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8421B1 - 통신시스템, 통신장치, 통신 단말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시스템, 통신장치, 통신 단말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8421B1
KR100788421B1 KR1020077015170A KR20077015170A KR100788421B1 KR 100788421 B1 KR100788421 B1 KR 100788421B1 KR 1020077015170 A KR1020077015170 A KR 1020077015170A KR 20077015170 A KR20077015170 A KR 20077015170A KR 100788421 B1 KR100788421 B1 KR 100788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mbms
channel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5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6890A (ko
Inventor
카즈히토 니와노
히데지 와카바야시
코우타로우 스기사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7015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8421B1/ko
Publication of KR20070086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6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8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8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3Down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2Power control of broadcas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7Power control of multicast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통신 방법은, 공통 채널을 거쳐서, 기지국으로부터 복수의 단말에 대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시에, 복수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수신 상태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의 송신전력을 제어한다. 또한, 단말이 선택 합성시의 수신 능력정보를 송신하고, 복수의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이 선택 합성시의 수신 능력정보를 수신하며, 복수의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장치에 통지한다. 그리고, 단말에 대한 접속 요구가 있었을 경우에, 기지국 제어장치가 선택 합성시의 수신능력정보에 근거해 단말에 대하여 개별 채널의 할당이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에는, 기지국 제어장치가 접속 요구에 대한 개별 채널의 할당을 거부한다.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MBMS, 기지국.

Description

통신시스템, 통신장치, 통신 단말 및 통신 방법{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1~4에 관련되는 W-CDMA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1~4에 관련되는 채널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1~4에 관련되는 MBMS 선택 합성의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1~4에 관련되는 단말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1~4에 관련되는 기지국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1~4에 관련되는 기지국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1에 관련되는 MBMS 선택 합성 중에 개별 채널에 의한 통신이 발생했을 경우의 처리를 나타내는 시퀀스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1에 관련되는 MBMS 선택 합성의 경우의 UE Capabilities의 예,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1에 관련되는 MBMS 선택 합성 중에 UE Capabilities에 근거해서 개별 채널을 이용할 것인가 아닌가의 판정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2에 관련되는 MBMS 이용 중에 빈 수신부가 존재하는지에 근거해서 개별 채널을 이용할 것인가 아닌가의 판정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3에 관련되는 개별 채널의 종류(통신 속도)에 근거해서 개별 채널을 이용할 것인가 아닌가의 판정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4에 관련되는 MBMS 선택 합성 중에 개별 채널에 의한 통신이 발생했을 경우의 처리를 나타내는 시퀀스도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에 있어서의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형의 통신 서비스에 적합한 통신시스템, 통신장치, 통신 단말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전화 시스템에 있어서는 기지국대단말의 1대1의 관계가 전제가 되고, 기지국이 동시에 복수 단말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비스는 생각되지 않고 있다. 종래는 통지 정보라고 불리는 공통의 채널을 사용해서 셀 내의 단말에 일제히 통지하는 방법이 존재했지만, 이것은 제어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것으로 고속 통신을 유저에게 제공하는 위한 것은 아니었다.
최근, 이동통신의 서비스로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기대되고, 특히 스포츠 중계나 일기 예보, 라디오 등 멀티미디어 정보를 동시에 복수의 유저에게 송신하는 기술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종래의 1대1의 통신에 의한 정보제공에서는 필요한 무선자원을 단말마다 확보할 필요가 있었다. 방송형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무선자원을 절약하기 위해서 하나의 송신을 동시에 복수의 유저에게 배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이 서비스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공통인 채널을 사용해서 송신한 데이터를 동시에 복수의 유저가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특히, 이 기술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있어서는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로 불리고 있다.
종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있어서는, 셀 엣지에서 전파가 약할 경우의 품질의 확보가 과제로 존재했다. 그 해결 방법으로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188818호에 송신전력제어에 의한 품질의 확보가 개시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셀 엣지에 있는 최소의 수신 전력의 단말에서도 품질을 확보할 수 있게 기지국으로부터 송신전력을 제어함으로써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원래 송신전력제어의 기능을 가지지 않는 채널에 대하여 송신전력을 추가하기 위해서 복잡한 동작으로 되고, 또 셀 엣지에 있는 최소의 수신전력의 단말에 맞춰서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때문에, 송신전력이 커지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소프트 콤바이닝과 다른 방법으로서 선택 합성의 방법이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동시에 복수의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고, 가장 품질이 양호한 신호를 선택하는 것이며, 단말의 윈도우 사이즈를 넘는 지연에서도 데이터 기억이 가능해지는 뛰어난 방법이다. 그러나, 이 선택 합성은, 선택 합성을 하는 만큼, 단말이 선택 합성용의 채널을 여분으로 수신하기 때문에, 많은 수신 회로가 필요로 되어 하드웨어 규모가 커지는 경향에 있다. 적은 수의 수신 회로밖에 갖지 않는 단말은, 선택 합성 중에 새로운 개별 채널을 사용한 착신이 있을 경우, 선택 합성을 포기하고,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채널에만 의지해서 MBMS 데이터의 수신을 계속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면, 그 단말에서의 수신 품질은 급격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기지국은 송신전력을 상승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그 결과, 개별 채널 등의 다른 단말에 할당할 수 있는 전력이 줄어버리기 때문에, 그 기지국에 있어서의 통신 용량도 줄어버린다는 큰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선택 합성을 하고 있을 경우에, 개별 채널의 새로운 설정을 적절히 제어하고, 시스템 전체의 통신 용량을 향상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 통신장치, 통신 단말 및 통신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통신 방법은, 공통 채널을 거쳐서, 기지국으로부터 복수의 단말에 대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시에, 복수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수신 상태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의 송신전력을 제어한다. 또한, 단말이 선택 합성시의 수신 능력정보를 송신하고, 복수의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이 선택 합성시의 수신 능력정보를 수신하며, 복수의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장치에 통지한다. 그리고, 단말에 대한 접속 요구가 있을 경우에, 기지국 제어 장치가 선택 합성시의 수신 능력정보에 근거해 단말에 대하여 개별 채널의 할당이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했을 경우에는, 기지국 제어장치가 접속 요구에 대한 개별 채널의 할당을 거부한다.
