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9006B1 - 일체식 제쇄기를 갖는 활주 슈 페어리드 - Google Patents

일체식 제쇄기를 갖는 활주 슈 페어리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9006B1
KR100789006B1 KR1020010022845A KR20010022845A KR100789006B1 KR 100789006 B1 KR100789006 B1 KR 100789006B1 KR 1020010022845 A KR1020010022845 A KR 1020010022845A KR 20010022845 A KR20010022845 A KR 20010022845A KR 100789006 B1 KR100789006 B1 KR 100789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slide
fairlead
link
cru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2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8923A (ko
Inventor
시링너트티.
Original Assignee
마리타임 푸스네스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리타임 푸스네스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마리타임 푸스네스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010098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8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9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9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63B21/10Fairl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8Stoppers for anch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weld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계류 체인용 보유 및 안내 장치는 수직 축(5)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페어리드 상부의 활주 궤도(4) 위에 장착된 일체식 제쇄기(2; chain stopper)를 갖는다. 활주 궤도(4)는 체인의 직립 링크(9)용 공간을 구비하는 종방향 슬롯(11)을 갖고, 체인이 로딩될 때 굽힘 모멘트가 발생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체인의 수평 링크(8; lying link)를 지지하기 위한 평탄부(3)를 갖는다. 평탄부(3)의 중앙에서, 활주 궤도는 체인의 용접부를 위한 공간을 구비하는 이탈 영역(12)을 갖는다. 평탄부(3)와 활주 궤도(4)의 사이는 종방향으로 일정하게 굴곡져 있다. 활주 궤도의 슬롯(11)은 체인이 당겨질 때, 직립 링크(9)를 외향으로 힘을 가하여 활주 궤도(4)로부터 체인의 수평 링크(8)의 단부를 차례로 상승시키는 하나 이상의 얕은 부분을 갖는다. 일체식 제쇄기는 체인 링크의 하부와 결합하고 체인을 견고하게 보유하는 폴 아암(2; pawl arm) 또는 로킹 러그(19; locking lug)를 포함한다. 폴 아암 또는 로킹 러그는 개별 샤프트(14)에 의해 지지되어 안쪽과 바깥쪽으로 선회할 수 있다. 제쇄기는 폴 아암 또는 로킹 러그에 부착된 와이어(15, 16) 수단에 의해 원격으로 조작될 수 있다. 이들 와이어(15, 16)는 제쇄기 구조물에 부착된 굴곡 파이프(18)을 통해 교정된 방향으로 안내된다.
활주 슈 페어리드, 제쇄기, 평탄부, 활주 궤도, 종방향 슬롯

Description

일체식 제쇄기를 갖는 활주 슈 페어리드 {SLIDING SHOE FAIRLEAD WITN AN INTEGRATED CHAIN STOPPER}
도1은 일 측벽이 부분적으로 제거된 페어리드의 측면도.
도2는 체인의 종방향으로 도시된 활주 궤도를 통한 B-B의 단면도.
도3은 직립 링크가 수평 링크를 활주 궤도로부터 밀어내는 중간 위치의 체인을 갖고 개방 위치의 제쇄기를 갖는 페어리드를 도시한 도면.
도4는 제쇄기가 폐쇄된 상태로 전방에서 (지주쪽으로) 취한 페어리드와, 제쇄기 개폐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5는 개방 위치의 제쇄기 전방에서 취한 제쇄기의 부분도.
도6은 제쇄기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7은 제쇄기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활주 슈 페어리드
2: 제쇄기
3: 평탄부
4: 활주 궤도
11: 종방향 슬롯
본 발명은 결합된 안내 페어리드(guide fairlead)와 부유하는 해안 시설물 상의 계류 체인용 제쇄기(chain stopper)에 관한 것이다.
