파이프에 체결되는 이너 슬리브의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너 슬리브가 덕트 파이프에 삽입된 탈황 흡수탑의 개략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이너 슬리브를 구비하는 탈황 흡수탑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설명하기에 앞서 탈황 흡수탑(1)은 발전소 등에 설치되어 연료의 연소 후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탈황 및 탈질을 위한 설비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너 슬리브를 구비하는 탈황 흡수탑은 탈황 흡수탑(1)의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덕트 파이프(2)의 내측에 착탈식으로 삽입되는 이너 슬리브(10)와 이너 슬리브(10)를 덕트 파이프(2)에 고정하는 결합수단(20)으로 이루어진다.
이너 슬리브(10)는 몸체(11)와, 스토퍼(12) 및 결합공(13)을 포함한다.
몸체(11)는 덕트 파이프(2)와 동일한 형상인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몸체(11)의 길이는 덕트 파이프(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덕트 파이프(2)의 상부에 주로 스케일이 고착되기 때문에 몸체(11)는 덕트 파이프(2)의 중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몸체(11)는 덕트 파이프(2)에서 용이하게 인출입할 수 있도록 덕트 파이프(2)의 내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덕트 파이프(2)의 내경은 약 250mm로 구성되며, 몸체(11)의 외경을 약 200mm로 하여 덕트 파이프(2)와 몸체(11)를 서로 이격시켜 몸체(11)의 탈착시 인출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스토퍼(12)는 몸체(11)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다. 스토퍼(12)는 몸체(11)의 단부가 외측으로 'ㄱ' 형상으로 꺾어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공(13)은 몸체(11)를 덕트 파이프(2)에 체결하도록 결합수단(20)으로 사용되는 볼트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2개 이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이너 슬리브(10)는 몸체(11)의 외측에 삽입홈(14)이 형성되고, 삽입홈(14)에는 밀폐링(15)이 장착된다. 이러한 밀폐링(15)에 의해서 덕트 파이프(2)의 내측에 위치하는 이너 슬리브(10)의 몸체(11)의 외경과 덕트 파이프(2)의 내경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배기가스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너 슬리브(10)는 스토퍼(12)의 전면에 손잡이(16)가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16)를 이용하여 이너 슬리브(10)의 장착시에 결합수단(20)으로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스토퍼(12)를 이동시킬 수 있고, 이너 슬리브(10)를 제거하는 경우에도 손잡이(16)에 기구들을 장착할 수 있어 스케일로 무거워진 이너 슬리브(10)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결합수단(20)은 이너 슬리브(10)를 덕트 파이프(2)에 결합시킨다. 이러한 결합수단(2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파이프(2)의 입구 측부에서 돌출되어 이너 슬리브(10)의 스토퍼(12)에 형성된 결합공(13)을 관통하는 볼트부(21)와, 볼트부(21)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22)로 이루어거나 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파이프(2) 입구의 측부에 너트홀(23)이 형성되고, 이너 슬리브(10)의 스토퍼(12)에 형성된 결합공(13)을 관통하여 너트홀(23)에 체결되는 볼트부(2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합수단(20)에 의해서 이너 슬리브(10)의 스토퍼(12)를 덕트 파이프(2)의 입구 측부에 고정하여 덕트 파이프(2)에 이너 슬리브(10)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이너 슬리브를 구비하는 탈황 흡수탑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탈황 흡수탑(1)에 구비되는 각각의 덕트 파이프(2)의 입구측 내부로 이너 슬리브(10)를 삽입하고, 결합수단(20)을 이용하여 결합한다. 이때, 이너 슬리브(10)는 몸체(11)의 외측에 밀폐링(15)이 장착되면 이너 슬리브(10)의 몸체(11)의 외경과 덕트 파이프(2)의 내경 사이에 공간으로 배기가스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발전소 운용에 따른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덕트 파이프(2)의 내부로 배기가스가 유입되면 이너 슬리브(10)의 내면으로 스케일이 고착되면서 시간이 지날수록 축적된다.
이후 배기가스가 통과되지 못할 정도로 스케일이 쌓이게 되면, 작업자는 이너 슬리브(10)를 덕트 파이프(2)에 체결하는 결합수단(20)을 제거하고 이너 슬리브(10)를 덕트 파이프(2)에서 분리한다. 그리고, 새로운 이너 슬리브(10)를 덕트 파이프(2)로 삽입하면서 결합수단(20)으로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이너 슬리브(10)에 의해서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덕트 파이프(2)의 내측면 상에는 스케일 고착되지 않아 덕트 파이프(2)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탈황 흡수탑(1)의 유지보수 비용이 감소되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이너 슬리브를 구비하는 탈황 흡수탑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탈황 흡수탑 2 : 덕트 파이프
10 : 이너 슬리브 11 : 몸체
12 : 스토퍼 13 : 결합공
14 : 삽입홈 15 : 밀폐링
16 : 손잡이 20 : 결합수단
21 : 볼트부 22 : 너트부
23 : 너트홀 24 : 볼트부

Claims (9)