[실시형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실시형태1.
·시스템 구성
도 1은 실시형태1에 관련되는 멀티미디어 통신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다. 단말(100)은, 유저에 의해 사용되어, 하나 또는 복수의 기지국(101)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장치다. 각 기지국(101)은, 셀 내의 복수의 단말(100)과 통신을 행해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행한다. 기지국 제어장치(102)는 복수의 기지국(101)과 접속되어, 각 기지국(101)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기지국 제어장치(102)는 패킷통신을 담당하는 SGSN(103: Service GPRS Support Node)과 접속되어, 각 기지국(101)과 SGSN(103)과의 사이의 통신을 중계한다. SGSN(103)은 개개의 유저에 관한 인증, 서비스 가입, 라우팅, 모빌러티의 관리, 서비스 제한, 콘텍스트 기억, 요금 부과정보 등을 다룬다. GGSN(104: GPRS Gateway Support Node)은 외부 네트워크(예를 들면, 인터넷망)에 대한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가지고, SGSN(103)으로부터 또는 SGSN(103)으로의 패킷의 패스(path)를 확보한다. 또, 게이트웨이의 기능 이외에도, GGSN(104)은 요금 부과정보의 집적이나 모빌러티 관리, QoS(Quality of Service) 니고시에이션, 트래픽을 조정하는 정책 제어 등의 처리를 행한다. 서비스 센터(105)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콘텐츠를 기억, 배송하기 위한 것으로, 유저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GGSN(104)에 콘텐츠에 관한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W-CDMA 시스템에서는 단말(100)을 UE, 기지국(101)을 Node-B, 기지국 제어장치(102)를 RNC(Radio Network Controller)라고 부른다.
·채널
다음에, MBMS 등의 패킷통신에 사용할 수 있는 채널에 대해서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기지국(101)으로부터 단말(100)에 대한 하행 방향의 물리 채널을 설명한다. CPICH(202: Common Pilot Channel)는, 셀 전체에 모두의 타이밍의 기준을 통지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채널이다. P-CCPCH(203: Primary-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는, 그 밖의 통지 정보를 각 단말(100)에 통지하기 위한 채널이며, 이것은 통지 정보용 채널 BCH(Broadcast channel)로서 이용된다. 또, 각 단말(100)에 시그날링이나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S-CCPCH(204: Secondary-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이 있고, 이 채널은 복수 개 가지는 것이 허용된다. 또한, 하행 방향의 페이징용 인디케이터의 송신용에 PICH(205: Paging Indicator channel)가 준비된다.
또한, 단말(100)로부터 기지국(101)에 대한 상행 방향의 공통 채널로서, RACH(206: Random Access Channel)가 있다. 마지막으로, DPCH(207: Dedicated Physical Channel)는 상행 채널 또는 하행 채널로서 양방향에 사용되어, 특정 단말 과의 통신을 위해 개별적으로 설정된다. 이 DPCH(207)는, 음성이나 데이터 등(개별 데이터)의 통신이나 상위 레이어의 시그날링을 위해 이용된다. DPCH(207)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DPDCH(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와 제어에 관한 비트를 송신하는 DPCCH(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를 갖는다. 또한, DPCH(207)는 단말 개개에 이용되기 위한 개별 채널로 불리고, 그 밖의 채널은 복수 단말에서 공통의 사양으로 되기 위한 공통 채널로 불린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일례로서 W-CDMA 시스템의 기지국(101)과 단말(100)과의 사이의 무선구간에서의 채널 구성에 근거해서 설명을 행했지만, 다른 통신시스템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채널은, 같은 데이터를 송신하는 채널이면 어떤 것을 사용해도 관계없고, 예를 들면 상기의 복수의 채널을 한 개의 채널에 공유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데이터 분배의 동작
다음에, 도 1 및 도 2를 사용해서, MBMS 데이터 분배의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단말(100)측으로부터 서비스를 리퀘스트 할 경우도 있지만, 여기에서는 콘텐츠 서버측에서 데이터가 배송될 경우를 설명한다.
우선, 콘텐츠 프로바이더는, 서비스 센터(105)에 대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MBMS 데이터)을 송신한다. 서비스 센터(105)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기억하는 동시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GGSN(104)을 경유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100)을 관리하는 SGSN(103)에 전송한다. SGSN(103)은 기지국 제어장치(102)를 경유해서 기지국(101)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고, 기지국(101)은 S-CCPCH 채널(204)을 사용해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한다. 단말(100)은 기지국(101)의 어느 하나의 S-CCPCH를 수신해서, 기지국(101)이 송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얻는다. 이때, 셀 엣지 등에 위치하고, 하나의 기지국(101)으로부터의 S-CCPCH의 수신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단말(100)은, 다른 기지국(101)으로부터 송신되는 S-CCPCH도 수신해서, 2개 이상의 채널에 대해서 선택 합성을 행하고, 수신 품질의 향상을 꾀한다.