부유하는 해안 시설물 상에서 앵커 체인은 선체의 하부에 장착된 안내 페어리드 상에 안내된다. 이러한 장치는 통상 두 가지 목적을 가지는데, 즉 가능한 한 시설물의 하방으로 계류력(mooring force)의 작용점을 움직이기 위한 것과, 부가로 최적의 각도로 앵커 윈치 상으로 체인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체인용 안내 페어리드의 가장 일반적인 타입은 제쇄기가 없는 롤러 타입의 페어리드이다. 이러한 페어리드는 수직축에 대해 양측으로 선회하는 크레이들(cradle)에 장착된 주강(cast steel)으로된 안내 활차(sheave)를 갖는다. 그 결과, 체인은 안내 페어리드 쪽으로 두 평면상에서 움직일 수 있다. 안내 활차의 장치는 체인이 순조로운 방식으로 처리되도록 하지만, 이 장치는 비교적 많은 부품들로 구성되어, 너무 무겁고 고가가 된다.
안내 페어리드의 다른 타입인 (굴곡 슈 페어리드라고도 부르는) 활주 슈 페어리드는 회전 안내 활차 대신 고정 활주 궤도를 갖는다. 이는 롤러 페어리드보다 간단하고 더 저렴하지만, 체인이 처리되는 방법에 대해서는 명확한 단점이 있다. 활주 궤도가 체인의 종방향으로 일정한 반지름을 갖고 형성되기 때문에, 체인이 장 력을 받을 때 수평 링크(lying link)는 굽힘 모멘트를 받을 것이다. 특히 체인 링크의 용접 부위에 굽힘 모멘트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는 체인에 걸리는 하중의 가장 바람직하지 않은 형태이다. 체인이 갑판에 로킹되기 때문에, 제쇄기와 활주 페어리드 사이에 연장된 체인의 길이가 비교적 길다. 이는 체인의 변화하는 인장 하중을 갖고 체인과 활주 페어리드 사이의 일정한 활주를 발생시켜서, 그 결과 특히 체인 뿐 아니라 활주 궤도 또한 마모된다.
일체식 제쇄기를 갖는 활주 슈 페어리드가 있다. 일 실시예는 그의 연장부 내의 활주 궤도 후방에 장착된 제쇄기를 가져서, 체인은 활주 슈 페어리드 후방에 고정되고 체인은 페어리드의 활주 궤도를 따라 느슨하게 걸려있다. 이러한 경우, 제쇄기는 두 평면 내의 베어링에 지지되고 체인과 함께 선회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체인에서 제쇄기의 지지 베어링으로 마모를 전달한다. 이러한 장치의 단점은 비교적 많은 가동부를 포함해서 제조 비용이 높다는 것이다. 플랫폼의 갑판으로부터 제쇄기를 작동시키는 것도 비교적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단점을 피하는 것이다. 이는 체인을 활주 궤도 바로 위에 고정함으로써 달성된다. 청구항 1에서 한정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체인이 수평 링크 내에 굽힘 모멘트를 일으키지 않고 일정한 반지름 내에 놓일 것을 의미한다.
활주 슈 바로 위에 장착된 일체식 제쇄기는 체인과 활주 궤도 상의 마모가 최소로 감소하기 위해 활주 궤도의 종방향으로 마찰 없이 체인이 견고하게 보유되도록 한다. 체인 링크는 매 번 체인이 로킹될 때 동일한 위치에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활주 궤도에는 그 전체 길이에 수평 링크를 지지하는 평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들 평탄부 사이에서, 활주 궤도는 체인을 끌어당길 때 문제없이 체인이 활주하도록 굴곡되어 있다. 체인이 당겨질 때, 즉 체인이 굴곡부를 지나갈 때, 링크가 높은 굽힘 모멘트를 받는 것을 막기 위해서, 활주 궤도 내의 슬롯 저부는 직립 체인 링크가 외향으로 밀어지고 수평 체인을 활주 궤도로부터 다소간 상승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된다. 그 결과, 체인이 당겨질 때 체인은 대략 일정한 반지름으로 움직일 것이다.