  1. 탈황 흡수탑의 내부에 구비되는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복수의 덕트 파이프(2)를 구비하는 탈황 흡수탑에 있어서,
    덕트 파이프(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되, 탈착이 가능한 이너 슬리브(10)와; 이너 슬리브(10)를 덕트 파이프(2)에 고정하는 결합수단(20)을 포함하되,
    이너 슬리브(10)는 덕트 파이프(2)와 동일한 형상인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11)와; 몸체(11)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스토퍼(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 슬리브를 구비하는 탈황 흡수탑.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11)의 길이는 덕트 파이프(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 슬리브를 구비하는 탈황 흡수탑.
  4.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11)는 덕트 파이프(2)에서 용이하게 인출입할 수 있도록 덕트 파이프(2)의 내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 슬리브를 구비하는 탈황 흡수탑.
  5.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토퍼(12)는 몸체(11)의 단부가 외측으로 'ㄱ' 형상으로 꺾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 슬리브를 구비하는 탈황 흡수탑.
  6.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토퍼(12)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결합수단(20)은 덕트 파이프(2)의 입구 측부에서 돌출되어 이너 슬리브(10)의 스토퍼(12)에 형성된 결합공(13)을 관통하는 볼트부(21)와, 볼트부(21)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 슬리브를 구비하는 탈황 흡수탑.
  7.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토퍼(12)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결합수단(20)은 덕트 파이프(2) 입구의 측부에 너트홀(23)이 형성되고, 이너 슬리브(10)의 스토퍼(12)에 형성된 결합공(13)을 관통하여 너트홀(23)에 체결되는 볼트부(2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 슬리브를 구비하는 탈황 흡수탑.
  8.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너 슬리브(10)는 몸체(11)의 외측에 삽입홈(14)이 형성되고, 삽입홈(14)에는 밀폐링(15)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 슬리브를 구비하는 탈황 흡수탑.
  9.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너 슬리브(10)는 스토퍼(12)의 전면에 손잡이(16)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 슬리브를 구비하는 탈황 흡수탑.
KR1020150116440A 2015-08-19 2015-08-19 이너 슬리브를 구비하는 탈황 흡수탑 KR101772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440A KR101772667B1 (ko) 2015-08-19 2015-08-19 이너 슬리브를 구비하는 탈황 흡수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440A KR101772667B1 (ko) 2015-08-19 2015-08-19 이너 슬리브를 구비하는 탈황 흡수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009A KR20170022009A (ko) 2017-03-02
KR101772667B1 true KR101772667B1 (ko) 2017-08-29

Family

ID=58427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440A KR101772667B1 (ko) 2015-08-19 2015-08-19 이너 슬리브를 구비하는 탈황 흡수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6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5022A (zh) * 2020-06-04 2020-08-18 深圳前海巨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脱硫塔及其脱硫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757B1 (ko) 2007-09-14 2008-01-03 (주)지엔테크 탈황설비의 덕트파이프 스케일 제거장치
US20110017395A1 (en) * 2009-07-21 2011-01-27 Joseph Loyd Vandiver Composite resin til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386B1 (ko) 2010-10-26 2013-01-2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발전소 보일러 배가스의 건식 탈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757B1 (ko) 2007-09-14 2008-01-03 (주)지엔테크 탈황설비의 덕트파이프 스케일 제거장치
US20110017395A1 (en) * 2009-07-21 2011-01-27 Joseph Loyd Vandiver Composite resin til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009A (ko)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79397A (zh) 卡台式连接件
KR101772667B1 (ko) 이너 슬리브를 구비하는 탈황 흡수탑
CN204152190U (zh) 一种碗扣式脚手架的可伸缩横杆
CN203685145U (zh) 一种用于射孔枪的丢枪装置
RU98220U1 (ru) Пружинный центратор и его фиксатор на обсадной трубе
CN203927204U (zh) 一种用于凿岩机的气管接头
CN209801161U (zh) 一种便于更换的合金催化防垢防蜡芯片装置
CN103498848B (zh) 快速安装螺栓
CN203769083U (zh) 钢管固定器
TWI706805B (zh) 噴管及脫硫裝置
CN202810655U (zh) 套管灌浆工具
CN201902233U (zh) 煤矿用探放水装置
CN206458320U (zh) 上向反井钻机扩孔钻头与导向钻头安装装置
CN101474465A (zh) 槽式机械接头消防栓及其与进水管的连接方法
CN205777460U (zh) 一种可拆卸脚手架连接件
CN205388187U (zh) 一种建筑预埋管推进装置
CN204299166U (zh) 一种竖向对接管套
CN203245527U (zh) 一种化工容器用尼龙橡胶复合自锁紧导引头
CN203821820U (zh) 钢管扣
CN204477592U (zh) 一种铸铁管修补件
CN103206231A (zh) 煤矿炮掘工作面护帮装置
RU123019U1 (ru) Инъектор для струйной цементации грунта
CN202674065U (zh) 一种管柱与轴承的铆接结构
CN208396277U (zh) 新型机械连接式连墙件装置
CN210278601U (zh) 一种煤矿井下风管使用铁锈清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