·선택 합성의 동작
다음에, 도 3을 사용해서 선택 합성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기지국 제어장치(102)는 보통 복수의 기지국(101a, 101b)과 접속되고 있어, 그것들의 기지국(101)에 같은 내용의 MBMS 데이터를 송신한다. 단말(100)이 셀의 단(셀 엣지)에 존재할 경우, 어느 한쪽의 기지국, 예를 들면 기지국(101a)에만 무선 링크시키고 있으면 수신 전력이 약해지는 등의 이유로 수신 품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단말(100)은 복수의 기지국(101a, b)으로부터 공통 채널인 복수의 S-CCPCH(204a, 204b)를 사용해서 같은 내용의 MBMS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말(100)은 수신한 각 MBMS 데이터를 복호하고, CRC(Cyclic Redundancy Check)의 체크 결과 등 각 MBMS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정보에 근거해서, 복호 후의 복수의 MBMS 데이터 중 신뢰도가 높은 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한 MBMS 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 처리 등에 사용한다. 이렇게 선택 합성을 하는 것에 의해서, 셀 엣지 등에서 수신 품질이 나쁜 상황인 경우에도, 단말(100)은 옳은 MBMS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져서, 결과적으로 양호한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단말의 구성
다음에, 도 4를 사용해서, 단말(1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MBMS 데이터의 선택 합성을 행하는 단말(100)의 구성을 보이고 있다. 우선,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00)는 음성 CODEC, 화상 CODEC 등의 변환 처리, 키 입력, 화면표시 등의 맨-머신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행하고, 상행 공통 채널 송신부(402), 상행 개별 채널(403)에 대하여, 송신하는 데이터나 송신 요구 등의 정보를 공급한다. 프로토콜 처리부(401)는,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00)의 요구 등에 근거해서 채널 설정, 해방, 핸드오버 등의 통신제어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단말(100)의 발신 처리를 설명하면,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00)가 유저로부터 전화번호의 입력을 접수하고, 프로토콜 처리부(401)에 대하여 발신요구를 행한다. 프로토콜 처리부(401)에서는 필요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상행 공통 채널 송신부(402) 및 상행 개별 채널 송신부(403)를 제어하고, 통신 규격으로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기지국(101)과의 접속 처리를 행한다. 상행 공통 채널 송신부(402) 및 상행 개별 채널 송신부(403)는, 송신 데이터에 대하여 터보 코딩 등의 엔코드처리나 송신 타이밍의 제어 등을 행하고, 엔코드 데이터를 변조부(404)에 출력한다. 변조부(404)는, 코드 발생기(405)에 의해 생성된 채널리제이션 코드 및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해서, 상행 공통 채널 송신부(402)가 상행 개별 채널 송신부(403)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확산하고, 변조한다. 변조된 신호는, D/A변환기(406)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주파수변환부(407)에서 RF(Radio Frequency)신호로 변환된다. 전력증폭기(408)는, 변환된 신호를 원하는 전력으로 증폭하고, 안테나(409)에 출력 한다. 안테나(409)는, 증폭된 신호를 무선신호로서 기지국(101)에 송신한다.
다음에, 단말(100)의 수신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안테나(409)에 의해 수신된 미약한 신호는, 저잡음증폭기(410)에서 증폭되어, 주파수변환부(411)에 의해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A/D변환기(412)는, 아날로그의 베이스밴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신호를 수신부(413) 및 서치부(417)에 출력한다.
서치부(417)는 디지털 신호에 근거해서 셀 서치 및 멀티패스 검출을 행하고, 검출한 타이밍을 각 수신부(413)에 넘긴다. 핑거 할당제어부(418)는 복수의 패스 중에서 유효라고 생각되는 패스를 선택해서 핑거부(414)에 할당한다. 각 수신부(413a, b, c)는, 복수의 핑거부(414)와 합성부(415)를 가지고, 코드 발생기(416)가 출력한 채널리제이션 코드 및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해서 각 패스의 수신신호를 역확산하고, 역확산한 결과를 레이크 합성함으로써, 자기에 할당시킬 수 있었던 채널의 신호를 수신한다. 보통 핑거부(414)는 복수 개 준비되어, 핑거 할당제어부(418)에 의해 할당할 수 있었던 각 패스의 신호를 수신한다. 합성부(415)는 각 핑거(414)의 출력을 합성해서 입력 메모리(419)에 출력한다.
선택 합성시의 합성부(413)의 동작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하면 서치부(417)가 수신 신호에 근거해서 셀 서치를 행하고, 복수의 셀(기지국)을 찾는다. 그리고, 코드발생기(416)가 각 셀에 대응하는 스크램블링 코드와 수신하려고 하는 채널의 채널리제이션 코드를 생성한다. 각 수신부(413)가 어느 셀의 어느 채널을 수신할지는, 단말의 각 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30)에 의해 지시된다. 제어 부(430)는, 디코드부(420)의 상행/하행 채널의 채널 품질정보(CQI 정보), CRC 체크의 Error 발생율 또는/및 신호 전력대간섭파 수신 전력비 등의 수신 전력에 근거해서(예를 들면, 이러한 값과 소정의 문턱 값을 비교함에 의해), 선택 합성을 행할 것인가 아닌가를 결정한다. 선택 합성을 행할 경우에는, 제어부(430)는 복수의 수신부(413)가 각각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MBMS용 S-CCPCH를 수신하도록 코드발생기(416)를 제어한다. 이 도 4의 단말(100)에 있어서는 수신부(413)를 3계통을 가지며, 예를 들면 수신부(413a)에 있어서는 제어 정보를 위한 S-CCPCH를 수신하고, 수신부(413b)에 있어서는 MBMS용 S-CCPCH를 수신한다. 한편, 수신부(413c)에 있어서는 선택 합성을 위해 다른 기지국(101)으로부터의 MBMS용 S-CCPCH를 수신한다. 또한, 각 수신부(413)는, 이것들의 채널을 독립한 타이밍에서 수신할 수 있다.
디코드부(420)는 입력 메모리(419)의 내용을 판독하고, 데이터의 CRC 체크나 터보 디코드 등의 복호처리를 행하고, 결과를 출력 메모리(421)에 기록한다. 일반적으로, 디코더의 하드웨어는 회로 규모가 크기 때문에 하나를 시분할 해서 이용하는 것이 많다. 그러나, 복수의 디코더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셀 또는 채널마다 디코더를 할당해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메모리(419, 421)는 수신부(413)마다 독립한 메모리를 사용해도 되고, 하나의 큰 메모리를 복수의 수신부(413)에서 공유해도 좋다.