활주 슈 페어리드는 활주 궤도 내의 굴곡부 후방에 비교적 긴 거리로 연속하는 측벽으로 만들어진다. 이는 체인이 측방으로 선회할 때, 그 운동이 작을 때에도, 페어리드가 선회하는 결과를 갖는다. 만일 활주 페어리드에 너무 짧은 활주 궤도의 측벽이 구비되면, 이는 체인의 작은 측방향 운동 동안 선회하지 않고 여전히 직립해 있을 것이다. 이 경우, 페어리드 내의 제1 체인 링크는 이들 운동을 흡수할 것이고, 이 결과로 몇 개의 링크는 더 많은 마모를 수용하게 된다. 이러한 운동을 활주 페어리드의 수직 축의 베어링으로 전달함으로써, 체인 상의 마모는 최소로 감소된다.
긴 기간에 걸쳐 종방향으로 같은 위치에 있는 체인은 활주 페어리드 내에 위치된 링크 상에 소정의 마모를 수용할 수 있다. 이는 체인의 수직 운동에 기인한다. 체인의 몇몇 링크 상에 이러한 마모를 분포시키기 위해서, 일정한 간격으로 체인을 끌어넣고 빼낼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제쇄기는 갑판으로부터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진다. 그 결과, 일정한 간격으로 체인의 몇몇 링크를 끌어넣거나 빼내는 것은 더 많은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활주 슈 페어리드는 제한하지 않는 실시예로서 첨부 도면에 도시된다.
활주 슈 페어리드(1)는 수직축(5) 상의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 브라켓(6)과 하부 브라켓(7) 사이에 차례로 부착된다. 이 장치는 페어리드가 양측으로 선회하는 것을 허용한다.
제쇄기(2)는 활주 궤도(4) 위에 장착되고, 체인의 양측면의 하나에서 체인 링크의 아래에서 결합하고 제 위치에 체인 링크를 보유하는 두 개의 폴(pawl) 아암으로 구성된다. 이들 폴 아암은 개별 샤프트(14) 상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며, 이는 체인의 장력을 측정하기 위한 하중계일 수 있다. 이와 달리, 폴 아암은 도6의 로킹 러그(19)의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고, 로킹 러그는 이를 로킹하기 위해 체인 링크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제쇄기의 원격 제어용 장치는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들어질 수 있다. 와이어(15, 16)는 로킹 폴(2) 각각의 핀(17)에 부착되고, 교정 방향으로 와이어를 상향 유도하는 개별적인 굴곡 파이프(18)를 통해 연장한다. 만일 와이어(15)가 당겨진다면, 폴은 내향 선회하고 체인을 로킹할 것이고, 만일 와이어(16)가 당겨진다면 폴은 외향 선회하고 체인을 해제할 것이다.
활주 궤도(4)는 체인의 직립 링크(9)용 공간을 제공하는 종방향 슬롯(11)을 구비한다. 활주 궤도의 표면(4)은 그 길이 대부분에 걸쳐 체인의 수평 링크(8)를 지지하는 평탄부(3)를 구비한다. 평탄부(3)는 수평 링크의 용접부를 위한 공간을 구비하고 굽힘 모멘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영역(12)을 갖는다.
활주 궤도(4)의 평탄부(3)들 사이에서, 궤도는 활주 궤도(4) 상에서 체인의 활주를 용이하게 하도록 일정한 반지름을 갖고 굴곡져 있다. 체인이 활주 슈 위에서 당겨질 때, 수평 링크(8)는 활주 궤도의 굴곡진 부분을 지나가고, 이 경우 체인 내에 일정한 굽힘 하중이 발생된다. 도3에서, 활주 궤도의 슬롯(11) 영역은 체인의 직립 링크(9)를 약간 외향으로 밀어내는 얕은 부분(13)을 갖는다. 그 결과, 이들은 체인의 수평 링크(8)의 단부를 활주 궤도(4)로부터 약간 상승시키고, 체인의 직립 링크(9)와 수평 링크(8) 사이에 굽힘을 분포시킨다.