그 후, 채널마다 필요한 처리가 행해지고, 통지정보 수신부(422)에서는 BCH로부터 필요한 통지 정보를 얻어서 프로토콜 제어부(401)에 건넨다. 하행 개별 채널 수신부(423)는, 복호한 데이터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인 경우에는, 그 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00)에 보내고, 제어 정보일 경우에는, 그 데이터를 프로토콜 처리부(401)에 보낸다. 또한, 선택부(425)는, 선택 합성을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복수의 수신부(413b, c)가 수신한 데이터를 각각 출력 메모리(421)로부터 판독하고, 디코드부(420)에 있어서의 CRC 체크의 결과 등에 근거해서 옳다고 생각되는 쪽의 데이터를 하행 공통 채널 수신부(424)에 출력하고, 다른 쪽의 데이터를 폐기한다. 또한, 선택 합성을 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선택부(425)는, 각 수신부(413b, c)가 수신한 데이터를 버리지 않고, 하행 공통 채널 수신부(424)에 출력한다.
하행 공통 채널 수신부(424)는, 하행 개별 채널 수신부(423)와 마찬가지로, 수신한 데이터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인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00)에, 제어 정보인 경우에는 프로토콜 처리부(401)에 수신한 데이터를 각각 출력한다.
S-CCPCH는, S-CCPCH 시스템 정보(Secondary CCPCH system information) 및 S-CCPCH 정보(Secondary CCPCH info)를 갖고, 이것들의 정보로부터 단말(100)은 S-CCPCH에 관한 확산율, 채널리제이션 코드, 타이밍 오프셋 등의 복조에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것들의 파라미터는 통지정보 수신부(422), 하행 개별 채널 수신부(423), 하행 공통 채널 수신부(424)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어 정보로서 수신되어, 프로토콜 처리부(401)에 기억된다. 프로토콜 처리부(401)는, 이것들의 파라미터를 수신부(413), 코드발생기(416), 서치부(417), 핑거 할당 제어부(418) 등에 설정한다. 단말(100)은, 하나의 액티브 셀로부터만 제어 정보용 S-CCPCH를 수신하기 때문에, 다른 셀로부터의 신호를 합성하지 않고 핑거 할당제어부(418)는 하나의 셀로부터의 멀티패스 성분만 핑거부(414)에 할당한다.
또한, 도 4에서는, 제어부(430)로부터 각 부로의 신호 선은, 일부만 도면에 나타냈지만, 실제의 제어부(430)는 신호 선을 기재하지 않는 각 부의 처리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30)는, 수신부(413)가 수신한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전파)를 관측하고, 관측 결과에 따라, 송신전력의 증감을 요구하는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프로토콜 처리부(401)에 송신한다. 프로토콜 처리부(401)는, 송신전력 제어정보를 상행 공통 채널 송신부(402) 또는 상행 개별 채널 송신부(403)를 사용해서, 기지국(101)에 송신한다.
·기지국의 구성
다음에, 본 실시형태1에 있어서의 기지국(101: Node-B)을 도 5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우선, 단말(100)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기지국 제어장치(102)로부터 송신된 각종의 제어 정보나 데이터는, 각 채널의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500~502)에 보내진다. 통지 정보송신부(500)는, 기지국 제어장치(102)로부터 수신한 통지 정보를 P-CCPCH에 실어지도록 코딩 처리한다. 하행 개별 채널송신부(501)는, 개별 채널을 이용하는 단말마다 설정되고, 개별 채널의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DPCH에 실을 수 있도록 코딩 처리한다. 하행 공통 채널 송신부(502)도 마찬가지로, 제어 정보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코딩하고, S-CCPCH 위에 실어서 송신한다. 또한, S-CCPCH는 하나 있어도 좋고, 복수 개 있어도 좋다. 상기 각 송신부에서 코딩된 데이터는, 변조부(503)에 있어서 각 채널마다 채널리제이션 코드 및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해서 확산되어, D/A변환 기(505)에 출력된다. 또한, 채널리제이션 코드 및 스크램블링 코드는 하행 코드 발생기(504)에 의해 생성된다. D/A변환기(505)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주파수변환부(506)는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더 변환한다. RF 신호는, 전력증폭기(507)에 의해 원하는 전력으로 증폭되어, 안테나(508)를 거쳐서 송신된다. 이때, 전력증폭기(507)는,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송신전력 제어정보에 근거해서, 증폭도를 제어한다.
다음에, 단말(10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안테나(508)가 수신한 단말(100)로부터의 미약한 신호는, 저잡음증폭기(509)에서 증폭된다. 주파수변환부(510)는, 증폭된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고, A/D변환기(511)가, 베이스밴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복조부(512)는 각 단말(100)로부터의 신호를 상행 코드 발생기(513)가 생성한 스크램블링 코드로 분리하고, 그 단말(100)의 각 채널을 채널리제이션 코드로 분리한다. 복조부(512)에 의해 복조된 신호는, 개별 채널의 신호는 상행 개별 채널 수신부(514)에 의해서, 또한 공통 채널의 신호는 상행 공통 채널 수신부(515)에 의해서, 채널 디코드(복호)되어 기지국 제어장치(102)에 송신된다.
·기지국 제어장치
다음에, 기지국 제어장치(102)의 구성을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기지국 제어장치(102)는 코어 네트워크의 처리와 기지국(101)의 무선회선과의 사이를 중계하는 것이며, 주로 무선자원을 관리해서 기지국(101)에 채널의 확립, 해방의 지시 등의 역할을 가지고 있다. 송수신 처리부(600)는, 코어 네트워크나 다른 기지국 제어장치에 접속되어, RANAP(Radio Access Network Application Part) 등의 코어 네트워크나 RNSAP(Radio Network Subsystem Application Part) 등의 다른 RNC로의 통신 프로토콜 처리를 행한다. 대기지국 송수신 처리부(601)는 NBAP(Node B Application Part) 등의 기지국(101)으로의 통신 프로토콜 처리를 행한다. QoS 파라미터 맵핑부(602)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의 QoS(Quality of Service) 지시에 근거해서 요구를 충족시키는 무선 채널의 파라미터를 얻는다. 무선자원 제어부(603)는 무선자원에 관한 처리를 행하고, 또 RRC 시그날링에 의해 단말(100)로의 제어, 파라미터 통지를 행한다. 무선 링크 제어부(604)는 무선 링크에 있어서의 버퍼링이나 재송 제어를 행한다.
또한, 이것들의 기능 분담은 기능상의 논리적인 것이며, 실제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설치에 있어서는 명확하게 분리하고 있는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UE Capabilities의 통지에 근거하는 접속 제어
다음에, 상기의 통신시스템을 사용한 본 실시형태1의 접속 제어를 설명한다. MBMS의 이용 중에, 네트워크측에서 개별 채널을 사용한 접속이 있었을 경우 등, MBMS용 S-CCPCH의 선택 합성과 DPCH의 수신이 동시에 발생할 경우가 생각된다. 그 경우, 단말(100)은, MBMS를 위해서, 제어용 S-CCPCH와, 선택 합성을 위해 적어도 2개의 MBMS용 S-CCPCH를 수신할 필요가 있고, 덧붙여 DPCH의 수신도 할 필요가 있다. 즉, 단말(100)은, 합계 4개의 채널을 수신하기 때문에, 4개의 수신부(413)가 필요로 된다. 그러나, 단말(100)이 다수의 수신부(413)를 구비하는 것은 하드웨어 증대로 연결되고, 사용 빈도가 적은 수신부(413)를 더 가질 필요가 있기 때문에 효 율이 나빠진다. 한편, 선택 합성을 포기하고, 선택 합성을 위해 사용할 수 있었던 2개의 수신부(413b, c) 중, 하나의 수신부(413b)만이 MBMS용 S-CCPCH를 수신하고, 다른 쪽의 수신기(413c)가 DPCH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에는, 시스템 전체로서 통신 용량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즉, 기지국(101)은, 단말(100)에 있어서의 수신 품질을 양호하게 유지하도록, 송신전력을 일정하게 제어하고 있다. 단말(100)에 있어서 수신 품질이 떨어진 경우에는, 기지국(101)은 송신전력을 상승시켜서 수신 품질을 개선한다. 그러나, MBMS와 같이, 공통 채널을 거쳐서 복수의 단말(100)에 데이터를 송신할 경우, 각 단말(100)에 있어서의 수신 품질은 다양해서, 항상 수신 품질의 나쁜 단말(100)이 존재한다는 문제가 있다. 여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셀 엣지에 위치하는 단말(100)이 선택 합성을 포기하고, 하나의 기지국(101)으로부터의 MBMS용 S-CCPCH에만 의지해서 데이터 수신을 계속할 경우, 그 단말(100)에 있어서의 수신 품질은 선택 합성을 하지 않았을 경우와 비교해서 나쁘게 되기 때문에, 기지국(101)은 송신전력을 상승시켜지 않을 수 없다. 그 결과, 다른 단말(100)에 할당시킬 수 있는 전력이 줄어버리기 때문에, 그 기지국(101)에 있어서의 통신 용량도 감소되지 않을 수 없다는 큰 문제가 있다. 여기에서, 이 실시형태1의 통신시스템에서는, 단말(100)이 MBMS의 선택 합성을 하고 있는 경우에는 개별 채널의 링크시키지 않도록 접속 제어를 행함으로써 시스템 전체의 통신 용량이 떨어져 버린다는 문제를 해결하고, 또한 단말(100)에 요구되는 하드웨어의 요구 레벨도 낮출 수 있다.
이하, MBMS 선택 합성 중에 개별 채널에 의한 통신이 발생했을 경우의 시퀀 스에 대해서, 도 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일례로서, MBMS의 이용 중에 음성의 착신이 있었을 경우에 UE Capabilities에 따라 개별 채널의 설정을 행할지를 결정할 경우를 설명한다.
단말(100)은, 자기의 MBMS 선택 합성 중의 수신 능력정보를 UE Capabilitie로서, 기지국(101)에 송신한다(스텝 ST100). 여기에서, 단말(100)은, 수신부의 능력에 따라 설정된 수신 능력정보를 내장 메모리로부터 판독하고, 공통 채널 혹은 개별 채널을 사용해서 송신한다. 수신 능력정보로서는, 채널 수 등의 구체적인 값이나 선택 합성 중에 S-CCPCH와 DPCH의 동시 수신을 할 수 있을지를 나타내는 Yes/No의 값 등, 다양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8에 그 일례를 게시한다. 도 8은 각 단말(100)로의 요구 사양으로서, MBMS 선택 합성의 기능이 옵션으로 될 경우의 수신 능력정보의 예다. 여기에서는, 단말(100)의 통신 속도에 따라서, 7개의 클래스가 설정되어 있다. "Maximum number of S-CCPCH radio links for MBMS selective combining"은, MBMS의 선택 합성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추가 S-CCPCH의 최대 개수를 나타낸다. 이 값이 1 이상인 경우에는, 선택 합성을 서포트하는 단말(100)이다(또한, 추가S-CCPCH가 아니고 처음의 1개를 포함하는 전체 S-CCPCH 개수로 세는 것으로 하면 2 이상의 경우가 선택 합성을 서포트하게 된다.). "Simultaneous reception of SCCPCH and DPCH during MBMS selective combining"은, MBMS 선택 합성 중에 있어서 개별 채널(DPCH)의 수신이 가능인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다. No인 경우에는 불가능, Yes/No인 경우에는 선택 가능, Yes인 경우에는 항상 가능을 의미한다. 이 파라미터에 의해 선택 합성을 서포트하는 단말(100) 에 있어서, 선택 합성 중에 개별 채널의 동시 수신을 할 것인가 아닌가의 지정이 가능한 것으로 된다. 또한, 선택 합성 중에 있어서 개별 채널(DPCH)의 수신을 할 수 없는 경우, 유저가 어느 쪽의 서비스를 희망할지를 나타내는 옵션의 파라미터로서 "Priority of DPCH to MBMS selective combining"을 정의할 수도 있다. 이 파라미터를 설정한 경우에는, 간단히 동시 이용할 수 있는가 아닌가의 판단만 아니라, 경합했을 때에 어느 쪽을 우선할 수 있을지, 즉 이미 통신중의 서비스를 정지시켜서 다른 것을 우선할지를 단말측의 의사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우선순위는 단말의 능력이라고 하기보다는 유저의 의사이며 UE Capabilities 파라미터 이외의 시그날링에서 취급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3개의 파라미터는, 전부를 동시에 사용할 필요는 없고, 후술의 판정 처리에 필요한 파라미터만을 송신하면 좋다.