활주 슈의 측판(10)은 체인이 활주 슈를 벗어나는 하부 영역 내에 길게 연장된다. 이는 체인이 활주 슈를 벗어나기 전에 가능한 오랫동안 체인의 측방향 지지를 구비하여, 체인이 측방향으로 움직일 때, 페어리드가 회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체인과 활주 궤도 상의 마모가 최소로 감소하게 된다.

Claims (10)

  1. 계류 체인을 보유 및 안내하기 위해 일체식 제쇄기를 갖는 활주 슈 페어리드이며,
    제쇄기(2)와,
    종방향 슬롯(11)을 갖고 수직축(5) 둘레로 선회 가능한 활주 궤도(4)를 포함하고,
    상기 제쇄기(2)는 상기 활주 궤도(4) 바로 위에 장착되고,
    상기 활주 궤도(4)는 상기 계류 체인의 수평 링크(8)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평탄부(3)를 구비하고,
    상기 평탄부(3)는 각각 상기 계류 체인의 링크의 용접부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이탈 영역(1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주 슈 페어리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 궤도(4)는 상기 하나 이상의 평탄부(3)들 중 일부의 평탄부들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일정하게 굴곡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주 슈 페어리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 궤도(4) 내의 슬롯(11)은 상기 활주 궤도의 상기 평탄부(3)들 사이에 하나 이상의 얕은 부분(13)을 구비하여 직립 체인 링크(9)가 상기 얕은 부분(13)을 통과할 때 상기 수평 링크(8)와의 결합 단부가 상기 활주 궤도(4)에서 떨어지도록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주 슈 페어리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쇄기는 한 개 또는 두 개의 폴 아암(2) 또는 로킹 러그(19)를 구비하여 체인 링크 아래에서 결합하여 체인을 견고하게 보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주 슈 페어리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 아암(2) 또는 로킹 러그(19)는 안쪽 및 바깥쪽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개별 샤프트(14) 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주 슈 페어리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쇄기는 상기 폴 아암(2) 또는 로킹 러그(19)에 부착된 와이어(15, 16)에 의해 원격으로 조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주 슈 페어리드.
  9. 삭제
  10. 삭제
KR1020010022845A 2000-04-28 2001-04-27 일체식 제쇄기를 갖는 활주 슈 페어리드 KR1007890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20002285 2000-04-28
NO20002285A NO309464B1 (no) 2000-04-28 2000-04-28 Glideskoklyss med innebygget kjettingstopp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8923A KR20010098923A (ko) 2001-11-08
KR100789006B1 true KR100789006B1 (ko) 2007-12-26

Family

ID=19911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2845A KR100789006B1 (ko) 2000-04-28 2001-04-27 일체식 제쇄기를 갖는 활주 슈 페어리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35121B2 (ko)
KR (1) KR100789006B1 (ko)
BR (1) BR0101595B1 (ko)
FI (1) FI116216B (ko)
NO (1) NO309464B1 (ko)
SG (1) SG1014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09464B1 (no) * 2000-04-28 2001-02-05 Maritime Pusnes As Glideskoklyss med innebygget kjettingstopper
US7104214B2 (en) * 2003-10-03 2006-09-12 Hydralift Amclyde, Inc. Fairlead with integrated chain stopper
US7240633B2 (en) * 2004-04-30 2007-07-10 Timberland Equipment Limited Underwater chain stopper and fairlead apparatus for anchoring offshore structures
US7284496B1 (en) 2004-12-31 2007-10-23 Douceur John R Fail-safe remotely controlled chain stopper with position indicator
US7926436B2 (en) * 2009-01-15 2011-04-19 Sofec Inc. Dual axis chain support with chain pull through
IT1393079B1 (it) * 2009-01-26 2012-04-11 Saipem Spa Metodo e sistema per la trazione di una linea funzionale, in particolare una linea di ormeggio, di una unita' galleggiante di produzione