도 8에 나타낸 파라미터는, 단말(100)이 클래스를 나타내는 번호 또는 각 파라미터를 직접 송신함으로써, 기지국(101)에 통지된다. 기지국(101)은, UE Capabilities의 정보(수신 능력정보)를 수신하면(스텝 ST101), 그 정보를 기지국 제어장치(102)에 송신하고, 기지국 제어장치(102)는 그 정보를 수신하는 동시에 기억한다(스텝 ST102).
상기의 통지 처리가 종료하면, 단말(100)은, 복수의 기지국(101)으로부터 MBMS 데이터를 수신하고, MBMS 선택 합성을 시작한다(스텝 ST103).
이때, 단말(100)은 MBMS 선택 합성의 상황정보를 기지국(101)에 통지한다(스텝 ST104). 구체적으로는, 단말(100)은, 실제로 단말(100)이 선택 합성에 사용하 고 있는 S-CCPCH의 채널 수 또는 선택 합성 중인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한다.
기지국(101)은, MBMS 선택 합성의 상황정보를 단말(100)로부터 수신하면(스텝 ST105), 그 정보를 기지국 제어장치(102)에 중계한다. 기지국 제어장치(102)는, 수신한 상황정보를 메모리 등에 기억한다(스텝 ST106).
한편,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기지국 제어장치(102)에 접속 요구로서의 착신 신호가 송신되면(스텝 ST107), 기지국 제어장치(102)는, 전술의 수신 능력정보와 MBMS 선택 합성의 상황정보에 근거해서 개별 채널의 설정을 허가할지를 판단한다(스텝 ST108). 이 스텝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기지국 제어장치(102)는, 수신 능력정보 및 MBMS 선택 합성의 상황정보를 단말(100)마다 기억하고, 접속 요구가 어느 단말(100)에 관계되는 것인지에 따라, 해당하는 수신 능력정보 및 상황정보를 비교하고, 접속을 허가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착신 신호에 대한 개별 채널의 할당을 허가하지 않을 경우, 기지국 제어장치(102)는 착신을 거부해서, 코어 네트워크에 거부를 통지한다(스텝 ST109). 한편, 허가하는 경우, 기지국 제어장치(102)는 착신 신호에 응답하고, 기지국장치(101)에 DPCH(개별 채널) 기동의 시그날링을 행한다(스텝 ST110). 이에 따라, 기지국장치(101)는 개별 채널을 기동한다(스텝 ST111). 최후로, 단말(100)은, 기지국(101)에 응답해서 개별 채널을 기동하고, DPCH를 사용한 통신을 시작한다.
상기의 스텝 ST108에 있어서의 판정의 처리는, 이하와 같다. 도 9는 기지국 제어장치(102)에 의한 선택 합성 중의 판정 처리를 나타낸다. 우선, 기지국 제어 장치(102)는, UE Capabilities(수신 능력정보)를 수신한다(스텝 ST200). 다음에, 기지국 제어장치(102)는 수신한 UE Capabilities로부터, 선택 합성 중에 DPCH의 수신이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Simultaneous reception of SCCPH and DPCH during MBMS selective combining")을 체크하고, 이 파라미터에 근거해 선택 합성 중에 개별 채널과 MBMS 선택 합성을 허가할 지의 판단을 한다(스텝 ST201). 허가하지 않을 경우("No"인 경우)는, 기지국 제어장치(102)는 개별 채널 할당 거부를 코어 네트워크에 통지한다(스텝 ST202). 한편, 허가할 경우("Yes"인 경우)에는, 기지국 제어장치(102)는 개별 채널의 설정을 기지국(101)에 지시한다(스텝 ST203).
또한, 기지국(101)은, 단말(100)의 수신 품질 또는 기타의 채널과의 전력배분 밸런스에 근거해서 MBMS용 S-CCPCH의 송신전력을 제어하지만, 기지국 제어장치(102)의 제어에 의해, 개별 채널의 설정이 적절히 제어되기 때문에, 단말(100)은 선택 합성을 유지할 수 있고, 양호한 수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기지국(101)이 송신하는 MBMS용 S-CCPCH의 송신전력을 비교적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형태1에 의하면, 선택 합성시에 있어서의 단말(100)의 수신 능력에 맞춰서 개별 채널의 설정을 행하기 때문에, 단말(100)이 셀 엣지 부근에 있을 경우 등, 수신 품질이 나쁘게 선택 합성이 필요할 경우에, 개별 채널의 접속에 의한 송신전력의 극단적인 증가를 억제하고, 적은 송신전력으로 MBMS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다른 통신을 과도하게 압박하고, 통신시스템 전체의 통신 용량의 열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모든 단말이 MBMS와 개별 채널의 동시 수신이 가능한 대규모인 하드웨어를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선택 합성에 있어서의 수신 하드웨어의 증대를 억제하고, 소규모인 하드웨어로 유저의 니즈에 맞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형태2.
다음에, 단말(100)의 최대 선택 합성 수에 근거해서 개별 채널(DPCH)의 설정을 제어하는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기본적인 동작은, 실시형태1과 같기 때문에, 다른 점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기지국 제어장치(102)에 의한 판정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며, 도 7의 스텝 ST108의 상세를 보이고 있다.
우선, 기지국 제어장치(102)는, 도 7의 스텝 ST106에서 수신한 단말(100) 내의 MBMS 선택 합성 수 m을 메모리로부터 판독한다(스텝 ST300). 또한, 기지국 제어장치(102)는, 도 7의 스텝 ST102에서 수신한 수신 능력정보로부터 MBMS 선택 합성용으로 수신가능한 S-CCPCH의 최대 개수 n("Maximum number of S-CCPCH radio links for MBMS selective combining")을 메모리로부터 판독한다(또한, 여기에서 n은, 추가 S-CCPCH의 최대 개수 +1의 값이다). 계속해서, 기지국 제어장치(102)는 단말(100)이 이용 가능한 나머지 수신부 수 n-m을 계산하고(스텝 ST302), 선택 합성 중에 새로운 개별 채널(DPCH)의 설정을 허가할지에 대해서 판단한다(스텝 ST303). 즉, n-m>0의 경우에는, 단말(100)에 새로운 개별 채널을 수신하는 여유가 있다고 판단하고, 개별 채널의 설정을 허가한다. 그리고,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로 허가하지 않을 경우에는, 기지국 제어장치(102)는 개별 채널 할당 거부를 코어 네트워크에 통지하고(스텝 ST304), 허가할 경우에는 개별 채널의 설정을 기지국에 지 시한다(스텝 ST305).
상기의 판정 처리는, 모든 단말(100)이 MBMS 선택 합성을 할 수 있을 경우에 사용하는 처리다. 그 때문에, 실시형태1과 같이 선택 합성하는/하지 않는 능력의 구별은 필요 없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2에서는, 선택 합성시의 S-CCPCH의 수신가능 수를 수신 능력정보라고 했지만, 선택 합성시에 한정하지 않는 S-CCPCH의 수신가능 수(Maximum number of simultaneous S-CCPCH radio links)에서도, 개별 채널의 접속을 허가할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현재 단말이 수신하고 있는 S-CCPCH의 수 m을 단말로부터 기지국 제어장치에 송신하면, 현재 단말이 수신하고 있는 S-CCPCH의 수 m과 S-CCPCH의 수신가능 수 n과를 비교해서, 개별 채널을 수신하는 여유가 단말(100)에 있는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형태3.
다음에, MBMS 선택 합성 중에 UE Capabilities와 현재의 선택 합성 중의 S-CCPCH 개수 및, 그 개별 채널의 속도에 근거해서 개별 채널에 의한 통신을 허가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기본적인 동작은, 실시형태2와 같기 때문에, 다른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말(100)은, 선택 합성 중이어도 상황에 따라서는 모든 수신부(413)를 이용하지 않고 있을 경우가 있다. 그렇지만, 그러한 경우에서도 개별 채널이 고속인 경우에는 디코드 처리가, 디코더의 능력을 넘어버리기 때문에 개별 채널의 속도에 일정한 제한을 설치하는 것이다.
도 11에 있어서, 도 10과 동일한 부호는, 도 10의 처리와 동일 또는 상당하는 처리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스텝 ST303까지의 처리는, 도 10의 처리와 같다. 스텝 ST303에서 기지국 제어장치(102)가 개별 채널(DPCH)의 통신을 허가하면, 다음에 개별 채널의 속도를 확인해서 일정한 문턱 값 이하(예를 들면, 64kbps)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T400). 여기에서, 문턱 값은, 임의의 고정 값이어도 좋고, UE Capabilities의 파라미터로서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값이어도 좋다. 또한, 스텝 ST300에서 판독한 MBMS 선택 합성 수 m에 근거해서 설정된 문턱 값(예를 들면, m에 반비례해서 변화되는 문턱 값)에 맞춰도 좋다. 여기서, 기지국 제어장치(102)가, 개별 채널의 통신을 허가하는 경우에는 스텝 ST305로, 허가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T306으로 건너뛴다.
이 실시형태3에 의하면, 디코더의 디코드 능력 등에 따라, 단말(100)에 송신하는 레이트를 조정할 수 있고, 단말(100)에 있어서의 오버플로우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4.
계속해서, MBMS 선택 합성 중에 유저의 선택에 의한 UE Capabilities에 근거해서 개별 채널의 통신을 허가할 것인가 아닌가의 판정을 행하는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의 기본적 동작은, 실시형태1과 같기 때문에, 다른 점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의 통신시스템은, 예를 들면 유저의 선택을 따라서, MBMS 이용 중은 음성의 착신은 거부하거나, 반대로 MBMS의 이용 중이어도, MBMS의 서비스를 저하시켜도 음성통화를 하는 제어를 행한다.
도 12는 이 실시형태4의 통신시스템의 시퀀스를 나타내며, 실시형태1의 도 7과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하는 처리를 보인다. 우선, 단말(100)에 MBMS와 개별 채널의 우선순위를 유저가 입력하고,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00)가 유저로부터의 설정 값(도 8의 "Priority of DPCH to MBMS selective combining"의 파라미터)을 접수한다(스텝 ST500). 다음에, 단말(100)은 접수한 설정 값을 UE Capabilities의 파라미터의 일부로서, 기지국(101)에 송신한다(스텝 ST501). 기지국(101)은, 유저가 선택한 MBMS와 개별 채널의 우선순위의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동시에, 기지국 제어장치(102)에 송신한다(스텝 ST502). 기지국 제어장치(102)는, 유저가 선택한 MBMS와 개별 채널의 우선순위의 파라미터를 기억한다(스텝 ST503).
기억된 우선순위의 파라미터는, 스텝 ST509의 처리에 있어서, 개별 채널(DPCH)의 설정을 허가할 것인가 아닌가의 판정에 사용된다. 즉, 파라미터가 개별 채널(DPCH)을 우선하는 쪽으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단말(100)이 선택 합성 중이어도, 스텝 ST110으로 진행되고, 기지국(101)에 개별 채널의 설정을 지시한다. 기지국(101)에 의해 개별 채널이 설정되면, 단말(100)은 MBMS의 수신 처리를 중단하던지, 선택 합성을 중지하고, 하나의 수신부(413)를 개별 채널용에 할당하는 처리를 행한다. 한편, 개별 채널을 우선하지 않을 경우에는, 기지국 제어장치(102)는, 개별 채널의 통신을 허가하지 않는다(스텝 ST109).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1~3의 판단 기준과 이 우선도를 조합시킬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스텝 ST509에 있어서, 실시형태1과 같이, MBMS 용의 S-CCPCH와 DPCH와의 동시 수신이 불가라고 설정되어 있는 단말에 대하여, 우선순위에 근거해서 어느 쪽의 수신을 행할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2~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판단 기준으로 동시 수신을 할 수 없다고 기지국 제어장치(102)가 판단했을 때, 어느 쪽을 우선할지를 우선순위에 근거해서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형태4에 의하면, 유저의 의지에 따라, 선택 합성을 계속할지, 개별 채널의 설정을 우선할지를 선택할 수 있고, 유저의 니즈에 맞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 MBMS를 이용 중에 음성 착신 등에 대하여도 대응한다
또한, 개별 채널의 설정을 우선할 것인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는, 반듯이 UE Capabilities로서 송신될 필요는 없고, 다른 시그날링을 사용해서 송신되어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1~4의 판정 처리는, 서로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흐름도는, 전용의 집적회로를 사용해도 실현되고, 또한 범용의 (DSP 등의) 프로세서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서도 실현된다.