US8915205B2 (en) * 2010-12-23 2014-12-23 Bardex Corporation Fairlead latch device
US9199697B2 (en) 2013-10-02 2015-12-01 Sofec, Inc. Dual axis chain support with chain guide
FR3013312B1 (fr) * 2013-11-15 2016-01-08 Dcns Chaumard de guidage d'un element d'ancrage
US10759628B2 (en) 2016-02-12 2020-09-01 Bardex Corporation Link coupler, chainwheel, and assembly thereof for coupling and moving chains of different sizes
CN109204700A (zh) * 2018-10-30 2019-01-15 大连海事大学 导链滚轮掣链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27890U (ko) * 1974-04-04 1975-10-20
JPS53149395U (ko) * 1977-04-30 1978-11-24
WO1997002978A1 (en) * 1995-07-12 1997-01-30 Karmøy Winch A/S A stopping and retaining device for chain or wire
US5845893A (en) * 1997-03-14 1998-12-08 Bardex Engineering, Inc. Underwater self-aligning fairlead latch device for mooring a structure at sea
US6435121B2 (en) * 2000-04-28 2002-08-20 Maritime Pusnes As Sliding shoe fairlead with an integrated chain stopp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96729A1 (en) * 2000-01-07 2001-07-19 Fmc Technologies, Inc. Mooring tube assembly with swivel mounted chain suppor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27890U (ko) * 1974-04-04 1975-10-20
JPS53149395U (ko) * 1977-04-30 1978-11-24
WO1997002978A1 (en) * 1995-07-12 1997-01-30 Karmøy Winch A/S A stopping and retaining device for chain or wire
US5845893A (en) * 1997-03-14 1998-12-08 Bardex Engineering, Inc. Underwater self-aligning fairlead latch device for mooring a structure at sea
US6435121B2 (en) * 2000-04-28 2002-08-20 Maritime Pusnes As Sliding shoe fairlead with an integrated chain stop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35121B2 (en) 2002-08-20
NO20002285D0 (no) 2000-04-28
FI20010812A (fi) 2001-10-29
NO20002285A (no) 2001-02-05
US20010035119A1 (en) 2001-11-01
SG101441A1 (en) 2004-01-30
BR0101595B1 (pt) 2008-11-18
FI20010812A0 (fi) 2001-04-20
BR0101595A (pt) 2001-12-04
NO309464B1 (no) 2001-02-05
KR20010098923A (ko) 2001-11-08
FI116216B (fi) 200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9006B1 (ko) 일체식 제쇄기를 갖는 활주 슈 페어리드
KR101127299B1 (ko) 일체형 체인 스토퍼를 갖는 페어리드
US7240633B2 (en) Underwater chain stopper and fairlead apparatus for anchoring offshore structures
US9567039B2 (en) Fairlead for guiding an anchoring chain and intended to be provided to anchoring equipment on the floor of a floating platform
US7410068B1 (en) Blondin cableway installation
EP2154059B1 (en) Mooring chain connector assembly for a floating device
US4742993A (en) Self-aligning quadrant fairlead
CS262431B2 (en) Cable drawing device
JP2981923B2 (ja) ガイドストッパを有するエネルギー案内チェーン
CN100575184C (zh) 带有一体的链止动器的导缆器
NL1041049B1 (en) Quadrant handling system.
US9764799B2 (en) Method of supporting a chain stopper on a vessel, a chain stopper assembly for a vessel, and a vessel
JP4990591B2 (ja) 水中機器の昇降操作装置
KR200420019Y1 (ko) 크레인 후크의 와이어 로프 지지구조
KR20140145673A (ko) 운송장치
JP2007044326A (ja) 避難装置
EP3181440B1 (en) Retractable chain connector
US8967913B2 (en) Retractable chain connector
KR102641409B1 (ko) 해양구조물 계류시스템용 페어리드 체인 스토퍼
US4254939A (en) Safety devices for load lifting and lowering apparatus
JP2578249Y2 (ja) 自走クレーンのフツクブロツク格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