각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고, 또한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에 의해 다운로드 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각 채널은, 같은 제어 채널이나 데이터 전송 채널에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채널의 명칭은 상기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한, 도 4~도 6에 나타낸 통신시스템의 각 구성은, 현재 사용되는 무선통신장치의 회로, 그 밖의 하드웨어를 베이스로 처리를 변경함으로써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각 기능 블록마다 전용의 회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범용의 (DSP등의) 프로세서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서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신부에 있어서의 하드웨어의 절감이라는 의미로는, 기지국이 MBMS의 전력제어를 각 단말의 수신 품질에 따라 적극적으로 행하지 않을 경우에도, 상기의 실시형태의 수신 능력정보나 선택 합성 중의 개별 채널의 제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MBMS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한정하지 않고, 방송형의 데이터 혹은 멀티캐스트형 데이터이면 어떤 것이라도 관계없다. 여기에서, 멀티캐스트는, 특정한 서비스에 가입하고 있는 등, 특정한 그룹(복수의 유저)에 한정해서 송신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각 구성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주지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금후 규정되는 3GPP의 MBMS에 관련되는 규격서의 내용 등 장래의 통신기술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단말(100)이 MBMS의 선택 합성을 하고 있을 경우에, 개별 채널의 새로운 설정을 적절히 제어하기 때문에, 시스템 전체의 통신 용량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말이 복수의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

  1. 공통 채널을 거쳐서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기가 수신하는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와, 개별 채널을 거쳐서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개별 데이터를 상기 수신기가 수신하는 개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공통 채널을 거쳐서, 복수의 상기 송신기 각각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MBMS 대응의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의 수신부와,
    이 제1의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하여 선택 합성을 행하도록 구성된 선택 합성부와,
    상기 개별 채널을 거쳐서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개별 서비스 대응의 상기 개별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의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MBMS 서비스와 상기 개별 서비스를 동시에 수신하는 능력이 없을 경우에 상기 제2의 수신부에 의한 상기 개별 데이터의 수신이 정지되도록, 상기 개별 서비스에 대하여 상기 MBMS를 우선하는 우선순위 매김을 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KR1020077015170A 2007-07-02 2004-02-13 통신시스템, 통신장치, 통신 단말 및 통신 방법 KR100788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15170A KR100788421B1 (ko) 2007-07-02 2004-02-13 통신시스템, 통신장치, 통신 단말 및 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15170A KR100788421B1 (ko) 2007-07-02 2004-02-13 통신시스템, 통신장치, 통신 단말 및 통신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6323A Division KR100788416B1 (ko) 2006-08-14 2004-02-13 통신시스템, 통신장치, 통신 단말 및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6890A KR20070086890A (ko) 2007-08-27
KR100788421B1 true KR100788421B1 (ko) 2007-12-24

Family

ID=38613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5170A KR100788421B1 (ko) 2007-07-02 2004-02-13 통신시스템, 통신장치, 통신 단말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842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4192A (ja) * 1997-10-31 2000-0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ダイバーシチ受信装置
US20010026538A1 (en) * 2000-01-10 2001-10-04 Jorg Bruss Method and system for exchange of multicall capabilities between terminal and network
JP2002158618A (ja) * 2000-11-22 2002-05-31 Nec Corp 移動通信制御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並びに移動局
JP2003188818A (ja) * 2001-10-19 200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マルチキャストマルチメディア放送サービスを提供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での順方向データチャネル送信電力を制御する装置及び方法
US20030207696A1 (en) * 2002-05-06 2003-11-06 Serge Willenegger Multi-media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 (MBM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4192A (ja) * 1997-10-31 2000-0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ダイバーシチ受信装置
US20010026538A1 (en) * 2000-01-10 2001-10-04 Jorg Bruss Method and system for exchange of multicall capabilities between terminal and network
JP2002158618A (ja) * 2000-11-22 2002-05-31 Nec Corp 移動通信制御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並びに移動局
JP2003188818A (ja) * 2001-10-19 200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マルチキャストマルチメディア放送サービスを提供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での順方向データチャネル送信電力を制御する装置及び方法
US20030207696A1 (en) * 2002-05-06 2003-11-06 Serge Willenegger Multi-media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 (MBM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6890A (ko) 2007-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66275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受信機並びに通信方法
US8923912B2 (en) Base station apparatus,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WO2008038336A1 (en)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4015162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並びに通信方法
JP2006054856A (ja)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並びに通信方法
JP2007110758A (ja) 通信端末
KR100788419B1 (ko) 통신시스템, 통신장치, 통신 단말 및 통신 방법
KR100788421B1 (ko) 통신시스템, 통신장치, 통신 단말 및 통신 방법
KR100788420B1 (ko) 통신시스템, 통신장치, 통신 단말 및 통신 방법
KR100788416B1 (ko) 통신시스템, 통신장치, 통신 단말 및 통신 방법
KR20070086888A (ko) 통신시스템, 통신장치, 통신 단말 및 통신 방법
CN101330659B (zh) 通信系统以及通信方法
CN101330660B (zh) 通信终端
EP2247000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terminal for receiving data of a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13